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17572B1 -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 Google Patents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17572B1
KR100317572B1 KR1019990001377A KR19990001377A KR100317572B1 KR 100317572 B1 KR100317572 B1 KR 100317572B1 KR 1019990001377 A KR1019990001377 A KR 1019990001377A KR 19990001377 A KR19990001377 A KR 19990001377A KR 100317572 B1 KR100317572 B1 KR 100317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nose
image
circular knitting
nee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1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966A (ko
Inventor
가와무라사다오
이시이아끼라
와다다까히로
후끼쯔게다꾸야
다께우찌유시
Original Assignee
오찌 나오마사
가부시끼가이샤 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22625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35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023730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383568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찌 나오마사, 가부시끼가이샤 단 filed Critical 오찌 나오마사
Publication of KR1999006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7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75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narrowing or widening; with reciprocatory action, e.g. for knitting of flat por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knitting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4B35/1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 D04B35/20Indicat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e.g. stop motions responsive to defects, e.g. holes, in knit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2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eft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환편옷감에 형성된 사뜨는 코 한 코 한 코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가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코 검출방법은,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체(揷通體)를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킨다. 그리고,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多階調畵像)을 촬상(撮像)한다. 또한,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을 갖는다.
또한,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과, 사뜨는 코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과, 각 사뜨는 코에 전기 포인트 바늘을 자통(刺通)하는 수단과, 포인트 바늘을 자통한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기구을 갖는다.

Description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이 발명은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에 관하여, 특히 예컨대, 환편옷감에 형성된 사뜨는 코 한코 한코의 위치를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에 관한다.
종래로부터, 니트제품의 소재가 되는 뜨는 옷감에는, 뜨는 코를 링킹할 때에 제품이 기정(旣定)한 사이즈, 형상으로 바르게 링킹되도록, 링킹되어야 하는 뜨는 코로서, 다른 뜨는 코보다 약간 크게 편성하는 것에 의해 뜨는 코의 코 부분을 크게 형성한, 사뜨는 코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링킹을 행할 때에는, 작업자가 뜨는 옷감을 손으로 잡아 당겨 펴서, 뜨는 옷감을 틈을 만들어 보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를 발견하여, 링킹장치의 포인트 바늘을 손작업으로 사뜨는 코에 자통하여 세트한 후, 재봉틀질을 행하여 링킹하고 있었다. 이 작업은 환편옷감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행하여져, 우선, 작업자가 환편옷감의 개방부분에 양손을 넣어 환편옷감을 잡아 당겨 펴고, 작업자가 보아 안쪽의 뜨는 옷감을 틈을 만들어 보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를 발견하고, 링킹장치의 포인트 바늘을 사뜨는 코에 자통하여 세트한 후,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작업을 행하여, 링킹되는 사뜨는 코 끼리의 위치를 일치시켜 포인트 바늘에 세트하여, 재봉틀질을 행하여 링킹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사뜨는 코 전체를 줄(列)로서 발견하는 것은 비교적 용이하지만, 사뜨는 코 한 코 한 코를 정확히 발견하는 것은, 사뜨는 코가 보통의 뜨는 코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 것뿐이기 때문에, 경험과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에 숙련하지 않는 자가, 눈으로 사뜨는 코를 발견하는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는, 대단히 많은 시간을 요하고, 작업효율이 대단히 나빴다. 특히, 환편옷감 에 관해서는, 안쪽의 뜨는 옷감을 링킹장치에 세트한 후에,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을 잡아 당겨 펴는 것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이 문제가 현저하였다. 따라서, 링킹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몇개소인가 빠뜨리고 링킹하는 등의 불량이 발생하고, 원료에 대한 제품의 비율이 나빠지는 결과가 되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환편옷감에 형성된 사뜨는 코 한코 한코를 자동적으로 검출할 수가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사뜨는 코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3은, 사뜨는 코 검출부에 발톱끝 근방부분이 서로 닫혀져 있지 않은 양말을 삽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도해도이다.
도4는, 포인트 바늘 제어유닛의 구성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포인트 바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6은, 바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사뜨는 코 검출부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8은,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다계조화상이 2치화(値化)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10은, 2치화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은, 도9에 나타내는 2치화상이 라벨링 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12는, 도11에 나타내는 라벨화상으로부터 사뜨는 코 영역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도13은, 사뜨는 코 추출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4는, 포인트 바늘을 사뜨는 코에 통과시키는 공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5는, 삽통체의 한 쪽면 측의 사뜨는 코의 위치와 바늘의 위치가 대응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도16은, 삽통체의 한쪽면측의 사뜨는 코가 바늘의 위치에 조정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도17은, 삽통체의 한쪽면측에 있어서, 바늘이 사뜨는 코에 통과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도18은, 하측삽통체가 슬라이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도19는, 상하삽통체의 사이의 슬리트 내에 바늘이 위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도20은, 삽통체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 바늘의 위치에 사뜨는 코가 오도록 조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도21은, 삽통체의 양면측에 있어서, 바늘이 사뜨는 코에 통과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해도이다.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은,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체를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공정과,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이다.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자기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와,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를 각각 단독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전방의 뜨는 옷감의 상황과 다른 쪽의 상황을 혼동하여 인식하는 일이 없으므로, 정확히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환편옷감을 삽통체의 삽통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더욱 확대시킨 상태에서 촬상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히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이, 평면상에 있어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근방의 상황을 2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사뜨는 코를 일괄해서 동시에 촬상할 수가 있기 때문에, 환편옷감의 각 사뜨는 코에 관하여, 개별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져, 검출시간이 단축되어 검출효율이 향상한다.
