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0341A -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0341A
KR20030040341A KR1020030028528A KR20030028528A KR20030040341A KR 20030040341 A KR20030040341 A KR 20030040341A KR 1020030028528 A KR1020030028528 A KR 1020030028528A KR 20030028528 A KR20030028528 A KR 20030028528A KR 20030040341 A KR20030040341 A KR 20030040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odles
rice
udon
udon noodles
main 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재
Original Assignee
양희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재 filed Critical 양희재
Priority to KR1020030028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0341A/ko
Publication of KR20030040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34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Noo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쌀이 가지는 영양분을 그대로 보유함과 동시에 쫄깃쫄깃하고 고소하며 대기중에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물에 충분히 불린 쌀을 일정량의 물과 함께 분쇄기에 투입하여 그 분쇄기로 상기 쌀을 분쇄하여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를 만드는 단계;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 1∼2kg에 전분 0.3∼0.7kg과, 식용유 200∼500g과, 상기 우동 면 주원료가 짜지 않을 정도의 소금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부 원료들이 혼합된 우동 면 주원료를 찜틀에 두께 0.2∼0.7mm가 되게 펼쳐 수용시킨 후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우동 면 주원료를 익히는 단계; 상기 익혀진 우동 면 주원료를 태양에서 3∼5시간, 바람으로 1시간 이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우동 면 주원료의 일 표면에 옥수수가루를 살포하고 그 옥수수가루가 살포된 우동 면 주원료를 적어도 2단 이상이 되게 적층하여 소정의 압으로 프레스 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된 우동 면 주원료를 우동 면 인발틀에 공급하여 우동 면을 인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rice stuff udon noodle}
본 발명은 쌀이 가지는 영양분을 그대로 보유함과 동시에 쫄깃쫄깃하고 고소하며 대기 중에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조 생산되고 있는 인 우동 면은 밀가루로 제조된 것으로서, 이는 먹어보면 밀가루 냄새가 강하게 발생함은 물론, 면발의 쫄깃쫄깃함이 떨어지고 맛 또는 현저히 저하되었다. 따라서 우동을 먹을 때는 면발의 맛보다는 국물의 맛으로 먹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근래에는 쌀을 이용하여 제조된 우동 면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우동 면의 제조기술(특허출원 제2003-11247호)을 살펴보면, 현미나 찹쌀을 미세하게 제분하여 얻은 가루와 밀가루. 전분 등을 혼합하여 반죽을 할 때,
소고기를 건조시켜 미세하게 가루를 내고,
마늘을 건조시켜 미세하게 가루를 내며,
마른멸치(마른 새우)를 미세하게 가루를 내며,
된장을 건조시켜 미세하게 가루를 내어,
곡류의 반죽 량에 맞춰 적정량의 상기 건 육분. 건 마늘분. 멸치가루(건 새우가루). 된장가루를 넣어 함께 충분히 반죽하여, 우동 면을 제조하는 것으로서, 이는 마늘, 멸치, 된장 등을 사용함으로 냄새가 심하게 발생하고, 또, 부패 또한 빨리 발생하여 유통기한 중에도 부패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유통은 물론 판매장에서도 필히 냉장 보관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쌀이 가지는 영양분을 그대로 보유함과 동시에 쫄깃쫄깃하고 고소하며 대기 중에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의 구성은, 물에 충분히 불린 쌀을 일정량의 물과 함께 분쇄기에 투입하여 그 분쇄기로 상기 쌀을 분쇄하여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를 만드는 단계;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 1∼2kg에 전분 0.3∼0.7kg과, 식용유 200∼500g과, 상기 우동 면 주원료가 짜지 않을 정도의 소금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부 원료들이 혼합된 우동 면 주원료를 찜틀에 두께 0.2∼0.7mm가 되게 펼쳐 수용시킨 후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우동 면 주원료를 익히는 단계; 상기 익혀진 우동 면 주원료를 태양에서 3∼5시간, 바람으로 1시간 이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우동 면 주원료의 일 표면에 옥수수가루를 살포하고 그 옥수수가루가 살포된 우동 면주원료를 적어도 2단 이상이 되게 적층하여 소정의 압으로 프레스 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된 우동 면 주원료를 우동 면 인발틀에 공급하여 우동 면을 인발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을 세부적인 단계로 나누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단계]
본 발명의 제1단계는 쌀을 물에 담그어 충분히 불리는 단계로서, 먼저 정미된 쌀의 표면에 묻어있는 이물질이나 뜨물 등을 세척한 다음 그를 물 속에 24시간 정도 담그어 충분히 불린다.
