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743B1 -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 Google Patents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743B1
KR102528743B1 KR1020220082074A KR20220082074A KR102528743B1 KR 102528743 B1 KR102528743 B1 KR 102528743B1 KR 1020220082074 A KR1020220082074 A KR 1020220082074A KR 20220082074 A KR20220082074 A KR 20220082074A KR 102528743 B1 KR102528743 B1 KR 1025287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operating
monorail
mountain
mountain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운범
Original Assignee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7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7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3/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es with an outwardly movable braking member or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과 같은 급경사 지역에 설치된 산악 모노레일이 과도한 속도로 하강하더라도 전기적인 센싱 장치 없이 자동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구배에 따라 자동 작동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시 용이하게 제동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안정적인 견인을 가능하게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악 모노레일의 구동바퀴가 설치되는 구동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 드럼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마찰 드럼을 상기 구동축과 연동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산악 모노레일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드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동작용을 수행하는 제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an emergency breaking device for mountain monorail }
본 발명은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과 같은 급경사 지역에 설치된 산악 모노레일이 과도한 속도로 하강하더라도 전기적인 센싱 장치 없이 자동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구배에 따라 자동 작동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시 용이하게 제동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안정적인 견인을 가능하게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노레일(monorail)은 단궤조(궤도가 하나)인 철도로서, 콘크리트나 철제 빔으로 이루어져 있는 한 개의 궤도거더 위를 고무타이어나 철륜이 설치된 차량이 운행한다. 차량의 지지방식에 따라 궤도 위를 차량이 달리는 방식인 과좌식과 차량이 궤도에 매달려서 운행하는 방식인 현수식으로 나뉜다.
이 같은 모노레일은 건설비가 저렴하고 디자인이 미려하고 승객조망권이 우수하여 승객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기 때문에 향후 도시의 미래 교통수단으로 각광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모노레일은 수송규모가 도시철도와 버스의 중간 정도로서 중규모의 수송에 적합하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대부분의 도시교통계획에서는 경전철로 분류되며, 대도시의 보조교통수단, 중소도시의 주요교통수단으로 쓰인다.
모노레일 차량은 주행시 정차 및 감속 등을 위한 제동 장치가 필요하지만, 철도차량의 제동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하고 있다.
이때, 철도차량에는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이 장착되며, 상기 에어 브레이크 시스템은 유압을 이용한 제동장치에 비해 큰 제동력을 발휘하기 때문에 철도차량에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모노레일 차량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하고 강력한 제동을 필요로 하는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2225878호에 기재된 기술이 제안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모노레일 차량의 비상 제동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비상시 일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레일(20)의 상하부에 접촉하도록 하는 제1 및 제2제동캠(110,120)과, 상기 제1 및 제2제동캠(110,12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제동캠(110,120)은 레일(20)에 접하는 부분에 제1 및 제2제동캠(110,120)의 제동 시 회전 반대방향을 따라 크기가 점점 커지도록 형성되는 톱니가 형성되어 제동 시 제1 및 제2제동캠(110,120)이 회전함에 따라 톱니가 레일(20)을 가압하는 힘이 점점 단계적으로 커지게 되어 더욱 안정적이고 큰 제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2225878호에 기재된 기술은 모노레일 차량의 비상 상황 발생 시 회동하여 레일(20)에 접촉되도록 하는 제동캠(110,120)이 구비되어 모노레일 차량의 제동이 원활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비상상황을 감지하고 그에 따라 제동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130)가 추가로 필요하므로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일반적인 모노레일에서 적용할 수 있으며 급구배가 형성되는 산악 지형에 설치된 모노레일이 다양한 이유에 의해 하방으로 급격하게 추락하는 상황에서 안정적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225878호(2021.03.04.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노레일에 피니언을 형성하고 구동 바퀴에 랙을 형성하여 급구배가 형성되는 산지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산악 모노레일 차량에서 대차에 제동부를 설치하고, 구동 바퀴가 연결되는 구동축에 원심력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부를 구비하여 급구배를 내려올 때, 비상 상황으로 인하여 설정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하강할 경우, 구동축의 원심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기적인 센싱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산악 모노레일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작동부를 구성하는 작동뭉치에 작용하는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긴급 제동후, 견인차량과 연결된 경우, 제동 상태를 용이하게 해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산악 모노레일의 구동바퀴가 설치되는 구동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 드럼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마찰 드럼을 상기 구동축과 연동시키는 작동부와, 산악 모노레일의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드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동작용을 수행하는 제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마찰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드럼과, 상기 동력 전달 