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2448B1 -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2448B1
KR102172448B1 KR1020180150070A KR20180150070A KR102172448B1 KR 102172448 B1 KR102172448 B1 KR 102172448B1 KR 1020180150070 A KR1020180150070 A KR 1020180150070A KR 20180150070 A KR20180150070 A KR 20180150070A KR 102172448 B1 KR102172448 B1 KR 102172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extract
vaginalis
camellia
camellia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0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3857A (ko
Inventor
문수현
김현지
조은애
정은선
박덕훈
Original Assignee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0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4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63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3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3/00Antiparasitic agents
    • A61P33/02Antiprotozoals, e.g. for leishmaniasis, trichomoniasis, toxopla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docri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갖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여성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와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의 감염으로부터 질을 보호하여 질염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동백유박 추출물은 인체점막에 대한 부작용이 없으므로, 질 내부의 사용에 있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A 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defatted Camellia's seed extract and the feminine cleanser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항균 활성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여성 질염을 유발하는 세균성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와 원충성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이들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여성청결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여성의 외음부는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내부 생식기를 보호한다. 하지만 항문과 가까이 있고 습하고 따뜻한 환경 때문에 병원체가 자라기 매우 좋은 환경이다. 여성의 질내 미생물 환경은 여성들의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질 내부에는 락토바실러스 속의 균주들이 상주하고 있는데 이들의 역할은 생육과정에서 젖산과 다른 항균성 물질들을 배출함으로써 적정 질내 산도 4.5 이하로 유지하면서 병원성 균주의 생육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락토바실러스속 균주들이 혐기성 또는 칸디다 등 다양한 균에 의해 주도권을 잃게 되면 질내 미생물환경의 균형이 깨지면서 질염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질염은 조산, 저체중태아 출산 등을 유발하며 면역력이 약해지게 된다. 여성의 질염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되는데 박테리아 감염에 의한 질염(Bacterial vaginosis), 칸디다 진균에 의한 질염(Vulvovaginal candidiasis), 트리코모나스 원충감염에 의한 질염(Trichomonas vaginitis)이 있다. 세균성 질염은 여성 질내에 특정세균의 증식으로 질내 산도가 높아지고 미생물환경에 변화가 일어나는 질병이다. 주로 가임기 여성에게서 흔히 발생되는 염증 중 하나로, 보통 백색 또는 회백색의 질 분비물이 증가하고 악취가 난다.
이러한 세균성 질염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는 항생제로는 혐기성 균주에 감수성이 있는 메트로니다졸(Metronidazole)과 클린다마이신(Clindamycin)이 흔하게 사용된다. 미국질병관리본부(CDC)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세균성질염에 메트로니다졸 500 mg을 1일 2회 7일간 경구투여 또는 클린다마이신 2% 크림을 취침전 1회 7일간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메트로니다졸은 혐기군의 DNA 복제기전에, 클린다마이신은 단백질 합성과정에 영향을 주어 균이 증식하지 못하게 한다. 가드넬레나 바지날리스의 경우 메트로니다졸에 대한 내성균주가 이미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항생제를 사용하게 되면 병원성균 뿐만 아니라 유익균인 유산균의 생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용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질염은 '여성의 감기'라고 불릴 정도로 재발이 빈번하다. 따라서 질염의 예방을 위해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질내 세균총에 대해서는 항균활성이 없거나 매우 낮으며, 질염을 유발하는 병원균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예방 또는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하다.
최근 식물유래의 독성이 없는 천연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경향에 맞춰, 여성세정제에 식물유래 성분을 함유한 제품 또는 특허가 발표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 한국 공개특허 제10-0899639호에는 구멍갈파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질염치료용 조성물 제조에 대하여 게시하였고,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05196호에서는 감초, 지황, 작약, 천궁, 당귀, 사상자, 지골피 및 백지로 이루어진 생약재 혼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제 조성물이 질염의 원인균인 트리코모나스 원충, 진균류인 트리코모나스와 헤모필루스균 대한 항균활성이 있는 것으로 게시하고 있다.