[제2단계]
본 발명의 제2단계는 상기 제1단계에서 충분히 불려진 쌀을 죽 상태로 만드는 단계로서, 상기 충분히 불려진 쌀에 일정량의 물과 함께 분쇄기에 투입하여 그 분쇄기로 상기 쌀을 분쇄하여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를 만든다.
[제3단계]
본 발명의 제3단계는 상기 제2단계에서 만들어진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에 부원료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로서,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 1∼3kg에 전분 0.3∼0.7kg과, 식용유 200∼500g과, 상기 우동 면 주원료가 짜지 않을 정도의 소금을 투입하여 혼합한다.
이때, 첫째로,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에 전분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이유는, 우동 면의 점결력을 높여 면발의 끈어짐이나 터짐을 방지하기 위함이고,둘째로, 식용유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이유는, 우동 면의 고소한 맛을 부여함과 동시에 맛의 변질(부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며, 셋째로, 소금을 넣는 이유는 우동 면의 간을 맞추기 위함과 동시에 우동 면의 변질(부패)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 1∼3kg에 전분 0.3∼0.7kg을 투입하는 이유는, 전분을 0.3kg이하 투입하게 되면 우동 면의 점결력이 저하되어 면발의 끈어짐이나 터짐이 발생되고, 0.7kg 이상을 투입하게 되면 점결력이 향상되어 면발의 끈어짐이나 터짐은 발생되지 않으나 전분이 쌀보다 비싸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 1∼3kg에 대하여 식용유를 200∼500g 투입하는 이유는, 200g 이하를 투입하게 되면 우동 면의 고소한 맛이 떨어짐과 동시에 우동 면발이 빠른 시간에 변질(부폐)되는 문제점이 있고, 500g 이상을 투입하게 되면 우동 면발의 고소한 맛이 향상되고 우동 면발의 보관기간은 길어지나 상대적으로 전분이 적게 사용됨으로 점결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제4단계]
본 발명의 제4단계는 상기 제3단계에서 만들어진 우동 면 주원료를 스팀으로 찌는(익히는) 단계로서, 상기 부 원료들이 혼합된 우동 면 주원료를 찜틀에 두께 0.2∼0.7mm가 되게 펼쳐 수용시킨 후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우동 면 주원료를 찐다(익힌다).
상기 찜틀은 테두리가 형성되어 있고 스팀이 통과되는 미세공이 형성된 판상의 것으로서, 그 찜틀의 내면 바닥에는 수분이 통과되는 섬유를 깔고 그 위에 상기 제3단계에서 만들어진 우동 면 주원료를 두께 0.2∼0.7mm가 되게 펼쳐 수용시킨 후 하부에서 고열의 스팀을 유발시켜 상기 우동 면 주원료를 찐다(익힌다).
상기 찜틀 상에 우동 면 주원료를 두께 0.2∼0.7mm가 되게 펼치는 이유는, 0.2mm이하가 되면 너무 얇아서 취급상에 문제가 있고, 0.7mm 이상이 되면 너무 두꺼워 주원료가 익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됨은 물론, 골고루 익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찜틀 상에 우동 면 주원료를 두께 0.2∼0.7mm가 되게 펼친 후 스팀으로 찌는 방법은, 가마솥에 물을 적정량 담은 후 그 가마솥의 상단에 상기 두께 0.2∼0.7mm가 되게 펼쳐진 찜틀을 설치한 후 가마솥 저부에서 불을 지피게 되면 그 불에 의해 가마솥이 가열되면서 물이 끌게되고 그 끌른 물에서 스팀이 발생하여 그 스팀이 상기 찜틀의 우동 면 주원료를 익히게 되는 것이다.
[제5단계]
본 발명의 제5단계는 상기 제4단계에서 익혀진 우동 면 주원료를 건조하는 단계로서, 이는 먼저 상기 찜틀로부터 우동 면 주원료를 인출하여 대기중인 태양에서 3∼5시간동안 자연 건조시킴과 동시에 인위적인 바람으로 1시간 정도 수분을 건조시켜 꼬들꼬들하게 형성시킨다. 그 이유는 수분이 너무 많으면 우동 면을 인발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면발의 쫄깃쫄깃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제6단계]
본 발명의 제6단계는 상기 제5단계에서 건조된 우동 면 주원료를 2단 이상으로 적재하여 소정의 압으로 프레스 하는 단계로서, 이는 상기 건조된 우동 면 주원료의 일 표면에 옥수수가루를 살포하고 그 옥수수가루가 살포된 우동 면 주원료를 수 겹으로 적층하여 상기 건조된 소정의 압으로 우동 면 주원료의 형상이 붕괴되지 않을 정도로 프레스 한다.
