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8420A -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8420A
KR20030048420A KR10-2003-7004658A KR20037004658A KR20030048420A KR 20030048420 A KR20030048420 A KR 20030048420A KR 20037004658 A KR20037004658 A KR 20037004658A KR 20030048420 A KR20030048420 A KR 20030048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ream
audio
output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790B1 (ko
Inventor
이토마사노리
시모타시로마사후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8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8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7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5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 [HAVI]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 H04N5/926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by pulse code modulation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1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of read-only, rewritable, or recordable type
    • G11B2220/215Recordable discs
    • G11B2220/216Rewritable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09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that an appliance service is present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6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04N9/806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with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using time division multiplex of the PCM audio and PCM video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20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 H04N9/8227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colour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t least another televis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기록된 그대로의 동작 화면 파일, 정지 화면 파일 및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 결과 등,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본체의 표시장치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기록 재생장치의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디지털 TV에 접속하는 경우는, 합성 처리부(117)로부터의 합성신호를 인코더(103)로 MPEG-TS 인코드한 후에, 1394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출력한다. 한편,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별도의 편집장치나 기록장치에 접속하는 경우는, 재생부(116)로부터의 기록신호를 1394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그대로 출력한다.

Description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AUDIO/VIDEO DATA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AND AUDIO/VIDEO DATA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동작 화면이나 정지 화면을 압축하여 광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가 있다. 동작 화면은 ISO/IEC 13818-1로 규정된 MPEG2(system) 압축에 의해 MPEG 시스템 스트림으로 이루어지는 MPEG 파일로서 기록되고, 정지 화면은 JPEG 압축후에 JPEG 파일로서 기록된다. MPEG 파일내의 영상신호는 ISO/IEC 13818-3으로 규정된 MPEG2(Video) 규격에 의해 압축되며, 음성신호는 MPEG1-레이어2 압축, MEPG2-AAC(Advanced Audio Cording), 또는 AC3 압축 등이 실시되고, MPEG 시스템 스트림내에 배치된다.
도 2는 종래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일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사용자는 전환 조작에 의해, 영상 신호 입력부(100) 및 음성신호입력부(101)로부터 입력한 동작 화면을 기록하는 것도 가능하고, 1394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 입력한 트랜스포트 스트림도 기록할 수 있다. 동작 화면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기록시는 영상 신호 입력부(100) 및 음성 신호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각각 영상 압축부(104) 및 음성 압축부(105)에서 압축하고, 다음에 트랜스포트 스트림 조립부(106)에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작성하여, 기록부(107) 및 픽업(141)을 경유하여 상변화 광 디스크(140)에 기록한다. 한편, 영상신호 입력부(100)로부터 입력하는 정지 화면의 영상신호는 정지 화면 압축부(108), 기록부(107), 픽업(141)을 경유하여 상변화 광 디스크(140)에 기입된다. 또한, 이상의 제어를 기록 제어부(230)가 담당한다. 또한, 기록되는 MPEG 파일 및 JPEG 파일은 UDF(universal disk format) 파일 시스템에 의해 파일 관리된다. 또한, 1394 인터페이스부(121)로부터의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MPEG-TS) 기록이 지시된 경우, 1394 기록 제어부(133)는 1394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부(107) 및 픽업(141)을 통해 상변화 광 디스크(140)에 기록한다.
동작 화면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의 재생시는 픽업(141), 재생부(116)를 경유해 인출해낸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 분해부(114)에서 영상 패킷과 음성 패킷으로 분리한다. 영상 패킷은 영상 신장부(112)에서 영상신호로 복원되고, 또한 합성 처리부(117)에서(정지 화면에 대한 동시 재생의 지시가 있으면) 정지 화면의 영상신호와 합성되어 영상 표시부(110)로 출력된다. 또한, 음성 패킷은 음성 신장부(113)에서 음성신호로 복원되어, 음성 출력부(111)로 출력된다. 한편, 정지 화면의 영상신호의 재생시는 픽업(141), 재생부(l16)를 경유해 인출한 JPEG 파일을, 정지 화면 신장부(118)를 통해, 또한 합성 처리부(117)에서(동작 화면에 대한 동시 재생의 지시가 있으면) 동작 화면의 영상신호와 합성하여 영상 표시부(110)로 출력한다. 합성 처리부(117)는 MPEG 파일의 영상신호와 JPEG 파일의 영상신호를 중첩하여 합성한다. 또한, 어느쪽 한쪽밖에 재생 지시되지 않은 경우는, 합성처리는 행하지 않고 그중 한쪽만이 출력된다. 이상의 제어를 재생 제어부(231)가 담당한다. 또한, 기록기용 재생 제어부(232)는 재생 제어부(231)의 기능에 추가하여, 출력 타이밍 생성부(120) 및 1394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한, 출력 타이밍 생성부(120)는 T-STD(트랜스포트 스트림 타겟 디코더)의 버퍼 점유량을 계산하여, 개개의 트랜스포트 패킷의 송신 타이밍을 산출한다.
