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1496A - 트레일링 암 - Google Patents

트레일링 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1496A
KR20030041496A KR1020010072309A KR20010072309A KR20030041496A KR 20030041496 A KR20030041496 A KR 20030041496A KR 1020010072309 A KR1020010072309 A KR 1020010072309A KR 20010072309 A KR20010072309 A KR 20010072309A KR 20030041496 A KR20030041496 A KR 200300414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ling arm
knuckle
vehicle body
force
bea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1207B1 (ko
Inventor
조영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2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1207B1/ko
Priority to JP2002189527A priority patent/JP2003154829A/ja
Priority to DE10229162A priority patent/DE10229162A1/de
Priority to US10/291,341 priority patent/US20030094780A1/en
Publication of KR20030041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1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1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12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1Suspension arms, e.g. construction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1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3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 B60G2200/132Independent suspensions with longitudinal arms only with a single trailing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Abstract

본 발명은 트레일링 암에 관한 것으로서, 차체에 연결되는 차체 연결부와, 너클에 연결되는 너클 연결부와,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빔과, 복수의 제1빔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상기 제1빔과 엇갈린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2빔을 구비하다.

Description

트레일링 암{TRAILING ARM}
본 발명은 트레일링 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링 암의 측방향의 벤딩력과 축방향 힘을 2개의 빔으로 지지함으로써, 힘의 분포를 고르게 확산시켜 내구강도를 높여주는 트레일링 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후륜 현가장치에는 트레일링 암이 장착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일링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트레일링 암(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볼트(3)를 이용하여 미도시된 너클에 고정시키고, 타단은 부싱(5)을 통하여 차체에 고정시켜 트레일링 암을 장착한다.
통상의 차량의 경우의 링크부재는 강한 것을 사용하여, 주로 부싱 혹은 스프링에서만 변형이 되도록 현가장치를 제작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트레일링 암(1)은 그 벤딩 특성을 이용하여 현가장치 변형이 발생되도록 유도한다. 즉, 상기 트레일링 암(1)은 그 설치방향의 Z축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 또는 Y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벤딩 특성을 갖게 되어, 범핑 혹은 리바운드시에 부싱(5)의 변형과 트레일링 암의 벤딩 변형이 동시에 나타나서 현가장치 특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종래 트레일링 암은 일단이 볼트로 너클에 체결됨으로써, 범핑 혹은 리바운드시에 트레일링 암의 벤딩 변형이 충분히 발생되어야 한다. 그런데 벤딩 강성이 강하다면, 부싱에 지나치게 큰 힘이 전달되어 현가장치 특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트레일링 암의 벤딩 변형을 이용해서 현가장치 성능을 개선할 수 있지만, 그 내구 문제로 인해서 두께를 어느 정도 이상으로 두껍게 설정해야 한다. 그런데 트레일링 암은 두께를 두껍게 만들면 스티프(STIFF) 한 특성을 갖게 되어 벤딩 능력이 저하되어 기대한 현가장치 성능을 달성할 수 없다.
이와 반면, 트레일링 암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하면, 트레일링 암은 소프트한 특성을 갖게 되어 기구적인 특성을 향상되지만 내구성의 문제가 발생될 소지가 내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범프 통과 등의 임펙트가 발생하면, 도 1에 도시된 종래 트레일링 암에는 그 축방향으로 힘이 발생되는데, 그 발생된 힘을 흡수할 수 없어 임펙트 필링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트레일링 암에 발생되는 측방향의 벤딩력과 축방향 힘에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는 트레일링 암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트레일링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트레일링 암의 벤딩력 작용시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트레일링 암의 축방향력 작용시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차체 연결부 20...너클 연결부
