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6902A -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6902A
KR20030036902A KR10-2003-7004995A KR20037004995A KR20030036902A KR 20030036902 A KR20030036902 A KR 20030036902A KR 20037004995 A KR20037004995 A KR 20037004995A KR 20030036902 A KR20030036902 A KR 200300369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group
predetermined
operating condition
paramete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베요시히토
하마다겐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300369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690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A61B8/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 diagnostic device
    • A61B8/585Automatic set-up of th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8/00Diagnosi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ltra Sonic Daignosis Equip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입력부(14)를 이용하여 미리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조건, 예를 들면 복수의 주파수 중 몇개의 매개변수값을 그룹화하여 등록하고, 등록된 복수의 매개변수값은 기기 설정 조건 제어부(18) 내의 메모리에 기억된다. 조작자는 진단 시에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고, 상기 그룹을 구성하는 복수의 매개변수값에서 진단에 사용할 매개변수값을 선택한다. 장치는 상기 매개변수값에 의해 정의된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동작하여 진단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DIAGNOSTIC DEVICE, ULTRASONIC DIAGNOSTIC DEVICE, AND THEIR OPERATION CONTROL METHOD}
피검체의 체내를 진단하는 장치로서, 초음파를 이용한 초음파 진단장치, X선을 이용한 X선 CT장치, 자력을 이용한 자기공명장치 등이 있다. 어떤 장치에 이용되는 기기라도 진단을 실시할 때는 사용하는 주파수나 촬영영역의 설정 등, 많은 설정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최근에는, 초음파 장치에서는 혈류신호를 칼라로 표시하는 칼라 앙기오(Angio)가, X선 CT장치에서는 나선형상으로 촬영을 실시하는 헬리컬스캔이, 또 핵자기 공명장치에서는 자장의 인가방법인 펄스 시퀀스가 많이 이용되게 되어, 각 진단기기를 이용할 때 설정하는 조건이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초음파 진단장치는 방사선 피폭 등의 영향이 없기 때문에 모든 부위의 진단에 이용할 수 있다. 이 특성 때문에 진단부위에 따른 조건의 설정이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조건 중 하나인 주파수 조건의 경우, 복부의 관찰부과 태아의 관찰에서는 일반적으로 다른 주파수가 설정된다. 또, 진단부위 뿐만 아니라 조작자의 기호,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도 사용하는 주파수가 다른 경우가 많다. 또, B모드나 칼라모드 등 표시방법의 차이에 따라서도 사용하는 주파수는 다른 경우가 있다.
그런데, 최근, 일반적으로 환자의 진단 효율을 올리기 위해, 또는 급환(急患) 등의 긴급한 진단을 실시하기 위해 진단장치에 있어서 신속한 조건 설정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초음파 진단장치에서는 소형이며 신속한 진단이 가능하고, 긴급용 진단장치로서 유용한 점 때문에 신속한 조건 설정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진단장치에 있어서는 조작자는 그때마다 선택 가능한 모든 조건 중에서 사용할 조건을 선택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진단 중에 조작자의 경험 등으로 주파수 등의 조건을 변경하는 일이 자주 행해진다. 그 때에도 조작자는 다시 모든 조건 중에서 사용할 조건을 다시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각 기기 설정의 조건 선택에는 많은 시간을 요하고, 진단 효율의 저하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고, 신속하게 기기를 설정할 수 있는 진단기기 설정방법, 설정수단 및 이를 이용한 진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진단에 이용되는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실시형태에 따른 진단장치의 하나인 초음파 진단장치(12)의 블록도,
도 1B는 기기 동작 조건 제어부(18)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동작 조건의 그룹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 의해 실행되는 그룹 선택·등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4는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 의해 실행되는 그룹 선택·등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5는 실시형태의 통상 모드, 그룹 모드의 선택 시의 표시 화면예,
도 6은 실시형태의 신규 그룹 등록 모드, 추장 그룹 선택 모드, 과거 그룹 선택 모드의 선택 시의 표시 화면예,
도 7은 실시형태의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넘버 등의 입력 시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형태의 촬영 모드, 주파수, 시야 심도의 3개의 매개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형태의 그룹화하는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화상표시부(13) 등의 표시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형태의 그룹화를 완료한다는 메시지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형태의 그룹 선택 시의 화면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형태의 매개변수값 선택을 위한 화면예,
도 13은 제 1 변형예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4는 제 1 변형예의 주파수의 선택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는 제 1 변형예의 주파수의 순서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제 2 변형예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
도 17은 제 2 변형예의 복수의 매개변수값의 그룹화 처리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 및
도 18은 제 2 변형예의 사용하는 매개변수 선택에 있어서 화상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시점은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주파수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기억된 상기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발생기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2 시점은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파수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복수의 주파수군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서 지정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3 시점은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2 이상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우선 순서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로 선택된 2 이상의 주파수를 주파수군으로 하여 상기 우선순서와 함께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기억된 상기 주파수군이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우선순서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4 시점은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기억된 상기 동작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5 시점은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소정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복수의 동작 조건군 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6 시점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매개변수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의 동작 조건에 대해서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을 지정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서 지정된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을 동작조건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기억된 상기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7 시점은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매개변수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의 동작 조건에 대해서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복수의 동작 조건군 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부터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8 시점은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는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기억된 상기 동작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9 시점은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조건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와, 상기 복수의 동작 조건군중에서 소정의 동작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소정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와,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진단장치이다.
