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445A -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445A
KR20030048445A KR10-2003-7005639A KR20037005639A KR20030048445A KR 20030048445 A KR20030048445 A KR 20030048445A KR 20037005639 A KR20037005639 A KR 20037005639A KR 20030048445 A KR20030048445 A KR 20030048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alkyl
halogen
alkoxy
nit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5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2681B1 (ko
Inventor
벤크호프요하네스
월퀴스트올로프
휴가데쓰오
데케이져제라뒤스
Original Assignee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filed Critical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Publication of KR20030048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26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0025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 C09B29/0029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09B29/0048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diazotized amino heterocyclic compounds the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containing a six-membered heterocyclic ring with on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32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a reactive methylene group
    • C09B29/33Aceto- or benzoylacetylary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32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a reactive methylene group
    • C09B29/33Aceto- or benzoylacetylarylides
    • C09B29/331Aceto- or benzoylacetylarylides containing acid groups, e.g. COOH, SO3H, PO3H2, OSO3H2, OPO2H2; salts thereof
    • C09B29/332Carbocyclic aryl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29/00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 C09B29/32Monoazo dyes prepared by diazotising and coupling from coupling components containing a reactive methylene group
    • C09B29/33Aceto- or benzoylacetylarylides
    • C09B29/335Aceto- or benzoylacetylarylides free of acid groups
    • C09B29/337Carbocyclic arylid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Coloring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고분자량 물질의 착색에 적합하고 생성되는 착색물이 양호한 견뢰도 특성을 갖는 토토머 형태의 하나로서 화학식 1에 대응하는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화학식 1
상기식에서,
Ar은 화학식 2a, 2b, 2c, 2d, 2e 또는 2f의 라디칼이며,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R1은 C1-C4알킬이며,
R2및 R3는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이나 염 형태이며,
R8및 R9은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 또는 염의 형태이며,
Ar1은 아릴 라디칼이며,
p는 0,1 또는 2이며,
r은 0,1 또는 2이며, 여기서 화학식 2f에서의 (R8)r은 r개의 동일하거나 다른라디칼 R8을 의미한다.

Description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Monoazoquinolone pigment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본 발명은 신규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착색제로서의 용도, 특히 고분자량 물질을 착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공지되어 있다. 예컨대, US-A-3 119 808은 커플링성분에서 설폰산 그룹도 카복실산 그룹도 함유하지 않는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를 기술하고 있다.
착색물(colourations)의 질에 대한 더 높은 요구, 예컨대 견뢰도 특성, 또는 도포 관련 특성, 예컨대 전이 행동(migration behaviour) 또는 과도한 분무력은 특히 견뢰도 특성에 관련한 개선된 특성을 보여주는 새로운 안료에 대한 수요를 여전히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의, 개선된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특히 표면 코팅, 인쇄 잉크 및 칼라 필터를 생성시키거나, 플라스틱을 착색하는 것으로서, 상기 특성들의 질을 높은 수준으로 갖고 있는 안료를 발견하는 것이다. 신규의 안료는 높은 순도의 색조, 높은 착색 강도 및 과도한 분무 및 전이에 대한 양호한 견뢰도를 갖는 착색물을 수득하게 하여야 한다. 수득되는 착색물은 특히 열, 빛 및 날씨에 대한 양호한 견뢰도를 나타내야 한다.
상기의 목적이 하기 정의된 신규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에 의해 대부분 달성됨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토토머 형태의 하나로서 화학식 1에 대응하는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Ar은 화학식 2a, 2b, 2c, 2d, 2e 또는 2f의 라디칼이며,
R1은 C1-C4알킬이며,
R2및 R3는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이나 염 형태이며,
R8및 R9은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 또는 염의 형태이며,
Ar1은 아릴 라디칼이며,
p는 0,1 또는 2이며,
r은 0,1 또는 2이며, 여기서 화학식 2f에서의 (R8)r은 r개의 동일하거나 다른라디칼 R8을 의미한다.
R1, R2, R3, R8및 R9에 대한 C1-C4알킬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급-부틸, 3급-부틸 또는 이소부틸,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이며, 특히 메틸이다.
R8및 R9에 대한 C1-C4알콕시는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할로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불소, 염소, 또는 브롬, 바람직하게는 염소 또는 브롬이며, 특히 염소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C1-C4알카노일아미노는, 예컨대 포밀아미노, 아세틸아미노 또는 프로피오닐아미노, 특히 아세틸아미노이다.
R2, R3, R8및 R9은 서로 독립하여 벤조일아미노로서 비치환되거나 페닐환에서 할로겐에 의해, 예컨대 염소나 브롬, 바람직하게는 염소에 의하거나; 니트로에 의하거나, C1-C4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또는 이소-프로필, n-, 2급-, 3급- 또는 이소-부틸,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및 특히 메틸에 의해;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이소부톡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 및 특히 메톡시에 의해 치환된다.