한편,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 L.)는 차나무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남쪽지방에 생육하는 상록활엽 소교목이다. 동백나무 종자는 방추형의 암갈색 씨앗으로, 동백나무 열매에 들어있는데, 보통 하나의 열매에서 3개 정도의 종자가 나온다. 주로 관상용으로 사용되며, 동백 종자는 기름으로 착유하여 약용으로 많이 활용하였다. 현재는 약용뿐만 아니라 화장품에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동백 종자 기름을 빻고 남은 찌꺼기를 동백유박이라고 한다. 동백씨 추출물과 관련해서는 한국 공개특허 10-2013-0122070에서 동백씨 추출물과 동백유박 추출물이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켜 모발의 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발표되었다. 하지만 동백유박 추출물에 의한 여성질염개선 효과에 관련된 선행보고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항균, 특히 여성 질염과 관련된 세균에 대해 세균 감염억제 효능을 가지면서도 유산균과 같은 유익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인체 부작용이 전혀 없는 새로운 천연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계속 연구를 진행한 결과, 동백유박 추출물이 여성 질염을 유발하는 유해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와 원충류인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효능을 가지면서도 유익균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여성 생식기에 생존하는 유산균의 생육에는 독성이 없고 질 내부의 산도를 약산성의 환경으로 유지시킴으로써, 여성 질염을 유발하는 유해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와 원충류인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의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백유박 추출물은 여성 질염을 유발하는 유해균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rdnerella vaginalis)와 원충류인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의 감염 및 생육을 저해하면서도 여성 질내 유익균의 생육에 영양을 미치지 않으며, 점막자극 시험인 HET-CAM 테스트에서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안전성 측면에서도 인체에 해를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동백유박은 동백 종자 기름을 빻고 남은 찌꺼기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용어 "추출물(extract)"은 생약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유박 추출물은 당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한 액은 액체 형태로 사용하거나 또는 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출용매는 예를 들어, (a) 물, (b)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c) 상기 저급 알코올과 물과의 혼합용매, (d) 아세톤, (e) 에틸 아세테이트, (f) 클로로포름 또는 (g) 1,3-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하여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부탄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좋다. 추출용매에 따라 추출물의 유효성분의 추출정도와 손실정도가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알맞은 추출용매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한다. 상기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냉침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동백유박 추출물은 상기 추출용매에 의하여 추출하는 방법 외에 통상적인 정제과정을 거쳐서도 수득할 수 있다. 예컨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을 통하여서도 동백유박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동백유박 추출물은 오일을 짜고 남은 동백유박 시료 중량의 약 0.5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1 내지 15배 분량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9의 혼합비(㎏/ℓ)를 갖는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매로, 실온에서 약 0.5 내지 48시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시간 동안 교반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바람직하게는 열수추출한 후 수득한 추출액을 여과, 감압농축 또는 건조하여 본 발명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부탄올,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동백유박 추출물은 상기 수득된 추출액을 농축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수분을 완전히 제거시킨 동백유박 추출물은 분말형태로 사용하거나 상기 분말을 증류수 또는 통상의 용매에 녹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 얻어지는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로서, 여성 질염의 원인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 vaginalis)와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 vaginalis)에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항균 조성물은 여성 질염의 원인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 vaginalis)와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 vaginalis)의 항균 및 항원충 작용을 통한 질염을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에서, 동백유박 추출물의 양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동백유박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에 대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이 포함될 수 있다. 0.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 vaginalis),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 vaginalis) 대한 항균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여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여성청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은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여성청결제 조성물 각각의 전체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여성 질염 개선에 대한 효과가 너무 미약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량의 증가에 따른 효과의 증가가 미비하여 제형상의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동백유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항균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 물질로서 세포독성이 거의 없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른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은 동백유박 추출물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되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th ed., 1995)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여성청결제로서 국부 투여(topical application)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의 투여량은 성인 기준으로 0.001-100 ㎎/kg 범위 내이다. 또한 외용제인 경우에는 성인 기준으로 1.0 내지 3.0 ml의 양으로 1일 1회 내지 5회 도포하여 1개월 이상 계속 하는 것이 좋다. 