본 발명의 제 10 시점은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주파수군으로서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는 것을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1 시점은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파수군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는 것을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2 시점은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며, 기억된 상기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구비하는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의 제 13 시점은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구비하는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는 실시형태에 따른 진단장치의 하나인 초음파 진단장치(12)의 블록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초음파 진단장치(12)를 예로서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초음파 진단장치(12)에 한정되지 않고, X선 CT장치, 자기공명 이미징 장치, X선 진단장치, 핵의학장치 등의 각종 진단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초음파 진단장치(12)는 초음파프로브(11), 화상표시부(13), 입력부(14), 송수신제어부(15), 화상표시제어부(16), 신호처리부(17) 및 기기 동작 조건 제어부(18)를 구비하고 있다.
초음파 프로브(11)는 압전 세라믹 등의 음향/전기 가역적 변환소자로서의 압전 진동자를 구비한다. 병렬되고, 프로브(11)의 선단에 장비되는 복수의 압전 진동자는 송수신 제어부(15)로부터 인가된 전압 펄스에 기초하여 초음파를 발생한다.
화상표시부(13)는 CRT 등으로 이루어진 모니터이며, 입력한 비디오 신호에기초하여 피검체 조직 형상을 나타내는 단층상을 표시한다.
입력부(14)는 조작자로부터의 각종 지시·명령·정보를 장치(12)로 취입하기 위한, 관심 영역(ROI)의 설정 등을 실시하기 위한 입력장치(마우스나 트랙볼, 모드 전환 스위치, TCS: Touch Command Screen, 키보드 등)가 설치된다. 후술하는 그룹화 처리 또는 그룹 선택 처리에서의 소정의 지시는 상기 입력부(14)를 통해 실행된다.
송수신 제어부(15)는 송신계로서의 펄스 발생기, 송신 지연회로, 펄서를 구비하고, 초음파 프로브(11)에 접속된다. 펄스 발생기는, 예를 들면 5kHz의 레이트 주파수(fr Hz(주기; 1/fr초))로 레이트 펄스를 반복 발생한다. 이 레이트 펄스는 채널수로 분배되고, 송신 지연 회로로 보내진다. 송신 지연 회로는 초음파를 빔형상으로 집속하고, 또 송신 지향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지연 시간을 각 레이트 펄스에 부여한다. 또, 송신 지연 회로에는 도시하지 않은 트리거 신호 발생기로부터의 트리거가 타이밍신호로서 공급된다. 펄서는 송신 지연 회로로부터 레이트 펄스를 받은 타이밍으로 프로브(11)에 채널마다 전압 펄스를 인가한다. 이에 의해 초음파 빔이 피검체에로송신된다.
또, 송수신 제어부(15)는 수신계로서의 프리앰프, A/D변환기, 수신 지연회로 및 가산기를 구비한다. 프리앰프는 프로브(11)를 통해 송수신 제어부(15)로 취입된 에코 신호를 채널마다 증폭한다. 증폭된 에코 신호는 수신 지연 회로에 의해 수신 지향성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지연시간이 부여되고, 가산기로 가산된다. 이 가산에 의해 에코 신호의 수신 지향성에 따른 방향으로부터의 반사 성분이 강조된에코 신호(RF신호)가 생성된다.
표시 제어부(16)는 신호처리부(17)에서 화상 처리된 신호를 수신하고, 초음파 스캔의 주사선 신호열로부터 텔레비전 등으로 대표되는 일반적인 비디오 포맷의 주사선 신호열로 변환한다. 초음파 화상은 표시 제어부(16)에 있어서 여러가지 설정 매개변수의 문자 정보나 눈금 등과 합성되고, 비디오 신호로서 화상 표시부(13)로 출력된다.
신호처리부(17)는 B모드 신호 처리계와 칼라 도플러 신호 처리계를 구비하고 있다.
B모드 처리계는 에코 신호대수증폭, 포락선 검파 처리 등을 실시하고, 신호 강도를 휘도의 밝기로 표현하는 데이터 신호를 생성한다. 또, 칼라 도플러 신호 처리계는 에코 신호로부터 속도 정보를 주파수 해석하고, 해석 결과를 화상 표시 제어부(16)로 출력한다.
기기 동작 조건 제어부(18)는 키보드 등의 입력부(14)에서 조작자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신호처리부(17)로 송신한다.
도 1B는 기기 동작 조건 제어부(18)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에 있어서 기기 동작 조건 제어부(18)는 그룹화 제어부(20), 단계 기억부(21), 그룹 메모리(22) 및 통상 메모리(23)를 구비하고 있다.
그룹화 제어부(20)는 후술하는 동작 조건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를 제어한다.
단계 기억부(21)는 후술하는 동작 조건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에서 현재의처리 상황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그룹 메모리(22)는 그룹화된 각종 동작 조건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그룹 메모리(22)는 각종 동작 조건을 속성별로 관리하기 위해 그룹 등록 메모리(22a), 추장 그룹 메모리(22b) 및 과거 그룹 메모리(22c)를 구비하고 있다.
그룹 등록 메모리(22a)는 후술하는 그룹 선택·등록 처리에서 신규로 등록된 그룹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어플리케이션 종료 등의 소정 조작에 응답하여 그룹 등록 메모리(22a) 중의 정보는 과거 그룹 메모리(22c)로 자동적으로 전송된다.
추장 그룹 메모리(22b)는 사전에(예를 들면, 판매 전의 제조 단계 등에 있어서) 등록된 각종 동작 조건을 추장 그룹으로서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과거 그룹 메모리(22c)는 과거에 그룹화되어 등록된 각종 동작 조건을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통상 메모리(23)는 진단 시에 사용할 수 있는 모든 주파수로부터 임의의 주파수를 선택, 사용하는 종래의 형태(이하, 「통상 모드」라고 함)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메모리이다.
