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3080A -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및 복합 생리대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및 복합 생리대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3080A
KR20030033080A KR10-2003-7004198A KR20037004198A KR20030033080A KR 20030033080 A KR20030033080 A KR 20030033080A KR 20037004198 A KR20037004198 A KR 20037004198A KR 20030033080 A KR20030033080 A KR 200300330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web material
tube
web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748B1 (ko
Inventor
맥팔로날드레이
리브조나단리
우즈그레그린
콜너윌프리어드엠
해먼스존리
Original Assignee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979,979 external-priority patent/US5928452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979,980 external-priority patent/US6045544A/en
Priority claimed from US09/031,352 external-priority patent/US5916205A/en
Application filed by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30033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3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7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5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 B29C66/83511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drums, bands, belts or chains; Flying jaws jaws mounted on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28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involving assembly of non-flat intermediate products which are flattened at a later step, e.g.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99Forming webs by bringing together several webs, e.g. by laminating or folding several webs, with or without additional treatment of the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29C65/743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 B29C65/7441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using the same tool for both joining and severing, said tool being monobloc or formed by several parts mounted together and forming a monobloc for making welds and cuts of other than simple rectilinear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29C66/1122Single lap to lap joints, i.e. overlap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1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formed by a single dot or dash or by several dots or dashes, i.e. spot joining or spot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 B29C66/4322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for making tubular articles or closed loops, e.g. by joining several sheets ; for making hollow articles or hollow preforms by joining a single sheet to itsel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3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 B29C66/4332Casing-in, i.e. enclosing an element between two sheets by an outlined seam by folding a sheet 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40General aspects of 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plates, sheets or web-like materials;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Joining single elements to substantially flat surfaces
    • B29C66/41Joining substantially flat articles ; Making flat seams in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9C66/43Joining a relatively small portion of the surface of said articles
    • B29C66/436Joining sheets for making articles comprising cushioning or padding materials, the weld being performed through the cushioning material, e.g. ca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7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porous, e.g.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 B29C66/739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extensiv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arts to be joined, by the stat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or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a thermoplastic or a thermoset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at least one of the parts being a thermos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29C66/81429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3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toothed, i.e. comprising several teeth or pins, or being patter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9Textile or other fibrous material made from plastics
    • B29C66/7294Non woven mats, e.g. f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y the structure,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6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by the structure,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intensive physical properties or by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pressing elements, e.g. constitutin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264Mechanical properties, e.g. 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4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moving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34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Band or belt types; Ball types
    • B29C66/83411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 B29C66/83413Roller, cylinder or drum types cooperating rollers, cylinders or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37Other properties
    • B29K2995/007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48Wearing apparel
    • B29L2031/4871Underwear
    • B29L2031/4878Diapers, napk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흡수성 음순간 장치, 기저귀, 요실금 장치, 와이프 등과 같은 흡수성 제품을 포함하나 국한되지 않는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 재료를 접착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많은 형태의 개시된 방법이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몇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혼합물 구조체를 제조하는 공정 동안에 비친화성 재료를 통하여 결합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료(예를 들면, 대략 4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재료)를 통하여 결합시키는데 본 발명의 방법이 사용되도록 허용하는 개량을 제공한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결합될 재료에서 사실상 제한하지 않는 수의 결합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제공된다. 결합 방법은 결합부 형성을 개선하기 위해 압축 단게를 이용한다. 또다른 형태에 있어서, 그것을 통하여 결합부가 만들어 지는 재료를 세로로 자르는 단계를 이용하는 결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및 복합 생리대 제조 방법{METHODS OF BONDING MATERIALS, ESPECIALLY MATERIALS USED IN ABSORBENT ARTICLES}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을 다른 타입의 제품에 사용된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재료를 접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생리대(sanitary napkins), 팬티라이너(pantiliner), 탐폰(tampons), 흡수성 음순간(interlabial) 장치, 기저귀, 요실금(incontinence) 장치 등과 같은 흡수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흡수성 음순간 장치, 일회용 기저귀, 요실금 제품 및 붕대와 같은 흡수성 제품은 신체로부터의 액체 및 다른 배출물을 흡수 및 보유하고 신체 및 의류가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계되었다.
흡수성 제품의 제조시, 일반적으로 완제품을 형성하기 위해 흡수성 제품으로형성될 구성 요소를 서로 접착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한 재료를 접착시키기 위한 전형적인 방법은 접착제, 열 및/또는 압력, 및 초음파를 포함한다.
그러나, 일부 재료는 구조적 보전성 또는 조성물로 인해 이러한 일반적인 접착 기법에 의해 접착될 수 없다. 그러한 형태의 재료중 하나는 1993년 11월 9일자로 데스머레이(DesMarais)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0,345 호; 1993년 12월 7일자로 데스머레이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8,224 호; 및 1995년 2월 7일자로 다이어(Dyer)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7,20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고 분산상 유제(high internal phase emulsions)(또는 "HIPE" 폼)로 제조된 흡수성 폼 재료이다. 그러한 재료는 전형적으로 낮은 인장 강도 및/또는 낮은 구조적 보전성을 갖는다. 구조적 보전성이 종종 접착제 접착만큼 강하지 않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러한 재료를 접착시키는 것은 어렵다. 결과적으로, 접착제와 직접 접촉하는 이 재료의 일부만이 다른 재료에 대해 접착된 상태로 유지된다. 나머지 재료는 접착된 재료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이러한 폼이 열경화성 중합체이기 때문에 상술한 재료는 가열 접착을 사용하여 접착될 수 없다. 일단 성형되면, 재료는 재차 용융될 수 없다. 대신에, 열이 그러한 폼 재료에 가해질 때, 이 재료는 가열 접착에 필요한 상태로 용융되어 유동하지 않고 타서 없어진다. 또한 열경화성 폼 재료는 유동성이 없으며 압력하에서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가압 접착될 수 없다.
1984년 9월 25일자로 "강화 및 가열 밀봉 가능한 재료를 함유하는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Porous Polymeric Material Containing a Reinforcing and Heat-Sealable Material)"라는 명칭으로 하크(Haq)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473,611 호는 재료를 고 분산상 유제를 중합하여 제조되는 고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에 접착시키고자 하는 종래의 노력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미국 특허 제 4,473,611 호는 열가소성 섬유형, 입자형, 또는 유공성(foraminous) 재료를 그내에 합체함으로서 가열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는 재료를 제공하는 것을 개시한다. 와이프(wipe)와 같은 제품은 변형된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를 2개의 가열 밀봉 가능한 기재 사이에서 압착시키고, 제 1 및 제 2 기재를 중간의 고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내의 가열 밀봉 가능한 강화재에 가열 밀봉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미국 특허 제 4,473,611 호에 개시된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은 추가적인 열가소성 재료를 필요로 한다. 이러한 것은 다공성 중합체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복잡하게 한다.
흡수성 제품의 제조시 사용되는 다른 타입의 재료는 종종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1989년 8월 8일자로 "동역학적 접착 방법 및 장치(Dynamic Mechanical Bonding Method and Apparatus)"라는 명칭으로 볼(Ba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54,984 호는 박막을 한쌍의 롤(그중 적어도 하나는 양각 패턴을 가짐) 사이의 압력 바이어스식 닙(pressure biased nip)을 통해 공급함으로써 다수의 박막을 서로 동역학적으로 접착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미국 특허 제 4,854,984 호에 개시된 방법은 상당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고 사용되었다. 또한, 재료의 접착 방법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연구는 계속되어 왔다.
따라서, 특히 흡수성 제품에 사용되는 재료의 접착 방법을 향상시킬 필요가있다. 예를 들면, 공지된 접착 기법에 의해 접착될 수 없는 흡수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재료의 향상된 접착 방법, 특히 다른 재료를 접착시키기 위해 재료에 열가소성 재료를 추가시킬 필요가 없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흡수성 제품의 제조 동안에 비교적 두꺼운 재료를 통한 접착 방법이 필요하다. 게다가, 접착될 재료에 실제적으로 비한정적인 다수의 접착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접착 방법이 또한 필요하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흡수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재료를 접착시키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구조체에 관한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은 다른 타입의 제품에 사용된 재료를 접착시키는데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의 모든 그러한 용도는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흡수성 음순간 장치, 기저귀, 요실금 장치 등과 같은 흡수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많은 실시예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몇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는 공정 동안에 비친화성 재료를 접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비친화성 재료"라는 용어는 통상의 접착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재료에 접착하기 어려운 재료를 지칭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교적 두꺼운 재료(예를 들면, 약 2mm, 3mm 또는4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도록 접착 방법을 개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접착될 재료에서 사실상 비제한적인 갯수의 접착 패턴을 생성할 수 있도록 접착방법을 개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압축 단계를 이용하여 접착부 형성을 개선하는 접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접착부가 형성되는 재료를 세로로 절단하는 단계를 이용하는 접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명세서의 길이가 과도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의 실시예는 단일 공정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개별적으로 또는 어떤 바람직한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이해하여야 한다. 더나아가, 본 발명자는 모든 그러한 용도 또는 별개의 특허 가능한 발명을 잠재적으로 포함하는 이러한 실시예의 조합을 고려한다는 것과, 이러한 발명의 범위를 종래 기술이 허용하는 것보다 넓게 하고자 한다는 것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비친화성 재료를 통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의 형태는
ⓐ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는 접착과 적어도 어느 정도 비친화성을 가지며, 제 1 접착성, 제 1 표면 및 제 2 표면을 구비한 비친화성 재료를 제공하는 단계와;
ⓑ 제 1 접착성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재료를 제공하는단계와;
ⓒ 제 1 접착성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재료로 비친화성 재료의 제 1 및 제 2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단계와;
ⓓ 비친화성 재료를 침투하는 접착부를 사용하여 비친화성 재료의 제 1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재료를 비친화성 재료의 제 2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는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재료에 접착시키는 단계를 바람직하게는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비친화성 재료는 흡수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비친화성 재료는 열경화성 중합체성 흡수성 폼 재료를 포함한다.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재료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웨브재, 한층의 접착제 또는 실리콘 코팅 등과 같은 포함하나 이것으로만 비제한적인 다수의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비친화성 재료가 열경화성 중합체성 흡수성 폼 재료를 포함하는 특히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재료는 부직 웨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대, 팬티라이너, 탐폰, 흡수성 음순간 장치, 기저귀, 요실금 장치, 와이프 등과 같은 흡수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재료, 특히 흡수성 재료와 같은 압축성 재료를 형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부 패턴은 압축성 비친화성 재료내에 압각되어서, 나머지 비친화성 재료로부터 비친화성 재료의 일부분을 분리시키고, 분리된 부분을 별개의 형상으로 형성시키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의 형상 형성 실시예는 하나 또는 그이상의 접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의 많은 다른 용도는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형성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요지를 특히 지적하고 구별되게 청구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종결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보다 잘 이해될 것이라 믿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생리대용 흡수성 튜브내에 접착 및 성형될 수 있는 비친화성의 흡수성 폼 재료를 포함하는 재료의 복합 웨브의 사시도,
도 2는 흡수성 튜브를 제조하는 선택적이나 바람직한 단계에서 도 1에 도시된 복합 웨브내의 흡수성 재료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복합 웨브가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통하여 공급되고,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가 미립자 재료로 형성된 후의 도 1에 도시된 복합 웨브의 부분 사시도,
도 4는 측면 가장자리가 제 1 선택적 접기 작업으로 접혀진 후의 도 3에 도시된 복합 웨브의 사시도,
도 5는 측면 가장자리가 제 2 선택적 접기 작업으로 접혀진 후의 도 3에 도시된 복합 웨브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6은 웨브 부분들이 서로 접착된 후의 도 5에 도시된 복합 웨브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7-7 선을 따라 접착 위치중 하나를 관통하여 절단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복합 웨브의 간략화된 단면도,
도 8은 생리대용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접착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의 단계를 나타낸 일 실시예로서 패터닝된 롤이 간략하게 도시된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융기된 요소 주위에 압축성 재료가 제공되지 않은 패터닝된 롤과, 앤빌 롤 사이의 닙(nip)내의 상대적으로 큰 두께(caliper) 재료를 도시한 간략화된 부분 개략도,
도 10은 융기된 요소 주위에 압축성 재료가 제공되어 있는 패터닝된 롤과 앤빌 롤 사이의 닙내의 상대적으로 큰 두께 재료를 도시한 간략화된 부분 개략도,
도 11은 간헐적인 부하 베어링 부재를 그 위에 구비한 종래의 동적인 접착 롤의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실시예에 사용된 패터닝된 롤로서, 연속적인 부하 베어링 부재를 그 위에 구비한 패터닝된 롤의 표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접착되고 형성되는 것으로, 신체에 면한 측면상의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구비한 합성 생리대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2개의 비친화성 재료를 서로 접착하는 다른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접착되고 형성되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흡수성 음순간 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리대의 부분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생리대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술은 다른 타입의 제품에 사용된 재료를 접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흡수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재료를 접착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생리대(sanitary napkins), 팬티라이너(pantiliner), 탐폰(tampons), 흡수성 음순간(interlabial) 장치, 기저귀, 요실금(incontinence) 장치, 와이프(wipes) 등과 같은 흡수성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이러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많은 실시예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몇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는 공정 동안에 비친화성 재료를 접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비친화성 재료"라는 용어는 통상의 접착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재료에 접착하기 어려운 재료를 지칭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료(예를 들면, 약 2mm, 3mm 또는 4mm 이상의 두께를 갖는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접착될 재료에서 사실상 비제한적인 갯수의 접착 패턴을 생성할 수 있는 접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압축 단계를 이용하여 접착부 형성을 개선하는 접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접착부가 관통하여 형성되는 재료에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를 이용하는 접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명세서의 길이가 과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의 실시예는 단일 공정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개별적으로 또는 어떤한 바람직한 조합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도 또한 이해하여야 한다. 더나아가, 본 발명자는 모든 그러한 용도 또는 별개의 특허 가능한 발명을 잠재적으로 포함하는 이러한 실시예의 조합을 고려한다는 것과, 이러한 발명의 범위는 종래 기술이 허용하는 것보다 넓게 하고자 한다는 것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고,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재료를 접착하는 방법은 동일 형상을 만들기 위해 제품의 일부에 외력을 가하는 접착 공정을 사용함으로서 독특한 3차원 형상을 구비하는 흡수성 제품(또는 다른 타입의 제품) 또는 그것의 일부를 제공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방법의 비제한적인 일 실시예의 설명 : 합성 생리대용 흡수성 재료의 튜브의 제조에 사용하는 방법
본 발명의 방법은 흡수성 제품을 포함한 여러 상이한 타입의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여러 상이한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방법의 특히 바람직한 적용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8은 합성 생리대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패드의 신체에 면한 측면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합성 생리대는 팬티 보호구(베이스 패드)에 결합되는 제 1 월경 패드(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포함한다. 흡수성 재료의 튜브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접착되고 형성되어 진다. 최종 제품이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포함하는 재료를 접착하는 단계전에(그리고 후에) 수행되는 많은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이들 단계는 선택적이며, 도 13에 도시된 흡수성 제품을 제조하는데 유용하기 때문에 도시되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의 모든 적용이 이러한 선택적인 단계를 포함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방법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방법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A.구성 요소의 조립 단계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되며, 도 13에 도시된 생리대에 사용하기 위한 흡수성 튜브로 형성되는 복합 웨브재(20)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복합 웨브재(20)는 접착제, 열 및/또는 압력 및 초음파 등의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는 접착과 비친화성인 제 1 웨브재(22)와 같은 제 1 재료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 1 웨브재(22)는 "접착 비친화성 재료" 또는 "비친화성 웨브재"라 또한 칭한다.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제 1 표면(22A) 및 제 2 표면(22B)을 구비한다.
