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4280A -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4280A
KR20030034280A KR1020010059430A KR20010059430A KR20030034280A KR 20030034280 A KR20030034280 A KR 20030034280A KR 1020010059430 A KR1020010059430 A KR 1020010059430A KR 20010059430 A KR20010059430 A KR 20010059430A KR 20030034280 A KR20030034280 A KR 20030034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thanol
sodium lauryl
lauryl sulfate
hydr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호
이재섭
이수희
박선희
이정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Priority to KR102001005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4280A/ko
Publication of KR20030034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28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00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from pul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8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 A61F2013/53061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fibres
    • A61F2013/5306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fibres being made into a paper or non-wo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치현(쇠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마치현 추출물은 마치현에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에탄올, 함수메탄올, 함수프로판올, 함수부탄올, 함수글리세린,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40-95℃에서 4-20시간 또는 5-40℃에서 1-15일간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것의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여성용 생리대에 배합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항염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Antibiotic composition for a sanitary napkin}
본 발명은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생리시 발생하는 염증및 피부자극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여성용 생리대에 도포할 수 있는 생약추출성분을 함유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생리량은 각 개인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보통 100~300 cc 정도로써 이중 순수한 혈액의 양은 30~50 cc정도이며 경관점액이나 외음피지선등 여러 가지 분비물과 융해된 내막 등이 혼합되어 있고 이 분비물로 인하여 건강한 여성도 생리시 많은 균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여성용 생리대는 생리량의 많고 적응에 따라 그 크기나 두께를 달리하여 생리혈을 흡수하여 주는 단순기능의 패드이다. 대부분의 여성용 생리대는 바깥쪽이 비닐로 덮여있어 수분이 새지 않는 구조이며 이것은 마치 욕실창을 막아둔 상태와도 같아서 당연히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것이다.
염증은 세포나 조직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 손상을 받으면 그 반응을 최소화하고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방어목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며 염증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외상, 화상, 동상, 방사능 등에 의한 물리적 요인과 산(acid)과 같은 화학물질에 의한 화학적요인 항체반응에 의한 면역학적 요인들이 있으며 그 외에 혈관이나 호르몬 불균형에 의해서도 일어난다. 염증을 소실시키기 위해 염증원의 제거, 생체반응 및 증상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을 항염제라한다.
피부 부작용 유발요인은 항상 잠재되어 있으며 이를 해결 하고자 여러가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까지 항염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질로는 비스테로이드계로 프루폐나믹산(flufenamic acid), 이부프로펜(ibuprofen), 벤지다민(benzydamine), 인도메타신(indomethacin)등이있고 스테로이드계통으로 프레드리솔론(prednisolone), 덱사메타손(dexamethasone)등이 있으며(김창종, 병태생리학, 한림상사, p61-69, 1988) 알란토인, 아즈렌,ε-아미노키프론산, 하이드로코티존, 감초산 및 그 유도체(β-글리칠레친산, 글리칠레친산유도체)등이 항염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광정무부, 신화장품학, 남산당, p162, 1993) , 인도메타신(indometacine)은 사용하기에 부적합한 물질이고 하이드로코티존은 사용량이 제한되어 있고 감초산 및 그 유도체는 안정화시키기 어렵거나 용해도가 좋지않아 실제 적용시 농도의 제한으로 인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기가 어려운 점이 있는 등, 지금까지 알려진 항염제는 피부안전성 면에서 대부분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서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여성용 생리대에 배합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항염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 등은 여성의 생리시 발생되는 염증 및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약물이 도포된 면포나 종이시트를 이용하여 패드화하면 생리혈이 통과하면서 약물과 혼합되고 그 혼합된 약물효과로 인하여 염증 및 피부자극으로부터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치현 추출물이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은 인체에 무해한 생약을 이용하여 피부 접촉면의 소양감과 생리혈의 균에 의한 염증 발생 우려를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본 발명을 좀더 자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쇠비름(마치현)은 야생에서 흔히 자라는 육질의 일년생 잡초로서 털이 없고 높이가 30센티미터에 달하며 갈적색이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비스듬히 옆으로 퍼진다. 뿌리는 백색이지만 손으로 벗기면 원줄기와 같이 적색으로 되므로 어린이들이 가지고 장난을 한다. 잎은 대생 또는 호생하지만 끝부분의 것은 수생한것 같으며 도란형 원두이고 밑부분이 좁아져서 짧은 병엽으로 되며 길이 15~25밀리미터, 나비5~15밀리미터로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양성으로서 6월부터 가을까지 계속피고 황색이며 가지 끝에 달린다. 꽃받침은 2개로서 타원형이고 꽃잎은 5개이며 오므라든다. 수술은 7~12개, 암술은 1개이고 자방은 중립이며 암술대는 5개이다. 열매는 타원형이고 중앙부가 옆으로 갈라져서 긴 대가 달린 많은 종자가 나온다. 종자는 찌그러진 원형이며 검은빛이 돌고 가장자리가 약간 토돌토돌하다. 서양에서는 상치와 더불어 샐러드를 만들며 우리나라에서는 연한 부분을 나물로하고 전초를 벌레와 뱀의 독을 해소시키는데 또는 질병 및 이뇨제로 사용한다. (대한식물도감, 이창복, p324, 1993)
본 발명자 등은 천연물의 항염 효능을 시험 하던 중 마치현의 추출물이 항염효능이 탁월함을 발견하게 되었다.