또, 재생 제어부(231) 및 기록기용 재생 제어부(232)는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을 임의의 타이밍과 사이즈로 동일 화면내에 중첩하여 표시시킬 수 있다. 설정내용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로 규격화 진전중인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언어로 기술된 텍스트 파일 형식으로 상변화 광 디스크(140) 상에 보존된다.
또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22)는 영상 표시부(l10) 및 음성 출력부(111)에 각각 영상 및 음성이 출력되는 경우에, 아날로그 영상 및 아날로그 음성을 외부 기기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250)와 디지털TV(300)의 접속형태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디지털 TV(300)는 CRT(Cathode Ray Tube)(301), STB(Set Top Box)(302) 및 AV-HDD(음성/영상용도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303)로 구성된다.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250)와, STB(302)와, AV-HDD(303)는 IEEE 1394 네트워크(306)를 통해 상호 접속되어 있다. STB(302)는 방송전파 및 IEEE 1394 네트워크(304)로부터 수신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코드하여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출력한다. CRT(301)는 STB(302)가 출력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표시한다. AV-HDD(303)는 IEEE 1394 네트워크(306)로부터 수신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거나, 반대로 IEEE 1394 네트워크(306)에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송신한다.
종래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250)는 기록된 동작 화면을 시청할 때는 아날로그 출력 케이블(304)로 CRT(301)에 접속되었다. 또한, STB(302)가 출력하는 동작 화면신호를 기록할 때는 아날로그 입력 케이블(305)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205)에 접속하고, 그 내부에서 영상신호 입력부 및 음성신호 입력부에 접속되었다. 또한, 기록된 동작 화면 파일을 디지털 인터페이스 경유로 AV-HDD(303)에 접속할 때는, 1394 케이블로 IEEE 1394 네트워크(306)에 접속했다.
종래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250)에 있어서, IEEE 1394 출력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출력은 동작 화면 파일 단독의 기록내용에 한정되고,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결과나 정지 화면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가 구비하는 영상 표시부(110)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부(122) 경유로 시청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결과나 정지 화면의 기록 내용을 디지털 TV(300)로 시청할 때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통해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250)와 디지털 TV(300)를 접속하고, 화상 편집 등의 목적을 위해 디지털 TV(300)에 내장된 AV-HDD(303)나 퍼스널 컴퓨터에의 기록내용을 전송할 때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해 접속할 필요가 있어, 매우 사용하기 어려웠다.
