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766A -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766A
KR20030047766A KR1020020076958A KR20020076958A KR20030047766A KR 20030047766 A KR20030047766 A KR 20030047766A KR 1020020076958 A KR1020020076958 A KR 1020020076958A KR 20020076958 A KR20020076958 A KR 20020076958A KR 20030047766 A KR20030047766 A KR 20030047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nector
movable
compress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3333B1 (ko
Inventor
소네모토키
나구라카주히토
오헤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47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3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33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7Snap or like fastening comprising annular latching means, e.g. ring snapping in an annular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53Electrical connectors with latch rod to be retainingly received by opening of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는, 웅형(male) 결합부 및 이 웅형 결합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삽입 및 제거 가능하다. 커넥터는,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가동부의 플러그 삽입방향으로의 변위 시에 플러그의 웅형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가동부의 플러그 제거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플러그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플러그의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플러그에 대한 고정 및 그의 해제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그것을 구비한 전자기기{CONNECTOR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CONNECTOR}
본 발명은, 광화이버 케이블 등의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된 플러그를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기기에는, 다른 전자기기와 접속하여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기 위해, 미니 잭 등의 잭이 통상 구비되어 있다. 이 잭을 사용한 전자기기 끼리의 접속은, 그들 양 전자기기의 잭에 접속 케이블의 단부에 제공된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행해진다.
상기 잭 및 플러그에 대해서는, 예컨대 일본 등록 실용신안공보 제3041482호(등록일 1997년 7월 2일)에 개시되어 있다. 이들의 구조를 도27에 나타낸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301)는, 선단부에 대직경부(302)를갖고, 그의 아래 부분에 압축부로 되는 소직경부(303)를 갖는다. 한편, 잭(311)은, 예컨대 판 스프링으로 된 플러그 고정용의 접합부(312)를 갖는다.
플러그(301)를 잭(311)에 삽입 장착할 때는, 잭(311)에 대하여 플러그(301)를 A 방향으로 삽입한다. 잭(311)에서는, 플러그(301)가 진입해 오면, 접합부(312)가 플러그(301)에 의해 압압되어 플러그(301)의 대직경부(302)의 형상에 따라 플러그 삽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 후, 대직경부(302)가 접합부(312)를 통과하면, 접합부(312)가 플러그(301)의 소직경부(303)에 결합한다. 이것이 잭(311)으로의 플러그(301)의 삽입 완료 상태로 된다.
잭(311)으로부터의 플러그(301)의 제거는, 상기 동작과 반대의 동작에 의해, 제거 방향(A 반대 방향)으로의 플러그(301)의 이동에 따라, 플러그(301)의 대직경부(302)가 잭(311)의 접합부(312)에 직접 작용함에 의해 행하여진다. 이 제거는, 플러그(301)에 비교적 작은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가능하다. 한편, 플러그(301)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제거에 필요한 힘 미만이면, 잭으로의 플러그의 삽입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공보에서는, 도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량된 접합부(322)를 갖는 다른 잭(321)을 나타내고 있지만, 그 기본구조 및 플러그(301)의 삽입 및 제거 시의 동작은 상기 잭(311)과 마찬가지이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301) 및 잭(311)은, 구조가 간단하고 또한 염가인 동시에, 잭(311)에 대한 플러그(301)의 삽입 및 제거가 용이하다. 그 반면, 작은 힘으로써 플러그(301)가 잭(311)으로부터 간단하게 제거되어 버리기 때문에, 서로 케이블로서 접속된 전자기기 사이에서의 신호의 송수신이 중단되는 사고가 발생되기 쉽다. 특히, 거치형의 전자기기 끼리의 접속에 있어서는, 플러그(301)와 잭(311)의 부적합한 채용의 경우에, 진동 등에 의해 플러그(301)가 제거되는 사태도 발생되고 있다.
한편, 예컨대 이서넷(Ethernet, 등록상표) 또는 일본국 공개 특허 공보 제2000-147317호(공개일 2000년 5월 26일)에서는, 상기와 같은 뜻하지 않은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기 위해, 플러그와 커넥터의 접속에 메카니컬 로크가 채용되어 있다.
예컨대 상기 공보의 기술에서는,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화이버 케이블(333)의 단부에 플러그(331)가 제공되어 있고, 플러그(331)의 본체부분으로부터 클로(claw)부(332)가 돌출되어 있다. 이 클로부(332)는, 플러그(331)를 커넥터(341)에 삽입 장착하였을 때에, 커넥터(341)의 결합부(342)에 결합된다. 이로써, 플러그(331)가 커넥터(341)로부터 뜻하지 않게 제거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341)로부터의 플러그(331)의 제거는, 클로부(332)를 플러그(331)의 본체 측으로 누른 상태에서, 플러그(331)를 제거방향으로 빼는 것에 의해 행하여진다.
그런데, 도29에 나타낸 플러그(331)는, 커넥터(341)에 삽입되는 본체부분과는 별도로, 그 본체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클로부(332)를 갖는 것이기 때문에, 소형화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있다. 또한, 커넥터(341)에는, 상기 클로부(332)에 대응하여 결합부(342)가 필요하게 되어, 커넥터(341)를 구비한 전자기기에는,결합부(342)의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예컨대 이서넷(등록상표)에 사용되는 메카니컬 로크는, 플러그측에 제공된 로크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그의 회전방향을 확인하지 않으면 안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작업이 번거롭게 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커넥터에 삽입되는 부분에 가동부를 갖는 플러그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플러그에 대응하는 커넥터에서는, 상기 가동부가 메카니컬 로크 기구에 작용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그와 같은 커넥터에 대해서는 아직 제안된 것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커넥터에 삽입되는 부분에 가동부를 갖는 플러그에 대응 가능한 커넥터, 및 그 커넥터를 구비한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커넥터는, 웅형 결합부와 이 웅형 결합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는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삽입방향으로의 변위 시에 상기 웅형 결합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제거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플러그 고 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고정부재에 의해,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가동부의 플러그 삽입방향으로의 변위 시에 웅형 결합부가 고정된다. 한편, 가동부의 플러그 제거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웅형 결합부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플러그의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 플러그에 대한 고정 및 그의 해제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기기는, 상기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이하에 나타내는 기재에 의해서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응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가동부가 진출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응하는 플러그에 있어서, 가동부가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4a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를 삽입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4b는, 도4a의 상태로부터 플러그의 삽입이 진행하여,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커넥터의 압축부가 압압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4c는,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5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결합부의 제1면의 각도가 변경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6은, 도1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7은,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의 도6에 나타낸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9는, 도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의 절곡 방향이 역방향으로 된 경우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0은, 도1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에 도시된 지지부의 구조 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13a는, 도1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를 삽입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3b는,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4는, 도11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결합부의 제1면의 각도가 변경된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5는, 도11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6a는, 도15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를 삽입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6b는,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6c는, 도16b의 상태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결합부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플러그의 웅형 결합부에 대하여 분리되는 경우의 커넥터의 지지부의 위치의 설명도이다.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19a는, 도18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를 삽입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9b는,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19c는, 도19b의 상태로부터 플러그를 제거하는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20은, 도18에 도시된 커넥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21은, 도20에 도시된 커넥터에 있어서의 플러그 고정부재의 사시도이다.
도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23은, 도22에 도시된 커넥터의 중간 연장부 및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4a는, 도22에 도시된 커넥터에 대하여, 플러그를 삽입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4b는,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24c는, 도24b의 상태로부터 플러그의 가동부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가 제거되는 경우의 커넥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도25는, 도23에 도시된 중간 연장부 및 결합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6은, 본 실시예의 커넥터를 구비하는 각 전자기기의 예와, 그 전자기기들 끼리의 접속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27은, 종래의 잭과 그것에 삽입되는 플러그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8은, 도27에 도시된 잭과는 별도의 종래의 잭에 플러그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29는, 제거 방지용의 클로(claw)부를 갖는 플러그를 이 플러그에 대응하는 종래의 커넥터에 삽입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실시예1〕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1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 대응하는 플러그는, 도2 및 도3에 나타낸 구성을 갖고 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11)는 중심부에 축(12)을 갖고 있다. 이 축(12)의 내부에는 예컨대 광화이버가 배치되어 있다. 축(12)의 선단부에는 웅형 결합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웅형 결합부(비가동부)(13)는, 선단부측에서 후단부측으로 앞경사면(13a), 균일 직경면(13b) 및 뒤경사면(13c)을 갖고 있다.
축(12)에서의 웅형 결합부(13)의 후방측에는, 상기 웅형 결합부(13)보다 직경이 작게 된 잘록한 부분인 소직경부(1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소직경부(14)의 외주면은 모두 균일 직경면으로 되어있다.