마치현의 추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일차로 쇠비름을 중량에 대하여 추출 용매로서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에탄올, 함수메탄올, 함수프로판올, 함수부탄올, 함수글리세린,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이상의 용매를 1-20배 부피량을 가한다. 추출 방법으로는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4-95℃, 4-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37℃에서 1-15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치현 추출물은 각각 분말, 추출액 및 침출액 중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쇠비름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여 마치현(쇠비름) 추출물을 제조하거나 이 농축액에 β-CD(사이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β-CD, 말토-덱스트린, 락토즈, 실리카분말을 혼합하여 분말형 쇠비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 약효 성분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시켜 산제, 액제, 현탁제 또는 겔제 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용도의 관점에서 볼 때 액제 제형이 특히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산제, 분무제, 분산제, 겔제 등의 다른 제형으로 바꾸어 패드를 구성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리대의 흡수용 매트릭스 전체에 골고루 함유시켜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때 흡수용 매트릭스 자체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매트릭스 자체에는 흡수시키지 않고 다만 매트릭스의 상층 표면 즉 생리혈이 매트릭스로 흡수되어 들어갈 때 통과해야 하는 표면에만 도포시켜 생리혈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섞이면서 매트릭스에 흡수되어 들어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면포나 종이시트 등에 충분히 도포시킨 1차 패드를 기존의 생리대에 얹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조성물을 산제로하여 생리대 전체에 골고루 포함시켜 흡수용 매트릭스 자체의 흡수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다만 생리혈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잘 섞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흡수용 매트릭스 자체의 흡수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생리혈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잘 섞일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것으로라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정제수로 세척한 마치현 1kg을 함수 에탄올 6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6일간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액 5.2kg을 얻었다.
실시예 2-9.
하기 표 1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표 1]
용 매 수득량[kg]
실시예 2. 5.3
실시예 3. 에탄올 5.2
실시예 4. 글리세린 4.9
실시예 5. 부틸렌글리콜 4.9
실시예 6. 프로필렌글리콜 5.3
실시예 7. 함수프로필렌글리콜 5.4
실시예 8. 함수부틸렌글리콜 5.2
실시예 9. 함수글리세린 5.4
실시예 10.
정제수로 세척한 마치현 1kg을 함수 부틸렌글리콜 6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장치되어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한 상태에서 80℃, 3시간 가열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하여 추출액 5.3kg을 얻었다.
실시예 11-18.
하기 표2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표 2]
용 매 수득량[kg]
실시예 11. 5.4
실시예 12. 에탄올 5.3
실시예 13. 글리세린 5.7
실시예 14. 부틸렌글리콜 5.5
실시예 15. 프로필렌글리콜 5.5
실시예 16. 함수프로필렌글리콜 5.6
실시예 17. 함수에탄올 5.3
실시예 18. 함수글리세린 5.6
실시예 19.
정제수로 세척한 마치현 1kg을 함수 에탄올 6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6일간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하고 가온하여 초기 부피의 50%이상 농축한다.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한다. 여과되어 나온 용액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감압 건조시켜 21g의 분말상태의 마치현 추출물을 얻었다
실시예 20-29.
하기 표3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19와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용 매 고형분[g]
실시예 20. 18
실시예 21. 에탄올 24
실시예 22. 메탄올 23
실시예 23. 프로판올 20
실시예 24. 부탄올 20
실시예 25. 아세톤 19
실시예 26. 에틸아세테이트 18
실시예 27. 헥산 18
실시예 28. 벤젠 19
실시예 29. 클로로포름 20
실시예 30.
정제수로 세척한 마치현 1kg을 함수에탄올 6kg에 넣고 추출기로 상온에서 6일간 추출한 후 400메쉬 여과포로 여과한 후 0.45㎛의 필터로 여과한다. 가온하여 50%이상 농축한 후, 말토 덱스트린(malto dextrin) 30g과 혼합한 후, 분사 건조시켜 분말상태의 마치현 추출물 46g을 얻었다.
실시예 31-41.
하기 표 4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부형제로는 말토 덱스트린(malto dextrin)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
추출용매 최총 추출물의 건조중량[g]
실시예 32. 40
실시예 33. 에탄올 43
실시예 34. 메탄올 45
실시예 35. 프로판올 43
실시예 36. 부탄올 42
실시예 37. 아세톤 46
실시예 38. 에틸아세테이트 46
실시예 39. 헥산 39
실시예 40. 벤젠 39
실시예 41. 클로로포름 41
실시예 42-52.
하기 표 5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부형제로는 β-CD(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기재하였다.
[표 5]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g]
실시예 42. 43
실시예 43. 에탄올 45
실시예 44. 메탄올 43
실시예 45. 프로판올 42
실시예 46. 부탄올 39
실시예 47. 아세톤 38
실시예 48. 에틸아세테이트 39
실시예 49. 헥산 38
실시예 50. 벤젠 38
실시예 51. 클로로포름 39
실시예 52. 함수에탄올 46
실시예 53-63.
하기 표 6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부형제로는 히드록시프로필-β-CD(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기재하였다.