R2, R3, R8및 R9에 대한 C1-C4알콕시카보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n-부톡시-카보닐,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카보닐 및 특히 메톡시카보닐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C1-C4알킬카보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아세틸, 프로피오닐, 부티로일 또는 발레로일, 바람직하게는 아세틸 또는 프로피오닐 및 특히 아세틸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N-메틸-, N-에틸-, N-프로필-, N-이소프로필-, N-부틸-, N-2급-부틸- 또는 N-이소부틸-아미노카보닐, 바람직하게는 N-메틸- 또는 N-에틸-아미노카보닐 및 특히 N-메틸아미노카보닐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N-아릴아미노카보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N-페닐- 또는 N-나프틸-아미노카보닐, 바람직하게는 N-페닐아미노카보닐이다. 상기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예컨대 염소나 브롬, 바람직하게는 염소; 니트로; C1-C4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 또는 이소프로필, n-, 2급-, 3급- 또는 이소-부틸,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및 특히 메틸;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이소부톡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 및 특히 메톡시에 의해 치환된다.
R2, R3, R8및 R9에 대한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N,N-디-메틸, N,N-디-에틸-, N-메틸-N-에틸-, N,N-디-프로필-, N,N-디-이소프로필-, N,N-디-부틸-, N,N-디-2급-부틸-, N-메틸-N-2급-부틸- 또는 N,N-디-이소부틸-아미노카보닐,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 또는 N,N-디-에틸-아미노카보닐 및 특히 N,N-디-메틸아미노카보닐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C1-C4알콕시설포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또는 n-부톡시-설포닐,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설포닐 및 특히 메톡시설포닐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C1-C4알킬설포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2급-부틸-, 3급-부틸- 또는 이소부틸-설포닐,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설포닐 및 특히 메틸설포닐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N-메틸-, N-에틸-, N-프로필-, N-이소프로필-, N-부틸-, N-2급-부틸-, N-3급-부틸- 또는 N-이소부틸아미노설포닐, 바람직하게는 N-메틸- 또는 N-에틸-아미노설포닐 및 특히 N-메틸아미노설포닐이다.
R2, R3, R8및 R9에 대한 N-아릴아미노설포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N-페닐- 또는 N-나프틸-아미노설포닐, 바람직하게는 N-페닐아미노설포닐이다. 상기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예컨대 염소 또는 브롬, 바람직하게는 염소; 니트로; C1-C4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또는 이소-프로필, n-, 2급-, 3급- 또는 이소-부틸,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및 특히 메틸; 또는 C1-C4알콕시에의해, 예컨대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또는 이소부톡시, 바람직하게는 메톡시 또는 에톡시 및 특히 메톡시에 의해 치환된다.
R2, R3, R8및 R9에 대한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은 서로 독립하여 예컨대 N,N-디-메틸-, N,N-디-에틸-, N-메틸-N-에틸-, N,N-디-프로필-, N,N-디-이소프로필-, N,N-디-부틸, N,N-디-2급-부틸-, N-메틸-N-2급-부틸 또는 N,N-디-이소부틸-아미노설포닐, 바람직하게는 N,N-디-메틸- 또는 N,N-디-에틸-아미노설포닐 및 특히 N,N-디-메틸아미노설포닐이다.
아릴 라디칼로서 Ar1은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나프탈 라디칼이며, 이 라디칼은 비치환되거나 1개 이상의 치환체 R8에 의해 치환된다.
화학식 2a 및 2b의 라디칼에서 있어서 카복시 및 설포 그룹들은 2-, 3- 또는 4-위치에서, 바람직하게는 4- 위치에서 결합되어 있다.
화학식 2a 및 2b의 라디칼에서 카복시 및 설포, R2, R3, R8및 R9에 대하여 유리산 및 이의 염 둘 다는, 예컨대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전이금속 또는 암모늄 염, 유기 아민 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카복시 그룹 및 설포 그룹이 염의 형태로 있는 화학식 1의 안료에 관한 것이다.
언급될 수 있는 적합한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전이금속 염의 예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칼슘, 스트론튬, 바륨, 구리(I), 구리(II), 아연(II), 망간(II) 또는 알루미늄(III)염,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마그네슘, 칼슘,스트론튬 또는 바륨염이다.