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때는 HAVi(Home Audio Video interoperability)나 Jini 등의 분산 네트워크 기술을 이용하여, 디지털 TV(300)는 1394 네트워크(306)에 접속된 음성/영상기기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때는 사용자가 입력처의 전환 등을 매뉴얼 조작으로 행할 수 밖에 없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록된 그대로의 동작 화면 파일, 정지 화면 파일 및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결과 등,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본체의 표시장치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동시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목적별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와 다른 음성/영상기기 간(예를 들면, 디지털 TV)의 접속형태를 대신할 필요가 없는, 알기 쉬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는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부와,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추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부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기록부와, 압축 데이터 출력부에서의 압축 데이터와 재생신호 출력부에서의 재생신호를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압축 데이터 출력부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 기기에 출력하고, 재생신호 출력부는 디지털 비디오(DV)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생신호 출력부를 용이하게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는,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압축 데이터 출력부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 기기로 출력하며, 재생신호 출력부는 프레임내 예측 부호화 화상(I 픽쳐)만으로 구성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재생신호 출력부의 소비전력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는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부와,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신호를 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부와, 압축 데이터 출력부에서의 출력과 재생신호 출력부에서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부와,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어내는 독출부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부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부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에 출력 가능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음성/영상신호 재생시는 독출부, 전송부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독출부, 전송부, 신장 합성부, 압축부, 전송부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고, 음성/영상신호 기록시는 압축부, 전송부 및 기록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는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부와,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어내는 독출부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부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부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로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독출부, 전송부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독출부, 전송부, 신장 합성부, 압축부, 전송부 및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은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와,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신호를 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단계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단계와, 압축 데이터 출력 단계의 출력과 재생신호 출력단계에서의 출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에 있어서,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압축 데이터 출력 단계에 있어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에 출력하고, 재생신호 출력단계에서, 디지털 비디오(DV)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기기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에 있어서,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에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에 출력하고, 재생신호 출력단계에서, 프레임내 예측 부호화 화상(I픽쳐)만으로 구성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1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방법은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와,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단계와,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의 출력과 재생신호 출력단계의 출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어내는 독출단계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단계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단계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단계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고, 음성/영상신호 재생시는 독출단계, 전송단계 및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독출단계, 전송단계, 신장 합성단계, 압축단계, 전송단계, 및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고, 음성/영상 신호기록시는 압축단계, 전송단계, 및 기록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2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방법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단계와,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C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읽어내는 독출단계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단계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단계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독출단계, 전송단계, 및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독출단계, 전송단계, 신장 합성단계, 압축단계, 전송단계,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3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는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정지 화면 신호를 생성하고,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의 압축 처리를 실시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정지 화면 신호의 화소수에 따라,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영상의 화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제 3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방법은,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정지 화면 신호를 생성하고,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의 압축 처리를 실시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로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정지 화면 신호의 화소수에 따라,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영상의 화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정지 화면을 고화질로 표시 가능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기록된 그대로의 동작 화면 파일, 정지 화면 파일, 및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결과 등,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본체의 표시장치로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에서 외부로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음성 및 동작 화면이나 정지 화면 등의 영상을 압축하여 광 디스크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 기록된 음성이나 영상 데이터를 신장하여 재생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일 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일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도 3은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와 디지털 TV와의 접속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관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일구성예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형태와 도 2에 도시하는 종래예의 차이는 스위치(SW)(102)가 추가되어 있는 점과, 기록 제어부(130), 재생 제어부(131), 기록기용 재생 제어부(132)의 기능이 도 2의 그들과 다른 점에 있다. 그 밖의 각 기능부는 종래예에서 설명한 기능과 동일하고, 이하, 상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사용자가 영상신호 입력부(100) 및 음성신호 입력부(101)로부터 입력하는 신호를 기록할 때, 기록 제어부(130)는 SW(102)의 접속을 영상 입력측 및 음성 입력측으로 하여, 각각 영상 압축부(104) 및 음성 압축부(105),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조립부(106), 기록부(107) 및 픽업(141)을 통해 상변화 광 디스크(140)에 MPEG 파일로서 기록시킨다.
사용자가 상변화 광 디스크(140)에 기록된 MPEG 파일을 영상 표시부(110)에서 재생하여 시청함과 동시에, 디지털 인터페이스 경유로 디지털 TV에 접속하여 시청하는 조작을 한 경우, 재생 제어부(131)는 MPEG 파일을 픽업(141) 및 재생부(116)를 통해 읽어내고, 트랜스포트 스트림 분해부(114)에 의해 영상 패킷과 음성 패킷으로 분리하며, 또한 각각 영상 신장부(112) 및 음성 신장부(113)에 의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재생시킨다. 단, 영상신호는 합성 처리부(l17)에 있어서, 재생 제어부(131)로부터의 지시가 있으면, 다른 영상신호가 합성되고, 영상 표시부(110)에 표시된다. 또한 동시에, 재생 제어부(131)는 SW(102)의 접속을 합성 처리부(117)측 및 음성 신장부(113)측으로 하고, 재생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각각 영상 압축부(104) 및 음성 압축부(105)를 통해, 또한 트랜스포트 스트림 조립부(106)에 의해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고, 1394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출력시킨다.
한편, 사용자가, 기록된 MPEG 파일을 영상 표시부(110)에서 재생함과 동시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도 3에 도시한 AV-HDD(303)에 접속하여 더빙하는 조작을 행한 경우, 재생 제어부(131)는 픽업(141)과 재생부(116)를 통해 읽어낸 MPEG 파일내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 타이밍 생성부(120) 및 1394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출력시킨다.
