KR100444936B1 - Elevator device - Google Patents

Elevator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44936B1
KR100444936B1 KR10-2002-7000921A KR20027000921A KR100444936B1 KR 100444936 B1 KR100444936 B1 KR 100444936B1 KR 20027000921 A KR20027000921 A KR 20027000921A KR 100444936 B1 KR100444936 B1 KR 100444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hoistway
drive pulley
hoist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9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20021160A (en
Inventor
하마구치슈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1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116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44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4493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9/00Kinds or type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3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 B66B11/0045Arrangement of driving gear, e.g. location or support in the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권상기를 승강로내에서 카의 승강통로 위에 배치한다. 또한 구동활차를 승강로 벽측으로 향하여 구동활차를 평면도 상에서 카와 승강로벽과 극간에 위치시키고, 모터부를 카와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권상기는 카용가이드레일 정상부에 고정된 기계대에 설치됨과 동시에, 기계대에 부착된 브레이스에 의해, 권상기의 롤링이 방지된다. 이 구성에 의해 승강로의 평면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ranges the hoisting machine on the hoistway of the car in the hoistway. Further, the drive pulley is positioned toward the hoistway wall side, and the drive pulley is positioned between the car and the hoistway wall on the floor plan, and the motor unit is disposed to overlap the car. The hoist is installed on the machine st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rolling of the hoist is prevented by the brace attached to the machine stand. This configuration makes it possible to effectively use the planar space of the hoistway.

Description

엘리베이터장치{ELEVATOR DEVICE}Elevator device {ELEVATOR DEVICE}

도 6, 7은 일본국 특허공보제2593288호에 기재된 종래의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이다.6 and 7 show a conventional machine roomless elevator described in Japanese Patent No. 2593288.

도면 중, 1은 승강로, 2는 비트부(bit portion), 3은 승강로 정상부를 나타낸다. 4는 승강로 정상부(3)에 배치되고, 구동활차(traction sheave)(5)와 모터부(8)에 의해 구성된 권상기(traction machine)를 나타낸다. 7은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car)이며, 8은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평형추이다. 9는 카(7)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2개의 카가이드레일이며, 10은 평형추(8)의 승강을 가이드하는 2개의 평형추가이트레일이다. 11은 카(7)의 하부에 있고, 카가이드레일(9) 부근에 제공된 2개의 현수활차(suspension sheave)이다. 12는 평형추(8)의 상부에 설치된 현수활차이다. 13은 와이어로프이며, 1단이 승강로 정상부(3)의 카로프 유지부(14)에 고정되고, 2개의 현수활차(11)를 경유하며 상승한다. 또한 외이어로프(13)는 권상기 (4)의 구동활차(5)에 감겨지며, 하강하여 현수활자(12)를 경유하고, 또 상승하여 타단이 평형추로프 유지부(15)에 고정된다. 그 와이어로프(13)에 의해 권상기(4)의 구동력이 전달된다.In the figure, 1 is a hoistway, 2 is a bit portion, and 3 is a hoistway top part. 4 represents a traction machine disposed at the top of the hoistway 3 and constituted by a traction sheave 5 and a motor unit 8. 7 is a car for elevating in the hoistway, and 8 is a counterweight for elevating in the hoistway. 9 is two car guide rails which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ar 7, and 10 are two counterweight additional trails which guide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counterweight 8. 11 is at the bottom of the car 7 and is two suspension sheaves provided near the car guide rail 9. 12 is a suspension pulley install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unterweight (8). 13 is a wire rope,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karof holding part 14 of the hoistway top 3, and ascends through two suspension pulleys 11. In addition, the outer rope 13 is wound on the drive pulley 5 of the hoisting machine 4, descends, passes through the suspension slide 12, and ascends,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counterweight retainer 15. The driving force of the hoist 4 is transmitted by the wire rope 13.

