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883Y1 - 철망 개비온 - Google Patents

철망 개비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883Y1
KR200371883Y1 KR20-2004-0019195U KR20040019195U KR200371883Y1 KR 200371883 Y1 KR200371883 Y1 KR 200371883Y1 KR 20040019195 U KR20040019195 U KR 20040019195U KR 200371883 Y1 KR200371883 Y1 KR 2003718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s
wire mesh
gabion
me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91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봉
Original Assignee
태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흥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흥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91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8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8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8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B21F27/1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with soldered or welded cros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12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1F27/128Making special types or portions of network by methods or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of three-dimensional form by connecting wire networks, e.g. by projecting wires through an insulat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3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having at least a mesh por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망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철사와 테두리철사(230)로 구성되고, 나선형철사(20)로서 연결되어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200)에 있어서, 상기 단위철망(200)은, 다수의 철사 중 다수의 일방향 철사가 순차적으로 교번되어 다수의 타방향 철사의 상,하면 또는 하,상면을 반복하여 지나면서 엇갈리게 엮이고, 엮인 철사를 각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엮인 교차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철사의 용접시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용접부의 내구성 및 결합력이 증대되며, 철망의 결속력이 증대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철망 개비온{Gabion}
본 고안은 철망 개비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횡방향철사와 종방향철사의 용접을 간편하게 하여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부의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철망 개비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망 개비온은 단위철망으로 짜여진 함체 형상의 개비온 내부에 중량체인 자연석, 조약돌 등을 담아 도로의 절개지, 붕괴방지용, 댐, 홍수로 인한 제방이나 하상의 침식방지, 하천의 수로 낙하부에서의 침식방지용 구조물, 교각의 침식방지용 교대, 농업용수용 관개수로, 방파제와 제체, 돌출 전망대, 철탑의 기단, 철로변 등 사용목적에 따라 알맞게 적용시키며 사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철망 개비온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종래의 개비온과 이를 구성하는 단위철망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개비온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10)은 횡방향으로 배열된 횡방향철사(11)와 종방향으로 배열된 종방향철사(12)가 용접에 의해 격자 형상으로 배열되며, 그 가장자리는 테두리철사(13)에 의해 하나의 단위철망(10)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단위철망(10)은 각각 나선형철선(20)에 의해 가장자리에 위치한 테두리철사(13)들이 서로 엇갈리게 연결되어 도 2 또는 도 3과 같이 정육면체 형상의 개비온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개비온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개비온들은 그 내부에 도 4와 같이 자연석 등의 중량체가 채워진 상태에서 도로변의 붕괴 우려가 있는 둑 가장자리에 적재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철망 개비온은 하기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종방향철사(12) 위에 횡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횡방향철사(11)가 얹혀진 후, 각 교차부위가 용접되는데, 이는 용접전에 횡방향철사(11)가 종방향철사(12) 위에 단순히 얹혀진 상태이므로 용접작업시 철사(11)(12)가 자유롭게 유동가능한 상태이므로 용접점이 자주 어긋나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조된 단위철망(10)을 여러개로 연결하여 철망 개비온으로 사용할 때,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단위철망(10)의 용접부위가 녹이 슬어 이탈되면 그 내부에 채워진 자연석의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단위철망(10)이 파손되어 자연석이 쏟아지게 됨으로써 붕괴의 위험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횡방향철사와 종방향철사를 용접전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고정시켜 주므로써 용접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용접부의 내구성 및 결합력이 증대되며, 철망의 결속력이 증대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철망 개비온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철망 개비온에 사용되는 종래의 단위철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단위철망을 연결하여 함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철망 개비온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위철망 11 : 횡방향철사
12 : 종방향철사 13 : 테두리철사
20 : 나선형철사 100 : 단위철망
110 : 횡방향철사 120 : 종방향철사
130 : 테두리철사 200 : 단위철망
210 : 횡방향철사 220 : 종방향철사
230 : 테두리철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철사와 테두리철사로 구성되고, 나선형철사로서 연결되어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에 있어서, 상기 단위철망은, 다수의 철사 중 다수의 일방향 철사가 다수의 타방향 철사의 상,하면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지나면서 엮이고, 엮인 교차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다수의 철사와 테두리철사로 구성되고, 나선형철사로서 연결되어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에 있어서, 상기 단위철망은, 다수의 철사 중 다수의 일방향 철사가 순차적으로 교번되어 다수의 타방향 철사의 상,하면 또는 하,상면을 반복하여 지나면서 엇갈리게 엮이고, 엮인 철사를 각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엮인 교차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방향 철사는 횡방향철사 또는 종방향철사 중 어느 한 방향의 철사로 구성되고, 타방향 철사는 나머지 방향의 철사로 구성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횡방향 철사와 종방향철사로 이루어진 단위철망의 망목 즉 그물눈은 5∼10㎝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횡방향철사(110)와 다수의 종방향철사(120)가 서로 교차되면서 용접되고, 철사(110)(120)의 각 단부가 테두리철사(130)에 용접되면서 하나의 단위철망(100)을 형성하고, 인접한 단위철망(100)의 테두리철사(130)를 나선형철사(20)로서 연결하여 함체 형상의 개비온을 형성한다.
