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5920B1 -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5920B1
KR0145920B1 KR1019950018532A KR19950018532A KR0145920B1 KR 0145920 B1 KR0145920 B1 KR 0145920B1 KR 1019950018532 A KR1019950018532 A KR 1019950018532A KR 19950018532 A KR19950018532 A KR 19950018532A KR 0145920 B1 KR0145920 B1 KR 0145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film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691A (ko
Inventor
이치로 와다
Original Assignee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Publication of KR96000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5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5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098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 A61F13/009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 A61F13/00995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non-adhesive dressings or bandages for treating webs, e.g. for moisturising, coating, impregnating or applying powder for mechanical treat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61F13/512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characterised by the vertical shape of the apertures, e.g. three dimensional apertures, e.g. macro-aper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와 흡액성 코어를 그들의 유연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일체화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체액 흡수성 물품(1)의 표면 시이트(2)로 제조하고자 하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을 유체의 압력차를 이용하기 가열하에 성행하고, 그 필름에 도액관(6)과 그 선단부에 존재하는 모상물질(14)을 형성한 후, 상기 모상물질(14)을 가열 변형시켜서 흡액성 코어(4)의 구성 섬유와 체결시킴으로써, 표면 시이트(2)와 코어(4)를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제1도는 생리대의 부분 파단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X-X선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제3도는 표면 시이트의 제조 공정을 (a)∼(c)에 의해 도시하는 모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체액 흡수성 물품(생리대) 2 : 표면 시이트
3 : 이면 시이트 4 : 흡액성 코어
6 : 도액관(導液管) 10 : 피부 접촉부
11 : 피부 접촉면 12 : 비피부 접촉부
14 : 모상(毛狀)물질 50 : 열가소성 필름
본 발명은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생리대나 일회용 기저귀 등의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열가소성 합성 섬유 재료 또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투액성 표면 시이트와 열가소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흡액성 코어를 가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일체화하는 기술은 공지기술이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화 제 57-139318호에는 일회용 기저귀의 표면 시이트와 흡액성 코어의 적어도 상부에 열용융성을 부여하고, 이들은 일체적으로 용융 접합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착용한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표면 시이트와 코어와는 이간(離間)되는 일이 없으므로, 배설된 체액은 항상 빠르게 모세관 현상에 의해서 코어로 이행하며, 표면 시이트의 피부 접촉면을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흡액성 코어는 일반적으로 분쇄한 펄프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며, 이것에 열가소성 합성섬유를 혼합함으로써 열용융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편, 표면 시이트에는 열소성 합성 섬유로 된 부직포나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하는 것으로 열용융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섬유끼리나 섬유와 필름을 용융 접합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높은 온도와 압력에 의한 엠보싱 가공에 의해야 되며, 그와 같이 가공된 부분은 두껍고 딱딱한 막으로 되어 물품착용자의 피부를 자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투액성 표면 시이트의 도액관 선단부에 모상 물질을 형성시키고, 그 모상물질을 가열하여 변형시켜서, 흡액성 코어에 체결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이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투액성의 개공(開孔)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표면 시이트,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이면 시이트, 및 이들 양 시이트간에 개재하는 섬유소재의 흡액성 코어를 구비한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제조 방법에 있어서 하기 단계 a) 내지 d)을 포함한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a)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유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융기, 파열시키서 그 필름의 표면에서 이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도액관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선단부에 상기 파열에 의해서 찢어진 필름의 다수의 무정형 모상물질을 형성시키는 단계:
b) 도액관의 선단부를 상기 코어를 향한 상태로 그 코어의 상면에 상기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c) 코어에 배치된 필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선단부의 모상물질을 변형시켜서, 코어를 구성하는 섬유에 체결시키는 단계;
d) 모상물질을 체결시킨 필름을 표면 시이트로 하고, 상기 이면 시이트와의 사이에 코어를 개재시켜서 상기 물품을 조립하는 단계;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 양태에 있어서, 필름을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공정에서, 상기 필름을 부분적으로 동시에 가열, 가압한다. 또한 모상물질과 코어를 체결시키는 방법은 모상물질과 코어의 섬유를 기계적으로 서로 엉키게 하거나 및/또는 융착시키는 것이다. 또한, 모상물질을 체결시키는 코어의 해당면을 섬유 1∼10d, 평량 10∼45g/㎡, 겉보기 두께 1∼10mm의 섬유층으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모상물질 가진 도액관 선단부는 그래로도 코어를 구성하는 섬유에 기계적으로 체결될 수 있지만, 이들이 가열됨으로써 수축, 변행하여, 더욱 복잡하고 고밀도로 표면 시이트와 코어를 체결시켜 서로가 이간되는 일이 없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상세한 설명을 생리대를 예로 들어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에 의해 수득한 생리대(1)의 부분 판단 사시도이다. 생리대(1)는 다수의 도액관(6)을 구비한 투액성 표면 시이트(2), 불투액성 이면 시이트(3), 및 양 시이트(2, 3)사이에 개재하는 흡액성 코어(4)로 구성되며, 코어(4)의 주변으로부터 연재하는 표면 및 이면 시이트(2, 3)는 접합선(5)에 의해 조밀하게 접합되어 있다.
