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6950A -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6950A
KR20030046950A KR1020010077290A KR20010077290A KR20030046950A KR 20030046950 A KR20030046950 A KR 20030046950A KR 1020010077290 A KR1020010077290 A KR 1020010077290A KR 20010077290 A KR20010077290 A KR 20010077290A KR 20030046950 A KR20030046950 A KR 20030046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pared
powder
zno
solution
fu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7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0533B1 (ko
Inventor
박성
이주현
이강렬
Original Assignee
박성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 이주현 filed Critical 박성
Priority to KR10-2001-0077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533B1/ko
Priority to EP20020791057 priority patent/EP1461290A1/en
Priority to AU2002365859A priority patent/AU2002365859A1/en
Priority to US10/497,985 priority patent/US20050095194A1/en
Priority to PCT/KR2002/002312 priority patent/WO2003048047A1/en
Publication of KR20030046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6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30/00Nanotechnology for materials or surface science, e.g. nanocompos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9/00Compounds of zinc
    • C01G9/02Oxides;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4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TEM, STEM, STM or AF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atalysts (AREA)
  • Inorganic Compounds Of Heavy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형평 합성법에 의한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Zn2+및 (NO3)-이 이온형태로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에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을 원료물질로 첨가한 후 이 혼합용액을 교반 가열하는 방법에 의하여 고순도의 ZnO 나노분말의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은 산업폐기물로부터 유가금속의 회수 및 유해한 유기물질의 분해효율이 매우 뛰어나며, 순도가 높고 입자크기가 나노크기정도로 매우 작은 ZnO 나노분말을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A method for preparaing ZnO nanopowder}
본 발명은 산화아연(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새로운 비평형 합성법을 사용하여 반도체분말을 산업 폐기물 내에 존재하는 유가 금속의 회수 효율이 매우 뛰어난 고순도 초미세 나노분말로 대량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촉매 반응에 대한 연구는 촉매 화학의 분야에 있어서도 비교적 그 역사가 짧은 분야이다. 촉매의 기능은 촉매표면과 분자간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며 이러한 상호작용은 분자와 촉매간의 전자의 주고 받음이 수반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전자 농도의 조절이 용이한 반도체가 표면의 촉매반응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광촉매의 경우, 초기에는 주로 태양 에너지의 전환, 저장에 관련된 연구가 주종을 이루었는데, 최근에는 환경에 문제가 되는 폐수, 페기물 또는 공기의 정화 등에 광촉매를 응용하는 것이 주된 연구 영역이 될 정도가 되었다.
이러한 광촉매로서는 여러가지 반도체 물질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 물질들이 실제로 광촉매 반응에 사용되기 위해서는 우선 광학적 활성도가 커야하고, 광학적으로 안정하여야 하며, 가시광선이나 자외선 영역의 및을 이용할 수 있어야 하고, 또 저가여야 한다.
광촉매 재료는 클로로필로 대표되는 금속 착체와 반도체로 구분된다. 특히, 반도체 광촉매 중에서도 산화물 반도체는 광여기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 밴드 갭이 크고, 취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활발한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러한 산화물 반도체 중 ZnO은 우르차이트(wurtzite) 구조를 지니는 금속 과다(excess)형 n-형 반도체 산화물로서 고무산업분야에서 가교 촉진제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전자산업분야에서 베리스터(varistor), FED 등의 인(phosphor), 광촉매 등에서의 적용이 검토되면서 그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한편, 나노크기입자는 벌크 재료와 비교하였을 때, 독특한 물리, 화학적 성질을 갖는다. 분말이 나노크기 입자가 되면 분말의 활성도가 높아지고, 소결온도가 낮아지며, 계면에서의 비표면적의 증대로 인하여 계면을 좋게 하며,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순도가 높아지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나노크기 입자를 촉매에 이용한다면 표면적의 증대와 표면결함과 같은 표면성질의 변화로 인하여 촉매 활성도를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재료를 광촉매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이용된 재료의 밴드갭보다 큰 빛 에너지로 조사될 때, 용액 내에서 안정하여야 하며, 입자 효율(particle efficiency), 즉 입자의 총 표면적과 실제의 조사된 표면적의 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잘 분산되어야 한다. 따라서, 안정하고 잘 분산된 나노크기 입자의 제조는 광활성도의 증가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현재, 산화아연의 제조방법으로는 기상법과 졸-겔 법 등이 있으나, 기상법의 경우 공정반응조건의 조절이 현실상 불가능하여 응집체로 형성되기 때문에, 나노크기의 ZnO 개발에 있어서는 적용이 불가능하고, 졸-겔 법의 경우 균일한 산화아연분말을 형성하지만, 공기 중에서의 격렬한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나기 때문에, 반응 조건의 엄격한 조절이 요구되며, 알콕사이드의 비싼 단가로 인하여 현재 상업화가 매우 어렵고 단지 실험실 규모로만 시도되고 있는데, 현재까지의 제조기술로는 대량 제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입자크기가 나노크기 정도로 매우 작은 광촉매용 반도체 분말을 대량을 얻을 수 있는 새로운 산화아연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분말의 엑스레이 회절 패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산화아연 분말의 형태 및 입자크기를 보여주는 투과형 전자현미경 사진.