플러그(11)에서의 소직경부(14)의 후방측에는 가동부(15)가 제공되어 있다. 가동부(15)는, 선단부측에서 후단부측으로 앞경사면(15a), 균일 직경면(15b) 및 뒤경사면(15c)을 갖고 있다. 균일 직경면(15b)의 직경은, 소직경부(14) 및 웅형 결합부(13)에서의 균일 직경면(13b)의 직경보다 크게 되어있다. 이 가동부(15)는 축(12)의 외주부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15)는, 웅형 결합부(13) 및 소직경부(14)에 대하여, 플러그(11)의 축방향, 즉 후술하는 커넥터(21)로의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진퇴이동 가능하다.
또한, 가동부(15)는, 중간부(16)를 통해 핸들부(17)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부(15)는 핸들부(17)와 일체로 이동한다. 중간부(16)는, 플러그(11)가 커넥터(21)로 삽입될 때의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또한, 핸들부(17)는, 플러그(11)의 사용자가 플러그(11)를 삽입 및 제거할 때의 파지부로 된다.
또한, 가동부(15)는, 탄성부재에 의해 플러그(11)의 선단방향으로 뒤로 밀려져 있다. 이 밀려짐에 의해 가동부(15)가 가장 전진한 진출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도2이고, 조작자에 의해 핸들부(17)가 잡아 당겨져서 가동부(15)가 가장 후퇴한 후퇴위치에 배치된 상태가 도3이다.
상기 플러그(11)와 대응하는 커넥터(21)는, 내부에 도1에 나타낸 메카니컬 로크 기구부를 갖는다. 이 메카니컬 로크 기구부는, 예컨대 판 스프링으로 된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22)을 갖고 있다. 이 플러그고정부재(22)는, 플러그 삽입방향, 즉 A 방향의 전방 단부측에서 B 방향의 후방 단부측으로 결합부(23), 압축부(24) 및 지지부(25)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이들 결합부(23), 압축부(24) 및 지지부(25)는, 커넥터(21)에 플러그(11)가 삽입되어 배치되었을 때에 플러그(11)가 존재하는 영역인 플러그영역(26) 주위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결합부(23)와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방향으로 돌출되어, 플러그영역(26)방향에서의 결합부(23)와 압축부(24)의 선단위치는, 결합부(23)쪽이 압축부(24)보다 플러그영역(26)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있다.
결합부(23)는 플러그 고정부재(22)를 거의 V 자형으로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23)는, 플러그 삽입방향인 A 방향 측으로 제1면(23a)을 갖고, 플러그 제거방향인 B 방향 측에 제2면(23b)을 갖고 있다. 제1면(23a)은, 적어도 플러그(11)가 커넥터(21)로부터 제거될 때, 플러그(11)에 서의 웅형 결합부(13)의 뒤경사면(13c)이 접하게 되는 면이다. 제2면(23b)은, 플러그(11)가 커넥터(21)에 삽입될 때,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앞경사면(13a)과 접하는 면이다. 또한, 제2면(23b)은, 앞경사면(13a)과 반드시 접해야 할 필요는 없다.
커넥터(21)로의 플러그 삽입 완료시에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는, 커넥터(21)로의 플러그 삽입 전에 B 방향에 대한 제2면(23b)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있다. 이로써, 결합부(23)는, 플러그영역(26)으로의 플러그(11)의 삽입이 용이한 한편, 플러그(11)의 가동부(15)를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플러그영역(26)으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를 적절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플러그 고정부재(22)에서의 결합부(23)로부터, 플러그 고정부재(22)에서의 플러그 삽입방향 단부측의 부분은, 플러그 삽입방향(A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P-Q 방향)에 있어서 플러그영역(26)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P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27)로 되어있다.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의 방향, 즉 Q 방향으로 돌출한 만곡 형상, 예컨대 반원의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23)와 압축부(24) 사이는 P 방향으로 후퇴한 오목부(28)로 되어있다.
지지부(25)는 중간 연장부(29,30)를 통해 압축부(24)와 접속되어 있다. 중간 연장부(30)는 지지부(25)로부터 A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중간 연장부(29)는 중간 연장부(30)의 A 방향측 단부에서 Q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고정부재(22)에서의 플러그(11)의 제거측 단부는, 지지부(25)에서 P 방향으로 거의 직각으로 접혀져서 제거방향 단부 연장부(31)를 형성한다.
제거방향 단부 연장부(31)는 지지부재(32)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되어 있다. 이 배열에 의해, 플러그 고정부재(22)에서의 지지부(25)로부터 A 방향측의 부분이, 지지부(25) 또는 중간 연장부(30)에서의 탄성변형, 및 그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방향의 응력(이하, 이를 회전 응력이라 함)에 의해, P-Q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회전 응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러그 고정부재(22)에 있어서, 탄성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방향의 힘이고, 지지부(25)를 중심으로 한 회전력으로서 작용한다. 이 점은, 이하의 각 커넥터의 예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커넥터(21)에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27) 또는 결합부(23)의 A 방향 측면에, 이동하는 결합부(23)를 P-Q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33)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영역(26)의 A 방향 단부 위치에는, 플러그영역(26)으로부터 더 이상의 A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이동을 방지하는 선단위치 결정 부재(34)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는, 플러그영역(26)으로의 플러그(11)의 삽입 및 제거를 안내하는 안내부재(35)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21)에 플러그(l1)를 삽입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11)의 핸들부(17)를 쥐고, 플러그(11)를 커넥터(21)에 대하여 A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 삽입동작에 의해, 플러그(11)는, 먼저 도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5)가 커넥터(21)의 안내부재(35)에 의해 안내되어 진행한다.
다음에, 플러그(11)의 결합부(13)에서의 앞경사면(13a)이 커넥터(21)의 결합부(23)에서의 제2면(23b)과 접하게 됨과 동시에,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서의 앞경사면(15a)이 커넥터(21)의 압축부(24)와 접하게 된다. 이로써, 결합부(23) 및 압축부(24)가 P 방향으로 눌려져 그 방향으로 변위한다. 이 때의 결합부(23)의 이동은 안내부재(33)에 의해 안내된다.
또한, 상기 동작에 있어서는, 커넥터(21)의 결합부(23), 압축부(24)가 각각 웅형 결합부(13), 가동부(15)에 의해 함께 P 방향으로 눌려져 변위될 필요는 없고, 어느 하나만의 동작에 의해 결합부(23) 및 압축부(24)가 P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으로 될 수 있다.
다음에,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2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최대 직경부분인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이 때, 플러그(11)의 중간부(16)가 커넥터(21)의 안내부재(35)에 의해 안내된다.
그 후,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서의 균일 직경면(15b)이 커넥터(21)의 압축부(24)의 위치를 지나가면, 도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25) 주위의 회전 응력에 의해, 압축부(24)가 가동부(15)의 균일 직경면(15b)과 중간부(16) 사이의 오목부(18)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터(21)의 결합부(23)가, Q 방향으로이동하여 소직경부(14)로 들어가,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후단부, 즉 뒤경사면(13c)과 결합한다. 이 결과, 플러그(11)가 부착된 접속 케이블을 잡아당기게 됨에 의해, 커넥터(2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상기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선단부는 선단위치 결정 부재(34)와 접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1)는, 이 위치로부터 더 이상의 A 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21)로의 플러그 삽입 완료시에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는, 커넥터(21)로의 플러그 삽입 전의 B 방향에 대한 제2면(23b)의 각도보다 커지게 된다. 따라서, 플러그(11)는 결합부(23)에 의해 B 방향으로의 이동이 적절하게 방지된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예컨대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이 잡아 당겨진 경우에, 플러그(11)가 커넥터(2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도4c에 나타낸 커넥터(21)로의 플러그(11)의 삽입완료상태로부터 플러그(1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11)의 핸들부(17)를 쥐고 B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동작에 의해, 플러그(11)의 핸들부(17)와 같이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하여, 커넥터(21)의 압축부(24)가 가동부(15)의 뒤경사면(15c)을 지나서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이로써, 도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21)의 압축부(24)가 P 방향으로 변위하고, 이로써 결합부(23)가 P 방향으로 이동한다.이 결과,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어,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이동, 즉 커넥터(2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그 후, 도4a에 나타낸 상태를 지나서, 커넥터(21)로부터 플러그(11)가 제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커넥터(21)에서는, 플러그(11)의 핸들부(17)를 잡아당김에 의해, 커넥터(21)로부터 플러그(11)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21)에서는, 커넥터(2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시에,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은, 삽입완료시의 커넥터(21)의 결합부(23)에서의 제1면(23a)의 경사 각도, 즉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고정부재(22)가 판 스프링으로 된 경우에, 결합부(23)로부터 지지부(25)까지의 사이의 어느 부분에 대해, 스프링의 강도 또는 그 부분의 강도를 조정함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5에는, 커넥터(21)의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의 각도를 적당하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삽입완료시에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를 도4c에 나타낸 경우보다 작게 하여, 결합부(23)에 의한 웅형 결합부(13)로의 결합 강도를 약하게 하고 있다. 즉, 플러그(11)(웅형 결합부(13))를 B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 결합부(23)로부터 지지부(25)까지의 어느 부분, 예컨대 오목부(28)의 작은 량의 휨에 의해,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기가 용이하게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함에 의해, 예컨대 접속 케이블에 발이 걸리게 되는 경우와 같이, 플러그(11)에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러그(11)나 커넥터(21)의 파손, 그 밖의 접속 케이블을 접속한 전자기기가 낙하되어 손상받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21)는, 이와 유사한 구성의 도6에 나타낸 커넥터(41)로 변형 가능하다. 이 커넥터(41)는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42)을 갖는다. 이 플러그 고정부재(42)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22)에 대하여 중간 연장부(29)를 제거하고, 중간 연장부(30)의 길이를 짧게 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플러그 고정부재(42)에서는 지지부(25)로부터 결합부(23)의 선단부까지의 길이가 플러그 고정부재(22)와 비교하여 짧게 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커넥터(41)는 커넥터(21)와 비교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21)에서는, 결합부(23)가 안내부재(33)에 안내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결합부(23)의 선단부의 궤적은 P-Q 방향의 직선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커넥터(4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25)로부터 결합부(23)까지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23)의 선단부의 궤적은 거의 R-S 방향의 원호로 된다. 또한, 결합부(23)에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는 커넥터(2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41)에 플러그(11)가 삽입될 때, 커넥터(41)로의플러그(11)의 삽입 동작에 의해,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커넥터(4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고, 이에 따라, 결합부(23)가 R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 후, 플러그(11)의 가동부(15)가 압축부(24)의 위치를 지나가면,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오목부(18)에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결합부(23)가 S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직경부(14)에 들어가게 되고,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후단부와 결합된다. 이로써, 접속 케이블이 잡아 당겨지는 경우에 있어서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제거가 방지된다.
