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0194A - 한방 일회용 위생대 - Google Patents

한방 일회용 위생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0194A
KR20000030194A KR1020000005167A KR20000005167A KR20000030194A KR 20000030194 A KR20000030194 A KR 20000030194A KR 1020000005167 A KR1020000005167 A KR 1020000005167A KR 20000005167 A KR20000005167 A KR 20000005167A KR 20000030194 A KR20000030194 A KR 20000030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sanitary napkin
chinese medicin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7420B1 (ko
Inventor
박경애
Original Assignee
박경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경애 filed Critical 박경애
Priority to KR10-2000-0005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420B1/ko
Publication of KR20000030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0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감이 좋으며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가려움증이나 염증을 유발하지 않게 되는 일회용 위생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액체투과성 커버인 내피(10)와 액체불투과성 커버인 외피(40)사이에 흡수 시트(30)를 개재시켜서 된 일회용 위생대에 있어서, 상기 내피(10)와 흡수 시트(30)사이에 한약 생지(20)를 적층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위생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생리대,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은 착용시 외음부 모세혈관의 경락계통을 통하여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전달되므로 외음부를 통하여 감염되는 냉·대하, 가려움증, 악취 등을 유발하는 각종 부인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한방 일회용 위생대{Disposable hygienic napkin treated with oriental medicine}
본 발명은 일회용 위생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착용감이 좋으며 살균효과가 우수하여 가려움증이나 염증을 유발하지 않게 되는 일회용 위생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위생대는 한약재를 여성 필수품인 생리대,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에 적용한 것으로서 우수한 항균 및 멸균 효과로 인해 냉·대하, 가려움증, 생리통, 악취 등 각종 부인병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일회용 위생대는 뇨분비물이나 월경분비액 또는 질분비물 등을 흡수하는 생리대나 팬티라이너, 일회용기저귀 등이 있는데 종래의 일회용 위생대는 부직포 등으로 되는 액체투과성 커버인 내피와, 이 커버의 하부에 적층되어 분비물을 흡수하는 고분자 흡수제(Super Absorption Polymer)를 함유하는 흡수 시트와 이 흡수 시트의 일면을 감싸 분비물이 외부로 새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불투과성 커버인 외피로 구성되어 분비물을 흡수하여 새거나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따라서, 통상의 일회용 기저귀나 여성용 생리대는 단지 분비물을 흡수하는 역할을 제외하고는 특별한 기능을 갖지 못하였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는 가려움증을 유발하게 되고 심한 경우에는 염증을 일으키게 되며 분비물로 인한 악취를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피부와의 접촉부위의 살균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의 자극을 최소화하며 악취방지로 보다 위생적인 위생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우수한 항균 및 멸균 효과로 인해 냉·대하, 가려움증, 생리통 등 각종 부인병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위생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의 위생대 내피 하부에 한약 생지를 적층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약 생지는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우슬, 팔각향, 토복령, 정향 등의 한약재를 물과 혼합하여 저온의 불로 달여서 만든 약제를 생지에 도포하여 제조되는데, 상기 우슬은 초원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전초 및 뿌리를 각기병, 정혈, 관절염, 신경통, 임질, 두통 등에 약재로 쓰며, 팔각향은 팔각회향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서, 양기를 덥혀주고 기를 잘 돌게 하며 억균작용이 우수하다.