이 발명은,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이, 환편옷감의 내부에서 외부로 투과한 빛을 써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슬리트 내의 삽통체의 단면에 복수의 LED 등의 발광체를 배열하여, 슬리트상에 배열된 어떤 뜨는 옷감에 대하여 내부에서 조명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섬유부분와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히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로서, 슬리트를 갖는 삽통체를 쓰고,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이,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과, 슬리트에 있어서 환편옷감의 외부의 한쪽에서 다른쪽으로 투과하는 빛을 써서 행하여지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슬리트상에 배치한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트상에 배치된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슬리트상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사뜨는 코가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영역의 면적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가 추출되고, 사뜨는 코의 위치가 구하여진다. 이것에 의해, 여러 가지 크기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이 발명에서는,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이,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에 분할하여,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値化値)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따라서, 각 부분의 화상이 2치화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영향받는 일이 없고, 환편옷감의 섬유부분와 뜨는 코 부분의 경계를 검출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사뜨는 코를 검출할 수가 있다.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신장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이다.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와,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를 각각 단독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황과 다른 쪽의 상황을 혼동하여 인식하는 일이 없으므로,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더욱 확대시킨 상태에서 촬상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촬상수단의 촬상방향이, 삽통체의 평면상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근방의 상황을 2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사뜨는 코를 일괄해서 동시에 촬상할 수가 있으므로, 특히, 사뜨는 코의 1개 1개에 관해서 위치조정을 할 필요가 없는 배치상태에 있을 때에는, 환편옷감의 각 사뜨는 코에 관해서, 개별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져, 사뜨는 코 전체의 검출시간이 단축되어 검출효율이 향상한다.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발광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섬유부분와 사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슬리트를 갖고,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슬리트상에 배치한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트상에 배치된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슬리트상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다. 슬리트 내의 삽통체의 단면에 복수의 LED 등의 발광체를 배열하여, 슬리트상에 배열된 있는 뜨는 옷감에 대하여 내부에서 조명하는 장치를 갖더라도 좋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이,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사뜨는 코가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추출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영역의 면적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가 추출되고, 사뜨는 코의 위치가 구해진다. 이것에 의해, 사뜨는 코가 되는 뜨는 코와 그 이외의 뜨는 코를 식별하여, 사뜨는 코의 위치를 올바르게 구할 수가 있다.
이 발명에서는,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이,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여,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소영역 내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따라서, 각 부분의 화상이 2치화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각부분의 조명상황에 영향받는 일이 없고,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사뜨는 코 부분의 경계를 검출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이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는,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다계조화상을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과, 사뜨는 코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과, 각 사뜨는 코에 전기 포인트 바늘을 자통하는 수단과, 포인트 바늘을 자통한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기구를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이다.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확대시킨 상태에서,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와,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상태를 각각 단독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의 상황과 다른 쪽의 상황을 혼동하여 인식하는 일이 없으므로, 포인트 바늘을 정확하게 사뜨는 코에 자통할 수가 있고,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
또, 이 발명에서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를 포함하는 뜨는 코를 더욱 확대시킨 상태에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고, 더욱 확실하게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촬상수단의 촬상방향이, 삽통체의 평면상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근방의 상황을 2차원적으로 촬상한다. 이것에 의해, 복수의 사뜨는 코를 일괄해서 동시에 촬상할 수가 있으므로, 환편옷감의 각 사뜨는 코에 관해서, 개별로 촬상할 필요가 없어져, 링킹에 요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이 향상한다.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발광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사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보다 정확하게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고, 더욱 확실하게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삽통체가 슬리트를 갖고,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슬리트상에 배치한 뜨는 옷감에 관해서도, 환편옷감을 투과한 빛이 촬상수단에 의해 수광된다. 이것에 의해, 슬리트상에 배치된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다계조화상이 촬상되므로, 슬리트상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고, 또, 동일의 포인트 바늘에 의해, 전방의 뜨는 옷감의 사뜨는 코와 다른 쪽의 사뜨는 코를 자통하여 링킹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이,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여, 사뜨는 코가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더라도 좋다.
이 때에는, 영역의 면적에 의거하여, 사뜨는 코가 추출되고, 사뜨는 코의 위치가 구해진다. 이것에 의해, 사뜨는 코가 되는 뜨는 코와 그 이외의 뜨는 코를 식별하여, 사뜨는 코의 위치를 올바르게 구할 수 있다.
이 발명에서는,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이,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소영역 내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따라서, 각 부분의 화상이 2치화된다. 이것에 의해, 환편옷감의 각 부분의 조명상황에 영향받는 일이 없고, 환편옷감의 섬유부분과 사뜨는 코 부분의 경계를 검출하므로, 더욱 정확하게 사뜨는 코를 검출할 수가 있어, 확실하게 소망한 사이즈, 형상으로 올바르게 링킹된다.
이 발명에서는,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사뜨는 코의 위치를 일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포인트 바늘을 전기 일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또,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트 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더욱이,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 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는, 사뜨는 코의 위치와 포인트 바늘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포인트 바늘을 사뜨는 코의 위치에 정확하게 대응시킬 수가 있다.