권상기(4)는 카가이드레일(9)의 위쪽으로 구동활차(5)를 카측에, 모터부(6)를 승강로(1)의 벽측으로 향하여 카(7)와 승강로(1)벽내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7에 나타난것 같이 권상기(4)는 승강로의 벽과 카의 승강통로와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The hoisting machine 4 is disposed in the car 7 and the hoistway 1 wall with the drive pulley 5 toward the car side and the motor unit 6 toward the wall side of the hoistway 1 upwards of the car guide rail 9. have. As shown in Fig. 7, the hoist 4 is arranged in a space between the wall of the hoistway and the hoistway of the car.

다음, 동작에 대하여 도 6으로 설명한다. 권상기(4)가 구동되면 구동활차 (5)가 회전하고 트랙숀(traction)에 의해 와이어로프(13)가 이동한다. 와이어로프 (13)의 이동에 따라 카(7)와 평형추(8)는 각각 상하 역방향으로 승강동작한다.Next, the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hen the hoist 4 is driven, the drive pulley 5 rotates and the wire rope 13 moves by traction. As the wire rope 13 moves, the car 7 and the counterweight 8 move up and down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respectively.

이상과 같이,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는 구동활차(5)를 카측으로 향하여 카(7)와 승강로(1)벽간에 배치하여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the drive pulley 5 is disposed between the car 7 and the hoistway 1 wall toward the car side, which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카(7)의 대형화에 따라 권상기(4)의 대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 카(7)와 승강로(1)벽간에 권상기(4)의 수용공간을 넓힐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승강로의 횡단면적이 크게된다.(1) If the hoisting machine 4 needs to be enlarged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car 7, it is necessary to wide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isting machine 4 between the car 7 and the hoistway 1 wall, and as a result, the hoistway The cross sectional area of the becomes large.

(2) 모터부(6)가 벽측으로 되기 때문에, 모터를 구성하는 전기부품 또는 로프의 오일을 피하여 모터부(6)측에 배치되는 브레이크(도면생략)등의 보수점검이 곤란하게 된다.(2) Since the motor part 6 is on the wall side, it is difficult to check and repair the brakes (not shown) arranged on the motor part 6 side, avoiding the oil of the electric parts or the rope constituting the motor.

본 발명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권상기의 설치위치를 승강로 정상부에 배치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 in the elevator top in the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구조사시도이다.1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실시예 1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이다.2 is a plan view of the elevator of Example 1. FIG.

도 3은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권상기고정부로 도 2의 화살표 A의 상세도이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arrow A in FIG. 2 with a hoisting fixing part showing Example 1. FIG.

도 4는 실시예 2를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구조사시도이다.4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the elevator of Example 2. FIG.

도 5는 실시에 3을 나타내는 엘리베이터의 구조사시도이다.FIG. 5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of Embodiment 3. FIG.

도 6은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구조이다.6 is a structure of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도 7은 종래의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평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without a conventional machine room.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승강로(hoistway), 2 : 비트부(bit portion),1: hoistway, 2: bit portion,

3 : 승강로 정상부, 4 : 권상기(traction machine),3: top of the hoistway, 4: traction machine,

5 : 구동활차(traction sheave), 6 : 모터부,5: traction sheave, 6: motor unit,

7 : 카(car), 8 : 평형추(counterweight),.7: car, 8: counterweight.

9 ; 카가이드레일. 10 : 평형추 가이드레일,9; Kagai rail. 10: counterweight guide rail,

11 : 현수활차(suspension sheave), 12 : 현수활차,11: suspension sheave, 12: suspension pulley,

13 : 와이어로프,13: wire rope,

14 : 카로프 유지부(car rope retaining portion),14: car rope retaining portion,

15 : 평형추로프 유지부(counterweiqht rope retaining portion),15: counterweiqht rope retaining portion,

16 : 기계대(machine base).16: machine base.

[발명의 구성][Configuration of Invention]

다음, 본 발명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Next, an Example is demonstrated about this invention as follows.