제 1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어떤한 적합한 재료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비흡수성 비친화성 재료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다고 하여도, 비친화성 웨브재(22)는 흡수성 재료이다.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압축성 및/또는 탄성이 있을 수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압축성 및 탄성이 있는 다공성 흡수성 재료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웨브재(22)는 웨브 형태의 재료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비친화성 웨브재(22)는 모든 적합한 형상으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입자 또는 섬유의 매스(mass), 박막적층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층, 스트립, 시트, 블록 또는 웨브의 형상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면에 도시된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기 위하여 웨브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제 1 접착성(용이성, 또는 다른 재료에 접착하거나 그것에 다른 재료를 접착시킬 수 있는 정도)을 갖는다. 비친화성 웨브재(22)는 통상의 접착 기술과 완전히 비친화성일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재료가 단지 쉽게 접착될 수 없는 재료일 수 있다. 재료의 접착성은 다른 재료와 접촉하려고 하는 힘 또는 접착부로부터 재료를 분리하는데 필요한 힘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것을 정의하기 위하여, 두 재료를 따로 박리할 수 있는 힘 또는 비친화성 재료의 구조적 보전성이 재료를 분리하려고 시도하는 과정 동안에 파괴되는 힘하에서 어느 쪽이 먼저 발생하던지 분리는 발생한다.
비친화성 웨브재(22)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이유로 다른 재료가 쉽게 접착될 수 없는 재료일 수 있다. 그러한 재료는 그 구조적 보전성 및 조성물 때문에통상의 접착 기술과 비친화성인 경우가 가장 많다. 비친화성 재료의 한 유형으로는 고 분산상(internal phase) 유제(또는 "HIPE" 폼)로 제조된 다공성 중합체성 흡수성 폼 재료가 있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흡수성 폼 재료는, 데스머레이 등에게 1993년 11월 9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0,345 호, 데스머레이 등에게 1993년 12월 7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268,224 호 및 다이어 등에게 1995년 2월 7일에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87,207 호를 포함한 특허 문헌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한 재료는 낮은 인장 강도 및/또는 낮은 구조적 보전성 및/또는 파괴전의 낮은 연신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재료의 구조적 보전성은 접착제 접착부 보다 종종 강하지 못하기 때문에,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들 흡수성 폼 재료에 다른 재료를 접착시키기 어렵다. 결과적으로, 접착제와 직접 접촉하는 비친화성 재료의 일부만이 다른 재료에 접착되어 있을 것이다. 나머지 비친화성 재료는 접착될 재료로부터 쉽게 분리될 것이다. 게다가, 상기 나열된 미국 특허에 개시된 폼 재료는 이들 폼이 열경화성 중합체이기 때문에 가열 접착을 사용하여 다른 재료에 접착될 수 없다. 이 폼 재료는 한번 형성되면, 재융해될 수 없다. 대신에, 폼 재료에 열이 가해질 때, 재료는 가열 접착에 필요한 상태로 녹아 유동하기 보다는 타서 없어질 것이다. 열경화성 폼 재료는 압력하에서 용융되어 유동성을 갖지 않기 때문에, 이 폼 재료는 다른 재료에 가압 접착될 수 없다.
따라서,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쉽게 접착될 수 없는 재료로 또한 불릴 수 있다. 몇개의 예를 들면, 열가소성 재료와는 무관한 가열 밀봉이 불가능한 재료및/또는 낮은 구조적 보전성을 갖는 재료로 또한 불릴 수 있다. 비친화성 재료의 사용은 비친화성 재료를 접착하는 방법을 다루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만 중요할 뿐이라는 것이 또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친화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 그러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다양한 종류의 흡수성 재료를 포함한 어떠한 적합한 재료도 사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비친화성 웨브재(22)는 상술한 특허에 개시된 폼 재료중 하나와 같은 흡수성 폼 웨브재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2 웨브재(24)가 비친화성 웨브재(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싼다.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의 접착성보다 큰 제 2 접착성을 갖는다. 즉, 통상의 접착 기술을 사용하여 다른 재료(또는 그 자체)에 보다 쉽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2 웨브재(24)는 "캐리어(carrier) 웨브" 또는 "접착성 웨브"라고 칭한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예 있어서,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 주위를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감싸서 제 2 웨브재(24)가 단면이 "e"자형으로 접힌 형태를 갖는다.
제 2 웨브재(24)는 열 또는 압력, 접착제 또는 초음파에 의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흡수성 제품의 타입으로 사용되는 적어도 몇개의 다른 재료 또는 그 자체에 접착될 수 있는 어떠한 재료일 수도 있다. 제 2 웨브재(24)는 직조 및 부직 재료와; 천공식 열경화성 필름, 천공식 또는 비천공식 플라스틱 필름 및 하이드로포밍된 열경화성 필름 등의 중합체성 재료와; 다공성 폼, 망사상 폼과; 망사상 열가소성 필름과; 열가소성 스크림(scrims) 등의 넓은 범위의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적합한 직조 및 부직 재료는 천연 섬유(예를 들면, 목질 섬유 또는 면 섬유), 합성 섬유(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섬유 등의 중합체성 섬유), 복합 섬유(즉, 다른 재료로 제조된 외피로 밀봉되는 하나의 재료의 코어를 갖는 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천연 섬유와 인조 섬유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웨브재(2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특히 접착제 또는 다른 접착의 타입이 사용된다면, 제 2 웨브재(24)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제 2 웨브재(24)는 수소 결합에 의해 그 자체에 접착될 수 있는 셀룰로오스 재료일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웨브재(24)는 웨브재와 다른 형태의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에 적용되는 압출식 접착제 코팅 또는 중합체성 코팅과 같은 접착성 층 또는 코팅으로 대체될 수 있다. 접착제, 특히 고온 용융성 접착제는 본 발명의 방법의 이런 실시예를 사용하여 접착될 수 있는 열가소성 재료와 유사하다. 특정 실리콘은, 특히 용융점이 충분히 낮다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또한 접착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제 2 웨브재(24)는 웨브재 이외의 재료가 포함된 것을 분명히 하기 위해 "제 2 재료"로 불릴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재료(24)는 흡수성 제품의 흡수성 재료를 감싸는데 사용하기에 또한 적합한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 2 재료(24)는 흡수성 제품의 흡수성 재료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웨브, 흡수성 제품용 커버 또는 상면시트, 또는 흡수성 제품용 배면시트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2 재료(24)는 스펀접착된(spunbonded) 부직 재료로 제조된 수납 웨브를 포함한다. 하나의 특히 바람직한 스펀 접착식 부직 재료는 워싱턴주 워시걸에 소재하는 화이버웨브, 노쓰 아메리카(Fiberweb, North America)로부터 생산된 제품 번호 065MLPV60U(또는 "P-9")로 불리는 19 g/yd2(22.5 g/m2)의 스펀 접착식 폴리프로필렌 부직 재료이다. 다른 특히 바람직한 부직 재료는 23gsm 및 30gsm의 두가지의 기본 중량으로 생산될 수 있는 독일 파인에 소재하는 코로빈 게엠베하(Corovin GmbH)에 의해 판매되는 COROLIND로 알려진 스펀 접착식 폴리에틸렌 부직 재료이다.
제 2 웨브재(24)가 "e"자형으로 접힌 형태로 비친화성 웨브재(22) 주위를 감싸지만, 웨브재가 사용되는 경우에 제 2 웨브재(24)는 "e"자형으로 접힌 형태로 비친화성 웨브재(22)를 감싸는 것에만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바람직하게, 비친화성 웨브재(22)와 제 2 웨브재(24) 사이의 관계는 비친화성 웨브재(22)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가 단순히 비친화성 웨브재(22)의 2개의 대향 표면[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참조 부호(22A, 22B)]에만 인접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 주위에 부분적으로만 접혀지거나 감싸일 수 있다. 제 2 웨브재(24)는 어떠한 다른 적합한 형태로도 비친화성 웨브재(22) 주위에 접혀지거나 감싸일 수 있다. 다른 적합한 형태는 "C"자형으로 접힌 형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것으로 제한하지는 않는다.
또한,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를 감싸는 단일 웨브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하나(또는 그 이상)의 웨브재가 비친화성 웨브재(22)의 각 표면(22A, 22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분리된 제 2 웨브재(24)일 수 있으며, 그것중 하나가 비친화성 웨브재(22)의 각 표면(22A, 22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2개의 제 2 웨브재(24)는 동일한 타입의 재료일 수 있고 동일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비친화성 웨브재(22)의 각 표면(22A, 22B)에 인접하여 위치된 2개의 웨브재는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른 타입의 재료일 수 있거나, 동일한 기본 타입의 재료일 수 있지만, 다른 특성(예를 들면, 두께 등)을 갖는다.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재료(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와 같은 폭 및 길이를 갖는 웨브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제 2 재료는 접착점을 위한 바람직한 위치에 위치된 스트립, 줄(stripes), 패치(patches) 또는 피스의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제 2 재료(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의 제 1 표면(22A) 및 제 2 표면(22B)의 일부만을 덮을 필요가 있다.
