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724A -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724A
KR20030034724A KR1020010066429A KR20010066429A KR20030034724A KR 20030034724 A KR20030034724 A KR 20030034724A KR 1020010066429 A KR1020010066429 A KR 1020010066429A KR 20010066429 A KR20010066429 A KR 20010066429A KR 20030034724 A KR20030034724 A KR 200300347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glass
air
blower
removal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743B1 (ko
Inventor
안판상
Original Assignee
안판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판상 filed Critical 안판상
Priority to KR10-2001-0066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4743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60S1/58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 B60S1/58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for rear window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뒷유리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이져(visor)를 개량하여, 비오는날 차량운행시 뒷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빗방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그 구성은 몸체에는 차체에 구비된 송풍관과 연결되는 송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유리의 표면을 향하여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비오는날 차량운행시 빗방울이 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부착된 빗방울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양호하게 해주므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a rainwater removal apparatus for window of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뒷유리의 상측에 설치되는 바이져(visor)를 개량하여, 비오는날 차량운행시 뒷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빗방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운행중 비가 오는 경우, 차량의 유리표면으로 떨어진 빗방울이 부착되어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 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유리에는 와이퍼가 장착되고, 측·후방 유리에는 바이져가 장착된다. 특히 차량의 후방측 유리에는 백미러를 통한 후방 시계 확보를 위해, 상기한 바이져나 후방측 와이퍼등과 같은 장비가 요구되며 또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바이져는 외관상의 화려함이나 햇빛을 가리는 용도에는 효과적이나, 유리를 커버할 수 있는 유효범위가 제한되어 있어서 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빗방울을 제거하기에는 미흡한 점이 많았으므로, 비오는날 차량운행시 운전자의 후방쪽 시계확보가 곤란하게 되어 운전자가 심리적 부담을 갖게 되고, 사고의 위험이 있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의 전방에는 앞유리를 세척하기 위하여 와이퍼와 함께 워셔액분출구가 구비되는데, 운행중 워셔액을 분출하는 경우 운전자의 정면으로 분출되므로순간적으로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여 돌발적인 상황에서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차량의 밖으로 비산하여 운행중인 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피해를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우천시 차량의 내·외부공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유리내측면으로 김이 서리게 되는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컨을 작동시키거나 운전자가 수건등으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운행중 사고의 위험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뒷유리의 표면으로 공기를 분사시킴으로써, 비오는날 차량운행시 뒷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빗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뒷유리의 표면으로 고속의 공기유동층을 형성하여, 뒷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빗방울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 및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을 차량의 앞유리에 설치하여, 우천시 차량의 앞유리에 부착된 빗방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워셔액분출구가 구비되는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천시, 차량의 내·외부공기의 온도차에 의하여유리내측면으로 발생되는 김서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몸체에는 차체에 구비된 송풍관과 연결되는 송풍구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의 내부로 상기 송풍구와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유리의 표면을 향하여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의 하측으로 유리의 곡면과 같이 만곡된 공기안내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는 차량의 앞유리 상측으로 햇빛을 가리도록 장착되며, 전방으로 다수의 와셔액분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차량의 실내로 상기 앞 또는 뒷유리의 상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유리의 표면을 향하여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관과, 상기 분사관의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송풍관과 연통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된 김서림제거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1 : 송풍구 12 : 공간부
13 : 분사공 14 : 공기안내면
20a : 공기유입구 20b : 공기유출구
30 : 김서림제거부
31 : 연결관 32 : 분사관
33 : 분사공
40 : 송풍관
50 : 워셔액분출구
60 : 전방시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로서, 몸체(10)가 차량의 뒷유리 상측으로 장착된 것을 나타낸다.