또, 그룹 메모리(22) 또는 이를 구성하는 그룹 등록 메모리(22a), 추장 그룹 메모리(22b), 과거 그룹 메모리(22c), 또 통상 메모리(23)는 하드디스크, FD, CD, MD 등, 전자 데이터를 보존, 제공할 수 있는 형태이면 좋다. 특히 오조작에 의한 데이터 소거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추장 그룹 메모리(22b) 또는 통상 메모리(23)는 판독 전용 기록 매체로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 각 메모리가 제거가능한 기억 매체인 경우에는 다른 초음파 진단장치와의 정보 공유가 용이하게 실행 가능해진다. 또, 각 메모리 내의 데이터는 도시하지 않은 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외부 주변 장치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전송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동작 조건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
계속해서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 의해 실행되는 진단장치의 동작 조건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진단장치의 동작 조건이라는 것은 송신 펄스 주파수, 시야 심도, 촬영 모드, 물리적 지표(예를 들면 MI값 등)라는 진단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매개변수의 설정값을 말한다. 이하, 설명을 구체적으로 하기 위해 통상 펄스 주파수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서는 진단장치의 소정 동작 조건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하는 매개변수값, 모드의 종류 등을 그룹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서는 주파수 A 내지 주파수 E까지의 5개의 주파수가 사용가능하다고 한다.
한편, 예를 들면 진단 대상에 따라서는 빈번히 사용하는 주파수와 거의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가 정해져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진단할 때마다 모든 주파수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그룹 1 또는 그룹 2와 같이 진단 대상마다 고빈도로 사용되는 주파수군을 등록하고, 상기 주파수군 중에서 선택하는 쪽이 효율적이다.
즉, 도 2의 그룹 1에서는 예를 들면 복부를 주로 진단하는 조작자가 이용하는 주파수 A, C, E를 그룹화하고, 진단시에는 주파수 A, C, E 중에서만 사용하는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그룹 2에서는 예를 들면 태아를 주로 진단하는 조작자가 이용하는 주파수 B, C, D를 그룹화하고, 진단시에는 주파수 B, C, D중에서만 사용하는 주파수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그룹 1, 2는 스위치 등에 의해 언제라도 변경 가능하게 해도 좋다. 물론 그룹의 수는 둘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룹 선택·등록 처리는 이와 같은 그룹화의 작성(그룹의 등록) 및 촬영 시의 그룹 선택을 위한 처리이다. 이하, 도 3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도 4는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 의해 실행되는 그룹 선택·등록 처리의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우선, 초음파 진단장치(12)가 ON이 되고(단계(S1)), 통상 모드이거나 또는 그룹화된 주파수를 선택하고, 사용하는 촬영 형태(이하, 「그룹 모드」라고 함)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단계(S2)). 이 선택 시의 화상표시부(13) 또는 TCS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도 5에 도시한다.
단계(S2)에 있어서 통상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ID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단계(S12)). 계속해서 종래와 같은 형태에 의해 통상 메모리(23)로부터 수시로 필요한 동작 조건이 선택되고(단계(S13) 및 (S14)), 초음파 진단이 실행된다(단계(S11)).
한편, 단계(S2)에서 그룹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ID 등의 정보가 입력된다(단계(S3)). 계속해서 그룹화 제어부(20)에 의해 화상표시부(13)에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화면이 표시되고, 신규 그룹 등록 모드, 추장 그룹 선택 모드, 과거 그룹 선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가 선택된다(단계(S4)).
여기서, 신규 그룹 등록 모드라는 것은 이미 그룹화되어 있는 동작 조건을 사용하지 않고, 신규로 동작 조건의 그룹화를 실시하기 위한 모드이다. 상기 모드에 있어서는 도 2의 그룹 등록 메모리(22a)가 주로 이용된다. 추장 그룹 선택 모드라는 것은 추장 그룹 메모리(22b) 등에 미리 기억된 추장 그룹을 선택하기 위한 모드이다. 과거 그룹 선택 모드라는 것은 예를 들면 이미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서 등록되어 과거 그룹 메모리(22c)에 기억된 것 중에서 원하는 그룹을 선택하는 모드이다.
이하, 단계(S4)에서 신규 그룹 등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추장 그룹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과거 그룹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의 각각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버튼 등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 형태가 변경된다.
단계(S4)에서 신규 그룹 등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 우선 신규로 등록하는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넘버, 또는 그룹명 등을 등록한다(단계(S5)). 이 그룹명 등은 조작자 개인의 성명 등이라도 좋고, 또 촬영부위 등을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이 때, 그룹화 제어부(20)는 화상표시부(13)의 표시 화면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를 실시한다. 또 도 7에서는 그룹을 식별하기 위한 넘버로서, 1 내지 8 의 8개 중에서 선택할 수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계속해서 그룹화를 실시하는 매개변수를 선택한다(단계(S6a)). 본 실시형태에서는 매개변수를 송신 펄스 주파수로 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여기서 다른 매개변수, 예를 들면 촬영영역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8은 촬영 모드, 주파수, 시야 심도의 3개의 매개변수를 선택하기 위한 화면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화면은 그룹화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화상표시부(13)에 표시된다. 또, 촬영모드라는 것은 B모드, M모드, C모드(칼라 도플러 모드) 등의 촬영, 표시를 실시하는 모드를 말하며, 시야 심도라는 것은 피검체내의 촬영 가능한 심도를 말한다.
