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786A -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 Google Patents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786A
KR20030047786A KR1020020077177A KR20020077177A KR20030047786A KR 20030047786 A KR20030047786 A KR 20030047786A KR 1020020077177 A KR1020020077177 A KR 1020020077177A KR 20020077177 A KR20020077177 A KR 20020077177A KR 20030047786 A KR20030047786 A KR 20030047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tter
course
linking
nose
sat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7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찌나오마사
모리료스케
와다타까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단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단
Publication of KR20030047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86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7/00Linking machines, e.g. for joining knitt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편지(編地)에 편성되어진 사뜨기코에의 포인트바늘의 꿰뚫기 작업을 자동적으로 신속 또한 정확하게 행하고, 편지를 강고하게 링킹할 수 있는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를 얻는다. 본 발명에 관한 링킹방법은, 링킹하는 편지끼리 대향시키는 스텝,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스텝, 편지를 웰방향으로 신장하는 스텝, 신장된 편지의 사뜨기코를 촬상(撮像)하는 스텝, 다계조화상(多階調畵像)으로부터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는 스텝,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하는 스텝, 포인트바늘을 이용하여 봉제된 사뜨기코 이외의 사뜨기코에 사떠 꿰매기을 행하는 스텝을 가진다.

Description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LINKING METHOD AND LINKING APPARATUS}
이 발명은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에 관하고, 특히 예컨대, 신속 또한 정확하게 편지를 링킹할 수 있는,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에 관한다.
종래로부터, 니트제품의 소재가 되는 편지에는, 뜨개코를 사떠 꿰맬 때에 제품이 기정(旣定)한 사이즈, 형태에 정확하게 사떠 꿰매 지도록, 다른 뜨개코보다 크게 편성되어진 뜨개코(이하 단순하게 사뜨기코라 칭한다)로부터 되어진 루즈코스가 편성 되어있다 그리고, 링킹장치에 편지를 세트할 때에는, 작업자가 편지를 손으로 팽팽하게 당겨서 넓힌 후, 편지를 틈새로 보는 것에 의해, 루즈코스를 구성하는 사뜨기코 각각에 링킹장치의 포인트바늘을 꿰뚫고 있었다. 이 작업은 통상(筒牀)에 편성된 환편지의 경우에도 같이 행하고, 먼저, 작업자가 환편지의 개구부분에 양손을 넣고 환편지를 팽팽하게 당겨서 넓혀, 작업자로부터 보아서 안쪽의 편지를 틈새로 보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를 확인하고 링킹장치의 포인트바늘을 사뜨기코에 꿰뚫은 후, 앞쪽의 편지에 대해서도 같은 작업을 행하고, 사떠 궤매지는 사뜨기코끼리를 같은 포인트바늘에 꿰뚫어 링킹장치에 세트하고 있다.
그렇지만,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는 것은, 사뜨기코가 보통의 뜨개코 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었을 뿐이기 때문에 대단히 곤란하였다. 특히, 환편지에 대해서는, 안쪽의 편지에 포인트바늘로 꿰뚫은 후, 앞쪽의 편지를 팽팽하게 당겨서 넓히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현저했다. 이 결과, 사떠 꿰매기를 행할 때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는 것에 더하여, 사뜨기코를 몇 곳인가 떼어내서 사떠 꿰매기를 하는 등 불편함이 발생하고, 제품을 가공했을 때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이 나빠지게 되는 결과가 된다.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특개평11-207061호 나 특개평11-207062호에 기재되어있는 수법이 발명되었지만, 이 것들에 개시된 수법에서는, 사뜨기코가 일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적기 때문에, 사떠 꿰매기 할 때에 사뜨기코와 포인트바늘의 위치를 축차조정하여 포인트바늘을 꿰뚫을 필요가 있다. 또, 이 수법에서는, 편지의 끝 부근에 편성되어진 사뜨기코를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끝의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수 작업에 의해 포인트바늘을 꿰뚫을 필요가 있다. 이 결과, 사떠 꿰매기를 완료 할 때까지의 시간이 길고, 신속하게 사떠 꿰매기 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편지에 편성되어진 사뜨기코에의 포인트바늘의 꿰뚫기를 신속 또한 정확하게 행하고, 편지를 강고하게 링킹할 수 있는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링킹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2는, 이 실시형태에서 링킹되는 환편지(丸編地)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3은, 협지구를 나타내는 평면도해도이다.
도4는, 도3의 선 Ⅳ~Ⅳ에 있어서의 단면도해도이다.
도5는, 체인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해도이다.
도6은, 바늘을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해도이다.
도7은, 도광판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해도이다.
도8은, 포인트바늘 유니트를 나타내는 평면도해도이다.
도9는, 포인트바늘 유니트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해도이다.
도10은, 포인트바늘 유니트의 더욱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해도이다.
도11은, 도광판의 다른 예를 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12는, 도광판의 다른 예의 다른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13은, 다른 협지부재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부호의설명>
12 협지이송부
14 협지구
14a 협지부재
14b 돌조
18 이송구
18a 구동기어부
18b 기어
18c 이송체인
22b 교지치
24 편지고정구
24a 판재
24b 바늘
28 도광판
40 CCD카메라
42 화상처리장치
48 포인트바늘유니트
50 포인트바늘
66 재봉틀기구
청구항1 기재의 발명은, 사떠 꿰매기 하기 위한 루즈코스가 편성된 편지를 링킹하는 방법이고,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키는 스텝과, 대향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대향된 편지를 웰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신장된 편지의 루즈코스를 구성하는 사뜨기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 화상을 촬상(撮像)하는 스텝과, 다계조 화상을 화상처리 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는 스텝과,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하는 스텝과, 사뜨기코에 꿰뚫는 포인트바늘을 이용하여 봉제된 사뜨기코 이외의 사뜨기코에 실을 꿰어 사떠 꿰매기를 행하는 스텝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신속하게 링킹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다른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실이 꿰어져서 링킹이 행해진다.
