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228A -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228A
KR20030038228A KR1020010069927A KR20010069927A KR20030038228A KR 20030038228 A KR20030038228 A KR 20030038228A KR 1020010069927 A KR1020010069927 A KR 1020010069927A KR 20010069927 A KR20010069927 A KR 20010069927A KR 20030038228 A KR20030038228 A KR 20030038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unloader
wire
hook
travel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0349B1 (ko
Inventor
오승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70349B1/ko
Publication of KR20030038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0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03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Abstract

본 발명은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와이어드럼을 갖고 주행몸체의 상면 일단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상기 주행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완충하우징과; 상기 완충하우징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배설된 회전축이 고정된 작동판과; 상기 완충하우징의 밀폐된 일단 내면과 상기 작동판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움되고 그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주행몸체가 활주되는 주행레일 사이에 이와 평행하게 배설되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후크를 선택적으로 쇄정 및 해정하는 다수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언로더가 돌풍성 강풍에 의해 밀릴때 기본적인 브레이킹 수단과 병합하여 비상제동시킴으로써 언로더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언로더의 설비파손이나 선박과의 충돌위험을 배재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QUICK BREAKER OF UNLOADER}
본 발명은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통해 운반된 석탄 및 광석 등의 연,원료를 하역하는 언로더가 순간적인 기상변화에 의해 유발되는 돌풍과 같은 악조건에서도 쉽게 밀리지 않도록 하여 선박의 조정실인 선실과 언로더의 붐(BOOM)이 서로 충돌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을 통해 운반된 연,원료를 하역하는 하역기(언로더:UNLOADER)의 정지작업시 레일클램프(지그로 레일을 잡는 장치)를 작동시키고 작업을 하게 되지만 작업의 특성상 주행작업을 병행하여야 한다. 이때는 레일클램프를 오픈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레일 전후방향에서 돌풍성 강풍이 불 경우 운전자가 이를 감지하여 레일클램프를 작동시키고 운전레버를 조작하여 브레이크를 잡지만 한번 밀린 하역기는 돌풍이 약해질 때 까지 계속해서 밀리게 된다. 비상수단으로 하역기가 밀리고 있는 중에 무전신호를 교신하여 하부 작업자로 하여금 주행부에서 밀리는 방향쪽으로 고임목을 삽입시키고는 있으나 가속도가 붙은 하역기의 주행차륜이 고임목을 으깨고 지나가버려 브레이킹 기능이 상실되게 된다.
특히, 고임목 삽입시에는 고임목의 비산에 의해 작업자가 상해를 위험이 매우 높아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고, 또한 하역기의 특성상 운전실이 선박의 운전실과 거의 대응되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서로 충돌시 인명사고의 위험이 있고, 하역기의 설비 파손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하역작업중 발생되는 돌풍성 강풍에 의해 하역기의 제동이 불량하여 밀리는 문제를 급제동장치를 통해 원천 봉쇄함으로서 안전사고는 물론 하역기의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주행몸체 12 : 주행차륜
14 : 주행레일 20 : 스토퍼고정구
26 : 스토퍼 34 : 안내휠
36 : 구동모터 38 : 와이어드럼
40 : 작동로드 42 : 후크
50 : 완충하우징 52 : 가이드홈
54 : 탄성스프링 56 : 작동판
60 : 고정프레임 62 : 리미트스위치
w : 와이어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은 와이어드럼을 갖고 주행몸체의 상면 일단에 고정된 구동모터와; 상기 주행몸체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완충하우징과; 상기 완충하우징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배설된 회전축이 고정된 작동판과; 상기 완충하우징의 밀폐된 일단 내면과 상기 작동판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과; 상기 회전축의 길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움되고 그 타단에는 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드럼에 권취된 와이어의 일단이 고정되는 작동로드와; 상기 주행몸체가 활주되는 주행레일 사이에 이와 평행하게 배설되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후크를 선택적으로 쇄정 및 해정하는 다수의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 장치의 설치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장치의 요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따르면, 하역기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하역기를 이동시키는 주행몸체(10)의 양측에는 주행차륜(12)이 고정되고, 상기 주행차륜(12)은 지면상에 배설된 주행레일(14)에 안착되어 활주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주행몸체(10)는 새들형상으로 중앙부가 오목하게 요입된 형태를 갖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주행몸체(10)의 상면 양단측에는 고정판(30)이 고정되고, 상기 고정판(30)에는 지지브라켓(32)이 입설되며, 상기 지지브라켓(32) 상에는 안내휠(34) 및 구동모터(36)가 서로 거리를 두고 각각 고정된다.
