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5161A -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 Google Patents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5161A
KR20030045161A KR10-2003-7006080A KR20037006080A KR20030045161A KR 20030045161 A KR20030045161 A KR 20030045161A KR 20037006080 A KR20037006080 A KR 20037006080A KR 20030045161 A KR20030045161 A KR 20030045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booster
vacuum brake
armature
actuating piston
ac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60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라이드샘루드빅
플레브니아하인리히
푸쉐르게르드
슐터페터
Original Assignee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루카스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30045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516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60T13/57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2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the fluid being gaseous
    • B60T13/46Vacuum systems
    • B60T13/52Vacuum systems indirect, i.e.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1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fluid assistance, drive, or release
    • B60T13/66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2Electrical control in fluid-pressure brake systems in vacuum systems or vacuum booster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21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deceleration
    • B60T8/3255Systems in which the braking action is dependent on brake pedal data
    • B60T8/3275Systems with a braking assistant function, i.e. automatic full braking initiation in dependence of brake pedal velo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챔버(16)와, 가동 벽에 의해 상기 진공 챔버로부터 분리된 작동 챔버(18)와, 힘 전달 방식으로 가동 벽(14)에 연결된 하우징 (12)을 구비하는 제어 밸브(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어 밸브는, 가동 벽(14) 상의 압력차를 얻기 위해서, 작동 피스톤(28)의 이동에 따라서 작동 챔버(18)에 대기압 또는 진공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영구 자석(38)과 상기 영구 자석(38)과 함께 작동하는 아마추어(36)를 구비한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아마추어는 작동 방향에 반대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비상 제동 보조 장치에서 비상 제동할 경우에 영구 자석(38)에 인접하게 끌어당겨지며, 그 결과로 제어 밸브(20)가 작동 챔버 (18)에 대기압을 공급하기 위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0)는 아마추어(36)를 작동 피스톤(28)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한 커플링 장치(9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VACUUM BRAKE BOOSTER COMPRISING A MECHANICAL EMERGENCY BRAKING AUXILIARY SYSTEM}
일반적으로 아주 잘 알려진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차량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작동력을 높이는 데 사용되므로 차량의 운전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정도로 작동력을 계속 유지시킨다. 이것은 소위 비상 제동 보조 장치로 알려져 있고, 또한 흔히 "브레이크 보조 장치"라고 칭하기도 한다. 실질적으로 동일한 작동력이 주어진 이러한 장치는 비상 제동 상황에서 증가된 제동력을 운전자에게 제공한다.
비상 제동 보조 장치는 전자기적으로 작동된 시스템과 기계적으로 작동된 시스템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비용 측면에서, 기계적 시스템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구비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예를 들어 국제특허출원 제WO 00/07862호에서 공지되었다. 상기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가동 벽에 의해 압력 누출 방지 방식으로 서로 분리된 진공 챔버와 작동 챔버를 구비한다. 가동 벽에 동작할 수 있게 연결된 하우징을 구비한 제어 밸브는 가동 벽에서의 압력차를 달성하기 위해서 브레이크 부스터의 입력 부재에 연결된 작동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작동 챔버에 대기압 또는 대기압 이상의 압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대기 밸브 시트를 포함한다.
비상 제동 작동 중의 제동력의 상승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가 제어 밸브의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비상 제동 보조 장치는 영구 자석과 함께 작동하고 작동 피스톤에 관한 작동 방향에서 작동 피스톤 상에 형성된 멈춤부에 의해 단단히 연결될 수 있는 아마추어를 포함한다. 아마추어는 작동 피스톤 상에 형성된 멈춤부를 향하여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방향에 반대로 탄성적으로 편향되고, 제어 밸브의 초기 위치에서 영구 자석으로부터 제 1 거리로 유지된다.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을 향하여 접근하는 동안에,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으로부터 제 1 거리보다 더 작은 미리 한정된 제 2 거리 미만에 있는 경우에, 아마추어는 상기 아마추어에 작용하는 탄성 편향력에 반대로 영구 자석에 의해 당겨지고, 영구 자석의 해제와 동시에 작동 방향에서 영구 자석에 인접하여 작동 피스톤에 단단히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아마추어에 단단히 연결된 슬리브 형상 연장부와 일체로 형성된 밸브 시트를 갖는 대기 밸브는 최대의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최대 가능 압력차가 형성되고, 그 결과 브레이크 부스터의 최대 가능 상승력이 달성된다.
비상 제동 작동 이후에, 아마추어는 다시 영구 자석과 분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것은, 작동 피스톤에 단단히 연결되어서 작동 피스톤의 종방향 축선에 직각으로 연장되며 아마추어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의 홈을 통해 돌출하는 바아(bar)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상기 연장부는 작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한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입력 부재의 복귀 행정 동안에, 작동 피스톤은 또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된다. 상기 경우에 작동 피스톤에 연결된 바아는 진공 챔버를 향하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의 홈의 단부와 인접하게 되므로, 작동 피스톤을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시키는 힘은 아마추어에 연결된 슬리브 형상 연장부 내로 도입된다. 상기 힘이 아마추어를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힘을 초과할 때에, 작동 방향에 반대의 작동 피스톤의 이동은 운전자에 의해 불러 일으켜진 작동력의 감소와 관련되며 결국 아마추어를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시키게 한다.
작동 방향에 반대의 작동 피스톤의 이동이 아마추어를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에, 작동 피스톤 상에 형성된 아마추어용 멈춤부는 또 아마추어로부터 한 작동 피스톤의 이동 거리만큼 이동된다.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그 결과 아마추어는 상기 아마추어를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방향에 반대로 작용하는 편향력에 의해 작동 피스톤의 이동 경로를 따라 가속된다. 따라서, 아마추어는 작동 피스톤에 형성된 멈춤부에 대하여 고속으로 충돌한다. 이와 같이 아마추어가 이 아마추어용으로 제공된 멈춤부 상에 충돌하게 되면 분명히 인지할 수 있는 귀에 거슬리는 절단 소음이 발생한다.
브레이크 부스터의 작동 위치는 아마추어가 작동 피스톤 상에 형성된 멈춤부에 충돌하기 전에 추가적으로 가능하며, 아마추어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의 자유단부 상에 형성된 밸브 시트는 제어 밸브에 부속된 밸브 밀봉 부재 상에 충돌하여서 제어 밸브가 급속하게 개방되게 한다. 결과적으로, 작동 챔버와 진공 챔버 사이의 연결이 개방되고, 브레이크 부스터에 의해 불러 일으켜진 제동력 상승은 급속히 감소되며, 이러한 것은 브레이크 페달 상에서 불쾌한 힘 충격의 형태로 운전자에게 전달된다.