B.선택 중간 단계
(1)비친화성 재료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하는 단계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는 공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 및 성형 단계를 시작하기 전에 비친화성 웨브재(22)는 미립자 재료로 형성될 것이며, 이것은 제 2 웨브재(24)의 내측에 존재한다. 이것은 로날드 알. 맥폴(Ronald R. McFall) 등의 명의로 1998년 2월 20일 출원되고 발명의명칭이 "슬릿이 형성되거나 또는 미립자형인 흡수성 재료를 제조하는 방법"인 공동 양도된 미국 특허 출원 제 09/027,379 호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보다 접착성 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비친화성 웨브재(22)보다 높은 항복 파괴점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계(비친화성 재료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는 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생리대용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기에 아주 바람직한 접착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바람직하게는 수행되는 선택 단계이다. 또한, 비친화성 재료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는 단계는 접착 단계전에 수행되는 것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비친화성 재료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는 단계는 대안적으로는 접착 단계와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선택 단계가 바람직한 이유는 하기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비친화성 웨브재(22)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는 선택 단계는 몇개의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선택 단계(및 여기에 사용된 장치)의 몇개의 실시예가 있지만, 도 2에는 이 단계 및 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계 및 장치는 비친화성 웨브재(22)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킴으로써 비친화성 웨브재(22)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데 사용된다.
제 1 단계는 인장력의 제공하에서 제 1 항복 파괴점을 갖는 "캐리어 웨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2 웨브재(24)가 캐리어 웨브로서 제공된다]. 다음으로, 미립자 재료로 형성하기 위한 웨브재[이 경우에는 비친화성 웨브재, 즉 폼 흡수성 재료(22)] 및 캐리어 웨브는 복합웨브(20)와 같은 복합 구조체로 형성된다. 폼 흡수성 재료(22)는 인장력하에서 부직 캐리어 웨브(24)의 항복 파괴점보다 낮은 제 2 항복 파괴점을 갖는다. 따라서, 비친화성 웨브재(22)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는 처음의 두 단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접착 방법을 위한 준비시에 이미 수행되었다.
복합 웨브(20)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키는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이 장치는 패턴 표면을 그상에 구비한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를 구비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복합 웨브(20)는 이 장치를 이용하여 장치상의 패턴 표면을 복합 웨브(20)내로 압인하는 기계적 변형 단계가 복합 웨브(20)에 수행되어,캐리어 웨브(제 2 웨브재)(24)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폼 흡수성 재료(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미립자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복합 웨브(20)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키는 장치(30)는 두 쌍의 원통형 롤, 즉 제 1 쌍의 롤(32) 및 제 2 쌍의 롤(62)를 포함한다. 각 롤은 그상에 패터닝된 표면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이 패턴은 다수의 삼각형 형상의 치형부를 규정하는 것으로 롤상의 다수의 릿지(ridges) 및 밸리(valleys)에 의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장치의 제 1 쌍의 롤(32) 및 제 2 쌍의 롤(62)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패터닝된 롤(비친화성 재료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는 목적을 위한 것이 아니라고 할지라도)은 채팰 등에게 1996년 5월 21일자로 허여된 "탄성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웨브재"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쌍의 롤(32)내의 롤은 롤의 원주 주위에 배향된 릿지 및 밸리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 형상의 치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치형부는 단면이 이등변 삼각형의 형태의 단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치형부의 끝은 필요하다면 약간 둥글수 있다. 제 1 쌍의 롤(32)에서 상부 롤(34) 및 하부 롤(36)은 상부 롤(34)의 릿지(38)가 하부 롤(36)상의 밸리(40)와 일직선으로 정렬하도록 정렬된다. 상부 롤(34)상의 릿지 및 하부 롤(36)상의 밸리를 형성하는 삼각형 형상의 치형부는 이 치형부가 서로 접촉하지 않거나 완전히 "맞물리게" 하도록 이격된다.
이 치형부는 어떤 적합한 사이즈 및 피치를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피치"는 인접한 치형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를 칭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치형부의 깊이(또는 높이)는 약 0.1inch 내지 약 0.17inch(약 2.5mm 내지 약 4.3mm)가 바람직하다. 피치는 약 1mm 내지 약 5mm가 바람직하며, 약 1.5mm 내지 약 2.5mm가 보다 바람직하다. 치형부의 피치는 흡수성 재료가 절단되거나 잘리는 피스의 폭을 설정한다.
또한, 하부 롤(36)은 하부 롤의 축선(X)에 평행하게 배향된 하부 롤(36)의 표면상에 몇개의 균일하게 이격된 얇은 평면 채널(4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롤(36)에서 멀리 이격된 채널(44)은 2mm의 폭을 갖는다. 멀리 이격된 채널 사이의 하부 롤의 원주 주위에서 측정되는 하부 롤(36)내의 치형부의 "길이"는 8mm이다. 바람직하게, 롤(34, 36)은 역방향으로 구동된다.
바람직하게, 상부 롤(34)상의 삼각형 형상의 치형부 및 하부 롤(36)상의 밸리(40)는 부분적으로 상호 맞물리도록 이격되어야 한다. 대향 롤상의 치형부가 상호 맞물리는 정도를 본 명세서에서는 치형부의 "맞물림"이라 칭한다. 치형부의 맞물림은 각각의 롤상의 치형부의 선단이 동일 평면(0% 맞물림)에 있는 위치와 하나의 롤의 치형부의 선단이 대향 롤상의 밸리를 향하는 평면을 지나 내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 사이의 거리이다. 치형부의 맞물림은 피치(하나의 롤상의 치형부의 선단 사이의 거리)의 퍼센트로 표현될 수 있거나 측정 거리로 표현될 수도 있다. 치형부의 높이가 피치보다 더 클 수 있기 때문에, 맞물림은 100%(예를 들면, 맞물림이 피치 길이보다 큰 경우)보다 큰 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맞물림은 피치 길이의 약 15% 내지 약 120% 정도이다. 측정 길이로 표현된 맞물림은 바람직하게는 약 0.01inch 내지 약 0.07inch(약 0.25mm 내지 약 0.18mm)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inch 내지 약 0.06inch(약 1mm 내지 약 1.5mm)이다.
참조 부호(A)로 표시된 단계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웨브(20)는 롤(34, 36) 사이의 닙(nip)내로 기계 방향(MD)으로 공급된다. 공정의 단계에서 제 2 웨브재(24)는 캐리어 웨브로서 제공된다. 캐리어 웨브인 제 2 웨브재(24)는 미립자 재료내에 형성되어 대략 세로로 잘려지는 비친화성 웨브재(22)를 보유 수납한다. 제 2 웨브재(24)는 비친화성 웨브재(22)의 외측을 감싸서 제 2 웨브재(24)가 롤(34, 36)상의 패턴 표면과 면하도록 한다.
롤(34, 36)은 복합 웨브(20)내에 패턴 표면을 그상에 압각함으로써 기계적인 변형 단계를 복합 웨브(20)에 가한다. 기계적인 변형 단계는 비친화성 폼 흡수성 웨브재(22)의 항복 파괴점보다 크나 부직 캐리어 웨브[(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제 2 웨브재](24)의 항복 파괴점보다는 작은 힘을 가하여, 캐리어 웨브(24)에 슬릿을형성시키지 않으면서 비친화성 폼 흡수성 웨브재(2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슬릿이 형성된다.
도 2는 제 1 쌍의 롤(32) 사이의 닙을 통과한 후에 단계 B에서의 복합 웨브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웨브(24)에는 인접한 롤(34, 36)상의 패턴의 조합에 대응하는 주름(corrugations)의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캐리어 웨브(24)는 슬릿이 형성되거나 절단되지 않는다. 폼 흡수성 중간 웨브재(22)는 다수의 슬릿(slits)(50)이 그내에 형성되어 있다. 슬릿(50)은 기계 방향(또는 "MD")으로 배향된다. 도시된 특정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50)은 슬릿되지 않은 재료(52)의 횡단 기계 방향(또는 "CD") 밴드에 의해 중단되고 분리된다. 이것은 하부 롤(36)상에 채널(44)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폼 흡수성 웨브재(22)가 캐리어 웨브(24)보다 낮은 항복 파괴점을 갖기 때문에, 캐리어 웨브(24)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는 반면에, 폼 흡수성 웨브재(22)는 슬릿이 형성되며, 폼 흡수성 웨브재(22)는 인장력(변형 단계)하에서 파괴되는 반면에, 캐리어 웨브(24)는 그렇지 않다.
공정중의 이 시점[제 1 쌍의 롤(32)과 제 2 쌍의 롤(62) 사이의 위치 B]에서, 복합 웨브(20)상에 추가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합 웨브(20)는 제 1 쌍의 롤(32)과 제 2 쌍의 롤(62) 사이에서 분리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복합 웨브(20)는 제 1 쌍의 롤(32)중의 하나의 롤상에 위치된 절단 블레이드에 의해 분리된 길이로 절단될 수 있다. 복합 웨브(20)는 도 13에 도시된 생리대용으로 바람직한 튜브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절단된다.
더나아가,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연속 웨브재(56)와 같은 추가 웨브재는 제 1 쌍의 롤(32)과 제 2 쌍의 롤(62) 사이에서 복합 웨브(20)에 결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추가 웨브재는 개별 피스로 절단되고, 제 1 쌍의 롤과 제 2 쌍의 롤 사이에서 복합 웨브(20)에 결합될 수 있다.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와 복합 웨브(20)의 결합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면을 간략화하기 위해 도 2에서 생략하였다. 바람직하게,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는 접착제에 의해 복합 웨브(20)에 결합된다.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튜브 형성 복합물"(또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로 불리는 구조체를 형성한다.
복합 웨브를 기계적으로 변형시키기 위한 장치(30)의 제 2 쌍의 롤(62)은 각기 상부 롤(64) 및 하부 롤(66)을 포함한다. 또한, 이들 각각의 롤은 그것의 표면상에 패턴을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롤(64)은 그 축선(X)에 평행하게 진행하는 릿지를 구비한다. 이 릿지는 다수의 삼각형 형상의 치형부(68)를 규정한다. 또한, 상부 롤(64)은 원통형 롤의 원주 주위로 배향된 몇개의 멀리 이격된 채널(70)을 구비할 수 있다.
복합 웨브(20)가 제 2 쌍의 롤(62) 사이의 닙을 통과할 때에 폼 흡수성 재료(22)의 적어도 일부에는 횡단 기계 방향으로 배향된 다수의 슬릿(80)이 더 제공되는 것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기계 방향으로의 이러한 최초 슬릿을 형성한 후에 횡단 기계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는 것은 폼 흡수성 재료(22)가 다수의 입자로 형성되거나 잘라지게 한다. 폼 흡수성 재료(22)는 제 2 쌍의 롤(62)내에 채널(70)의 존재에 의해 그내에 남겨진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스트립(84)을 선택적으로 구비하며, 더욱이, 제 1 쌍의 롤(32)의 하부 롤상의 채널의 존재에 의해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재료의 밴드를 횡단 기계 방향으로 구비한다.
다시, 부직 캐리어 웨브(24)에는 슬릿이 형성되지 않으나, 다른 패턴이 그내에 형성된다. 그내에 형성된 전체 패턴은 제 1 쌍의 롤(32) 및 제 2 쌍의 롤(62)에 의해 형성된 압각의 조합을 갖는 격자와 유사하다.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56)에는 제 2 쌍의 롤(62)의 패턴과 유사한 패턴이 그내에 형성될 것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장치를 통하여 공급된 후의 복합 웨브(20)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의 시트는 제 1 및 제 2 쌍의 롤 사이에 복합 웨브(20)의 개별 길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의 시트는 복합 웨브(20)가 절단되는 개별 길이와 폭은 대략 동일하나 길이는 보다 긴 사이즈가 바람직하다는 것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는 복합 웨브재의 개별 길이의 단부를 지나 연장하여, 일단 형성된 흡수성 재료의 튜브는 생리대에 동일한 단부만을 부착함으로써 생리대에 보다 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쌍의 롤에 의해 부직 재료(24)내에 압각된 패턴은 생략되거나 간략화하였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게다가, 비친화성 폼 흡수성 재료(22)는 간략화하기 위해 입자(82)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즉,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스트립은 비친화성 재료(22)에 남아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음]. 그러한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쌍의 롤(62)상의 롤에 연속 치형부를 제공하고 치형부 사이의 밸리(40) 및 채널(70)을 생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2)튜브 형성 복합 웨브를 접는 선택 단계
도 13에 도시된 생리대용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다음 단계는 복합 웨브(20) 및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의 조합체와,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을 접는 단계이다. 이런 선택적이나 바람직한 접는 단계는 다음 몇개의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종방향으로 배향된 접는선(F)이 도시되어 있고, 이 접는선(F)을 중심으로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90)가 우선 접혀진다. 그 측면 가장자리(90)가 제 1 접는 작업에서 접는선(F)을 따라 접혀져서 "C"자형 접힘구조체를 형성한 후의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제 2 접는 작업에서 접혀진 후의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는 그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접혀졌다. 결과적으로, 미리 접혀진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90)는 서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90)는 접혀진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 내측에 밀어 넣어진다. 도 5에 도시되 바와 같이, 접혀진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90)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종방향 중심선(L)에 인접하여 놓인다. 이제, 도 5에 도시된 접혀진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는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착되도록 준비된다(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단계는 도 13에 도시된 생리대용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기 위한 전적으로 선택적이나 바람직한 단계이다).