상기 안내휠(34)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기 구동모터(36)는 견고히 고정된 채 그 회전축상에 와이어드럼(38)이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드럼(38)에는 와이어(w)가 권취 및 권해 가능하게 감겨지며, 상기 와이어(w)는 안내휠(34)을 경유하여 그 단부가 작동로드(40)의 일단부에 고정된다.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모터(36)는 하역기의 PLC와 연결되어 풍속계를 통해 초속 20m 이상의 풍속 검지시 자동적으로 구동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작동로드(40)는 와이어(w)가 연결된 인접 단부에 걸고리형태의 후크(42)가 고정되고, 상기 후크(42)의 대향단은 회전축(44)이 삽입될 수 있도록 고리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후크(42)는 작동의 원활성을 위해 반원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축(44)은 2개로 분리되어 각각 상기 작동로드(4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바, 상기 회전축(44)이 작동로드(4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그 일부에는 플랜지(46)가 형성된다.
회전축(44)의 각 대향단은 각각 작동판(56)의 외주면 일부에 고정되며, 상기 작동판(56)은 완충하우징(50) 내부에 장입되어 이를 따라 활주가능하게 설치된다.
완충하우징(50)은 원통형상의 부재로서, 그 일단면은 폐쇄되고 타단면은 상기 작동판(56)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 완충하우징(50)은 고정프레임(60)상에 서로 일정거리를 두고 한쌍이 구비된다.
고정프레임(60)은 상기 주행몸체(10)의 바닥면에 견고히 볼트 고정되며, 상기 고정프레임(60)의 폭 중앙부, 즉 상기 한쌍의 완충하우징(50)이 이격된 거리를 절반정도의 위치에 탄성적으로 유동가능한 리미트스위치(62)가 설치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62)는 구동모터(36)를 역회전동작시킬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작동로드(40)의 후단과 접촉가능하게 배치된다.
완충하우징(50)의 외주면 일부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일정길이 절개된 가이드홈(52)이 형성되며, 상호 배치시 상기 가이드홈(52)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설된다.
상기 완충하우징(50)에는 탄성스프링(54)이 삽입되고, 이어 상기 탄성스프링(54)을 탄압할 수 있는 작동판(56)이 삽입되는 바, 상기 작동판(56)은 'ㅓ'형상을 갖도록 하여 상기 탄성스프링(54)이 이탈되지 않도록 잘 지지된 채 이를탄압할 수 있도록 삽설된다.
삽설된 상기 작동판(56)의 외주면 일부에는 회전축(44)의 일단이 고정되는 바, 상기 회전축(44)의 일단은 상기 가이드홈(52)을 관통하여 가이드홈(52) 내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이를 따라 이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고정의 편의성을 위해 상기 회전축(44)은 상기 작동판(56)에 나사결합방식으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작동판(56)이 삽입된 완충하우징(50)의 개방된 후단면에는 후판(58)이 볼트고정되어 장입부재들의 이탈을 방지토록 하여준다.
한편, 주행레일(14)의 이격거리 중앙에는 주행레일(14)과 평행하게 스토퍼고정구(20)가 배설되고, 상기 스토퍼고정구(20)는 그 길이 일부에 다수 형성된 고정홈(22)을 통해 고정핀(24)이 삽입됨으로써 지면에 고정된다.
아울러, 상기 스토퍼고정구(20)의 상면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의 스토퍼(26)가 돌설되며, 상기 스토퍼(26)는 상기 작동로드(40)의 후크(42)가 용이하게 쇄정 및 해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 양단이 원호형태로 만곡져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장치의 작동관계를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풍성 바람이 불어 풍속이 초속 20m 이상이 되면 구동모터(36)가 정회전되면서 와이어드럼(38)을 회전시켜 와이어(w)를 풀게 된다.