청구항2 기재의 발명은,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하는 스텝과, 1개의 사뜨기코를 복수회 뚫어 꿰매는, 청구항1 기재의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가 더욱 강고하게 링킹된다.
청구항3 기재의 발명은,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편지에 복수의 바늘을 꿰뚫어 고정하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기재의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신장시킨 상태의 편지가 안정 상태로 되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4 기재의 발명은,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스텝과, 신장되어진 상태에서 협지된 편지에 복수의 바늘을 꿰뚫어 편지를 고정하는 스텝과를 포함하는, 청구항1 또는 청구항2 기재의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신장시킨 상태의 편지가 더욱 안정 상태로 되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5 기재의 발명은, 다계조 화상을 화상처리 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패턴 매칭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4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루즈코스의 바로위 또는 바로밑에 편성되는 큰 뜨개코를 사뜨기코로 인식하는 일이 없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6 기재의 발명은, 대향시킨 편지의 사이에,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는 시각 효과를 가지는 판상체를 배치하는 스텝을 포함하고, 청구항1 내지 청구항5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사뜨기코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7 기재의 발명은, 판상체는, 발광하는, 청구항6 기재의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더욱 사뜨기코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8 기재의 발명은, 편지는, 환편지이고,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스텝과, 환편지를 링킹하는 형태에 편지를 대향시키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7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링킹하는 편지끼리가 대향하도록 편평화(扁平化) 또는 편평에 가까운 상태의 환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신속하게 링킹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다른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실이 꿰어져 링킹이 행해진다.
청구항9 기재의 발명은, 편지는,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를 가지고,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스텝과,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 있어서 편지를 협지하는, 청구항4 내지 청구항8의 어느것인가에 기재된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루즈코스에 따라 용이 또한 강고하게 편지를 협지할 수 있고,루즈코스를 깨끗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정확 또한 신속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0 기재의 발명은, 편지는, 루즈코스가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의 근방에 편성되어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스텝은,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 있어서 편지를 협지하는 상태에서 루즈코스가 편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편지를 팽팽하게 당겨서, 편지를 협지하고 있는 각부의 끝 가장자리에 따르도록 루즈코스를 정렬하는, 청구항4 내지 청구항8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방법이다.
이 경우에는, 더욱더 루즈코스를 깨끗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 정확 또한 신속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1 기재의 발명은, 사떠 꿰매기 하기 위한 루즈코스가 편성된 편지를 링킹하는 링킹장치이고,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코스 신장수단과, 대향시킨 편지를 웰방항으로 신장하는 웰신장수단과, 신장된 편지의 루즈코스를 구성하는 사뜨기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 화상을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기코 검출수단과, 사뜨기코에 포인트 바늘을 꿰뚫는 포인트 바늘 꿰뚫기 수단과,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와, 사뜨기코에 꿰뚫는 포인트 바늘을 이용하여 봉제된 사뜨기코 이외의 사뜨기코에 실을 꿰어 사떠 꿰매기를 행하는 재봉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신속하게 링킹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다른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실이 꿰어져 링킹이 행해진다.
청구항12 기재의 발명은, 재봉기구는,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복수회 꿰매는, 청구항11 기재의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가 더욱 강고하게 링킹된다.
청구항13 기재의 발명은,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코스신장수단은,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편지에 꿰뚫는 복수의 바늘인. 청구항11 또는 청구항12 기재의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신장시킨 상태의 편지가 안정 상태가 되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4 기재의 발명은,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코스신장수단과,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협지수단과,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된 편지에 복수의 바늘을 꿰뚫어 편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를 가지는, 청구항11 또는 청구항12에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신장시킨 상태의 편지가 더욱 안정 상태가 되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5 기재의 발명은, 다계조 화상을 화상처리 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기코 검출수단은, 패턴 매칭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청구항11 내지 청구항14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루즈코스의 바로위 또는 바로밑에 편성되는 큰 뜨개코를 사뜨기코로 인식하는 일이 없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6 기재의 발명은, 대향시킨 편지의 사이에 배치될 때에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는 시각 효과를 가지는 판상체를 가지는, 청구항11 내지 청구항15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사뜨기코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가 있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7 기재의 발명은, 판상체는, 발광체이고, 청구항16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더욱 사뜨기코의 위치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고, 더욱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링킹하는 편지끼리가 대향하도록 편평화 또는 편평에 가까운 상태의 환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신속하게 링킹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그 다른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실이 꿰어져 링킹이 행해진다.
청구항18기재의 발명은, 편지는, 환편지이고, 코스신장수단과 웰신장수단과는, 환편지를 링킹하는 형상에 편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편지를 신장하는, 청구항11 내지 청구항17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루즈코스에 따라 용이 또한 강고하게 편지를 협지할 수 있고,루즈코스를 깨끗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정확 또한 신속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19기재의 발명은, 편지는,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를 가지고,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협지수단과,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 있어서 편지를 협지하는,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8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경우에는, 더욱 루즈코스를 깨끗하게 정렬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 정확 또한 신속하게 링킹할 수 있다.