실시예 1.Example 1.

도 1~도 3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한다.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나타내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장치의 구조사시도, 도 2는 실시예 2에 의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장치의 평면도, 도 3은 권상기고정부로 도 2의 화실표 A에서 본 도이다. 도에서, 종래예와 동일한 부호는 종래의 엘리베이터장치와 동일부품 또는 상당부품인 것을 나타낸다.1 is a structural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Embodiment 1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of an elevator apparatus without a machine room according to Example 2, and FIG. 3 is a table top of FIG. This is the figure.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in the conventional example indicate that they are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to the conventional elevator apparatus.

16은 권상기(4)가 배치되는 기계대이다. 이 기계대(16)는 카가이드레일(9)의 정상부에 고정된다. 기계대(16)는 도 2에 나타난 것과 같이 기계대(16)의 일부는 평면도 상에서 카(7)와 중복되어 있다. 이 기계대(16)는 평형추 가이드레일(10)에도 고정되도록 하여도 된다. 권상기(4)는 구동활차(5)를 승강로(1)의 벽측으로 향하여 배치하며, 모터부(6)를 승강로(1)의 카(7)측으로 향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평면도 상에서 구동활차(5)는 승강로벽면과 카의 극간에 위치하고, 모터부(6)는 카와 중첩하여 위치한다.16 is a mechanical stand on which the hoist 4 is disposed. This machine stage 16 is fixed to the top of the car guide rail 9. As shown in FIG. 2, part of the workbench 16 overlaps the car 7 in plan view. The machine table 16 may be fix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10. The hoist 4 arrange | positions the drive pulley 5 toward the wall side of the hoistway 1, and arrange | positions the motor part 6 toward the car 7 side of the hoistway 1.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drive pulley 5 is located between the hoistway wall surface and the pole of the car on the plan view, and the motor part 6 is positioned overlapping with the car.

17은 권상기(4)와 기계대(16)간에 설치되어, 수직하중을 탄성지지하는 방진재이다.17 is an anti-vibration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hoist 4 and the machine base 16 to elastically support the vertical load.

18은 기계대(16)에 고정되며, 권상기의 가동시의 롤링을 억제하는 브레이스 (brace)이다. 이 브레이스(18)는 기계대(16)와 카가이드레일 (9)로 일체화되는 것이다. 기계대(16)가 평형추 가이드레일(10)에도 고정하는 경우에는, 브레이스(18)는 기계대(16), 카가이드레일(9), 평형추(10)와 일체화된다.18 is a brace fixed to the machine table 16 and which suppresses rolling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oist. This brace 18 is integrated with the machine table 16 and the car guide rail 9. When the machine stage 16 is also fixed to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10, the brace 18 is integrated with the machine stage 16, the car guide rail 9, and the counterweight 10. As shown in FIG.

19는 권상기(4)와 브레이스(18)간에 설치되어 권상기(4)의 롤링시 생기는 수평방향 하중을 탄성지지하는 방진재이다.19 is an anti-vibration material provided between the hoist 4 and the brace 18 to elastically support the horizontal load generated when the hoist 4 is rolled.

그 방진재로서는 고무등의 탄성체가 사용된다.As the dustproof material, an elastic body such as rubber is used.

브레이스(18)는 L자상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권상기(4)의 모터부(6)의 이면, 상면 및 표면을 둘러싸고 있다. 그리고, 방진재(19)는 모터부(6)의 이면측과 브레이스(18)간과, 모터부(6)의 표면측과 브레이스(18)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The brace 18 is formed of an L-shaped member, and surrounds the rear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surface of the motor portion 6 of the hoisting machine 4. The dustproof material 19 is disposed between the rear surface side and the brace 18 of the motor portion 6 and between the surface side and the brace 18 of the motor portion 6, respectively.