이상과 같이, 사용자는 기록한 그대로의 오리지널 MPEG 파일을 편집 목적 등으로 AV-HDD 등에 저장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JPEG 파일을 디지털 TV로 보는 경우나, MPEG 파일과 JPEG 파일을 중첩하여 재생하도록 동작시킨 동작 화면을 디지털 TV로 시청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1394 케이블을 사용해 접속한 채로 표시할 수 있어,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접속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1394 인터페이스가 현저하게 사용하기 쉽게 되고, 기능적으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완전히 대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오리지널 영상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화질의 열화없이 전송할 수 있는 점에서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능가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합성 처리부(117)는 정지 화면만을 합성하는 것으로 했는데, 기록 일시, 프레임 카운터,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 등을 OSD(On Screen Display)의 형태로 문자나 숫자 등을 합성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 음성 신장부(113)의 출력이 되는 음성신호에는 아무것도 합성하지 않은 것으로 했는데, 별도의 음성신호를 합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상변화 광 디스크(140)상에 기록된 음성 파일을 별도로 읽어내 음성신호까지 신장한 후에 합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합성된 음성신호가 영상 압축부(104), 음성 압축부(105) 및 트랜스포트 스트림 조립부(106)로 이루어지는 인코더(103)에 의해압축되고, 1394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 음성 신호의 합성에 의해, MPEG 파일의 음성과 음성 파일의 음성으로 구성되는 2 트랙분의 음성신호를 1트랙으로 떨어뜨리고, 1트랙분의 재생능력밖에 가지지 않은 디지털 TV라도, 2 트랙분의 음성신호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억 매체는 광 디스크(상변화 광 디스크(140))인 것으로 했는데, 예를 들면 DVD-RAM, MO(광자기 디스크), DVD-R, DVD-RW, DVD+ RW, CD-R, CD-RW 등의 광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디스크 형상을 가지는 기억 매체이면 무엇이든지 된다.
마찬가지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입 헤드는 픽업으로 하고 있는데, MO인 경우는 픽업 및 자기 헤드로 되고, 또한 하드 디스크의 경우는 자기 헤드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파일은 UDF 파일 시스템으로 관리했는데, FAT(file allocation table)나 그 밖의 독자 파일 시스템으로 관리되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상신호 입력부(100) 및 음성신호 입력부(101)로부터의 신호를 압축하는 인코더와, 합성 처리부(117) 및 음성 신장부(113)의 신호를 압축하는 인코더는 동일(인코더(103))한 것으로 했는데, 각각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상신호 입력부(100) 및 음성신호 입력부(101)로부터의 신호를 압축하는 인코더와, 합성 처리부(117) 및 음성 신장부(113)의 신호를 압축하는 인코더는 동일(인코더(103))하고, 또한, 어느 쪽이나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것으로 했는데, 각각의 인코더로서, 또한 합성 처리부(117)의 신호를 압축하는 인코더는 일반 시민용 디지털 VTR에 이용되는 DV(Digital Video) 인코더이고, DV 압축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DV 스트림을 1394 인터페이스부(121)를 통해 외부 출력해도 된다. 1394 인터페이스에서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이외에 DV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단, 이 경우, 디지털 TV가 DV 스트림의 재생에 대응하는 것이 전제로 된다. 또한, 이 때, (MPEG) 인코더(103)와 (MPEG) 디코더(115)는 코덱이어도 된다. 이에 따라, MPEG 인코더와 MPEG 디코더의 동시 동작이 불필요하게 되어, 보다 용이하게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합성 처리부(117) 및 음성 신장부(113)의 신호는 인코더(103) 및 1394 인터페이스(12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되는 것으로 했는데, 동시에, 기록부(107) 및 픽업(141)을 통해 상변화 광 디스크(140)에 기록되어도 된다. 단, 이 경우, 재생처리와 기록처리를 동시에 실시하게 되므로, 판독속도, 기입속도, 기록부(107)의 버퍼 메모리 용량, 재생부(116)의 버퍼 메모리 용량 및 액세스 시간 등을 베이스로 한 장치구성의 고려가 필요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상 재생시에, 기록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후, 다시 압축하는 경우의 영상 압축부(104)의 압축후의 MPEG의 픽쳐 구조에 대해서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지만, 압축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1394 인터페이스에 출력하는 경우는, B 픽쳐(양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 Bidirectionally-coded picture)의 리오더링에 기인하는 지연시간을 줄이기 위해, B 픽쳐가 들어가지 않도록 압축해도 된다. 또한, 이에 따라, 압축후의 전송 레이트를 높아지도록 해도 된다. 또한, 영상 재생시의 MPEG 인코더의 소비전력을 낮추기 위해, P 픽쳐(전방향 예측 부호화 화상 : Predictive-coded picture) 및 B 픽쳐가 들어가지 않도록 해도 된다. I 픽쳐(프레임내 예측 부호화 화상: Intra-coded picture)만으로 구성하면 DV 인코더와 동등한 소비전력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새롭게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출력되는 음성/영상신호는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결과 및 정지 화면 파일인 것으로 했는데, 상변화 광 디스크에 기록된 MPEG 파일의 특수 재생영상(빨리감기, 빨이되감기, 슬로우, 역 슬로우, 죠그 재생, 역 죠그 재생, 줌 재생), JPEG 파일의 멀티 화면 재생 영상, MPEG 파일이나 JPEG 파일에 특수 재생효과(세피아 필터나 트랜지션(transition) 필터 등)를 추가한 영상 및 버튼이나 풀 다운 메뉴 등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의 영상도 출력할 수 있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단, 이 경우, 디코더(115)나 정지 화면 신장부(118)가 이들 기능을 가져야 하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영상신호 입력부(100) 및 음성신호 입력부(101)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부의 카메라이어도 되고, 튜너 혹은 아날로그 외부 입력 인터페이스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록된 정지 화면 파일의 화소수가 예를 들면 1280(가로) × 960(세로) 화소인 경우, MPEG2의 MP@ML(메인 프로파일·메인 레벨)로 압축하는 것으로 했는데, 1920× l080화소의 MP@HL(메인 프로파일·하이 레벨)의 프로그레시브 영상으로 압축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정지 화면을 고화질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단 이 경우, 영상의 에스팩트 조정이나 주밍(zooming)이 필요해지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서, 1920× 1080 화소는 일본의 BS 디지털 방송의 화소수이다.