상기 우동 면 주원료의 일 표면에 옥수수가루를 살포하는 이유는, 우동 면 주원료를 수 겹으로 적층하여 프레스 할 때에 상기 적층된 우동 면 주원료가 상호 적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고, 또 프레스를 하는 이유는 면발에 쫄깃쫄깃함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제7단계]
본 발명의 제7단계는 상기 제6단계에서 프레스 된 우동 면 주원료를 우동 면 인발틀에 공급하여 우동 면을 인발하는 단계로서, 이는 통상의 우동 면 인발틀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제2단계나 제3단계에서 칡즙이나 쑥 등을 투입하여 혼합함으로서 칡 향이 나는 우동 면을 제조할 수도 있고, 또, 쑥 향이 나는 우동 면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충분히 불린 쌀을 일정량의 물과 함께 분쇄기에 투입하여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를 만든 다음, 이에 전분, 식용유, 소금을 투입하여 혼합하고 그 혼합된 혼합물을 스팀으로 찌고(익히고) 건조시켜 소정의 압으로 프레스 한 후 인발틀을 이용하여 우동 면을 인발하여 된 것으로서, 이는 쌀이 가지는영양분을 그대로 보유함과 동시에 쫄깃쫄깃하고 고소하며 대기 중에서도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물에 충분히 불린 쌀을 일정량의 물과 함께 분쇄기에 투입하여 그 분쇄기로 상기 쌀을 분쇄하여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를 만드는 단계;
    상기 죽 상태의 우동 면 주원료 1∼2kg에 전분 0.3∼0.7kg과, 식용유 200∼500g과, 상기 우동 면 주원료가 짜지 않을 정도의 소금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부 원료들이 혼합된 우동 면 주원료를 찜틀에 두께 0.2∼0.7mm가 되게 펼쳐 수용시킨 후 스팀을 이용하여 상기 우동 면 주원료를 익히는 단계;
    상기 익혀진 우동 면 주원료를 태양에서 3∼5시간, 바람으로 1시간 이내 순차적으로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우동 면 주원료의 일 표면에 옥수수가루를 살포하고 그 옥수수가루가 살포된 우동 면 주원료를 적어도 2단 이상이 되게 적층하여 소정의 압으로 프레스 하는 단계;
    상기 프레스 된 우동 면 주원료를 우동 면 인발틀에 공급하여 우동 면을 인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KR1020030028528A 2003-05-06 2003-05-06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KR20030040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528A KR20030040341A (ko) 2003-05-06 2003-05-06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528A KR20030040341A (ko) 2003-05-06 2003-05-06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341A true KR20030040341A (ko) 2003-05-22

Family

ID=29579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528A KR20030040341A (ko) 2003-05-06 2003-05-06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0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38A (ko) 2014-12-19 2016-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담양블루베리 블루베리 면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938A (ko) 2014-12-19 2016-06-29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담양블루베리 블루베리 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093170A1 (en) Quick-Cook Grains and Pulses
US4233327A (en) Process for producing instant-cooking rice
CN107529798A (zh) 非油炸速食复原容器型干燥面的制造方法
KR100869406B1 (ko) 즉석 인절미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인절미
KR20030040341A (ko)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KR101457265B1 (ko) 튀김전용 멥쌀 떡 제조방법
AU2014221237B2 (en) Quick-cook grains and pulses
WO2011115423A2 (en) Microwavable puffing rice snac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481154B1 (ko) 해조류 함유 곡류 팽화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6681B1 (ko) 파프리카 김 스낵의 제조방법
KR20100037668A (ko) 죽의 제조방법
KR20110048294A (ko) 다시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쌀국수의 제조방법
AP1159A (en) Cereal-based dehydrated food and process for its preparation.
KR20210047000A (ko) 튀김 누룽지 쌀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튀김 누룽지 쌀과자
KR20200066411A (ko) 곡류 시리얼의 제조방법
KR102362739B1 (ko) 취반편의성이 향상된 취반용 통곡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97892B1 (ko) 만두 고기속 제조방법
KR20030023658A (ko) 맛과 영양을 함유한 전통 인스턴트식품 제조방법(가래떡.수제비. 칼국수. 우동 등)
KR20160134245A (ko) 쌀을 주원료로 한 우동 면 제조방법
KR20230166671A (ko) 팽화분을 이용한 면의 제조방법
Palavecino et al. Use of Modified Starchy Flours
KR101705016B1 (ko) 숭늉용 가루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숭늉용 가루 조성물
CN1166289A (zh) 膨化食品制作工艺
KR20240045763A (ko) 누룽지 및 누룽지 스프의 제조방법
KR100755648B1 (ko) 다색국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