이 발명의 상술의 목적, 그 외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이하의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분명해 질 것이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
도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1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사뜨는 코 검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그리고, 도3은, 사뜨는 코 검출부에 발톱끝 근방부분이 서로 닫혀져 있지 않은 양말을 삽통한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도해도이다.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는, 하판(2)을 포함한다. 그리고, 하판(2)의 거의 중앙에는, 하부승강기(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승강기(3)는, 판재와 캠, 구동모터와의 짜맞춤, 또는 판재와 유압잭 등의 짜맞춤에 의해, 상면의 판재를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리고, 하부승강기(3)의 상면에는, 원통상으로 형성된 기통(4)이 설치되어 있다. 기통(4)은, 복수의 환편옷감을 삽통하여 스톡해 두기 위하여 쓰는 것이며, 적당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통(4)의 상부에는, 도2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사뜨는 코 검출부(10)가 배치되어 있다.
사뜨는 코 검출부(10)는, 긴 평판상의 하부삽통판(12a)와 상부삽통판(12b)를 포함한다.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면,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용이하게 변형하지 않는, 예컨대,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이루어진 중판(14)을 갖는다. 그리고, 중판(14)의 정면 및 배면을 덮도록 하여, EL(Electro Luminescence) 패널(16a, 16b)을 발광부분을 외향시킨 상태에서적층한다. 더욱이, EL 패널(16a, 16b)의 외향표면상에는, EL 패널(16a, 16b)을 보호하기 위해서, 표면전체를 덮도록, 예컨대 투명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투명판(18a, 18b)을 적층하여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을 구성한다.
그리고, EL 패널(16a, 16b)에는, 적절한 전압이 인가되어 임의로 발광할 수 있도록 동작전원(도시하지 않음)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발광수단으로서 EL 패널을 썼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발광기능을 갖는 것이면 좋다. 그렇지만, 후술하는 화상처리장치(26)에서의 처리를 고려하면,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의 표면상에서의 휘도가 장소에 의해서 다른 일이 없도록, 이 실시형태의 예로 쓴 EL 패널이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면발광을 행하는 것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도3에 나타내듯이, 환편옷감인 발톱끝 근방부분이 서로 닫혀져 있지 않은 양말(W)(이하 단지 미완성양말(W)라고 칭한다) 등을 삽통하여 배치하는 것이다.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미완성양말(W)를 삽통한 때에, 적어도 미완성양말(W)의 사뜨는 코(K)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뜨는 옷감을 신장하여 확대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즉, 적어도 사뜨는 코(K)를 배치하는 부분의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폭은, 미완성양말(W)의 자기 앞쪽의 뜨는 옷감과 다른 쪽의 뜨는 옷감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지 않도록 밀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미완성양말(W)의 폭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 사뜨는 코(K)를 일정높이로 보지하기 위해서, 하부삽통판(12a)의 양측에는, 양단의 사뜨는 코(K)에 거는 훅(19a, 19b)이 설치된다. 또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은, 미완성양말(W)을 매끈하게 삽통시킬 수가 있고, 하부삽통판(12a)와 상부삽통판(12b)상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돌기 등의 외형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부분을 갖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하부삽통판(12a)의 하부의 정면 및 배면에는, 하부 협지수단인, 롤러(20a, 20b)를 하부삽통판(12a)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한다. 롤러(20a, 20b)는, 도3에 나타내듯이, 사뜨는 코(K)가 형성된 부분의 하방에 두어, 미완성양말(W)을 삽통판(12a)에 압압하면서 회전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임의량만 회전할 수 있도록 인코더를 갖춘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 구동한다. 또한, 롤러(20a, 20b)는, 하부삽통판(12a)에 미완성양말(W)을 삽통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부삽통판(12a)의 근방에 테두리부(5)(도1)를 설치하고, 테두리부(5)(도1)에 암(6)을 이동가능하게 부착하고, 암(6)에 의해 롤러축의 양단를 지지하여, 삽통판(12a)의 표면에서 뗄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상부삽통판(12b)의 상방에는, 개폐자재하게 구성된 협지암부(22a, 22b)가 닫혀진 때에, 삽통판(12)의 정면 및 배면의 상부를 폭방향으로 걸쳐 끼우도록, 상부협지부(22)를 배치한다. 상부 협지부(22)는, 도3에 나타내듯이, 사뜨는 코(K)가 형성된 부분의 상방에 두어 미완성양말(W)를 협지하고, 삽통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며, 임의로 지지위치를 변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 상부승강기(7)에 의해 지지한다. 또한, 삽통판(12b)은 상부승강기(7)의 하면에 상부협지부(22)의 움직임과는 연동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 협지암부(22a, 22b)는, 벨트(8)를 거쳐 모터(9)에 의해 회전축으로 회전력이 주어져 임의로 개폐할 수 있게 구성한다. 더욱이, 상부협지부(22), 상부삽통체(12b) 등은, 하부승강기(3)의 옆에 위치하는 가대(11)에 형성되어 있는 암(13)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정면 및 배면의 근방에는, CCD 카메라(24a, 24b)가 촬상방향을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한다. CCD 카메라(24a, 24b)는,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 상에 배치한 미완성양말(W)의 모든 사뜨는 코(K)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근거리로부터 촬상하는 것이다.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은, 사뜨는 코를 검출하는 개소에 응해서, 적의 바뀌어지고 화상처리장치(26)에 입력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CCD 카메라(24a, 24b)가 촬상방향을 하부삽통판(12a)와 상부삽통판(12b)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배치하였지만, 미완성양말(W)의 사뜨는 코(K)를 포함하는 뜨는 코의 상황을 명확하게 촬상할 수 있는 범위 내라면, 적의 배치가 변경되더라도 좋다.