청구항20 기재의 발명은, 편지는, 루즈코스가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의 근방에 편성되어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협지수단과, 루즈코스가 협지수단의 끝 가장자리에 따르도록,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 있어서 편지를 협지하는 상태에서 루즈코스가 편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편지를 팽팽하게 당기는 인장수단을 가지는, 청구항14 내지 청구항18의 어느 것인가에 기재된 링킹장치이다.
이 발명의 상술한 목적, 그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하게된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링킹장치의 일 실시형태을 나타내는 도해도 이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의 링킹장치(10)는, 도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가락끝 부근에 편성된 루즈코스의 사뜨기코를 링킹하는 것으로 양말이 되는 환편지를 링킹하는 데에 최적화된 링킹장치이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링킹되는 환편지는, 루즈코스상 두번째열의 코스의 뜨개실이 솎아지던가, 또는 뜨개실을 가는실로 교환하는 것으로 다른 편지 부분보다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인 롯소코스를 가진다.
링킹장치(10)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협지이송부(12)를 포함. 협지이송부(12)는, 사뜨기코 끼리가 약 대향하도록 편평화시킨 환편지를 롯소코스에 있어서 보지 하면서, 코스방향 및 웰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이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협지이송부(12)는, 협지구(14)를 포함하고, 협지구(14)는, 편평화시킨 환편지를 롯소코스에 있어서 보지한다. 협지구(14)는, 2개의 협지부재(14a)로 구성된다. 협지부재(14a)는, 도3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 중앙부근으로부터 선단으로 향해서 그 두께 및 폭을 줄이도록 형성되어있다. 협지부재(14a)끼리가 대향하는 면은,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형상이 직선 상에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재(14a)끼리가 대향하는 면에는, 한 쪽 끝에서 다른 쪽 끝에 걸쳐서 돌조(14b)가 설치되어 있다. 돌조(14b)는, 그 높이 및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협지부재(14a)끼리가 대향하는 면으로부터의 높이를 1㎜로하고, 그 폭을 1.2㎜로 형성 되어있다. 돌조(14b)는, 협지부재(14a)의 약 중앙부근으로부터 후단으로 향함에 따라 그 높이 위치를 변화시켜,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만곡으로 형성되어있다.
협지부재(14a)는, 연결부재(1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부재(16)는, 고착부(16a)와 연결부(16b)로 된다. 고착부(16a)는, 쌍방의 협지부재(14a) 상면의 후단 및 약 중앙에 고착되어 있다. 고착부(16a)에는, 협지부재(14a)가 대향하는 방향에 관통혈(16c)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16b)는, 봉재(棒材)로부터 된다. 연결부(16b)는, 관통혈(16c)내의 삽통(揷通)된후, 계지구(16d)에 의해 라지(螺止)되, 협지부재(14a)를 연결한다. 연결부재(16)는, 돌조(14b) 사이의 틈이 편평화한 환편지의 통상 뜨개부분(롯소코스이외부분)의 두께보다 좁게되도록 협지부재(14a)를 연결한다. 또, 그 틈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 걸쳐서 일정하고, 더욱이, 연결부재(16)는, 고착부(16a)와 연결부(16b)와의 계지위치를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돌조(14b) 사이의 틈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협지부재(14a)의 상면에는, 약 중앙으로부터 선단에 걸쳐서 이송구(18)가 부착되어있다. 이송구(18)는, 구동기어부(18a),기어(18b) 및 이송체인(18c)으로 된다. 구동기어부(18a)는, 후단의 고착부(16a)의 안쪽에, 그 회전축(20a)이 협지부재(14a)의 상면에 대해서 수직방향으로 회전자재로 부착되어 있다. 구동기어부(18a)는, 그 회전축(20a)에 구동기어(20b)와 체인기어(20c)가 고착되어 있다. 구동기어(20b)는, 모터 등의 구동 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과 감합되어 회전된다. 구동기어(20b)는, 서로 감합되어 있고, 한편의 구동기어(20b)가 구동 원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에 의해 회전되었을 때, 다른 방향의 구동기어(20b)가 종동(從動)하도록 구성되어있다. 구동기어(20b)의 아래쪽에는, 체인기어(20c)가 고착되어있다. 체인기어(20c)는, 그 이(齒)에 이송체인(18c)을 감합시켜, 구동기어(20b)의 회전에 종동하여 이송체인(18c)을 구동한다.
기어(18b)는, 약 중앙의 고착부(16a)의 외측에, 그 회전축이 협지부재(14a)상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회전자재로 부착되어있다. 기어(18b)는,구동기어부(18a)의 체인기어(20c)와 같은 높이에 부착되어 있다.
이송체인(18c)은, 기어(18b)와 체인기어(20c)와의 사이에 걸친 환상의 체인(22a)을 가진다. 체인(22a)은, 협지부재(14a)끼리가 대향하는 쪽을 통과할 때, 협지부재(14a)의 끝 가장자리와 평행이 되도록 걸쳐져 있다. 또, 체인(22a)은, 협지부재(14a)끼리 대향하는 쪽을 통과할 때, 협지부재(14a)의 끝 가장자리보다 약간 거리를 두고 통과하도록 걸쳐져 있다. 체인(22a)의 외주에는,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깥쪽에 돌출 되도록 교지치(22b)가 설치되어있다. 교지치(22b)는, 대향하는 교지치(22b)와 공동하여 환편지를 교지(咬止) 하여 환편지를 이송한다. 이 것에 의해, 이송체인(18c)에 의해 이송된 환편지는, 코스방향으로 신장된 상태대로 협지부재(14a)의 후단으로부터 배출된다.