동시에, 작동로드(40)는 그 자중에 의해 후크(42) 부분이 하방향으로 처지게되고, 하역기의 밀림현상과 함게 스토퍼(26)와 인접 스토퍼 사이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후크(42)는 어느 하나의 스토퍼(26)에 걸리게 된다.
이어, 스토퍼(26)에 후크(42)가 걸리면서 강한 하중이 작동로드(40)에 작용하게 되고, 작동로드(40)는 후크(42) 측으로 이동하려고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로드(40)의 후단은 회전축(44)에 의해 작동판(56)상에 탄성적으로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작동판(56)이 탄성스프링(54)을 강하게 압축하면서 하역기는 계속 밀리게 되고 작동로드(40)의 후단은 상기 작동판(56)과 함께 하역기의 이동방향과 대향방향으로 이동되면서(사실은 하역기가 이동되는 것임) 하역기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구속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상제동작업, 즉 급제동장치가 작동되어 하역기의 기본적인 브레이킹 작동과 더블어 사용되게 된다.
여기에서, 구동모터(36)는 정회전 구동신호시 일정시간 동안만 구동되어 와이어(w)를 풀 수 있도록 타이머와 같은 수단으로 제어가능하다.
돌풍이 멈추게 되면, 언로더(하역기)를 밀렸던 대향측으로 조금 이동시키게 되고 이와 동시에 후크(42)의 걸림상태가 아이들하게 되면서 탄성스프링(54)의 복귀력이 작용되어 작동판(56)이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작동판(56)이 후퇴되면서 리미트스위치(62)와 접촉되게 되면 이를 기점으로 구동모터(36)가 역회전되어 와이어(w)를 와이어드럼(38)에 권취시킴으로써 작동로드(40)를 비상제동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언로더를 효과있게 비상제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옥외설비인 언로더가 돌풍성 강풍에 의해 밀릴때 기본적인 브레이킹 수단과 병합하여 비상제동시킴으로써 언로더의 밀림현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언로더의 설비파손이나 선박과의 충돌위험을 배재시켜 안전사고의 위험을 제거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3)

  1. 와이어드럼(38)을 갖고 주행몸체(10)의 상면 일단에 고정된 구동모터(36)와;
    상기 주행몸체(1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된 고정프레임(60)과;
    상기 고정프레임(60)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고정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2)이 형성된 원통형상의 완충하우징(50)과;
    상기 완충하우징(50)에 활주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외주면 일부에는 상기 가이드홈(52)을 관통하여 배설된 회전축(44)이 고정된 작동판(56)과;
    상기 완충하우징(50)의 밀폐된 일단 내면과 상기 작동판(56) 사이에 개재된 탄성스프링(54)과;
    상기 회전축(44)의 길이 중앙부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끼움되고 그 타단에는 후크(42)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드럼(38)에 권취된 와이어(w)의 일단이 고정되는 작동로드(40)와;
    상기 주행몸체(10)가 활주되는 주행레일(14) 사이에 이와 평행하게 배설되며 구동모터(36)의 정역회전에 따라 후크(42)를 선택적으로 쇄정 및 해정하는 다수의 스토퍼(26)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몸체(10)의 상면중 구동모터(36) 설치위치 대향면에는 상기 와이어드럼(w)에 권취 권해되는 와이어(w)를 안내하는 안내휠(34)이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60)의 상면 폭 중앙부에는 상기 작동판(56)과 접촉되어 구동모터(36)를 역회전시키는 리미트스위치(62)가 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KR1020010069927A 2001-11-10 2001-11-10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KR100770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927A KR100770349B1 (ko) 2001-11-10 2001-11-10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9927A KR100770349B1 (ko) 2001-11-10 2001-11-10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228A true KR20030038228A (ko) 2003-05-16
KR100770349B1 KR100770349B1 (ko) 2007-10-25

Family

ID=2956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9927A KR100770349B1 (ko) 2001-11-10 2001-11-10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7034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64B1 (ko) * 2011-11-29 2013-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KR101324543B1 (ko) * 2012-05-24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CN106938652A (zh) * 2017-03-30 2017-07-11 安徽理工大学 一种矿车紧急制动装置