도 3은 각종 분말의 은(Ag) 수거에 대한 광촉매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
도 4는 각종 분말의 구리(Cu) 수거에 대한 광촉매 효율을 비교한 그래프.
도 5는 각종 광촉매에 의한 폐수 내 유기물 분해실험결과를 보인 그래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Zn2+, (NO3)-및 (OH)-이 이온형태로 용해되어 있는 시작원료의 용액에, 연료물질로서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유기물질을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이 혼합용액을 교반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은 카보하이드라자이드, 옥살릭 디하이드라자이드, 1-메틸-3-니트로구아니딘, 암모늄 퍼클로레이트, 유레아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및 구아니딘 니트레이트 중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Zn(NO3)2ㆍH2O과 상기 연료물질을 비이커에 넣은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용해시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Zn(OH)2와 질산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연료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작원료물질과 상기 연료물질은 산화수에 따른 혼합비율이 1이 아닌 비평형상태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을 더욱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ZnO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 산업폐기물 처리 또는 공기정화용 제품을 더욱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구성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다. 첫번째 단계는 금속이온 원료(산화제)용액을 만들고 여기에 연료물질을 첨가하는 것이다. 금속이온원료용액은 Zn2+, (NO3)-및 (OH)- 이 이온형태로 존재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Zn(NO3)ㆍ6H2O 또는 Zn(OH)2분말을 질산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여기에 연료물질을 첨가하여 용해시키는데, 연료물질로는 글리신(H2NCH2COOH) 또는 카보하이드라자이드(H2NNHCONHNH2)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외에 옥살릭 디하이드라자이드(oxalic dihydraxide), 1-메틸-3-니트로구아니딘(1-methyl-3-nitroguanidine), 암모늄 퍼클로레이트(ammonium perchlorate), 우레아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urea hydrogen peroxide) 및 구아니딘 니트레이트(guanidine nitrate)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일반적인 글리신-니트레이트(Glycine-nitrate process: GNP)법을 응용한 비평형 합성법에 의한다. GNP법은 산화제(시작원료)와 연료의 산화수를 계산하여 연료의 자발연소로 평형상태 (즉, 산화수에 따른 산화제와 연료의 비=1)에서 제조한다. 연료로서 글리신을 이용한 경우 일반적인 GNP법에 따라 산화제를 계산하여 미반응 연소된 불순물이 함유된 ZnO 분말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에서는 글리신을 포함한 그 외의 연료를 이용하여 산화제와 연료의 산화수에 따른 혼합비를 평형상태(산화수에 따른 산화제와 연료의 비=1)로 하여 수용액을 제조하지 않고 각각의 산화제와 연료의 산화수 계산 후 산화수에 따른 산화제와 연료의 비가 1이 아닌 비평형 상태(즉, 산화제 또는 연료의 과잉 첨가)로 수용액을 제조하여 자발연소 시키는 방법을 취하였으며, 이러한 방법을 비평형 합성법이라고 정의한다.