본 발명은 가동 벽에 의해 서로 분리된 진공 챔버 및 작동 챔버와, 가동 벽에 동작할 수 있게 연결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가동 벽에서의 압력차를 달성하기 위해서 작동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작동 챔버에 대기압 또는 대기압 이상의 압력의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와, 영구 자석과 아마추어를 구비하는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영구 자석과 함께 작동하고 작동 방향에 반대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며, 비상 제동 작동하는 동안 영구 자석에 인접하게 끌어당겨지고, 그 결과 제어 밸브는 작동 챔버에 대기압이 공급될 수 있도록 개방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장점들을 다음과 같이 첨부 도면을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 실시예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2 실시예의 제어 밸브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3 실시예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4 실시예의 제어 밸브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b 및 도 4c는 제 4 실시예에 근거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d는 도 4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e 및 도 4f는 도 4c 및 도 4d에 따른 본 발명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사용된 스냅 작동식 후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5 실시예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6 실시예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7, 제 8 및 제9 실시예들의 제어 밸브의 초기 위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0 실시예의 제어 밸브의 작동 위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다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제 11 실시예의 제어 밸브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향상된 제동 거동을 나타내는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갖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초기에 설명된 형태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로 시행함에 따라서, 상기 목적은 아마추어를 작동 피스톤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플링 장치의 설비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되는 결과로서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 사이의 비제어된 상대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작동 피스톤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의 아마추어의 이동은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 장치에 의하여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커플링 장치는, 아마추어를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한 이후에, 종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나타난 절단 소음(cutout) 문제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서 더 이상 발생되지 않도록 작동 방향에 반대의 아마추어의 가속을 방지하거나 적어도 이러한 가속을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작동 피스톤의 복귀 행정 이동의 결과로서 연결은 바람직하게 영향을 받으며, 즉 커플링 장치는 복위 행정 이동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연결은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에 분리되기 전이나 혹은 후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아마추어와 영구 자석의 연결은 예를 들어 마찰 결합, 비적극적 결합, 또는 적극적 결합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 커플링 장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입력 부재의 특정한 복귀 행정 이후에만, 그러나 아마추어가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연결이 영향을 받도록 설계된다.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은 서로 직접적으로 및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작동 피스톤과 아마추어의 간접 연결은 예를 들어 아마추어를 포함하는 아마추어 부조립체(subassembly)의 다른 구성 요소에 작동 피스톤을 연결함으로써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작동 피스톤은 아마추어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부는 작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서, 커플링 장치는 멈춤쇠(detent) 장치의 형태를 취하며, 멈춤쇠 연결에 의해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을 연결한다. 멈춤쇠 장치는 바람직하게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을 연결시키기 위해서 함께 작동하는 제 1 멈춤쇠 부재 및 상보적 제 2 멈춤쇠 부재를 포함한다. 멈춤쇠 연결은 바람직하게 제 1 멈춤쇠 부재를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종방향 축선에 관한 반경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형성되고 해제된다. 제 1 멈춤쇠 부재는 상기 경우에 반경 방향에서,즉 반경 방향 내향으로 또는 반경 방향 외향으로 바람직하게 편향되어 있다.
제 1 실시예의 제 1 변형에 따라서, 제 1 멈춤쇠 부재는 스냅 작동식 후크 또는 스냅 링의 형태를 취하며, 예를 들어 오목 자국 또는 개구의 형태인 제 2 멈춤쇠 부재와 함께 작동한다. 스냅 작동식 후크는 상기 스냅 작동식 후크가 반경 방향에서 선회 이동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회 암의 단부 상에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스냅 작동식 후크는 선회 암과 일체 성형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스냅 작동식 후크가 예를 들어 일정한 영역에서 선회 암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선회 암은 상기 선회 암의 편향을 허용하는 다른 암(110, 112)에 단단히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다른 암은 상기 다른 암의 편향이 선회 암에 전달되기 때문에 선회 암의 작동을 허용한다. 다른 암의 편향은 바람직하게 상기 다른 암에 관하여 이동 가능한 멈춤부와 다른 암이 함께 작동하는 결과이다. 멈춤부는 예를 들어 진공 압력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우징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선회 암과 다른 암은 예를 들어 커플링 장치의 제조를 단순화하기 위해서 그리고 복잡한 굽힘 공정들을 피하기 위해서 용접에 의해 개별적으로 제조되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 장치에서는 다른 암보다 선회 암을 선회 방식으로 작동 피스톤에 부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연결된 위치에서 선회 암에 의해 불러 일으켜진 유지력이 작동 피스톤에 직접 전달될 수 있기 때문에 향상된 힘을 작동 피스톤 내로 도입할 수 있게 된다.
스냅 작동식 후크, 즉 제 1 멈춤쇠 부재는 대응 개구의 경계선, 즉 상보적멈춤쇠 부재와 함께 작동하는 경사진 표면을 구비할 수 있다. 극단적인 경우에서는, 스냅 작동식 후크가 상기 경사진 표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측정 오차는 경사진 표면에 의해 보정될 수 있는데, 왜냐하면 경사진 표면이 항상 스냅 작동식 후크를 위하여 제공된 개구와 스냅 작동식 후크의 동작 없는(play-free) 상호 작용을 허용하기 때문이다.
제 1 실시예의 제 2 변형에 따라서, 제 1 멈춤쇠 부재는 형상이 구면이나 환상형이고, 베벨(bevel)에 대한 제 1 멈춤쇠 부재의 축방향 위치에 따라 아마추어가 작동 피스톤에 연결되거나 연결이 해제되도록 베벨의 형태인 제 2 멈춤쇠 부재와 함께 작동한다.
제 1 실시예의 이미 설명한 두 개의 변형에 있어서, 제 1 멈춤쇠 부재와 제 2 멈춤쇠 부재는 아마추어의 영역에서와 작동 피스톤의 영역에서 각각의 경우 모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제 1 멈춤쇠 부재는 작동 피스톤의 영역에서 배치되고, 제 2 멈춤쇠 부재는 아마추어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 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서, 커플링 장치는 클램프 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서, 작동 피스톤과 아마추어의 연결은 클램프 조인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클램프 장치는 반경 방향에서, 즉 반경 방향 내향으로 또는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종방향 축선에 관하여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클램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클램프 부재는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사이의 작동 방향의 축방향 상대 이동과 작동 방향에 반대의 축방향 상대 이동에 관하여 비대칭 클램프 특성을 구비한다. 다시 말하면,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 사이의 축방향 상대 이동의 방향에 따라서, 다른 강도의 고정력이 클램프 부재에 의해 발생된다. 클램프 부재는 아마추어가 작동 피스톤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할 때 적어도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1 변형에 따라서, 비대칭 클램프 특성은 클램프 부재와 함께 작동하는 베벨에 의해 실현된다. 따라서, 축방향에서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 사이의 상대 이동의 결과로써, 이것이 베벨을 따라 떨어져 이동하고 이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효과적인 고정력을 발생시키도록 클램프 부재를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클램프 부재는 롤링 몸체, 예를 들어 볼 또는 링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벨은 아마추어의 영역에서, 예를 들어 아마추어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의 내부에서 반경 방향에서, 그리고 작동 피스톤의 영역에서 모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제 2 변형에 따라서, 비대칭 클램프 특성을 실현하기 위하여 클램프 암이 제공되며, 상기 클램프 암은 브레이크 부스터의 종방향 축선에 대하여 편향되어 연장하고,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에서 편향된다. 클램프 암은 바람직하게 작동 피스톤이나 아마추어 또는 아마추어의 구성 요소에 단단히 연결되고, 초기 인장 하에서 아마추어 및/또는 아마추어 부조립체 또는 작동 피스톤에 접촉하는 단부 부분을 포함한다. 클램프 암의 비대칭 클램프 특성은 그 경사 위치, 즉 예를 들어 아마추어로부터 작동 피스톤으로 또는 그 반대로 소정 각도에서의 힘의 도입에 기인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제 2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키는 축방향 가동 개방 슬리브가 제공될 수 있다. 개방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작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하는 아마추어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에 관하여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슬리브 형상 연장부에 관한 축방향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 사이의 멈춤쇠 연결의 해제는 예를 들어 개방 슬리브가 멈춤쇠 연결이 해제되도록 두 개의 상보적 멈춤쇠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와 함께 작동한다는 것에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클램프 조인트는 편향 클램프 암에 관한 축방향에서 클램프 암의 편향 단부 부분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개방 슬리브와 인접하도록 개방 슬리브를 이동시킴으로써 해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라서, 커플링 장치는 작동 피스톤에 아마추어를 연결하기 위하여 작동 피스톤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아마추어를 지지하는 지지 장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아마추어와 작동 피스톤을 연결하기 위하여 지지 위치 내로 선회하는 선회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의 구체적 구조와 별도로, 적어도 하나의 멈춤부가 작동 피스톤 상에 형성되며, 상기 멈춤부는 아마추어의 작동 방향 상류에 배치되고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와 함께 작동한다. 따라서 영구 자석으로부터 아마추어의 분리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더 이상 바아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지만 작동 피스톤 상에 형성된 멈춤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바아는 영구 자석으로부터 아마추어의 분리에 관하여 그 기능을 덜게 되며, 이에 따라 바아의 구조적 요구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바아는, 극단의 경우에서, 전체적으로 실시됨에도 불구하고, 아마추어를 영구 자석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공정을 방해하지 않고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작동 피스톤에 형성된 멈춤부는 바람직하게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와 직접 함께 작동한다. 따라서, 멈춤부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부스터의 진공 챔버에 면하는 아마추어의 단부 면과 함께 작동할 수 있다. 멈춤부와 함께 작동하는 아마추어의 단부 면은 바람직하게 영구 자석과 인접하게 되는 아마추어의 단부 면과 동일하지 않다. 멈춤부와 함께 작동하는 아마추어의 단부 면은 예를 들어, 영구 자석과 함께 작동하는 아마추어의 단부 면에 관한 작동 방향에서 또는 작동 방향에 반대로 축방향으로 편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한편으로는 아마추어를 위하여 이미 설명한 멈춤부가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피스톤의 종방향 축선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바아에 추가적으로 연결되는 작동 피스톤을 포함하는 것이 유리하다. 바아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바아에 의해 축방향에서 작동 피스톤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바아는 예를 들어 브레이크 부스터의 하우징 상에 형성되는 바아용 멈춤부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작동 피스톤의 이동성은 작동 피스톤에 연결된 바아와 바아를 위하여 제공된 멈춤부 사이에 상호 작동에 의해 적어도 작동 방향에 반대로 제한되는 것이 유리하다.
