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75Y1 - 돌망태 - Google Patents

돌망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75Y1
KR200300475Y1 KR20-2002-0028549U KR20020028549U KR200300475Y1 KR 200300475 Y1 KR200300475 Y1 KR 200300475Y1 KR 20020028549 U KR20020028549 U KR 20020028549U KR 200300475 Y1 KR200300475 Y1 KR 2003004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bion
wire
longitudinal
gabion body
gab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8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성
Original Assignee
이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성 filed Critical 이종성
Priority to KR20-2002-0028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4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8Structures of loose stones with or without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한 후에도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자연석(9)이 충진되게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돌망태 본체(10)와, 상기 돌망태 본체(10)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횡방향 철사(11)와, 상기 횡방향 철사(11)에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종방향 철사(12)와, 상기 횡방향 철사(11)와 종방향 철사(12)의 교차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용접부(1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돌망태{Imp Gabions}
본 고안은 돌망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호안, 절개지, 도시, 공원, 해안 등에는 물 또는 해수의 범람을 방지하거나 수로를 유지하기 위해 제방이나 둑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둑 또는 제방, 특히 인위적으로 시공된 둑, 제방 또는 공원이나 절개지의 사면에는 견고성 및 안전성을 위해 블록, 자연석이 축조되어 있다.
여기서, 자연석을 이용하여 축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자연석이 담기어 일정형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돌망태가 필요하다.
이와 같은 형태의 돌망태 중 가장 일반적인 돌망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금속망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즉, 돌망태는 통상의 철사를 엮어 형성된 고정편을 이용하여 원통 또는 다른 형태의 입방체를 형성한 몸체(1)로 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의 개방된 양측 개구부는 굵은 와이어로 형성한 뚜껑 또는 커버(2)(3)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망태는 자연석(9)을 충진하여 둑 또는 제방에 유치시키므로써 시공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돌망태는 규격화되지 않아서 돌망태를 제작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비용 및 작업량이 과도하며, 또한 시공 후 외관이 깨끗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돌망태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입방체 형태로 제조된 육각 돌망태이 제안되어 있다. 이 같은 육각 돌망태는 전체적인 육각 돌망태의 외관을 형성하는 테두리에 보강선(4)을 구비하는 것이며, 상기 보강선(4)에는 상대적으로 얇은 와이어(6)로직꼬아서 꼬임부(7)를 형성한 금속망(5)이 다수의 결속선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육각 돌망태는 자연석(9)을 충진하여 둑 또는 제방에 유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입방체 형태로 되는 육각 돌망태에 충진되는 다수의 자연석(9)에 의해 상기 꼬임부(7)가 유동이 생기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래의 육각 돌망태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측면부(8)가 배부른 형상이 되어 전체적인 형태가 변형됨에 따라 작업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질서 정연하지 못해 주변의 환경과 잘 어울리지 않고, 시공 후에도 붕괴될 위험성까지 잔존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시정하여, 돌망태를 시공 후에도 그 형태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돌망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자연석이 충진되게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돌망태 본체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본체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횡방향 철사와, 상기 횡방향 철사에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종방향 철사와, 상기 횡방향 철사와 종방향 철사에 교차지점에 형성되는 용접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돌망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육각 돌망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육각 돌망태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돌망태 본체를 나태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돌망태 본체를 연결하여 정육면체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돌망태 본체를 연결하여 정육면체 형상으로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돌망태 본체 11 : 횡방향 철사
12 : 종방향 철사 13 : 테두리 철사
15 : 용접부 20 : 나선형 철사
본 고안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 자연석(9)이 충진되게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돌망태 본체(10)와, 상기 돌망태 본체(10)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횡방향 철사(11)와, 상기 횡방향 철사(11)에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종방향 철사(12)와, 상기 횡방향 철사(11)와 종방향 철사(12)의 교차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용접부(15)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망태 본체(10)의 모서리 부분은 나선형 철사(20)가 연결되고, 상기 돌망태 본체(10)의 모서리 부분과 상기 나선형 철사(20)의 접촉 부분의 교차 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용접부(15)가 형성되어 결속된다.
여기서, 상기 철사(11)(12)의 두께가 4mm ~ 5mm의 범위 내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돌망체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돌망태 본체(10)는 횡방향 철사(11)와 종방향 철사(12)가 서로 엇갈리게 사각형 형태로 이루도록 연결되고, 테두리 철사(13)에 의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횡방향 철사(11)와 상기 종방향 철사(12)가 교차되는 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용접부(15)가 형성되어 결속된다.
다음, 돌망태 본체(10)와 돌망태 본체(10)의 테두리 부분에 나선형 철사(20)가 서로 연결되어 정육면체 형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돌망태 본체(10)의 테두리부분과 상기 나선형 철사(20)가 교차되는 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용접부(15)가 형성되어 결속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본 고안에 따른 돌망태는 내부에 자연석(9) 등이 담겨진 상태에서 붕괴의 우려가 있는 언덕 가장자리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다만, 본 고안에서의 특징부는 돌망태 본체(10)를 구성하는 횡방향 철사(11)와 종방향 철사(12)는 엇갈리게 연결된 후, 교차되는 지점에 용접부(15)를 형성하여 결속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돌망태 본체(10)를 구성하는 횡방향 철사(11)와 종방향 철사(12)가 유동이 방지되어 돌망태의 배부른 형상이 방지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의 다른 특징부는 돌망태 본체(10)와 돌망태 본체(10)의 테두리 부분에 나선형 철사(20)가 서로 연결되어 정육면체 형상을 이룬 후, 상기 돌망태 본체(10)의 테두리부분과 상기 나선형 철사(20)의 교차되는 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용접부(15)를 형성하여 결속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정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진 돌망태를 구성하는 돌망태 본체(10)와 돌망태 본체(10)가 유동이 방지되어 돌망태의 직립상태가 유지된다.
상기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한 돌망태 본체는 횡방향 철사와 종방향 철사가 교차되는 지점에 용접되어 단단하게 결속함과 아울러 돌망태 본체의 테두리 부분과 나선형 철사의 교차되는 지점에 용접되어 단단하게 결속함으로써, 상기 돌망태에 충진되는 다수의 자연석에 의한 돌망태 변형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래 형태인 직립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한 돌망태의 구조는 하중을 견디는 능력이 향상되어 상기 돌망태의 시공 후에도 붕괴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돌망태의 제작은 간단하여 설치비 및 인건비가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자연석(9)이 충진되게 정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돌망태 본체(10)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본체(10)에 횡방향으로 위치되는 횡방향 철사(11)와,
    상기 횡방향 철사(11)에 직각 방향으로 교차되는 종방향 철사(12)와,
    상기 횡방향 철사(11)와 종방향 철사(12)에 교차 지점에 형성되는 용접부(1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망태 본체(10)의 모서리 부분은 나선형 철사(20)가 연결되고, 상기 돌망태 본체(10)의 모서리 부분과 상기 나선형 철사(20)의 접촉 부분의 교차 지점에 용접 작업을 통해 용접부(1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
KR20-2002-0028549U 2002-09-24 2002-09-24 돌망태 KR2003004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49U KR200300475Y1 (ko) 2002-09-24 2002-09-24 돌망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8549U KR200300475Y1 (ko) 2002-09-24 2002-09-24 돌망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5Y1 true KR200300475Y1 (ko) 2003-01-14