CCD 카메라(24a, 24b)에는, 제어부(90)(도1) 내에 설치된 화상처리장치(26)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화상처리장치(26)는,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을 기초로 하여 미완성양말(W)에 설치된 사뜨는 코(K)을 검출하는 것이다. 화상처리장치(26)는, 다계조화상을 평활화처리하는 평활화처리부(28)와, 다계조화상을 2치화처리하는 2치화처리부(30)와, 2치화 때에 쓰는 2치화역치를 구하는 역치결정부(32)와, 2치화된 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라벨링처리부(34)와,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라벨부영역의 구성화소수에 의거하여사뜨는 코 영역을 추출하여 추출 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사뜨는 코 영역추출부(36)와,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사뜨는 코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사뜨는 코 위치산출부(38)를 포함한다. 또한, 각부의 기능에 관해서는, 후술하는 미완성양말(W)에 대한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의 작동상황에 관한 설명의 때에 상술한다.
이하에 도4 내지 도6에 의해 포인트바늘 제어부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4는, 포인트바늘 제어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5는 포인트바늘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6은, 바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테두리체(5)의 자기 앞쪽 상방에는, 포인트바늘 제어유닛(50)이 배치되어 있다. 포인트바늘 제어유닛(50)은, 도4에 나타내듯이 컨베이어(52)를 포함한다. 그리고, 컨베이어(52)는 벨트(54)를 전후방향으로 수평이동하도록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벨트(54)상에는, 이송나사(56)와 이송모터(58)와의 짜맞춤으로 이루어진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가, 플레이트(61)를 거쳐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플레이트(61)에는, 이송나사(56)가 수평으로 부착되어 있다. 이송나사(56)에는, 다른 플레이트(63)가 옆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 경우, 플레이트(63)는, 하부삽통판(12a)의 근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플레이트(63)상의 자기 앞쪽에는, 이송나사(62)와 이송모터(64)로 이루어진 침압제어부(66)가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플레이트(63)의 안쪽 깊숙한 끝에는, 하부삽통판(12a)과 거의 같은 폭을 갖는 포인트바늘(68)이, 하부삽통판(12a)의 상단과 대향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포인트바늘(68)은, 특히 도5에 나타내듯이 복수의 홈(70)을 일정간격으로 설치하여, 종단면이 즐치상(櫛齒狀)으로 형성된 초부(部)(72)와, 홈(70)에 전후 밀고 당기기 자재하게 수납되는 복수의 바늘(74)과, 초부(72)의 상면의 자기 앞쪽의 일부를 덮는 덮개부(76)로 이루어진다. 바늘(74)은, 특히 도6에 나타내듯이 자기 앞쪽의 단부가 L자상으로 형성되고, 안쪽에 압출된 때에, 초부(72)의 자기 앞쪽 단면에서 괘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바늘(74)의 안쪽의 단부에는, 계단상으로 단차가 설치되고, 자기 앞쪽으로 되돌아왔을 때에, 덮개부(76)에 괘지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바늘(74)의 안쪽의 단부 상면에는, 후술하는 미싱의 바늘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홈(7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훅 19a 및 19b의 선단부분에도, 가이드홈(78)과 같은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다.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6)의 이송나사(62)에는, 도5에 나타내듯이, 암나사부재(79)가 나합된다. 암나사부재(79)에는, 바늘(74)을 압출하는 힘을 발생하기 위한 솔레노이드를 갖는 블록압인부(80)가 고정되어 있다. 더욱이, 블록압인부(80)에는, 포인트바늘(68)에 대향하는 면에 바늘누름핀(82)을 갖는 블록(84)이 부착되어 있다.
포인트바늘 제어유닛(50)은, 상술한 구성에 의해, 컨베이어(52)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포인트바늘(68)의 전후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또,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포인트바늘(68)의 횡방향위치를 변경할 수가 있다. 더욱이, 침압제어부(66)와 블록압인부(80)를 간헐적으로 구동하는 것에 의해, 바늘(74)을 일침씩 압출할 수 있다. 또, 컨베이어(52),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 침압제어부(66)와 블록압인부(80)는, 제어부(90)(도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을, 사뜨는 코 검출부(10)에 의해검출한 사뜨는 코의 위치에 대응시킬 수가 있는 동시에, 그 사뜨는 코로 향하여 압출할 수가 있다.
더욱이, 이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는, 사뜨는 코에 자통하여 된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의 가이드홈(78)을 써서 그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100)을 포함한다. 이 미싱(100)은, 하부승강기(3)의 옆에 위치하는 다른 가대(15)에 형성되어 있는 암(17) 등에 의해,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주로 도7을 참조하면서, 미완성양말(W)에 대한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작동상황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한, 도7은, 환편옷감용 링킹장치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스텝 S1에 있어서, 미완성양말(W)을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부(10)에 세트한다. 세트작업에 관해서 설명하면, 우선, 미완성양말(W)을 하부삽통판 (12a)과 상부삽통판(12b)에 삽통한다. 이 때, 미완성양말(W)의 양단의 사뜨는 코(K)에, 훅(19a, 19b)이 삽통된다. 그것에 의하여, 미완성양말(W)이, 폭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미완성양말(W)을 사뜨는 코(K)의 상방으로 상부협지부(22)의 협지암부(22a, 22b)에 의해 협지하고, 또한, 사뜨는 코(K)의 하방을 롤러(20a, 20b)를 하부삽통판(12a)에 압압하는 것에 의해 협지하여, 도3에 나타내듯이 배치한다.