한편, 커넥터(41)로부터 플러그(11)가 제거될 때는, 플러그(11)의 핸들부(17)가 잡아 당겨져서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함에 의해, 커넥터(41)의 압축부(24)가 가동부(15)의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이로써, 커넥터(41)의 압축부(24)가 변위하고, 이에 따라 결합부(23)가 R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어, 커넥터(4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에 있어서는, 커넥터(21)에서 설명한 상기한 구성으로 함에 의해, 동일하게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21)에서는, 플러그 고정부재(22)의 모두가 탄성체로 될 필요는 없고, 플러그 고정부재(22)에서의 지지부(25), 중간 연장부(30), 중간 연장부(29) 또는 압축부(24)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체이면 된다. 동일하게, 커넥터(41)에서는,플러그 고정부재(42)에서의 지지부(25), 중간 연장부(30) 또는 압축부(24) 중 적어도 하나가 탄성체이면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21,41)에서는, 플러그(11)의 삽입구측(B 방향 측)에 지지부재(32) 또는 제거방향 단부 연장부(31)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한편, 선단위치 결정 부재(34)로부터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 측)으로 어떤 부품도 연장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커넥터(21,41)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플러그(11)의 삽입 선단 측에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복잡한 회로 등이 집중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실시예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8 내지 도10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51)는, 예컨대 판스프링으로 된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52)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고정부재(52)는, 플러그 제거방향으로, 즉 B 방향으로, 결합부(23), 압축부(24) 및 지지부(53)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또한, 결합부(23)와 압축부(24) 사이에 오목부(28)를 갖고, 압축부(24)와 지지부(53) 사이에 중간 연장부(29,30)를 갖고 있다.
상기 결합부(23), 압축부(24) 및 지지부(53)는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서 동일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23)와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플러그영역(26)방향에서의 결합부(23)와 압축부(24)의 선단위치는, 결합부(23)쪽이 압축부(24)보다 플러그영역(26)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있다.
결합부(23)에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는, 상기 커넥터(21)의 경우와 같이, 커넥터(51)로의 플러그 삽입 완료 시에 있어서의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가, 커넥터(51)로의 플러그 삽입 전에 있어서의 B 방향에 대한 제2면(23b)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53)는 B 방향측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이 지지부(53)에서는, 플러그 고정부재(52)가 지지부(5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52)에 있어서의 결합부(23)로부터 플러그 삽입방향 단부측 부분은, P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 및 그 P 방향측 단부에서 A 방향으로 연장된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연장부)(55)로 되어있다.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는, 그의 양측의 안내부재(56)에 의해 안내되어 P-Q 방향으로 이동한다.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는, 선단부가 수용 부재(57)의 경사면(57a)에 미리 접하게 되거나, 또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가 P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선단부에서 상기 경사면(57a)에 접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경사면(57a)은,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의 단부가 접하는 위치로부터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 측의 위치에 걸쳐서,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와 경사면(57a)의 간격이 점차 넓어지게 되도록 경사되어 있다. 또한, 수용 부재(57)는, 경사면(57a)을 갖지 않고, 경사면(57a)의 각도로 단지 비스듬히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에 대하여 P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가 P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가 경사면(57a)에 따르도록,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와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좁게 된다. 한편, 상기 P 방향의 힘이 해제된 경우에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의 탄성(회전 응력)에 의해,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와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에 의해 형성되는 각도가 원래의 각도까지 넓어지게 되고,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가 Q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51)에 플러그(11)가 삽입된 경우의 압축부(24) 및 결합부(23)의 동작, 및 커넥터(51)로부터 플러그(11)가 제거되는 경우의 압축부(24) 및 결합부(23)의 동작은, 도1에 나타낸 상기 커넥터(2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지, 결합부(23)를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힘(회전 응력)이, 상기 커넥터(21)가 압축부(24)로부터 지지부(25)까지의 어느 부분의 탄성에 의해 얻어지는데 대하여, 본 커넥터(51)에서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의 탄성에 의해서 얻어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51)에 있어서도, 상기 커넥터(21)와 같이, 커넥터(5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이 기능은, 예컨대 삽입 완료 시의 커넥터(51)의 결합부(23)에서의 제1면(23a)의 경사각도, 즉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또는 플러그 고정부재(52)가 판 스프링으로 된 경우에, 결합부(23)로부터 지지부(53) 사이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 스프링의 강도 또는 그 부분의 강도를 조정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51)는, 플러그 고정부재(52)의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가 A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으로 되어있다. 그러나, 도9에 나타낸 커넥터(61)와 같이,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62)의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가 커넥터(51)의 경우와 반대로, B 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으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51) 또는 (61)는, 이와 유사한 구성의 도10에 나타낸 커넥터(71)로 변형 가능하다. 이 커넥터(71)는 플러그 고정부재 (플러그 고정수단)(72)를 갖는다. 이 플러그 고정부재(72)는,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52)에 대하여 중간 연장부(29)를 제거하고, 중간 연장부(30)의 길이를 짧게 한 구성으로 되어있다. 따라서, 플러그 고정부재(72)에서는 지지부(53)로부터 결합부(23)의 선단부 까지의 길이가 플러그 고정부재(52)와 비교하여 짧게 되어 있다. 이로써, 커넥터(71)는 커넥터(51)와 비교하여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51)에서는, 결합부(23)가 안내부재(56)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결합부(23)의 선단부의 궤적은 P-Q 방향의 직선으로 된다. 이에 대하여, 커넥터(7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부(53)로부터 결합부(23)까지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23)의 선단부의 궤적은 거의 R-S 방향의 원호로 된다.
이 R-S 방향으로의 결합부(23)의 이동을 원활히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는 만곡 형상으로 되고, 안내부재(56)는 그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를 안내하도록 제공되어 있다.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4)로부터 지지부(53)의 방향으로 구부려져 형성되어 있다.수용부재(57)는, 미리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의 선단부가 접하게 되어 있거나, 또는 결합부(23)가 R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에, 먼저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의 선단부가 접하도록 경사지게 제공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 및 그것에 의한 플러그(11)의 제거 방지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21)의 경우 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71)에 플러그(11)가 삽입된 경우의 압축부(24) 및 결합부(23)의 동작, 및 커넥터(71)로부터 플러그(11)가 제거되는 경우의 압축부(24) 및 결합부(23)의 동작은, 도6에 나타낸 상기 커넥터(4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단지, 결합부(23)를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결합시키기 위한 힘(회전 응력)이, 상기 커넥터(41)가 압축부(24)로부터 지지부(25)까지의 어느 부분의 탄성에 의해 얻어 지는데 대하여, 본 커넥터(71)에서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의 탄성에 의해 얻어지고 있다.