드럼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원호형상의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작동 뭉치와, 상기 작동 뭉치의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동력 전달 드럼에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걸림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에는 작동 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가 근접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작동 스프링과, 상기 작동 뭉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의 양단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봉과, 상기 작동 뭉치와 권취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봉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래칫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동부는 산악 모노레일의 대차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동암과, 상기 제동암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드럼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동패드와, 상기 제동암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패드가 상기 마찰 드럼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제동력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동력 조절부는 상기 제동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돌부와, 상기 한 쌍의 조절돌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일측 조절돌부를 지지하는 헤드가 형성되는 제동 조절봉과, 상기 제동 조절봉의 타측에는 타측 조절돌부를 탄성지지하는 제동 스프링과, 상기 제동 조절봉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동부에는 제동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해정부는 상기 타측 조절돌부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해정 레버와, 상기 제동 조절봉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바와, 양단부가 상기 해정 레버와 작동바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축과 마찰 드럼 사이에는 축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축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마찰 드럼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마찰 드럼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에는 작동 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가 근접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작동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의 일측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의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일측 고정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단부에는 상기 작동 스프링의 단부가 연결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모노레일에 피니언을 형성하고 구동 바퀴에 랙을 형성하여 급구배가 형성되는 산지에서도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는 산악 모노레일 차량에서 대차에 제동부를 설치하고, 구동 바퀴가 연결되는 구동축에 원심력에 의해 작동하는 작동부를 구비하여 급구배를 내려올 때, 바상 상황으로 인하여 설정된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하강할 경우, 구동축의 원심력에 의해 자동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하여 전기적인 센싱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도 긴급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산악 모노레일이 설치되는 환경에 따라 작동부를 구성하는 작동뭉치에 작용하는 탄성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긴급 제동후, 견인차량과 연결된 경우, 제동 상태를 용이하게 해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가 작동되는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회전 뭉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해정 래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작동 조절부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회전 뭉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해정 래버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의 작동 조절부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급구배가 형성되는 산악 등에 설치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산악 모노레일의 구동바퀴가 설치되는 구동축(210)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 드럼(300)과 상기 구동축(210)에 설치되는 작동부(400)와 산악 모노레일의 대차에 설치되어 마찰 드럼(30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동작용을 수행하는 제동부(5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400)는 상기 마찰 드럼(300)의 측부에 위치하도록 구동축(210)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부(400)는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마찰 드럼(300)을 상기 구동축(210)과 연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정상 상태에서는 상기 제동부(500)와 접하는 상기 마찰 드럼(300)은 회전하지 않고, 마찰 드럼(300)을 관통하는 구동축(210)만 회전하여 안정적으로 주행하게 되지만, 비상 상황으로 인하여 경사구간을 내려갈 때, 급격하게 이동할 경우에 상기 구동축(210)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속도보다 빠르게 회전하게 되면 상기 마찰 드럼(300)을 상기 구동축(210)과 연동시키도록 하여 상기 제동부(500)와 마찰 드럼(300)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에 의해 제동작용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산악 모노레일은 급구배 구간을 주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레일에는 랙이 형성되고 구동축(210)과 연결되는 구동바퀴(미도시)에는 피니언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동부(500)와 마찰 드럼(300)에 의해 구동축(210)이 멈추게 되면 랙과 피니언의 작용으로 급구배 구간이라도 안정적으로 멈출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400)는 상기 마찰드럼(300)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드럼(440)과 상기 동력 전달 드럼(44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210)에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410)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410)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작동 뭉치(4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 뭉치(420)는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에는 