도 1a는 하우징(12)을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하고, 하우징 내에서 가동 벽(14)은 압력이 새지 않도록 진공 챔버(16)와 작동 챔버(18)를 분리시킨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가 작동하는 동안에, 진공 챔버(16)는 진공원,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의 흡기관 또는 진공 펌프와 항상 통해있다. 하우징(22)을 구비하는 제어 밸브(20)는 가동 벽(14)에서 압력차를 발생시키기 위해서 진공 챔버(16)에 작동 챔버(18)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가동 벽(14)은 제어 밸브 하우징 (22)에 동작할 수 있게 연결된다.
브레이크 부스터(10)는 봉 형상 입력 부재(26)에 의해 작동되며, 상기 봉 형상 입력 부재는 스프링(24)에 의해 초기 위치로 편향되어 있고, 제어 밸브 하우징 (22) 내로 축선(A)을 따라 돌출하며 도시되지 않은 체결 수단에 의해서 작동 피스톤(28) 내에 봉 형상 입력 부재의 하나의 둥글게 형성된 단부가 체결된다.
입력 부재(26)의 둥글게 형성된 단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작동 피스톤(28)의 단부는 감지 디스크(sensing disk)(30)와 접촉하고 있고, 상기 감지 디스크는 브레이크 부스터(10) 내로 입력 부재(26)를 거쳐 도입되는 작동력을 엘라스토머 (elastomer) 재료로 만들어진 반동 디스크(32)를 거쳐 차량 유압 브레이크 시스템의 마스터 실린더(도시되지 않음)의 반동 피스톤(34)으로 전달하며, 상기 마스터 실린더는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류에 기능적으로 배치된다.
작동 피스톤(28)은 상기 작동 피스톤(28)과 동심으로 배치된 환상 아마추어 (36)와, 마찬가지로 상기 작동 피스톤(28)과 동심으로 배치되어서 그릇 형상(pot-shaped) 구성 요소(40) 내에 수용된 환상 영구 자석(38)을 관통한다. 영구 자석 (38)과 그릇 형상 구성 요소(40)는 제어 밸브 하우징(22)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된다. 상기 목적을 위해서, 그릇 형상 구성 요소(40)와 상기 그릇 형상 구성 요소의 내부로 돌출하는 구속 슬리브(fettering sleeve)(42) 사이에 나사 연결부가 제공된다. 구속 슬리브(42)는 진공 챔버(16)에 면하는 제어 밸브 하우징(22)의 단부를 폐쇄시키는 삽입부(44)에 의해 제어 밸브 하우징(22) 내에 형성된 멈춤부(46)를 향하여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방향에 반대로 누른다.
도 1a에서 설명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환상 아마추어(36)와 상기 아마추어(36)에 단단히 연결되어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하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 (48)로 이루어진 아마추어 부조립체를 포함한다. 도 1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환상 아마추어(36)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에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하는 넥 (neck)(50)을 구비한다.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그 단부에서, 넥(50)은 반경 방향 내향으로 연장하는 환상 칼라(52)와 일체가 되고, 진공 챔버(16)에 면하는 환상 칼라의 단부 면은 복원 스프링(restoring spring)(58)과 함께 작동한다. 편향된 복원 스프링(58)은 제어 밸브(20)의 삽입부(44)에 대하여 진공 챔버에 면하는 삽입부의 단부에 의해 그리고 아마추어(36)의 환상 칼라(52)에 대하여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환상 칼라의 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아마추어(36)는 멈춤부(53)를 향하여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방향에 반대로 복원 스프링(58)에 의해 편향되고, 상기 멈춤부는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되어서 아마추어(36)의 작동 방향으로 함께 작동한다.
아마추어(36)를 위한 멈춤부(53)의 작동 방향 하류에서, 다른 멈춤부(70)는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되어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36)와 함께 작동한다. 상기 다른 멈춤부(70)는 링의 형태를 취하며, 작동 피스톤(28)의 반경 방향 외부 측면에 형성된 원주 방향 수용 그루브(72) 안쪽에 축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배치된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종방향 축선(A)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바아(80)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작동 피스톤(28)의 반경 방향 외측면에 형성된 다른 수용 그루브(82) 내부로 안내된다.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바아(80)의 이동성은 바아(80)에 면하는 수용 그루브(82)의 두 개의 단부 면들에 의해 작동 방향에서 및 작동 방향에 반대로 제한된다. 바아(80)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방을 통해 반경 방향에서 연장한다.
도 1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서, 바아(80)는 제어 밸브 하우징(22) 상에 형성된 멈춤부(84)를 향하여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방향에 반대로 편향된다. 편향은 복원 스프링(58, 24)에 의해 일어난다.
도 1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멈춤쇠 장치의 형태로 커플링 장치(9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 장치는 아마추어(36)를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0)의 작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작동 피스톤(28)에 연결되게 한다. 커플링 장치 (90)는 슬리브(92)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는 작동 피스톤(28) 상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서 작동 피스톤(28)에 단단히 연결되며, 상기 슬리브는 다수의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 편향된 선회 암과, 또한 개방 슬리브 (96)와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제공된 다수의 개구(98)들을 포함한다. 스냅 작동식 후크(99)의 형태인 선회 암(94)의 외단부는 멈춤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형성된 개구(98)의 형태로 제 2 멈춤쇠 부재와 함께 작동하는 제 1 멈춤쇠 부재의 역할을 한다.