이 때, 각각의 시약의 첨가량은 화학반응식에 따라 정량으로 계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적절히(상기한 비평형의 관점에서) 그 범위를 두어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추정되는 간단한 화학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Zn(OH)2+ 2HNO3→ Zn(NO3)2+ 2H2O (수용액 상태, 시작원료 : Zn(OH)2사용한 경우)
Zn(NO3)2+ 2H2O + 연료 → ZnO + xN2↑ +yCO2
이와 같이 제조된 혼합용액을 핫 플레이트 위에 놓고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대략 물이 끓을 정도(80∼200℃ 정도)로 가열한다. 가열에 의하여 증류수가 증발하면 상기 혼합용액은 점성이 있는 액상으로 되면서 작은 거품이 생기고 가스를 방출한다. 이 때, 포집을 위하여 미리 준비된 장치에 위치시키면 질산기가 연료와 반응하여 순간적으로 매우 높은 열(약 1500 - 1700℃)을 제공하고 큰 압력이 발생하면서 폭발하고, 그 결과 금속산화물이 산화아연(ZnO) 분말이 제조된다.
실시예
1. 혼합시료용액의 제조예.
1) 0.05 몰의 Zn(NO3)ㆍ6H2O과 0.044몰의 글리신을 비이커에 넣고, 300ml의 증류수에서 용해시켜 혼합시료용액 1을 제조하였다.
2) 0.05 몰의 Zn(NO3)ㆍ6H2O과 0.0666몰의 카보하이드라자이드를 비이커에 넣고, 300ml의 증류수에서 용해시켜 혼합시료용액 2를 제조하였다.
3) 0.05 몰의 Zn(OH)2분말을 8.25g의 질산(13.4 M)용액을 넣은 300ml 증류수에 녹인 후, 여기에 0.44 몰의 글리신을 넣고 다시 용해시켜 혼합시료용액 3을 제조하였다.
4) 0.05 몰의 Zn(OH)2분말을 8.25g의 질산(13.4 M) 용액을 넣은 300ml의 증류수에 녹인 후, 여기에 0.0666 몰의 카보하이드라자이드를 넣고 다시 용해시켜 혼합시료용액 4를 제조하였다.
2. 고순도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 및 확인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4가지 시료용액를 각각 핫 플레이트 위에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각각 가열하였다. 증류수가 증발하자 점성이 있는 액상으로 되어지고 작은 거품이 생기면서 가스를 방출하였다.
이 때, 포집을 위하여 미리 준비된 장치에 위치시키자, 고온을 발생하면서 폭발하였고, 그 결과 금속 산화물인 흰색의 구형 또는 막대기모양의 ZnO 분말이 제조되었다. 이 때, 시작원료와 연료에 따라 입자 크기와 형태는 달라졌다.
구형분말은 시작원료가 Zn(OH)2이고 연료로 글리신을 사용한 경우였고, 막대기형과 판상의 입자 형태를 보이는 것은 시작원료가 Zn(NO3)이고 연료로 카보하이드라자이드를 이용한 경우였다.
이렇게 제조된 ZnO 나노분말의 표면에 잔류한 소량의 NO3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400℃ 정도의 온도에서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최종적으로 ZnO 분말을 얻었다.
혼합시료용액 3으로부터 제조한 분말의 X-선 회절패턴을 관찰하자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말의 결정성이 우수함이 보여졌다. 도 2는 이 분말에 대한 대한 투과형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서, 이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으로 합성된 ZnO 분말의 입자크기가 수십 nm 정도로 극미세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광촉매 효과의 확인
(1) 은(Ag)수거 효과의 확인
본 발명과 동일한 반응조건으로 합성된 CeO2, 기존의 HPPLT(Homogeneous Precititation Process at Low Temperature) 방법으로 합성된 TiO2, 독일의 데구사(Degussa) 사에서 제조한 TiO2및 혼합시료용액 3으로부터 제조된 본 발명에 의한 ZnO 분말 등을 각각 은이 함유되어 있는 폐수에 넣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광촉매효과를 이용한 은수거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나타내는 도 3에 의하면, 현재까지 가장 우수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진 독일의 데구사 사에서 제조한 TiO2분말을 이용한 경우에는 은이 완전히 수거되기까지(은의 농도가 0 이 되는 상태) 45분이 걸린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ZnO 분말을 이용한 경우에는 15분 밖에 걸리지 않았다. 즉, 기존의 최고수준에 비하여 3배 이상의 우수한 성능을 가지는 점이 확인되었다.