협지부재(14a)의 후단 근방의 하면 에는, 편지가이드(23)가 부착되어 있다. 편지가이드(23)는, 협지부재(14a)의 아래방향으로 늘어뜨려져 있는 환편지를 이송시키면서 보지 하는 기능을 가진다. 편지가이드(23)는, 아래방향으로 늘어뜨려져 있는 환편지가 협지부재(14a)의 횡방향에 요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고, 이 것에 의해 후술하는 바늘(24b)의 꿰뚫기가 확실하게 행해진다.
협지이송부(12)의 환편지가 배출되는 단부의 후방에는,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고정구(24)가 배치되어 있다. 편지고정구(24)는, 평면형태가 단형의 판재(24a)를 갖는다. 판재(24a)는, 수평이동모듈(26)에 부착되어 있다. 판재(24a)는, 수평이동모듈(26)에 의해 도의 우방향으로 이동된다. 판재(24a)의 상단에는, 복수의 바늘(24b)이 고착되어 있다. 바늘(24b)은,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착되어있는 근원(根元)으로부터 개방 단으로 향해 도의 우방향으로 경사 하도록 비스듬하게 고착되어 있다. 편지고정구(24)는, 판재(24a)를 이동시켜 협지이송부(12)로부터 배출되기 직전의 환편지를 축차 바늘(24b)에 꿰뚫는 것으로, 환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고정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늘(24b)은 루즈코스보다 3열 아래쪽의 코스를 꿰뚫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수평이동모듈(26)은, 환편지가 모든 바늘(24b)에 의해 꿰뚫어지는 위치에 두고 일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편지고정구(24)의 상방에는, 도광판(28)이 배치되어 있다. 도광판(28)은,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30)을 포함한다. 금속판(30)은,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강도를 가지는 평면구형상의 박판으로부터 형성되어 있다. 금속판(30)의 정면 및 배면에는, 도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아크릴판(34)이 적충 되어 있다. 투명아크릴판(34)은, 무색투명이나 유색투명의 아크릴로부터 되는 평판에 의해 형성되어있다. 투명아크릴판(34)은, 측단 및 하단은 테이퍼처리에 의해 끝으로 향함에 따라 두께가 줄어들도록 형성되어 있고, 도광판(28)의 측단 및 하단의 단면형태가 약설상(略楔狀)으로 형성되어있다.
도광판(28)의 상단에는, 냉음극관(34)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냉음극관(34)은, 도광판(28)의 상단 면에 광선을 입사한다. 도광판(28)은, 상단에서 입사된 광선을 난반사 또는 사출시키는 것으로 하단을 발광시킨다.
도광판(28)은, 상방의 측면에서 승강모듈(36)에 고착되어 있다. 승강모듈(36)은, 승강동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도광판(28)을 승강시킨다. 승강모듈(36)은, 도광판(28)의 하단이, 편지고정구(24)의 바늘(24b)의 근방까지 접근하도록 최 하강 위치가 정해져 있다.
편지고정구(24)의 정면 및 배면의 근방에는, 도시하지 않는 흡인구가 설치되어 있다. 흡인구는, 에어흡인에 의해 편지고정구(24)에 고정된 환편지의 개구부를 편지고정구(24)의 정면방향 및 배면방향으로 개구한다.
편지고정구(24)의 양측방의 근방에는, 개구구(38)가 설치되어 있다. 개구구(38)는, 도시하지 않는 구동모듈에 의해 임의의 방향에 구동가능 하게 설치되어 있다. 개구구(38), 환편지의 개구부에 계지 가능한 형태를 하고 있고, 흡인구에 의해, 개구된 환편지의 개구부을 환편지가 편평화된 방향으로 더욱 신장시킨다.
도광판(28)은, 승강모듈(36)에 의해 하강되는 것에 의해, 편지고정구(24)에 고정된 편지의 개구부로 삽입된다. 이 것에 의해, 도광판(28)은 후술하는 CCD카메라(40)에 의해 촬상되는 사뜨기코를 조명한다.
도광판(28)의 정면 및 배면에는, 롤러(39)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롤러(39)는, 도광판(28)이 삽입된 편지를 더욱 웰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롤러(39)는, 도광판(28)에 편지를 압압하면서 회전하여, 편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웰방향으로 편지를 신장시킨다.
편지고정구(24)의 정면 및 배면에는, CCD카메라(40)가 배치되어 있다.CCD카메라(40)는, 편지고정구(24)에 고착된 환편지에 편성되어 루즈코스의 사뜨기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다. CCD카메라(40)에 의해 다계조 화상은, 화상처리장치(42)에 입력된다.
화상처리장치(42)는, CCD카메라(40)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 화상을 기초로 하여 환편지의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것이다.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데는, 패턴매칭처리가 사용된다. 화상처리장치(42)는, 도광판(28)이 삽입된 상태로 두는 환편지의 사뜨기코를 촬상한 사뜨기코의 화상이, 표준 패턴으로서 기억되어 있다. 화상처리장치(42)는, CCD카메라(40)로부터 입력된 다계조 화상에 표준 패턴을 겹치면서 이동하여, 2개의 화상에 있어 화소(畵素)데이타레벨에서의 상관성의 유무를 조사한다. 화상처리장치(42)는, 표준 패턴과 상관성이 있는 화소의 부분을 사뜨기코로서 검출한다. 화상처리장치(42)에 의해 산출된 사뜨기코의 위치정보는, 후술하는 포인트바늘 꽂이 유니트(44)의 동작제어의 정보로서 중앙처리장치에 입력된다.
