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909A -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909A
KR20010014909A KR1020000025731A KR20000025731A KR20010014909A KR 20010014909 A KR20010014909 A KR 20010014909A KR 1020000025731 A KR1020000025731 A KR 1020000025731A KR 20000025731 A KR20000025731 A KR 20000025731A KR 20010014909 A KR20010014909 A KR 20010014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weight
sanitary napkin
women
sup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5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1203B1 (ko
Inventor
안득훈
백인진
안태훈
이은정
Original Assignee
안득훈
백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득훈, 백인진 filed Critical 안득훈
Priority to KR10-2000-0025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1203B1/ko
Publication of KR20010014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1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0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plant or animal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2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ontaining or releasing organic materials
    • A61L2300/30Compound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extracted from natural sources, e.g. Aloe Ve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Zo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배자를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애엽,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를 여성용 생리대에 적용시켜 사용하였을 때 여성의 생리시 발생하는 취기와 소양감을 억제해 준다.

Description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spreaded on sanitary napkin for female}
본 발명은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의 생리시 발생하는 취기와 소양감을 제거하기 위하여 여성용 생리대에 도포할 수 있는 생약추출성분을 함유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생리량은 각 개인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나 보통 100~300 cc정도로써 이중 순수한 혈액의 양은 30~50 cc정도이며 경관점액이나 외음피지선등 여러 가지 분비물과 융해된 내막 등이 혼합되어 있고 이 분비물로 인하여 건강한 여성도 생리시 독특한 취기가 있게 된다.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여성용 생리대는 생리량의 많고 적음에 따라 그 크기나 두께를 달리하여 생리혈을 흡수하여 주는 단순기능의 패드로써 이는 여성의 생리때마다 발생되는 독특한 취기와 소양감을 제거하지는 못하였다.대부분의 여성용 생리대는 바깥쪽이 비닐로 덮여있어 수분이 새지 않는 구조이며 이것은 마치 욕실창을 막아둔 상태와도 같아서 당연히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 쉬운 것이다. 여성이 초경이후 폐경이 될 때까지 수십년 동안 격게되는 생리혈 특유의 취기는 여성의 활동을 위축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어왔다.
본 발명자 등은 여성의 생리시 발생되는 취기와 소양감을 제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 끝에 약물이 도포된 면포나 종이시트를 이용하여 패드화하면 생리혈이 통과하면서 약물과 혼합되고 그 혼합된 약물효과로 인하여 취기와 소양감을 방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무해한 생약을 이용하여 피부접촉면의 소양감과 생리혈의 취기 자체를 근본적으로 방지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여성용 생리대의 예로서 적용예 6의 단면도이다. 여기에서 a와 c는 폴리프로필렌 막, b는 1차 패드, d는 흡수용 매트릭스, 그리고 e는 비닐카바이다.
본 발명은 오배자를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여성의 생리시 발생되는 취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여성용 생리대에 적용시킬 수 있는 생약 조성물로서, 항균 및 방부의 효과가 있는 오배자를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한 약전과 기존 한의서에 수록된 바에 따르면 오배자는, 70%의 탄닌질과 전분을 함유하고 있어 수렴성질이 강한 생약으로 세포분비를 억제하여 점막을 건조하게 하므로 지사, 지혈, 대하, 구강염 등에 이용되며 외용으로 부인의 자궁출혈과 여성기 질환에 분말을 도포하거나 전탕하여 사용된다. 또한 함유된 탄닌은 단백을 침전 응고시켜 세균의 영양과 대사에 영향을 주어 항균과 방부의 효과가 있으며 알칼로이드 등의 중독 해독제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오배자 단독으로 함유하여도 본 발명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으나, 애엽,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생약을 더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이때, 각 성분들은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오배자는 25~98중량%, 애엽은 2~30중량%, 고삼은 2~30중량%, 황백은 10~50중량%, 사상자는 1~20중량% 및 백반은 10~40중량%의 조성으로 포함된다. 여기에서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오배자와 함께 애엽,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을 포함하거나, 오배자와 함께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을 포함하는 것이다.