C.비친화성 재료를 접착(및 성형)하는 단계
(1)개관
가장 일반적인 의미로서,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를 접착(및 성형)하기 위하여, 보다 큰 제 2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부직 웨브재)(24)가 비친화성 재료(흡수성 폼 재료)(22)의 외측에 위치된다. 접착되는 실제 구조의 단면(도 7에 도시됨)은 상술한 것보다 다소 복잡하지만, 본 설명을 목적으로, 상술된 대체적인 관계(비친화성 웨브재의 외측에 위치된 보다 큰 제 2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와의 관계)가 설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동일 외측상에 보다 큰 제 2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 즉 부직 웨브재(24)를 구비한 비친화성 재료, 즉 흡수성 폼 재료(22)는 다수의 자생 접착부(94)와 접착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자생(autogenous)"은 재봉 실과 같은 어떤 다른 추가 재료(즉, 접착될 구성 요소에 추가 재료) 또는 접착제 없이 접착하는 것을 칭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그러한 자생 접착의 접착제 첨가 또는 접착제 접착 자체를 배제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접착부(94)는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를 관통한다. 바람직하게, 접착부(94)는 부직 웨브(24)의 일부분을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의 대향 측면상의 부직 웨브(24)의 다른 부분에 결합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비친화성 재료를 접착시키도록 하는 단계로 작용하고, 또한 독창적인 3차원 형상을 갖는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공하도록 작용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임의의 적합한 수의 접착부(94)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94)는 임의의 적합한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3의 생리대용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제조하기 위해, 2 내지 5개의 접착부(94)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접착부(94)가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접착부(94)는 약 1.75inch(약 4.4cm)로 이격되어 있으며,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종방향 중심선(L)을 따라 형성된 접힘부로부터 약 17mm에 위치된다.
바람직한 자생 접착 단계는 열 및/또는 압력을 사용하거나 초음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열 및/또는 압력 접착 및 특히 동적 접착을 위한 적합한 기술은 하기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초음파로 접착하기 위한 적합한 기술은 1984년 2월 7일에 스케퍼(Schsfer)에게 허여된 "초음파 접착 공정(Ultrsonic Bonding Process)"이라는 명칭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의 미국 특허 제 4,430,148 호 및 1989년 4월 25일에 윌하이트 주니어(Willhite, Jr.) 등에게 허여된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웨브를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착하여 박막적층체 웨브 및 그로부터 절단된 제품을 형성하는 방법(Adhesive-Free Bonding of Continuously Moving Web to From Laminate Web and Products Cut Therefrom)"이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 제 4,823,783 호에 개시되어 있다. 초음파 접착용의 적합한 장치는 미국 코넥티컷주 댄버리 소재의 브랜슨 울트라소닉스(Branson Ultrasonics)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초음파 접착 장치는 동적 접착 공정을 위해 하기에 설명되는 것과 유사한 패턴 요소를 갖는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초음파 접착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보다 큰 두께의 구조의 일부를 접착하는데 사용하기에(동적 접착 공정보다) 덜 바람직할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동적 접착 공정은 초음파 접착 공정 보다 양호한 몇가지의 다른 장점을 갖는다. 첫번째로, 고속으로 작업할 수 있는 연속 공정일 수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초음파는 접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정 운전 정지 시간(dwell time)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정적 헤드를 구비한 장치의 사용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초음파 접착 공정에서, 접착될 웨브는 접착부를 완료할 때까지의 시간 동안에 정지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초음파 접착 공정은 일정 양 이상의 두께(예를 들면, 약 4mm 이상)를 갖는 재료를 접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동적 접착 공정은 그러한 두께를 갖는 재료를 쉽게 접착시킬 수 있다.
이전 단계에서 흡수성 재료(22)를 미립자 재료로 형성시키거나 슬릿을 형성하는 단계는 접착 공정에 유리하다. 이것은 슬릿 또는 미립자 재료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이 접착부가 흡수성 재료를 관통하도록 하는 연속 공간 경로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것은 접착부가 슬릿 또는 입자 사이의 공간과 정렬되는 경우이다. 이것은 슬릿 또는 미립자 재료가 캐리어 웨브에 접착되는 곳에서 가장 유사하게 발생할 수 있다. 흡수성 재료를 단지 자르고 밀폐 튜브내로 압축 공기에 의해 그것을 불어넣는, 흡수성 재료를 자르는 종래의 방법은 잘린 입자가 불규칙하게 분포될 것이다. 그러한 방법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접착 공정을 위한 공간 통로를 형성할 수 없을 것이다.
상술된 바와 같은 동적 접착 공정은 함께 흡수성 폼 재료(22)의 각 측면상의제 2 웨브재(부직 커버링)(24)의 접착 부분을 포함한다. 또한,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는 동적으로 함께 접착되는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는 함께 부직 커버링(24)의 접착 부분에 추가적으로 또는 선택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동적 접착 공정에 있어서, 접착될 적어도 하나의 재료[부직 커버링(24) 또는 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56)]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천공식 필름 상면시트 재료의 부분은 공정중 유사하게 접착될 수 있다고 하여도, 간략화를 위해, 접착은 부직 커버링(24)의 접착 부분으로서 함께 하기에 표현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8은 커버 재료(24)의 제 1 부분(24A)이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통하여 커버 재료의 제 2 부분(24B)에 바람직하게 접착되는 공정을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접착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한쌍의 원통형 롤(110, 11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롤, 즉 패터닝된 롤(110)은 그 표면상에 양각(relief) 패턴을 갖는다. 패터닝된 롤(110)은 도 8에 간단히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 보다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그러나,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패턴과 약간 다른 양각 패턴을 그상에 구비한 롤을 도시하고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터닝된 롤(110)은 원통형 표면(115)과, 이 표면(115)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는 다수의 돌기 또는 패턴 요소[또는 "패턴 요소 세그먼트", "돌출부" 또는 "너브(nubs)"](116)를 구비한다. 패턴 요소(116)에 의해 형성된 양각 패턴은 임의의 적합한 형태일 수도 있다. 양각 패턴은 선형, 곡선형일 수 있으며, 선형 세그먼트 및 곡선형 세그먼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양각 패턴은 연속적이거나 간헐적일 수 있다. 양각 패턴은 비제한적인 갯수의 패턴 및 다른 타입의 디자인을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각 패턴은 기하학적 형상, 화살표, 문자 등을 규정할 수 있다. 또한, 패턴 요소상의 랜드(land) 표면(118)은 광범위한 여러 가능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랜드 표면(118)의 적합한 형상은 타원형 및 원형을 포함하나 이것으로만 제한하지는 않는다.
도시된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양각 패턴은 원형의 랜드 표면(118)을 구비한 다수의 멀리 이격된 패턴 요소(116)를 포함한다. 도 8에 도시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 요소(118)는 간헐적인 선형 형태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적합한 형상 및 사이즈의 접착부에 적용되도록 의도되어 있지만, 접착부 사이즈는 약 0.25mm 내지 약 5mm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갖는 원형 형태를 갖는 것이 적합한 거으로 알려져 있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부는 약 3mm의 직경 및 8mm2의 면적을 갖는다.
패턴 요소(116)는 원통형 롤의 표면과 바람직하게는 수직이 아닌 측면 벽(119)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은 원통형 롤의 표면(115)과 45°보다 크고 90°보다는 작은 각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약 70° 내지 약 90°의 각을 형성한다.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의 배향을 변경하는 것은 접착될 재료의 두께로 인해 그리고 커버 재료(24)의 인열을 방지하는데 필료하다.
다른 롤(112)은 앤빌 부재로 작용하고, 그에 따라 앤빌 롤(112)이라고 한다.패터닝된 롤(110) 및 앤빌 롤(112)은 그 사이에서 압력 바이어스식 닙(114)을 규정한다. 바람직하게, 앤빌 롤(112)은 표면이 매끈하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두 롤(110, 112) 모두는 양각 패턴 및/또는 패턴 요소를 그 위에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터닝된 롤(110) 및 앤빌 롤(112)은 약 20,000psi(약 140Mpa) 내지 약 200,000psi(약 1,400Mpa)의 소정의 패턴 요소 부하로서 서로를 향하여 바이어스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롤은 서로를 향하여 바이어스되어 닙(114)내의 압력이 약 93,700psi(약 656Mpa)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될 재료는 비교적 고속으로 닙(114)을 통하여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라인의 속도는 약 383ft/분(약 117m/분)이다.
바람직하게, 패터닝된 롤(110) 및 앤빌 롤(112)은 그 사이에 표면 속도차가 존재하도록 상이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된다. 표면 속도차는 바람직하게는 보다 낮은 표면 속도를 갖는 롤의 약 2% 내지 약 40%의 크기를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의 크기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앤빌 롤(112)은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 속도보다 빠른 표면 속도로 작동된다. 그러나, 빠른 라인 속도로 접착이 0의 속도차에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즉, 닙은 동일한 표면 속도를 갖는 롤을 규정한다).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포함하는 다수의 박막은 롤(110, 112) 사이의 닙(114)내로 다수의 박막을 공급함으로서 접착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접착 공정은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관통하고, 커버 재료(24)의 제 2 부분(24B)에부직 커버 재료(24)의 제 1 부분(24A)을 자생적으로 접착시킨다. 접착부(94)는 폼 재료(22) 외측에 위치된 보다 큰 제 2 접착성을 갖는 부직 웨브재(24)의 대향 부분 사이에 형성된다.
어떤 특정한 이론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비친화성 재료의 접착이 이뤄지게 하는 기구는 하기와 같다. 접착 기구의 패턴 요소(116)는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를 압축한다. 이러한 국부적인 압축은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가 패턴 요소(116)의 영역으로부터의 파괴 및 분리(압점으로부터 멀리 움직임)를 유발한다. 접착 기구는 접착성 재료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한 공간 경로가 존재하도록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를 관통하여 얇게 자르거나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의 입자를 변위시킨다. 바람직하게, 비친화성 흡수성 폼 재료(22)중 매우 적은 부분(만약에 있을 경우)이 접착 부분에 남게된다.
접착부에 의한 비친화성 재료의 관통에 추가하여,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몇가지 다른 중요한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특징은 큰 두께의 재료가 접착되도록 하며, 접착될 재료에 사실상 비제한적인 갯수의 접착 패턴을 형성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패터닝된 롤(110)은 그 표면(115)상에 유연성(또는 압축성) 재료(120)를 구비한다. 또한, 패터닝된 롤(110)은 그 표면(115)상에 한쌍의 부하 베어링 부재(1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 요소의 목적은 하기에서 설명된다.
유연성 재료(120)의 목적은 접착될 재료를 압축하여, 패턴 요소(116)가 커버 재료(24)에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커버 재료에 구멍이 형성되면, 커버 재료가 접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용융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접착부가 형성되지 않거나, 약한 접착부가 형성될 것이다. 압축 단계는 접착하기 전에 또는 그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다. 유연성 재료의 사용은 접착될 재료가 상대적으로 두꺼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유연성 재료는 접착될 재료가 보다 얇을 경우에 생략될 수 있다. 도 12는 유연성 재료(120)가 패턴 요소(116)를 바람직하게 감싸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9 및 도 10은 유연성 재료(120)의 기능을 이해하도록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패턴 요소(116)를 감싸는 유연성 재료 없이 패터닝된 롤(110)과 앤빌 롤(112) 사이의 닙(114)을 통과하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료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 요소(116)는 접착될 재료, 특히 커버 재료(24)내의 큰 국부적인 응력으로 인해서 접착될 재료에 구멍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다.