[표 6]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g]
실시예 53. 43
실시예 54. 에탄올 41
실시예 55. 메탄올 43
실시예 56. 프로판올 45
실시예 57. 부탄올 40
실시예 58. 아세톤 44
실시예 59. 에틸아세테이트 39
실시예 60. 헥산 38
실시예 61. 벤젠 37
실시예 62. 클로로포름 39
실시예 63. 함수에탄올 45
실시예 64-75.
하기 표 7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부형제로는 락토즈를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기재하였다.
[표 7]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g]
실시예 65. 44
실시예 66. 에탄올 48
실시예 67. 메탄올 43
실시예 68. 프로판올 43
실시예 69. 부탄올 42
실시예 70. 아세톤 43
실시예 71. 에틸아세테이트 38
실시예 72. 헥산 37
실시예 73. 벤젠 37
실시예 74. 클로로포름 35
실시예 75. 함수에탄올 45
실시예 76-86.
하기 표8의 용매를 사용하고 실시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하였고, 부형제로는 실리카 분말을 사용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기재하였다.
[표 8]
추출용매 최종 추출물의 건조중량[g]
실시예 76. 42
실시예 77. 에탄올 43
실시예 78. 메탄올 44
실시예 79. 프로판올 42
실시예 80. 부탄올 46
실시예 81. 아세톤 43
실시예 82. 에틸아세테이트 39
실시예 83. 헥산 40
실시예 84. 벤젠 38
실시예 85. 클로로포름 38
실시예 86. 함수에탄올 45
실험1. 세포독성시험
본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V79-4세포[Chinase Hamster, CCL (continuous cell line:연속세포주)의 폐조직 섬유아세포]를 배양하여 MTT[3-(4,5- 디메틸타아졸-2-일)-2,5-디페닐테트라졸륨 브로마이드 환원 시험] 법을 수행하고 MTT-포르마잔 생성물을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추출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각의 물질에대한 IC50 (저해 농도 50)을 알기 위하여 물질을 배지에 10.0%, 1.0%·로 희석하여 24시간 배양하여 IC50을 구한 결과를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마치현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
시 료 IC50(%, W/V)
SLS 0.0025
실시예 1. >5.0
실시예 2. >5.0
실시예 3. >5.0
실시예 4. >5.0
실시예 5. >5.0
실시예 6. >5.0
실시예 7. >5.0
실시예 8. >5.0
실시예 9. >5.0
실시예 10. >5.0
실시예 11. >5.0
실시예 12. >5.0
실시예 13. >5.0
실시예 14. >5.0
실시예 15. >5.0
실시예 16. >5.0
실시예 17. >5.0
실시예 18. >5.0
실험2. 분말상 시료의 세포독성시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3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IC50을 구한 결과를 표 10 에 나타내었다.
[표 10] 마치현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
시 료 IC50(%, W/V)
실시예 19. >5.0
실시예 20. >5.0
실시예 21. >5.0
실시예 22. >5.0
실시예 23. >5.0
실시예 24. >5.0
실시예 25. >5.0
실시예 26. >5.0
실시예 27. >5.0
실시예 28. >5.0
실시예 29. >5.0
실험3. 분말상 시료의 세포독성시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9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IC50을 구한 결과를 표11 에 나타내었다.
[표 11] 마치현 추출물의 세포독성 시험결과
시 료 IC50(%, W/V)
실시예 30. >5.0
실시예 31. >5.0
실시예 32. >5.0
실시예 33. >5.0
실시예 34. >5.0
실시예 35. >5.0
실시예 36. >5.0
실시예 37. >5.0
실시예 38. >5.0
실시예 39. >5.0
실시예 40. >5.0
실시예 41. >5.0
실시예 42. >5.0
실시예 43. >5.0
실시예 44. >5.0
실시예 45. >5.0
실시예 46. >5.0
실시예 47. >5.0
실시예 48. >5.0
실시예 49. >5.0
실시예 50. >5.0
실시예 60. >5.0
실시예 61. >5.0
실시예 62. >5.0
실시예 63. >5.0
실시예 64. >5.0
실시예 65. >5.0
실시예 66. >5.0
실시예 67. >5.0
실시예 68. >5.0
실시예 69. >5.0
실시예 70. >5.0
실시예 71. >5.0
실시예 72. >5.0
실시예 73. >5.0
실시예 74. >5.0
실시예 75. >5.0
시 료 IC50(%, W/V)
실시예 76. >5.0
실시예 77. >5.0
실시예 78. >5.0
실시예 79. >5.0
실시예 80. >5.0
실시예 81. >5.0
실시예 82. >5.0
실시예 83. >5.0
실시예 84. >5.0
실시예 85. >5.0
실시예 86. >5.0
표 9, 10,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마치현 추출물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에 비하여 2000배이상 세포독성이 낮게 나타나 안전성이 우수한 추출물임을 확인하였다.
실험4. 알러지 평가
본 추출물에 대한 알러지 유발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3일 동안 하루 한번씩 시료를 마우스 귀에 25㎕씩 도포하여 4일째 임파절을 떼어내어 임파구를 분리후 5% 이산화탄소 배양기에서 24 - 48시간 배양한 후 증폭정도를 방사선 동위원소 [3H]-메칠티미딘의 삽입량으로 측정한다. 국부임파절평가 (LLNA:local lymph node assay)결과는 대조군에 비해 시료군의 임파구 증폭정도로 나타내며 한 농도에서라도 시료의 증폭정도(S.I:stimulation index)가 3배이상이고 농도별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일 경우 알러젠으로 간주하였다.