또한, 정지 화면 파일을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 변환하는 경우는 I픽쳐 l매만 출력하고, 동작 화면 파일과 같이 프레임 주기로 P픽쳐나 B픽쳐를 생성할 필요는 없다. 즉,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영상 스트림이 시퀀스 스타트 코드, I 픽쳐, 시퀀스 엔드 코드로만 구성되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인코더(103)와 디코더(115)는 각각 독립해 있지만,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면 일체로 되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된 그대로의 동작 화면 파일, 정지 화면 파일 및 동작 화면 파일과 정지 화면 파일의 합성결과 등,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장치 본체의 표시장치로 표시하는 모든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동시에, 사용자가 목적별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와 다른 음성/영상기기 간(예를 들면, 디지털 TV)의 접속형태를 대신할 필요가 없는, 알기 쉬운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TV 측에서는 디지털 인터페이스에 추가하여 HAVi나 Jini 등의 프로토콜(protocol)을 사용하면, 접속된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의 자동인식이 가능해진다. 이로부터, 예를 들면 영화 촬영후, 디지털 TV에 접속하여 시청하는 경우에, 이 자동 인식의 기능에 의해, 아날로그 인터페이스를 훨씬 능가하는 사용의 용이함을 항상 체감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4)

  1.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부;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기록부; 및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부에서의 출력과 상기 재생신호 출력부에서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부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 기기에 출력하고,
    상기 재생신호 출력부는 디지털 비디오(DV)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부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로 출력하고,
    상기 재생신호 출력부는 프레임내 예측 부호화 화상(I 픽쳐)만으로 구성되는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4.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부;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신호를 추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부; 및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부에서의 출력과 상기 재생신호 출력부에서의 출력을 전환하는 전환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5.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부;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독출하는 독출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에 출력할 수 있는 디지털 인터페이스부; 및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부를 구비하고,
    음성/영상신호 재생시는 상기 독출부, 상기 전송부 및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상기 독출부, 상기 전송부, 상기 신장 합성부, 상기 압축부, 상기 전송부 및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고, 음성/영상신호 기록시는 상기 압축부, 상기 전송부 및 상기 기록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6.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부;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독출하는 독출부;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부;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부; 및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 기기에 출력 가능한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독출부, 상기 전송부 및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상기 독출부, 상기 전송부, 상기 신장 합성부, 상기 압축부, 상기 전송부 및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7.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재생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신호를 가한 합성신호에 대해, 압축 처리를 가한 후에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단계;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의 출력과 상기 재생신호 출력단계의 출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에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 기기에 출력하고,
    상기 재생신호 출력단계에서, 디지털 비디오(DV)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고,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단계에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외부기기에 출력하고,
    상기 재생신호 출력단계에서, 프레임내 예측 부호화 화상(I 픽쳐)만으로 구성되는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 압축 처리를 가한 후에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
  10. 기록된 압축 데이터를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출력하는 압축 데이터 출력단계;
    상기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가한 합성 신호에 대해, 압축처리를 가한 후에 상기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단계; 및
    상기 압축 데이터 출력 단계의 출력과 상기 재생신호 출력단계의 출력을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방법.