다만, 상기 투여량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은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 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시럽제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시르제, 산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포함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여성청결제 조성물은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물티슈용 등으로 적용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세정제용은 스프레이형, 액상형, 젤형, 분말, 고형의 비누, 거품타입 등으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동백유박 추출물은 천연물질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장기간 사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유박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 여성 질염을 유발하는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 vaginalis)와 혐기성 균주인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 vaginalis)에 대한 항균활성을 나타내고, 여성질 내 약산성 환경을 유지시켜주는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 crispat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여성 질염의 예방효능을 가진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연 추출물은 인체 점막에 대한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동백유박 추출물이 유산균 3종에 대한 생육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동백유박 추출물에 의한 점막자극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동백유박 추출물의 제조
동백유박은 제주산 동백씨를 이용하여 오일을 착유하고 남은 유박을 이용하였다. 위의 원물을 40 g에 정제수 2 L를 넣고 멸균기에서 열수추출하였다. 상층액은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한 뒤, 동결건조하여 파우더화 하였다. 파우더화된 추출물을 100 mg/mL의 농도로 멸균된 증류수에 녹인 뒤, 0.2 μm 공극 크기의 수용성 주사여과기를 거친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준비예 1: 실험균주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 vaginalis, ATCC14018) 및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 vaginalis, ATCC PRA-95)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로부터 분양받았으며,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 acidophilus, KCTC3164),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L. crispatus, KCTC5054),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 gasseri, KCTC3163)는 한국생명공학현구원 미생물자원센터로부터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 vaginalis)는 10% FBS가 포함된 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서 혐기배양팩(Anaerobic gas pack; Thermo scientific)을 이용하여 37℃ 혐기 배양하였으며,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 vaginalis)는 10% FBS가 포함된 ATCC medium 361를 이용하여 37℃ 혐기 배양하였다. 유산균 3종은 MRS 배양액/아가에서 37℃ 혐기 배양하였다.
실시예 1: 동백유박 추출물이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 및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 Trichomonas vaginalis )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측정
상기 제조예 1의 동백유박 추출물이 질염 유발 균주의 생장 저해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실험 전 10% FBS가 포함된 BHI 아가에 배양된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를 루프로 긁어 10% FBS가 포함된 BHI 배양액에 넣어 혐기조건에서 정치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고,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최종 균수가 1 X 106 CFU/ml이 되도록 접종한 뒤, 24시간 혐기 배양하였다.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는 10% FBS가 포함된 ATCC medium 361에서 혐기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최종 균수가 5 X 104 cells/ml이 되도록 접종한 뒤 24시간 혐기 배양하였다. 무처리군을 음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배양이 끝난 균주는 600nm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최소저해농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균주명 최소억제농도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Gardnerella vaginalis) 1 mg/ml
트리코모나스 (Trichomonas vaginalis) 0.5 mg/ml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동백유박 추출물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및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에 대하여 각각 1mg/ml 및 0.5mg/ml의 최소억제 농도를 나타냄으로써 동백유박 추출물이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 및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에 대하여 생육 억제효과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동백유박 추출물이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측정
동백유박 추출물이 인체 유익균인 유산균의 생장에 영향을 나타내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진행하였다. MRS 아가에 배양한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투스, 락토바실러스 가세리)을 MRS 배양액에 혐기 배양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농도별로 추출물을 처리하고 최종균수가 5 X 106 CFU/ml이 되도록 접종한 뒤, 24시간 혐기 배양하였다. 배양 후 육안으로 균주의 사멸여부를 확인한 뒤, 600 nm의 파장에서 각 농도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무처리군인 대조군과 실험군의 생육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동백유박 추출물이 유산균 3종에 대한 생육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동백유박 추출물 처리군과 무처리군의 흡광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유산균의 생존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 3: 동백유박 추출물에 의한 점막자극 확인
동백유박 추출물의 점막에 대한 자극을 확인하기 위해 in-vivo 대체 시험인 HET-CAM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HET-CAM test는 풀무원에서 판매하는 수정된 brown Hy-line egg를 이용하였으며, 37.5℃, 습도 50%에서 9일간 배양하였다. 배양기간 동안 매 시간 자동으로 알을 굴려주었으며, 9일째 되는 날 알을 인큐베이터에서 꺼내 0.9%의 식염수를 이용하여 표면에 수분을 공급한 뒤 시험에 사용하였다. 알의 숨구멍에 표시를 하고, 치과용 톱을 이용하여 내막은 파괴하지 않고 주변 외피를 벗겨냈다. HET-CAM 분석에서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진 0.1N 수산화나트륨과 1% 도데실 설페이트 나트륨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일어나는 출혈, 용해, 응고 정도를 보고 자극의 강도 기준을 정하였고, 동백유박 추출물은 1%의 농도로 사용하였다. 0.3 ㎖의 시험물질을 CAM에 적용한 후, 5분간 관찰하여 출혈과 융해, 응고반응을 관찰하고, 기준물질을 처리하였을 때와 비교하여, 하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점수화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119141853-pat00001
반응도에서 0은 자극없음, 1은 약한 자극, 2는 평범한 자극, 3은 심한 자극을 나타낸다.