[표 12] 마치현 추출물의 알러지 평가 결과
시료 농도(%) 평균 cpm 증폭정도(S.I)
에탄올 60 2261 ±121 -
실시예 1 추출물 100 4548 ±331 2.01
실시예 2 추출물 100 3187 ±288 1.41
실시예 3 추출물 100 2993 ±231 1.32
실시예 4 추출물 100 3233 ±265 1.43
실시예 5 추출물 100 4533 ±215 2.00
실시예 6 추출물 100 4238 ±241 1.87
실시예 7 추출물 100 3215 ±125 1.42
실시예 8 추출물 100 4522 ±135 2.00
실시예 9 추출물 100 4002 ±195 1.77
실시예 10 추출물 100 4566 ±301 1.58
실시예 11 추출물 100 4577 ±302 2.02
실시예 12 추출물 100 4321 ±125 1.91
실시예 13 추출물 100 4110 ±145 1.82
실시예 14 추출물 100 3993 ±187 1.77
실시예 15 추출물 100 4325 ±168 1.91
실시예 16 추출물 100 3200 ±188 1.42
실시예 17 추출물 100 4555 ±136 2.01
실시예 18 추출물 100 4633 ±205 2.05
※ - cpm (counter per minute):[3H]-메칠티미딘이 세포 내로 삽입되는 양
- S.I (stimulation index):시료의 평균 cpm을 대조군의 평균 cpm으로 나눈 값
실험5. 분말상 시료의 알러지 평가
분말상태의 추출물 0.3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13 에 나타내었다.
[표 13] 마치현 추출물의 알러지 평가 결과
시료 농도(%) 평균 cpm 증폭정도(S.I)
실시예 19 추출물 100 3878 ±231 1.72
실시예 20 추출물 100 4655 ±254 2.06
실시예 21 추출물 100 3322 ±310 1.47
실시예 22 추출물 100 3221 ±241 1.42
실시예 23 추출물 100 3845 ±284 1.70
실시예 24 추출물 100 3955 ±262 1.75
실시예 25 추출물 100 3785 ±162 1.67
실시예 26 추출물 100 4121 ±198 1.82
실시예 27 추출물 100 4222 ±199 1.87
실시예 28 추출물 100 4321 ±173 1.91
실시예 29 추출물 100 4563 ±123 2.02
실험6. 분말상 시료의 알러지 평가
분말상태의 추출물 0.9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4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 14 에 나타내었다.
[표 14] 마치현 추출물의 알러지 평가 결과
시료 농도(%) 평균 cpm 증폭정도(S.I)
실시예 30 추출물 100 4213 ±213 1.86
실시예 31 추출물 100 4333 ±255 1.92
실시예 32 추출물 100 3566 ±271 1.58
실시예 33 추출물 100 4566 ±162 2.02
실시예 34 추출물 100 4523 ±144 2.00
실시예 35 추출물 100 4822 ±132 2.13
실시예 36 추출물 100 4321 ±115 1.91
실시예 37 추출물 100 4888 ±132 2.16
실시예 38 추출물 100 4354 ±123 1.93
실시예 39 추출물 100 4666 ±145 2.06
실시예 40 추출물 100 4822 ±122 2.13
실시예 41 추출물 100 4211 ±158 1.86
실시예 42 추출물 100 4333 ±184 1.92
실시예 43 추출물 100 4111 ±188 1.82
실시예 44 추출물 100 3555 ±165 1.57
실시예 45 추출물 100 4355 ±154 1.93
실시예 46 추출물 100 4123 ±156 1.82
실시예 47 추출물 100 3212 ±275 1.42
실시예 48 추출물 100 3666 ±266 1.62
실시예 49 추출물 100 3212 ±234 1.42
실시예 50 추출물 100 4232 ±201 1.87
실시예 51 추출물 100 4551 ±187 2.01
시료 농도(%) 평균 cpm 증폭정도(S.I)
실시예 52 추출물 100 3845 ±195 1.70
실시예 53 추출물 100 3645 ±235 1.61
실시예 54 추출물 100 4123 ±213 1.82
실시예 55 추출물 100 4236 ±272 1.87
실시예 56 추출물 100 4875 ±274 2.16
실시예 57 추출물 100 3212 ±266 1.42
실시예 58 추출물 100 3322 ±254 1.47
실시예 59 추출물 100 3456 ±278 1.53
실시예 60 추출물 100 3812 ±234 1.69
실시예 61 추출물 100 4102 ±108 1.81
실시예 62 추출물 100 3205 ±192 1.42
실시예 63 추출물 100 3653 ±162 1.62
실시예 64 추출물 100 3858 ±172 1.71
실시예 65 추출물 100 3566 ±176 1.58
실시예 66 추출물 100 4062 ±135 1.80
실시예 67 추출물 100 4744 ±205 2.10
실시예 68 추출물 100 4953 ±103 2.19
실시예 69 추출물 100 3645 ±135 1.61
실시예 70 추출물 100 3126 ±198 1.38
실시예 71 추출물 100 4321 ±128 1.91
실시예 72 추출물 100 4333 ±166 1.92
실시예 73 추출물 100 4122 ±175 1.82
실시예 74 추출물 100 4621 ±158 2.04
실시예 75 추출물 100 3585 ±152 1.59
실시예 76 추출물 100 3956 ±192 1.75
실시예 77 추출물 100 3753 ±152 1.66
실시예 78 추출물 100 3785 ±184 1.67
실시예 79 추출물 100 3745 ±192 1.66
실시예 80 추출물 100 3651 ±143 1.61
실시예 81 추출물 100 3555 ±183 1.57
실시예 82 추출물 100 3961 ±174 1.75
실시예 83 추출물 100 3650 ±185 1.61
실시예 84 추출물 100 3905 ±186 1.73
실시예 85 추출물 100 3681 ±162 1.63
실시예 86 추출물 100 3654 ±182 1.62
표12, 13, 1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추출물의 증폭정도(S.I)가 3이하로 알러지 유발 가능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7. 항염증 실험
본 추출물에 대한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마우스 좌측 귀를 대조부위, 우측 귀를 시험부위로 하여 시료를 적용 전 에탄올로 귀를 깨끗하게 세척하고시료 20㎕를1일1회4일간 지속적으로 도포하고 마지막 도포 1시간 후에 좌측 귀에 에탄올을 우측 귀에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2㎎/ear을 도포하여 1시간 후 귀의부종(ear edema)정도를 마이크로미터로 양쪽 귀를 3회씩 반복 측정하였다.