  11.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단계;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독출하는 독출단계;
    음성/영상 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단계;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 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단계;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단계; 및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하는 기록단계를 포함하고,
    음성/영상신호 재생시는 상기 독출단계, 상기 전송단계 및 상기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상기 독출단계, 상기 전송단계, 상기 신장 합성단계, 상기 압축단계, 상기 전송단계 및 상기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고, 음성/영상신호 기록시는 상기 압축단계,상기 전송단계 및 상기 기록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기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방법.
  12.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전송하는 전송단계;
    기록매체에 기록된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독출하는 독출단계;
    음성/영상신호를 압축하여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생성하는 압축단계;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신장하여 음성/영상신호를 생성하고, 또한 다른 음성/영상신호를 합성하는 신장 합성단계; 및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출력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독출단계, 상기 전송단계, 및 상기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 상기 독출단계, 상기 전송단계, 상기 신장 합성단계, 상기 압축단계, 상기 전송단계, 상기 출력단계를 거쳐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출력할지를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방법.
  13.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정지 화면 신호를 생성하고,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의 압축처리를 실시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정지 화면 신호의 화소수에 따라, 상기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영상의 화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장치.
  14. 기록된 압축 데이터로부터 정지 화면 신호를 생성하고,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에의 압축처리를 실시한 후에, 디지털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기기에 출력하는 재생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 화면 신호의 화소수에 따라, 상기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구성하는 영상의 화소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영상 데이터 재생방법.
KR10-2003-7004658A 2000-10-12 2001-10-1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KR100507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11583 2000-10-12
JPJP-P-2000-00311583 2000-10-12
PCT/JP2001/008958 WO2002032130A1 (fr) 2000-10-12 2001-10-11 Dispositif d'enregistrement/lecture de donnees audio-video et procede associe, et dispositif de lecture de donnees audio-video et procede associ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8420A true KR20030048420A (ko) 2003-06-19
KR100507790B1 KR100507790B1 (ko) 2005-08-17

Family

ID=18791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658A KR100507790B1 (ko) 2000-10-12 2001-10-11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77337B2 (ko)
EP (1) EP1339233B1 (ko)
JP (1) JP4001814B2 (ko)
KR (1) KR100507790B1 (ko)
CN (1) CN100336388C (ko)
WO (1) WO200203213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2595B (zh) * 2008-08-29 2011-09-07 索尼株式会社 电子装置、改变运动图像数据区间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0261B2 (ja) * 2000-10-26 2007-09-2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映像再生装置及びその方法
US8811429B2 (en) * 2002-02-19 2014-08-19 Brocade Communications Systems, Inc. Batching and compression for IP transmission
CN1331343C (zh) * 2004-09-21 2007-08-08 深圳国微技术有限公司 数字电视机ci接口到ieee-1394接口的转换设备及其转换方法
JP2007281727A (ja) * 2006-04-04 2007-10-25 Canon Inc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
US8788076B2 (en) 2007-03-16 2014-07-22 Savant Systems, Llc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for programmable multimedia controller
JP5063280B2 (ja) 2007-09-28 2012-10-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ファイル転送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サーバ
JP2011142405A (ja) * 2010-01-05 2011-07-21 Buffalo Inc 可搬型録画再生装置
KR101376066B1 (ko) 2010-02-18 2014-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표시 시스템 및 그 표시 방법