대한 약전과 기존 한의서에 수록된 바에 따르면 애엽은, 월경불순, 대하 등 부인과 질환에 다용되는 생약으로서 임균 등에 항균작용이 있고 외용으로는 습진 및 피부, 소양 등에 전탕하여 사용된다.
또한, 고삼은 그 맛이 너무 쓰기 때문에 주로 외용으로 이용되는데, 항 트리코모나스 작용이 있어서 가려움이 심한 피부질환과 습진, 피부화농증 등 임상에서 주로 습포요법이나 세정제로 사용된다.
또한, 황백은 대장균, 티푸스균 및 콜레라균에 대하여 살균력이 있으며 그람양성, 그람음성균, 임균에 강한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다. 황백의 성분중 베르베린은 국소 수렴작용이 강하여 소양성 피부질환에 주로 외용하여 상처 부위의 열독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사상자는 조습 및 살충의 효능이 있어 외용으로 여성의 음부소양증에 분말 혹은 전탕하여 세척제로 다용되는 약제이다.
또한, 백반은 수렴작용과 항균 및 지양의 효능이 강하여 염증부의 불쾌감과 악취를 제거하여 청량감을 주므로 주로 외용으로 피부점막의 염증 수렴제나 국소 수렴의 목적으로 함수용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생약제들 즉 오배자, 애엽,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은 모두 인체에 무해하면서도 항균 및 소양효과로 인해 임상에서 빈용되는 약제로 항균과 수렴 성분이 강하며 방부의 효능으로 인하여 생리시의 취기와 소양감을 신속히 없애줄 뿐만 아니라 생약특유의 찬 성질로 말미암아 생리시 여성기의 습한감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오배자, 애엽,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은 각각 분말, 추출액 및 침출액 중 선택된 어느 한 형태로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생약들을 물로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백반 침출여액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그 약효 성분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함유시켜 산제, 액제, 현탁제 또는 겔제형태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타의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용도의 관점에서 볼 때 액제 제형이 특히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산제, 분무제, 분산제, 겔제 등의 다른 제형으로 바꾸어 패드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시킨 여성용 생리대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생리대의 흡수용 매트릭스 전체에 골고루 함유시켜 적용할 수도 있으나 이때 흡수용 매트릭스 자체의 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매트릭스 자체에는 흡수시키지 않고 다만 매트릭스의 상층 표면 즉 생리혈이 매트릭스로 흡수되어 들어갈때 통과해야 하는 표면에만 도포시켜 생리혈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섞이면서 매트릭스에 흡수되어 들어 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하나의 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면포나 종이시트 등에 충분히 도포시킨 1차 패드를 기존의 생리대에 얹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조성물을 산제로하여 생리대 전체에 골고루 포함시켜 흡수용 매트릭스 자체의 흡수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다만 생리혈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잘 섞일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흡수용 매트릭스 자체의 흡수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한 생리혈이 본 발명의 조성물과 잘 섞일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것으로라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이들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오배자 8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00 ml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ml를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이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000 ml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오배자 6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백반 200 g과 함께 5000 ml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ml를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이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000 ml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오배자 760 g과 애엽 4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00 ml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ml를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이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000 ml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오배자 640 g과 황백 16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00 ml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ml를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이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1000 ml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5.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가) 오배자 300 g, 고삼 100 g, 황백 150 g, 사상자 50 g 및 백반 100 g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5000 ml 들이 원형 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2000 ml를 가하여 냉각기를 부착하고 2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였다. 추출액을 여과포로 여과하여 이 여액을 감압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500 ml를 수득하였다.