항염효과는 아라키돈산 처리군을 기준으로 부종억제 정도로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표 15]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억제율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Indomethacin 1.0 에탄올 284 421 45.6
아라키돈산 2㎎/ear 에탄올 299 551 -
실시예 1 추출물 0.5 에탄올 288 499 16.3
실시예 1 추출물 1.0 에탄올 279 477 21.4
실시예 2 추출물 0.5 에탄올 279 492 15.5
실시예 2 추출물 1.0 에탄올 296 497 20.2
실시예 2 추출물 2.0 에탄올 293 478 26.6
실시예 3 추출물 0.5 에탄올 295 511 14.3
실시예 3 추출물 2.0 에탄올 283 472 25.0
실시예 4 추출물 1.0 에탄올 284 487 19.3
실시예 5 추출물 1.0 에탄올 263 466 19.5
실시예 6 추출물 1.0 에탄올 279 495 14.3
실시예 7 추출물 1.0 에탄올 288 499 16.4
실시예 8 추출물 1.0 에탄올 284 505 12.4
실시예 9 추출물 1.0 에탄올 294 511 13.8
실시예 10 추출물 1.0 에탄올 295 498 19.6
실시예 11 추출물 1.0 에탄올 293 506 15.3
실시예 12 추출물 1.0 에탄올 295 503 17.4
실시예 13 추출물 1.0 에탄올 287 495 17.4
실시예 14 추출물 1.0 에탄올 276 479 19.5
실시예 15 추출물 1.0 에탄올 271 474 19.5
실시예 16 추출물 1.0 에탄올 285 489 18.9
실시예 17 추출물 1.0 에탄올 296 503 17.8
실시예 18 추출물 1.0 에탄올 275 477 19.9
※ 억제율(%) = (A―B) / A × 100
A : 대조군귀의 평균두께(아라키돈산 처리귀의 두께-비처리 귀 의두께)
B : 시료도포군 귀의두께(시료처리귀의 두께-비처리귀의 두께)
실험 8. 분말상 시료의 항염증 실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3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 16 에 나타내었다.
[표 16]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억제율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실시예 19 추출물 1.0 에탄올 263 472 17.2
실시예 20 추출물 1.0 에탄올 278 501 11.4
실시예 21 추출물 1.0 에탄올 298 502 19.2
실시예 22 추출물 1.0 에탄올 263 471 17.4
실시예 23 추출물 1.0 에탄올 287 501 15.0
실시예 24 추출물 1.0 에탄올 289 500 16.4
실시예 25 추출물 1.0 에탄올 278 486 17.5
실시예 27 추출물 1.0 에탄올 274 483 17.1
실시예 28 추출물 1.0 에탄올 273 486 15.3
실시예 29 추출물 1.0 에탄올 271 477 18.1
실험 9. 분말상 시료의 항염증 실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9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 17 에 나타내었다.