도 10은 패터닝된 롤(110)과 앤빌 롤(112) 사이의 닙(114)을 통과하는 동일하게 상대적으로 두꺼운 재료로서, 패턴 요소(116)를 감싸는 유연성 재료(120)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성 재료(120)는 패터닝된 롤(110)과 앤빌 롤(112) 사이의 공간을 차지한다. 유연성 재료(120)는 접착될 재료가 패턴 요소(116)의 영역내에서 점차적으로 압축되도록 한다. 이것은 커버 재료(24)의 2개의 층이 커버 재료(24)에 추가 변형을 가하지 않으면서 접착 동안에 서로 보다 근접하게 한다. 이것은 커버 재료(24)를 인열시키거나 커버 재료(24)의 층 사이에 위치된 폼 재료(22)를 관통하는 구멍을 펀칭하지 않으면서 접착부(94)가 제조되도록 한다.
이러한 작업 방법은 하기의 유사예를 고려함으로써 시각화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원리는 못박는 총(nail gun)을 사용하여 다른 재료에 6inch(15cm) 두께의 피스의 유리 섬유 하우징 차폐체를 고정하려는 시도의 문제와 유사하다. 만약 유리 섬유가 압축되지 않을 때에 이것이 시도된다면, 못이 발사될 때에 차폐체를 관통하고 차폐체를 완전히 통과할 것이다. 그러나, 유리 섬유 차폐판이 못 박는 총으로 그것을 고정하려고 시도하기 전에 압축된다면, 이것은 이뤄지지 않고, 못이 차폐체를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재료(120)는 일정한 특성을 갖는다. 유연성 재료(120)는 접착될 재료보다는 압축성 작으며,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115)보다는 압축성이 큰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유연성 재료(120)는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115)의 경도보다 작은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 재료(120)는 바람직하게는 약 50의 쇼어 A 스케일 경도(듀로미터를 사용하여 측정된 경도) 내지 약 62의 로크웰 C 스케일 경도 갖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약 100의 쇼어 A 스케일 경도를 갖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0의 쇼어 A 스케일 경도를 갖는다[로크웰 C 스케일 경도 62는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115)을 포함하는 D2 강철의 경도이다][앤빌 롤의 표면은 어떠한 적합한 경도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앤빌 롤(112)의 표면은 패터닝된 롤(110)의 경도 이상의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연성 재료(120)는 어떤 적합한 타입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중합체성 재료, 황동 및 고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연성 재료(120)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재료(120)는 접착될 재료보다 폭이 넓다. 이것은 접착될 재료의 전체상에 걸쳐서 압력을 균일하도록 한다. 유연성 재료(120)는 어떤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재료(120)의 두께는 커버 재료(24)를 관통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문제를 방지하는 일부 분명한 효과를 갖도록 충분히 크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재료(120)의 두께는 패턴 요소(116)의 높이보다 크지는 않다. 예를 들면, 패턴 요소는 약 2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약 90A의 쇼어 A 스케일 경도를 갖는 유연성 폴리우레탄 재료는 약 1.5mm의 높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고 알려졌다.
바람직하게, 유연성 재료(120)는 패터닝된 롤의 표면(115)에 부착된다. 유연성 재료(120)는 용접 또는 접착제에 의한 방법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방법으로 패터닝된 롤(110)에 부착될 수 있다.
부하 베어링 부재(122)의 목적은 패터닝된 롤(110)의 균형을 잡는 것이다[즉, 접착될 재료가 패터닝된 롤(110)과 앤빌 롤(112) 사이를 통과할 때, 패터닝된 롤(110)상에 힘을 균일화하는 것이다]. 부하 베어링 부재(122)의 사용은 패터닝된 롤(110)상의 패턴이 "불평형" 또는 "불균형"일 때에 특히 바람직하다. "불평형" 또는 "불균형"이라 함은, 패터닝된 롤(116)이 패터닝된 롤(110)과 앤빌 롤(112) 사이의 닙(114)에서의 압력이 패턴 요소(116)의 랜드(118)의 표면적 차이 및/또는 패턴 요소(116)의 분포에 의해 패터닝된 롤(110)의 원주 주위에서 변화하는 방법으로 분포되는 것을 의미한다.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접착 패턴이 균형을 이룰 때에는 생략될 수 있다.그러나, 하기에 보다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보다 큰 높이를 갖는 패턴 요소(116)를 사용하여 보다 큰 가요성을 제공하도록 접착 패턴이 균형을 이룰 때에도 부하 베어링 부재(12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어떤 적합한 형태로도 될 수 있다.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 주위에서 연속 링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부하 베어링 부재(122)가 간헐적인 요소의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부하 베어링 부재(122)가 간헐적인 요소의 형태이면,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의 원주 주위에 연속 링을 효과적으로 형성시키는 방법으로 패터닝된 롤(110)의 원주 주위에 서로 엇갈리는 배열이 바람직하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 주위에 연속 링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의 각 측면 에지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부하 베어링 부재(122)는 접착될 재료가 접촉하는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115) 부분의 측면으로 외부에 위치된다[즉, 패터닝된 롤(110)의 중앙 부분과 패터닝된 롤(110)의 측면 에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앤빌 롤(112)이 부하 베어링 부재(122)와 직접 접촉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접착될 재료가 롤 사이의 닙(114)내로 공급될 때에도 이러한 접촉이 발생할 것이라 믿어진다. 이러한 접촉은 닙(114)내에 접착될 재료의 압축, 및 서로를 향하여 롤을 바이어스하도록 인가되는 큰 힘하에서 롤의 변형에 따라 발생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도 11 및 도 12는 부하 베어링 부재(122)의 기능을 이해하도록 보다 상세하게 비교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타입의 베어링 부재를 구비하지 않는 패터닝된 롤(1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패터닝된 롤(1110)상의 패턴 요소(1116)의 분포는 "차례로 포개어져 있고", 균형을 이루고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차례로 포개어져 있는"이란 것은 하나가 패터닝된 롤(1110)의 원주 주위에 진행하는 패턴에서 볼 때, 오버랩의 정도를 나타내는 패턴 요소(1116)의 분포를 칭한다. 이것은 앤빌 롤(1112)이 닙 영역(1114)에서 패턴 요소(1116)의 상부를 지나 연속적으로 나아가고, 각 패턴 요소(1116) 사이에서 아래로 떨어지지 않거나 가라앉지 않는 것을 보장한다. 패턴 요소(1116)가 차례로 포개어져 있지 않고 앤빌 롤(1112)이 패턴 요소(1116) 사이에서 아래로 가라앉으면, 매우 고압으로 근접하게 서로 유지되고 고속으로 회전하는 롤은 자동차의 펑크난 타이어와 유사하게 극도로 거친 방법으로 작동할 것이다.
도 11에 도시된 패터닝된 롤(1110)에 있어서, 롤의 다른 부분상에 도시된 그룹과 유사한 패턴 요소의 동일한 그룹이 있다. 또한, 패턴 요소의 그룹 사이에 지지대(bearer) 또는 지지대 스트립(1124)이 있다. 패턴 요소의 다른 동일한 그룹은 롤 표면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기 때문에 도 11에 보여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패턴 요소의 단일 그룹 및 지지대(1124)는 논의중인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충분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이 균형을 이룰 때, 어떤 지지대 및 지지대 스트립(1124)도 패터닝된 롤(1110)의 원주 주위에 불연속적인(또는 간헐적인) 배열로 단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지지대(1124)는 패턴 요소(1116)가 존재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된다. 이것은 부하 기구로부터의 총 힘이 패터닝된 롤(1110)이 회전할 때에 패턴 요소로부터 지지대(1124)까지 전달되기 때문이다. 균형잡힌 패턴은 롤 주위의 임의의 점에서 닙내의 접착 영역(즉, 닙내에서 접촉하는 롤의 부분의 표면 영역)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기 때문에 요구된다. 만약 변화하도록 허용된다면, 접착 압력도 또한 변화할 것이며, 그 결과로 불일치 접착부가 될 것이다.
도 12는 패턴 요소(116)가 그상에 차례로 포개어져 있지 않고 불균형한 패턴을 갖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의 실시예로 사용될 수 있는 패터닝된 롤(110)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단일 그룹의 패턴 요소(116)를 구비한 패터닝된 롤(110)의 일부만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지만, 패터닝된 롤(110)은 패터닝된 롤(110)의 원주 주위에 이격된 도트의 몇개의 유사한 패턴을 바람직하게는 포함한다("도트"는 패턴 요소가 원형의 랜드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의미한다). 각 그룹의 도트는 논의중인 제품상에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바람직한 배열로 분포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튜브 형성 복합 웨브를 접착하기 위하여, 각 그룹의 도트는 3개의 도트의 선형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음순간 장치(1020)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각 그룹의 도트는 도 16에 도시된 패턴 요소의 그룹의 경우에서와 같이 4개 또는 5개의 도트의 반원 배열로 될 수 있다.
이러한 논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패터닝된 롤(110)의 원주 주위에 6개의 그룹의 도트가 있다는 것을 고려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모든 패턴 요소(116)는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3개의 도트 패턴은 직경이 2mm인 원형 접착 표면을 규정하는 랜드를 구비한 패턴 요소(116)를 구비한다. 다른 3개의 도트 패턴은 직경이 3mm인 원형 접착 표면을 구비한 패턴 요소(116)를 구비한다. 패턴 요소(116)의 그룹은 2mm 직경의 패턴 요소의 그룹을 따르는 3mm 직경의 패턴 요소의 각 그룹을 구비한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 주위에서 교호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베어링 부재(122)의 발명전에 2mm 직경의 패턴 요소 및 3mm 직경의 패턴 요소 모두를 사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기 위해 본 발명자에게 공지된 편리한 방법은 없었다. 예를 들면, 종래의 롤 장치를 사용하여, 2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3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부를 형성시키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적절한 압력이 2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면, 3mm 직경의 패턴 요소를 사용하여 접착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충분한 압력이 되지 않았다. 또한, 반대도 사실이었다(3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2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부를 형성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다). 적절한 압력이 3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부를 형성한다면, 압력은 2mm 직경의 패턴 요소로 접착하기에 너무 높게 되어 구멍이 접착될 재료를 관통하여 펀칭되었다.
다음에, 본 명세서에 설명된 베어링 부재(122)가 개발되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의 원주 주위에 연속 링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터닝된 롤(110)의 동적 균형을 보장하기 위해, 패턴 요소의 표면 영역과 동등한 재료의 양이 베어링 부재로부터 제거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122)는 각 측면상의 작은 절취 영역(126)을 바람직하게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절취 영역(126)은 패턴 요소(116)가 위치된 패터닝된 롤의 표면상에 동일한 종축선을 따라 위치된다. 각 패턴 요소(116)용 2개의 절취 영역(126)이 있다. 도 12에 도시된 절취 영역(126)은 각각 반원 형상이다. 바람직하게, 각 절취 영역(126)의 사이즈는 동일 동축선상에 위치된 패턴 요소(116)의 표면 사이즈의 1/2과 같다.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 및 패턴 요소(116)의 표면 이상의 경도를 갖아야 한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재(122)는 어떠한 적합한 타입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패터닝된 롤(110) 및 패턴 요소(116)의 표면과 같이, 베어링 부재(122)는 D2 강철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어링 부재(122)는 패턴 요소(116)의 높이 보다 작거나 크거나 동일한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공정 설정을 간략화하기 위해서, 베어링 부재(122)의 두께는 패턴 요소의 높이와 동일하다. 예를 들면, 패턴 요소(116)는 약 2mm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비제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122)는 약 2mm의 높이를 갖는 것이 적합하다고 알려졌다. 베어링 부재(122)는 어떠한 적합한 폭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을 따라 점유된 종방향으로 배향된 영역(즉, 패터닝된 롤의 축선에 평행하게 배향된 영역)의 각 부분을 따르는 표면 영역이 제공하는 폭을 갖으며, 그 폭은 동일 영역에 놓인 패턴 요소(116)상의 랜드(118)의 총 표면 영역의 폭보다 크거나 동일하다.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베어링 부재(122)는 약 6mm의 폭을 갖는다[절취 영역(126)을 포함하지 않는 베어링 부재(122)의 일부분을 관통하여 측정된 경우].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115)에 부착된 별개의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베어링 부재(122)는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베어링 부재(122)가 패터닝된 롤(110)에 부착되는 경우에, 용접에 의한 방법과 같은 어떤 적절한 방법으로 부착될 수 있다.