Family

ID=49329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8549U KR200300475Y1 (ko) 2002-09-24 2002-09-24 돌망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6001A1 (en) Gabion
KR100629155B1 (ko) 사각형 돌망태
KR200279894Y1 (ko) 보강 와이어가 구비된 육각 개비온
KR100870034B1 (ko) 라운드 개비온
KR200300475Y1 (ko) 돌망태
KR100864813B1 (ko) 함체형 타공철판 유니트에 의한 식생 보강토옹벽 구조 및그 축조방법
KR20110000311A (ko) 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JP3032496B2 (ja) 傾斜地用構造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36327Y1 (ko) 전면부가 보강된 상자형 돌망태
KR200185647Y1 (ko) 친환경돌망태
KR200274267Y1 (ko) 철망 개비온
KR200272959Y1 (ko) 철망 개비온
JP2831993B1 (ja) 石詰篭製構造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88503Y1 (ko) 보강토 상자 돌망태
KR200422861Y1 (ko) 매트리스 개비온
KR200371883Y1 (ko) 철망 개비온
KR200259045Y1 (ko)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200306408Y1 (ko) 하천의 제방 구축용 돌망테 구조
JP2001207428A (ja) 角形石詰篭
JPS609193B2 (ja) 簡易壁体の構築法
KR200174873Y1 (ko) 보강재가 용접된 용접철망
JP2880696B2 (ja) 石詰篭製構造体
KR200378272Y1 (ko) 철망 개비온의 철망 결속구조
JPH07292692A (ja) 擁壁形成方法
KR20070112076A (ko) 매트리스 개비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