토복령은 청미래덩쿨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으로서 열을 내리고 습을 없애 독을 푸는 효과가 있으며, 애엽은 약쑥을 말린 것으로서 경맥을 잘 통하게 하고 풍한을 없애며 정향은 정향나무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으로서 건위작용, 억균작용이 우수하고, 박하는 해열작용, 진통작용, 염증억제작용이 우수하여 가려움증, 신경통, 후두염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익모초는 2년생 초본으로 냉증, 부종, 대하증 등의 부인병과 식욕부진, 소화촉진, 신장염, 단독부종의 예방과 치료에 민간요법으로 많이 쓰이고, 당귀는 다년생 초본으로 전초를 토혈, 지혈, 간염, 진해, 황달, 고혈합 등에 약으로 사용되며, 차전자는 질경이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여름과 가을에 채집하여 생것으로 쓰거나 약간 그을게 볶아서 사용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한약재들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한약 생지를 위생대의 내피와 흡수 시트사이에 삽입하여 제품을 제조함으로써 세균 발생 억제나 생리통 완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인 한방 생리대의 일부전개사시도,
도 2는 동 단면도,
도 3은 동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내피 20 : 한약 생지
30 : 흡수 시트 40 : 외피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의한 위생대의 하나인 생리대를 보인 일부전개사시도로서, 생리대의 내피(10)와 흡수 시트(30)사이에 한약 생지(20)가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2와 3에서와 같이 액체투과성 커버인 내피(10)와, 상기 내피(10)의 저면에 접합되는 한약 생지(20)와, 고분자 흡수제를 함유하는 솜털펄프(fluff pulp) 등으로 구성되는 흡수 시트(30)와 이 흡수 시트(30)의 저면에 접합되는 액체불투과성 커버인 외피(4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한약 생지(20)는 우슬 5∼15중량부와, 팔각향 5∼15중량부와, 토복령 5∼15중량부와, 정향 5∼15중량부와, 애엽 5∼15중량부와, 박하 10∼20중량부와, 익모초 5∼15중량부와, 당귀 5∼15중량부와, 차전자 5∼15중량부와 물 300∼400 중량부를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가열하여 제조되는 한약재 용액을 가제 또는 면포에 도포하여 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우슬 9중량부와, 팔각향 9중량부와, 토복령 9중량부와, 정향 9중량부와, 애엽 9중량부와, 박하 12중량부와, 익모초 9중량부와, 당귀 9중량부와, 차전자 9중량부와 물 300 중량부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한약재 용액을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한약재 용액을 위생대의 흡수 시트에 직접 도포하여 위생대를 제조하여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나, 본 발명이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한약재 용액 제조
우슬 70g, 팔각향 80g, 토복령 70g, 정향 70g, 애엽 80g, 박하 100g, 익모초 70g, 당귀 70g, 차전자 80g과 물 2,500㏄를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2시간 정도 가열후 냉각시켜 한약재 건더기를 제거하고 흑갈색의 용액만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2
한약재 용액 제조
우슬 90g, 팔각향 90g, 토복령 90g, 정향 90g, 애엽 90g, 박하 120g, 익모초 90g, 당귀 90g, 차전자 90g과 물 3,000㏄를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2시간 정도 가열후 냉각시켜 한약재 건더기를 제거하고 흑갈색의 용액만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3
한약재 용액 제조
우슬 100g, 팔각향 100g, 토복령 100g, 정향 90g, 애엽 100g, 박하 130g, 익모초 100g, 당귀 100g, 차전자 90g과 물 3,500㏄를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2시간 정도 가열후 냉각시켜 한약재 건더기를 제거하고 흑갈색의 용액만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4
한약재 용액 제조
우슬 110g, 팔각향 120g, 토복령 120g, 정향 120g, 애엽 120g, 박하 110g, 익모초 120g, 당귀 100g, 차전자 90g과 물 3,500㏄를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2시간 정도 가열후 냉각시켜 한약재 건더기를 제거하고 흑갈색의 용액만을 분리하였다.
실시예 5
한약재 용액 제조
우슬 140g, 팔각향 140g, 토복령 120g, 정향 130g, 애엽 140g, 박하 170g, 익모초 140g, 당귀 140g, 차전자 140g과 물 4,000㏄를 용기에 넣고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2시간 정도 가열후 냉각시켜 한약재 건더기를 제거하고 흑갈색의 용액만을 분리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첨가되는 한약재의 총 중량의 3∼4배의 물을 첨가하여 물이 넘쳐 흐르지 않도록 강한 불이 아닌 약한 불로 물의 양이 2/5∼3/5 배로, 바람직하게는 절반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가열하여 유효 성분을 우려내었다.