어떤 특정한 이론에 의해 제한됨이 없이, 베어링 부재(122)는 접착 영역에서 압력이 더 이상 패턴 요소의 표면적의 함수 또는 패턴 요소의 존재 유무의 함수만은 아니기 때문에 불균형 패턴을 사용하여 접착되도록 허용한다고 믿어진다. 베어링 부재(122)에 의한 접착 영역에서의 압력은 롤, 특히 패터닝된 롤(110)의 재료 성질 및 접착될 재료 뿐만 아니라 패턴 요소(116) 및 베어링 부재(122)의 기하학적 형상(즉, 높이 및 표면적)에 의해 제어된다. 접착이 상대적으로 고압하에서 이루어질 때에 롤의 변형, 특히 패턴 요소(116)의 변형이 있다고 믿어진다. 접착 영역에서의 압력은 패턴 요소(116)에서 압축성 휨을 초래한다고 믿어진다. 또한, 접착 영역에서의 압력은 패턴 요소의 기재 주위에서 패터닝된 롤(110)의 표면에 일정 정도의 휨을 초래할 수 있다. 패턴 요소(116)와의 접촉점의 위치에서 앤빌 롤(112)상의 국부 휨이 또한 가능하다.
패턴 요소(116) 및 주위 영역내의 변형의 크기는 이러한 공정에 의해 형성된 접착부의 두께와 거의 비슷하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부는 약 0.0015inch 내지 약 0.002inch(약 0.038mm 내지 약 0.05mm)의 범위의두께를 갖는다. 이러한 변형은 심지어 패턴 요소(116)가 존재하는 영역 및 접착될 개재 재료가 패터닝된 롤(110)과 앤빌 롤(112) 사이의 닙(114)내로 공급되는 영역에서도 앤빌 롤(112)이 베어링 부재(122)와 일정 접촉을 유지하도록 한다. 이것이 가능하도록 부하력은 베어링 부재(122)와 앤빌 롤(112) 사이에서의 일정 접촉을 보장하도록 충분히 커야 한다. 따라서, 베어링 부재(122)는 앤빌 롤(112)이 패턴 요소(116)의 압축성 휨을 보다 더 방지하도록 "정지부"로서 작용한다.
베어링 부재(122)는 충분히 강하게 설계될 수 있어서 앤빌 롤(112)이 베어링 부재(122)와 일단 접촉되면, 패턴 요소(116)상에 접착 압력의 증가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도록 한다. 부하력이 증가된다면, 베어링 부재(122)에 작용하는 부하만이 베어링 부재(122)가 매우 견고하다고 가정하면 증가할 것이다.
패터닝된 롤(110)의 균형은 특히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접착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는 패터닝된 롤의 원주 주위에 상이한 사이즈의 랜드를 구비한 패턴 요소를 구비하는 접착 패턴을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접착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는 이전의 기계적 제한이 가해질 수 없었던 것에도 사용될 수 있다. 접착부 패턴은 차례로 포개어져 있는 패턴 요소를 구비할 필요는 없으며, 접착부 패턴은 균형을 이룰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접착 공정전에 있어서, 도 1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패턴과 같은 차례로 포개어 지고 균형을 이루는 복잡한 패턴의 생성은 극도로 복잡한 설계 공정을 포함한다. 패터닝된 롤의 균형은 접착 패턴이 차례로 포개어지고 균형을 이루는 것을 보장하도록 복잡한 설계 작업을 거칠 필요성을 제거한다.
게다가, 접착 패턴은 공정의 제한보다 차라리 소비자 기호에 적합하거나 어떤 특별한 접착의 필요성에 적합하게 맞추어 제조될 수 있게 한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미적(aesthetic) 목적 또는 다른 목적을 위해 비제한적인 갯수의 접착부 디자인을 이루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기술을 사용하여 접착될 재료내에 글자를 쓰거나 그림을 새길 수 있다.
더나아가, 본 방법에서 베어링 부재(122)의 사용은 보다 훨씬 큰 높이를 갖는 패턴 요소(116)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종래의 패턴 요소는 전형적으로 높이가 약 0.015inch(약 0.38mm)이었다.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패턴 요소(116)는 높이가 2mm까지 또는 그 이상의 범위일 수 있다. 이것은 보다 두꺼운 재료가 접착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보다 큰 높이를 갖는 패턴 요소를 구비한 패터닝된 롤을 제공하는 것은 두꺼운 재료 접착에 사용하는 것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베어링 부재(122)가 접착될 재료를 관통하지 않게 패턴 요소(116)가 유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얇은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는 패터닝된 롤(110)의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일반적으로, 양각 패터닝된 롤은 패턴 요소상의 응력 때문에 마모된다. 베어링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응력의 일부를 지지하고 패턴 요소상의 압력을 경감함으로써 응력을 감소시킨다고 믿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이, 베어링 부재는 패턴 요소의 압축성 휨을 더 방지하도록 "정지부"로서 또한 작용할 수 있다. 베어링 부재는 패턴 요소의 압축성 휨을 더 방지하도록 "정지부"로서 또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패턴 요소는 소성 변형점을 지나 변형되지 않을 것이다.
(2)결합 공정의 제한하지 않는 변형예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접착 공정의 여러 가능한 변형예가 있다. 비제한적인 갯수의 이러한 변형예는 후술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흡수성 제품에 사용하기 위한 접착 재료에 사용하는 것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팩키지 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제품, 특히 중합체성 재료 등과 같은 비친화성 재료가 사용되는 제품 제조에 사용하기 위해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접착될 재료의 중심 박막은 비친화성 재료를 포함할 필요가 없다.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나 이것으로만 제한되지 않는 어떤 적합한 타입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접착 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롤의 배열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롤 모두에는 패턴 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2개의 롤 모두에 패턴 요소가 제공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 요소는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롤중 하나상의 패턴 요소는 다른 롤의 표면상의 패턴 요소 사이의 위치에서 대향 롤의 표면과 접촉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부하 베어링 부재는 패터닝된 롤상에만 배치되는 것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부하 베어링 부재는 앤빌 롤상에 제공되거나 패터닝된 롤 및 앤빌 롤 모두상에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베어링 부재의 여러 변형예가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면, 베어링 부재는 연속하지 않는 적어도 몇개의 부분을 구비할 수 있고, 패터닝된롤(110)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몇개 또는 모든 잇점을 여전히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베어링 부재내의 절취 영역의 형상은 패턴 요소의 형상의 절반과 동일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재료를 동적으로 접착하는 바람직한 방법은 롤(110, 112)중의 하나 또는 모두를 가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롤이 가열되면, 롤은 커버 재료(24)내의 열가소성 재료의 용융 온도 이하의 소정의 다수의 표면 온도로 바람직하게 가열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될 재료는 접착을 위해 닙(114)내로 공급되기 전에 압축(또는 "사전압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될 재료가 접착될 재료를 사전압축시키기 위해 롤(110, 112)의 설치전에 다른 쌍의 롤 사이의 압축화된 닙을 통하여 공급될 수 있다. 사전압축은 접착될 재료의 전체를 압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접착부(94)가 형성될 것인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이런 영역에서의 국부적인 압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전압축하는 단계는 다른 타입의 접착 공정에서의 접착과 조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음파가 사용된다면, 초음파 용접공 또는 "접합공(staker)"은 초음파 접착부를 형성하는데 요구되는 운전 정지 시간 동안에 접착될 재료가 일정 정도의 압축을 대체로 받도록 할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초음파 용접의 경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접착 공정으로부터 분리된 사전압축하는 단계는 요구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을 간략화하고 명확화하기 위하여, 접착 공정에 사용된 장치는 원통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다. 그러나, 원통부는 부재를 규정하는 단지 예시적인 닙이다. 따라서, 그 자체로 원통부를 포함하는 장치에 의해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동일한 특질에 있어서, 용어 "패턴 요소"의 사용은 다른 패턴, 예를 들면 접착의 연속 또는 신장된 라인을 포함하는 패턴 또는 망상의 패턴을 배제하는 단지 별도의 이격된 패턴 요소로 구성되는 접착 패턴으로 설명되는 방법으로만 제한하고자 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1989년 8월 8일자로 볼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854,984 호에 개시된 단계 또는 어떤 공정 제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적 접착 공정을 사용하여 접착부를 형성시킬 때에 고려되어야 하는 다른 인자는 패턴 요소상에 부하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이다. 단일 접착 롤 또는 표면이 다른 두께를 갖는 부분을 구비하는 재료를 접착하는데 사용될 때, 이것은 가장 중요하다. 다른 두께는 몇가지 다른 상황으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될 재료는 다른 두께를 갖는 영역을 구비하도록 프로파일되거나 압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될 재료는 그내의 모든 층의 길이 및/또는 폭이 동일하지 않는 박막적층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있어서, 접착부의 일부는 다른 접착부 보다 많은 층을 통과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패턴 요소상에 부하를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하나의 방법은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의 기울기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보다 큰 두께를 갖는 접착될 재료 또는 재료의 부분을 관통하는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의 기울기는 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재료의 부분을 관통하는 패턴 요소(116)의 측면벽(119)의 기울기 보다 더 커야 한다. 예를 들면, 접착될 재료의 보다 얇은 부분을 관통하는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의 기울기는 약 50°의 각도로 형성시킬 수 있으며, 접착될 재료의 보다 두꺼운 부분을 관통하는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의 기울기의 각도는 약 70°로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될 재료의 보다 두꺼운 부분을 관통하는 패턴 요소(116)는 필요하다면 보다 큰 높이를 가질 수 있다(또는 다른 패턴 요소는 보다 짧게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접착제, 고착제, 수소 결합(예를 들면, 접착될 재료중 하나가 셀룰로오스를 포함하는 경우), 열 및/또는 압력,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동적 접착 공정 또는 초음파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공정은 제 2 웨브재(24)와 같은 접착성 재료가 보통의 접착 방법(특히, 접착제)과 대립하는 화학 약품 또는 조성물에 의해 처리되는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이런 접착 공정은 제 2 재료가 피부 보호 조성물 또는 제 2 재료의 친수성을 변경하는 재료로 처리되는 경우에 바람직할 것이다.
친수성으로 변경하는 재료 타입의 표면 처리의 예는 1997년 12월 2일자로 얀-퍼 리 등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개량된 계면 활성제 처리 친수성 상면시트를 구비한 흡수성 제품"인 더 프록터 앤드 갬블의 미국 특허 제 5,693,037 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동적 접착 공정 및 초음파 접착 공정은 그러한 처리를 통하여 접착되거나 접착부가 하부에 놓이는 재료와 함께 형성될 수 있는 그러한 코팅 또는 표면 처리를 통하여 충분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그러한 표면 처리가 간헐적으로 가해지면, 접착 장치상의 패턴은 접착부가 재료의비처리 부분을 관통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7은 접착이 접착부(94)가 형성된 국부적인 영역에서 압축성 흡수성 폼 재료(22)를 압축하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변위시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3차원으로 형성된 부분(100)을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나머지부(102)로부터 고립시키며, 별개의 형상으로 고립된 부분(100)[뿐만아니라 전체적인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을 형성시킨다.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는 양 측면상에 바람직하게는 대칭으로 형성된다. 이것은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가 앤빌 롤의 곡선 표면에 대항하여 패턴 요소(116)에 의해 압축되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단지 일부분상에 접착이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이러한 실시예는 하나의 엠보싱된 측면 및 하나의 평평한 측면을 구비한 구조체를 생성하는 엠보싱 공정과 다르다.
D.합성 생리대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패드에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부착하는 단계
접착 공정후에, 접착된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는 다수의 개별 흡수성 재료의 튜브로 바람직하게는 절단되며, 그 각 흡수성 재료의 튜브는 합성 생리대를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패드의 상부상에 위치될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된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절단하는데 사용되는 장치는 한쌍의 롤(130, 132)을 포함한다. 롤중 하나, 즉 롤(130)은 그 표면상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나이프 요소(134)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나이프 요소(134)는 연속 접착된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연속적으로 대체로 종방향으로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롤(132)은 앤빌 부재로 제공되며, 그에 따라 앤빌 롤(132)로 불려질 수 있다. 또한, 나이프 롤(130) 및 앤빌 롤(132)은 그 사이에 닙(136)을 규정한다. 절단 단계후에, 개별 흡수성 재료의 튜브(88)는 합성 생리대를 형성하기 위해 베이스 패드에 부착하기 위한 컨베이어(140)로 보내진다.