제2도는 제1도의 X-X 선에 따르는 부분 확대 단면도로서 표면 시이트(2)와 코어(4)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표면 시이트(2)는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제조된 것으로서 연속하는 평탄한 피부 접촉면(11)으로 된 피부 접촉부(10)와, 피부 접촉면(11)으로부터 비피부 접촉면(12)방향으로 연재하고, 평면 방향(X-Y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도액관(6)을 가진다. 도액관(6)은 그 선단부를 향하여 축소된 형태, 확대된 형태, 또는 곧은 형태인 어떠한 형태라도 좋고, 그 선단부에는 도액관(6)의 기본 단부보다 얇은 필름 파열편인 다수의 무정형모상물질(14)을 가진다. 코어(4)는 펄프섬유에 0∼30 중량%의 열가소성 섬유와 00∼40 중량%의 고흡수성 중합체를 혼합 또는 적층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섬유는 필요에 따라서 친수화 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코어(4)는 펄프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형품을 화장지 또는 네트형 시이트로 피복한 코어 본체와, 해당 본체와 표면 시이트(2)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친수성 또는 소수성 섬유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섬유층은 일반적으로 섬도 1∼10d, 평량 10∼45g/㎡, 겉보기 두께 1∼10㎜인 것을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와 일체화 된것인지, 그것에 단지 서로 겹쳐지는 것인지를 문제삼지 않는다. 표면 시이트(2)와 코어(4)는 도액관(6)의 모상물질(14)이 코어(4)를 구성하는 섬유간에 개재하여, 적어도 기계적으로 체계된 상태에 있으며, 그외에도 모상물질(14)와 섬유가 융착되어 체결된 상태도 좋다. 이와 같이 체결된 표면 시이트(2)와 코어(4)는 물품의 취급이나 사용중에 서로 쉽게 분리되는 일이 없으며, 배설된 체액은 도액관(6)에 의한 모세관 작용 및 도액관(6)과 체결되는 섬유에 의한 모세관 작용에 의해 빠르게 코어(4)에 흡수된다.