다음에, 스텝 S2에 있어서, 상부협지부(22) 및 롤러(20a, 20b)에 의해, 미완성양말(W)을 삽통방향으로 신장한다. 신장은, 도3에 나타내듯이, 상부협지부(22)의 지지위치를 상방으로 이동하던지, 롤러(20a, 20b)를 회전시켜 미완성양말(W)을 하방으로 끌어내리던지, 혹은, 상기 동작의 쌍방을 행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한, 신장시에는, 사뜨는 코(K)가 CCD 카메라(24a, 24b)의 촬상가능범위 내에 배치되도록 배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금까지의 행한 스텝 Sl 및 스텝 S2에 의한 결과에 관해서 설명하면, 미완성양말(W)의 뜨는 코는,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의 폭방향과, 삽통방향의 쌍방향으로 확대되어 있으며, 화상처리장치(26)에 있어서, 사뜨는 코(K)가 검출되기 쉬운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스텝 S2에 있어서, 롤러(20a, 20b) 및 상부협지부(22)에 의해 미완성양말(W)의 삽통방향으로의 신장을 행하였지만, 스텝 Sl의 때에, 미완성양말(W)과 삽통판(12)과의 마찰에 의해, 미완성양말(W)이 삽통방향으로 적당히 신장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는 생략되더라도 좋다.
다음에, 스텝 S3에 있어서, 도8에 나타내듯이, 미완성양말(W)에 형성된 사뜨는 코(K)을 포함하는 뜨는 코의 상황을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한다. 촬상시에는, 하부삽통판(12a) 및 상부삽통판(12b)의 EL 패널(16a, 16b)이 점등되고, 미완성양말(W)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명확하게 판별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투과광이 쓰이고 CCD 카메라(24a, 24b)에서 촬상된다. 또한, 도8은, CCD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그리고, 스텝 S4에 있어서, 촬상된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장치(26)에 포함된 평활화처리부(28)에 입력하고, 평활화처리를 베푼 다계조화상으로 변환한다. 평활화처리부(28)는, CCD 카메라(24a, 24b)에 의해 촬상된 다계조화상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고, 화소마다의 농도계조의 미세한 변동을 없앤 화상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평활화처리를 베푸는 것에 의해, 다계조화상은, 미완성양말(W)의 섬유부분과 뜨는 코 부분과의 경계부분을 보다 명확하게 판별할 수 있는 화상으로 된다. 또한, 평활화필터로서는, 착목(着目)한 화소 및 그 주위의 화소의 계조의 평균치를 구하고, 그 평균치를 착목한 화소의 값과 바꿔 놓는 단순평균화필터나 이동평균법을 쓴 필터 등을 쓸 수가 있다.
스텝 S5에 있어서, 도9에 나타내듯이, 평활화된 다계조화상을 2치화처리부(30)에 입력하고, 2치화처리를 베풀어 2치화상으로 변환한다. 또한, 도9는, 도8에 나타내는 다계조화상이 2치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2치화처리에 관해서 도10을 써서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스텝 S51에 있어서, 역치결정부(32)에 의해, 다계조화상이 각각이 동등한 면적을 갖는 소영역으로 분할된다. 소영역으로 분할하는 때에는, 소영역이 어떤 일정의 비율을 가지고 중복하 도록 분할되더라도 좋다. 또한, 도10은, 2치화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흐름도이다.
다음에, 스텝 S52에 있어서, 소영역마다의 농도 히스토그람에 의거하여, 각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한다. 더욱이, 소영역사이에서 역치의 보간을 행하는 것에 의해 평활화된, 보다 적절한 2치화역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역치결정법으로서 P-타일법을 썼지만, 그 외에, 모드법이나 판별분석법 등의 역치결정법이 쓰이더라도 좋다.
또한, 미완성양말(W)의 조명상황의 변동이 작고, 2치화역치를 빈번히 변경할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최초에 본 스텝을 실행하여 얻어진 2치화역치를 보존하고, 이것을 다음회 이후의 입력화상의 2치화처리에 적용해도 좋다.
스텝 S53에 있어서는, 2치화처리의 최종 스텝인 다계조화상의 2치화상으로의 변환을 행한다. 2치화처리의 때에는, 역치결정부(32)에 의해 결정된 각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써서 변환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9에 나타내듯이, 섬유부분에 해당하는 개소, 즉 농도계조가 높은 화소에 화상신호“1”을, 그리고, 뜨는 코 부분에 해당하는 개소, 즉 농도계조가 낮은 화소에 화상신호“0”을 할당하도록 하여 2치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스텝 S6에 있어서는, 라벨링처리부(34)에 의해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한 결과, 도11에 나타내듯이, 섬유부분에 해당하는 개소의 화소는“0”인 채로, 라벨이 부여하지 않고 유지하고 있다. 그리고, 사뜨는 코(K)을 포함하는 뜨는 코 부분에는,“0”이외의 문자나 기호 등의 라벨을 부여하여 영역을 형성한다. 그 결과, 도9와 도11을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사뜨는 코(K)를 나타내는 영역에는 각각“c”,“d”,“e”,“f”,“g”의 라벨이 할당되어 있다. 또한, 도11은, 도9에 나타내는 2치화상이 라벨링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스텝 S7에 있어서는, 도12에 나타내듯이, 라벨이 붙여진 사뜨는 코(K)를 나타내는 영역(이하 단지 사뜨는 코 영역이라고 칭한다)을, 사뜨는 코 영역추출부(36)에 의해 추출한다. 또한, 도12는, 도11에 나타내는 라벨화상으로부터 사뜨는 코 영역이 추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해도이다.