개방 슬리브(96)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관한 내측에서 반경 방향으로 배치되고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관한 축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는 개방 슬리브(96)에 의해 덮여진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서 개방 슬리브(96)는 스냅 작동식 후크(99)에 의해 작동 방향에 반대로 편향된다.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와 같이, 개방 슬리브(96)는 개구(100)를 또한 구비하며, 바아(80)는 상기 개구를 통해 연장한다.
제어 밸브(20)의 제 1 환상 밸브 시트(54)는 아마추어(36)에 연결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밸브 시트(54)는 마찬가지로스프링(60)에 의해 밸브 시트를 향하여 편향된 환상 밸브 밀봉 부재(56)와 함께 작동하고,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주변 대기와 작동 챔버(18) 사이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밸브(20)의 제 2 환상 밸브 시트(62)가 제 1 밸브 시트(54)의 반경 반향 외측에 동심적으로 그리고 제어 밸브 하우징(22)의 내측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밸브 시트(62)는 마찬가지로 밸브 밀봉 부재(56)와 함께 작동하며 브레이크 부스터 (10)의 진공 챔버(16)와 작동 챔버(18) 사이의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초기 위치에서 도 1a에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모드의 도 1b 내지 도 1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통상 작동 동안에,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부재(26)와 작동 방향에서 상기 입력 부재(26)에 연결된 작동 피스톤(28)은 작동 방향에서, 즉 도 1b에서 왼쪽으로 이동된다. 작동 방향에서 작동 피스톤(28)의 이동은 멈춤부(53)를 거쳐 아마추어(36)에 뿐만 아니라 아마추어(36)에 연결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그리고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자유 단부 상에 형성된 밸브 시트(54)에 전달된다. 밸브 시트(54)는 밸브 밀봉 부재(56)를 들어 올려서, 주변 대기는 작동 챔버(18) 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적절한 상승력이 발생하여, 가동 벽(14)에서 실제 효과적인 압력차를 초래한다. 밸브 밀봉 부재(56)를 들어올린 밸브 시트(54)와 함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가 도 1b에서 도시된다.
작동 피스톤(28)이 작동 방향에서 이동되는 결과로서, 작동 피스톤(28)에 단단히 연결된 반경 방향 외향으로 지향된 선회 암(94)을 갖춘 슬리브(92)는 또한 작동 방향에서 이동된다. 상기 경우에 반경 방향 외부 부분, 즉 스냅 작동식 후크 (99)를 갖춘 슬리브(92)의 선회 암(94)은 개방 슬리브(96)가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되도록 개방 슬리브(96)와 함께 작동한다. 개방 슬리브 (96)의 개구(100)를 통해 연장하는 바아(80)는 작동 방향에 반대로 개방 슬리브 (96)의 상기 이동에 또한 참여한다. 따라서 바아(80)는 개방 슬리브(96)의 단부 (102)에 의해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되고, 상기 단부는 개구(100)의 범위를 정하고 입력 부재(26)와 면한다. 바아(80)는 수용 그루브(82)에 의해 한정된 상기 바아 (80)의 축방향 동작이 거의 끝날 때까지 작동 피스톤(28)에 관하여 이동된다.
도 1b는 통상 제동 작동 동안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를 도시한다. 입력 부재(26)의 작동이 전형적인 비상 제동 작동 방식에서 빠르게 비교적 큰 행정으로 영향을 받을 때에, 도 1c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가 발생된다. 비상 제동 작동 동안에, 아마추어(36)는 복원 스프링(58)의 힘이 아마추어(36)를 영구 자석(38)으로부터 계속 떨어져 있게 하기에 더 이상 충분하지 않은 범위에서 영구 자석(38)에 접근한다. 따라서 영구 자석 (38)에 의해 아마추어(36)에 가해진 힘은 우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는 입력 부재(26)로부터 분리되고 영구 자석(38)에 인접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밸브 시트(54)는 최대한으로 개방되고, 주변 공기는 가동 벽(14)에서의 최대 가능 압력차가 도달할 때까지 작동 챔버(18) 내로 흐르며, 이에 따라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최대 가능 상승력이 달성된다.
영구 자석(38)에 아마추어(36)를 연결하는 결과로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는 작동 피스톤(28)에 관하여 그리고 개방 슬리브(96)에 관하여 작동 방향, 즉 도 1c에서 왼쪽으로 이동되고, 스냅 작동식 후크(99)에 의해 유지된다. 아마추어 (36)와 영구 자석(38)을 연결한 후에 운전자에 의해 불러 일으켜진 작동력이 감소될 때에, 작동 피스톤(28)은 작동 방향에 반대로, 즉 도 1c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도 1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우에 작동 피스톤은 감지 디스크(30)로부터 분리되고,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내로 걸쇠가 걸릴 수 있다. 따라서 아마추어(36) 부조립체 및/또는 아마추어(36)는 상기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도 작동 피스톤(28)에 연결된다.
작동 피스톤(28)이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하기 때문에, 멈춤부 링(70)은 진공 챔버(16)에 면하는 아마추어(36)의 환상 칼라(52)의 단부 면과 인접하게 되므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작동 피스톤(28)에 작용하는 힘은 멈춤부 링(70)에 의해 아마추어(36) 내로 도입된다. 작동 피스톤(28)에 의해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36) 내로 도입된 힘은 최종적으로 영구 자석(38)과 아마추어(36)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기에 충분하고 아마추어(36)를 영구 자석(38)과 분리시킨다.
작동된 커플링 장치(90)의 결과로서, 즉 멈춤쇠 후크(99)가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와 맞물리는 결과로서, 아마추어(36)를 영구 자석(38)과 분리시킨 후에, 아마추어(36)를 포함하는 아마추어 부조립체는 작동 피스톤(28)에 관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아마추어(36)를 영구 자석(38)과 분리시킨 후에 제어되지 않도록 아마추어 부조립체가 속도를 가속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1d는 작동 피스톤(28)에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와 아마추어(36)를 동시에 연결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로서, 아마추어(36)를 영구 자석(38)과 분리시킨 후에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를 도시한다.