KR20230061952A (ko) * 2021-10-29 2023-05-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밀림 방지장치
CN116512939A (zh) * 2023-06-30 2023-08-01 唐山开滦丽程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矿用电驱动车智能提速装置
CN117003010A (zh) * 2023-10-07 2023-11-07 山东港口渤海湾港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堆料机的直线行走纠偏装置
CN117383211A (zh) * 2023-11-16 2024-01-12 山东郯建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上料结构的泡沫混凝土生产设备
CN105818835B (zh) * 2016-03-15 2024-05-17 樊铁山 带缓冲装置的钩搭式的防跑车钩头车及制动轨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584B1 (ko) * 2009-04-27 2012-06-2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0063U (ja) * 1981-10-02 1983-04-05 若松車輛株式会社 斜抗用人車における緊急制動装置
JPS62152961A (ja) * 1985-12-26 1987-07-07 信和機工株式会社 斜坑走行台車装置
JPH06127386A (ja) * 1992-10-14 1994-05-10 Kajima Corp 牽引車両の自動スリップ検出・停止装置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64B1 (ko) * 2011-11-29 2013-10-18 현대제철 주식회사 트리퍼
KR101324543B1 (ko) * 2012-05-24 2013-11-01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의 주행 제동장치
CN105818835B (zh) * 2016-03-15 2024-05-17 樊铁山 带缓冲装置的钩搭式的防跑车钩头车及制动轨道
CN106938652A (zh) * 2017-03-30 2017-07-11 安徽理工大学 一种矿车紧急制动装置
KR20230061952A (ko) * 2021-10-29 2023-05-09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밀림 방지장치
CN116512939A (zh) * 2023-06-30 2023-08-01 唐山开滦丽程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矿用电驱动车智能提速装置
CN116512939B (zh) * 2023-06-30 2023-08-22 唐山开滦丽程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矿用电驱动车智能提速装置
CN117003010A (zh) * 2023-10-07 2023-11-07 山东港口渤海湾港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堆料机的直线行走纠偏装置
CN117003010B (zh) * 2023-10-07 2024-01-30 山东港口渤海湾港集团有限公司 一种移动式堆料机的直线行走纠偏装置
CN117383211A (zh) * 2023-11-16 2024-01-12 山东郯建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上料结构的泡沫混凝土生产设备
CN117383211B (zh) * 2023-11-16 2024-04-16 山东郯建新型建材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上料结构的泡沫混凝土生产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0349B1 (ko)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24548A (en) Festoon brake system
KR100770349B1 (ko) 언로더 주행 급제동장치
CN105329737A (zh) 采用电气控制的防坠落系统、运载平台系统及其控制方法
US6942070B2 (en) Emergency braking and shock absorbing device for a lift or suspended load
CN103183035A (zh) 一种用于架空索道的保护装置
JP4050740B2 (ja) 揚重機械の逸走防止装置
CN205132808U (zh) 采用电气控制的防坠落系统
KR20170113868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CN112373442A (zh) 无轨胶轮车失速保护阻拦索装置及失速保护装置
KR101548153B1 (ko) 건설공사용 카리프트
KR20170070617A (ko) 에스컬레이터 역주행 방지장치
CN203126844U (zh) 一种用于架空索道的保护装置
CN116427322A (zh) 阻拦索支撑装置、阻拦系统及无轨胶轮车失速防护系统
KR102528743B1 (ko)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CN202249060U (zh) 立体车库用防坠落装置以及使用该装置的立体车库
JPH08133068A (ja) リフトカー
CN207759859U (zh) 一种电梯轿厢安全辅助装置
CN109869052B (zh) 锁具装置、防护系统及乘用车
JP4115035B2 (ja) 建設工事用リフトの安全装置
US3662859A (en) Stairway elevator
KR102649666B1 (ko) 래칫을 이용한 산악 모노레일의 비상제동장치
KR20010090929A (ko) 스텍커의 밀림주행 방지장치
CN204432674U (zh) 一种斜井矿车断绳安全保护装置
CN220365440U (zh) 一种下拉式的轨道车门紧急解锁装置
CN219078895U (zh) 一种带有防坠装置的吊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