또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21)에 있어서 설명한 상기한 구성으로 함에 의해, 동일하게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51,61,71)에서는,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측)으로 안내부재(56), 수용부재(57) 또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 등의 구성요소를 구비하는 한편, 플러그(11)의 삽입구측(B 방향측)의 구성이 간단하게 되어 있다.따라서, 커넥터(51,61,71)는, 전자기기에 있어서, 삽입측(B 방향측)을 단순한 형상으로 하기 쉽게 되어, 외관을 중시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커넥터(61,71)에서는, 삽입방향 단부 연장부(55)가 B 방향측으로 구부려지고, 또한 그에 대응하여 수용부재(57)를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커넥터(51)와 비교하여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측) 에서의 커넥터(61,71)의 구성요소의 집중이 완화되어 있다.
〔실시예3〕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11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병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81)는, 예컨대 판 스프링으로 된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82)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 고정부재(82)는, 플러그 제거 방향으로, 즉 B 방향으로, 결합부(23), 지지부(83) 및 압축부(24)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결합부(23)와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플러그영역(26)방향에서의 결합부(23)와 압축부(24)의 선단위치는, 결합부(23)쪽이 압축부(24)보다 플러그영역(26)에 가까운 위치로 되어있다. 또한, 결합부(23)와 압축부(24) 사이의 지지부(83)에 상당하는 부분은 오목부(84)로 되어있다.
상기 결합부(23), 지지부(83) 및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의 주위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23)에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는, 상기 커넥터(21)의 경우와 같이 커넥터(81)로의 플러그삽입 완료 시에 있어서의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가, 커넥터(81)로의 플러그 삽입 전에 있어서의 B 방향에 대한 제2면(23b)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있다.
상기 지지부(83)는 결합부(23)와 압축부(24) 사이에 제공되고, 플러그 고정부재(82)는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지지부(83)는, 예컨대 도12에 나타낸 구조로 되어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예에서, 지지부(83)는, 플러그 고정부재(82)의 일부를 절단하여, 그 부분을 원통부로 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원통부는 축 부재가 삽입됨에 의해 지지부(83)로 된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82)에 있어서의 양쪽의 단부측 부분 중, 결합부(23)측의 부분은 삽입방향측 연장부(연장부)(85)로 되어있고, 압축부(24)측의 부분은 제거방향측 연장부(86)로 되어있다. 이들 삽입방향측 연장부(85)와 제거방향측 연장부(86)는, 예컨대 A-B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B 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서로 거의 평행하게 제공되어 있다.
상기 제거방향측 연장부(86)의 단부에서의 A 방향측의 위치에는, 제거방향측 연장부(86)가 접하도록 안내부재(87)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81)에 플러그(11)를 삽입하는 경우에, 플러그(11)가 커넥터(81)에 대하여 A 방향으로 삽입되면, 이 삽입 동작에 의해, 플러그(11)는, 도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5)가 커넥터(81)의 안내부재(35)에 의해 안내되어 진행한다.
다음에,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서의 앞경사면(13a)이 커넥터(81)의 결합부(23)에서의 제2면(23b)과 접하고, 또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상기 앞경사면(15a)이 커넥터(81)의 압축부(24)와 접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가, 커넥터(81)의 결합부(23)와 접하지 않고 결합부(23)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으로 될 수 있다.
다음에, 도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8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최대 직경 부분인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커넥터(8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해 눌려져서,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함에 의해 변위된다. 이에 따라, 지지부(83)로부터 제거방향측 연장부(86)까지의 어느 부분, 예컨대 제거방향측 연장부(86)가 탄성 변형하고, 커넥터(81)의 결합부(23)가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11)(플러그영역(26)) 방향, 즉 S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직경부(14)로 들어간다. 이로써, 커넥터(81)의 결합부(23)가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후단부와 결합한다. 이 결과,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을 잡아당김에 의해, 커넥터(8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상기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 및 그것에 의한 플러그(11)의 제거 방지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21)의 경우 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13b에 나타낸 커넥터(8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로부터 플러그(1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11)의 핸들부(17)를 쥐고 B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동작에 의해, 플러그(11)의 핸들부(17)와 같이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81)의 압축부(24)에 대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한 압압이 해제된다. 이 결과, 압축부(24)가 그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 및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81)의 결합부(23)가 R 방향으로 회전하여,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며,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이동, 즉 커넥터(8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81)에 있어서도, 커넥터(8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은, 삽입 완료 시의 커넥터(81)의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의 경사각도, 즉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82)가 판 스프링으로 된 경우에, 지지부(83)로부터 결합부(23)까지의 사이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 스프링의 강도 또는 그 부분의 강도를 조정함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도14에는, 커넥터(81)의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한 경우를 나타낸다. 상기 도면의 예에서는, 삽입 완료 시에 있어서의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를 도13b에 나타낸 경우보다 작게 하여, 결합부(23)에 의한 웅형 결합부(13)로의 결합강도를 약하게 하고 있다. 즉, 플러그(11)(웅형 결합부(13))를 B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힘이 가해진 경우에, 결합부(23)로부터 지지부(83)까지의 어느 부분의 작은 량의 휨에 의해해,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함에 의해, 예컨대 접속 케이블에 발이 걸리는 경우와 같이, 플러그(11)에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러그(11) 또는 커넥터(81)의 파손, 그 밖의 접속 케이블에 접속된 전자기기가 낙하되어 손상받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81)에서는, 플러그 고정부재(82)의 전체가 탄성체일 필요는 없고, 플러그 고정부재(82)에 있어서 지지부(83)로부터 제거방향측 연장부(86)까지의 어느 부분이 탄성체이면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81)는, 이것과 유사한 구성의 도15에 나타낸 커넥터(91)로 변형 가능하다. 이 커넥터(91)는, 상기 커넥터(81)의 플러그 고정부재(82)와 동일 형상의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92)를 갖는다. 단지, 플러그 고정부재(82)에서는, 탄성체로서의 기능을 요구하는 부분이 적어도 지지부(83)로부터 제거방향측 연장부(86)까지의 어느 부분인데 대하여, 플러그 고정부재(92)에서는, 삽입방향측 연장부(85)로 되어있다. 따라서, 본 커넥터(91)에 있어서, 안내부재(87)는, 삽입방향측 연장부(85)의 단부에서의 A 방향측 위치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91)에 플러그(11)가 삽입될 때는, 도1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91)에 플러그(11)가 삽입된다. 이 삽입동작에 의해,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앞경사면(13a)이 커넥터(91)의 결합부(23)의 제2면(23b)과 접하며, 또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앞경사면(15a)이 커넥터(91)의 압축부(24)와 접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가, 커넥터(91)의 결합부(23)와 접하지 않고 결합부(23)의 위치를 통과하는 것으로 될 수 있다.
다음에, 도1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9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최대 직경 부분인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커넥터(91)의 압축부(24)는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눌려서 변위하여, 즉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91)의 결합부(23)가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하여 플러그(11)(플러그영역(26)) 방향, 즉 S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직경부(14)로 들어간다. 이로써, 커넥터(91)의 결합부(23)가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후단부와 결합한다. 이 때, 삽입방향측 연장부(85)는, 그의 탄성에 의해, A 방향으로 만곡하도록 휘어진 상태로 된다.
상기 결합의 결과,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을 잡아당김에 의한, 커넥터(9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상기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 및 그것에 의한 플러그(11)의 제거 방지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2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16b에 나타낸 커넥터(9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로부터, 플러그(11)의 핸들부(17)가 B 방향으로 잡아당겨 지면, 핸들부(17)와 같이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1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91)의 압축부(24)에 대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한 압압이 해제된다. 이 결과, 커넥터(91)의 삽입방향측 연장부(85)가 그의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상 및 위치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커넥터(91)의 결합부(23)가 삽입방향측 연장부(85)의 탄성에 의한 회전 응력에 의해 R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어,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이동, 즉 커넥터(9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81)의 경우와 동일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81,91)에서는, 예컨대 도1에 나타낸 커넥터(21) 또는 도8에 나타낸 커넥터(51)와 같이, 플러그(11)의 삽입구측(B 방향측)이나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측)에서의 커넥터 구성 요소의 집중이 완화되어, 플러그영역(26)의 A-B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좁은 범위에 커넥터 구성요소가 집중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에 있어서,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측)에 발광소자나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복잡한 회로 등이 집중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또한, 커넥터(81) 및 커넥터(91)에서는, 상기한바와 같이, 커넥터 구성 요소가 좁은 범위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91)에서는, 플러그 고정부재(92)의 전체가 탄성체일 필요는 없고, 플러그 고정부재(92)의 적어도 삽입방향측 연장부(85)가 탄성체이면 된다.
또한, 상기 커넥터 중, 결합부(23)가 지지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하여 결합 및 제거되는 상기 커넥터(41,71,81,91)에서는, 도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들의 지지부(25,53,83)가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있어서의 후경사면(13c)과 접하는 원의 중심에 제공되어 있다. 이로써,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 및 제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5,53,83)는 상기 원의 중심뿐만 아니라, 상기 중심보다 플러그(11)의 축 중심 측의 위치에 가깝게 제공될 수도 있다.