도 2는 동백유박 추출물에 의한 점막자극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에서 보듯이, 시험군을 처리한 조건에서는 반응도가 0이므로, 동백유박 추출물은 점막에 대한 자극이 없는 안전한 물질로 판정되었다.
하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위한 제제예를 예시한다.
제제예 1: 여성청결제제
1-1. 거품 타입
성분 중량%
동백유박 추출물 1.00
부틸렌글라이콜 2.00
글리세린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4.00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6.00
폴리소르베이트 20 1.00
소듐벤조에이트 0.40
카프릴릭글라이콜 0.20
소듐락테이트 0.50
정제수 82.88
총계 100
1-2. 젤 타입
성분 중량%
동백유박 추출물 1.00
부틸렌글라이콜 2.00
글리세린 1.0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피이지-60 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4.00
라우릴 글루코사이드 6.00
폴리소르베이트 20 1.00
소듐벤조에이트 0.40
카프릴릭글라이콜 0.20
소듐락테이트 0.5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0.7
정제수 82.18
총계 100

Claims (7)

  1.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로,
    상기 동백유박 추출물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dnerella vaginalis) 및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질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유박 추출물이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01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삭제
  5.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로,
    상기 동백유박 추출물은 가드네렐라 바지날리스(Gadnerella vaginalis) 및 트리코모나스 바지날리스(Trichomonas vaginalis)에 대한 생육 억제 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여성청결제 조성물이 세정제용, 약제용, 화장료용 또는 물티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제 세정제용은 스프레이형, 고형, 액상형, 젤형의 비누 또는 거품타입의 세정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0180150070A 2018-11-28 2018-11-28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72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70A KR102172448B1 (ko) 2018-11-28 2018-11-28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070A KR102172448B1 (ko) 2018-11-28 2018-11-28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57A KR20200063857A (ko) 2020-06-05
KR102172448B1 true KR102172448B1 (ko) 2020-10-30

Family

ID=71089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0070A KR102172448B1 (ko) 2018-11-28 2018-11-28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027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메디안스 익모초추출물을 주 원료로 하는 여성의 와이존에 뿌리거나 바르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3899B2 (ja) * 2008-06-20 2013-07-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回路、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KR101924822B1 (ko) * 2017-01-25 2019-02-27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렌틸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강성구 외. 동백(Camellia japonica L.)유박 추출물의 항균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1998, Vol. 27(2), pp. 232-23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4027A (ko) 2021-03-02 2022-09-13 주식회사 메디안스 익모초추출물을 주 원료로 하는 여성의 와이존에 뿌리거나 바르는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3857A (ko) 2020-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709B1 (ko) 질염의 예방 또는 치료에 효과가 있는 항균제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여성용 청결제 조성물
KR102103021B1 (ko) 편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아토피 및 항질염용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641B1 (ko) 밤나무총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518446B1 (ko) 천연 원료 기반의 남성 청결제
KR20160015718A (ko) 쇠비름 추출물 및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여성 청결제
Coppock Bee products as nutraceuticals to nutraceuticals for bees
KR102133101B1 (ko) 백모화 및 쑥을 함유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148808B1 (ko) 천연 항균제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0770140B1 (ko) 자작나무 수액과 대황 및 애기수영의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물티슈 조성물
KR101033921B1 (ko) 피부 염증 및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172448B1 (ko) 동백유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2049278B1 (ko) 자귀나무 수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100915711B1 (ko) 보습, 항염증, 항세균 또는 항알레르기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92808B1 (ko)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EP3134099A1 (en) Anti-candida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KR20210044762A (ko) 잣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210048021A (ko) 당귤껍질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폴리리신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10121295A (ko) 생리통 완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248786B1 (ko) 쑥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2245617B1 (ko) 장미 추출물 및 지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KR101392810B1 (ko) 된장풀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553206B1 (ko) 나노화된 벌화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여성청결제 조성물
KR20120090123A (ko) 여성의 생리통 완화용 피부도포형 필름형성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47819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