편지고정구(24)의 모든 바늘(24b)은 환편지가 꿰뚫어져, 편지고정구(24)가 일시 정지되는 위치에서, 편지고정구(24)의 정면측 및 배면측에는, 포인트바늘 꽂이 유니트(44)가 배치되어 있다. 포인트바늘 꽂이 유니트(44)은, 포인트바늘 위치제어모듈(46)을 포함한다. 포인트바늘 위치제어모듈(46)은, 포인트바늘 위치제어모듈(46)에 부착되어 있는 포인트바늘 유니트(48)의 위치를 편지고정구(24)에 대해서 상하좌우방향에 자재이동 시키기 위한 이동모듈이다. 또, 포인트바늘 위치제어모듈(46)으로서는, 볼나사기구,실린더기구,컨베어등의 이동모듈의 가동부분에 더욱 이동모듈을 부착치시킨 것을 복수개 조합하여, 부착시킨 물체를 상하좌우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한 모듈이 적용된다.
포인트바늘 위치제어모듈(46)에는, 상술 한 것처럼 포인트바늘 유니트(48)가부착되어 있다. 포인트바늘 유니트(48)는, 도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뜨기코를 꿰뚫는 포인트바늘(50)을 복수 수납한 것이다. 포인트바늘 유니트(48)는, 초부(52)를 가진다, 초부(52)에는, 수평방향에 복수의 관통혈(52a)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관통혈(52a)에는, 포인트바늘(50)이, 전후로밀고당겨 자재하게 수납된다. 포인트바늘(50)은, 침금상(針金狀)의 선재(線材)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후단이 상방에 굴곡되어 스프링계지부(50a)가 형성되어, 평면형상이「L」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포인트바늘(50)의 상면에는, 후술하는 재봉기구의 재봉바늘을 도입하는 홈(50b)가 형성되어있다. 각 관통혈(52a)의 상방에 위치한 초부(52)의 상면에는, 스프링계지편(52b)이 포인트바늘(50)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부착되어 있다. 스프링계지편(52b)은, 침금상의 선재로부터 형성되어 있고, 그 개방 단을 상방으로 향하여 입설되어 있다. 스프링계지편(52b)에는, 포인트바늘(50)의 스프링계지부(50a)와의 사이에, 스프링(54)이 장가(張架)된다. 포인트바늘(50)은, 스프링(54)의 장력에 의해 전방에 부세(付勢)되어 있다. 스프링(54)의 바로위에는, 침계지판(56)이 횡가되어 있다. 침계지판(56)은, 포인트바늘(50)의 스프링계지부(50a)를 계지하기 위한 것이다. 침계지판(56)에 의해, 스프링(54)에 의해 전방에 부세 되어 있는 포인트바늘(50)은, 규정한 길이만큼 초부(52)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초부(52)의 상방에는, 수평방향이동모듈을 통해서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에는, 초부(52)의 폭의 길이를 가지는 평면형상구형상의 금속판을 세워서 사용된다.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은, 포인트바늘(50)을 스프링계지부(50a)에서 계지 하는 것으로 포인트바늘(5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이 행하는 포인트바늘(50)의 제어로써는, 전방에 돌출되어있는 모든 포인트바늘(50)을 후방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모든 포인트바늘(50)의 스프링계지부(50a)가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에 계지 시킬 수 있는 위치에 배치시킨 후,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포인트바늘(50)을 후방으로 되돌리는 동작과,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계지 되어 있는 스프링계지부(50a)를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으로부터 떼어내어 포인트바늘(50)을 전방에 돌출 시키는 동작이 제어된다. 또, 포인트바늘(50)을 돌출 시키는 동작에 대해서는, 1개의 포인트바늘(50)만을 돌출 시키는 경우와, 한꺼번에 복수의 포인트바늘(50)을 돌출 시키는 경우가 있다.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과 침계지판(56)과의 사이에는, 수평방향이동모듈을 통해서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이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에는,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과 같이 초부(52)의 폭의 길이를 가지는 평면형상구형상의 금속판을 세워서 사용된다.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은,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으로부터 떼어진 포인트바늘(50)을 스프링계지부(50a)에서 다시 계지 하는 것으로 포인트바늘(5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은,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으로부터 계지가 해제되어, 모든 포인트바늘(50)이 안쪽에 돌출 될 때까지, 모든 포인트바늘(50)이스프링계지부(50a)에서 계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은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으로부터 계지가 해제되어, 다시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에 계지된 바늘(50)을,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계지 되어 있는 스프링계지부(50a)를 제2포인트바늘 제어판(64)으로부터 떼어내어 포인트바늘(50)을 더욱 돌출 시킨다. 또, 포인트바늘(50)을 돌출 시키는 동작에 대해서는, 제1포인트바늘 제어판(60)의 때와 같이, 1개의 포인트바늘(50)만을 돌출 시키는 경우와, 한꺼번에 복수의 포인트바늘(50)을 돌출 시키는 경우가 있다.
포인트바늘 유니트(48)의 근방에는, 재봉기구(66)가 배치되어 있다. 재봉기구(66)는, 편지를 봉제하기 위한 것으로 재봉바늘의 가동속도 및 편지의 이동속도가 가변한것이 적용된다. 재봉기구(66)는, 편지의 코스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재봉기구(66)는, 포인트바늘(50)을 이용하여 편지를 사떠 꿰매기를 행하는 기능과, 포인트바늘(50)을 이용하지 않고 직접 편지를 봉제하는 기능을 가진다.