〔실시예4〕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18 내지 도21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참조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01)는, 예컨대 판 스프링으로 된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102)를 갖는다. 이 플러그 고정부재(102)는, 플러그 제거방향으로, 즉 B 방향으로, 결합부(23), 지지부(83) 및 압축부(24)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결합부(23)와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결합부(23), 지지부(83) 및 압축부(24)는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서 동일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는, 상기 커넥터(21)의 경우와 같이, 커넥터(101)로의 플러그 삽입 완료 시에 있어서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가, 커넥터(101)로의 플러그 삽입 전에 있어서의 B 방향에 대한 제2면(23b)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83)는 결합부(23)와 압축부(24) 사이에 제공되고, 플러그 고정부재(102)는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결합부(23)와 지지부(83) 사이에는 중간 연장부(103)가 제공되고, 지지부(83)와 압축부(24) 사이에는 중간 연장부(104)가 제공되어 있다. 중간 연장부(103)는, 결합부(23)로부터 P 방향으로 연장된 후, B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83)에 도달하고 있다. 중간 연장부(104)는 압축부(24)로부터 P 방향으로 연장된 후, A 방향으로 연장되어 지지부(83)에 도달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102)에 있어서의 결합부(23)측의 단부는 결합단부측 연장부(105)로 되어있다. 이 결합단부측 연장부(105)는, 결합부(23)로부터 B 방향으로 연장되어, 압축부(24)에서의 P 방향측 위치에 도달하고 있다. 결합단부측 연장부(105)에 있어서의 압축부(24)측의 면에는, 압축전달부재(106)가 제공되어 있다.
중간 연장부(103,104)는 P-Q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그 이동은 각각 안내부재(107,108)에 의해 안내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플러그 고정부재(102)의 형상은 도11에 나타낸 상기 커넥터(81)의 플러그 고정부재(82)와 크게 다르지만, 동작 원리는 상기 커넥터(81)의 원리와 거의 같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102)는, 전체가 탄성체로 될 필요는 없고, 적어도 중간 연장부(103,104)에서의 지지부(83)측 부분, 예컨대 도18에 나타낸만곡 부분, 및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가 탄성체로 되어 있으면 된다. 또한, 적어도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만이 탄성체로 되어 있더라도 좋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101)에 플러그(11)를 삽입하는 경우에, 플러그(11)가 커넥터(101)에 대하여 A 방향에 삽입되면, 그 삽입 동작에 의해, 플러그(11)는, 먼저 도1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5)가 커넥터(101)의 안내부재(35)에 의해 안내되어 진행한다.
다음에,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앞경사면(13a)이 커넥터(101)의 결합부(23)의 제2면(23b)과 접하게 되고, 또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앞경사면(15a)이 커넥터(101)의 압축부(24)와 접하게 된다. 또한, 여기서는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가, 커넥터(101)의 결합부(23)와 접하지 않고 결합부(23)의 위치를 통과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1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최대 직경 부분인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커넥터(101)의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가, 압축부(24) 및 압축전달부재(106)를 통해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해 눌려져서, P 방향으로 변형된다. 또한, 커넥터(101)의 압축부(24) 및 중간 연장부(10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눌려져서 P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중간 연장부(103) 및 결합부(23)가 Q 방향으로 이동하여, 결합부(23)가 플러그(11)의 소직경부(14)로 들어간다. 이로써, 결합부(23)가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후단부와 결합된다. 이 결과,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을 잡아당김에 의해, 커넥터(101)로부터의플러그(11)의 제거가, 상기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또한,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 및 그 관계에 의한 플러그(11)의 제거방지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21)의 경우 와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도19b에 나타낸 커넥터(10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로부터 플러그(11)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플러그(11)의 핸들부(17)를 쥐고 B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이 동작에 의해, 플러그(11)의 핸들부(17)와 같이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하여, 도19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01)의 압축부(24)에 대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한 압압이 해제된다. 이 결과, 중간 연장부(103,104)의 탄성에 의해 원래대로 복원하려는 힘(회전 응력), 및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의 탄성에 의해 압축전달부재(106)를 통해 압축부(24)에 작용하는 Q 방향의 힘(회전 응력)에 의해, 또는 후자, 즉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의 회전 응력 만으로 압축부(24) 및 결합부(2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로써,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되어,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이동, 즉 커넥터(10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넥터(101)에 있어서도, 커넥터(10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에 있어서,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기능은, 삽입 완료 시의 커넥터(101)의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의 경사각도, 즉 A 방향에 대한 제1면(23a)의 각도를 적절하게 설정함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102)가 판 스프링으로 된 경우에, 지지부(83)로부터 결합부(23)까지의 사이의 어느 부분에 있어서, 스프링의 강도 또는 그 부분의 강도를 조정함에 의해서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넥터(101)는, 이것과 유사한 구성의 도20에 나타낸 커넥터(111)로 변형 가능하다. 이 커넥터(111)는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112)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 고정부재(112)에서는, 플러그 고정부재(102)가 구비하고 있는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가 제거되어 있는 한편, 도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부(83)에 복원력 공급부(113)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복원력 공급부(113)는 지지축 방향 연장부(114) 및 부착부(115)를 갖고 있다. 상기 지지축 방향 연장부(114)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지지부(83)에 있어서 그의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부착부(115)는 판 형태로 되어, 지지축 방향 연장부(114)의 양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고정부재(112)는 부착부(115)에 의해 커넥터(111)의 내부에 부착된다.
이 커넥터(111)에서는, 플러그(11)가 삽입되어,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해 압축부(24)가 압압되면(도19b에 대응하는 상태), 커넥터(101)의 경우와 같이, 커넥터(111)의 결합부(23)가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와 결합하여,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제거가 방지된다.
이 때, 복원력 공급부(113)에서는, 중간 연장부(103,104)에 있어서의 지지부(83) 주위의 부분이 지지부(83)를 중심으로 회전함에 의해, 지지축 방향 연장부(114)가 뒤틀린 상태로 된다. 따라서, 플러그(11)의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조작되어, 가동부(15)에 의한 압축부(24)의 압압이 해제된 경우에는, 지지축 방향 연장부(114)에 의한 비틀림을 해소하는 방향의 힘(회전 응력)이 작용하여 결합부(2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로써,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하는 커넥터(111)의 결합부(23)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경우에는, 물론 중간 연장부(103) 및 중간 연장부(104)의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이 커넥터(111)와 도18에 나타낸 커넥터(101)를 비교한 경우, 커넥터(101)에서는, 상기 복원력을 얻기 위한 결합 단부측 연장부(105)를 좁은 영역에 제공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에 대하여, 커넥터(111)에서는, 복원력 공급부(113)를 넓은 영역에 제공할 수 있어서, 플러그 고정부재(112)의 형성이 용이하게 되고, 또한 동작의 안정성도 향상되게 된다. 한편, 소형화의 점에서는, 커넥터(111)보다도 커넥터(101)쪽이 적합하다.
또한, 결합부(23)에 있어서의 제1면(23a)과 제2면(23b)의 관계, 및 그 관계에 의한 플러그(11)의 제거 방지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21)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해서는, 커넥터(8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101,111)에서는, 상기 커넥터(81,91)와 같이 플러그(11)의 삽입구측(B 방향측) 또는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측)에서의 커넥터 구성 요소의 집중이 완화되어, 플러그영역(26)의 A-B 방향의 중앙부에 대응하는 좁은 범위에 커넥터 구성 요소가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전자기기에 있어서, 플러그(11)의 삽입 선단측(A 방향측)에 발광소자나 수광소자를 포함하여, 복잡한 회로 등이 집중되는 경우에 적합하다.
〔실시예5〕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22 내지 도25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부재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 참조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커넥터(121)는 예컨대 판 스프링으로 된 플러그 고정부재(플러그 고정수단)(122)를 갖고 있다. 이 플러그 고정부재(122)는, 플러그 제거방향으로, 즉 B 방향으로 결합부(123), 압축부(24) 및 지지부(25)를 이 순서로 갖고 있다. 이들 결합부(123), 압축부(24) 및 지지부(25) 중, 압축부(24) 및 지지부(25)는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서의 동일 측에 위치하고, 결합부(123)는 플러그영역(26)에 대하여, 압축부(24) 및 지점부(25)측과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결합부(123)와 압축부(24) 사이에는 P-Q 방향으로 연장하는 중간 연장부(124)가 제공되고, 압축부(24)와 지지부(25) 사이에는 중간 연장부(29,30)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122)는, 도1에 나타낸 커넥터(21)와 같이제거방향 단부 연장부(31)가 지지부재(32)로써 지지됨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이로써, 플러그 고정부재(122)에 있어서의 지지부(25)로부터 A 방향측의 부분이, 지지부(25) 또는 중간 연장부(30)에서의 탄성변형, 및 그 변형으로부터 복원하는 방향의 응력(회전 응력)에 의해, P-Q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한, 플러그 고정부재(122)는, 커넥터(21)의 플러그 고정부재(22)와 같이 그의 모두가 탄성체일 필요는 없고, 지지부(25), 중간 연장부(30), 중간 연장부(29) 또는 압축부(24) 중 어느 것이 탄성체이면 된다.