실시예 6
한방 생리대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가제 또는 면포에 도포시킨 한약 생지(20)를 생리대 제조시 생리대의 내피(10)와 흡수 시트(30) 사이에 적층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7
한방 기저귀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가제 또는 면포에 도포시킨 한약 생지를 기저귀 제조시 기저귀의 내피와 흡수 시트 사이에 적층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8
한방 팬티라이너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가제 또는 면포에 도포시킨 한약 생지를 팬티라이너 제조시 팬티라이너의 내피와 흡수 시트 사이에 적층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6 내지 8에서는 각종 위생대의 내피와 흡수 시트사이에 한약재 용액을 도포시킨 한약 생지를 적층하여 일회용 위생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9
한방 생리대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생리대의 내피(10)에 도포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10
한방 기저귀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기저귀의 내피에 도포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11
한방 팬티라이너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팬티라이너의 내피에 도포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9 내지 11에서는, 본 발명의 한약재 용액을 위생대의 내피에 직접 도포하여 위생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한방 생리대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생리대의 흡수 시트(30)에 도포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13
한방 기저귀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기저귀의 흡수 시트에 도포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실시예 14
한방 팬티라이너 제조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한약재 용액을 팬티라이너의 흡수 시트에 도포하여 제품을 생산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내지 14에서는, 본 발명의 한약재 용액을 위생대의 흡수 시트에 직접 도포하여 위생대를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한국의류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실시한 상기 실시예 1의 한약재 용액을 도포하여 제조된 한약 생지의 항균성 실험(KS K 0693)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냉·대하, 가려움증을 일으키는 황색포도상구균은 99.9%, 백선, 질염 등의 감염증을 발생시키는 캔디다균은 98.4%, 방광염, 요도염, 비릍트린신염 등을 일으키는 대장균은 99.8%의 균감소율을 나타내어 본 발명의 뛰어난 항균성이 입증되었다.
시 험 균 균감소율(%)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99.9
캔 디 다 균(Candjida albicans ATCC 10231) 98.4
대 장 균(Eschericia coli ATCC 25922) 99.8
본 발명에 의한 생리대, 팬티라이너, 일회용 기저귀 등은 피부와 직접 접촉하게 되는 내피와 흡수 시트 사이에 항균 효과가 우수한 한방 생지를 삽입시켜 제조되므로 피부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고 장시간 착용하여도 세균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어 가려움증이나 염증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위생대 착용시 외음부 모세혈관의 경락계통을 통하여 한약재의 유효성분이 전달되므로 외음부를 통하여 감염되는 냉·대하, 가려움증, 악취 등을 유발하는 각종 부인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일회용 위생대는 체내의 열과 땀 및 악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므로 위생대의 착용부위가 항상 청량감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한약재 특유의 향으로 생리시의 불쾌감을 없애주고 피곤함, 통증, 스트레스 등 생체리듬을 회복시켜 준다.

Claims (2)

  1. 액체투과성 커버인 내피(10)와 액체불투과성 커버인 외피(40)사이에 흡수 시트(30)를 개재시켜서 된 일회용 위생대에 있어서, 상기 내피(10)와 흡수 시트(30)사이에 한약 생지(20)를 적층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위생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약 생지(20)는 우슬 5∼15중량부와, 팔각향 5∼15중량부와, 토복령 5∼15중량부와, 정향 5∼15중량부와, 애엽 5∼15중량부와, 박하 10∼20중량부와, 익모초 5∼15중량부와, 당귀 5∼15중량부와, 차전자 5∼15중량부와 물 300∼400 중량부를 약한 불로 물의 양이 절반정도로 줄어들도록 가열하여 제조되는 한약재 용액을 가제 또는 면포에 도포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위생대.