회전축(422)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 플레이트(41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 뭉치(420)는 서로 마주보도록 한 쌍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 플레이트(410)는 상기 회전축(422)이 설치된 타측에는 작동 뭉치(420)의 위치를 잡아주기 위한 스토퍼(426)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작동 뭉치(420)의 외측에는 걸림돌부(424)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동력 전달 드럼(440)에는 상기 걸림돌부(424)가 삽입되는 걸림공(442)이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구동축(210)이 회전하면 상기 회전 플레이트(410)가 같이 회전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작동 뭉치(420)에 원심력이 가해져 상기 회전축(422)을 기준으로 작동 뭉치(420)의 타측 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돌부(424)가 상기 걸림공(44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구동축(210)과 마찰 드럼(30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 보도록 설치되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420)에는 작동 뭉치(420)가 회전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원심력의 한계를 설정하는 작동 조절부(43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산악 모노레일이 설치된 환경에 따라 비상 제동이 작동하는 상황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 조절부(430)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420)가 근접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작동 스프링(432)과 상기 작동 뭉치(4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432)의 양단부에 연결된 와이어(433)가 권취되는 권취봉(434)과 상기 작동 뭉치(420)와 권취봉(434)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봉(434)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래칫 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래칫 부재 및 권취봉(434)은 한 쌍의 작동 뭉치(420)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권취봉(434)의 상단에는 권취 레버(435)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상기 권취 레버(435)를 회전시켜 와이어(433)가 권취봉(434)에 감겨지거나 풀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동 스프링(432)이 작동 뭉치(420)를 당겨주는 힘을 강하게 하거나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구간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기초 설정된 작동 스프링(432)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황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동축(210)과 마찰 드럼(300) 사이에는 축 연결부재(2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축 연결부재(220)는 상기 구동축(210)과 억지끼움 또는 키 결합 등의 방식으로 동시에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마찰 드럼(300)과 축 연결부재(220) 사이에는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되어 마찰 드럼(300)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축 연결부재(22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마찰 드럼(300)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222)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마찰 드럼(300)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마찰 드럼(300)의 위치가 임의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동부(5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찰 드럼(300)의 외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동암(510)과 상기 상기 제동암(5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드럼(300)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동패드(520)와 상기 제동암(510)의 단부에 설치되는 제동력 조절부(5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동암(510)의 일측 단부에는 설치축(512)이 구비되는 축설치부(513)가 형성되어 산악 모노레일의 대차에 직접 또는 브라켓을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동암(510)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는 상기 제동력 조절부(530)를 통하여 상기 제동패드(520)가 상기 마찰 드럼(300)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제동력을 설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동력 조절부(530)는 상기 제동암(5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돌부(514)와 상기 한 쌍의 조절돌부(514)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일측 조절돌부(514)를 지지하는 헤드(533)가 형성되는 제동 조절봉(532)과 상기 제동 조절봉(532)의 타측에는 타측 조절돌부(514)를 탄성지지하는 제동 스프링(534)과 상기 제동 조절봉(532)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동 스프링(534)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 너트(536)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조절 너트(536)을 통하여 상기 제동 스프링(534)이 조절돌부(514)를 가압하는 힘을 변화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제동암(510)의 내측에 설치되는 제동패드(520)가 마찰 드럼(300)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여 산악 모노레일이 설치되는 환경에 맞게 제동력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동부(500)에는 제동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부(600)가 더 구비되어 비상 상황에서 수행된 비상 제동에 의한 제동상태를 해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해정부(6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측 조절돌부(514), 즉, 제동 스프링(53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조절돌부(514)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해정 레버(610)와 상기 제동 조절봉(532)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바(620)와 양단부가 상기 해정 레버(610)와 작동바(620)에 각각 힌지 결합되는 링크바(6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작동바(620)는 상기 조절봉(532)에 고정너트(538)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래서, 작업자가 비상 제동에 의해 잠겨진 제동부(500)를 상기 해정 레버(610)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바(620)가 상기 제동 조절봉(532)을 헤드(533) 방향으로 이동시켜 한 쌍의 제동암(510)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제동상태를 해정하게 된다.