유기 아민의 적합한 염이나 적합한 암모늄염은 예컨대 화학식의 양이온들을 함유하는데, 상기식에서 R4, R5, R6및 R7은 서로 독립하여 수소, C1-C6알킬, 예컨대 메틸, 에틸, n-프로필, n-부틸 또는 n-펜틸, 또는 페닐 또는 벤질로서 이들 각각은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C1-C4알킬, 예컨대 메틸 또는 에틸에 의해 치환되거나, C1-C4알콕시, 예컨대 메톡시 또는 에톡시, 할로겐, 예컨대 염소 또는 브롬, 니트로, 아미노, N-C1-C4알킬아미노, 예컨대 N-메틸아미노 또는 N-에틸아미노,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 예컨대 N,N-디-메틸아미노 또는 N,N-디-에틸아미노에 의해 치환된다. 예를 들어 다음의 염을 언급할 수 있다: 테트라메틸암모늄염, 모노-, 디-또는 트리-메틸아민 염 또는 모노-, 디- 또는 트리-에틸아민염, 벤질아민염, 페닐환에서 메틸, 메톡시, 염소 또는 니트로에 의해 일치환된 벤질아민염, 아닐린, 또는 N-메틸아닐린 또는 N,N-디-메틸아닐린의 염.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전이금속 염은 예컨대 라디칼 Ar은 유리산 형태의 카복시 및/또는 설포를 함유하는 화학식 1의 안료와 유기 또는 무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탄산, 염산, 질산 또는 황산의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전이금속 염과의 반응에 의해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수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암모늄 염이나 유기 아민의 염은 예컨대 라디칼 Ar이 유리산 형태의 카복시 및/또는 설포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안료와 대응하는 아민을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반응시켜 수득한다.
화학식 2a의 라디칼에서 및 R2및 R3에서의 카복시는 바람직하게는 유리산의 형태이다.
화학식 2b의 라디칼에서 및 R2및 R3에서의 설포는 바람직하게는 나트륨, 바륨 또는 칼슘 염의 형태, 특히 칼슘 염의 형태이다.
R1은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 특히 메틸이다.
R2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다.
R2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이며, 특히 수소이다.
R3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다.
R3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또는 카바모일이다.
R3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 염소, 메틸, 카복시, 설포, 메톡시카보닐 또는 카바모일이며, 바람직하게는 카복시, 설포 또는 카바모일이며 특히 카복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R1은 메틸이며, R3는 수소, 염소, 메틸, 카복시, 설포 또는 메톡시카보닐, 바람직하게는 카복시, 설포 또는 카바모일 및 특히 카복시이다.
Ar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a, 2b, 2c 또는 2d의 라디칼이다.
Ar은 특히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a, 2b 또는 2d의,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a 또는 2d의, 그리고 특히 화학식 2d의 라디칼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디아조화시키고 화학식 4의 화합물에 커플링시키는,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식에서,
Ar은 상기의 정의 및 바람직한 의미를 갖는다.
화학식 3의 화합물의 디아조화는 예컨대 아질산염을 사용하여, 예컨대 아질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 금속 아질산염을 사용하여, 광산 매질에서, 예컨대 염산 매질에서, 예컨대 -5 내지 4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에서 수행된다.
화학식 4의 커플링 성분과의 커플링은 공지의 방법으로 산성, 중성 내지는 약 알칼리성 pH 값에서, 예컨대 1 내지 10의 pH 값에서, 예컨대 -5 내지 40℃의 온도에서, 바람직하게는 0 내지 30℃의 온도에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새로이 제조한 화학식 3의 디아조화된 화합물의 용액이나 현탁액을 화학식 4의 아세토아세트아닐라이드 커플링 성분의 약산성, 중성 용액 또는 현탁액에 서서히 첨가하고, pH는 중성 범위, 예컨대 4.5 내지 8사이에 유지하고, 수성의 알칼리 수산화물 용액,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다음에 생성되는 안료 현탁액을 반응이 완결될 때까지 교반하고, 생성물을 여과에 의해 분리함으로써 유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
화학식 3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고, 예컨대 문헌(US-A-3 119 808)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수득할 수 있다. 화학식 4의 화합물은 공지되어 있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고분자량 물질을 착색하는 착색제로서 적합하다.
고분자량 물질은 유기 또는 무기이며, 합성 및/또는 천연 물질일 수 있다. 이 물질은 예컨대 천연 수지, 건조 오일, 고무 또는 카제인, 또는 변형된 천연물질, 예컨대 염소화처리된 고무, 기름으로 변형된 알키드 수지, 비스코스, 셀룰로스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예컨대 에틸 셀룰로스,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부티레이트, 셀룰로스 아세토부티레이트 또는 니트로셀룰로스일 수 있으며, 중합반응에 의하여, 예컨대 중축합 또는 중첨가 반응에 의하여 수득할 수 있는 특히 완전한 합성 유기 중합체(열경화성 플라스틱 및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중합체 부류는 예컨대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또한 치환된 폴리올레틴, 예컨대 단량체의 중합반응의 산물인 염화비닐, 아세트산 비닐,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플루오로 중합체, 예컨대 폴리플루오로에틸렌, 폴리트리플루오로클로로에틸렌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혼합된 중합체 뿐만 아니라, 상기 단량체들의 공중합체, 특히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또는 EVA(에틸렌/아세트산 비닐)를 포함한다. 중첨가 또는 중축합수지의 그룹으로부터, 예컨대 페놀과 함께 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 소위 페놀플라스트를, 포름알데하이드 축합물과 우레아 또는 티오우레아를, 그리고 또는 멜라민, 소위 아미노플라스트를, 또한 표면-피복 수지로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를, 포화된, 예컨대 알키드 수지, 또는 불포화된, 예컨대 말레산 수지를, 또한 선형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페닐렌 산화물 또는 실리콘, 및 실리콘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고분자량 화합물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플래스틱 조성물 또는 용융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방사되어 섬유를 형성한다.