(2) 구리(Cu) 수거 효과의 확인
상기 실험에 사용된 분말에 대하여 구리 이온을 수거하는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 에서 HPPLT(슬러리)는 기존의 HPPLT 방법으로 합성된 TiO2의 슬러리를 이용한 것이고, 나노튜브는 나노튜브 형태로 된 TiO2를 이용한 것이다. 이 실험결과에서, 독일의 데구사 사에서 제조된 TiO2분말의 경우, 자외선을 장시간 조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구리의 이온농도가 3% 이하로 내려가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의 ZnO 분말을 이용한 경우는 약 5분 정도 조사시 구리이온의 농도가 0이 되어 완전히 수거되었음을 보여준다.
(3) 유기물 분해효능의 확인
상기 실험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한 재료에 대하여 유기물의 분해실험을 행하였다. 도 5는 상기 재료들을 폐수에 처리한 후, 폐수에 잔류된 전유기탄소량(TOC : Total Organic Carbon )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에 의하면, 폐수에 함유된 유기물이 독일의 데구사 에서 제조한 TiO2분말의 경우 자외선 조사기간이 300분이 지나도 50% 이상 남아 있는데 비하여, 본 발명의 ZnO 분말을 이용한 경우에는 약 15분 정도에 걸쳐 거의 모든 유기물이 무해물질인 이산화탄소 및 물로 분해됨으로써, 본 발명의 산화아연분말의 유기물 분해효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제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ZnO 분말의 제조방법은 기존의 광촉매용 분말과 비교하여, 산업 폐수 내에 존재하는 유가 금속의 회수 및 유해한 유기물질의 분해효율이 기존의 광촉매용 분말에 비하여 월등하게 우수한 고순도의 ZnO 나노분말을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Zn2+, (NO3)-및 (OH)-이 이온형태로 용해되어 있는 시작원료의 용액에, 연료물질로서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유기물질을 첨가하여 혼합용액을 제조한 후, 이 혼합용액을 교반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기 또는 카르복실기를 가진 유기물질은 카보하이드라자이드, 옥살릭 디하이드라자이드, 1-메틸-3-니트로구아니딘, 암모늄 퍼클로레이트, 유레아 하이드로겐 퍼옥사이드 및 구아니딘 니트레이트 중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Zn(NO3)ㆍ6H2O과 상기 연료물질을 비이커에 넣은 후, 증류수를 첨가하여 용해시켜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은 Zn(OH)2와 질산을 증류수에 용해시킨 후, 상기 연료물질을 첨가하여 제조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원료물질과 상기 연료물질은 산화수에 따른 혼합비율이 1이 아닌 비평형상태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ZnO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ZnO 나노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가스 제거, 산업폐기물 처리 또는 공기정화용 제품.