이와 같은 구조는 권상기(4)의 롤링을 지지하는 데에 적합한 구조이다.Such a structure is a structure suitable for supporting the rolling of the hoisting machine 4.

로프(13)의 한쪽은 구동활차(5)에서 하강하여 카(7)하부의 현수활차(11)를 통하여 상승하며, 카가이드레일(9) 정상부의 로프 유지부(14)에 접속된다. 로프(13)의 다른쪽은 구동활차(5)에서 하강하여 평형추의 현수활차(12)를 통하여 상승하며, 평형추 가이드레일(10) 정상부의 로프 유지부(15)에 접속된다.One side of the rope 13 descends from the drive pulley 5 and ascends through the suspension pulley 11 below the car 7 and is connected to the rope holding part 14 of the top of the car guide rail 9. The other side of the rope 13 descends from the drive pulley 5 and ascends through the suspension pulley 12 of the counterweight, and is connected to the rope holding part 15 of the top of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10.

그 구조에 있어서, 카(7)와 승강로벽간에 필요한 간극(gap)은 최소한 구동활차(5)의 두께상당분이 확보되면 좋으므로, 승강로평면의 단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다. 이 효과는 권상기(4)의 구동활차(5)를 승강로(1)의 벽방향으로 향하게 배치하는 것, 권상기(4)를 카(7)의 승강통로의 위에 배치하고 있는 것에 관계되고 있다.In the structure, since the gap required between the car 7 and the hoistway wall should at least have a thickness equivalent to the drive pulley 5,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plane can be reduced. This effect relates to arranging the drive pulley 5 of the hoisting machine 4 in the wall direction of the hoistway 1 and arranging the hoister 4 on the hoistway of the car 7.

권상기(4)의 모터부(6)는 카(7)측에 향하여 배치되어 있음으로, 모터부(6) 및 모터부(6)부근에 부착되는 브레이크장치의 보수점검이 용이하게 된다. 특히, 카(7)의 천정상면에 보수작업원이 타고 보수점검을 행할 때 유리하다.Since the motor part 6 of the hoisting machine 4 is arranged toward the car 7 side, maintenance inspection of the brake apparatus attached to the motor part 6 and the motor part 6 vicinity becomes easy. In particular, it is advantageous when a maintenance worker performs a maintenance inspection on the ceiling top surface of the car 7.

또, 카가이드레일(9)을 기준으로 하여 권상기(4)와 카현수활차(11)의 관계 및 권상기(4)와 카(7)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카(7)의 크기가 변화하여도 항상 카(7)의 중심부근을 매달 수가 있다. 또한, 카(7)가 기울어지기 어려워서, 편안한 승차감을 유지할 수 있다.Moreover, sinc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isting machine 4 and the car suspension vehicle 1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isting machine 4 and the car 7 is maintained on the basis of the car guide rail 9, the size of the car 7 changes. Even if it can always hang the center root of the car (7). In addition, the car 7 is hard to tilt, and a comfortable riding comfort can be maintain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권상기(4)를 카(7)와 승강로벽간에는 배치되어 있지 않고, 도 2에 나타난것 같이 처음부터 권상기(4)의 일부와 카(7)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7)의 대형화에 따라 권상기(4)의 대형화를 필요로 하는 경우에도, 카(7)와 승강로벽과의 극간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다. 종래예의 경우, 카(7)의 대형화에 의한 횡단면적의 증가와 함께, 카(7)의 승강통로와 승강로벽간의 간극을 넓게함으로써 횡단면적의 증가가 필요하게 되므로, 전체의 횡단면적이 보다 넓혀지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카(7)의 대형화에 의한 횡단면적의 증가만으로 대응이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hoisting machine 4 is not arranged between the car 7 and the hoistway wall, and as shown in FIG. 2, a part of the hoisting machine 4 and the car 7 overlap each other. Even when the size of the hoist 4 i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size of the car 7,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inter-dimension dimension between the car 7 and the hoistway wall.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example, the cross sectional area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cross sectional area by increasing the size of the car 7 and widening the gap between the lifting passage of the car 7 and the wall of the lifting path.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pe only by increasing the cross sectional area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car 7.