KR10-2000-0005167A 2000-02-02 2000-02-02 한방 일회용 위생대 KR10038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167A KR100387420B1 (ko) 2000-02-02 2000-02-02 한방 일회용 위생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167A KR100387420B1 (ko) 2000-02-02 2000-02-02 한방 일회용 위생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0194A true KR20000030194A (ko) 2000-06-05
KR100387420B1 KR100387420B1 (ko) 2003-06-18

Family

ID=19643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167A KR100387420B1 (ko) 2000-02-02 2000-02-02 한방 일회용 위생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42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87A (ko) * 2000-05-17 2001-11-28 이상수 기저귀와 생리대용 첨가제의 제조방법및 그 기저귀와 생리대
KR20030004265A (ko) * 2002-12-13 2003-01-14 이제완 냉대하증 치료에 효능을 갖는 생리대 패드
KR20030034280A (ko) * 2001-09-25 2003-05-0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40008753A (ko) * 2002-07-19 2004-01-31 린이샨 생리대 용 부가물 및 그의 부가 방법
KR101337816B1 (ko) * 2012-10-08 2013-12-06 깨끗한나라 주식회사 여성용 일회용 흡수용품
WO2018080040A1 (ko) * 2016-10-27 2018-05-03 (주)팀코스파 양자에너지가 방사되게 무기질 조성물을 함유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4819A (ko) * 2019-12-30 2021-07-08 (주)금천 면역력 증진과 항염증 및 생리통 통증 완화 기능이 있는 견운모 생리대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6142B (zh) * 2013-12-17 2015-04-22 张月婵 一种青草药卫生护垫
WO2022036435A1 (en) * 2020-08-21 2022-02-24 Hilary Brenda Scott Underwear for dispensing therapeutic substan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6879Y1 (ko) * 1996-09-02 1999-09-01 김정웅 약포가 부착된 내의 및 약포대
KR19980082895A (ko) * 1997-05-09 1998-12-05 성재갑 생리대
KR100232671B1 (ko) * 1997-07-25 2000-02-01 김이현 부인과 질환 및 여성비만 치료를 위한 조성물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987A (ko) * 2000-05-17 2001-11-28 이상수 기저귀와 생리대용 첨가제의 제조방법및 그 기저귀와 생리대
KR20030034280A (ko) * 2001-09-25 2003-05-09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항염, 항자극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마치현 추출물을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KR20040008753A (ko) * 2002-07-19 2004-01-31 린이샨 생리대 용 부가물 및 그의 부가 방법
KR20030004265A (ko) * 2002-12-13 2003-01-14 이제완 냉대하증 치료에 효능을 갖는 생리대 패드
KR101337816B1 (ko) * 2012-10-08 2013-12-06 깨끗한나라 주식회사 여성용 일회용 흡수용품
WO2018080040A1 (ko) * 2016-10-27 2018-05-03 (주)팀코스파 양자에너지가 방사되게 무기질 조성물을 함유한 생리대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4819A (ko) * 2019-12-30 2021-07-08 (주)금천 면역력 증진과 항염증 및 생리통 통증 완화 기능이 있는 견운모 생리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7420B1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79273B (zh) 抑菌去味卫生巾
CN103768647B (zh) 一种中药保健吸收性物品
KR100387420B1 (ko) 한방 일회용 위생대
KR101337816B1 (ko) 여성용 일회용 흡수용품
KR20100126987A (ko) 한약재를 함유한 한지 생리대
CN101658330A (zh) 一种治疗女性生殖系疾病的中药理疗内裤
WO2007126186A1 (en) Woman's panties contains bioceramic materials for alleviating menstrual pains and menstrual syndrom
US6995297B1 (en) Herb medicine composition to be contained in sanitary materials for infants
Mercier et al. Using topical aromatherapy for the management of fungating wounds in a palliative care unit
KR20190002144A (ko) 라벤더, 로즈마리 및 캐모마일 추출물이 포함된 패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396580B1 (ko) 일회용 흡수용품
CN106943618B (zh) 一种艾草保健卫生巾及其制备方法
KR20190117865A (ko) 한방성분이 함유된 위생패드
KR100930135B1 (ko)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일회용 흡수제품
KR100421203B1 (ko) 생약제를 이용한 여성용 생리대 도포용 조성물
CN101069727A (zh) 消炎缩阴液
KR101740003B1 (ko) 주머니를 구비한 생리대
KR200426038Y1 (ko) 기능성 부직포 및 이를 포함하는 인체배출물 흡수용위생제품
KR20170017184A (ko) 한방조성물을 함유한 일회용 흡수제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제조방법에 의한 흡수제품
CN112007137A (zh) 一种具有保健调理功效的复方精油及其制备方法
CN103157128A (zh) 一种日用保健品及其制作方法
CN104511046A (zh) 睡莲提取物制备妇女经期抗菌护理垫
ES1075949U (es) Producto higiénico desechable de uso personal.
CN107007868A (zh) 一种艾叶保健卫生巾
KR200270995Y1 (ko) 위생용 패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