제3도의 (A), (B), (C)는 표면 시이트(2)의 제조 공정의 일부를 예시하는 모식도이다. 제3(A)도에서는 가열에 의해 연화된 플라스틱 필름(50)이 다수의 미세 개공(51)을 가진 형판(52)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필름(50)을 형판(52)의 아래 방향으로 흡인하고 진공압이 작용하고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제3(B)도에서는 필름(50)이 흡인되어, 개공(51)의 아래 방향으로 융기하여, 풍선과 같이 부푼 상태로 있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제3(C)도에서는 융기된 필름(50)의 선단에서 필름이 파멸하여, 제2도에 도시한 도액관(6)와 얇은 다수의 무정형 모상물질(14)이 형성되고, 형판이 평판한 부분에는 피부 접촉부(10)가 형성됨을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필름(50)은 형판(52)으로부터 떼어내어 필요한 치수로 재단한 후 제2도의 흡수성 코어(4)의 위에 얹거나, 또는 흡액성 코어(4) 위에 얹은 후에 재단하여 표면 시이트(2)로서 사용한다. 어느쪽의 경우에 있어서도, 표면 시이트(2)의 모상물질(14)과 코어(4)의 섬유간의 기계적인 체결을 확실히 하기 위해서, 코어(4)에 얹은 표면 시이트(2)를 가열하여, 모상물질(14)을 열수축시킨다. 필름(50)이 진공압의 작용하에서 연신되어 생긴 모상물질(14)은 가소화 온도 부근까지 가열되면 수축하여 주름이 생기고, 그 과정에서 코어(4)의 섬유와 체결된다. 또한, 체결을 강력하게 하고 싶을 때에는 표면 시이트(2)와 코어(4)를 가열 엠보싱 가공하면 좋다. 그 경우의 모상물질(14)은 얇기 때문에 도액관(6)보다도 빠르게 온도 상승, 용융하여, 비교적 작은 엠보싱 압력을 가하기만 해도 코어(4)에 융착할 수 있다. 따라서, 엠보싱 부분이 두껍고 딱딱한 필름이 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표면 시이트의 도액관 선단부에 설치한 얇은 보풀과 흡액성 코어 섬유를 체결시키므로, 표면 시이트와 코어를 그들의 유연성을 손상시키는 일없이 일체화시키고, 착용감이 좋은 상기 물품을 만들 수 있다(청구범위 제1∼3항).
또한, 모상물질을 체결시키는 코어의 해당면을 소정의 섬도, 평량, 겉보기 두께의 섬유층으로 구성함으로써, 모상물질을 섬유간에 충분히 개재시켜서 체결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청구범위 제4항)

Claims (4)

  1. 적어도 투액성 개공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표면 시이트, 불투액성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어떤 시이트 및 이들 양 시이트간에 개재하여 섬유소재로 제조된 흡액성 코어를 구비한 체액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하기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a) 열가소성 플라스틱 필름을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유체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부분적으로 융기, 파열시켜서 상기 필름의 표면에서 이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도액관(導液管)을 형성하는 동시에, 그 선단부에 상기 파열에 의해서 찢어진 상기 필름의 다수의 무정형 모상(毛狀)물질을 형성하는 단계 : b) 상기 도액관의 선단부를 상기 코어를 향한 상태로 상기 코어의 상면에 상기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c) 상기 코어에 배치된 피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열하여 상기 선단부의 모상물질을 변행시켜서, 상기 코어를 구성하는 섬유에 체결시키는 단계 ; 및 d) 상기 체결된 필름을 상기 표면 시이트로 하고, 상기 이면 시이트와의 사이에 상기 코어를 개재시켜서 상기 물품을 조립하는 단계.
  2. 제1항에 있어서, 필름을 부분적으로 가열하는 공정이 상기 필름을 부분적으로 동시에 가열, 가압하는 공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모상물질과 코어 섬유간의 체결을 기계적으로 서로 엉키게 하거나 및/또는 융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모상물질을 체결시키는 상기 코어의 해담면이 섬도 1∼10d, 평량 10∼45g/㎡, 겉보기 두께 1∼10mm의 섬유층으로 구성되는 체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19950018532A 1994-07-01 1995-06-30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01459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151129A JP3091365B2 (ja) 1994-07-01 1994-07-01 体液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JP94-151129 1994-07-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691A KR960003691A (ko) 1996-02-23
KR0145920B1 true KR0145920B1 (ko) 1998-08-01

Family

ID=15512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532A KR0145920B1 (ko) 1994-07-01 1995-06-30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689819B1 (ko)
JP (1) JP3091365B2 (ko)
KR (1) KR0145920B1 (ko)
CN (1) CN1129409C (ko)
AU (1) AU698578B2 (ko)
CA (1) CA2153076C (ko)
DE (1) DE69524147T2 (ko)
MY (1) MY113391A (ko)
SA (1) SA95160171B1 (ko)
TW (1) TW264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8142A (en) * 1995-10-19 1997-07-15 Eastman Chemical Company Perforated films having channels with cutout portions capable of spontaneous fluid inversion
JP3595456B2 (ja) * 1999-02-05 2004-12-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の可撓性シート
JP3771432B2 (ja) * 2000-08-28 2006-04-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着用物品
JP2006044802A (ja) * 2001-02-05 2006-02-16 Uni Charm Corp ドリップ吸収マット
US8757058B2 (en) 2010-06-21 2014-06-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perforating a web
US8283013B2 (en) 2010-06-21 2012-10-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quely perforated web product
US8287977B2 (en) 2010-06-21 2012-10-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quely perforated web product