따라서, 본 실시예의 쪽이 종래예에 비하여 전체의 횡단면적을 작게 설계할 수가 있다.Therefore, this embodiment can design the whole cross sectional area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example.

실시예 2.Example 2.

도 4는 실시예 2의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권상기(4)의 기계대 (16)를 카가이드레일(9) 및 평형추 가이드레일(10)에 지지시키는 구조로 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실시예 1의 효과뿐만 아니라 권상기의 지지가 더욱 견고하게 되어, 안정한 엘리베이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4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mechanical stage 16 of the hoisting machine 4 is supported by the car guide rail 9 and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1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not only the effect of Example 1 but also the support of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more firm, and a stable elevator apparatus can be provided.

실시예 3.Example 3.

도 5는 실시예 3의 엘리베이터장치를 나타내는 것이다. 20은 고정금구이며, 기계대(16)의 일부를 승강로벽면에 고정하였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4)를 통하여 카가이드레일(9)에 걸리는 구부림하중을 좌굴하중(buckling load)으로 변환할 수 있어 가이드레일(9)의 크기를 작게할 수가 있다.5 shows the elevator apparatus of the third embodiment. 20 is a fixing tool and a part of the machine base 16 was fixed to the hoistway wall surface. As a result, the bending load applied to the car guide rail 9 can be converted into a buckling load through the traction machine 4, so that the size of the guide rail 9 can be reduced.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구동활차(5)는 그 회전면이 대향하는 승강로벽면에 대하여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으나, 승강로벽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하도록 하여도 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drive pulley 5 is arranged parallel to the hoistway wall surface whose rotational surface opposes, but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hoistway wall surface.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평형추(8)와 권상기(4)를 같은 승강로벽에 근접하여 배치되어 있으나, 각각 다른 승강로벽에 근접하여 배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although the counterweight 8 and the hoist 4 ar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the same hoistway wall, the counterweight 8 and the hoisting machine 4 may be arranged in close proximity to the other hoistway walls.

상기의 실시예에 기재한 권상기(4)는 기어없는 권상기를 적용하여도 좋으며, 기어가 있는 권상기를 적용하여도 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권상기(4)는 구동활차(5)와 모터부(5)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그 이외에 모터부(6)부근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활차(5)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장치등도 권상기(4)에 포함된다.The hoisting machine 4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 may be applied with a gearless hoisting machine or a geared hoisting machin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hoist 4 is described as being composed of a drive pulley 5 and a motor portion 5, but is installed near the motor portion 6 and brakes rotation of the drive pulley 5. A brake device or the like is also included in the hoisting machine 4.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의 엘리베이터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용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카의 승강과는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평형추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의 정상부에 배치되고,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활차를 가지며, 그 구동활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프를 통하여 상기 카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와를 가진 엘리베이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를 상기 카의 승강통로위에 배치하고, 또 평면도 상에서 상기 권상기의 일부가 상기 카와 중첩되도록 하였으므로, 권상기의 대형화가 필요로 되는 경우에도, 카(7)와 승강로벽과의 극간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for elevating an elevator in a hoistway, a car guide rail for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nd a guide for counterweight for elevating the hoistwa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ar.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rail and a drive pulley disposed in a top portion of the hoistway and having a rope wound thereon, and a hois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car and counterweight through the rope by rotating the drive pulley. Since a part of the hoist is overlapped with the car in a plan view on the hoistway of the car, even if the hoisting machine needs to be enlarged, it is not necessary to change the inter-dimension between the car 7 and the hoistway wall. Space can be saved.