나) 백반 100 g을 분쇄하여 정제수 500 m1에 75~80℃ 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온침한 후 여과하여 가)에서 수득한 점조성 추출액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의 제조
가) 오배자 30 ㎏, 애엽 10 ㎏, 황백 24 ㎏, 사상자 2 ㎏ 및 백반 5 ㎏ 을 증류수로 세척한 후 스팀을 이용한 가열용 2중탱크로된 용기에 정제수 1200 ℓ를 함께 넣고 95~100℃에서 8시간 가열한 후 수득한 추출물을 1차 여과하였다. 그 여과액을 2중 탱크의 저장조로 옮긴 다음 다시 2차 여과필터를 거쳐 60℃에서 감압 농축시켜 점조성 추출물 40ℓ를 수득하였다.
나) 백반 5 ㎏을 분쇄하여 정제수 40 ℓ에 75~80℃ 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온침한 후 여과하여 가)에서 수득한 점조성 추출액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원액을 제조하였다.
적용예 1~5. 1차 패드의 제조
가로 14cm 세로 5cm의 천연펄프로 만든 냅프킨 티슈을 상기 실시예 1~5에서 제조한 조성물에 각각 담그어 티슈 1장당 조성물이 건조중량으로서 0.25 g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였다.이를 건조시켜 1차 패드를 제조하였다.
적용예 6~10. 샘플 패드의 제조
상기 적용예 1~5에서 제조한 1차 패드를 각각 기저귀 제조용 100% 폴리프로필렌 2겹 사이에 넣고 순간 열처리로 접착시켰다. 이를 기존에 쓰던 생리대에 올려 도 1과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하였다.
적용예 11. 생리대의 제조
폭 12 cm, 길이 4000 m의 여성용 생리대에 사용되는 부직포에 상기 실시예 6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도포하여 가로 21 ㎝, 세로 9 ㎝의 패드 1장당 조성물을 건조중량으로서 약 1 g이 균일하게 도포되도록 하였다. 이 도포된 부직포를 이용하여 분쇄용 펄프와 흡수체를 함께 투입하여 현재 여성용 생리대를 생산하고 있는 공장에서 가로 21 ㎝, 세로 9 ㎝의 생리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독성 및 부작용 확인 실험 I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한 조성물을 성장한 암컷 토끼 4마리의 질구에 3 ml씩 20분 간격으로 5회 도포한 다음 6시간 동안 매 시간 마다 성기의 상태를 관찰하였고 또 조성물 6 ml씩을 5일간 연속해서 도포하여 관찰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 도포로 인한 질구의 수축 이외에는 성기 표피의 변질이나 어떠한 조직학적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2. 독성 및 부작용 확인 실험 Ⅱ
상기 적용예 10에서 제조한 샘플 패드를 본 발명자들의 가족 중 2명을 선택하여 3개월 동안 기존에 쓰던 생리대에 부착하여 피부접촉면의 반응을 관찰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조성물이 도포된 패드 사용에 따른 어떠한 피부조직의 변화나 국소적 부작용이 관찰되지 않았다. 그런데 생리혈이 패드에 흡수되고 난 뒤에는 그 색이 검은빛으로 변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이는 생리혈이 흡수될 때 패드에 도포된 약물과 혼합되어 일어난 현상으로서 분비물과 약물이 함께 섞여 있는 상태이므로 본 발명의 목적인 취기 억제와 소양감 방지에 주요한 작용기전으로 추정되었다.
실험예 3. 생리혈의 취기 및 소양감에 대한 효능실험
상기 실시예 1, 2 및 5에 조성물을 적용시킨 적용예 6, 7 및 10에서 제조한 샘플 패드를 각각 이용하여 효능실험을 하였다. 실험대상은 본 효능 실험에 동의한 여성들은 모두 평소 취기와 나름대로의 소양감을 가지고 있었고 특별한 기질적인 신체 이상은 없었다. 샘플 패드는 실험 대상자 1인당 하루 평균 5장을 소비한다고 보고 6일분의 패드량을 나누어 주었다. 그 결과를 각자의 생리가 끝남과 동시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전원이 약 한달 후 그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결과는 다음 표 1~6과 같았다.