30...제1빔 40...제2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트레일링 암은, 차체에 연결되는 차체 연결부; 너클에 연결되는 너클 연결부;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빔; 및상기 복수의 제1빔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상기 제1빔과 엇갈린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2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빔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빔은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 암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레일링 암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트레일링 암의 벤딩력 작용시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1의 트레일링 암의 축방향력 작용시의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암(100)은, 차체에 연결되는 차체 연결부(10)와, 너클에 연결되는 너클 연결부(20)와, 상기 차체 연결부(10)와 너클 연결부(20)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1빔(30)과, 상기 제1빔(30)과 엇갈린 대각선으로 차체 연결부(10)와 너클 연결부(20)를 연결하는 제2빔(40)을 구비한다.
상기 차체 연결부(10)는 차체와 부싱으로 연결되며, 상기 너클 연결부(20)는 차륜에 결합되는 미도시된 너클에 부싱 또는 볼트로 연결된다. 상기 차체 연결부(10)와 너클 연결부(20)에는 제1빔(30)이 마련된다.
상기 제1빔(3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로 마련되어 차체 연결부(10)와 너클 연결부(20)를 대각선으로 연결하여, 측방향으로 작용하는 벤딩력(Y,Z) 또는 축방으로의 힘(X)에 대응한다. 상기 제1빔(30)은 한 쌍으로 구비되지만, 벤딩력(Y,Z) 또는 축방향의 힘(X)을 고려하여 그 설치 개수 및 두께의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복수의 제1빔(30) 간에는 제2빔(40)이 설치된다.
상기 제2빔(40)은 복수의 제1빔(30) 사이에서 차체 연결부(10)와 너클 연결부(20)의 사이를 제1빔(30)과 엇갈린 대각선으로 연결되어 'X'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2빔(40)의 개수 및 두께 또한 작용되는 벤딩력(Y,Z) 및 축방향 힘(X)을 고려하여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제1빔(30)과 제2빔(40)의 엇갈린 대각선으로의 결합에 의하여 트레일링 암(100)에 벤딩력(Y,Z)이 발생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력의 방향으로 적정한 변형을 가져오고, 트레일링 암(100)에 축방향 힘(X)이 발생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한 축방향 변형을 가져와 범프 통과와 같은 임팩트에 대한 충격 감쇄효과를 가져온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력(Y,Z)의 발생에 따른 변형을 이용하여 현가 장치의 기구학적 특성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자유도를 높여줄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방향 힘(X)이 작용할 경우에는 축 방향 변형이 발생되는데, 트레일링 암의 강성은 길이방향(H)이 너비방향(W)보다 더 큰 값을 가지게 되므로, 축방향의 강성이 벤딩강성보다 더 큰 특성을 갖는다. 이에 따라 축방향의 강성은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고 적정한 수준 이상의 값을 가지면서 소정량 압축되는 특성을 갖음으로써, 범프 통과와 같은 임팩트에 대한 충격 감쇄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암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암의 차체 연결부와 너클 연결부와의 사이에 제1빔(30)과 제2빔(40)을 엇갈린 대각선 방향 즉 'X' 형상을 이루도록 마련한다.
이에 따라, 트레일링 암에 측방향의 벤딩력의 작용시에 적정한 변형을 가져와 이 벤딩 변형을 이용하여 현가장치의 기구학적 특성을 원하는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자유도를 높여준다.
또한 트레일링 암에 축방향의 힘이 작용시에는 'X' 형 지지를 통한 구부러짐 변형에 의하여 축방향의 힘을 감쇄하며, 이러한 트레일링 암의 길이 방향의 강성이 너비 방향의 강성보다 더 큰 특성을 지녀 축 방향의 강성이 지나치게 낮아지지 않고 적정한 수준이 이상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일링 암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트레일링 암의 측방향의 벤딩력과 축방향 힘을 2개의 빔으로 지지함으로써, 힘의 분포를 고르게 확산시켜 내구강도를 높여주며, 비어 있는 형상으로 중량의 증가가 없이 효율적이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차체에 연결되는 차체 연결부;
    너클에 연결되는 너클 연결부;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제1빔; 및
    상기 복수의 제1빔의 사이에서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상기 제1빔과 엇갈린 대각선으로 연결하는 제2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 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빔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 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빔은 하나로 구비되어 상기 차체 연결부와 상기 너클 연결부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일링 암.
KR10-2001-0072309A 2001-11-20 2001-11-20 트레일링 암 KR100471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309A KR100471207B1 (ko) 2001-11-20 2001-11-20 트레일링 암
JP2002189527A JP2003154829A (ja) 2001-11-20 2002-06-28 トレーリングアーム
DE10229162A DE10229162A1 (de) 2001-11-20 2002-06-28 Radaufhängung mit einem Schlepparm
US10/291,341 US20030094780A1 (en) 2001-11-20 2002-11-07 Trailing arm for absorbing lateral and axial forces in a suspension system of a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309A KR100471207B1 (ko) 2001-11-20 2001-11-20 트레일링 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1496A true KR20030041496A (ko) 2003-05-27
KR100471207B1 KR100471207B1 (ko) 2005-03-08