CN117294934A (zh) * 2010-09-13 2023-12-26 康道尔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配置用于远程图像采集控制和观看的便携式数字视频摄像机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7860A (en) * 1990-06-01 1991-09-10 Gary Rogalski Wireless audio and video signal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 apparatus
RU2153234C2 (ru) * 1992-12-09 2000-07-20 Дискавери Коммьюникейшнз, Инк.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головной станции системы кабельн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ограмм абонентам в системе кабельного телевидения
EP0604154B1 (en) * 1992-12-24 2000-02-09 Victor Company Of Japan, Ltd. Video signal emphasis and deemphasis method
EP0662688B1 (en) * 1994-01-07 2001-05-09 Quantel Limited A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US5541638A (en) * 1994-06-28 1996-07-30 At&T Corp. User programmable entertainment method and apparatus
JP4130965B2 (ja) * 1995-10-30 2008-08-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6101276A (en) * 1996-06-21 2000-08-08 Compaq Compute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wo pass quality video compression through pipelining and buffer management
JP3389807B2 (ja) * 1997-02-17 2003-03-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音声記録再生装置
JPH10285532A (ja) * 1997-04-01 1998-10-23 Canon Inc 動画像編集装置、動画像編集方法及び記録媒体
JPH11353790A (ja) * 1998-06-08 1999-12-24 Yamaha Corp ディジタルビデオ信号送信装置及び受信装置
JP2000059731A (ja) * 1998-08-07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編集装置
CN1199447C (zh) * 1999-06-07 2005-04-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记录和再现装置、mpeg图象流记录和再现装置
US6782193B1 (en) * 1999-09-20 2004-08-2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c recording apparatus, optical disc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 method that are all suitable for seamless reproduction
JP4170545B2 (ja) 1999-12-09 2008-10-22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システムおよびこのシステムで用いられる端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62595B (zh) * 2008-08-29 2011-09-07 索尼株式会社 电子装置、改变运动图像数据区间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339233A4 (en) 2005-12-14
JPWO2002032130A1 (ja) 2004-02-26
WO2002032130A1 (fr) 2002-04-18
US20030170009A1 (en) 2003-09-11
KR100507790B1 (ko) 2005-08-17
JP4001814B2 (ja) 2007-10-31
CN1470128A (zh) 2004-01-21
EP1339233B1 (en) 2016-04-27
EP1339233A1 (en) 2003-08-27
CN100336388C (zh) 2007-09-05
US7577337B2 (en)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02970B2 (ja) Dvd情報伝送装置及びその方法
US7266288B2 (en) Video/audio playback apparatus and video/audio playback method
JP4536653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20060088303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동영상 저장/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42448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이 수용가능한 데이터 포맷의 고밀도 광 기록매체와, 그에 따른 재생장치
US20060257103A1 (en) Digital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0507790B1 (ko) 음성/영상 데이터 기록 재생장치 및 방법과, 음성/영상데이터 재생장치 및 방법
JP2003111023A (ja) 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記録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媒体
US7668441B2 (en) Imag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capable of re-compressing and re-recording recorded data and a method thereof
JP2008278237A (ja) 映像再生装置、映像再生方法および映像再生プログラム
KR20060084062A (ko) 원본의 일부를 복사할 수 있는 복합영상기기 및 원본의일부 복사방법
US7558471B2 (en) Video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and video output apparatus and method
JP2001145061A (ja) 記録装置及び符号化装置
KR100681647B1 (ko) Pvr의 편집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3624935B2 (ja) デジタル映像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5322977A (ja) カメラ一体型記録再生装置
KR10068613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캡처된 이미지 편집 및 저장 방법
JP2005012270A (ja) 録画装置
JP2003018615A (ja) ビデオ装置及びビデオ装置向け方法ならびにビデオレコーダ
JP2004120035A (ja) 映像記録再生装置
JP2002142196A (ja)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JP2006041838A (ja) 映像記録再生装置及びテレビ受信機
KR20080093640A (ko) Pip 동영상 데이터 기록 장치 및 방법
KR20070010897A (ko) 예약 녹화시 화질모드 설정 방법
JP2000197009A (ja) デジタル映像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映像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