이들 화합물들은 단량체의 형태 또는 중합된 형태로 필름 형성제로 또는 표면 피복, 페인트 또는 인쇄 잉크, 예컨대 비등 아마인유, 니트로셀룰로스, 알키드 수지, 멜라민 수지, 우레아-포름알데하이드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를 위한 결합제로서 용해된 형태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고분자량의 유기물질을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로 착색시키는 것은 예컨대 선택적으로 마스터 배취 형태의 안료를 기재에 압연분쇄기, 혼합 또는 미분쇄기를 사용하여 첨가함으로써 수행된다. 다음에, 안료처리된 물질을 공지된 방법에 의해, 예컨대 캘린더 가공, 압축 성형, 압출, 살포피복(spread-coating), 캐스팅 또는 사출성형에 의해 일반적으로 목적하는 최종형태로 한다. 비경질 성형을 생산하거나 취약성을 감소시키기위해 소위 가소제를 고분자량 화합물이 형성되기 전에 이에 투입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가소제로서 예컨대 인산, 프탈산 또는 세바스 산의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가소제는 안료 착색제를 중합체에 투입하기 전이나 후에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투입될 수 있다. 색의 다른 색조를 만들기 위해 고분자량 유기 물질에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를 추가하는 것 이외에, 각각의 경우에 바람직한 양의, 충전재나 특별 효과 안료 뿐만 아니라 백색, 착색된 또는 흑색 안료와 같은 채색을 부여하는 다른 성분들을 첨가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표면 피복 및 인쇄 잉크의 착색을 위하여, 고분자량 유기 물질과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를, 선택적으로 충전재, 다른 안료, 예컨대 TiO2, 건조제 또는 가소제와 같은 첨가제와 함께, 유기 및/또는 수성 용매 또는 용매 혼합물에 일반적으로 얇게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킨다. 개별 성분들이 분산되거나 개별적으로 용해되거나 몇몇을 함께 분산시키거나 용해시킨 후, 다음에 모든 성분들을 결합시키는방법도 가능하다.
안료처리된 고분자량 물질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0.01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고분자량 물질, 특히 유기 고분자량 물질의 착색에 있어서 어떤 형태로든, 예컨대 섬유, 표면 피복 또는 인쇄 잉크의 형태의 플라스틱의 착색제로서의 용도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특히 염화 폴리비닐 및 특히 폴리올레핀, 예컨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그리고 수성 및/또는 용매계 래커, 예컨대 자동차 래커, 또한 분말 피복, 인쇄 잉크 및 페인트의 착색에 적합하다.
예컨대 플라스틱, 섬유, 표면 피복 또는 인쇄에서 생성되는 착색제는 예컨대 짙은 색조(full-shade)나, 백색 첨가로 연해진 상태로 높은 순도의 색조, 높은 착색 강도, 과도한 분무나 전이에 대한 양호한 견뢰도, 그리고 특히 열, 빛 및 날씨에 대한 양호한 견뢰도의 특징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양호한 분산도, 양호한 유동학적 형태 및 수득되는 착색제의 뛰어난 광택의 특징을 추가적으로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의 유리한 특질들은 치환체의 특별한 선택 및 페닐 라디칼 Ar에서의 치환 패턴에 기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또한 색 필터 생산, 특히 400 내지 700 nm 범위의 가시광선, 액정표시(LCD) 또는 전하결합소자(CCD)를 위한 착색제로서 적합하다.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는 단독으로 또는 적합한 적색, 청색 및/또는 녹색 안료와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적색, 청색 및 녹색 안료를 적합한 기재, 예컨대 무정형 실리콘에 연속적으로 사용하여 색 필터를 제조하는 것은 문헌 (GB-A 2182 165)에 기술되어 있다. 색 필터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를 포함하여 잉크, 특히 인쇄 잉크를 사용하여 피복시킬 수 있으며, 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라 모노아조퀴놀론 안료를 화학적, 열적 또는 광분해적으로 조직화가 가능한 고분자량 물질과 혼합함으로써 피복시킬 수 있다. 예컨대 문헌(EP-A 654 711)과 유사하게, 기재 예컨대 LCD에 적용하고 다음에 광구조화 및 개발(development)에 의하여 색 필터를 추가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색 필터의 제조를 기술하는 추가 문헌은 문헌 (US-A-5 624 467)이다.
액정표시(LCD)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색 필터는 종래 알려진 색 필터와 대비하여 500 내지 600 nm 사이에서 개선된 투과차을 나타내며, 따라서 녹색 점들의 높은 투과 특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안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색 필터는 종래 알려진 색 필터와 대비하여 400 nm에서 증가된 흡수력을 가지며, 따라서 유리하게 더욱 노란색의 녹색을 수득한다.