중간 연장부(124)에는, 도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가 통과 가능한 플러그 통과 구멍(12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플러그 통과 구멍(124a)의 폭은, 압축부(24)측이 W1이고, 결하부(123)와의 접속부 부근에서 W2로 넓어지고 있다.
결합부(123)는, 플러그 고정부재(122)의 단부측에서, 플러그 고정부재(122)가 중간 연장부(124)의 단부로부터 절곡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결합부(123)는, 중간 연장부(124)와의 접속측 단부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A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플러그영역(26)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커넥터(121)에 플러그(11)가 삽입되면, 플러그(11)는, 먼저 도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부(15) 및 중간부(16)가 커넥터(121)의 안내부재(35)에 의해 안내되어 진행하며, 가동부(15)의 앞경사면(15a)은 압축부(24)와 접하게 된다. 이 때,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가 커넥터(121)의 중간 연장부(124)의 플러그 통과 구멍(124a)을 통과하게 된다.
다음에, 도2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2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최대 직경 부분인 균일 직경면(15b)상에 있는 상태로 된다. 이로써, 커넥터(121)의 압축부(24)가 플러그(11)의 가동부(15)에 의해 압압되어 P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결합부(123)가 P 방향으로 이동하여 플러그(11)의 소직경부(14)로 들어가, 웅형 결합부(13)의 후단부, 즉 후경사면(13c)과 결합한다. 이 결과,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을 잡아당김에 의한, 커넥터(12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상기 웅형 결합부(13)와 결합부(23)의 결합에 의해 방지된다.
다음에, 도24b에 나타낸 커넥터(12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로부터 플러그(11)를 제거하기 위해서, 플러그(11)의 핸들부(17)가 B 방향으로 잡아당겨 지면, 플러그(11)의 핸들부(17)와 같이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2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121)의 압축부(24)로의 플러그(11)의 가동부(15)로부터의 압압이 해제되어, 결합부(123)가 Q 방향으로 이동하며,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123)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로써,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24b에 나타낸 커넥터(12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와 결합하는 결합부(123)는, 상기한 바와 같이, 중간 연장부(124)와의 접속측 단부를 기준으로 한 경우에, A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에서 플러그영역(26)의 중심방향으로 연장된 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결합부(123)는, 그의 선단부측이 웅형 결합부(13)와 접하게 된다. 이로써, 예컨대 플러그(11)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이 잡아 당겨지는 경우에, 플러그(11)가 커넥터(121)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넥터(121)에서는, 커넥터(121)로의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접속 케이블에 플러그(11)를 제거하는 방향의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핸들부(17)를 이동시키지 않고 플러그(11)를 제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도24c에 나타낸 바와 같이, B 방향으로 이동하는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의해, 커넥터(121)의 결합부(123)가 구부려지는 결과,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123)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 결합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커넥터(121)에서는, 중간 연장부(124)의 플러그 통과 구멍(124a)의 폭이, 압축부(24)측에서 W1로 되고, 결합부(123)와의 접속부 부근에서 W2로 넓어지고 있다. 즉, 결합부(123)와의 접속부 부근에서 실질적인 중간 연장부(124)의 폭을 좁게 하고, 그 부분에서 결합부(123)가 구부려지기 쉽게 되어있다. 또한, 플러그 통과 구멍(124a)의 W2의 폭을 조정함에 의해, 플러그(11)의 제거 용이성을 조정할 수 있다.
커넥터(121)에서는, 결합부(123)가 상기한 바와 같이 구부려질 수 있음에 의해, 예컨대 접속 케이블에 발이 걸리는 경우와 같이, 플러그(11)에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러그(11) 또는 커넥터(121)의 파손, 그 밖의 접속 케이블을 접속한 전자기기가 낙하되어 손상받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12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부(15)를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의 플러그(11)의 제거(이하, 이를 가동부 비이동 제거라 함) 가 이루어진경우에, 결합부(123)가 구부려짐에 의해 플러그 고정부재(122)의 결합부(123) 이외의 다른 부분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된다. 커넥터(121)는 이 점에서 상기한 다른 커넥터보다 우수하다.
즉, 커넥터(121) 이외의 커넥터에서는, 가동부 비이동 제거의 경우에, 결합부(23)와 지지부(25,53,83) 사이의 부분에 큰 부하가 가해진다. 그리고, 상기 부분이 결합부(23)에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제거를 위해 움직임을 전달하는 부분으로 된다. 따라서, 커넥터(121) 이외의 커넥터에서는, 가동부 비이동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결합부(23)와 지지부(25,53,83) 사이에 넓은 범위의 탄성한계를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커넥터(121)는, 결합부(123)(결합부(123)와 중간 연장부(124)의 접속부분)의 탄성한계 만을 고려하여 설계하면 되며, 이로써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커넥터(121)는, 플러그(11)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플러그(11)를 안정적으로 소정위치에 고정 가능한 점에서, 전술한 다른 커넥터보다 우수하다.
즉, 커넥터(121) 이외의 상기 각 커넥터는, 결합부(23)와 지지부(25,53,83)가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서의 동일 측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점에서는 우수하다.
그 반면, 커넥터(121) 이외의 상기 각 커넥터에서는, 플러그(11)의 제거방향(A-B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P-Q 방향에서의 결합부(23)와 지지부(25,53,83)의 거리가 짧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결합부(23)의 결합, 즉 플러그(11)의 제거 방지를 커넥터(121)와 같이 적절하게 행할 수 있지만, 플러그(11)를 일정 위치에 고정하기 위한 바이어스력, 즉 결합부(23)로부터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A 방향으로의 바이어스력은, 커넥터(121)와 비교한 경우에 상대적으로 약해진다.
이에 대하여, 커넥터(121)에서는, 결합부(123)가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서의 지지부(25)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제공되어 있기 때문에, P-Q 방향에서의 결합부(123)와 지지부(25)의 거리가 길게되어 있다. 이로써, 결합부(123)와 지지부(25) 사이의, 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부분의 탄성에 의해,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에 대한 A 방향으로의 바이어스력을 부여하기 쉽게 된다. 이 결과, 플러그(11)를 안정적으로 일정 위치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넥터(121)에서는, 상기 결합부(123) 및 중간 연장부(124) 대신에, 도25에 나타낸 결합부(125) 및 중간 연장부(126)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중간 연장부(126)는 상기 중간 연장부(124)에 대응하는 것이고, 결합부(125)는 중간 연장부(126)의 하부에 제공되고, 중간 연장부(126)의 플러그 통과 구멍(126a)에 연속하는 결합 구멍(125a)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플러그 통과 구멍(126a)의 폭 W1은, 상기 플러그 통과 구멍(124a)과 같이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가 통과 가능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결합 구멍(125a)의 폭 W3은, 플러그(11)의 소직경부(14)가 통과 가능한 한편, 웅형 결합부(13)는 통과 불가능한 폭으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는, 커넥터(121)에 플러그(11)가 삽입될 때, 플러그(11)의 가동부(15)의 균일 직경면(15b)에 커넥터(121)의 압축부(24)가 위쪽에 있는 상태로서, 플러그(11)의 소직경부(14)가 결합부(125)의 결합 구멍(125a)으로 들어가, B 방향으로의 플러그(11)의 제거가 방지된다.
또한, 플러그(11)의 가동부(15)가 B 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는, 가동부(15)에 의한 압축부(24)에 대한 압압이 해제되어, 커넥터(121)의 중간 연장부(126)의 플러그 통과 구멍(126a)이 플러그(11)의 소직경부(14)의 위치로 이동하여, 플러그 통과 구멍(126a)에서의 플러그(11)의 웅형 결합부(13)의 제거, 즉 커넥터(121)로부터의 플러그(11)의 제거가 가능해진다.