즉, 동력부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의 비상 상황에서 상기 작동부(400)에 의해 비상 제동이 수행되면 상기 제동부(500)는 완전히 잠겨지게 되어 본 발명의 모노레일은 이동할 수 없게 되는데, 상기 해정부(600)를 통하여 제동상태를 해정하도록 함으로써, 연결된 견인 차량에 의해 안정적으로 견인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420)에는 작동 뭉치(420)가 회전하지 않고 버틸 수 있는 원심력의 한계를 설정하는 작동 조절부(430')가 설치되어 본 발명의 산악 모노레일이 설치된 환경에 따라 비상 제동이 작동하는 상황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 조절부(430')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420)가 근접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작동 스프링(432)과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420)의 일측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432)의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 브라켓(438)과 상기 일측 고정 브라켓(438)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단부에는 상기 작동 스프링(432)의 단부가 연결되는 조절볼트(436)와 상기 조절볼트(436)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432)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437)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조절너트(437)은 상기 고정 브라켓(438)의 외측에 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조절볼트(436)이 작동 스프링(432)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조절너트(437)와 조절볼트(436)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작동 스프링(432)이 작동 뭉치(420)를 당겨주는 힘을 강하게 하거나 줄여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구간에서의 실험을 통하여 기초 설정된 작동 스프링(432)의 탄성력을 조절하여 상황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산악과 같은 급경사 지역에 설치된 산악 모노레일이 과도한 속도로 하강하더라도 전기적인 센싱 장치 없이 자동으로 제동작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설치되는 구배에 따라 자동 작동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견인시 용이하게 제동 상태를 해정할 수 있어 안정적인 견인을 가능하게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210 : 구동축 220 : 축 연결부재
300 : 마찰 드럼 400 : 작동부
410 : 회전 플레이트 420 : 작동 뭉치
430 : 작동 조절부 500 : 제동부
510 : 제동암 520 : 제동패드
530 : 제동력 조절부 600 : 해정부
610 : 해정 레버 620 : 작동바
630 : 링크바

Claims (8)

  1. 산악 모노레일의 구동바퀴가 설치되는 구동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마찰 드럼과,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속도에 따라 상기 마찰 드럼을 상기 구동축과 연동시키는 작동부와, 산악 모노레일의 대차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드럼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동작용을 수행하는 제동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마찰드럼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 전달 드럼과, 상기 동력 전달 드럼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설치되는 회전 플레이트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일측면 가장자리에 원호형상의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작동 뭉치와, 상기 작동 뭉치의 외측에 형성되는 걸림돌부와, 상기 동력 전달 드럼에 상기 걸림돌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걸림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에는 작동 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가 근접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작동 스프링과,
    상기 작동 뭉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의 양단부에 연결된 와이어가 권취되는 권취봉과,
    상기 작동 뭉치와 권취봉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권취봉의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래칫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산악 모노레일의 대차에 일측 단부가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제동암과,
    상기 제동암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마찰 드럼의 외주면과 접하는 제동패드와,
    상기 제동암의 타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패드가 상기 마찰 드럼을 가압하는 힘을 조절하는 제동력 조절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력 조절부는 상기 제동암의 단부에 형성되는 조절돌부와,
    상기 한 쌍의 조절돌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일측 단부에는 일측 조절돌부를 지지하는 헤드가 형성되는 제동 조절봉과,
    상기 제동 조절봉의 타측에는 타측 조절돌부를 탄성지지하는 제동 스프링과,
    상기 제동 조절봉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제동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 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에는 제동상태를 해정하기 위한 해정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해정부는 상기 타측 조절돌부의 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해정 레버와,