계속해서 단계(S6a)에서 선택한 매개변수에 대해 그룹화하여 등록하는 매개변수값 또는 내용 등을 선택한다(단계(S7)). 여기서, 매개변수값이라는 것은 각각의 매개변수의 수치 등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촬영 모드를 매개변수로 한 경우에는 B, M, C 모드의 각각을 가리킨다. 또, 주파수를 매개변수로 한 경우에는 각각의 주파수의 값을, 시야 심도를 매개변수로 한 경우는 각각의 시야 심도의 값을 가리킨다. 또, 선택 가능한 모든 매개변수값은 미리 통상 메모리(23)에 기억되어 있다.
도 9는 그룹화할 주파수를 1MHz 간격의 1 내지 12MHz까지의 값으로 선택하기 위한, 화상 표시부(13) 등의 표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1 내지 12MHz까지의 주파수 중, 1, 3, 5MHz와 3개의 주파수를 선택하여 제 1 그룹으로서 등록하는 경우, 진단시에 제 1 그룹을 선택하면 상기 3개의 주파수 중 어느 하나만 선택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많은 값에서 사용할 주파수를 선택하는 수고를 덜 수 있고, 진단 작업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소정 조작에 의해 그룹 등록 메모리(22a)에 기록된 각 단계의 정보에 기초하여 단계(S5) 내지 단계(S7)에서 입력한 그룹의 정보를 통상 메모리(23)로부터 판독하고, 그룹 메모리(22a)에 기억하여 그룹화를 완료한다(단계(S8)). 이 때, 화상표시부(13)에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한 그룹화를 완료한다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룹화를 완료하면 메모리에 축적된 그룹 중에서 사용할 그룹의 선택을 실시한다(단계(S9)). 이 때, 단계(S5)에서 설정한 그룹 넘버, 또는 그 이외에 식별할 수 있는 것을 입력했을 때에는 그 입력된 것에 기초하여 그룹의 선택을 실시한다. 도 11은 단계(S9)에서 화상 표시부(13)에 표시되는 그룹 선택을 위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계속해서, 단계(S9)에서 선택한 그룹 내에서 진단에 사용할 매개변수값을 선택한다(단계(S10)). 도 12는 단계(S10)에서 화상 표시부(13)에 표시되는 매개변수값 선택을 위한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또,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그룹은 단계(S7)에서 등록한 1, 3, 5MHz의 주파수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단계(S10)에서 매개변수값의 선택을 한 후, 도 12에 도시된 「촬영 개시」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선택한 매개변수값에 따라서 기기의 설정이 실시되고, 촬영이 실행된다(단계(S11)). 구체적으로는, 선택된 매개변수값은 도 1에 도시한 신호처리부(17)를 통해 송수신제어부(15), 화상표시제어부(16), 또는 그 외의 기기를 설정할 때에는 설정을 실시하는 기기로 송신되고, 각 기기의 설정이 실시되어, 촬영이 개시된다.
또, 도 12의 좌측 중앙에 도시된 초음파 화상은 촬영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상기 초음파 화상과 함께 상기 촬영에서의 동작 조건을 화상표시부(13)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촬영이 종료된 경우에는 소정의 조작에 응답하여 종료 처리를 실시한다. 이 때, 그룹 등록 메모리(22a)의 기록은 과거 그룹 메모리(22c)로 이동된다.
이상, 단계(S4)에서 신규 그룹 등록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다. 계속해서 단계(S4)에서 추장 그룹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및 과거 그룹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S4)에서 추장 그룹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미리 추장 그룹 메모리(22b)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을 판독하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형태로 표시한다. 조작자는 동일한 조작에 의해 추장 그룹 메모리(22b)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에서 적절한 1개의 그룹을 선택하고(단계(S9)), 상기 그룹 중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고(단계(S10)), 촬영을 실행한다(단계(S11)). 또, 추장 그룹 메모리(22b)에, 특히 긴급용으로 사용하는 그룹을 기억해두면 긴급 시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또, 단계(S4)에서 과거 그룹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미리 과거 그룹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는 기록 완료의 그룹을 판독하고,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한 형태로 표시한다. 조작자는 동일한 조작에 의해 과거 그룹 메모리(22c)에 기억되어 있는 그룹에서 적절한 하나의 그룹을 선택하고(단계(S9)), 상기 그룹 중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고(단계(S10)), 촬영을 실행한다(단계(S11)). 또, 과거 그룹 메모리(22c)에 특히 긴급용으로 사용하는 그룹을 기억해 두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상 설명한 동작 조건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에 의해 다음의 결과를 얻을수 있다.
종래, 조작자의 상위 또는 환자의 용태 등의 상황에 관계없이, 모든 상황에 기기 설정의 선택지가 동일했기 때문에 매개변수값의 선택에 많은 시간을 요했다. 그러나, 본 초음파 진단장치(12)에 의하면 미리 진단 전에 매개변수의 매개변수값을 그룹화해두는 것에 의해 진단 시에는 그룹화된 매개변수값 중에서 필요한 매개변수값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신속히 기기를 설정할 수 있고, 그 결과 진단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특히 긴급성을 요하는 경우에 특히 실익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초음파 프로브(11)와 입력부(14)는 다른 물(物)로 하고 있지만, 초음파 프로브(11)에 입력부(14)의 기능을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초음파 프로브(11)의 외부 측면에 입력부(14)의 기능 중 선택을 실시하는 기능, 예를 들면 마우스가 갖는 기능을 가진 트랙볼과 같은 것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트랙볼을 돌리는 것에 의해 화면 상의 포인터의 위치가 움직이고, 트랙볼을 누르는 것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입력부(14)의 기능을 초음파 프로브(11)에 설치한 경우, 조작자는 초음파 프로브(11)와 입력부(14)를 다른 기기로서 조작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초음파 프로브(11)로부터 직접 기기 설정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신속히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이 외, 예를 들면 조작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할당된 ID번호와 같은 식별자를 입력부(14)에서 입력하는 것에 의해 조작자 한 사람 한 사람이 다른 그룹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변형예)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1 변형예는 그룹화된 매개변수값 중 특정의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그룹화된 모든 매개변수값을 소정의 순서로 사용하는 구성이다.