또, 상기 구동활차가 상기 승강로의 벽면측에 향하도록 상기 권상기를 배치하며,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동활차를 상기 승강로벽과 상기 카의 극간에 위치시켰으므로, 승강로의 단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다.Further, since the hoist is disposed so that the drive pulley faces the wall surface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drive pulley is positioned between the hoistway wall and the car on a plan view,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istway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권상기는 상기 구동활차와 이 구동활차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로 되며, 이 모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평면도 상에서 상기 카와 중첩하여 위치시켰으므로, 모터부분을 대형으로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도 카(7)와 승강로벽과의 극간치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공간절약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Further,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the drive pulley and the motor portion for rotating the drive pulley, and since part or all of the motor portion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the car on a plan view, even when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otor portion large, ), There is no need to change the inter-dimension between the hoistway and the hoistway wall, and the space can be saved.

또, 상기 카용가이드레일의 정상부에 고정된 기계대를 가지며, 상기 권상기를 상기 기계대에 고정하였으므로, 구동활차와 카와의 위치관계를 유지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it has a mechanical stand fixed to the top part of the said car guide rail, and the said hoisting machine was fixed to the said machine stand, the positional relationship of a drive pulley and a car can be maintained.

또, 상기 권상기를 고정하는 기계대와 그 기계대와 권상기간에 설치되어 상기 권상기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탄성지지하는 제1의 지지부재를 가짐으로, 수직방향의 진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Further, by having a machine table for fixing the hoist and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in the machine base and the hoisting period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ist, vibration in the vertic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권상기를 고정하는 기계대와, 이 기계대에 부착되어 상기 권상기의 롤링을 방지하는 브레이스를 설치하였으므로, 권상기의 롤링을 방지하고 안정된 구동을 할 수가 있다.In addition, since a machine table for fixing the hoisting machine and a brace attached to the machine table to prevent rolling of the hoisting machine are provided, the rolling of the hoisting machine can be prevented and stable driving can be performed.

또, 상기 브레이스와 상기 권상기간에 수평방향의 하중을 탄성지지하는 제2의 지지부재를 가지므로, 수평방향의 진동을 방지할 수가 있다.Moreover, since it has a 2nd support member which elastically supports the horizontal load in the said brace and the said hoisting period, the vibration of a horizontal direction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권상기의 크기에 영향되는 일이 없으며, 승강로를 공간 절약화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in order to solve the said problem, It does not affect the magnitude | size of a hoist, and makes it the 1st objective to save space of a hoistway. Moreover, it is a 2nd objective to make maintenance inspection easy.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용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카의 승강과는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평형추와, 상기 평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평형추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의 정상부에 배치되고,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활차를 가지며, 이 구동활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프를 통하여 상기 카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를 가지고, 상기 권상기를 상기 카의 승강통로 위에 배치하고, 또 평면도 상에서 상기 권상기의 일부가 상기 카와 중첩되도록 하였다. 또, 상기 구동활차가 상기 승강로의 벽면측으로 향하도록 상기 권상기를 배치하고,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동활차를 상기 승강로벽과 상기 카의 간극에 배치시켰다.An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r for elevating an elevator in a hoistway, a car guide rail for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 counterweight for elevating the hoistwa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ar, and the counterweight It has a guide rail for a counterweight for guiding the elevating of the guide rail, and a drive pulley disposed on the top of the hoistway, the rope is wound, the hoist to lift the car and counterweight through the rope by rotating the drive pulley, The hoist was placed on the hoistway of the car, and part of the hoist was overlapped with the car on a plan view. Moreover, the hoist was disposed so that the drive pulley faced toward the wall surface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drive pulley was arranged in the gap between the hoistway wall and the car on a plan view.

또한, 상기 권상기는 상기 구동활차와 이 구동활차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로 되며, 이 모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평면도 상에서 상기 카와 중첩하여 위치시켰다.In addition, the hoisting machine becomes the drive pulley and the motor portion for rotating the drive pulley, and part or all of the motor portion is positioned to overlap with the car on a plan view.