상기 몸체(10)는 차량운행시 공기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기역학적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접착제등의 접착수단에 의해 차체과 결합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하측으로는 차량 내부에 장착된 송풍기(미도시)로부터 인출된 송풍관(40)이 연결되는데, 상기 송풍기는 차량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끌어들여 내부공기를 순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송풍관(40)을 인출하여 몸체(10)로 연결시키는 것은 당업자라면 누구나 가능한 일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 발명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바이져몸체(10)의 내부에는 공간부(1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12)의 일측면에는 도 1에서 설명한 송풍관(40)이 삽입되도록 송풍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12)의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차량의 후방을 향하여 유리의 표면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즐형상의 분사공(13)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분사공(13)은 주지된 바와 같이 분출단면적을 작게하여, 압력에너지를 속도에너지로 바뀌게 함으로써 유입된 유체를 고속으로 분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우천시 운전자가 송풍기(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상기 송풍관(40)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공간부(12)로 공급되며, 공급된 공기는 다수개의 분사공(13)을 통하여 고속으로 분출됨으로써, 유리표면으로 부착된 빗방울을 불어내어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이 앞으로 진행할 때, 차체의 표면을 따라 흐르는 공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몸체(10)의 전방으로 차체와의 사이에 공기유입구(20a)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이에 대응하는 공기유출구(20b)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10)의 하측에는 상기 공기유입구(20a)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공기안내면(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안내면(14)은 상기 공기유출구(20b)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유입된 공기는 공기안내면(14)을 따라 공기유출구(20b)를 통과하면서 고속으로 분출되게 된다.
이에 따라, 차량운행중 비가오는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사공(13)을 통하여 분출된 고속의 공기와, 공기유출구(20b)를 통하여 분출된 고속의 공기가 유리의 표면에서 하나의 고속 공기유동층을 형성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빗방울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을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는 앞유리의 상측에 장착되며, 이때는 상기 몸체(10)가 차량의 전방에 위치하므로 차량이 앞으로 진행할 때 공기에 의한 저항을 더욱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공기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공기역학적인 설계를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은 경우에는 도 2에서 설명한 뒷유리에 장착되는 경우와는 대칭되는 구조로 장착되므로,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이 반대로 된다. 따라서 분사공(13)이 차량의 전방을 향하게 되어, 차량이 고속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맞바람에 의하여 분사공(13)에서 분출된 공기가 저항을 받게 되므로, 차량이 서행중이나 정지한 경우에 빗방울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0)의 앞부분에 일정한 간격과 각도로 다수의 워셔액분출구(50)를 설치하여, 차량 운행중 운전자의 전방시계(60)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유리의 표면으로 균일하게 워셔액을 분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워셔액분출구(50)는 제작상의 편이등을 위하여, 상기 몸체(10)의 앞부분 이외에도 상기 분사공(13)에 선택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실내로 뒷유리의 상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유리의 표면을 향하여 다수의 분사공(33)이 형성된 분사관(32)과, 상기 분사관(32)의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송풍관(40)과 연통되는 연결관(31)으로 구성된 김서림제거부(30)가 구비된다.