도 13은 본 변형예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에 있어서 단계(S9)까지의 처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다.
도 13에 있어서, 단계(S9)에서 그룹을 선택한 후, 그룹 내의 매개변수값의 선택 순서를 결정한다(단계(S10′)). 선택 순서의 결정은 조작자가 임의로 설정해도 좋고, 또 자동적으로 승강 순서 등으로 결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그룹 1과 같이 주파수 A, C, E를 그룹화한 경우, 주파수 A, C, E 순으로 순서를 결정해도 좋고,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서를 주파수 C, A, E와 같이 결정해도 좋다. 구체적인 선택 순서의 결정법은 예를 들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 1MHz가 기재된 프레임을 선택한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부분에 드랙앤드롭하는 것에 의해 선택 순서는 주파수 3MHz, 1MHz, 5MHz가 된다.
계속해서 촬영이 실행된다(단계(S11)). 본 변형예에서는 실시형태와 달리 진단 중에는 그룹 내의 주파수인 1, 3, 5MHz의 주파수를 임의로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단계(S10′)에서 결정한 선택 순서로 전환하여 사용한다. 또, 사용의 전환은 입력부(14)에 의해 실시한다.
또, 단계(38)의 촬영에서는 매개변수값을 사용하는 순서를 단계(S10′)에서결정한 선택 순서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냈다. 이에 대해, 단계(S10′)에서 결정한 선택 순서 뿐만 아니라 역의 순서로 전환 가능하게 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선택의 실수 또는 하나 전의 매개변수값으로 한번 더 촬영을 실시하고 싶은 경우, 결정한 순서에 따라서 매개변수값을 한바퀴 돌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게 필요한 매개변수값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주파수를 A, C, E 순으로 순서를 결정한 경우, 주파수 C를 선택할 필요가 있는데, 주파수 E를 선택한 경우, 순서대로는 주파수 A를 거치지 않으면 주파수 C의 선택은 할 수 없다. 그러나, 역의 순서로의 설정도 가능한 경우에는 주파수 A를 선택할 필요 없이, 직접 주파수 E의 선택으로 주파수 C의 선택이 가능하다.
제 1 변형예에서는 미리 사용할 매개변수값의 선택 순서를 설정해두는 것에 의해 전환 동작을 실시하는 것만으로 순서에 따른 매개변수값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효과뿐만 아니라 더 신속한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역의 순서로도 매개변수값의 전환을 가능하게 한 경우에는 사용할 매개변수값을 한바퀴 돌 필요가 없어, 더 신속히 필요한 매개변수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 실시형태에 기재한 바와 같이, 초음파 프로브(11)와 입력부(14)를 일체화할 수도 있는데, 특히 본 변형예에서는 매개변수값을 전환하는 기능만을 초음파 프로브(11)에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 적어도 전환을 실시하는 스위치를 1개만 설치하면 좋다. 또, 역의 순서로의 전환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라도 바른 순서와 이것과는 반대인 역의 순서로 전환하는 스위치를 2개 설치하는 것만으로 좋고, 초음파 프로브(11)도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 초음파 프로브는 통상, 조작자가 진단을 실시하는 동안에 항상 손에 쥐고 사용하기 때문에 초음파 프로브(11)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으면 더 조작성이 향상되어, 보다 신속한 진단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계속해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 2 변형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형태와 같이 단일 동작 조건으로 그룹화를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동작 조건으로 그룹화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 경우, 예를 들면 동작 조건을 송신 펄스 주파수, 시야 심도, 촬영 모드의 3개의 매개변수로 한 경우에는, 상기 3개의 매개변수의 값 또는 내용을 결정하면 촬영 조건이 일의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이하, 동작 조건을 송신 펄스 주파수, 시야 심도, 촬영 모드의 3개의 매개변수로 그룹화를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든다.
도 16은 본 변형예의 그룹 선택·등록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에 있어서, 단계(S5)까지의 처리 및 단계(S8) 이후의 처리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처리와 동일하다. 또, 도 17은 도 16에 도시한 플로우차트의 단계(S6d)에서 화상 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16에 있어서 그룹명의 등록이 이루어진 후(단계(S5)), 도 17에 표시된 화면의 내용에 따라서 복수의 매개변수값이 그룹화된다(단계(S6d)). 즉,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파수로서는 1 내지 8MHz까지 1MHz 간격, 시야 심도로서는 1 내지 8cm까지 1cm간격, 모드로서는 B모드, M모드 및 C모드(칼라 모드)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자는 상기 화면을 관찰하면서 그룹화에 필요한 것만을 마우스로 싱글 클릭하는것 등에 의해 원하는 매개변수값 또는 내용을 선택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사선 부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주파수로서는 1 및 6MHz, 시야심도로서는 2 및 5cm, 모드로서는 M모드를 선택하고 있다.