사뜨는 코 추출처리에 관해서 도13을 써서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스텝 S71에 있어서, 라벨이 붙여진 영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부 영역의 구성화소수(이하 단지 면적이라고 칭한다)를 영역마다 계수한다. 또한, 도13은, 사뜨는 코 추출처리의 작동상황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다음에, 스텝 S72에 있어서, 미리 설정하고 있던 면적역치와 각 라벨부 영역과의 면적이 비교되고, 면적역치에서 착목한 라벨부 영역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스텝 S731에 나타내듯이, 착목한 영역의 라벨치가 삭제되고, 그 영역의 화소에는“0”이 입력된다. 또 면적역치에서 착목한 라벨부 영역의 면적이 큰 경우에는, 스텝 S732에 나타내듯이, 현상의 형인 채로 착목한 영역의 라벨치를 보존한다. 또한, 면적역치는, 사뜨는 코(K)의 화상이 2치화되고, 라벨링처리된 때에, 사뜨는 코의 라벨부 영역의 구성화소수의 최소치를 기준으로서, 이것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면적역치를 12로 하였다.
그리고, 스텝 S74에 있어서, 미처리의 라벨부 영역이 존재하는지 아닌지가 판단되고, 모든 라벨부 영역에 관해서, 스텝 S72로부터의 작업이 베풀어지도록 처리되어 있다.
스텝 S8에 있어서는, 사뜨는 코 위치산출부(38)에 의해, 사뜨는 코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사뜨는 코 영역의 중심위치를 사뜨는 코의 위치라고 간주하고 산출하고 있다.
그리고, 도14에 나타내듯이, 스텝 S9에 있어서는, 검출된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바늘(74)의 위치로부터, 바늘(74)이 그 사뜨는 코(K)에 삽통할 수 있는지 아닌지가 판단된다.
만약, 도15에 나타내듯이, 바늘(74)과 검출된 사뜨는 코(K)와의 위치가, 상하방향으로 어긋나 있기 때문에, 바늘(74)이, 사뜨는 코(K)에 자통할 수 없는 위치에 있을 때는, 스텝 SlO에 있어서, 롤러(20a, 20b)에 의해서 하부삽통판(12a), 상부삽통판(12b)에 따라 옷감를 변위시키고, 또 옷감의 변위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포인트바늘(68)을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K)에 대응한 위치에 바늘(74)이 오도록 조정된다. 또, 바늘(74)과 검출된 사뜨는 코(K)와의 위치가, 횡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포인트바늘 횡위치제어부(60)에 의해서, 포인트바늘(68)을 횡방향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K)에 대응한 위치에 바늘(74)이 오도록 조정된다.
스텝 S1O에 있어서, 조정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회귀점(1)으로 공정이 되돌려지고, 다시 사뜨는 코의 위치가 검출된다. 그리고, 1회의 조정으로 사뜨는 코에 대응한 위치에 바늘(74)을 맞출 수 없는 경우, 상술과 같은 위치의 조정이, 복수회 행하여진다.
이와 같은 조정에 의해서, 도16에 나타내듯이, 1개의 사뜨는 코와 바늘(74)이 대응한 위치에 오면, 스텝 S11에 있어서, 블록압인부(80)에 의해서 바늘(74)의 압출이 행하여진다. 그것에 의하여, 도17에 나타내듯이, 바늘(74)은 옷감의 사뜨는 코(K)에 자통되고, 하부삽통판(12a)의 한쪽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정지한다.
그리고, 스텝 S12에 있어서는, 바늘(74)의 압출이, 하부삽통판(12a)의 한쪽면측에 있는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하여 행하여졌는지가 판단된다. 만약, 한쪽면측의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해서 행하여져 있지 않은 경우에는, 회귀점(1)으로 공정이 되돌려진다. 또, 한쪽면측에 있는 모든 사뜨는 코에 관하여 행하여진 경우에는, 스텝 S13으로 공정이 진행된다.
스텝 S13에 있어서는, 양쪽면측의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하여 스텝 S11에 있어서의 공정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된다. 양쪽면측의 모든 사뜨는 코(K)에 바늘(74)이 압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4로 공정이 진행된다.
스텝 S14에 있어서는, 도18에 나타내듯이, 하부삽통판(12a)이 하방으로 슬라이드하여, 상부삽통판(12b)과의 사이에 슬리트(N)가 형성된다. 이 때, 포인트바늘(68)이 옷감의 사뜨는 코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도19에 나타내듯이, 포인트바늘(68)은 컨베이어(52)에 의해 전방으로 조금만 압출되고, 바늘(74)이 슬리트(N)의 안에 위치된다. 더욱이, 슬리트(N) 근방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라이트가 점등되고, 촬상하는 카메라를 CCD 카메라(24b)로 바꾼 후, 회귀점(1)으로 공정이 되돌려진다.
또, 하부삽통판(12a)과 상부삽통판(12b)과의 사이에 슬리트(N)가 형성되더라도, 도18 및 도19에 나타내듯이,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바늘(74)이 대응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도, 사뜨는 코 검출부(10)에 의해서, 사뜨는 코(K)가 검출된다. 그리고,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에서 행한 것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삽통판(12a, 12b)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의 옷감의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바늘(74)이 대응하는 위치에 오도록 조정된다. 또한, 옷감은 롤러(20a, 20b)에 의해서 변위시켜지기 위해서, 삽통판의 양면측에서 동시에 변위하지만, 삽통판의 한쪽면측에서는, 사뜨는 코(K)에 바늘(74)이 자통되고 있기 때문에,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에 있어서 옷감은 그다지 변위하지 않고, 바늘(74)이 사뜨는 코(K)에서 빠지는 일은 없다.