적용예 6의 실험결과
연령 피험자수 취기 억제효과를 인정한 피험자수
효과없음 30% 억제 50% 억제 70%억제 90% 억제
10대 2 0 0 1 1 0
20대 6 0 1 3 1 1
30대 4 0 1 1 2 0
40대 2 0 1 1 0 0
합계(총인원에대한 백분율) 14 0 3 (21.4%) 6 (42.9%) 4 (28.6%) 1 (7.1%)
적용예 6의 실험결과
연령 피험자수 소양감 억제효과를 인정한 피험자수
효과없음 30% 억제 50% 억제 70%억제 90% 억제
10대 2 0 0 2 0 0
20대 6 0 2 4 0 0
30대 4 0 1 2 1 0
40대 2 0 0 2 0 0
합계(총인원에대한 백분율) 14 0 3 (21.4%) 10 (71.4%) 1 (7.1%) 0
적용예 7의 실험결과
연령 피험자수 취기 억제효과를 인정한 피험자수
효과없음 30% 억제 50% 억제 70%억제 90% 억제
10대 2 0 0 0 2 0
20대 10 0 1 3 5 1
30대 6 0 0 1 4 1
40대 2 0 0 1 1 0
합계(총인원에대한 백분율) 20 0 1 (5.0%) 5 (25.0%) 12 (60.0%) 2 (10.0%)
적용예 7의 실험결과
연령 피험자수 소양감 억제효과를 인정한 피험자수
효과없음 30% 억제 50% 억제 70%억제 90% 억제
10대 2 0 0 0 1 1
20대 10 0 1 3 6 0
30대 6 0 0 2 2 2
40대 2 0 0 1 1 0
합계(총인원에대한 백분율) 20 0 1 (5.0%) 6 (30.0%) 10 (50.0%) 3 (15.0%)
적용예 10의 실험결과
연령 피험자수 취기 억제효과를 인정한 피험자수
효과없음 30% 억제 50% 억제 70%억제 90% 억제
10대 1 0 0 1 0 0
20대 8 0 0 1 5 2
30대 2 0 0 0 1 1
40대 1 0 0 1 0 0
합계(총인원에대한 백분율) 12 0 0 3 (25.0%) 6 (50.0%) 3 (25.0%)
적용예 10의 실험결과
연령 피험자수 소양감 억제효과를 인정한 피험자수
효과없음 30% 억제 50% 억제 70%억제 90% 억제
10대 1 0 0 0 0 1
20대 8 0 2 3 2 1
30대 2 0 0 2 0 0
40대 1 0 0 0 1 0
합계(총인원에대한 백분율) 12 0 2 (16.7%) 5 (41.7%) 3 (25.0%) 2 (16.7%)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적용한 적용예 6에 대한 실험결과, 표 1의 취기 억제 효과 및 표 2의 소양감 억제효과 모두, 전 피험자의 78.6%가 50% 이상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실시예 2의 조성물을 적용한 적용예 7에 대한 실험결과는, 표 3의 취기 억제 효과 및 표 2의 소양감 억제효과 모두, 전 피험자의 95.0%가 50% 이상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또한 실시예 5의 조성물을 적용한 적용예 10에 대한 실험결과에서는, 표 5의 취기 억제 효과는 모든 피험자 전원이 50% 이상 취기가 억제되는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특히 취기를 거의 느끼지 못한 (90% 이상의 취기억제 효과를 보고한) 피 시험자도 3명(25.0%)이나 되었다. 또한 표 6의 소양감 억제효과 역시 전 피험자의 83.3%가 50% 이상의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피험자 모두 생리혈의 변화 외에는 본 패드 착용 후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예 4. 생리혈의 취기 및 소양감 억제효과에 대한 비교실험
현재 시중에 유통 판매되고 있는 여성용 생리대 중 취기억제 효과가 있다고 광고되고 있는 두 가지 제품 (A사 제품 및 B사 제품)과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생리대의 취기억제 효능에 대한 비교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생리대로서는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적용한 적용예 11의 여성용 생리대를 이용하였다. 실험대상은 본 비교실험에 동의한 여성 중 총 20명을 무작위로 선택하였고 실험 방법은 생리대 효능에 관한 조사항목을 설정하고 미리 설문지를 작성하여 실험 대상자들에게 조사 항목에 대하여 주지시킨 후 1인당 각각의 생리대 10장씩 총 30장씩을 나누어 주었다. 조사 항목은 1) 취기 억제효과, 2) 소양감 억제효과 및 3) 기타 패드착용 후 의견 란으로 구성하였고 그결과를 각자의 생리가 끝남과 동시에 보고하도록 하였다.