링킹장치(10)는, 중앙제어부(68)를 갖는다. 중앙제어부(68)는, 화상처리장치(42), 링킹장치(10)에 포함되어 각 모듈, 롤러(39) 및 재봉기구(66)의 모든 전기적 전자적에 접속되어, 각종의 전기신호 및 전자신호가 입력된다. 중앙제어부(68)는, 입력된 전기신호 및 전자신호에 근거하여 각부의 동작의 제어를 행하고, 또, 중앙제어부(68)의 제어에 대해서는, 본 실시형태의 동작설명에 의하여 상술한다.
이어서, 본 실시형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에 의해 환편지의 앞쪽과 반대쪽의 링킹되어야하는 사뜨기코가 약 일치하도록 환편지가 편평화된다. 편평화된 환편지는, 더욱 작업자에 의해 코스방향으로 신장되어 롯소코스부분이 협지부재(14a)의 돌조(14b) 사이에 삽입된다. 작업자는, 삽입한 편지의 후단이 교지치(22b)에 의해 교지 되어 환편지가 이송될 때까지 환편지를 안쪽 깊숙한 곳까지 삽입한다.
교지치(22b)에 의해 교지된 환편지는, 이송체인(18c)에 의해 협지부재(14a)의 돌조(14b)에 따라서 횡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때, 환편지는, 교지치(22b)와 돌조(14b)에 의해 편지의 일부가 웰방향으로 신장한다. 돌조(14b)의 바로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사뜨기코는, 편지의 일부가 웰방향으로 신장되는 것에 의해, 즉, 환편지의 상부가 상방으로 인장되는 것으로, 돌조(14b)의 밑의 끝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나란히 하고, 협지부재(14a)의 후단의 직선상태로 된 돌조(14b)부분에서 일직선상에 정연하게 정돈되어 있다.
이송체인(18c)에 의해 더욱 횡방향으로 이송된 환편지는, 협지부재(14a)로부터 배출되기 직전에, 횡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는 편지고정구(24)의 바늘(24b)에 축차 꿰뚫어 고정된다. 코스방향에 걸쳐서 환편지가 고정되었을 때에, 편지고정구(24)는 정지한다.
흡인구에 의해 환편지의 개구부가, 편지고정구(24)의 정면 및 배면방향으로 개구된다.
개구된 환편지의 개구부에는, 개구구(38)가 삽입, 계지 되어, 환편지가 코스방향으로 더욱 신장한다.
개구된 환편지의 개구부에, 편지고정구(24)의 상방으로부터, 도광판(28)이 삽입된다. 도광판(28)이 삽입된 후, 개구구(38)는, 환편지의 개구부와의 계지가 해제되고, 도광판(28)으로 환편지가 밀착되어 있는 상태로 된다.
도광판(28)의 정면 및 배면에는, 롤러(39)가 환편지를 압압(押壓)한 상태로 배치된다. 롤러(39)는, 도광판(28)에 편지를 압압하면서 회전하여, 편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웰방향으로 편지를 신장시킨다. 이 때, 환편지의 사뜨기코 부근은, 도광판(28)에 의해 환편지의 내부로부터 조명되어 있다.
코스방향 및 웰방향으로 신장된 환편지의 사뜨기코를 CCD카메라(40)에 의해 촬상된다. CCD카메라(40)에 의해 촬상된 정면 및 배면의 사뜨기코를 포함한 다계조 화상은, 화상처리장치(42)로 입력되어, 사뜨기코의 위치가 산출된다.
화상처리장치(42)에 의해 위치가 산출되는 정면측의 사뜨기코에는, 포인트바늘위치제어모듈(46)에 의해 포인트바늘유니트(48)의 위치가 조정된 후, 제1포인트바늘제어판(6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 에 의해 포인트바늘(50)이 꿰뚫어진다. 이 때, 복수의 사뜨기코가 동시에 포인트바늘(50)에 의해 꿰뚫기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복수의 포인트바늘(50)이 돌출 되도록 제1포인트바늘제어판(60)이 횡방향으로 이동된다. 더욱이, 포인트바늘(50)은, 환편지의 코스방향의 끝 부근에 위치하는 사뜨기코에는 꿰뚫어지지 않고, 그 이외의 사뜨기코에 꿰뚫어진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양단의 가장 끝과 이웃에 위치하는 사뜨기코 이외가 모두 포인트바늘(50)에 의해 꿰뚫어진다.
가장끝 및 그 이웃에 위치하는 사뜨기코 이외의 정면 모두의 사뜨기코가 포인트바늘(50)에 의해 꿰뚫어진 후, 포인트바늘위치제어모듈(46)에 의해 포인트바늘유니트(48)의 위치가 조정된 후, 제2포인트바늘제어판(64)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배면 측의 사뜨기코에 대해서도 포인트바늘(50)이 꿰뚫어진다.
환편지로부터, 도광판(28)이 상방으로 뽑아진다.