KR10-2001-0077290A 2001-12-07 2001-12-07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KR100470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290A KR100470533B1 (ko) 2001-12-07 2001-12-07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EP20020791057 EP1461290A1 (en) 2001-12-07 2002-12-07 A METHOD FOR PREPARING ZnO NANOPOWDER
AU2002365859A AU2002365859A1 (en) 2001-12-07 2002-12-07 A METHOD FOR PREPARING ZnO NANOPOWDER
US10/497,985 US20050095194A1 (en) 2001-12-07 2002-12-07 Method for preparing zno nanopowder
PCT/KR2002/002312 WO2003048047A1 (en) 2001-12-07 2002-12-07 A METHOD FOR PREPARING ZnO NANOPOW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7290A KR100470533B1 (ko) 2001-12-07 2001-12-07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6950A true KR20030046950A (ko) 2003-06-18
KR100470533B1 KR100470533B1 (ko) 2005-03-08

Family

ID=19716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7290A KR100470533B1 (ko) 2001-12-07 2001-12-07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50095194A1 (ko)
EP (1) EP1461290A1 (ko)
KR (1) KR100470533B1 (ko)
AU (1) AU2002365859A1 (ko)
WO (1) WO200304804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6557B1 (ko) * 2002-04-24 2005-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나노크기의 금속입자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층형성방법
KR100499274B1 (ko) * 2002-02-06 2005-07-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이종접합구조의 산화아연계 나노선 및 그 제조방법
KR100672811B1 (ko) * 2005-03-15 2007-01-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인듐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가용성 산화인듐 나노 입자
KR101497012B1 (ko) * 2014-05-16 2015-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순도 산화아연 나노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순도 산화아연 나노 분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35161B2 (en) 2003-09-04 2006-11-14 University Of Florida Research Foundation, Inc. Method of producing nanosized oxide powders
CN1308244C (zh) * 2005-04-26 2007-04-04 华中师范大学 激发光强度和频率调谐荧光频率的纳米氧化锌及其制备方法
CN100427403C (zh) * 2006-04-24 2008-10-22 陕西科技大学 一种氧化锌薄膜的制备方法
CN100396615C (zh) * 2006-06-30 2008-06-25 华东师范大学 一种ZnO纳米结构的制备方法
DE102009009182A1 (de) 2009-02-16 2010-08-19 Süd-Chemie AG Zinkoxid-Kristallpartikel und Verfahren zu der Herstellung
TWI388507B (zh) 2009-06-25 2013-03-11 Ind Tech Res Inst 氧化鋅的製造方法及其裝置
US8790440B2 (en) * 2010-11-08 2014-07-29 Raytheon Company Forming spherical semiconductive nanoparticles
CN105819494B (zh) * 2016-03-17 2017-12-12 安徽颖达锌业发展有限公司 一种纳米氧化锌的制备方法
CN111244289B (zh) * 2020-01-15 2022-09-30 重庆文理学院 一种ZnO薄膜为界面层的有机光伏器件的制备方法
CN112110475B (zh) * 2020-09-24 2022-06-21 安徽省含山县锦华氧化锌厂 一种采用膏状前驱体制备氧化锌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766B2 (ja) * 1981-06-15 1985-08-05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酸化亜鉛超微粉末の製造法
US5110586A (en) * 1987-04-02 1992-05-05 Titan Kogyo Kabushiki Kaisha White colored deodorizer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JPH0819137B2 (ja) * 1987-05-08 1996-02-28 白水化学工業株式会社 金属含有アルコール溶液の製法
JPH02311314A (ja) * 1989-05-24 1990-12-26 Sumitomo Cement Co Ltd 超微粒酸化亜鉛の製造方法
JP2687640B2 (ja) * 1989-12-28 1997-12-08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紫外線吸収能に優れた超微粒子酸化亜鉛粉末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062993A (en) * 1990-08-29 1991-11-05 Cooper Power Systems, Inc. Process for fabricating doped zinc oxide microsphere gel
JPH04164814A (ja) * 1990-10-30 1992-06-10 Mitsubishi Materials Corp 分散性に優れた超微粒子酸化亜鉛粉末の製造方法
JP2821357B2 (ja) * 1994-02-22 1998-11-05 株式会社日本触媒 酸化亜鉛微粒子の製法
DE69531705T2 (de) * 1994-06-06 2004-03-18 Nippon Shokubai Co. Ltd. Feine Zinkoxid-Teilch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KR100420276B1 (ko) * 2001-04-27 2004-03-02 (주)아해 발화합성법에 의한 산화아연(ZnO) 분말의 제조방법
US6635795B2 (en) * 2001-12-19 2003-10-21 Conocophillips Company Desulfurization with improved sorbent regeneratio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274B1 (ko) * 2002-02-06 2005-07-01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이종접합구조의 산화아연계 나노선 및 그 제조방법