본 실험 결과 응답자 전원이 A사 제품 및 B사 제품의 취기 억제효과가 전혀 없거나 (응답자의 90%) 미미하다 (응답자의 10%)는 반응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생리대의 취기 억제효과는 응답자 전원에게서 명확한 취기 억제효과 뿐만아니라 명확한 소양감 억제효과까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생리혈의 취기 및 소양감 억제효과에 대한 일반 소비자 실험
대한민국 서울과 청주 및 대구지역에 거주하는 생리 가능한 13세에서 49세까지의 여성중 6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생리대를 착용시키고 그 효능을 실험하였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생리대로서는 실시예 6의 조성물을 적용한 적용예 11의 여성용 생리대를 이용하였다.
전 피험자 중 95%이상의 피험자가 취기 억제효과가 우수 (70%이상의 억제효과 있음)하거나 효과가 있다 (25%이상의 억제효과 있음)고 응답을 하였다. 소양감 억제효과는 기존에 소양감을 느끼지 못한 15%의 여성을 제외하면 거의 100%의 여성이 소양감 억제효과가 탁월 (전 피험자 중 67%의 응답)하거나 효과가 있다(전 피험자 중 18%의 응답)고 응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한 생리대를 착용한 결과 대다수의 여성에게서 생리혈이 옆으로 퍼져 흐르는 현상이 없고 피부 접촉면의 습한감을 느끼지 못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병적인 생리(하혈)로 인하여 한달 내내 생리대를 착용하는 여성의 경우 냄새는 물론이고 피부 짓무름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본 발명의 생약 특유의 성질 즉 조습과 수렴의 성질에 기인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이 가지는 취기 억제 및 소양감 억제효과 외에도 또 하나의 중요한 장점이 된다.
또한 실제 소비자 실험 결과에서도 피험자 모두 피부 접촉면의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인체에 무해하면서 특히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약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한 여성용 생리대는, 기존의 생리대가 해결치 못했던, 생리시 발생되는 피부접촉면의 소양감과 생리혈의 취기 자체를 흡수와 동시에 억제하여 주므로 취기로 인한 활동의 위축을 막고, 여성의 보다 능동적인 생활을 기대할 수 있으며 취기로부터 근본적으로 여성을 해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현재 여성용 생리대에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부직포 등에도 바로 도포하여 적용시킬 수 있으므로 산업적 이용가치도 매우 높다.