브레이크 페달의 충분한 해제 이후에만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가 도 1d에 도시된 작동 위치로부터 도 1a에 도시된 그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상기 복귀 동안에, 바아(80)는 멈춤부(84)에서 유지된다. 멈춤부(84)와 바아(80) 사이의 상기 상호 작동의 결과로서, 바아(80)는, 바아(80)가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수용 그루브 (82)의 단부 면과 다시 인접하게 되고 수용 그루브(82) 내에서 바아(80)의 축방향 동작이 끝날 때까지, 작동 피스톤(28)의 수용 그루브(82) 내에서 작동 방향, 즉 도 1d에서 왼쪽으로 이동된다.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그루브(82) 내부의 바아(80)의 축방향 이동은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단부(102)를 가진 개방 슬리브(96)로 전달되고, 제한된 개구 (100)는 바아(80)에 대해서 놓여진다. 개방 슬리브(96)는 결과적으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관한 그리고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작동 방향에서 이동된다. 따라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외측의 개방 슬리브(96)와, 작동 피스톤(28)과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사이의 연결에 의해 눌러지며, 이에 따라 아마추어(36)는 해제된다. 이러한 것은 도 1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 해당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의 기능과 구조에서 사실상 동일하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플링 장치(90)는 멈춤쇠 장치의 형태를 취하며, 작동 피스톤(28)과 아마추어(36)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사이의 멈춤쇠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내에 제공된 개구(98) 내로 걸쇠가 걸린다.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반경 방향 외향으로 편향된 스냅 작동식 후크 (99)는 작동 피스톤(28)에 단단히 연결된 슬리브(92)와 일체로 구성된 선회 암 (94)의 반경 방향 외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실시예와 다르게, 바아(80)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작동 피스톤(28)에 연결된다. 또한, 스냅 작동식 후크(99)를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로부터 해제하기 위하여 제 1 실시예에서 제공된 개방 슬리브는 필요 없게 되었다. 제 2 실시예에서, 스냅 작동식 후크(99)와 개구(98) 사이의 멈춤쇠 연결의 해제는 작동 피스톤(28)에 작용하고 복원 스프링(24, 58)에 의해 발생되는 여분의 힘에 의해 입력 부재(26)의 복귀 행정 동안 영향을 받는다. 복원 스프링 (24, 58)은 복원 스프링에 의해 불러 일으켜진 스프링력이, 입력 부재(26)의 복귀 행정에 이어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외측의 스냅 작동식 후크(99)를 누르기에 충분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3 실시예는 도 3a 내지 도 3d에서 여러 가지 작동 위치들을 도시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기능과 구조에서 사실상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에서, 커플링 장치(90)는, 마찬가지로 멈춤쇠 장치의 형태를 취하며,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회 암(94)의 단부에 형성된 스냅 작동식 후크(99)의 형태인 제 1 멈춤쇠 요소를 포함하고,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제공된 개구(98)의 형태인 상보적 제 2 멈춤쇠 부재를 또한 포함한다.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와 다르게,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부터가 아니라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부터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내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관하여 걸쇠를 건다. 또한, 선회 암(94)은 작동 피스톤(28)에 연결된 슬리브에 체결되지 않고 선회 암(94)에 사실상 직각으로 연장하는 멈춤부 몸체(110)와 일체로 구성된다. 멈춤부 몸체(110)는 작동 피스톤(28)의 종방향 축선에 직각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플레이트(112)의, 입력 부재 (26)에 면하는, 표면상에 배치된다. 스프링 플레이트(112)는 제동 바아(80)의 두개의 돌출부(limb) 사이의 중간에서 체결되고, 제동 바아(80)와 같이, 작동 피스톤 (28)에 단단히 연결된다.
도 3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서, 제동 바아 (80)와 함께 편향된 스프링 플레이트(112)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 내에 형성된 멈춤부(84)로부터 멈춤부 몸체(110)가 분리된 이후에, 스프링 플레이트(112)가 작동 방향에 반대로 선회 이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작동 피스톤(28)의 그루브(82) 내로 고정된다. 도 3a에서, 상기 선회 이동은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반경 방향 외표면과 스냅 작동식 후크(99)의 인접으로 인하여 여전히 방지된다.
도 3b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는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에 인접하는 비상 제동 작동 이후에 발생된다. 제어 밸브 하우징(22)은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12)에 관하여 작동 방향, 즉 도 3b에서 왼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스프링 플레이트(112)의 멈춤부 몸체(110)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12) 내에 형성된 멈춤부(84)로부터 분리되고, 선회 암(94)은 스냅 작동식 후크(99)를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반경 방향 외표면을 향하여 휘게 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완화시킴으로써 비상 제동 작동이 종결되는 경우에, 입력 부재(26)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관하여 작동 방향에 반대로, 즉 도 3b에서 오른쪽으로 이동된다. 입력 부재(26)의 복귀 행정과 복원 스프링(24, 58)의 복원력의 결과로서, 작동 피스톤(28)과 상기 작동 피스톤(28)에 단단히 연결된 선회 암(94)은 아마추어(36)와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로 또한 이동된다. 이것은 도 3c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에 이르며, 이러한 작동 위치에서 선회 암(94) 상에 형성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내로 걸쇠가 걸리고, 아마추어(36)가 작동 방향에 반대로 작동 피스톤(28)에 연결된다. 상기 연결의 결과로서, 도 3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도 더 이상 작동 피스톤(28)에 대하여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작동 피스톤(28) 상에 아마추어 (36)를 위하여 형성된 멈춤부(53)에 대한 아마추어(36)의 바람직하지 않은 충돌은 피할 수 있다. 또한, 밸브 밀봉 부재(56)에 대한 아마추어(36)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제어할 수 없는 충돌도 불가능하다. 오히려, 입력 부재(26)의 계량된 복귀 행정 이후에만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상에 형성된 밸브 시트(54)가 밸브 밀봉부재(54)와 충돌할 수 있으며, 밸브 밀봉 부재(56)를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시켜서 가동 벽(14)에서의 압력차를 감소시키도록 밸브 시트(62)를 개방시킬 수 있다.
입력 부재(26)의 복귀 행정의 결과로서 가동 벽(14)에서의 압력차가 감소된 이후에, 가동 벽(14)과 상기 가동 벽(14)에 단단히 연결된 제어 밸브 하우징(22)은 도 3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 내로 다시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작동 위치 이전에, 도 3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부 몸체(110)가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12) 내에 형성된 멈춤부 (84)와 인접하는 작동 위치가 발생된다. 작동 방향에 반대로 작동 피스톤(28)의 다른 이동과 동시에, 멈춤부 몸체(110)에 단단히 연결된 선회 암(94)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선회된다. 선회 암(94)의 상기 선회 이동 때문에. 선회 암(94)과 일체로 형성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또한 반경 방향 외향으로 이동하고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로부터 물러나게 된다. 작동 피스톤(28)과 아마추어(36) 사이의 연결은 결과적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는 아마추어(36)가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된 멈춤부(53)와 인접할 때까지 복원 스프링(120)에 대하여 밸브 밀봉 부재(56)를 거쳐 이동된다. 이것은 도 3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 해당한다.
도 4a는 도 3c에 따른 작동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0)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구조와 작동에 관하여 제 3 실시예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 3 실시예와 다르게, 탄성 선회 암에 배치된 스냅 작동식 후크(99)를 구비한 탄성선회 암(94)과 스프링 플레이트(112)는 단일 금속 박판부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스프링 플레이트 상에 추가적인 지지부의 설비가 필요치 않을 수 있다.
도 4b는 도 3c의 작동 위치에서 도 4a의 실시예에 대하여 약간 변경된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a에서 스프링 암 (94)과 스프링 플레이트(112)를 형성하는 금속 박판부를 제조하기 위한 복잡한 굽힘 공정을 피하기 위해서, 도 4b에 따른 커플링 장치(90)에 있어서 스프링 암(94)과 스프링 플레이트(112)가 용접에 의해 연결된 두 개의 개별적인 금속 박판부로서 제조된다. 종방향에서 연장하는 선회 암(94)은 작동 피스톤(28)에 선회 암(94)을 선회 가능하게 부착시키기 위하여 바아(80)용 작동 피스톤(28)의 수용 그루브 내에서 고정되는 칼라(94a)를 구비한다. 따라서 선회 암(94)은 선회 암(94) 및/또는 스냅 작동식 후크(99)에 작용하는 모든 유지력들이 작동 피스톤 내로 신뢰 가능하게 도입될 수 있도록 작동 피스톤(28)과 직접 연결된다.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U자형 측면에 의해 구체화된다. U자형 측면은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선회 암(94)의 단부 상에 형성되고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종방향 축선(A)에 대하여 기울어 연장하는 돌출부(99A)를 포함한다.
도 4b에서 도시된 비상 제동 보조 장치의 작동된 위치에서, 즉 영구 자석 (38)과 아마추어(36)가 연결되는 경우에,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대응 개구(98) 내에 맞물린다. 결과적으로, 커플링 장치(90)는 작동되고, 아마추어(36)는 작동 피스톤(28)에 연결된다. 종방향 축선(A)에 기울어 연장하는 스냅 작동식 후크(99)를 형성하는 U자형 측면의 돌출부(99A) 때문에, 스냅 작동식 후크(99)가 항상 완전하게, 즉 동작 없이 개구(98)를 채우도록 보장한다. 크기상의 공차에 기인한 개구(98)의 다른 치수들은 이렇게 보정될 수 있다. 물론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본질적으로 U자형 측면 대신에 본질적으로 V자형 측면에 의해 또한 형성될 수 있고, 서로 종방향 축선(A)에 기울어 연장하는 두 개의 돌출부들을 구비한다.