    상기 제동 조절봉의 타측 단부에 결합되는 작동바와,
    양단부가 상기 해정 레버와 작동바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과 마찰 드럼 사이에는 축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축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마찰 드럼이 일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상기 마찰 드럼이 타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링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에는 작동 조절부가 구비되되,
    상기 작동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가 근접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작동 스프링과,
    상기 한 쌍의 작동 뭉치의 일측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의 단부가 지지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고정 브라켓 중 일측의 고정 브라켓을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단부에는 상기 작동 스프링의 단부가 연결되는 조절볼트와,
    상기 조절볼트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작동 스프링의 탄성력을 조절하는 조절너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KR1020220082074A 2022-07-04 2022-07-04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KR102528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074A KR102528743B1 (ko) 2022-07-04 2022-07-04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2074A KR102528743B1 (ko) 2022-07-04 2022-07-04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743B1 true KR102528743B1 (ko) 2023-05-10

Family

ID=86385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2074A KR102528743B1 (ko) 2022-07-04 2022-07-04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8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666B1 (ko) 2023-12-28 2024-03-20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래칫을 이용한 산악 모노레일의 비상제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577A (ja) * 1997-03-10 1998-09-22 Kenkichi Takahashi モノレール車の安全装置
KR102225878B1 (ko) 2020-10-22 2021-03-11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 차량의 비상 제동장치
KR20220057733A (ko) * 2020-10-30 2022-05-09 이엠티씨 주식회사 궤도차량용 퀵브레이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50577A (ja) * 1997-03-10 1998-09-22 Kenkichi Takahashi モノレール車の安全装置
KR102225878B1 (ko) 2020-10-22 2021-03-11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모노레일 차량의 비상 제동장치
KR20220057733A (ko) * 2020-10-30 2022-05-09 이엠티씨 주식회사 궤도차량용 퀵브레이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9666B1 (ko) 2023-12-28 2024-03-20 한국모노레일주식회사 래칫을 이용한 산악 모노레일의 비상제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743B1 (ko) 산악 모노레일 비상 제동 장치
US4128144A (en) Brake and wheel lock
WO2014157566A1 (ja) ブレーキ装置及びブレーキ装置を備えたクレーン
CN108189858B (zh) 一种常闭制动轨行小平车
JPH06206541A (ja) 鉄道車両の軌間可変台車
US3096854A (en) Brake system for rail vehicles
US4039051A (en) Disc brake construction, especially for rail vehicles
US3698520A (en) Tread brake apparatus
KR101557984B1 (ko) 케이블을 이용한 기계식 방식의 트레일러 브레이크 장치
JP7061248B2 (ja) ブレーキ機構
GB2320303A (en) Mechanical parking brake mechanism for an over-run auto-reverse hydraulic braking system on a trailer
US3696892A (en) Brake head-centering device for railway brake apparatus
US1588853A (en) Conveying bridge structure
KR102649666B1 (ko) 래칫을 이용한 산악 모노레일의 비상제동장치
US582371A (en) William g
US3331474A (en) Auxiliary brake means for highway transport truck
US1154041A (en) Mine-car brake.
KR0155121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RU198936U1 (ru) Устройство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ложения триангеля тормозной рычажной передачи тележки грузового вагона
JPS642857Y2 (ko)
KR100222893B1 (ko) 차량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
KR200229911Y1 (ko) 화차용 수용제동기의 조작장치
JPS5810694Y2 (ja) ジジユウカ−リタ−ダ
GB2424049A (en) A brake mechanism for a rail vehicle
KR100217989B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