환편지의 배면 측에는, 재봉기구(66)가 배치되어, 환편지의 봉제가 행해진다. 재봉기구(66)는, 포인트바늘이 꿰뚫어져 있는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사뜨기코의 위치는 관계없이 1개의 사뜨기코를 복수회 꿰매어 봉제를 행한다. 그리고, 재봉기구(66)는, 포인트바늘(50)이 꿰뚫어져 있지 않는 사뜨기코에 대해서는, 포인트바늘(50)의 홈(50b)를 이용하여 사뜨기코에 실을 통해서 사떠 꿰매기를 한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환편지에 편성된 사뜨기코에의 포인트바늘의 꿰뚫기 작업을 자동적으로 신속 또한 정확하게 행하고, 환편지를 강고하게 링킹할 수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편지의 링킹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링킹하는 2장의 평편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협지이송부에 세트하여 링킹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협지이송부에 있어서는 편지를 신장시켜 편지고정구에 고정시켰지만, 수작업에 의해 편지고정구에 편지가 고정되어도 좋다.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도록 도광판을 사용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뜨개실의 색과 명확하게 틀린 색조를 가지는 단순한 판재가 사용되어도 좋다.
또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도록 도광판을 사용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패널과 플래즈머 디스플레이 등의 균일하게 면발광하는 부재가 사용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환편지가 도광판의 표면에 밀착하도록 구성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편지의 사이에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도록 판상체가 배치되어 지는 것만이라도 좋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광판으로서 1장의 도광판을 사용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복수장의 도광판을 이동 가능하게 나란히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지에 삽입할 때에는, 삽입하기 쉽도록 폭을 좁게되도록 배치시켜, 삽입후, 편지의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도록 배치시키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지고정구에 평면형상이 구형의 판재를 사용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편지고정구에, 원통부재의 외주상연에 복수의 바늘을 고착한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도광판등의 평판이 편지에 삽입된 때에, 편지로부터 바늘이 빠지지 않도록 비교적 완만한 곡율(曲率)의 외주를 가지는 원통부재를 사용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또 더욱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개의 포인트바늘유니트에 의해 정면 및 배면의 사뜨기코를 꿰뚫도록 구성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기 않고, 정면 및 배면쌍방에 포인트바늘유니트을 배치하여, 포인트바늘이 사뜨기코를 꿰뚫는 후, 링킹해야하는 사뜨기코에 꿰뚫러져 있는 포인트바늘(50)끼리 선단을 맞붙도록 해서, 어느 한 쪽의 포인트바늘로 편지를 옮겨 바꾸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편지를 웰방향으로 신장시키는 방법으로써 롤러를 사용하였지만, 이 것에 한정되지 않고,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협지부재를 사용하여 편지를 웰방향으로 신장시켜도 좋다. 이 협지부재를 사용한 경우에는, 편지에 편지고정구의 바늘이 꿰뚫어진 후, 바늘과 돌조와에 의해 편지가 웰방향으로 신장시킬 수 있다. 또, 이 협지부재의 경우에는, 편지를 협지부재로부터 배출하지 않은 채라도, 협지부재의 후단에서 포인트바늘을 꿰뚫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편지에 편성된 사뜨기코에의 포인트바늘의 꿰뚫는 작업을 자동적으로 신속 또한 정확하게 행하고, 편지를 강고하게 링킹할 수 있다.
이와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편지에 편성되어진 사뜨기코에의 포인트바늘의 꿰뚫기 작업을 자동적으로 신속 또한 정확하게 행하고, 편지를 강고하게 링킹할수 있다.

Claims (20)

  1. 사떠 꿰매기위한 루즈코스가 편성된 편지를 링킹하는 방법이고,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키는 스텝과,
    상기 대향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상기 대향된 편지를 웰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상기 신장된 편지의 루즈코스를 구성하는 사뜨기코의 상(像)을 포함하는 다계조 화상을 촬상(撮像)하는 스텝과,
    상기 다계조 화상을 화상처리 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상기 사뜨기코에 포인트바늘을 꿰뚫는 스텝과,
    상기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하는 스텝과,
    상기 사뜨기코에 꿰뚫는 상기 포인트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봉제된 사뜨기코 이외의 사뜨기코에 실을 통하여 사떠 꿰매기를 행하는 스텝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킹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하는 스텝과,
    1개의 사뜨기코를 복수회 뚫어 꿰매는 링킹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는스텝과,
    상기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편지에 복수의 바늘을 꿰뚫어 고정하는 링킹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키는 스텝과,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스텝과,
    상기 신장되어진 상태에서 협지된 편지에 복수의 바늘을 꿰뚫어 상기 편지를 고정하는 스텝과를 포함하는 링킹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계조 화상을 화상처리 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스텝과, 패턴 매칭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링킹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대향시킨 편지의 사이에,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는 시각 효과를 가지는 판상체을 배치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링킹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는, 발광하는 링킹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는, 환편지이고,
    상기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스텝과, 상기 환편지를 링킹하는 형태에 편지를 대향시키는 링킹방법.
  9. 제4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는,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를 가지고,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스텝과,
    상기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서 상기 편지를 협지하는 링킹방법.
  10. 제4항 내지 제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는, 루즈코스가 상기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의 근방에 편성되어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스텝과,
    상기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서 상기 편지를 협지하는 상에서 상기 루즈코스가 편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편지를 인장하고, 상기 편지를 협지하고 있는 부재의 끝 가장자리에 따르도록 루즈코스를 정렬하는 링킹방법.