도 7에 도시된 개별 흡수성 재료의 튜브의 경우에 있어서, 접착부에 의해 함께 유지되지 않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나머지부(102)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베이스 패드에 부착하기 전에 접히지 않고 펼쳐진다.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나머지부(102)의 접착 및 펼침은, 최종 제품상의 흡수성 튜브의 상부를 형성하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부분이 보다 좁은 폭으로 주어지는 프로파일식 형상으로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형성시킨다. 바람직하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종 제품상의 흡수성 튜브의 상부를 형성하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부분은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의 나머지부(102)(그리고 생리대의 나머지부)의 상부로부터 수직으로 돌출하는 릿지(106)를 규정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은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가 접착부(94) 주위에 주름잡힌 퀼트(quilt)와 유사한 패턴을 갖는 튜브 형성 복합 웨브(88)를 또한 제공한다.
도 13은 신체에 면한 측면상에 흡수성 재료의 튜브(88)를 구비하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접착되는 합성 생리대(800)를 도시하고 있다.
합성 생리대(800)를 형성시키기 위해서, 생리대는 팬티 보호구(또는 "베이스 패드")(820)로 제공되며, "주 생리 패드"로 제공되는 흡수성 재료의 튜브(88)는 베이스 패드(820)의 상부상에 위치되고 적어도 그것의 단부에서 그것에 부착된다. 베이스 패드(820)용으로 적합한 생리대는 오하이오주 신시네티 소재의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퍼니에 의해 시판되는 ALWAYS ULTRA(상품명) 생리대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패드(820)는 그 사이에 고흡수성 하이드로겔 형성 재료 입자를 구비한 티슈 박막적층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코어와, 흡수성 코어상에 놓이는 티슈 및 DRI-WEAVE의 천공식 필름을 구비하는 다양한 그러한 ALWAYS ULTRA 생리대를 포함한다. 적합한 티슈는 머핀 하이지닉 프로덕츠(Merfin Hygienic Products)에 의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흡수성 코어상에 놓이는 티슈는 접착제의 나선형 패턴에 의해 흡수성 코어에 접착된다.
흡수성 재료의 튜브(88)는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베이스 패드(820)에 접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생리대(800)에 튜브(88)의 부착은 베이스 패드(820)에 튜브의 단부에서 상면시트 재료(56)의 용융 접착 연장부(58)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한 합성 생리대의 몇가지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베이스 패드(820)와 흡수성 재료의 튜브(88)의 단부 사이에서 베이스 패드(820)에 또한 부착될 수 있다. 합성 생리대의 튜브는 접착제에 의한 것과 같은 어떤 적합한 부착 수단에 의해 그것의 단부 사이에서 베이스 패드에 부착될 수 있다.
생리대(800)는 제 1(또는 전방) 단부 영역(828)과, 제 2(또는 후방) 단부 영역(830)과, 제 1 및 제 2 단부 영역 사이에 위치된 중앙 영역(832)을 구비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수성 재료의 튜브(88)는 생리대(800)의 전방 단부 영역(828)으로부터 생리대(800)의 후방 단부 영역(830)까지 접착의 결과로서 프로파일된다. 특히, 흡수성 재료의 튜브(88)는 횡방향 중심선(T)을 따라 생리대의 중심에 그것의 가장 큰 두께를 구비하며, 생리대의 단부에서 보다 작은 두께로 테이퍼된다.
접착부 패턴은 생리대(800)의 길이의 모든 부분 또는 어떤 부분을 따라 증대된 두께를 구비한 흡수성 재료의 튜브를 생성하도록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은 증대된 두께가 생리대(800)의 중앙 영역(832)을 규정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접착부 패턴은 단부 영역, 또는 중앙 영역의 일부 및 단부 영역의 일부에서 증대된 두께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2.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의 많은 다른 실시예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성 재료의 튜브내의 흡수성 재료는 접착되기 전에 미립자 재료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즉, 흡수성 재료의 고형 피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수성 폼 재료와 같은 고형 흡수성 재료의 접착은 특히, 두께가 약 4mm를 초과한다면 보다 어려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저밀도 흡수성 재료와 같은 다른 타입의 재료를 접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방법은 압착되지 않은 에어펠트(airfelt)를 통하여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에어펠트가 압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면, 에어펠트는 접착성 재료로 밀봉되고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접착된 후에 압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은 엠보싱된 에어펠트 흡수성 코어를 포함하는 흡수성 제품과 같은 흡수성 제품을 단지 엠보싱하는 것과 비교하여 몇가지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흡수성 제품에 있어서, 상면시트는 에어펠트 흡수성 코어에 점착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배면시트는 또한 에어펠트에 점착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에어펠트내의 셀룰로오스 섬유는 수소 결합부에 의해 서로 유지된다. 이런 수소 결합부는 액체에 의해 풀어지려고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접착제는 액체에 의해 풀려지려고 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면시트와 같은 흡수성 제품의 구성 요소에 특정 표면 처리가 가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용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전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비친화성 재료의 외측 표면상에 접착될 수 있고 비친화성 재료를 관통하여 이러한 재료를 접착시킬 수 있게 재료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였다. 도 14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은 비친화성 재료의 내측에 놓이는 접착될 수 있는 재료에 2개의 비친화성 재료를 접착시키는데 사용된다.
도 14는 2개의 비친화성 웨브재(22)를 도시하고 있다. 비친화성 웨브재(22)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비친화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친화성 웨브재는 흡수성 폼 재료를 포함한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그러한 흡수성 폼 재료를 다른 재료에 부착시키기 어렵다고 하여도, 이러한 실시예에서, 한 층의 접착제(98)는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24)에 각각의 흡수성 폼 웨브재(22)를 접착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이런 접착제 접착부는 흡수성 폼 재료가 그것의 낮은 구조적 보전성으로 인해 그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24)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제 2 재료의 어떤 것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보다 큰 접착성을 갖는 웨브재(24)는 부직 웨브를 포함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 웨브(24)가 접착제로 접착된 흡수성 폼 웨브재(22)는 서로에 인접하는 부직 웨브(24)와 마주보는 관계로 위치된다. 다음에, 그에 따라 형성된 전체 복합 구조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서로 접착된다. 복합 구조체는 도 8에 도시된 장치의 롤과 같은 한쌍의 롤 사이의 닙을 통하여 그것을 통과시킴으로써 접착될 수 있다. 이것은 2개의 부직 웨브(24) 사이에 접착부(94)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런 실시예에서 접착부(94)는 흡수성 폼 재료(22) 외측으로부터 보이지 않는 "숨겨진" 접착부일 수 있다. 접착부(94)는 접착부가 형성된 패턴 요소가 작은 양의 폼 재료를 전형적으로 대체하기 때문에 숨겨질 수 있다. 게다가, 접착된 후에 폼 재료(22)는 이것이 대체되는 위치를 형성하도록 접착 영역상으로 팽창되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은 다른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고, 다른 타입의 흡수성 제품을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5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접착되어 형성된 흡수성 음순간 장치(1020)를 도시하고 있다. 흡수성 음순간 장치(102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비친화성 재료의 어떤 것을 포함하는 어떤 적합한 흡수성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성 음순간 장치(1020)는 부직 웨브 커버 재료(1046)로 감싸인 레이온 코어(1044)를 포함한다. 레이온은 통상의 접착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는 전형적으로 비친화성이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방법은 레이온을 관통하는 흡수성 음순간 장치의 대향 측면상의 부직 커버 재료(1046) 사이에 접착부(94)를 제공함으로써 레이온 코어(1044)를 접착시키고 형성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재료(1046)의 제 1 부분(1044A)은 커버 재료의 제 2 부분(1044B)에 흡수성 레이온 코어(1044)를 통하여 접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흡수성 레이온 코어(1044)를 접착하기 위해 사용된 장치는 한쌍의 원통형 롤, 즉 패터닝된 롤(110) 및 앤빌 롤(112)을 포함한다. 원통형 롤(110, 112)은 도 8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롤, 즉 롤(110)은 그 표면상에 양각 패턴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패터닝된 롤(110)은 원형의 원통형 표면(115)과, 그 표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 다수의 돌기 또는 패턴 요소(116)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패턴 요소(116)상의 양각 패턴 및 랜드 표면(118)은 어떤 적합한 형태로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패턴 요소(116)의 측면 벽(119)은 도 8에 도시된 패터닝된 롤(110)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각도를 형성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롤(110, 112)은 도 8에 도시된 장치(롤 사이의 표면 속도차의 범위, 롤 사이의 닙 압력의 범위, 롤중 하나 또는 모두를 가열하는 것의 선택 가능성 및 다른 타입의 닙 규정 부재에 의해 롤의 변위를 포함하나 이것으로만 제한되지는 않음)에 대해 상술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작동된다.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실시예에 있어서, 양각 패턴은 원형의 랜드 표면(118)을 구비하는 다수의 멀리 이격된 패턴 요소(또는 "패턴 요소 세그먼트")(116)를 또한 포함한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 요소(116)는 "반달" 형태로 배열된다. 패턴 요소(116)는 교호 패턴으로 제공되며, 그내에서 접착 패턴의 다른 응용 때마다 접착부(94)는 흡수성 재료의 덮인 "로프"의 종축선(A1)의 대향 측면상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접착 공정은 흡수성 재료(1044)의 슬라이버(sliver)를 관통시켜, 커버 재료(1046)의 제 2 부분(1044B)에 커버 재료의 제 1 부분(1044A)을 자생적으로 접착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흡수성 제품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장점을 예시하고 있다. 접착부(94)는 사실상 비제한적인 갯수의 패턴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런 접착부(94)는 사실상 비제한적인 갯수의 가능한 기하학적 형상을 구비하는 제품을 형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접착 패턴은 구조적 안정성을 추가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접착부를 통과하는 라인을 따라 제품에 일정 정도의 강성을 추가함으로써 흡수성 제품의 형상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라인은 직선, 곡선, 또는 부분적으로 직선이고 부분적으로 곡선일 수 있다. 깊은 퀼트 자국은 액체 취급 또는 외관을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고속(예를 들면, 700ft/분 내지 1,000ft/분)으로 작동하는 제조 라인에 사용될 수 있으며, 재봉 공정과 같은 특정 패턴으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여 몇가지의 상이한 형상이 생산될 수 있는 생리대(13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17은 흡수성 제품[참조 부호(1320)로 표시된 신축성 생리대]을 도시하며, 그내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흡수성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몇가지 상이한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사용되었다.생리대(1320)는 주 몸체 부분(1322)을 포함한다. 주 몸체 부분(1322)은 액체 침투성 상면시트(1324), 상면시트(1324)에 결합된 액체 불침투성 배면시트(1326) 및 상면시트(1324)와 배면시트(1326) 사이에 위치된 흡수성 코어(1328)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 요소는 조립된 생리대(1320)가 신축되도록 하는 어떤 적합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생리대(1320)는 상면시트 및 배면시트를 서로 융합시킴으로서 형성되는 한쌍의 단부 시일(1329)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리대(1320)는 그의 주 몸체 부분의 각 종방향 측면 에지로부터 연장하는 날개부 또는 플랩(1330)을 구비한다.
도 17에 도시된 생리대(132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에 의해 미립자 재료(1336)로 형성되는 영역(1334)을 구비한 흡수성 코어(1328)를 구비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립자 재료를 포함하는 영역(1334)은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로 배향된 비형성 밴드(1338)에 의해 분리된다. 게다가, 본 발명의 방법은 상면시트(1324) 및 배면시트(1326)내에 변형성 망상 조직 영역을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용어 "변형성 망상 조직 영역"은 1996년 5월 21일자로 채펠 등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탄성과 유사한 거동을 나타내는 웨브재"인 미국 특허 제 5,518,801 호에 보다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상면시트(1324) 및 배면시트(1326)내에 변형성 망상 조직 영역의 형성은 신축성을 갖는 생리대의 이런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상면시트(1324) 및 배면시트(1326)내의 변형성 망상 조직 영역의 비형성 밴드는 탄성과 유사한 성질을 갖는 이런 신축성 구성 요소를 제공한다. 미립자 재료내에 흡수성 코어(1328)의 형성은 상면시트(1324) 및배면시트(1326)의 신축성을 저해하지 않는 형태로 흡수성 코어(1328)를 배치시킨다.