각 본 변형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선택된 주파수, 시야 심도, 모드의 각각의 모든 조합을 자동적으로 그룹화한다. 즉, 도 17의 사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을 실시한 경우, 그룹으로서는 주파수 1MHz, 시야 심도 2cm, M모드의 조합에 계속해서 주파수 1MHz, 시야 심도 5cm, M모도의 조합, 주파수 2MHz, 시야 심도 2cm, M모드의 조합 등, 합계 4개의 조합이 그룹화된다. 본 단계(S6d)는 실시형태의 단계(S6a)와 단계(S7)를 일체화 기능을 갖고, 또 복수의 매개변수의 각각의 매개변수값을 그룹화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물론 선택 가능한 매개변수값의 범위는 도 17에 도시한 내용으로 한정하는 취지가 아니다.
동일 그룹으로서 등록하는 동작 조건은 예를 들면 도 17 중 우측 하부에 나타낸 「다음으로」버튼을 누르기까지 몇번이라도 모드, 주파수, 시야 심도의 선택, 해제가 가능하다. 해제법으로서는 싱글 클릭으로 선택한 것을 다시 한번 싱글 클릭하는 것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계속해서, 「다음으로」의 버튼을 선택하면 그룹화를 완료한다(단계(S8)).
계속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을 실행하기 위해 원하는 그룹이 선택되고(단계(S9)), 사용하는 매개변수값이 선택된다(단계(S10)). 이 단계(S10)에 서 실행되는 선택 처리는, 본 변형예는 복수의 동작 조건으로 그룹화하는 것이므로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하여 실행된다.
도 18은 본 변형예의 단계(S10)에서 화상표시부(13)에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에서는 화면 좌측부터 주파수 1MHz, 시야 심도 2cm, M모드의 조합, 주파수 1MHz, 시야 심도 5cm, M모드의 조합(각 조합을 점선으로 나타냄)의 순서로 나열되어 있다. 조작자는 원하는 조합을 선택하는 것으로 그 조합에 따른 촬영을 실행할 수 있다. 또, 도 18중의 사선은 조작자에 의해 상기 조합이 선택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제 1 변형예에서 설명한 드랙앤드롭 조작에 의해 선택 순서를 바꾸는 것도 가능하다.
선택을 실시한 후는 그 조합에 의해 기기가 설정되고, 진단이 개시된다(단계(S10)).
본 변형예에서는 주파수의 선택, 시야 심도의 선택 및 촬영 모드 등의 복수의 매개변수 및 매개변수값을 1화면상에서 그룹화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형태의 효과뿐만 아니라 그룹화를 더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또 조작자 또는 환자의 상황에 따라서 정확한 기기의 설정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있어서, 당업자라면 각종 변형예 및 수정예를 상도(想到)할 수 있으며, 상기 변형예 및 수정예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1) 내지 (4)와 같이 그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형 가능하다.
(1) 본 발명은 기기의 조건인 매개변수값을 그룹화하는 방법 및 그룹화된 매개변수값 중에서 필요한 매개변수값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포함하는 것이다. 따라서, 예를 들면 필요에 따라서 단계를 반복, 또는 추가, 삭제, 변형 또는 자동화 등 한 것을 포함하는 변형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각 단계에 그 단계를 실시하거나 확인을 하는 단계를 설치해도 좋다. 또, 2개의 조건을 동시에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면 C모드와 B모드를 동시에 사용할 경우에는 필요한 단계를 병렬로 복수개 처리할 수 있도록 변형을 실시해도 좋다.
(2) 상술한 실시형태, 변형예의 각 화상표시부(13)에서 표시되는 화면은 일례이므로 표시 화면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3) 본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서는 특히 초음파 장치를 예로 들었지만, 매개변수값의 그룹화 및 선택, 사용 공정을 포함한 진단기기의 설정 방법 및 설정 수단은 다른 진단 기기에도 적응할 수 있다.
(4) 그룹화의 계층 구조, 그룹화된 매개변수값의 군을 더 그룹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그룹화의 계층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면 최초의 그룹화를 구성하는 매개변수값이 많은 경우라도 단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고, 신속히 작업할 수 있다. 또, 제 2 변형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동작 조건으로 그룹화를 하는 경우, 우선 주파수로 그룹화하고, 상기 주파수에 의한 그룹 내를 시야 심도로 그룹화하고, 또 시야 심도에 의한 그룹 내를 촬영 모드로 그룹화하면 좋다.
또, 각 실시형태는 가능한한 적절히 조합하여 실시해도 좋고, 그 경우 조합한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는 여러가지 단계의 발명이 포함되어 있고, 개시되는 복수의 구성요건의 적절한 조합에 의해 여러가지의 발명이 추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에 나타내어진 전체 구성요건으로부터 몇개의 구성 요건이 삭제되어도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란에서 설명한 과제를 해결할 수 있고, 발명의 효과란에서 설명되어 있는 효과 중 적어도 하나가 얻어지는 경우에는 그 구성요건이 삭제된 구성이 발명으로서 추출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진단 시에 신속히 필요한 기기의 설정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진단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긴급한 진단에도 신속히 대응할 수 있다.

Claims (21)

  1.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주파수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 및
    기억된 상기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주파수가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2.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파수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
    상기 복수의 주파수군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3.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2 이상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우선 순서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서 선택된 2 이상의 주파수를 주파수군으로 하여 상기 우선순서와 함께 기억하는 기억장치; 및
    기억된 상기 주파수군이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우선순서에 따라서 상기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상기 2 이상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구동신호 발생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4.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 및
    기억된 상기 동작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은 송신 펄스 주파수, 촬영 모드, 시야 심도, 물리적 지표 중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6.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 소정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
    상기 복수의 동작 조건군 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조건은 송신 펄스 주파수, 촬영 모드, 시야 심도, 물리적 지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8. 적어도 2 종류 이상의 매개변수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의 동작 조건에 대해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을 지정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서 지정된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 및
    기억된 상기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에 기초하여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매개변수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 펄스 주파수, 촬영 모드, 시야 심도, 물리적 지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0.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매개변수의 조합에 의해 정의되는 장치의 동작 조건에 대해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
    상기 복수의 동작 조건군 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한 셋트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부터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의 조합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적어도 2종류 이상의 매개변수의 적어도 하나는 송신 펄스 주파수, 촬영 모드, 시야 심도, 물리적 지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진단장치.