또한, 상기 카용가이드레일의 정상부에 고정된 기계대를 가지며, 상기 권상기를 상기 기계대에 고정하였다.In addition, it has a mechanical stand fixed to the top of the car guide rail, and the hoist was fixed to the machine stand.

또, 상기 권상기를 고정하는 기계대와, 이 기계대와 권상기간에 설치되고 상기 권상기의 수직방향의 하중을 탄성지지하는 제1의 지지부재를 갖는다.Moreover, it has a machine base for fixing the hoist, and a first support member provided in the machine base and the hoisting period and elastically supporting the loa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hoist.

또한, 상기 권상기를 고정하는 기계대와, 이 기계대에 부착되고 상기 권상기의 롤링(rolling)을 방지하는 브레이스를 설치하였다.In addition, a machine table for fixing the hoisting machine and a brace attached to the machine base and preventing rolling of the hoisting machine were provided.

또, 상기 브레이스와 상기 권상기간에 수평방향의 하중을 탄성지지하는 제2의 지지부재를 갖는다.Moreover, the said brace and the 2nd support member which elastically support the load of a horizontal direction in the said winding period are provid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장치는, 권상기의 설치위치를 승강로 정상부에 배치하는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로서, 승강로의 평면스페이스의 유효이용이 필요한 엘리베이터장치에 적용된다.As described above, the elevator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levator without a machine room for arrang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hoisting machine at the top of the hoistway, and is applied to an elevator apparatus requiring effective use of the plane space of the hoistway.

Claims (3)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내를 승강하는 카와, 상기 카의 승강을 안내하는 카용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를 상기 카의 승강과는 반대방향으로 승강하는 평형추와, 상기 평형추의 승강을 안내하는 평형추용 가이드레일과, 상기 승강로내의 상부에 배치되고 로프가 감겨지는 구동활차를 가지며, 이 구동활차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프를 통하여 상기 카 및 평형추를 승강시키는 권상기와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상기를 고정하기 위한 기계대 및 상기 권상기의 롤링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기계대에 설치된 브레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권상기를 상기 카의 승강통로의 위에 배치하되, 평면도 상에서 상기 권상기의 일부가 상기 카와 중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A car for elevating an elevator in a hoistway, a car guide rail for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ar, a counterweight for elevating the hoistway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of the car, and a counterweight for guiding the hoisting of the counterweight An elevator apparatus having a guide rail and a drive pulley dispos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hoistway, the rope being wound, and a hoisting device for elevating the car and counterweight through the rope by rotating the drive pulley. And a brace installed on the machine to prevent the rolling of the hoist and the machine to fix the hoist, and the hoist is disposed on the lifting passage of the car, so that a part of the hoist overlaps the car in a plan view. Elevator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활차가 상기 승강로의 벽면측에 향하도록 상기 권상기를 배치되고, 평면도 상에서 상기 구동활차를 상기 승강로벽과 상기 카간의 극간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And the hoist is disposed so that the drive pulley faces the wall surface side of the hoistway, and the drive pulley is positioned between the hoistway wall and the car between them on a plan view.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권상기는 상기 구동활차와 그 구동활차를 회전시키는 모터부로 되고, 이 모터부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평면도 상에서 상기 카와 중첩하여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장치.The hoisting machine is a motor unit for rotating the drive pulley and the drive pulley, and an elevator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a part or all of the motor portion is placed overlapping with the car on a plan view.
KR10-2002-7000921A 2000-05-26 2000-05-26 Elevator device KR10044493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0/003408 WO2001089975A1 (en) 2000-05-26 2000-05-26 Elevator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1160A KR20020021160A (en) 2002-03-18
KR100444936B1 true KR100444936B1 (en) 2004-08-18