  11. 사떠 꿰매기 하기 위한 루즈코스가 편성된 편지를 링킹하는 링킹장치이고,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코스 신장수단과,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웰방향으로 신장하는 웰신장수단과,
    상기 신장된 편지의 루즈코스를 구성하는 사뜨기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상기 다계조 화상을 화상 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기코 검출수단과,
    상기 사뜨기코에 포인트 바늘을 꿰뚫는 포인트 바늘 꿰뚫기 수단과,
    상기 편지의 끝 부근의 사뜨기코를 봉제와, 상기 사뜨기코에 꿰뚫는 상기 포인트 바늘을 이용하여 상기 봉제된 사뜨기코 이외의 사뜨기코에 실을 통하여 사떠 꿰매기를 행하는 재봉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링킹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봉기구는, 편지의 끝 부근의 시뜨기코를 복수회 꿰매는 링킹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코스신장수단은,
    상기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편지에 꿰뚫는 복수의 바늘인 링킹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킹하는 편지 끼리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하는 코스신장수단은,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협지수단과,
    상기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된 편지에 복수의 바늘을 꿰뚫어 상기 편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을 가지는 링킹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계조 화상을 화상처리 하는 것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기코 검출수단은, 패턴 매칭에 의해 사뜨기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링킹장치.
  16. 제11항 내지 제1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시킨 편지의 사이에 배치될 때에 편지의 뜨개실 부분과 뜨개실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과의 경계가 명료하게 시인되는 시각 효과를 가지는 판상체를 가지는 링킹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는, 발광체인 링킹장치.
  18. 제11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는, 환편지이고,
    상기 코스신장수단과 상기 웰신장수단과는, 상기 환편지를 링킹하는 형상에 편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상기 편지를 신장하는 링킹장치.
  19. 제14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는,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를 가지고,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협지수단과,
    상기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서 상기 편지를 협지하는 링킹장치.
  20. 제14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지는, 루즈코스가 상기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의 근방에 편성되어
    상기 대향시킨 편지를 코스방향으로 신장시킨 상태에서 협지하는 협지수단은,
    상기 루즈코스가 상기 협지수단의 끝 가장자리에 따르도록, 상기 편지의 두께가 얇게 편성된 코스에서 상기 편지를 협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루즈코스가 편성되어 있지 않은 쪽의 편지를 팽팽하게 당기는 인장 수단을 가지는 링킹방법.
KR1020020077177A 2001-12-07 2002-12-06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KR200300477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73504 2001-12-07
JP2001373504A JP3792567B2 (ja) 2001-12-07 2001-12-07 リンキング方法およびリンキング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86A true KR20030047786A (ko) 2003-06-18

Family

ID=1918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7177A KR20030047786A (ko) 2001-12-07 2002-12-06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665578B2 (ko)
EP (1) EP1318223B1 (ko)
JP (1) JP3792567B2 (ko)
KR (1) KR20030047786A (ko)
CA (1) CA2413412C (ko)
DE (1) DE60205008T2 (ko)
ES (1) ES2246003T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02B1 (ko) * 2002-05-01 2005-11-17 가부시끼가이샤 단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48280B1 (en) * 2002-04-11 2005-02-01 Larry W. Honeycutt Circular knitting machine
CN104727019B (zh) * 2015-03-11 2017-01-25 诸暨市实干针织机械有限公司 一种直式袜子缝头机
JP7282811B2 (ja) * 2018-06-15 2023-05-29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編物コンポーネントの設計および作製のためのツール
IT202100011552A1 (it) * 2021-05-06 2022-11-06 Santex Rimar Group S R L Macchina rimagliatrice munita di una guida perfezionata per allineare tra loro due lembi di tessuto per essere rimagliati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46085A (en) * 1986-12-19 1989-07-11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for linking knitted fabric pieces and apparatus thereof
ES2103839T3 (es) * 1992-02-13 1997-10-01 Conti Complett Spa Dispositivo de posicionamiento en maquinas de coser para cerrar la punta del pie en calcetines o similares.
US6397121B1 (en) * 1998-01-19 2002-05-28 Dan Co., Ltd.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02B1 (ko) * 2002-05-01 2005-11-17 가부시끼가이샤 단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106345A1 (en) 2003-06-12
ES2246003T3 (es) 2006-02-01
DE60205008D1 (de) 2005-08-18
US6665578B2 (en) 2003-12-16
CA2413412A1 (en) 2003-06-07
EP1318223A3 (en) 2004-05-06
EP1318223A2 (en) 2003-06-11
CA2413412C (en) 2007-07-24
EP1318223B1 (en) 2005-07-13
JP2003169980A (ja) 2003-06-17
JP3792567B2 (ja) 2006-07-05
DE60205008T2 (de)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3815B1 (en) Sewing system and sewing method
KR20030047786A (ko)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KR101032508B1 (ko) 재봉기의 윗실제어장치
JP3637287B2 (ja) 平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および平編地リンキング装置
US5398627A (en) Thread chain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rawing out the thread chain on multiple needle sewing machines
EP0930389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EP1113100A3 (en) Needle thread guide device for double chain stitch sewing machine
CN113543669B (zh) 植发装置
JP3383568B2 (ja) 丸編生地用リンキング装置
ATE110799T1 (de) Separator für nahtmaschinen.
KR100317572B1 (ko)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JP2865948B2 (ja) 編物の高速リンキング方法
KR100529402B1 (ko)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CZ301876B6 (cs) Zpusob a zarízení pro strojové šití švu s dvounitnými retízkovými stehy
JPH0349478B2 (ko)
JPH08206377A (ja) リンキング方法
JP2009039220A (ja) 送り機構およびミシン
EP1378598A2 (en) Sewing method
KR20030086901A (ko)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JPH09103588A (ja) 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