따라서 우천시, 차량의 내·외부공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유리내측면으로 김이 서리게 되는데, 이때 송풍기(미도시)를 작동시키면 바람이 상기 송풍관(40)으로부터 상기 연결관(31)을 거쳐서 상기 분사관(32)으로 유입되며, 상기 분사공(33)을 통하여 유리의 내측표면으로 분사되어 김서림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 및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뒷유리에 장착되어, 비오는날 차량운행시 유리의 표면으로 부착되는 빗방울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양호하게 해주므로 불의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체의 표면을 흐르는 공기를 공기안내면에 의해 고속으로 분출시켜 뒷유리의 표면으로 고속의 공기유동층을 형성함으로써, 더욱 효과적으로 부착된 빗방울을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를 방지 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후방시계를 더욱 양호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을 차량의 앞유리에 장착하여, 상측으로 들어오는 햇빛을 가려주어 운전자의 눈을 보호해 주고, 우천시 앞유리에 부착된 빗방울을 제거함으로써 운전자의 전방시계를 양호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지며, 아울러 워셔액분출구를 부설하여 워셔액을 앞유리에 균일하게 분사해 주어 운전자에게 깨끗한 시야를 제공할 수 있고, 운행중 와셔액을 분출하는 경우에는 워셔액이 위에서 아래로 분사되므로 종래에 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점이 해결되며, 워셔액이 차량밖으로 비산하여 운행중인 타 차량이나 보행자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량의 실내에 김서림제거부를 구비하여 우천시, 차량의 내·외부공기의 온도차에 의하여 유리내측면으로 발생되는 김서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에어컨을 작동시키거나 운전자가 수건등으로 닦아주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운행중 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뒷유리 상측에 장착되는 몸체(10)에는 차체에 구비된 송풍관(40)과 연결되는 송풍구(11)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내부로 상기 송풍구(11)와 연통되는 공간부(12)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12)의 하측 모서리부분에는 유리의 표면을 향하여 다수의 분사공(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하측으로 유리의 곡면과 같이 만곡된 공기안내면(1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는 차량의 앞유리 상측으로 햇빛을 가리도록 장착되며, 전방으로 다수의 와셔액분출구(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차량의 실내로 상기 앞 또는 뒷유리의 상측에 수평으로 장착되며 유리의 표면을 향하여 다수의 분사공(33)이 형성된 분사관(32)과, 상기 분사관(32)의 양측으로 구비되며 상기 송풍관(40)과 연통되는 연결관(31)으로 구성된 김서림제거부(3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KR10-2001-0066429A 2001-10-26 2001-10-26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KR100434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29A KR100434743B1 (ko) 2001-10-26 2001-10-26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29A KR100434743B1 (ko) 2001-10-26 2001-10-26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826U Division KR200261827Y1 (ko) 2001-10-26 2001-10-26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24A true KR20030034724A (ko) 2003-05-09
KR100434743B1 KR100434743B1 (ko) 2004-06-12

Family

ID=29566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429A KR100434743B1 (ko) 2001-10-26 2001-10-26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4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529B4 (de) 2014-02-05 2023-09-21 Seat, S.A. Heckflügelbaugruppe mit einem Waserspritzrohr für ein 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1529B4 (de) 2014-02-05 2023-09-21 Seat, S.A. Heckflügelbaugruppe mit einem Waserspritzrohr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4743B1 (ko) 200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72203B2 (en) Windshield saver
CN205498767U (zh) 汽车后视镜及汽车
KR200261827Y1 (ko)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KR20030034724A (ko) 차량 유리용 빗물제거장치
CN211468316U (zh) 一种后视镜
KR200391955Y1 (ko) 미러표면 습기제거용 아웃사이드미러 구조
CN217048457U (zh) 一种外后视镜底座结构及汽车
CN214396582U (zh) 基于triz的汽车后视镜防雨装置
KR200353938Y1 (ko) 자동차 사이드미러용 빗물제거구
CN110654349A (zh) 一种空调风对流式汽车前窗除雾霜装置及除雾霜方法
US6568414B1 (en) Arrangement for cleaning the mirror element of an outside rear view mirror
CN110758253A (zh) 一种后视镜
KR20140058072A (ko) 사이드미러 성애 방지 시스템
KR200366663Y1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김서림 및 빗물 제거장치
KR0112833Y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조
JPH01208248A (ja) 自動車用水滴等除去装置
KR200290210Y1 (ko) 자동차의 보닛용 풍향가이드
KR200417313Y1 (ko) 차량의 조수석 또는 운전석의 이물질 제거장치
KR100233605B1 (ko) 필러 설치의 디프로스터
KR200144782Y1 (ko) 빗물제거장치가 설치된 승용차용 후사경
KR200337414Y1 (ko) 자동차용 보조 백미러
KR200398228Y1 (ko) 빗방울 제거용 자동차 사이드밀러
KR20240015420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
CN114013520A (zh) 车辆污水管理系统及车头
KR19990015703U (ko) 차량용 글래스 디프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