상기 결합부(125)를 갖는 구성에서는, 플러그(11)의 제거를 보다 강하고 또한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커넥터에서는, 플러그 고정부재가 플러그영역(26)의 주위에서의 1개소의 위치에만 제공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각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고정부재는, 플러그영역(26) 주위의 대향하는 2개소의 위치, 또는 3개소 이상의 복수 개소의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각 커넥터에서는, 커넥터의 메카니컬 로크 기구부를 구성하는 플러그 고정부재를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한 경우에 대해서 나타내었지만, 플러그 고정부재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응력을 얻기 위한 탄성을 갖는 부분을 별개의 부품의 탄성체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는, 플러그 고정부재에 요구되는 탄성을, 플러그 고정부재와는 별개의 부품으로서 제공된 탄성체로부터 얻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그 밖에,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서, 플러그 고정부재의 결합부(23,123,125)와 압축부(24)를 별개의 부품에 의해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 나타낸 각 커넥터는,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26에 나타낸 휴대용 DVD 플레이어, 노트북 PC(퍼스널 컴퓨터), 휴대용 CD 플레이어, 거치형 DVD 플레이어, 디지탈 STB, AV(오디오 앤드 비쥬얼) 앰플리파이어, 데스크탑 PC, 콤포넌트 스테레오 플레이어, 디지탈 TV, PDA(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스), 반도체메모리 플레이어, 휴대전화 또는 휴대용 MD(미니 디스크) 플레이어이다. 이들 전자기기는, 그들이 구비하는 커넥터에 의해, 접속 케이블을 통해 서로 접속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26에서는 송신용 커넥터와 수신용 커넥터를 분리한 형태를 예로 들고 있지만, 본 발명은, 예컨대 싱글 광파이버로서 송신과 수신을 행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송신·수신 겸용의 커넥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가동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으로서 상기 가동부의 삽입방향의 변위 시에 상기 플러그 선단부를 고정함과 동시에, 상기 가동부가 제거되는 방향의 변위에 의해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가동부에 압압되어 변위하는 압축부와, 이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변위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플러그 선단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소직경부의 전방 측에 웅형 결합부, 후방 측에가동부가 각각 형성되어, 이들 웅형 결합부 및 가동부가 상기 소직경부보다 큰 직경 부분을 갖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소직경부 및 웅형 결합부에 대하여 커넥터에 대한 삽입 및 제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플러그가 삽입 및 제거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 시에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압축부, 및 이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변위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상기 웅형 결합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갖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압축부가 상기 가동부에 압압되었을 때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하여, 이 탄성변형의 복원에 의해 상기 결합부의 회전을 발생시키는 탄성체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커넥터는, 비가동부와 그 비가동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삽입방향으로의 변위 시에 상기 비가동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제거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비가동부가 플러그의 선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압압되어 변위하는 압축부와, 이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서 변위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고정수단의 압축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고, 이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서 결합부가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플러그의 선단부의 비가동부와 결합한다. 따라서, 플러그의 가동부의 이동에 따라서, 플러그에 대한 고정 및 그의 해제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가,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할 때, 및 그 결합을 해제할 때에,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및 제거 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고정수단의 결합부에 의한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과 그 해제를 적절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가,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접하게 되는 제1면, 및 이 제1면의 반대측의 제2면을 갖고, 플러그의 삽입 완료 시의 플러그 삽입방향에 대한 제1면의 각도가, 플러그의 삽입 전의 플러그 제거 방향에 대한 제2면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결합부는 그의 제1면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와 결합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한다. 이 경우, 플러그의 삽입 완료 시의 플러그 삽입방향에 대한 제1면의 각도는, 플러그의 삽입 전의 플러그 제거방향에 대한 제2면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에 의한 플러그의 제거 방지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로의 플러그의 삽입 시에, 플러그의 선단부가 결합부의 제2면에 접하는 경우에는, 제1면에 대한 제2면의 상대적인 각도 설정에 의해, 플러그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압축부 및 결합부가 직접적또는 간접적으로 연속적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합부는,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할 때,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에 형성된 소정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고정수단을 예컨대 1장의 판재에 의해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구성을 간단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의 회전이,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된 상기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플러그 고정수단의 어느 부분이 탄성 변형하고, 그의 탄성변형이 복원됨에 의해 발생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고정수단의 탄성을 이용한 간단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결합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의 회전이, 상기 압축부가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함에 의해 발생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축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압압되어 변위하는 것을 이용하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결합을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탄성을 이용하여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결합을 행하게 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가 커넥터의 플러그 제거방향측에 고정된 구성으로 한 경우, 플러그 삽입방향측에서의커넥터 구성 요소를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 지지부 및 압축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축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것을 이용하여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결합을 행하게 하는 플러그 고정수단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의 일측에 압축부가 배치되고, 그 반대측에 결합부가 배치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지지부를 플러그영역에서의 플러그 삽입방향의 중앙부 부근에 배치함에 의해, 플러그 삽입방향측 및 플러그 제거방향측에서의 커넥터 구성 요소를 적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부, 결합부 및 지지부가 커넥터에 삽입된 플러그로부터 볼 때 플러그의 주위의 동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커넥터 구성 요소가 플러그영역의 동일 측에 집중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압축부 및 지지부가, 커넥터에 삽입된 플러그로부터 볼 때 플러그의 주위의 동일 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플러그로부터 볼 때 플러그의 주위의 상기 압축부 및 지지부와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 삽입 및 제거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지지부와 결합부 사이에 긴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이 부분의 탄성을 이용하여, 결합부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를 결합하고, 또한 적절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결과, 플러그를 안정적으로 일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및 제거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의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안내부재에 의해 결합부의 이동이 안내되기 때문에, 결합부에 의한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 및 제거 동작을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압축부까지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된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 및 제거를 적절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부에 대한 상기 지지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된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탄성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 및 제거를 적절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에 대해 지지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으로 된 연장부에 탄성을 갖게 한 구성이기 때문에, 지지부측에서의 커넥터 구성 요소의 집중을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지지부에서 이 지지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측 부분과는 반대측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축부가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 지지부 및 압축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 및 제거를 적절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부에 대해 상기 지지부측과는 반대측의 부분에 연장부를 갖고, 이 연장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축부가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함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 지지부 및 압축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에 의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 및 제거를 적절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가 후단부에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결합부가 상기 경사면과 결합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며, 상기 지지부가,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원의 중심, 또는 이 중심보다 플러그의 축 중심측의 위치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부의 삽입 및 제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플러그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져, 지지부에 대해 결합부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측 부분이, 지지부에서 절곡되고 또한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가, 플러그 제거방향측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구성에 있어서, 결합부를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하여 삽입 및 제거되게 하기 위한 탄성을 지지부 부근에서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얻을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결합부에서 지지부까지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하여 제거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탄성체부분에서의 변형에 의해,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에 예컨대 발이 걸리는 경우와 같이, 커넥터에 삽입된 플러그에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러그 또는 커넥터의 파손, 그 밖의 접속 케이블을 접속한 전자기기가 낙하되어 손상받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적어도 상기 결합부가 탄성을 갖는 판재로 되어있고 플러그 고정수단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이 결합부가,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상태에 있어서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하여 제거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구부려짐에 의해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을 해제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러그가 제공된 접속 케이블에 예컨대 발이 걸리는 경우와 같이, 커넥터에 삽입된 플러그에 큰 힘이 가해진 경우에, 플러그 또는 커넥터의 파손, 그 밖의 접속 케이블을 접속한 전자기기가 낙하되어 손상받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가동부를 이동시키지 않은 상태로 플러그의 제거가 발생되는 경우에, 결합부가 구부려짐에 의해 플러그 고정수단에 있어서의 결합부 이외의 다른 부분에 큰 부하가 걸리지 않게 되어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합부와 압축부 사이에, 적어도 상기 결합부와 접속하도록 중간 연장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중간 연장부에는, 상기 결합부를 향해서 개방되도록 상기 비가동부가 통과 가능한 플러그 통과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와의 접속부 부근에서의 상기 플러그 통과구멍의 폭을 제외한 중간 연장부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결합부의 접속부 부근에서, 실질적인 중간 연장부의 폭이 좁아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 부근에서 결합부가 구부려지기 쉽게 된다. 또한, 상기 플러그 통과구멍의 폭을 제외한 중간 연장부의 폭을 조정함에 의해, 플러그의 제거 용이성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여러 가지의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상에서 나타낸 각 커넥터는, 전기 플러그의 수용 측으로 되는 전기잭, 또는 광플러그의 수용 측으로 되는 광리셉터클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의 구체적인 실시 태양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밝히는 것이며, 그러한 구체예로만 한정하여 협의로 해석할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정신과 이하에 기재하는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24)

  1. 비가동부와 상기 비가동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삽입방향으로의 변위 시에 상기 비가동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제거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플러그 고정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부는 플러그의 선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변위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할 때, 및 상기 결합을 해제할 때,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및 제거방향과 교차방향으로 이동하는 커넥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접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측에 제2면을 갖고, 플러그의 삽입 완료 시에 플러그 삽입방향에 대한 제1면의 각도가, 플러그의 삽입 전의 플러그 제거방향에 대한 제2면의 각도보다 크게 되어있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압축부 및 결합부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속적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플러그의 비가동부와 결합할 때,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에 형성된 소정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회전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된 상기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플러그 고정부재의 어느 부분이 탄성 변형하여, 그 탄성변형이 복원됨에 의해 발생되는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회전은, 상기 압축부가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함에 의해 발생되는 커넥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는, 플러그 제거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지지부 및 압축부는, 플러그 제거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 결합부 및 지지부는 커넥터에 삽입된 플러그로부터 볼 때 플러그의 주위의 동일 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 및 지지부는, 커넥터에 삽입된 플러그로부터 볼 때 플러그의 주위의 동일 측에 배치되는 한편, 상기 결합부는, 상기 플러그로부터 볼 때 플러그의 주위에서 상기 압축부 및 지지부측과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및 제거방향과의 교차방향으로의 상기 결합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압축부까지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된 상기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대해 상기 지지부측과 반대측의 부분에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된 상기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지지부에서 이 지지부에 대해 상기 결합부측 부분과 반대측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축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에 대해 상기 지지부측과 반대측의 부분에 연장부를 갖고, 상기 연장부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압축부가 플러그의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것에 따라 탄성 변형하는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17. 제5항에 있어서,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는 후단부에 경사면을 갖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경사면과 결합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원의 중심, 또는 이 중심보다 플러그의 축 중심측의 위치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 압축부 및 지지부가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에 대해 결합부측과 반대측의 단부측 부분이, 지지부에서 구부려지고 또한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
  1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부에서 지지부까지의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 상태에서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하여 제거 방향으로의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상기 탄성체 부분에서의 변형에 의해,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상기 결합부의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는 커넥터.