다음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실시예 1:
교반하면서 5℃에서 28 ml의 37% 염산을 120 ml의 아세트산, 200 ml의 물 및 16.68 g의 7-아미노-6-클로로-4-메틸퀴놀린-2-온 (80 mmol)에 적가한다. 다음에, 20 ml (80 mmol)의 4N 아질산 나트륨 수용액을 상기 온도에서 녹백색 현탁액에 적가하고, 90 분간 교반하면 현탁액이 서서히 황금색 용액으로 바뀐다. 찬 용액을 유리 프릿(glass frit)에 여과에 의해 정화하고, 잔여물을 2 X 30 ml의 물로 세척하고, 수집한 여과물을 100 g의 얼음을 포함하는 적하 깔때기로 옮긴다.
16.56 g (80 mmol)의 아세토아세트-2-아니시다이드를 10 ml(100 mmol)의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200 ml의 물에 용해시킨다. 무색 용액을 여과에 의해 정화시키고, 30% 아세트산 수용액으로 격렬하게 교반하여 아니시다이드를 새로 침전시키고, 생성되는 백색 현탁액을 pH 4.5로 조절한다.
얼음의 차가운, 황금색의 디아조늄 염 용액을 30분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아세토아세트-2-아니시다이드 현탁액에 적가하고, 온도를 5 내지 10℃로 조정한다. pH 조절은 3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동시에 첨가함으로써 행한다. 황금색 안료 현탁액을 30분간 5 내지 10℃에서 처음에 교반시키고 나서 90℃로 가열하고, 황색 안료를 뜨거운 상태에서 여과하고 중성이고 염이 제거될때까지 충분한 양의 물로 세척하고 실험실 진공하에서 110℃에서 20시간 동안 건조시킨다. 고분자량 유기물질에서 날씨에 매우 양호한 견뢰도를 갖는 녹황색 착색물을 수득케하는 31.5 g (73.8 mmol)의 화학식 101의 안료를 수득한다.
실시예 2 내지 12:
실시예 1에서 기술된 방법과 유사하게, 16.56 g (80 mmol)의 아세토아세트-2-아니시다이드 대신에 표 1에 표시된 같은 몰량의 아세토아세트아닐리드가 사용된다면, 다음의 화학식의 안료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식에서, Ar은 표 1에서 의미가 부여된다. 안료는 고분자량 유기 물질에서 각 경우에 표시된 색조로 날씨에 매우 양호한 견뢰도를 갖는 착색물을 수득케 한다.
적용 실시예 1: 매스에서 착색에 있어서 플라스틱의 사용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0.6 g의 안료를 67 g의 염화 폴리비닐, 33 g의 디옥틸 프탈레이트, 2 g의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및 2 g의 이산화티탄과 혼합하여 로울러 장치위에서 얇은 필름으로 15분간 160℃에서 가공 처리한다. 수득한 황색의 PVC 필름은 색이 강하고 빛에 견뢰도가 크다.
적용 실시예 2: 알키드-멜라민 스토빙 래커(stoving lacquer)에서의 사용
지름이 8 mm인 동석(steatite) 구의 460 g, 60% 자일렌인 58.7 g의 알키드수지RAlkydal F 310 (바이에르 아게),60% 자일렌인 58.7 g의 알키드 수지RAlkydal F32(바이에르 아게), 1% 자일렌인 2.0 g의RSilikonol A(바이에르 아게), 4.0 g의 n-부탄올, 4.0 g의 도와놀(Dowanol), 15 g의 자일렌, 5.6 g의 분산제RDisperbyk D-160(BYK-케미)로 구성된 알키드 래커, 및 실시예 1에 따라 제조한 28.0 g의 안료의 혼합물을 텀블러 위에서 72 시간 동안 비틀어서 여는 마개를 가진 유리병에 분산시킨다.
90% 자일렌인 24.0 g의 멜라민 성분RCymel 327(시안아미드)를 첨가한 후에 텀블러 위에서 추가 1 시간 동안 분산을 계속한다. 다음에 동석구를 분리한다. 수득하는 색깔이 있는 레이크 페이스트를RMilar(밀라) 투명필름에 바르고 130℃에서 30분간 스토브로 데운다. (래커 층 두께 50㎛). 뛰어난 색채 효과적이고, 유동학적 특질을 갖는 착색물을 수득한다.
적용 실시예 3: 음각/플렉소 인쇄 잉크의 제조
실시예 1로부터 15 g의 안료, 20 g의 니트로셀룰로스 타입 A, 4 g의 디옥틸 프탈레이트, 56 g의 에탄올 및 20 g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20 g의 맑은 래커 및 25 g의 에탄올을 고속 교반기 (15 m/s의 용해기)를 사용하여 30 분간 분산시킨다. 40 g의 상기 기술한 맑은 래커를 다음에 배취에 첨가하고 용해기로 추가 5분간 분산을 수행한다. 분쇄 충전물을 성긴 여과를 하면서 펌프로 비드 밀에 도입하고, 세밀하게 분산시킨다. 음각/플렉소 인쇄 및 옵셋 인쇄에서 상기 인쇄 잉크로 뛰어난 투명도/광택 특질을 수득한다.