Family

ID=11736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921A KR100444936B1 (en) 2000-05-26 2000-05-26 Elevator devic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302430B1 (en)
KR (1) KR100444936B1 (en)
CN (1) CN1183025C (en)
DE (1) DE60041991D1 (en)
WO (1) WO2001089975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5170B4 (en) * 2002-02-07 2005-07-21 Wittur Ag Traction elevator
KR20040024094A (en) * 2002-09-13 2004-03-20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Installation structure of elevator traction machine
JP2004142927A (en) * 2002-10-28 2004-05-20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device
DE60333795D1 (en) * 2003-03-12 2010-09-23 Mitsubishi Electric Corp LIFT DEVICE
FI118423B (en) * 2004-03-26 2007-11-15 Kone Corp Elevator and lift hoisting machinery
JP4656107B2 (en) * 2007-08-16 2011-03-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WO2012172671A1 (en) * 2011-06-16 2012-12-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CN102951526A (en) * 2011-08-25 2013-03-06 康力电梯股份有限公司 Driving system for home elevator
DE112014006899T5 (en) * 2014-08-25 2017-05-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hubmaschinen attachment device
US9758347B2 (en) * 2014-12-02 2017-09-12 ThyssenKrupp Elevator AG; ThyssenKrupp AG Arrangement and method to move at least two elevator cars independently in at least one hoistway
CN105084171B (en) * 2015-08-27 2018-02-09 苏州富士电梯有限公司 A kind of elevator
CN107539866A (en) * 2016-06-29 2018-01-05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A kind of fixed structure of elevator driving machine
WO2018016042A1 (en) * 2016-07-21 2018-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modification method
CN108203044B (en) * 2016-12-16 2019-10-18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Elevator device
WO2018198230A1 (en) * 2017-04-26 2018-11-01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evice
JP6714905B2 (en) * 2018-01-15 2020-07-0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elevator
CN108843592A (en) * 2018-06-20 2018-11-20 温州市爱光机电设备有限公司 A kind of blower
CN109019271B (en) * 2018-08-21 2021-02-02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Fixing structure and fixing method of elevator driving host
CN109795928A (en) * 2019-03-13 2019-05-24 日立电梯(中国)有限公司 Lift car, progress control method and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67286A (en) * 1988-04-20 1989-10-25 Hitachi Ltd Home elevator
FI96198C (en) * 1994-11-03 1996-05-27 Kone Oy Pinion Elevator
KR100297123B1 (en) 1997-09-26 2002-12-18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elevator
JP4255525B2 (en) * 1997-11-05 2009-04-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02430B1 (en) 2009-04-08
CN1382097A (en) 2002-11-27
EP1302430A1 (en) 2003-04-16
KR20020021160A (en) 2002-03-18
CN1183025C (en) 2005-01-05
DE60041991D1 (en) 2009-05-20
WO2001089975A1 (en) 2001-11-29
EP1302430A4 (en)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44936B1 (en) Elevator device
KR100618467B1 (en) Elevator device
JP4882195B2 (en) Elevator equipment
JP2002080178A (en) Elevator device
US6619433B1 (en) Elevator system using minimal building space
JP4549616B2 (en) Elevator equipment
KR20050051701A (en) Elevator device
JP4934941B2 (en) Elevator equipment
JPWO2003020628A1 (en) Elevator equipment
JP2010208822A (en) Elevator car
JP4091326B2 (en) Elevator equipment
JP3961718B2 (en) Machine room-less elevator
EP1717185B1 (en) Elevator
EP1724229A1 (en) Elevator apparatus
JP2009062177A (en) Elevator
JPWO2004000711A1 (en) Elevator equipment
JP2009292561A (en) Elevator device having no machine room
JP2008168986A (en) Elevator device
KR20040068178A (en) Elevator equipment
JP2007137681A (en) Elevator
KR100804886B1 (en) Elevator apparatus
KR100500861B1 (en) Method for installing hoist
JP2006151625A (en) Elevator device
WO2005075335A1 (en) Elevator
KR100617383B1 (en) Machine-room-less eleva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