[표 17] 국소적용에 의한 귀두께 및 염증억제율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실시예 30 추출물 1.0 에탄올 280 488 17.4
실시예 31 추출물 1.0 에탄올 295 506 16.4
실시예 32 추출물 1.0 에탄올 276 479 19.4
실시예 33 추출물 1.0 에탄올 275 486 16.4
실시예 34 추출물 1.0 에탄올 288 496 17.4
실시예 35 추출물 1.0 에탄올 293 501 17.4
실시예 36 추출물 1.0 에탄올 277 480 19.3
실시예 37 추출물 1.0 에탄올 275 482 17.7
실시예 38 추출물 1.0 에탄올 285 488 19.6
실시예 39 추출물 1.0 에탄올 265 473 17.3
실시예 40 추출물 1.0 에탄올 275 483 17.4
실시예 41 추출물 1.0 에탄올 277 484 17.8
실시예 42 추출물 1.0 에탄올 287 490 19.5
실시예 43 추출물 1.0 에탄올 288 499 16.3
실시예 44 추출물 1.0 에탄올 279 477 21.4
실시예 45 추출물 1.0 에탄올 279 492 15.5
실시예 46 추출물 1.0 에탄올 296 497 20.2
실시예 47 추출물 1.0 에탄올 293 478 26.6
실시예 48 추출물 1.0 에탄올 295 511 14.3
실시예 49 추출물 1.0 에탄올 283 472 25.0
실시예 50 추출물 1.0 에탄올 284 475 24.3
실시예 51 추출물 1.0 에탄올 273 487 15.0
실시예 52 추출물 1.0 에탄올 288 498 16.6
실시예 53 추출물 1.0 에탄올 274 490 14.3
실시예 54 추출물 1.0 에탄올 275 475 20.5
실시예 55 추출물 1.0 에탄올 293 491 21.3
실시예 56 추출물 1.0 에탄올 285 498 15.6
실시예 57 추출물 1.0 에탄올 296 500 18.69
실시예 58 추출물 1.0 에탄올 274 487 15.3
실시예 59 추출물 1.0 에탄올 282 492 16.6
실시예 60 추출물 1.0 에탄올 283 493 16.5
실시예 61 추출물 1.0 에탄올 288 510 12.0
실시예 62 추출물 1.0 에탄올 274 482 17.6
실시예 63 추출물 1.0 에탄올 295 500 18.6
실시예 64 추출물 1.0 에탄올 274 477 19.5
실시예 65 추출물 1.0 에탄올 275 476 20.2
실시예 66 추출물 1.0 에탄올 276 493 13.8
실시예 67 추출물 1.0 에탄올 284 499 14.6
실시예 68 추출물 1.0 에탄올 297 505 17.6
실시예 69 추출물 1.0 에탄올 277 490 15.3
실시예 70 추출물 1.0 에탄올 270 481 16.3
실시예 71 추출물 1.0 에탄올 280 490 16.5
실시예 72 추출물 1.0 에탄올 285 499 15.1
실시예 73 추출물 1.0 에탄올 290 497 17.8
시료 농도(%) 용매 귀두께(㎛) 억제율(%)
시료처리전 시료처리후
실시예 74 추출물 1.0 에탄올 280 488 17.6
실시예 75 추출물 1.0 에탄올 277 485 17.3
실시예 76 추출물 1.0 에탄올 279 489 16.5
실시예 77 추출물 1.0 에탄올 287 489 19.8
실시예 78 추출물 1.0 에탄올 284 497 15.5
실시예 79 추출물 1.0 에탄올 286 504 13.4
실시예 80 추출물 1.0 에탄올 287 488 20.1
실시예 81 추출물 1.0 에탄올 295 500 18.8
실시예 82 추출물 1.0 에탄올 276 486 16.6
실시예 83 추출물 1.0 에탄올 276 486 16.5
실시예 84 추출물 1.0 에탄올 284 493 17.2
실시예 85 추출물 1.0 에탄올 298 506 17.5
실시예 86 추출물 1.0 에탄올 274 477 19.6
표 15, 16, 17에서 보는바와 같이 마치현 추출물 높은 염증억제율을 보였으며 부종 증가율 유의차 검증시 마치현 추출물은 아라키돈산과 99%의 유의수준을 보였다.
실험10. 피부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본 추출물1.0%, 3.0% 수용액 및 소듐라우릴설페이트 0.08% 수용액을 건강한 성인 남,여 50명을 대상으로 등 부위에 각 시료의 일정량(0.2g)을 24시간 첩포한 후 핀 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한 다음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여 그 결과를 표 18에 나타내었다.
[표 18] 피부1차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소듐라우릴설페이트 0.08% 50 1 3 13 33 0.40
정제수 50 0 0 6 44 0.12
실시예 1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9 41 0.18
실시예 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3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3 13 33 0.44
실시예 4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0 5 44 0.16
실시예 6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3 47 0.06
실시예 7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8 40 0.24
실시예 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
실시예 9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3 6 41 0.24
실시예 10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2 4 43 0.22
실시예 11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5 44 0.14
실시예 1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13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2 48 0.04
실시예 14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1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
실시예 16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2 8 39 0.3
실시예 17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0 9 40 0.24
실시예 1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7 42 0.18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오름
{(+-)수×1} + {(+)수×02} + {(++)수×3}
자극도=-----------------------------------------
피시험자수
실험11. 분말상 시료의 피부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3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 19 에 나타내었다.
[표 19] 피부1차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19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20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21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3 5 42 0.22
실시예 2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23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24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2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4 44 0.16
실시예 26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27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2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8 41 0.20
실시예 29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험12. 분말상 시료의 피부1차 자극성시험(폐쇄첩포실험)
분말상태의 추출물 0.9g을 100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결과를 표 20 에 나타내었다.