적용 실시예 4: 액정 표시(LCD)를 위한 색 필터의 제조
83.3 g의 지르콘 세라믹 구, 실시예 1에 따른 2.8 g의 생성물, 0.28 g의 SolsperseR5000, 4.10 g의 DisperbykR161(분산제, n-부틸 아세테이트/1-메톡시-2-프로필 아세테이트 1:6 내의 안료 친화도를 갖는 그룹들을 함유하는 고분자량 블록공중합체의 30% 용액, BYK 케미) 및 14.62 g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MPA, CAS Reg. No 08-65-6)을 디스퍼매트(Dispermat)를 사용하여 23℃에서 10분간 1000 rev./min으로 교반하고, 180 분간 3000 rev./min으로 교반하다. 4.01 g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결합제 (MPA에서 35% 용액)를 첨가한 후, 상온에서 30 분간 3000 rev./min으로 교반한다. 구들을 분리한 후, MPA의 같은 중량으로 분산물을 희석시킨다. 유리 기재(코닝 형태 1737-F)를 원심래커 피복 장치위에서 분산물을 피복시키고 30초간 1000 rev./min.으로 원심분리시킨다. 열판에서 100℃에서 2분간, 200℃에서 5분간 층을 건조시킨다. 얻어진 층 두께는 0.4㎛이다.
적용 실시예 5: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1.0 g의 안료, 1.09 g의 시판되는 항산화제(RIrganox 1010,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아게) 및 1000 g의 폴리에틸렌 HD미립(RVestolen 60-16, 휼스)의 혼합물을 로울러 벤치위에서 유리병안에 15분간 미리 섞는다. 혼합물을 단일 나사 압출기위에서 2회 통과시켜 압출시키고 나서, 수득한 미립을 사출성형기(Ferromatik Aarburg 200)위에서 200℃에서 5분간, 240℃에서 5분간, 260℃에서 5분간, 280℃에서 5분간, 그리고 300℃에서 5분간 시트로 압축시킨다. 시트는 양호한 저항 특질을 갖는 색이 강한 황색 색조를 나타낸다.
적용 실시예 6:
1000 g의 화학식 102의 안료와 4000 g의 분쇄된 염화나트륨을 헨셀(Henschel) 혼합기에서 3200 rpm으로 1 시간 동안 혼합한다.
적용 실시예 7:
1000 g의 화학식 103의 안료와 4000 g의 분쇄된 염화나트륨을 헨셀 혼합기에서 3200 rpm으로 1 시간 동안 혼합한다.
적용 실시예 8:
1 리터 용량의 실험실 반죽기를 42.0 g의 화학식 103의 안료, 90.0 g의 적용 실시예 6의 혼합물, 1.168 g의 염화나트륨 및 70.0 ml의 디아세톤 알콜로 충전시키고 회전 속도를 100 rpm로 정한다. 반죽기의 벽을 30 ℃로 냉각하여 질량 온도가 40-45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8시간 후에, 탈염수 150 ml를 서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뷔흐너 깔대기에 충전하고 깔대기의 물질을 세척수가 염이 없는 상태가 될때까지 물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15시간 동안 80℃/3.103Pa로 건조시키고 난 후, 0.4 mm의 메시 크기의 체로 거른다.
적용 실시예 9:
적용 실시예 8에 표시된 절차를 반복하지만, 42.0 g의 화학식 103의 안료 대신 210.0 g의 적용 실시예 7의 혼합물을 사용한다.
적용 실시예 10:
78.3 g의 지르콘 세라믹 비즈, 2.52 g의 적용 실시예 8의 생성물, SolsperseR22'000 (아베시아) 0.28 g, SolsperseR24'000 (아베시아) 0.56 g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MPA) 12.65 g을 함유하는 100 ml의 유리 용기에서, 이 성분들을 20℃에서 디스퍼매트로 10분 동안 1000 rpm으로 180 분동안 3000 rpm으로 교반한다. 아크릴 중합체 바인더 (MPA에서 35% 중량의 용액) 5.45 g을 상온에서 첨가한 후 30분 동안 3000 rpm으로 계속 교반한다. 비즈를 분리한 후, 분산물을 동일한 양의 MPA로 희석시킨다. 유리 기재 (코닝 형태 1737-F)를 회전 피복장치에서 이 분산물을 피복하고 30초 동안 1000 rpm으로 회전시킨다. 피복물 건조를 열판위에서 2분 동안 100℃에서, 5분 동안 200℃에서 수행한다.
적용 실시예 11:
적용 실시예 10에서 제시된 절차를 반복하지만, 적용 실시예 8의 생성물 2.52 g 대신, 같은 양의 적용 실시예 9의 생성물을 사용한다.
적용 실시예 12:
화학식 104의 안료 1000 g 및 분쇄된 염화 나트륨 4000 g을 3200 rpm으로 1시간 동안 헨셀 혼합기로 혼합한다.