특히, 상기 단위철망(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 철사 즉 횡방향철사(110)가 다수의 타방향 철사 즉 종방향철사(120)의 상면과 하면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타고 넘어가면서 엮여 가고정되고, 교차된 접점부위가 용접된다.
즉, 하나의 횡방향철사(110)가 일측의 종방향철사(120)의 상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인접한 다른 종방향철사(120)의 하면을 타고 넘어가 엮인 결합구조가 순차적으로 반복되고, 나머지의 횡방향철사(110)도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서 종방향철사(120)에 엮어 결합하면서 용접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위철망(100)의 망목 즉 그물눈은 5∼10㎝ 간격으로 형성되고, 이는 본 출원인이 철망 개비온을 형성함에 있어 단위철망(100)의 가장 안정적인 망목을 찾아낸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결합된 종방향철사(120)와 횡방향철사(110)의 각 단부는 테두리철사(130)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작된 단위철망(100)이 나선형철사(20)로서 연결되어 함체 형상의 개비온을 형성하고, 이러한 개비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자연석 등이 담겨진 상태로 붕괴의 우려가 있는 언덕 가장자리 등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결합된 단위철망(100)은 종방향철사(120)에 횡방향철사(110)가 요철형태로 굴곡되면서 엮여 가고정됨으로써 용접시 철사(110)(120)의 유동이 최대한 방지되어 용접점에 정확히 용접을 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용접과 더불어 꼬임에 의해 결합력이 증대된다.
또한, 첨부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철망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a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A-A선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 및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단위철망(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횡방향철사(210)와 다수의 종방향철사(220)가 서로 교차되면서 용접되고, 철사(210)(220)의 각 단부가 테두리철사(230)에 용접되면서 하나의 단위철망(200)을 형성하고, 인접한 단위철망(200)의 테두리철사(230)를 나선형철사(20)로서 연결하여 함체 형상의 개비온을 형성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단위철망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횡방향철사(210)를 다수의 종방향철사(220)의 상,하면 또는 하,상면을 반복하여 지나면서 엇갈리게 역이고, 엮인 철사(210)(220)를 각 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엮인 교차부위를 용접한다.
즉, 하나의 횡방향철사(210)가 일측의 종방향철사(220)의 상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인접한 다른 종방향철사(220)의 하면을 타고 넘어가 엮이면, 이에 인접한 다른 횡방향철사(210)는 일측의 종방향철사(220)의 하면을 타고 넘어가면서 인접한 다른 종방향철사(220)의 상면을 타고 넘어가 엮인다. 그리고, 나머지 횡방향철사(210)가 이러한 결합구조로서 종방향철사(220)에 연속적으로 결합되는 결합구조로서, 결합후에는 횡방향철사(210) 또는 횡,종방향철사(210)(220)를 그 진행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기면서 그 교차점을 용접한다.
이때, 상기 단위철망(200)의 망목 즉 그물눈은 5∼10㎝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의 결합과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이 롤(미도시)에 감김된 횡방향철사(210)의 타단을 잡고 각각 인출시키되, 인출된 길이가 대략 5∼10㎝ 정도가 되면 각각의 횡방향철사(210)를 상,하로 구부리면서 인출시킨다.
그러면, 횡방향철사(210)는 최외측이 상방향으로 절곡되고, 인접한 두번째 횡방향철사(210)는 하방향으로 절곡되는 구조로 나머지 횡방향철사(210)가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비된 다수의 횡방향철사(210)의 절곡부로 하나의 종방향철사(220)를 삽입시키고, 삽입후에는 횡방향철사(210) 또는 횡,종방향철사(210)(220)를 그 인출방향으로 팽팽하게 당겨 철사(210)(220)를 직선형에 가깝게 편 후(도 6b 참조), 그 교차부위를 전기저항으로 용접한다.