[표 20] 피부1차 자극성 시험결과
시 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30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5 44 0.14
실시예 31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3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8 42 0.16
실시예 33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7 42 0.18
실시예 34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3 47 0.06
실시예 3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36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8 41 0.22
실시예 37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3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39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40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8 41 0.20
시료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41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0 4 45 0.14
실시예 4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12 37 0.28
실시예 43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44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1 5 43 0.20
실시예 4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46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47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0 4 45 0.14
실시예 4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49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50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1 7 41 0.24
실시예 51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52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53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54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8 42 0.16
실시예 55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5 44 0.14
실시예 56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9 41 0.18
실시예 57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58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59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1 48 0.06
실시예 60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61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6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9 39 0.26
실시예 63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8 42 0.16
실시예 64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2 7 40 0.28
실시예 6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9 41 0.18
실시예 66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2 48 0.04
실시예 67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1 49 0.02
실시예 6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1 0 2 47 0.10
실시예 69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3 45 0.14
실시예 70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1 49 0.02
실시예 71 추출물3.0%+소둠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3 47 0.03
실시예 7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1 47 0.10
실시예 73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3 47 0.06
실시예 74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7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76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4 46 0.08
실시예 77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5 43 0.18
실시예 78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79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5 45 0.10
실시예 80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2 4 44 0.16
실시예 81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6 44 0.12
실시예 82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8 42 0.16
실시예 83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1 5 44 0.14
실시예 84 추출물1.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3 47 0.06
실시예 85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1 49 0.02
실시예 86 추출물3.0%+소듐라우릴설페이트0.08% 50 0 0 2 48 0.04
실험13. 항균시험
항균성 실험은 종이 디스크를 이용한 한천 확산(agar diffusion)법으로 측정하였다. 균주들을 액체배지 100㎖에 한 백금이를 접종하여 적정온도에서 18~24시간 배양하여 활성화 시킨다. 그 액을 Top agar(0.75% agar)에 100㎕접종(107~108cfu/㎖)하여 플래이트 위에 덮고 각 추출물을 멸균된 디스크에 20㎕씩 건조시켜 플래이트 표면 위에 올려놓았다. 36시간 배양하여 disc 주위에 생성된 저해환의 직경(㎜)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사용균주 및 배지
다음과 같은 미생물 공시균주로 사용하였다.Escherichia Coli,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선택하였다. 균의 생육배지는 Trypticase soy agar(Difco) 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는 표 21에 나타내었다.
[표 21] 항균시험결과
시료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
실시예 1 추출물 9 10 10 8
실시예 2 추출물 9 10 10 8
실시예 3 추출물 8 9 9 8
실시예 4 추출물 9 10 10 9
실시예 5 추출물 9 9 9 9
실시예 6 추출물 10 9 8 8
실시예 7 추출물 9 9 8 8
실시예 8 추출물 9 10 10 9
실시예 9 추출물 9 9 8 9
실시예 10 추출물 9 8 8 9
실시예 11 추출물 10 10 9 9
실시예 12 추출물 8 9 8 9
실시예 13 추출물 8 9 8 9
실시예 14 추출물 8 10 10 10
실시예 15 추출물 9 9 11 9
실시예 16 추출물 9 8 11 9
실시예 17 추출물 9 10 10 9
실시예 18 추출물 9 9 11 9
실험14. 분말상 시료의 항균 test
분말상태의 추출물 1.0g을 99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실험 결과는 표 22에 나타내었다.
[표 22] 분말상 시료의 항균시험결과
시료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
실시예 19 추출물 9 11 8 11
실시예 20 추출물 10 11 9 10
실시예 21 추출물 10 10 8 8
실시예 22 추출물 8 10 9 11
실시예 23 추출물 8 8 10 9
실시예 24 추출물 9 10 9 9
실시예 25 추출물 10 9 8 11
실시예 26 추출물 9 11 8 8
실시예 27 추출물 9 11 10 9
실시예 28 추출물 10 9 10 9
실시예 29 추출물 9 8 8 11
실험15. 분말상 시료의 항균 test
분말상태의 추출물 2.0g을 98g의 정제수에 녹여 실험 14와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였고 실험 결과는 표 23에 나타내었다.
[표 23] 분말상 시료의 항균시험결과
시료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
실시예 30 추출물 9 8 9 9
실시예 31 추출물 8 10 9 8
실시예 32 추출물 8 10 9 10
실시예 33 추출물 8 8 10 9
실시예 34 추출물 8 10 9 9
실시예 35 추출물 8 9 8 9
실시예 36 추출물 9 10 8 9
시료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Candida albican
실시예 37 추출물 8 9 10 9
실시예 38 추출물 9 9 10 9
실시예 39 추출물 9 8 8 9
실시예 40 추출물 10 8 9 10
실시예 41 추출물 9 10 8 8
실시예 42 추출물 8 10 9 8
실시예 43 추출물 8 8 10 9
실시예 44 추출물 9 10 9 9
실시예 45 추출물 10 9 8 8