적용 실시예 13:
1 리터 용량의 실험실 반죽기를 화학식 104의 안료 42.0 g, 적용 실시예 6의 혼합물 90.0 g, 염화나트륨 1.168 g 및 디아세톤 알콜 70.0 ml로 충전시키고 회전 속도를 100 rpm로 정한다. 반죽기의 벽을 30 ℃로 냉각하여 질량 온도가 40-45 ℃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8시간 후에, 150 ml의 탈염수를 서서히 첨가하여, 생성된 혼합물을 뷔흐너 깔대기에 충전하고 깔대기내의 물질을 세척수가 염이 없는 상태가 될때까지 물로 세척한다. 생성물을 15시간 동안 80℃/3.103Pa로 건조시키고 난 후, 0.4 mm의 메시 크기의 체로 거른다.
적용 실시예 14:
적용 실시예 13에서 표시된 절차를 반복하지만, 화학식 104의 안료 42.0 g 대신, 적용 실시예 12의 혼합물 210.0g을 사용한다.
적용 실시예 15:
지르콘 세라믹 비즈 78.3 g, 적용 실시예 12의 생성물 2.52 g, SolspereR22'000 (아베시아) 0.28 g, SolsperseR24'000 (아베시아) 0.56 g 및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MPA) 12.65 g을 담은 100 ml의 유리 용기에서, 이 성분들을 디스퍼매트로 20℃에서 10분 동안 1000 rpm으로 180분 동안 3000 rpm으로 교반한다. 아크릴 중합체 바인더 (MPA에서 35 중량%의 용액) 5.45 g을 상온에서 첨가한 후 30분 동안 3000 rpm으로 계속 교반한다. 비즈를 분리한 후, 분산물을 동일한 양의 MPA로 희석시킨다. 유리 기재 (코닝 형태 1737-F)를 회전 피복장치에서 이 분산물로 피복하고 30초 동안 1000 rpm으로 회전시킨다. 이 피복의 건조를 열판위에서 2분 동안 100℃에서, 그리고 5분 동안 200℃에서 수행한다. 생성된 피복의 두께는 0.284㎛이다.
적용 실시예 16:
적용 실시예 15에서 제시된 절차를 반복하지만, 적용 실시예 13의 생성물 2.52 g 대신에, 동일한 양의 적용 실시예 14의 생성물을 사용한다.
화학식 104

Claims (14)

  1. 토토머 형태의 하나로서 화학식 1에 대응하는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화학식 1
    상기식에서,
    Ar은 화학식 2a, 2b, 2c, 2d, 2e 또는 2f의 라디칼이며,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화학식 2e
    화학식 2f
    R1은 C1-C4알킬이며,
    R2및 R3는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이나 염 형태이며,
    R8및 R9은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콕시,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 또는 염의 형태이며,
    Ar1은 아릴 라디칼이며,
    p는 0,1 또는 2이며,
    r은 0,1 또는 2이며, 여기서 화학식 2f에서의 (R8)r은 r개의 동일하거나 다른라디칼 R8을 의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토토머 형태의 하나로서 화학식 1에 대응하는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화학식 1
    상기식에서,
    Ar은 화학식 2a, 2b, 2c 또는 2d의 라디칼이며,
    화학식 2a
    화학식 2b
    화학식 2c
    화학식 2d
    R1은 C1-C4알킬이며,
    R2및 R3는 서로 독립하여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C1-C4알킬카보닐,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 카바모일, N-C1-C4알킬아미노카보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카보닐; N,N-디-C1-C4알킬아미노카보닐, C1-C4알콕시설포닐, C1-C4알킬설포닐, 설파모일, N-C1-C4알킬아미노설포닐, 비치환되거나 아릴 부분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N-아릴아미노설포닐; 또는 N,N-디-C1-C4알킬아미노설포닐이며, 여기서 카복시와 설포는 유리산이나 염 형태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또는 에틸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메틸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C1-C4알카노일아미노, 비치환되거나 페닐 환에서 할로겐, 니트로, C1-C4알킬 또는 C1-C4알콕시에 의해 치환된 벤조일아미노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가 수소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수소, 할로겐, C1-C4알킬, 카복시, 설포, 시아노, C1-C4알콕시카보닐 또는 카바모일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수소, 염소, 메틸, 카복시, 설포, 메톡시카보닐 또는 카바모일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가 카복시, 설포 또는 카바모일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이며, R3가 수소, 염소, 메틸, 카복시, 설포 또는 메톡시카보닐, 특히 카복시, 설포 또는 카바모일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11. 화학식 3의 화합물을 디아조화하고 이를 화학식 4의 화합물에 커플링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1항에 따른 화학식 1의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제조방법.
    화학식 3
    화학식 4
    상기식에서,
    Ar은 제1항에 정의된 바와 같다.
  12. 고분자량 물질의 착색에 있어서 제1항에 따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용도.
  13. 플라스틱, 표면 피복 또는 인쇄 잉크의 착색제로서 제12항에 따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용도.