KR100476557B1 (ko) * 2002-04-24 2005-03-17 삼성전기주식회사 나노크기의 금속입자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도층형성방법
KR100672811B1 (ko) * 2005-03-15 2007-01-24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인듐 나노 입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가용성 산화인듐 나노 입자
KR101497012B1 (ko) * 2014-05-16 2015-03-0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고순도 산화아연 나노 분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순도 산화아연 나노 분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0533B1 (ko) 2005-03-08
AU2002365859A1 (en) 2003-06-17
US20050095194A1 (en) 2005-05-05
EP1461290A1 (en) 2004-09-29
WO2003048047A1 (en)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atal et al. A review on the synthesis of the various types of anatase TiO2 facets and their applications for photocatalysis
Zinatloo-Ajabshir et al. Facile fabrication of Dy2Sn2O7-SnO2 nanocomposites as an effective photocatalyst for degradation and removal of organic contaminants
Wei et al. A review on bismuth oxyhalide based materials for photocatalysis
KR100470533B1 (ko) 산화아연 나노분말의 제조방법
Foletto et al. Application of Zn2SnO4 photocatalyst prepared by microwave-assisted hydrothermal route in the degradation of organic pollutant under sunlight
Nassar et al. A facile Pechini sol–gel synthesis of TiO 2/Zn 2 TiO 2/ZnO/C nanocomposite: an efficient catalyst for the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Orange G textile dye
Dixit et al. Synergistic effect of N-rGO supported Gd doped bismuth ferrite heterojunction on enhanced photocatalytic degradation of rhodamine B
Pourmortazavi et al. Electrochemical synthesis of copper carbonates nanoparticles through experimental design and the subsequent thermal decomposition to copper oxide
Zhao et al. Polyoxometalates-doped TiO 2/Ag hybrid heterojunction: removal of multiple pollutants and mechanism investigation
Vadivel et al. Facile synthesis of YbVO4, and YVO4 nanostructures through MOF route for photocatalytic applications
Gnanasekaran et al. Highly operative NiO/ZnO nanocomposites for photocatalytic removal of azo dye
Im et al. Dynamic hydrogen production from methanol/water photo-splitting using core@ shell-structured CuS@ TiO 2 catalyst wrapped by high concentrated TiO 2 Particles
Luan et al. Facile synthesis of bismuth oxide nanoparticles by a hydrolysis solvothermal route and their visible light photocatalytic activity
JP3890414B2 (ja) ペロブスカイト型複合酸化物可視光応答性光触媒とそれを用いた水素の製造方法及び有害化学物質分解方法
Zou et al. Photocatalytic behavior of a new series of In0. 8M0. 2TaO4 (M= Ni, Cu, Fe) photocatalysts in aqueous solutions
Thakur et al. Photocatalytic behaviors of bismuth-based mixed oxides: Types, fabrication techniques and mineralization mechanism of antibiotics
Bharath et al. Photo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processes for simultaneous removal of antibiotics and heavy metal ions in wastewater using 2D-on-2D WS2@ CoFe2O4 heteronanostructures
Siddhapara et al. Study of photocatalytic activity and properties of transition metal ions doped nanocrystalline TiO 2 prepared by sol-gel method
KR20160123178A (ko) 나노복합체 광촉매 제조방법
TW201836976A (zh) 產氫材料製備方法及其產物用於有機廢水產氫的方法
Li et al. Porous TiO2/rGO nanocomposites prepared by cold sintering as efficient electrocatalyst for nitrogen reduction reaction under ambient conditions
Sokolova et al. Photocatalytic properties of composites based on Y1-xBixFeO3 (0≤ x≤ 0.15) nanocrystalline solid solutions with a hexagonal structure
CN115254130A (zh) 一种稀土元素Sm修饰的Ni基抗水性催化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e et al. Two birds with one stone: Facile fabrication of a ternary ZnIn2S4/BiVO4/MWCNTs nanocomposite for photocatalytic detoxification of priority organic pollutants and hydrogen production with a proposed mechanism
AU2021101632A4 (en)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of Li, C and N Ternary Co-Doped Titanium Dioxide Nanomateri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