실시예 46 추출물 9 8 8 8
실시예 47 추출물 9 8 10 9
실시예 48 추출물 10 9 10 9
실시예 49 추출물 9 8 8 9
실시예 50 추출물 10 10 9 9
실시예 51 추출물 9 9 9 8
실시예 52 추출물 8 8 9 8
실시예 53 추출물 9 9 10 10
실시예 54 추출물 9 10 9 9
실시예 55 추출물 10 9 8 8
실시예 56 추출물 9 8 8 8
실시예 57 추출물 9 8 9 10
실시예 58 추출물 9 9 8 9
실시예 59 추출물 9 10 8 9
실시예 60 추출물 10 9 8 10
실시예 61 추출물 9 9 8 8
실시예 62 추출물 8 8 10 8
실시예 63 추출물 9 8 10 9
실시예 64 추출물 9 10 10 9
실시에 65 추출물 8 9 8 8
실시예 66 추출물 9 9 8 8
실시예 67 추출물 9 8 10 9
실시예 68 추출물 9 9 8 9
실시예 69 추출물 9 8 10 9
실시예 70 추출물 9 9 9 9
실시예 71 추출물 9 10 8 8
실시예 72 추출물 8 10 9 8
실시예 73 추출물 10 8 10 9
실시예 74 추출물 9 9 9 9
실시예 75 추출물 10 9 8 8
실시예 76 추출물 9 9 8 8
실시예 77 추출물 8 8 10 9
실시예 78 추출물 9 10 8 9
실시예 79 추출물 10 9 8 9
실시예 80 추출물 10 8 9 9
실시예 81 추출물 9 10 8 8
실시예 82 추출물 8 10 9 8
실시예 83 추출물 8 8 10 9
실시예 84 추출물 8 10 9 9
실시예 85 주출물 10 10 9 8
실시예 86 추출물 9 8 8 8
실시예 87 추출물 9 8 8 9
적용예 1. 마치현 추출물을 흡수시킨 1차 패드를 사용한 생리대의 제조
가로 14cm 세로 5cm의 천연펄프로 만든 티슈를 상기 실시예 1-86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각각 담그어 티슈 1장당 조성물이 건조중량으로서 0.1~1.0g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였다. 이를 건조시켜 1차 패드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1차 패드를 각각 기저귀 제조용 폴리올레핀 부직포(100% 폴리프로필렌) 2겹 사이에 넣고 순간 열처리로 접착시켰다. 이를 기존에 쓰던 생리대에 부착시켜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적용예 2. 부직포에 마치현 추출물을 도포한 생리대의 제조
폭 12cm, 길이 4000m의 여성용 생리대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상기 실시예 1-86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로 21cm, 세로 9cm의 패드 1장당 조성물을 건조중량으로서 약 0.1~5 g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였다. 이 도포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분쇄용 펄프와 흡수체를 함께 투입하여 현재 여성용 생리대를 생산하고 있는 공장에서 가로 21cm, 세로 9cm의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적용예 3 . 흡수체의 마치현 추출물을 혼합한 생리대의 제조
실시예 1-86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우드펄프의 중량에 대해 1~50% 중량으로 혼합하여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일반적인 생리대 제조공정에 의해 가로 21cm, 세로 9cm의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은 피부에 안전성이 우수하며 여성용 생리대에 배합시 보존안정화가 쉽고 항염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마치현(쇠비름)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치현 추출물은 마치현에 물,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벤젠,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함수에탄올, 함수메탄올, 함수프로판올, 함수부탄올, 함수글리세린,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40-95℃에서 4-20시간 또는 5-40℃에서 1-15일간 추출한 추출물 또는 그것의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β-CD(사이클로덱스트린), 히드록시프로필-β-CD, 말토-덱스트린, 락토즈, 및 실리카분말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4. 마치현 추출물이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생리대 상면 사이트용 폴리올레핀 부직포.
  5. 마치현 추출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생리대용 펄프 흡수체.
  6. 마치현 추출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용 생리대.
KR1020010059430A 2001-09-25 2001-09-25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300342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30A KR20030034280A (ko) 2001-09-25 2001-09-25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430A KR20030034280A (ko) 2001-09-25 2001-09-25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280A true KR20030034280A (ko) 2003-05-09

Family

ID=2956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430A KR20030034280A (ko) 2001-09-25 2001-09-25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4280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194A (ko) * 2000-02-02 2000-06-05 박경애 한방 일회용 위생대
KR20010004857A (ko) * 1999-06-30 2001-01-15 배지현 쇠비름 추출물
KR20010014909A (ko) * 1999-07-13 2001-02-26 안득훈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10077652A (ko) * 2000-02-07 2001-08-20 정찬복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4857A (ko) * 1999-06-30 2001-01-15 배지현 쇠비름 추출물
KR20010014909A (ko) * 1999-07-13 2001-02-26 안득훈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00030194A (ko) * 2000-02-02 2000-06-05 박경애 한방 일회용 위생대
KR20010077652A (ko) * 2000-02-07 2001-08-20 정찬복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20013675A (ko) * 2000-08-14 2002-02-21 김윤사 항균 및 미용기능을 갖는 생약추출물과 이를 함유한 제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WO2011026267A1 (zh) 用于消炎消肿止痛的中草药组合物、制备方法及其应用
CN100404054C (zh) 一种煮散型中药抗菌消炎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50088063A (ko) 한방 조성물이 함유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102103021B1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및 항질염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CN113081928A (zh) 一种植物抑菌凝胶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73358B1 (ko) 항균, 살균 및 탈취 기능의 향상과 원적외선 및 음이온 방사를 위한 복합 기능성 시트를 포함하는 위생용 흡수 패드 및 그 제조 방법
IL84668A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for topical use containing extracts of cereal juice
CN111228207B (zh) 祛湿疹护臀霜及其制备方法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0770140B1 (ko) 자작나무 수액과 대황 및 애기수영의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물티슈 조성물
KR20020076375A (ko) 아토피성 피부에 유용한 화장품
KR20020062474A (ko) 여성의 질염 및 냉대하증 치료효능을 갖는 한약재 조성물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리대 패드
KR100915711B1 (ko) 보습, 항염증, 항세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10043890A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455238B1 (ko)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듬 및 두피 케어용 조성물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3372087A (zh) 一种护肤保健的中药组合物
KR20010018805A (ko) 탱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항자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2448B1 (ko)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0421203B1 (ko)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30034280A (ko)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910

Effective date: 2005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