  14. 색 필터의 제조를 위한 착색제로서 제1항에 따른 모노아조퀴놀론 안료의 용도.
KR1020037005639A 2000-10-23 2001-10-22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칼라 필터의 제조방법 KR100812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2070/00 2000-10-23
CH20702000 2000-10-23
PCT/EP2001/012178 WO2002034839A1 (en) 2000-10-23 2001-10-22 Monoazoquinolone pigment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445A true KR20030048445A (ko) 2003-06-19
KR100812681B1 KR100812681B1 (ko) 2008-03-27

Family

ID=456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5639A KR100812681B1 (ko) 2000-10-23 2001-10-22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칼라 필터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756487B2 (ko)
EP (1) EP1328587B1 (ko)
JP (1) JP4204314B2 (ko)
KR (1) KR100812681B1 (ko)
CN (1) CN1262606C (ko)
AT (1) ATE506416T1 (ko)
AU (1) AU2002219049A1 (ko)
BR (1) BR0114825A (ko)
CA (1) CA2426288A1 (ko)
DE (1) DE60144484D1 (ko)
MX (1) MXPA03003540A (ko)
WO (1) WO20020348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2957A (ja) * 2001-04-27 2003-01-15 Canon Inc ポリヒドロキシアルカノエートからなるマイクロカプセル化顔料含有カラーフィルタ用着色組成物
RU2316223C2 (ru) * 2001-05-04 2008-02-10 Баркон Ньютрасайнс (Мб) Корп. Производство белкового изолята из семян масличных культур
CN100335564C (zh) * 2001-10-19 2007-09-05 西巴特殊化学品控股有限公司 可用于滤色片和lcd的绿颜料组合物的制备方法
US20060219134A1 (en) * 2003-03-25 2006-10-05 Johannes Benkhoff Monoazoquinolone pigment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KR20060028412A (ko) * 2003-06-13 2006-03-29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스 홀딩 인크. 비스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7105732B1 (en) * 2005-03-24 2006-09-12 Wu-Hong Hsieh Musical instrument stand with a self-locking neck lock assembly
JP4913806B2 (ja) 2005-07-01 2012-04-11 バーコン ニュートラサイエンス (エムビー) コーポレイション キャノーラタンパク質の生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54293A (en) 1952-12-23 1956-07-10 American Cyanamid Co Azo dyes from 6-aminocarbostyrils
US3137685A (en) * 1960-11-14 1964-06-16 Ici Ltd Aceto-acetarylide azo quinoline coloring compounds
US3119808A (en) * 1960-11-14 1964-01-28 Ici Ltd 7-(monoacetoacet monoarylide)-azo-4-methyl-2-hydroxy-quinoline coloring matters
CH611642A5 (ko) * 1976-11-09 1979-06-15 Ciba Geigy A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3003540A (es) 2003-07-14
KR100812681B1 (ko) 2008-03-27
CA2426288A1 (en) 2002-05-02
US20040034204A1 (en) 2004-02-19
JP2004512415A (ja) 2004-04-22
CN1262606C (zh) 2006-07-05
EP1328587B1 (en) 2011-04-20
AU2002219049A1 (en) 2002-05-06
DE60144484D1 (de) 2011-06-01
WO2002034839A1 (en) 2002-05-02
CN1471561A (zh) 2004-01-28
US6756487B2 (en) 2004-06-29
BR0114825A (pt) 2004-02-03
JP4204314B2 (ja) 2009-01-07
ATE506416T1 (de) 2011-05-15
EP1328587A1 (en)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359B1 (ko) 레올로지 향상제 및 레올로지가 향상된 안료 조성물
HU188164B (en) Process for colouring thermoplastic and thermosetting polymers, modificated natural resines and linseed oil varnish, and process for producing new 1,4-diketo-pyrrolo /3,4 c/ pyrroles
KR20030019954A (ko) 안료성 구리 프탈로시아닌 고용체 및 이를 함유하는투명한 분산물
KR20030064819A (ko) 레올로지 향상제 및 레올로지가 향상된 안료 조성물
KR100812681B1 (ko)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칼라 필터의 제조방법
US5871575A (en) Crystal modification of a diketopyrrolopyrrole pigment
US5672716A (en) Yellow diketopyrrolopyrrole pigments
KR20050123115A (ko) 모노아조퀴놀론 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US7026459B2 (en) Azo dyes
CA1236093A (en) Process for producing azo pigments
US6913640B2 (en) Single-phase mixed crystals of laked monoazo dyes
US20070167616A1 (en) Salts of laked monoazo compounds
US20070066724A1 (en) Bisazoquinolone pigments, processes for their preparation and their use
WO2003080735A1 (en) Anthraquinone dyes
KR20040066848A (ko) 신규한 형광성 안료
US20070226920A1 (en) Salts of Laked Monoazo Compounds
DE3311375A1 (de) Isoindolinfarbstoffe und deren verwendung
JPS62165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