US8763526B2 (en) 2010-06-21 2014-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perforating a web material
US8268429B2 (en) 2010-06-21 2012-09-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erforated web product
US8763523B2 (en) 2010-06-21 2014-07-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erforating a web material
US8443725B2 (en) 2010-06-21 2013-05-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perforating a web
US8468938B2 (en) 2010-06-21 2013-06-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perforating a web material
US8535483B2 (en) 2010-06-21 2013-09-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for uniquely perforating a web material
US8287976B2 (en) 2010-06-21 2012-10-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Uniquely perforated web product
US9259848B2 (en) 2010-06-21 2016-0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for providing a web with unique lines of weakness
JP2021083543A (ja) * 2019-11-26 2021-06-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36417A (en) * 1974-12-10 1987-01-13 Rasmussen O B Fibrous reticular sheet material
JPS6132556Y2 (ko) 1981-02-26 1986-09-22
DE3723404A1 (de) * 1987-07-15 1989-01-26 Aoe Plastic Gmbh Fluessigkeitsdurchlaessige folie, insbesondere als deckfolie fuer saugstoff,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EP0360929A1 (en) * 1988-09-02 1990-04-04 VERATEC, INC. (a Delaware corp.) Fibre-film substrate
JP2928665B2 (ja) * 1991-08-21 1999-08-0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321695A (en) 1996-01-18
EP0689819B1 (en) 2001-11-28
CA2153076C (en) 2000-04-18
KR960003691A (ko) 1996-02-23
SA95160171B1 (ar) 2005-10-15
CN1129409C (zh) 2003-12-03
MY113391A (en) 2002-02-28
CA2153076A1 (en) 1996-01-02
EP0689819A2 (en) 1996-01-03
DE69524147D1 (de) 2002-01-10
DE69524147T2 (de) 2002-08-14
CN1120928A (zh) 1996-04-24
AU698578B2 (en) 1998-11-05
JPH0810286A (ja) 1996-01-16
JP3091365B2 (ja) 2000-09-25
EP0689819A3 (en) 1997-06-11
TW264429B (en) 199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5920B1 (ko) 채액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
KR100272133B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23964B1 (ko) 섬유상라미네이트웹,그의제조방법및장치,및그가혼입된혼수용품
JP3061507B2 (ja) 体液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6417426B1 (en) Body fluid absorbent article
CA2254674C (en) Apertured web for disposable body exudates absorbent garmen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950005339B1 (ko) 포와 같은 액체 불투과성 복합재 및 그 제조 방법
AU669571B2 (en) Film laminated material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he same
US4610685A (en) Fibrous web with reinforced marginal portions, method for making the same and absorbent article incorporating the same
JP3967873B2 (ja) 連続フィラメントおよび吸収シートを用いた吸収性物品
CA1285366C (en) Apertured film fac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3875007B2 (ja) 連続フィラメントを有する表面層を用いた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820294A (en) Apertured film facing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HU220363B (hu) Eljárás olyan anyag előállítására, amely abszorbens egyszer használatos termékek felső rétegeként alkalmazható, valamint ezen réteg anyaga
KR20050084214A (ko) 일회용 기저귀의 제조 방법
JPH07328060A (ja)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SE513169C2 (sv) Sätt att tillverka ett hålgjort höljesskikt till ett absorberande alster,ett sådant tillverkat material samt ett absorberande alster med ett sådant höljesskikt
KR0129231Y1 (ko) 체액 흡수성 물품의 표면 시이트
JPH04187146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2004129924A (ja)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EP0995414B1 (en) An apertured film combined with a fibrous web, method of fabrication and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said film
KR100439385B1 (ko) 흡수성 재료 접착 방법과, 다수의 박막 접착 방법 및 복합 구조체
JP2006061174A (ja)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JP3998626B2 (ja) 吸収性物品
JP3460822B2 (ja) 吸収性製品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