이러한 결합구조를 반복하여 다수의 횡방향철사(210)를 다수의 종방향철사(220)에 계속해서 결합하여 단위철망(200)을 형성하면, 단위철망(200)의 사용시 용접점이 이탈되어도 2차적으로 횡방향철사(210)와 종방향철사(220)의 엇갈린 결합구조에 의해 단위철망(200)의 결속력이 증대됨으로써 옹벽구조물의 붕괴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철망 개비온에 의하면,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의 종방향철사와 횡방향철사가 상,하로 엇갈리면서 엮임으로써, 철사의 용접시 작업이 간편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져 작업성 및 생산성이 향상되고, 용접부의 내구성 및 결합력이 증대되며, 철망의 결속력이 증대되고,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옹벽구조물 설치시 종래의 기술로서 만들어진 제품은 철망을 결속하여주는 용접 부위가 훼손되는 시점에서 구조물로서의 수명이 끝나지만,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단위철망의 사용시에는 용접점이 이탈되어도 2차적으로 횡방향철사와 종방향철사의 상호 엇갈린 결합구조에 의해 단위철망의 결속력이 유지됨으로써 종래의 기술로서 만들어진 제품보다 옹벽구조물의 수명을 획기적으로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철사와 테두리철사(130)로 구성되고, 나선형철사(20)로서 연결되어 개비온을 구성하는 단위철망(100)에 있어서,
    상기 단위철망(100)은, 다수의 철사 중 다수의 일방향 철사가 다수의 타방향 철사의 상,하면을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지나면서 엮이고, 엮인 교차부위를 용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개비온.
  2.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일방향 철사는 다수의 타방향 철사의 상, 하면에 서로 엇갈리게 엮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개비온.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방향 철사는 횡방향철사(110)(210) 또는 종방향철사(120)(220) 중 어느 한 방향의 철사로 구성되고, 타방향 철사는 나머지 방향의 철사로 구성된 것을특징으로 하는 철망 개비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철사(110)(210)와 종방향철사(120)(220)로 이루어진 단위철망(100)(200)의 망목 즉 그물눈은 5∼10㎝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망 개비온.
KR20-2004-0019195U 2004-07-06 2004-07-06 철망 개비온 KR2003718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195U KR200371883Y1 (ko) 2004-07-06 2004-07-06 철망 개비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9195U KR200371883Y1 (ko) 2004-07-06 2004-07-06 철망 개비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2378A Division KR20050118051A (ko) 2004-06-11 2004-07-06 철망 개비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883Y1 true KR200371883Y1 (ko) 2005-01-10

Family

ID=4944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9195U KR200371883Y1 (ko) 2004-07-06 2004-07-06 철망 개비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88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38B1 (ko) * 2011-06-30 2014-01-09 전성민 식생용 철근 블럭 백 및 철근 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 옹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8538B1 (ko) * 2011-06-30 2014-01-09 전성민 식생용 철근 블럭 백 및 철근 블럭을 이용한 친환경 식생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9155B1 (ko) 사각형 돌망태
EP2136001A1 (en) Gabion
RU2330915C2 (ru) Блок из габионной сетки и габионная сетка для него
EA007850B1 (ru) Защитная проволочная сетка, защит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ооружаемая из сетки, и применение защитной проволочной сетки для сооружения защит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JP6579553B2 (ja) 透過型捕捉構造物
JP2009019492A (ja) 土木用籠材、土木用籠材の製造方法及び土木用籠材の組み付けキット
KR200371883Y1 (ko) 철망 개비온
KR20050118051A (ko) 철망 개비온
JP5095030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法面形成方法
KR20110000311A (ko) 개비온 블록의 단위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개비온 블록 및 매트리스 개비온의 제조방법
KR200274267Y1 (ko) 철망 개비온
KR200272959Y1 (ko) 철망 개비온
KR100677056B1 (ko) 친환경 타원형 돌망태 및 그 설치구조
KR200422861Y1 (ko) 매트리스 개비온
KR101130240B1 (ko) 철망을 이용한 바닥면의 시공방법
US11773554B2 (en) Erosion prevention
KR200300475Y1 (ko) 돌망태
JP3665896B2 (ja) 補強盛土堤体とその施工方法
RU2248427C1 (ru) Способ возведения габионного крепления в текущей воде
KR100682735B1 (ko) 돌망태용 철망
KR20070112076A (ko) 매트리스 개비온
JP2004176436A (ja) 河川構造物
CN217974224U (zh) 一种利于重建生物多样化的石笼生态驳岸结构
JP3080866U (ja) 土留め格子枠
KR100701300B1 (ko) 개비온 메쉬 웹을 이용한 개비온 보강토 옹벽의 축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