  12.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는 입력장치;
    상기 입력장치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는 기억장치; 및
    기억된 상기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이 지정된 경우에는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X선 진단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자기공명 이미징 장치, 핵의학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
  14.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을 기억하는 기억장치;
    상기 복수의 동작 조건군 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장치; 및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기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X선 진단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자기 공명 이미징장치, 핵의학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
  16.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선택하고,
    상기 입력장치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주파수군으로서 등록하고,
    등록된 상기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는 것을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7. 초음파 프로브로부터 송신되는 초음파 펄스의 복수의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 구성되는 복수의 주파수군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주파수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로부터 소정의 주파수를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소정의 주파수로 상기 초음파 프로브를 구동하는 것을 구비하는 초음파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8.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을 동작 조건군으로서 기억하고,
    기억된 상기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상기 입력장치에 의해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고,
    상기 지정된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구비하는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X선 진단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자기 공명 이미징 장치, 핵의학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20. 장치의 동작 조건으로서의 매개변수에 대해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구성되는 복수의 동작 조건군 중에서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지정하고,
    상기 소정의 동작 조건군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매개변수값으로부터 소정의 매개변수값을 지정하고,
    지정된 상기 소정의 매개변수값으로 상기 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구비하는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장치는 X선 진단장치, 컴퓨터 단층 촬영장치, 자기 공명 이미징 장치, 핵의학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단장치의 동작 제어방법.
KR10-2003-7004995A 2000-10-10 2001-10-10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 KR2003003690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308964A JP2002113006A (ja) 2000-10-10 2000-10-10 診断機器設定方法および診断装置
JPJP-P-2000-00308964 2000-10-10
PCT/JP2001/008891 WO2002030286A1 (fr) 2000-10-10 2001-10-10 Dispositif de diagnostic. dispositif de diagnostic a ultrasons et procede de commande permettant de les faire fonction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6902A true KR20030036902A (ko) 2003-05-09

Family

ID=1878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995A KR20030036902A (ko) 2000-10-10 2001-10-10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239907B2 (ko)
EP (1) EP1330984B1 (ko)
JP (1) JP2002113006A (ko)
KR (1) KR20030036902A (ko)
CN (1) CN1261079C (ko)
DE (1) DE60144433D1 (ko)
WO (1) WO20020302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95144A1 (en) * 2001-11-21 2003-05-22 Trevino Scott E.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cribing an imaging scan and determining user input validity
US6928316B2 (en) * 2003-06-30 2005-08-09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Method and system for handling complex inter-dependencies between imaging mode parameters in a medical imaging system
US20050131302A1 (en) * 2003-12-16 2005-06-16 Poland Mckee D. Ultrasonic probe having a selector switch
JP2008206748A (ja) * 2007-02-27 2008-09-11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プログラム
US20090036778A1 (en) * 2007-07-31 2009-02-05 Unetixs Vascular Incorporated Dual frequency doppler ultrasound probe
JP2009050372A (ja) * 2007-08-24 2009-03-12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 Llc 超音波診断装置
US8150125B2 (en) * 2007-10-29 2012-04-03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System for visualizing regions of interest in medical images
JP5095380B2 (ja) * 2007-12-26 2012-12-12 ジーイー・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グローバル・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エルエルシー 超音波撮像装置
CN101601593B (zh) * 2008-06-10 2013-01-16 株式会社东芝 超声波诊断装置
KR20100011669A (ko) * 2008-07-25 2010-02-03 (주)메디슨 초음파 진단 시스템에서 사용자 맞춤형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및 장치
CN102793561A (zh) * 2011-05-24 2012-11-28 西门子公司 一种用于配置超声扫描设备的装置和方法
CN103096809B (zh) 2011-08-31 2015-11-25 株式会社东芝 超声波诊断装置、超声波诊断装置控制方法以及医用图像诊断装置
MX2014007569A (es) 2011-12-21 2014-08-27 Sca Hygiene Prod Ab Metodo para medir la absorcion de fluido en un producto absorbente.