이와 같은 조정에 의해, 도20에 나타내듯이, 삽통판(12a, 12b)의 다른쪽면측에 있어서의 옷감의 사뜨는 코(K)와 바늘(74)이 대응한 위치에 오면, 바늘(74)은, 블록압인부(80)에 의해 더욱 압출된다. 그것에 의하여, 도21에 나타내듯이,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 및 다른쪽면측에 있어서, 옷감의 사뜨는 코(K)에 1개의 바늘(74)이 자통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모든 사뜨는 코(K)에 관해서, 삽통판(12a, 12b)의 한쪽면측에서 바늘(74)이 자통된다. 그리고, 스텝 S13에 있어서, 모든 사뜨는 코(K)에 바늘(74)이 자통된 때에는, 이들의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 및 훅(19a, 19b)의 가이드홈을 이용하여 미싱(100)에 의해 링킹이 행하여진다.
또한, 이 사뜨는 코 영역의 위치정보는, 적의, 화상처리장치(26)의 내부 혹은 외부에 설치한 기록장치(도시하지 않음)에 비축하던지, 혹은, 포인트바늘과 환편옷감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변화시키는 기능을 갖는 링킹장치에 입력되고, 사뜨는 코로의 포인트바늘의 자동자통처리를 행하는 경우에 쓰인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뜨는 코 이외의 뜨는 코가, 사뜨는 코 영역추출부(36)에 추출되지 않은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사뜨는 코 이외의 뜨는 코가, 면적역치를 넘어서 추출되는 때를 고려하여, 미리 삽통체(12a, 12b)에 미완성양말(W)을 배치한 때의 사뜨는 코 위치정보를 기초로 하여 설정된 사뜨는 코의예측위치를 참조하여, 그 위치에 가장 가까이 위치하는 뜨는 코의 라벨부 영역을 사뜨는 코 영역으로서 추출처리 할 수도 있다. 또, 예측위치의 근방에 사뜨는 코(K)의 영역이 추출되지 않은 경우는, 최초의 면적역치를 내려, 예측위치근방에 사뜨는 코 영역이 추출되기까지, 상기처리를 반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포인트바늘(68)을 사뜨는 코(K)에 자통할 때에, 포인트바늘(68)과 옷감의 양쪽을 변위시킬 필요는 없고, 예컨대 옷감을 고정한 채로, 포인트바늘(68)을 상하좌우로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고, 포인트바늘(68)을 사뜨는 코(K)의 위치에 갖고 오더라도 좋다. 더욱이, 포인트바늘(68)을 고정하고, 예컨대 옷감의 상하좌우에 롤러를 배치하는 것에 의해, 옷감을 상하좌우로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고, 그것에 의하여 포인트바늘(68)이 사뜨는 코(K)의 위치에 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에서는, 포인트바늘(68)의 바늘(74)이 삽통판의 한쪽면측에만 설치되고, 바늘(74)이 삽통판의 한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K)에 자통되고, 더욱이, 그 바늘(74)이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K)에도 자통되지만, 이 발명에서는, 포인트바늘의 바늘을 삽통판의 한쪽면측 및 다른쪽면측에 각각 설치하고, 삽통판의 한쪽면측의 바늘을 삽통판의 한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에 자통하고,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의 바늘을 삽통판의 다른쪽면측에 있는 사뜨는 코에 자통하고, 그것들의 바늘을 맞댄 뒤에, 한쪽의 바늘이 그것들의 사뜨는 코를 자통하도록 사뜨는 코를 옮기더라도 좋다. 이 경우, 한쪽의 바늘을 그것들의 사뜨는 코에 자통한 후, 그것들의 사뜨는 코가 한쪽의 바늘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그 바늘의 앞부분을 빠짐방지부재로 눌러 놓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의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에서는, 복수의 바늘(74)을 복수의 사뜨는 코(K)에 단으로부터 순으로 자통하였지만, 이 발명에서는, 우선, 복수의 사뜨는 코(K) 중 적당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적당한 수의 사뜨는 코(K)에만 바늘(74)을 자통하는 것에 의해, 나머지의 사뜨는 코(K)와 나머지의 바늘(74)이 대응하도록 하고, 나머지의 사뜨는 코(K)에 나머지의 바늘(74)을 거의 동시에 자통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의 환편옷감용 링킹장치(1)에서는, 복수의 사뜨는 코(K)의 위치와 복수의 바늘(74)의 위치가 대응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바늘(74)을 그것들의 사뜨는 코(K)에 거의 동시에 자통할 수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도시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이것은 단순한 도해 및 일례로서 쓴 것이며, 한정된다고 이해되어서는 안 되는 것은 분명하고,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는 첨부된 클레임의 문언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위치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가 있고, 반드시 원하는 크기 및 형태로 환편옷감을 정확하게 링킹할 수 있다.

Claims (54)

  1.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체를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공정과,
    전기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과,
    전기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을 전기 삽통체의 삽통방향으로 신장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평면상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환편옷감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투과하는 빛을 써서 행하여지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로서, 슬리트를 갖는 삽통체를 쓰고,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과, 전기 슬리트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외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투과하는 빛을 쓰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전기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전기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사뜨는 코 검출방법.
  8.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전기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전기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전기 촬상수단은, 촬상방향이 전기 삽통체의 평면상 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발광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12.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리트를 갖고,
    전기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13.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전기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전기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전기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사뜨는 코 검출장치.