커플링 장치의 비연결 상태를 취하는 도 4b에 따른 커플링 장치(90)를 구비하기 위해서, 상술된 바와 같이 스프링 플레이트(112)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12) 상에 형성된 멈춤부(84)와 상호 작동한다. 이러한 상호 작동은 선회 암(94)이 반경 방향 외향으로 탄성적으로 굽혀지고 스냅 작동식 후크(99)가 최종적으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밖으로 당겨지는 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정지 위치)에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상에 편향되어 있다.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것은 도 4a의 제 4 실시예와 도 4b의 실시예에 대하여 약간 변경되어 있다.
선회 암(94)과 스프링 플레이트(112)에 의해 형성된 암은 별도의 구성 요소로서 다시 설계되고, 선회 암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스프링 플레이트(112)의 영역 (112a)은 용접에 의해 선회 암(94)에 연결된다. 선회 암(94)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프링 플레이트(112)의 단면은 선회 암(94)에 면하는 그 단부에서 국부적으로 선회 암(94)의 상기 단면을 보강하는 비드(bead)(112b)를 구비한다. 스프링 플레이트(112)의 탄성 감소의 결과는 커플링 장치(90)의 컷오프(cut-off)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도 4c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의 스냅 작동식 후크(99)의 제조는 도 4d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4e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선회 암(94)은 스트립 형상 스프링 플레이트로 설계된다.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그 단부에서, 선회 암(94)은 예를 들어 펀칭에 의해 만들어진 T자형 단부 부분이 제공된다. 선회 암(94)의 폭 이상으로 연장하는 영역(94a, 94b)은 도 4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칭 이후에 하향으로 경사진다. 두 개의 경사진 영역(94a, 94b)들 중 각각 하나는 스냅 작동식 후크(99b, 99c)를 형성한다. 도 4d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스냅 작동식 후크 (99b, 99c)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개구(98) 내로 커플링 장치(90)의 연결된 위치에서 맞물린다.
도 4d 및 도 4f를 참조하여 설명된 스냅 작동식 후크(99b, 99c)의 제조는 상기 스냅 작동식 후크(99b, 99c)가 굽힘 작동보다는 펀칭 작동에 의해 한정되기 때문에 그 치수의 정확성을 향상시킨다. 굽힘 공정에 관한 치수의 안정성은 일반적으로 스프링 백 효과로 인하여 낮다. 그러나, 스프링 백 효과로 인한 비굽힘 (unbending)은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연결의 치수 정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도 4d에서 비굽힘이 도면의 평면에 수직인 방향에서 치수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왼쪽 및 오른쪽으로 일어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제 3 실시예(도 3a-3d)와 제 4 실시예(도 4a-4f)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아마추어(36)의 전방에 배치되어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된 멈춤부가 아마추어(36)를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하여 작동 피스톤(28) 상에 제공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뿐만 아니라 초기 위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 부스터(1)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5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이전 실시예들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들에 구조와 작동에서 유사하다.
이전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커플링 장치(90)는 멈춤쇠 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커플링 장치(90)는 팽창 링(122)의 형태인 제 1 멈춤쇠 부재뿐만 아니라 원통형 연장부(48) 내에 형성된 베벨(124)의 형태인 상보적 제 2 멈춤쇠 부재를 포함한다. 팽창 링(122)은 작동 피스톤(28)에서 형성된 원주방향 환상 그루브(126) 내에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는 방식으로 배치되고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반경 방향으로 내표면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향으로 편향된다.
팽창 링(122)은 도 5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원통형 부분(128)에 접촉하며, 상기 부분은 베벨 (124)의 작동 방향 하류에 배치되고 베벨(124)의 작동 방향 상류에 배치된 원통형 부분(130)보다 직경이 더 작은 내측을 구비한다.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있는 도 5b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는 비상 제동 상황에서 발생한다. 아마추어 (36)를 영구 자석(38)에 연결하는 것에 기인하는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이동의결과로서, 베벨(124)은 팽창 링(122)이 베벨(124)의 영역에서 반경 방향 외향으로 팽창할 수 있는 범위내 작동 방향으로 이동된다. 베벨(124)의 영역에서 팽창 링 (122)의 팽창은 작동 피스톤(28)에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와 아마추어(36)를 연결시키는 데 영향을 주며, 그 결과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이동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것에 대한 이유는,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36)에 작용하는 축방향 힘은 베벨(124)에 의해 팽창 링(122)을 환상 그루브(126) 내로 다시 누르기에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브레이크 페달의 해제와 입력 부재(26)의 결과적인 복귀 행정 이후에만, 팽창 링(122)은 팽창 링(122)의 직경이 베벨(124)의 작동 방향 하류에 배치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원통형 부분(128)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는 베벨(124)에 의한 범위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내로 도입된 복원 스프링력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도 5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가 발생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6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에서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구조와 기능에서 이전 실시예들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들과 사실상 동일하다.
제 6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마찬가지로 멈춤쇠 장치의 형태인 커플링 장치(90)를 포함한다. 멈춤쇠 장치는 스프링 와셔(132)의 형태인 제 1 멈춤쇠 부재뿐만 아니라 그루브로서 설계된 오목 자국(134)의 형태인 상보적 제 2 멈춤쇠 부재를 포함한다. 스프링 와셔(132)는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아마추어(36)의 단부 면(136)에 체결되고 스냅 링(138)의 형태인 반경 방향 내부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스냅 링은 작동 피스톤(28) 내에 형성된 오목 자국(134) 내로 맞물림 하도록 설계된다.
도 6a는 비상 제동 작동 동안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를 도시한다. 아마추어(36)는 비상 제동 작동의 결과로서 영구 자석(38)과 인접하여 당겨진다. 상기 경우에, 스냅 링(138)은 오목 자국(134)의 외측에 튀어 오른다. 운전자가 비상 제동 작동을 마친 경우에, 아마추어(36)는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아마추어(36)는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된 멈춤부(53)와 인접할 때까지 작동 방향에 반대로 이동한다(도 1b). 그러나, 아마추어(36)가 멈춤부와 인접하기 전에, 스냅 링(138)이 오목 자국(134) 내로 걸쇠가 걸리도록 하는 데 필요한 스냅 링(138)의 팽창을 달성하기 위해서 변형 작업이 요구된다. 변형 작업은 분리되어진 후에 작동 방향에 반대로 가속되는 아마추어(36)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 멈춤부(53)에 대한 아마추어(36)의 충돌이 저지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7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구조와 기능에서 이전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상응한다. 그러나 이전 실시예들과 다르게, 커플링 장치(90)는 멈춤쇠 장치로서가 아니라 클램프 장치로서 설계된다. 클램프 장치(90)는, 작동 피스톤(28)에 단단히 연결되며 작동 피스톤(28)의 반경 방향 외측에 체결되며 반경 방향 외향으로 돌출하는 클램프 암(142)의 형태인 다수의 클램프 요소(142)들과 일체로 형성되는 슬리브(140)를 포함한다. 클램프 암(142)은 초기 인장 상태에서 슬리브 형상연장부(48)의 반경 방향 내측에 인접한다. 이에 따라 클램프 암(142)은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클램프 암(142)은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내로 경사져 이동한다. 비대칭 클램프 특성은 클램프 암(142)의 상기 경사 위치와 연동된다. 작동 피스톤에 관한 작동 방향으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이동에 따라 클램프 암(142)의 고정력이 비교적 낮은 반면에, 클램프 암(142)은 반대 방향으로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이동에 따라 비교적 높은 고정력을 발생시킨다.