Claims (6)

  1. 오배자를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애엽,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며, 이때 조성물 총 건조중량에 대하여 오배자는 25~98중량%, 애엽은 2~30중량%, 고삼은 2~30중량%, 황백은 10~50중량%, 사상자는 1~20중량% 및 백반은 10~40중량%의 조성으로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애엽,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4. 제 2항에 있어서,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을 더 포함하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오배자, 애엽, 고삼, 황백, 사상자 및 백반이 각각 분말, 추출액 및 침출액 중 선택된 어느 한 형태인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6. 제 1항에 따르는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이 적용된 여성용 생리대
KR10-2000-0025731A 1999-07-13 2000-05-15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100421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5731A KR100421203B1 (ko) 1999-07-13 2000-05-15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90028248 1999-07-13
KR1019990028248 1999-07-13
KR10-2000-0025731A KR100421203B1 (ko) 1999-07-13 2000-05-15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909A true KR20010014909A (ko) 2001-02-26
KR100421203B1 KR100421203B1 (ko) 2004-03-02

Family

ID=2663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5731A KR100421203B1 (ko) 1999-07-13 2000-05-15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120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280A (ko) * 2001-09-25 2003-05-0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30048646A (ko) * 2001-12-12 2003-06-25 구미이화공업 주식회사 한방 여성용 질세정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WO2006073266A1 (en) * 2005-01-04 2006-07-13 Cj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sterilizing spores of spore-forming microorganisms comprising the extracts of torilidis fructus
KR100894411B1 (ko) * 2007-07-23 2009-04-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한방 항균 코팅제 및 그 항균 코팅제로 코팅된 한방 항균필터
CN111818887A (zh) * 2019-03-06 2020-10-23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979A (ko) * 1994-09-30 1996-04-20 서영헌 약초패드의 제조방법
KR19980082895A (ko) * 1997-05-09 1998-12-05 성재갑 생리대
KR100232671B1 (ko) * 1997-07-25 2000-02-01 김이현 부인과 질환 및 여성비만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4280A (ko) * 2001-09-25 2003-05-0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30048646A (ko) * 2001-12-12 2003-06-25 구미이화공업 주식회사 한방 여성용 질세정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WO2006073266A1 (en) * 2005-01-04 2006-07-13 Cj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sterilizing spores of spore-forming microorganisms comprising the extracts of torilidis fructus
US7927632B2 (en) 2005-01-04 2011-04-19 Cj Cheiljedang Corporation Compositions for sterilizing spores of spore-forming microorganisms comprising the extracts of torilidis fructus
KR100894411B1 (ko) * 2007-07-23 2009-04-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한방 항균 코팅제 및 그 항균 코팅제로 코팅된 한방 항균필터
CN111818887A (zh) * 2019-03-06 2020-10-23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KR20210134333A (ko) * 2019-03-06 2021-11-09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물품
CN111818887B (zh) * 2019-03-06 2022-12-20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1203B1 (ko) 200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01067A (zh) 红豆杉负离子痛经垫
WO2007021098A1 (en) Sanitary napkin containing herbal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16630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spread on sanitary napkin for female
CN108578756A (zh) 一种功能卫生护理垫及其制备方法
KR100661014B1 (ko) 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생리대용 조성물
CN103316262A (zh) 一种妇科外用抗菌液及其制备方法
WO2007126186A1 (en) Woman's panties contains bioceramic materials for alleviating menstrual pains and menstrual syndrom
KR20020062474A (ko) 여성의 질염 및 냉대하증 치료효능을 갖는 한약재 조성물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생리대 패드
US699529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sanitary materials for infants
KR100421203B1 (ko)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CN109481724A (zh) 一种抗菌暖宫祛异味超吸收卫生巾及其制备方法
KR100387420B1 (ko) 한방 일회용 위생대
KR100420059B1 (ko) 바이오 세라믹 물질이 함유된 다기능성 생리대 및 그 제법
CN104306841A (zh) 一种治疗妇科炎症、皮肤炎症、瘙痒症的中药洗液
CN111658564A (zh) 一种妇科外阴泡沫洗液及其制备方法
CN101244130B (zh) 一种防止创伤皮肤瘢痕的复方蜈蚣酒精药糊
CN106943618B (zh) 一种艾草保健卫生巾及其制备方法
KR100353287B1 (ko) 생약 조성물을 포함하는 기저귀
CN103157128A (zh) 一种日用保健品及其制作方法
KR20090030905A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CN110801056A (zh) 一种具有消除异味、促进血液循环、抗菌消炎作用的女士生理保健内裤
KR20170017184A (ko) 한방조성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흡수제품
KR100769304B1 (ko) 유.소아를 위한 물티슈용 생약 조성물
CN108403520A (zh) 一种壳聚糖中草药女士护理液及其应用
KR100563573B1 (ko) 남여 공용 건강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18

Effective date: 200507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917

Effective date: 200507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2034;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40918

Effective date: 20050728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2027;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917

Effective date: 200507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5200007590; INVALIDATION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