  15. 사뜨는 코를 갖는 환편옷감의 내부에 삽통하여 환편옷감을 신장시키는 삽통체와,
    전기 삽통체에 의해 신장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을 포함하는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수단과,
    전기 다계조화상을 화상처리하는 것에 의해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사뜨는 코 검출수단과,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과,
    각 사뜨는 코에 전기포인트바늘을 자통하는 수단과,
    전기 포인트바늘을 자통한 사뜨는 코를 링킹하기 위한 미싱기구를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상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상부협지수단과,
    전기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의 하부를 협지하여 삽통방향으로 이동하는 하부협지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적어도 사뜨는 코가 배치되는 표면이 평면상으로 형성되고,
    전기 촬상수단은, 촬상방향이 전기 삽통체의 평면상 표면의 폭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발광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19.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리트를 갖고,
    전기 슬리트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20.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갖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갖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전기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복수의 소영역으로 분할하고, 전기 소영역의 화상특성에 의거하여 전기 소영역마다의 2치화역치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22. 제15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한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전기 포인트바늘을 전기 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23. 제15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트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24. 제15항 또는 제16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트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25. 제3항에 있어서,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환편옷감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투과하는 빛을 써서 행하여지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26.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로서, 슬먕팬를 겊는 삽통체를 쓰고,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슬먕팬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과, 전기 슬먕팬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외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투과하는 빛을 쓰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27.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로서, 슬먕팬를 겊는 삽통체를 쓰고,
    전기 다계조화상을 촬상하는 공정은, 전기 슬먕팬에 빛을 조사하는 공정과, 전기 슬먕팬에 있어서 전기 환편옷감의 외부의 한쪽으로부터 다른쪽으로 투과하는 빛을 쓰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28. 제3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29. 제4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30. 제5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검출하는 공정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공정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공정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31.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발광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32.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먕팬를 겊고,
    전기 슬먕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33. 제11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먕팬를 겊고,
    전기 슬먕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34. 제10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35. 제11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36. 제12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장치.
  37.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발광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38.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먕팬를 겊고,
    전기 슬먕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39. 제18항에 있어서, 전기 삽통체는, 슬먕팬를 겊고,
    전기 슬먕팬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0.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1. 제18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2. 제19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 검출수단은,
    전기 다계조화상을 2치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2치화상을 라벨화상으로 변환하는 수단과,
    전기 라벨화상에 포함되는 라벨이 붙여진 각 영역의 구성화소수를 계수하고, 전기 사뜨는 코가 전기 라벨화상에 있어서 형성하는 영역의 최소 구성화소수를 기준으로서 설정한 값보다 큰 구성화소수를 겊는 영역만을 추출한 추출라벨화상을 생성하는 영역추출수단과,
    전기 추출라벨화상에 포함되는 각 영역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에 의해 각 사뜨는 코의 위치를 구하는 수단을 겊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3.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한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전기 포인팬바늘을 전기 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4. 제18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한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전기 포인팬바늘을 전기 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5. 제19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한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전기 포인팬바늘을 전기 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6. 제20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한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과, 전기 포인팬바늘을 전기 한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7.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팬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8. 제18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팬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49. 제19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팬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50. 제20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포인팬바늘을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51. 제17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52. 제18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53. 제19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54. 제20항에 있어서,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에 포인팬바늘을 대응시키는 수단은, 전기 사뜨는 코의 위치를 2차원적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KR1019990001377A 1998-01-19 1999-01-19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KR100317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2262598A JP3383567B2 (ja) 1998-01-19 1998-01-19 丸編生地のかがり目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1998-22625 1998-01-19
JP1998-23730 1998-01-20
JP02373098A JP3383568B2 (ja) 1998-01-20 1998-01-20 丸編生地用リンキング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966A KR19990067966A (ko) 1999-08-25
KR100317572B1 true KR100317572B1 (ko) 2001-12-22

Family

ID=5478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1377A KR100317572B1 (ko) 1998-01-19 1999-01-19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75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37287B2 (ja) * 2001-03-14 2005-04-13 株式会社ダン 平編地のリンキング方法および平編地リンキ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966A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17012B2 (en) Drug recognition device and method
EP2573550A1 (en) Cloth inspection device and inspection method
US6369896B1 (en) Method for visually inspecting textile garments, and a system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CN104118009B (zh) 冲裁机
CN112218960B (zh) 皮革检查系统
EP1526481A3 (en) Object extraction based on color and visual texture
RU26323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подводом стопы ценных документов
CN101250783A (zh) 根据纱线量区分纱筒的装置
EP3162953A1 (en) Device for processing of object to be processed
US6397121B1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op stitch of tubular knitted fabric, and apparatus for linking tubular knitted fabric
CN111562260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莲藕泥孔检测方法及装置
DE19906021C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trennen scheibenförmiger Körper von einem Ursprungskörper
KR100317572B1 (ko) 환편옷감의 사뜨는 코 검출방법 및 환편옷감용 사뜨는 코 검출장치 및 환편옷감용 링킹장치
JP3383568B2 (ja) 丸編生地用リンキング装置
KR100796446B1 (ko) 평편지의 링킹방법 및 평편지 링킹장치
JP3383567B2 (ja) 丸編生地のかがり目検出方法および装置
DE60205008T2 (de) Kettelverfahren und -vorrichtung
CN112683803A (zh) 一种皮革正反面缺陷的自动检测装置
KR100529402B1 (ko)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CN210269646U (zh) 一种智能缺陷识别扫描仪
DE59006933D1 (de) Separator für Nahtmaschinen.
JP2003320186A (ja) リンキングマシン
CN210657682U (zh) 一种双面验布机
KR20030086901A (ko) 링킹방법 및 링킹장치
ITMN20130003A1 (it) Dispositivo di controllo tagli in una macchina di controllo visivo e selezione automatic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