클램프 암(142)에 의해 발생된 비대칭 고정력은 비상 제동 작동 동안에 아마추어(36)가 작동 피스톤(28)으로부터 분리되고 영구 자석(38)과 인접할 수 있도록 치수가 결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된 이후에 고정력은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의 아마추어(36)의 이동의 광범위한 제동과, 특히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된 멈춤부(53)에 대한 아마추어 (36)의 충돌의 광범위한 제동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하도록 치수가 결정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8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는 기능과 구조에서 제 7 실시예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플링 장치(90)는 다수의 클램프 암(142)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그러나, 제 7 실시예와 다르게, 제 8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 장치(90)는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능성을 가진 개방 슬리브(96)를 포함한다. 개방 슬리브(96)는 차량 브레이크의 충분한 해제 이후에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에의 반경 방향 외향으로 편향된 암(142)의 연결을 해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9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9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구조와 기능에서 제 7 실시예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와 사실상 동일하다.
제 7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플링 장치(90)는 다수의 클램프 암(142)을 구비한 클램프 장치의 형태를 취한다. 클램프 장치(90)는 자유 회전 장치의 방식으로 설계되고 작동 피스톤(28) 상에 나사로 된 캐리어 링(150)을 포함한다. 캐리어 링 (150) 내에는 원뿔형 기부를 구비하는 환상 그루브(152)가 형성된다. 따라서 베벨 (154)은 환상 그루브(152)의 원뿔형 기부에 의해 한정된다.
볼로 설계된 롤링 몸체(156)의 형태인 클램프 요소는 다음과 같이 반경 방향 외향으로 효과적인 고정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베벨과 함께 작동한다.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와 작동 피스톤(28) 사이의 상대 이동에 따라, 베벨(154)과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반경 방향 내표면을 접촉하는 롤링 몸체(156)는 커플링 장치 (90)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마찰 때문에 동시에 이동된다.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작동 방향에 반대의 슬리브 형상 연장부(48)가 이동한 바로 뒤에, 즉 아마추어(36)가 영구 자석(38)으로부터 분리된 후에, 롤링 몸체(156)는 베벨(154)을 감싼다. 이러한 것은 반경 방향 외향 방향으로의 롤링 몸체(156)의 이동과, 캐리어 링(150)과 롤링 몸체(156)와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의 정지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아마추어(36)는, 작동 피스톤(28)에 관하여, 작동 방향에 반대로 작동 피스톤에 연결된다.
슬리브 형상 연장부(48)와 작동 피스톤(28) 사이의 반대로 지향된 상대 이동은, 다른 한편으로, 롤링 몸체(156)가 베벨(154)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아마추어 (36)와 작동 피스톤(28)의 분리에 영향을 미치고, 작동 피스톤(28)과 슬리브 형상 연장부(48) 사이의 반경 방향으로 효과적인 고정력이 감소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10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0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기능과 구조에서 제 9 실시예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와 사실상 동일하다. 그러나 제 9 실시예와 다르게, 클램프 장치의 형태인 커플링 장치(90)는 고체 캐리어 링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비용을 이유로, 굽힌 박판 금속부(158)를 포함한다. 상기 굽힌 박판 금속부는 작동 피스톤(28)의 그루브(152) 내부에 배치되고 베벨(154)을 한정한다. 롤링 몸체(156)는 제 9 실시예의 롤링 몸체에 상응한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제 11 실시예를 도시한다. 제 11 실시예에 따른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는 기능과 구조에서 이전 실시예들의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들과 유사하다. 그러나 이전 실시예들과 다르게, 커플링 장치(90)는 작동 피스톤(28)에 대하여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 (36)를 지지한다.
지지 장치(90)는 아마추어(36)와 작동 피스톤(28)을 연결하기 위하여 지지 위치로 선회할 수 있는 지지 부재(160)를 포함한다. 도 11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에서, 지지 부재(160)는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고 작동 방향에 반대로 연장하는 아마추어(36)의 개구(162) 내로 부분적으로 맞물린다. 지지 부재(160)는 작동 피스톤(28)에 단단히 연결되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 편향된다. 반경 방향 외향으로 연장하고 도 11a에서 도시된 초기 위치에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12)에 형성된 멈춤부(84)와 인접하여 위치된 암(164)은 지지 부재(160)와 일체로 형성된다. 그러나 도 11a에 따른 초기 위치에서, 지지 부재(160)는 지지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아마추어(36)의 개구(162) 내에서 걸쇠가 걸린다.
비상 제동 작동 동안에, 아마추어(36)는 작동 피스톤(28)에 관한 작동 방향, 즉 도 11a에서 왼쪽으로 이동된다. 상기 경우에 아마추어(36)는, 지지 부재(160)가 부속된 개구(162)로부터 분리되도록, 그리고 편향 때문에 진공 챔버(16)에 면하는 지지 부재(160)의 단부가 입력 부재(26)에 면하는 아마추어(36)의 단부 면에서 형성된 베벨(166)에 접촉할 때까지 반경 방향 외향으로 선회하도록, 작동 피스톤(28)과 멀리 떨어져 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입력 부재(26)의 복귀 행정 동안에, 아마추어(36)는 영구 자석(38)과 분리되고, 도 11b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작동 위치가 발생한다. 지지 부재(160)는 그 지지 기능을 수행하고 작동 피스톤(28) 상에 형성된 멈춤부(53)에 대한 아마추어(36)의 충돌을 방지한다.
브레이크의 충분한 해제 이후에만, 암(184)이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하우징(12) 상의 멈춤부(84)에 대하여 위로 물러나며, 그 결과 지지 부재(160)는 반경 방향 내향으로 다시 선회되며 아마추어(36) 내에 형성된 개구(162) 내로 다시 한번 맞물릴 수 있다. 이어서 지지 부재(160)는 그 지지 기능이 경감되고, 도 11a에서 도시된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초기 위치가 발생한다.