  20.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결합부는 탄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플러그 고정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 상태에서 플러그의 비가동부에 대하여 제거방향으로의 일정 이상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구부려짐에 의해 상기 비가동부에 대한 결합을 해제 가능하게 하고 있는 커넥터.
  21.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와 압축부 사이에, 적어도 상기 결합부와 접속하도록 중간 연장부가 제공되어 있고,
    상기 중간 연장부에는, 상기 결합부로 향해서 개방되도록 상기 비가동부가 통과 가능한 플러그 통과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와의 접속부 부근에서의 상기 플러그 통과구멍의 폭을 제외한 중간 연장부의 폭이, 다른 부분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는 커넥터.
  22. 비가동부와 상기 비가동부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가동부를 구비한 플러그를 삽입 및 제거 가능한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의 삽입에 의한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삽입방향으로의 변위 시에 상기 비가동부를 고정시키는 한편, 상기 가동부의 플러그 제거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해 상기 고정을 해제하는 플러그 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비가동부는 플러그의 선단부에 제공되고,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플러그의 상기 가동부에 의해 압압되어 변위하는 압축부, 및 상기 압축부의 변위에 따라 변위하여, 플러그의 제거를 방지하도록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기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는, 상기 압축부 및 결합부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연속적인 상태로 형성되어 있는 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부는, 플러그의 상기 비가동부와 결합할 때, 상기 플러그 고정부재에 형성된 소정의 지지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전자기기.
KR1020020076958A 2001-12-06 2002-12-05 커넥터 KR1005533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73104 2001-12-06
JPJP-P-2001-00373104 2001-12-06
JP2002338508A JP4053409B2 (ja) 2001-12-06 2002-11-21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JP-P-2002-00338508 2002-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766A true KR20030047766A (ko) 2003-06-18
KR100553333B1 KR100553333B1 (ko) 2006-02-20

Family

ID=26624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6958A KR100553333B1 (ko) 2001-12-06 2002-12-05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835085B2 (ko)
EP (1) EP1318574B1 (ko)
JP (1) JP4053409B2 (ko)
KR (1) KR100553333B1 (ko)
CN (1) CN1196003C (ko)
DE (1) DE60215756T2 (ko)
TW (1) TW5805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65966A4 (en) * 2002-11-06 2007-08-08 George Stephen Ramsay MALE SOCKET AND ELECTRICAL SAFETY SOCKET
DE102004042671B4 (de) * 2004-09-01 2014-02-13 Neutrik Aktiengesellschaft Elektrischer Klinkensteck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DE102005016265B4 (de) * 2005-04-08 2007-11-08 Amphenol-Tuchel Electronics Gmbh Arretierung eines Rastelements mit Radsok-Buchse
DE102006001630A1 (de) * 2006-01-11 2007-07-12 Neutrik Aktiengesellschaft Steckerbuchse
KR100760374B1 (ko) 2007-03-10 2007-09-19 (주)전우종합기술 지중전선과 패드티알(pad tr)의 접속구조
WO2011130696A2 (en) * 2010-04-15 2011-10-20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Locking electrical receptacle
JP5653966B2 (ja) * 2012-06-11 2015-01-14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5705791B2 (ja) * 2012-06-11 2015-04-2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DE102012023243A1 (de) * 2012-11-21 2014-05-22 Pfisterer Kontaktsysteme Gmbh Vorrichtung zum elektrischen Anschließen oder Verbinden mindestens eines Leiters eines Energieversorgungskabels
US11581682B2 (en) 2013-03-15 2023-02-14 Zonit Structured Solutions, Llc Frictional locking receptacle with programmable releas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0739A (en) * 1947-09-09 1950-08-29 Harvey L Shaw Electric coupling
US3493917A (en) * 1967-08-01 1970-02-03 Viking Industries Connector locking means
US3569903A (en) * 1969-08-07 1971-03-09 Sealectro Corp Coaxial connector with axial interlock
JPS5031909Y1 (ko) * 1970-05-14 1975-09-17
US4275946A (en) * 1979-05-16 1981-06-30 Mitch Manina Electrical connecting plug
JPS5736790A (ko) * 1980-08-13 1982-02-27 Olympus Optical Co
JPH0449834Y2 (ko) * 1988-05-16 1992-11-24
JPH0341482A (ja) 1989-07-07 1991-02-21 Nec Niigata Ltd 電子写真式プリンタの光ヘッド
US5248168A (en) * 1992-02-02 1993-09-28 Aeroquip Corporation Flexible quick disconnect coupling with vibration absorbing member
GB9307488D0 (en) * 1993-04-08 1993-06-02 Amp Holland Optical fibre connector latching mechanism
JP2736000B2 (ja) * 1993-11-08 1998-04-02 木谷電器株式会社 ピンジャック
AU3152295A (en) * 1994-07-29 1996-03-04 Robert Paul Ganger Phone plug for noiseless electrical engagement
JP3265262B2 (ja) * 1998-05-22 2002-03-11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ジャック
JP2000014317A (ja) 1998-07-03 2000-01-18 Snow Brand Milk Prod Co Ltd チ−ズ及びその製造方法
JP3362014B2 (ja) * 1999-06-29 2003-01-07 エヌイーシートーキン株式会社 ケーブルコネクタのロック、アンロック構造及びロック、アンロック方法
US6343814B1 (en) * 1999-11-08 2002-02-05 Ti Group Automotive Systems, Llc Insertion verifier dust cap
JP2001319731A (ja) * 2000-02-28 2001-11-16 Sony Corp 接続装置、接続プラグ、接続ジャ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6003C (zh) 2005-04-06
KR100553333B1 (ko) 2006-02-20
TW580598B (en) 2004-03-21
US6835085B2 (en) 2004-12-28
DE60215756D1 (de) 2006-12-14
EP1318574B1 (en) 2006-11-02
JP4053409B2 (ja) 2008-02-27
TW200304002A (en) 2003-09-16
EP1318574A2 (en) 2003-06-11
US20030109164A1 (en) 2003-06-12
EP1318574A3 (en) 2003-11-12
DE60215756T2 (de) 2007-09-06
JP2003232961A (ja) 2003-08-22
CN1425934A (zh) 2003-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3597B2 (en) Releasably engag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US7950947B2 (en) Releasably engag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US7862367B2 (en) Releasably engag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KR100553333B1 (ko) 커넥터
US7476118B2 (en) Releasably engaging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plug
JP2008204828A (ja) 電気的接続器具のロック構造
JP2987356B2 (ja) 光コネクタ
JPH1131554A (ja) ロックアームの変形防止構造
JPH07176348A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結合機構
US6692287B2 (en) Connector
EP1182477A1 (en) Optical connector housing, optical connector using the optical connector housing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mponent using the optical connector housing
JP2017188390A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0304513B1 (ko) 플러그및리셉터클커넥터를동시에결합시키기위한수단을구비한전기커넥터조립체
US5989051A (en) Connector for joining a cable to a PCMCIA card
CA2175258A1 (en) Pc card and pc card connector
JP3506484B2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ー
US6390849B1 (en) Terminal holding structure
TWI735989B (zh) 插拔式連接器
JP3472721B2 (ja) コネクタ支持機構
WO2020044617A1 (ja) コネクタ用ソケット部品およびコネクタ
JP2535538Y2 (ja) 同軸変換コネクタ
JPH08306426A (ja) コネクタ
JP3957022B2 (ja) 補機用コネクタ
JP3176360B2 (ja) コネクタ
JP2580020Y2 (ja) フォーク型コンタクト及び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