CN104434183A (zh) * 2013-09-16 2015-03-25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集成型机械按钮式无线超声检测系统
CN104887267B (zh) * 2015-06-03 2018-08-07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根据患者信息优化超声诊断操作的方法、装置及超声设备
CN109316201A (zh) * 2017-07-31 2019-02-12 柯尼卡美能达株式会社 超声波诊断装置
CN107368697B (zh) * 2017-08-30 2020-09-22 上海联影医疗科技有限公司 医疗设备的虚拟现实控制系统及方法
CN110169788A (zh) * 2019-04-26 2019-08-27 青岛大学附属医院 一种基于人脸识别的超声诊断仪预设模式选择方法
CN112220497A (zh) * 2020-11-11 2021-01-15 深圳开立生物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超声成像显示方法及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11211C3 (de) * 1973-03-07 1986-07-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Röntgendiagnostikanlage mit freier und programmierter Einstellung der Aufnahmedaten
GB1448075A (en) * 1974-05-23 1976-09-02 Gec Medical Equipment Ltd Radiographic apparatus
JPH02126226A (ja) 1988-11-07 1990-05-15 Seiko Epson Corp 液晶電気光学素子
JP2948282B2 (ja) 1990-08-03 1999-09-13 株式会社日立メディコ 超音波診断装置
JP3059228B2 (ja) * 1991-02-28 2000-07-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処理装置
JP3099901B2 (ja) * 1991-04-05 2000-10-16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5325858A (en) * 1992-01-10 1994-07-05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imaging system capable of varying maximum pulse repetition frequency depending upon pulse transmission frequency
EP0558245A1 (en) 1992-02-25 1993-09-01 RECORDATI S.A. CHEMICAL and PHARMACEUTICAL COMPANY Heterobicyclic compounds as antagogists of alpha-1 adrenergic and SHT1A receptors
JPH05253220A (ja) * 1992-03-13 1993-10-05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3251696B2 (ja) * 1993-04-06 2002-01-28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5315999A (en) * 1993-04-21 1994-05-31 Hewlett-Packard Company Ultrasound imaging system having user preset modes
WO1996004589A1 (en) * 1994-08-05 1996-02-15 Acus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 beamformer system
US5553620A (en) * 1995-05-02 1996-09-10 Acuson Corporation Interactive goal-directed ultrasound measurement system
US5544654A (en) * 1995-06-06 1996-08-13 Acuson Corporation Voice control of a medical ultrasound scanning machine
US6430428B1 (en) * 1995-10-25 2002-08-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Imaging system for a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US5805118A (en) * 1995-12-22 1998-09-08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Of New York Display protocol specification with session configuration and multiple monitors
JP3580627B2 (ja) * 1996-01-29 2004-10-27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5603323A (en) * 1996-02-27 1997-02-18 Advanced Technology Laboratories, Inc. Medical ultrasonic diagnostic system with upgradeable transducer probes and other features
US5868676A (en) * 1996-10-25 1999-02-09 Acuson Corporation Interactive doppler processor and method
US5797846A (en) * 1996-12-30 1998-08-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to control frame rate in ultrasound imaging
JPH10328179A (ja) * 1997-06-05 1998-12-15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US5919138A (en) * 1997-08-22 1999-07-06 Acuson Corporation Ultrasound imaging system user interface
JPH11206767A (ja) 1998-01-29 1999-08-03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JP3586098B2 (ja) * 1998-05-21 2004-11-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2000152928A (ja) * 1998-11-18 2000-06-06 Toshiba Corp 超音波診断装置
US6603494B1 (en) * 1998-11-25 2003-08-05 Ge Medical Systems Global Technology Company, Llc Multiple modality interface for imaging systems including remote services over a network
GB2345543A (en) * 1999-01-06 2000-07-12 Intravascular Res Ltd Ultrasonic visualisation system with remote components
JP2000254127A (ja) * 1999-03-12 2000-09-19 Toshiba Iyo System Engineering Kk 超音波診断装置
US6458081B1 (en) * 1999-04-23 2002-10-01 Kabushiki Kaisha Toshiba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US6322505B1 (en) * 1999-06-08 2001-11-27 Acuson Corporation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system and method for post processing
JP4702968B2 (ja) * 1999-08-25 2011-06-15 株式会社東芝 超音波診断装置
US6306089B1 (en) * 1999-09-24 2001-10-23 Atl Ultrasound, Inc. Ultrasonic diagnostic imaging system with customized measurements and calculations
US6411836B1 (en) * 1999-12-30 2002-06-25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preferences configuring in an image handling system
US6413218B1 (en) * 2000-02-10 2002-07-02 Acuson Corporation Medical diagnostic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coustic output parameter of a transmitted ultrasonic beam
JP2001299749A (ja) * 2000-04-27 2001-10-30 Toshiba Medical System Co Ltd 超音波画像診断装置
US6527765B2 (en) * 2000-10-06 2003-03-04 Charles D. Kelman Cryogenic surgical system and method of use in removal of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208118A1 (en) 2003-11-06
EP1330984B1 (en) 2011-04-13
DE60144433D1 (de) 2011-05-26
CN1261079C (zh) 2006-06-28
JP2002113006A (ja) 2002-04-16
EP1330984A1 (en) 2003-07-30
US7239907B2 (en) 2007-07-03
WO2002030286A1 (fr) 2002-04-18
EP1330984A4 (en) 2005-02-09
CN1469722A (zh) 200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36902A (ko) 진단장치, 초음파 진단장치 및 이것들의 동작 제어방법
US5469849A (en) Ultrasound diagnosis apparatus
CN102243569B (zh) 图像诊断装置、超声波诊断装置以及医用图像显示装置
JP3863414B2 (ja) 超音波診断装置
US6827684B2 (en) Medical diagnostic apparatus with a function for preventing oversight omissions of data collection items
JP5364238B2 (ja) 超音波診断装置、医用画像処理装置、及び医用画像処理プログラム
WO2013039192A1 (ja) 超音波診断装置、超音波画像表示装置、及び超音波画像表示方法
JP2004208858A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画像処理装置
US7221972B2 (en) Ultrasound system with protocol-driven user interface
JP2006255013A (ja) 超音波診断装置
JP3867080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1178717A (ja) 超音波診断装置
JP4693433B2 (ja) 超音波診断装置
CN112704515A (zh) 多普勒参数的调节方法及相关设备
JPS6244495B2 (ko)
JPH0759781A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4057356A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及びその表示方法
JP5053548B2 (ja) 超音波診断装置及び超音波診断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KR100822509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JP4744833B2 (ja) 超音波診断装置
JP2001112752A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H10328179A (ja) 超音波診断装置
JP4533494B2 (ja) 超音波画像診断装置
JPH10314169A (ja) 超音波診断装置
EP4344651A1 (en)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ultrasound diagnost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