상면시트(1324) 및 배면시트(1326)는 여기에 형성된 변형성 망상 조직의 패턴에 의존하는 한 방향, 하나보다 여러 방향 또는 X-Y 평면의 모든 방향으로의 신축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생리대(1320)는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로 신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도 17에 도시된 생리대(1320)는 1997년 3월 18일자로 오스본 등에게 허여되고 발명의 명칭이 "신장 가능한 흡수성 제품"인 미국 특허 제 5,611,790 호의 명세서에 규정된 정도로 신축 가능하다.
또한, 도 17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방법이 신축성을 갖는 날개부 또는 플랩(1330)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날개부(1330)는 상면시트 및 배면시트에 대해 상기에서 규정된 방향중 어떤 방향으로도 신축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흡수성 제품의 주 몸체 부분에 접촉하는 장치의 부분으로부터 날개부(1330)에 접촉하는 패턴 표면의 부분상에 다른 패턴을 구비하는 장치를 토하여 생리대(1320)를 통과시킴으로써 상면시트 및 배면시트와 다른 정도 또는 방향으로 신축성이 날개부(1330)에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맞물림 롤이 사용된다면, 신축성을 갖는 날개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는 롤의 부분은 서로 보다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거나, 날개부(1330)가 주 몸체 부분(1322)보다 많은 층을 구비하지 않는다면, 보다 큰 범위로 맞물릴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생리대의 구성 요소를 서로 엠보싱 및/또는 접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7은 생리대(1320)의 신체에 면한 표면이 융합접착부(1340)의 형태로 다수의 엠보싱부가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융합 접착부(1340)는 미립자 재료내에 흡수성 코어(1328)를 형성시키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패턴 표면상에 다수의 접착 요소를 제공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접착 요소는 필요하다면, 선택적으로 가열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구성 요소를 서로 접착시키기 위해, 서로 접착되는 적어도 이런 구성 요소는 적어도 일부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패턴 표면은 생리대의 신체에 면한 표면을 단지 엠보싱하는 요소만이 제공되어, 그것의 구성 요소 사이의 융합 접착부를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은 미립자 재료내에 흡수성 코어(1328)를 형성시키고, 신축성을 갖는 상면시트(1324) 및 배면시트(1326)를 제공하고, 신축성을 갖는 날개부 또는 플랩(1330)을 제공하며, 구성 요소를 서로 엠보싱 및/또는 접착시키며, 생리대(1320)의 단부를 밀봉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장치를 통과하여 한번에 모두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패턴은 흡수성 재료를 구획화함으로써 보전성을 갖는 흡수성 재료를 제공하도록 배면시트에서 모든 경로로 상면시트를 관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수성 재료는 열적으로 접착된 공기 함유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료의 보전성을 유지하도록 종래의 결합제 섬유 또는 분말 결합제를 제공할 필요는 없다.
모든 특허, 특허 출원(또한 그에 대해 등록된 특허 및 공개된 대응 외국 특허출원) 및 본 명세서에 걸쳐 언급된 간행물의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참조로 인용된 문헌은 본 발명을 요지하거나 개시하지 않고 있음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다른 변경 및 변형이 행해질 수 있음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몇 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복합 구조체를 제조하는 공정 동안에 비친화성 재료를 접착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복합 구조체가 제공된다.

Claims (8)

  1. 흡수성 제품을 위한 흡수성 재료의 성형된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제 1 표면 및 대향된 제 2 표면을 갖는 흡수성 웨브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② 상기 흡수성 웨브재를 위한 커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③ 커버된 흡수성 웨브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상기 커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단계와,
    ④ 상기 커버된 흡수성 웨브재를 흡수성 재료의 튜브로 형성하는 단계와,
    ⑤ 상기 흡수성 재료가 변위되는 동안 상기 커버의 일부를 상기 커버의 대향부에 자생적으로 접착시켜 적어도 하나의 접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성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④는 상기 커버된 흡수성 웨브재를 접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재료는 흡수성 폼(foam)을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생 접착 단계 ⑤에 앞서 상기 흡수성 재료를 다수의 입자로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5. 제 3 항에 있어서,
    상시 흡수성 폼은 대체로 평행사변형의 형태인 다수의 피스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6. 흡수성 제품용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길이, 폭, 흡수성 웨브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종방향 중심선, 제 1 표면 및 대향하는 제 2 표면을 갖는 흡수성 웨브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②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위한 커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③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튜브형성 흡수성 복합 웨브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상기 커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단계와,
    ④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종방향 중심선 주위에 배치된 접는 선을 따라 적어도 한 번 상기 튜브형성 복합 웨브재를 접는 단계와,
    ⑤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표면을 커버하는 상기 커버의 일부를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2 표면의 대향부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의 일부에 자생적으로 접합하여, 성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7. 흡수성 제품을 위한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길이, 폭, 흡수성 웨브재의 길이 방향으로 배향된 종방향 중심선, 제 1 표면 및 대향하는 제 2 표면을 갖는 흡수성 웨브재를 제공하는 단계와,
    ②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위한 커버를 제공하는 단계와,
    ③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갖는 튜브형성 흡수성 복합 웨브재를 형성하도록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및 제 2 표면을 상기 커버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단계와,
    ④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종방향 중심선 주위에 배치된 접는 선을 따라 적어도 한 번 상기 튜브형성 복합 웨브재를 접고, 상기 복합 웨브재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를 제 1 종방향 배향 접는 선 둘레에서 종방향 중심선을 향해 내측으로 접어 "C"자형으로 접힌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접힌 복합 웨브재의 종방향 측면 가장자리가 서로 인접하도록 복합 웨브재를 종방향 중심선을 중심으로 내측으로 접는 단계와,
    ⑤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1 표면을 커버하는 상기 커버의 일부를 상기 흡수성 웨브재의 제 2 표면의 대향부를 커버하는 상기 커버의 일부에 자생적으로 접합하여, 성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제조 방법.
  8. 복합 생리대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① 제 6 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흡수성 재료 성형 튜브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튜브 형성 흡수성 복합 웨브재는 한 쌍의 단부를 갖는, 튜브 형성 단계와,
    ② 베이스 패드를 제공하는 단계와,
    ③ 상기 튜브의 단부를 펼치는 단계와,
    ④ 상기 튜브를 상기 베이스 패드에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복합 생리대의 제조 방법.
KR10-2003-7004198A 1997-11-26 1998-11-25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및 복합 생리대 제조 방법 KR100397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79,979 US5928452A (en) 1997-11-26 1997-11-26 Method of making a shaped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08/979,980 US6045544A (en) 1996-08-30 1997-11-26 Shaped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08/979,979 1997-11-26
US09/031,352 1998-02-26
US09/031,352 US5916205A (en) 1996-08-30 1998-02-26 Absorbent interlabial device
US08/979,980 1998-02-26
PCT/US1998/025222 WO1999026769A2 (en) 1997-11-26 1998-11-25 Methods of bonding materials, especially materials used in absorbent article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635A Division KR100439385B1 (ko) 1997-11-26 1998-11-25 흡수성 재료 접착 방법과, 다수의 박막 접착 방법 및 복합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3080A true KR20030033080A (ko) 2003-04-26
KR100397748B1 KR100397748B1 (ko) 2003-09-13

Family

ID=273638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198A KR100397748B1 (ko) 1997-11-26 1998-11-25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및 복합 생리대 제조 방법
KR10-2000-7005635A KR100439385B1 (ko) 1997-11-26 1998-11-25 흡수성 재료 접착 방법과, 다수의 박막 접착 방법 및 복합 구조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5635A KR100439385B1 (ko) 1997-11-26 1998-11-25 흡수성 재료 접착 방법과, 다수의 박막 접착 방법 및 복합 구조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1034067A2 (ko)
JP (1) JP2001523537A (ko)
KR (2) KR100397748B1 (ko)
CN (2) CN1297243C (ko)
AU (1) AU749938B2 (ko)
BR (1) BR9815330A (ko)
CA (1) CA2311393C (ko)
WO (1) WO199902676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3587B1 (en) 1997-11-26 2001-02-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US7056404B2 (en) * 1998-11-25 2006-06-0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bonding materials, especially materials used in absorbent articles
AR024623A1 (es) 1999-06-30 2002-10-16 Johnson & Johnson Gmbh Rodillo sellante y elemento de rodillo sellante, particularmente para producir un tampon para higiene femenina y metodo para ello.
WO2001001910A1 (en) * 1999-06-30 2001-01-11 Johnson & Johnson Gmbh Tampon having apertured film cover thermobonded to fibrous absorbent structure
US6537414B1 (en) 1999-06-30 2003-03-25 Hans-Werner Schoelling Sealing roller and sealing roller element particularly for producing a tampon for feminine hygiene and method therefor
US7589249B2 (en) 2000-02-16 2009-09-15 Mcneil-Ppc, Inc. Multiple zone apertured web
JP5544160B2 (ja) * 2009-12-25 2014-07-0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5542554B2 (ja) * 2010-07-12 2014-07-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ワークのカッター装置
EP3341182A1 (en) * 2015-08-25 2018-07-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Bonding apparatus
CN110561864B (zh) * 2019-08-23 2021-03-30 威海市鲁威塑业有限公司 一种畜牧养殖专用墙板的聚氨酯纤维板粘合装置
CN112414078B (zh) * 2020-11-25 2022-02-15 浙江天博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木塑地板的干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113644A (de) * 1925-04-04 1926-01-16 Paula Schneider Menstruationsschutzeinlage.
US4196562A (en) * 1976-10-15 1980-04-08 Hirschman Shalom Z Methods of making feminine hygienic pads with anterior leading edges
US4473611A (en) * 1982-11-26 1984-09-25 Lever Brothers Company Porous polymeric material containing a reinforcing and heat-sealable material
US4854984A (en) * 1987-06-19 1989-08-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ynamic mechanical bonding method and apparatus
DE8815855U1 (ko) * 1988-12-21 1989-02-23 Hanfspinnerei Steen & Co Gmbh, 2000 Hamburg, De
EP0622064A3 (en) * 1993-04-28 1996-01-17 Kimberly Clark Co Hygienic absorbent art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97243C (zh) 2007-01-31
KR20010032395A (ko) 2001-04-16
WO1999026769A2 (en) 1999-06-03
WO1999026769A3 (en) 1999-09-02
CA2311393A1 (en) 1999-06-03
JP2001523537A (ja) 2001-11-27
CN1283977A (zh) 2001-02-14
KR100439385B1 (ko) 2004-07-09
BR9815330A (pt) 2002-02-26
CN1548019A (zh) 2004-11-24
AU749938B2 (en) 2002-07-04
KR100397748B1 (ko) 2003-09-13
EP1034067A2 (en) 2000-09-13
CA2311393C (en) 2004-10-19
AU1607499A (en) 1999-06-15
CN1209083C (zh) 200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56404B2 (en) Methods of bonding materials, especially materials used in absorbent articles
JP2010214115A (ja) 材料、特には吸収性物品で使用される材料のボンディング方法
US4518451A (en) Embossed panty liner
US3868287A (en) Absorbent pad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203654B1 (en) Method of making a slitted or particulate absorbent material
KR100476822B1 (ko) 유연성 및 통기성을 제공하는 향상된 접착 시스템을 갖는 흡수 용품
KR101013923B1 (ko) 생리용 흡수성 물품의 제조 장치 및 그 방법
KR100397748B1 (ko) 흡수성 재료의 성형 튜브 및 복합 생리대 제조 방법
KR20010041133A (ko) 슬릿형 또는 미립형 흡수 물질의 제조방법 및 이를사용하여 형성된 구조물
EP0474777A1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EP1965739B1 (en) Absorbent artic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bsorbent article
CZ289182B6 (cs) Způsob vytváření oblastí s různými stupni elasticity na protaľitelném netkaném vláknitém polymerním materiálu ve směru jeho natahování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KR20030064318A (ko) 흡수체 및 상기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
EP0394274A1 (en) ABSORBENT TOWEL.
WO2007052498A1 (ja) 母乳パッドとその製造方法
KR0145920B1 (ko)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JP2006239256A (ja) 陰唇間パッド
JP2006103689A (ja) 吸液部材個包装体及びその個包装用シート材料
JP2859725B2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及びその製造方法
MXPA00005238A (en) Methods of bonding materials, especially materials used in absorbent articles
US20040236296A1 (en) Disk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2015163130A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9136151A (ja) Sapシートの製造方法、sapシート、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及び吸収性物品
MXPA00010517A (en) Method of making sanitary napkin comprising three dimensionally shaped tube of absorbent material
MXPA00010516A (en) Method of individually packaging a three dimensionally-shaped absorbent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