Claims (23)

  1. 가동 벽(14)에 의해 서로 분리된 진공 챔버(16) 및 작동 챔버(18)와;
    가동 벽(14)에 동작할 수 있게 연결된 하우징(22)을 포함하고, 가동 벽(14)에서의 압력차를 달성하기 위해서 작동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작동 챔버(18)에 대기압 또는 대기압 이상의 압력 공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20)와;
    영구 자석(38)과 아마추어(36)를 구비하며, 상기 아마추어는 상기 영구 자석(38)과 함께 작동하고 작동 방향에 반대로 탄성적으로 편향되며 비상 제동 작동 동안 영구 자석(38)에 인접하게 끌어당겨지고, 그 결과로 제어 밸브(20)가 작동 챔버(18)에 대기압을 공급하기 위한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에 있어서,
    아마추어(36)를 작동 피스톤(28)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시키기 위하여 커플링 장치(9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90)는 멈춤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3. 제 2 항에 있어서, 멈춤쇠 장치(90)는 작동 피스톤(28)에 아마추어(36)를 연결시키기 위해서 함께 작동하는 제 1 멈춤쇠 부재(99, 122, 138)와 상보적 제 2 멈춤쇠 부재(98, 124, 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멈춤쇠 부재(99, 122, 138)는 반경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멈춤쇠 부재(99, 122, 138)는 반경 방향에서 편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멈춤쇠 부재는 스냅 작동식 후크(99) 또는 링(122, 138)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실질적으로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선회 암(94)의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스냅 작동식 후크(99b, 99c)가 선회 암(94)의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영역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선회 암(94)은 상기 선회 암(94)을 편향되게 하는 다른 암(110, 112)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회 암은 상기 선회 암이 선회될 수 있도록 작동 피스톤(28)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1. 제 3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2 멈춤쇠 부재는 개구 (98), 오목 자국(134) 또는 베벨(124)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스냅 작동식 후크(99)는 개구(98)들의 경계선(98a)과 함께 작동하는 경사 표면(99a)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90)는 클램프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클램프 장치(90)는 반경 방향에서 고정력을 발생시키는 클램프 부재(142, 15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142, 156)는 아마추어(36)와 작동 부재(28)사이의 작동 방향의 축방향 상대 이동과 작동 방향에 반대의 축방향 상대 이동에 관하여 비대칭 클램프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6.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클램프 장치(90)는 클램프 부재(156)와 함께 작동하는 베벨(15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7. 제 14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는 롤링 몸체, 특히 링 또는 볼(156)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8.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클램프 부재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10)의 종방향 축선에 관하여 편향되어 연장하는 클램프 암(14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90)는 아마추어(36)와 작동 피스톤(28) 사이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축방향 가동 개방 슬리브(9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20.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 장치(90)는 지지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21. 제 20 항에 있어서, 지지 장치(90)는 아마추어(36)와 작동 피스톤(160)을 연결하기 위하여 지지 위치 내로 선회할 수 있는 지지 부재(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멈춤부(70)는 작동 피스톤 (28) 상에 형성되며, 상기 멈춤부는 아마추어(36)의 작동 방향 상류에 배치되고 작동 방향에 반대로 아마추어(36)와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피스톤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하고 작동 피스톤과 연결되는 바아(8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브레이크 부스터.
KR10-2003-7006080A 2000-11-02 2001-04-20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KR200300451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54252A DE10054252B4 (de) 2000-11-02 2000-11-02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DE10054252.2 2000-11-02
PCT/EP2001/004523 WO2002036403A1 (de) 2000-11-02 2001-04-20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5161A true KR20030045161A (ko) 2003-06-09

Family

ID=7661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6080A KR20030045161A (ko) 2000-11-02 2001-04-20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72198B2 (ko)
EP (1) EP1330381A1 (ko)
JP (1) JP2004513817A (ko)
KR (1) KR20030045161A (ko)
AU (1) AU2001267363A1 (ko)
BR (1) BR0113880A (ko)
DE (1) DE10054252B4 (ko)
WO (1) WO20020364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20A (ko) * 2016-09-26 2019-04-10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유압식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의 브레이크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1274B2 (ja) * 2002-06-14 2007-10-31 ボッシュ株式会社 負圧倍力装置
FR2844764B1 (fr) * 2002-09-19 2005-06-10 Bosch Sist De Frenado Sl Servomoteur pneumatique d'assistance au freinage,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DE10253685B3 (de) * 2002-11-18 2004-03-11 Lucas Automotive Gmbh Bremskraftverstärker
FR2857641B1 (fr) * 2003-07-16 2005-09-23 Delphi Tech Inc Amplificateur de force a au moins deux rapports d'amplification
FR2867139A1 (fr) * 2004-03-02 2005-09-09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s a deux sauts differencies par actionneur piezoelectrique
FR2867140B1 (fr) * 2004-03-02 2006-09-22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a deux sauts differencies par actionneur piezoelectrique
KR101317111B1 (ko) 2007-04-16 2013-10-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구비한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FR2918627B1 (fr) * 2007-07-09 2010-04-02 Bosch Gmbh Robert Servomoteur d'assistance au freinage pour systeme de freinage de vehicule automobile.
DE102008032257A1 (de) * 2008-07-09 2010-01-14 Lucas Automotive Gmbh Bremskraftverstärker für eine Kraftfahrzeugbremsanlage und entsprechende Kraftfahrzeugbremsanlage
DE102010034828A1 (de) * 2010-08-19 2012-02-23 Lucas Automotive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reduzierter Geräuschemission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s
CN103264299B (zh) * 2013-05-04 2015-06-10 中钢集团衡阳重机有限公司 大型筒体装夹装置
DE102014215697A1 (de) * 2014-08-07 2016-02-1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Pneumatischer Bremskraftverstärke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56506B2 (ja) * 1995-12-22 2003-10-14 株式会社ボッシュオートモーティブシステム 倍力装置
EP1100705B1 (de) 1998-08-05 2003-09-03 Lucas Industries Public Limited Company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DE19938040C1 (de) 1999-08-12 2001-01-04 Lucas Ind Plc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und verbesserter Geräuschdämpfung
DE19960576C1 (de) * 1999-12-15 2001-05-17 Lucas Varity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DE10002055A1 (de) * 2000-01-19 2001-08-09 Lucas Varity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DE10019425B4 (de) * 2000-04-19 2005-07-21 Lucas Varity Gmbh Unterdruckbremskraftverstärker mit mechanischer Notbremshilf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9320A (ko) * 2016-09-26 2019-04-10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유압식 자동차 브레이크 시스템용의 브레이크 디바이스
US10864897B2 (en) 2016-09-26 2020-12-15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Brake device for a hydraulic motor vehicle brake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54252A1 (de) 2002-05-16
JP2004513817A (ja) 2004-05-13
DE10054252B4 (de) 2006-05-18
US20030188632A1 (en) 2003-10-09
AU2001267363A1 (en) 2002-05-15
EP1330381A1 (de) 2003-07-30
US6672198B2 (en) 2004-01-06
BR0113880A (pt) 2003-07-15
WO2002036403A1 (de) 2002-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45161A (ko) 기계적 비상 제동 보조 장치를 포함하는 진공 브레이크부스터
JP3310980B2 (ja) 特に自動車ブレーキ装置のための、電磁石式補助制御装置を有する空気圧式倍力装置
JPS6080963A (ja) バキユ−ムブレ−キ用パワ−ブ−スタ
JPH0722369Y2 (ja) ブレ−キ倍力装置
US7954511B2 (en) Two-stage valve for controlling fluids
EP1022204A3 (de) Anhängersteuerventil für eine Druckluftbremsanlage von Zugfahrzeug-Anhänger-Kombinationen
US10286888B2 (en) Vacuum brake booster having a throttle control valve assembly
KR100362886B1 (ko) 전자제어브레이크부스터를장착한차량브레이크시스템
US6070514A (en) Pneumatic brake booster
US6505539B2 (en) Vacuum brake booster with mechanical emergency braking assistance
JPH0352600Y2 (ko)
JPS6230833Y2 (ko)
JPS6280150A (ja) ブレ−キブ−スタ
EP3418635B1 (en) Gas valve and gas control device
US6843161B2 (en) Vacuum brake booster with mechanical emergency braking aid
US5746107A (en) Pneumatic booster with reduced load and reduced hysteresis
US11084476B2 (en) Vacuum brake booster for a vehicle braking system
US6374857B1 (en) Valve assembly
KR100384317B1 (ko) 클러치 부스터
US6681680B2 (en) Vacuum brake booster with mechanical emergency braking aid
US20010004833A1 (en) Master cylinder with improved emergency braking properties for a hydraulic vehicle brake system
US20030010193A1 (en) Vacuum brake booster with improved magnet-free emergency brake assistance system
JP2516926Y2 (ja) ブレーキ倍力装置
EP2133248B1 (en) Vacuum pressure booster
JP3526138B2 (ja) 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