Family

ID=19716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309A KR100471207B1 (ko) 2001-11-20 2001-11-20 트레일링 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30094780A1 (ko)
JP (1) JP2003154829A (ko)
KR (1) KR100471207B1 (ko)
DE (1) DE1022916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74B1 (ko) * 2007-12-10 2009-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엮임 판형 ctba
CN107471942A (zh) * 2016-06-08 2017-12-15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机动车辆的车轮悬架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4200859B9 (en) * 2003-04-11 2009-10-01 Automobility Pty Ltd Vehicle conversion assembly and method of converting a vehicle
WO2005039900A2 (en) 2003-10-24 2005-05-06 Aloha, Llc Suspensions for low floor vehicles
US7350794B2 (en) * 2005-04-19 2008-04-01 Griffith Jr Weston Vehicle rear suspension apparatus
JP4579285B2 (ja) * 2007-12-26 2010-11-10 シシクアドクライス株式会社 緩衝キャスター
US20110057371A1 (en) 2009-09-01 2011-03-10 Parto Rezania Suspension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5345A1 (de) * 1978-10-18 1980-04-30 Daimler Benz Ag Unabhaengige vorderradaufhaengung fuer kraftfahrzeuge
US4261591A (en) * 1979-06-18 1981-04-14 Warne Jr John P Fully triangulated, individual wheel suspension system
JPH0767882B2 (ja) * 1985-12-06 1995-07-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3リンク式トレ−リングア−ム型リヤサスペンシヨン
JPH0775929B2 (ja) * 1988-07-28 1995-08-16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5163701A (en) * 1991-09-09 1992-11-17 Csn Manufacturing, Inc. Torsion spring vehicle suspension
KR100217590B1 (ko) * 1995-12-29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8174B1 (ko) * 2007-12-10 2009-07-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엮임 판형 ctba
CN107471942A (zh) * 2016-06-08 2017-12-15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机动车辆的车轮悬架单元
CN107471942B (zh) * 2016-06-08 2022-05-17 福特全球技术公司 用于机动车辆的车轮悬架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94780A1 (en) 2003-05-22
KR100471207B1 (ko) 2005-03-08
DE10229162A1 (de) 2003-06-05
JP2003154829A (ja) 200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2043A (en) Suspension for automobile
KR100471207B1 (ko) 트레일링 암
US7748727B2 (en) Suspension structure
KR100461602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부쉬
JP3656398B2 (ja) サスペンションメンバの取付構造及びその取付方法
CN100361843C (zh) 用于汽车的保险杠加强件
JP2000025435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
KR100369041B1 (ko) 버스의 리어현가장치
KR20030041247A (ko)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CN215831017U (zh) 一种消音式钢板弹簧橡胶复合衬套
KR101371451B1 (ko) 차량용 레이디어스 로드 유닛
KR19990047759A (ko) 탄성 링크를 이용한 독립식 후륜 현가장치
CN219263053U (zh) 一种后悬架扭力梁叉棒衬套
KR102437143B1 (ko) 무동력 댐핑 저감형 서스펜션
CN110696578B (zh) 方程式赛车用变刚度第三减振悬架
JP2003025822A (ja) 独立懸架式サスペンション
KR100559860B1 (ko) 스태빌라이저 장치
KR20040079250A (ko) 후륜 현가장치용 부쉬
KR100315356B1 (ko) 그물망 형태의 강관이 삽입된 로어 암 부쉬
KR100369037B1 (ko) 리프 스프링 식 현가장치의 스프링지지구조
JPH0459405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20040048637A (ko) 커플드 토션빔 타입 리어서스펜션
KR100357602B1 (ko) 링크 스프링을 이용한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
KR19990019826U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 컨트롤 아암 고정용 부시
KR20020086095A (ko) 소형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