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832A -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832A
KR20030031832A KR1020020050848A KR20020050848A KR20030031832A KR 20030031832 A KR20030031832 A KR 20030031832A KR 1020020050848 A KR1020020050848 A KR 1020020050848A KR 20020050848 A KR20020050848 A KR 20020050848A KR 20030031832 A KR20030031832 A KR 200300318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per
motion
stripper motion
detecting
crank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8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4227B1 (ko
Inventor
아키라 하라다
Original Assignee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다엔지니어링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1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25Fault detection, e.g. misfeed de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5/00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 B21D45/003Ejecting or stripping-off devices arranged in machines or tools dealt with in this subclass in punching machines or punching tools
    • B21D45/006Stripping-off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141With means to monitor and control operation [e.g., self-regul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 Control Of Presses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잔재부상(slug float)검출장치는, 프레스의 스트리퍼플레이트에 부착된 근접체; 크랭크각도의 각각의 증분에 대한 틈새(t)를 측정하기 위하여 하형에 부착된 와전류센서; 틈새(t)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 및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을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여 변화량을 검출하여, 상기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벗어날 때, 이상 경고신호를 상기 프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연산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SLUG FLOAT DETECTING DEVICE AND DETE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특히, 펀칭공정에서 프레스가공의 결과에 영향을 주는 잔재(slug)를 검출하기 위한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정시 발생된 잔재가 펀치상으로 들러붙고 가공중인 재료 또는 하형에서 딸려 올라가는 것이 프레스가공, 특히 펀칭공정에서 종종 발생한다. 이 현상은 일반적으로 "잔재부상"이라 불리고, 이 잔재가 제거되지 않은 채로 공정이 계속되면 생산품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것은 때때로 다이를 손상시키거나 또는 과부하로 인하여 기계까지도 손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이 및 기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잔재부상이 검출되면, 기계가 정지될 수 있도록 잔재부상검출용의 다양한 장치가 잔재부상현상을 검출하도록 제안되어왔다.
("프레스를 위한 자동제어"라는 제목의)일본국 특개평 공보 제 H2-9892호에는 제1스트로크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하사점을 검출하는 단계, 이것을 세트포인트로서 저장하는 단계, 그 다음 스트로크시의 하사점을 상기 세트포인트와 비교하는 단계, 2개의 하사점이 다르다면, 잔재가 하형 또는 재료자체에 놓여진 것으로 즉, 잔재부상이 발생된 것으로 가정하여, 기계를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잔재부상검출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스트리퍼플레이트의 상기 하사점은 스트리퍼플레이트가 하형 또는 가공되는 재료와 부딪힘에 따라 바운드가 발생할 때, 제1바운드의 하사점을 의미한다.
여기서, 문제는 상기 하사점이 설정 값과 일치한다고 하더라도(즉, 하사점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음), 잔재부상이 존재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잔재가 하형의 에지상에서 부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잔재가 하형의 최상부의 에지표면상이 있으면, 스트리퍼플레이트가 하사점에서 기울어질 수 있다. 이것은 자연히, 잔재가 존재하지 않는 스트리퍼플레이트의 한쪽 끝이 잔재가 존재하는 다른쪽 끝보다 아래에 위치되게 한다. 하사점을 검출하는 센서가, 잔재가 존재하지 않는 쪽에 제공되면, 제1스트로크의 하사점이 제2스크로크의 하사점과 일치하여, 잔재부상이 검출될 수 없다.
이러한 경우에서도, 스트리퍼플레이트는 잔재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가공중인 재료와의 접촉초기단계의 수평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잔재가 존재하지 않는 쪽(즉, 센서가 위치되는 쪽)에서의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는 이전 스트로크의 변위와 다르다. 그러나, 일본국 특개평 제 H2-9892호에 개시된 검출방법도 하사점외에는 어떠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임의의 위치도 검출할 수 없어, 이러한 경우의 잔재부상을 검출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새롭고 개선된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잔재부상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어떠한 환경에서도 잔재부상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다이의 개략도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a는 정상적인 조건하에서 스트리퍼모션의 도면,
도 2b는 변화량이 검출된 스트리퍼모션의 도면,
도 2c는 특정범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의 도면이다.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잔재부상검출을 위하여 제공되며, 가공중인 재료를 아래로 가압하기 위하여 다이상에 제공되는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는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하여 검출된다. 상기 검출수단은 또한,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검출수단은 특정 스트로크에 대한 스트리퍼모션을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또한 검출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스트리퍼모션을 저장하기 위한 기억수단; 현재의 스트로크에 의하여 발생된 스트리퍼모션과 기억수단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을 비교하여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량(변동)을 검출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연산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벗어날 때, 이상 경고신호를 프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검출수단은 와전류센서와 같은 센서 또는 리니어 스케일 및그것의 계측 증폭기를 포함한다. 기억수단, 연산수단 및 출력수단은 퍼스널 컴퓨터 또는 이들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LC) 및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같은 장비일 수 있다.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 검출은 임의의 크랭크각도의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검출은 매 0.1°의 크랭크각도마다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 값은 1.5°또는 0.5°와 같은 다른 설정 또는 링크모션에 대응하는 다른 값 등으로 변화될 수 있다. 검출용 크랭크각도의 범위는 전체 범위(크랭크각도의 전체 360°)를 가져야만 하는 것이 아니고, 오히려 어떤 특정적인 적용을 위하여 실제로 필요한 범위일 수 있다. 상세하게는, 스트리퍼플레이트가 재료와 접촉하는 시간으로부터 재료가 가공된 후, 스트리퍼플레이트가 재료를 떠나는 시간까지의 범위일 수 있다. 또한,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를 비교하는데 사용되는 특정 범위를 여러가지 프레스가공조건(프레스 속도, 가공중인 재료의 두께, 다이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잔재부상을 검출하기에 충분한 범위로 임의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모션은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모션의 변화량을 검출하도록 비교된다. 달리 말하면, 본 발명의 장치 및 공정은 하사점과 같은 단일점에서만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스트리퍼플레이트의 이상 변위(즉, 비정상적이거나 또는 불규칙적인 변위의 변화량)를 검출할 수 있도록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즉, 변화량)를 검출한다.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가 하사점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검출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되는 본 장치는 종래기술의 검출장치 또는 메카니즘과 비교하여, 더 확실하게 잔재를 검출할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잔재부상검출용 장치가 제공되고, 제1실시예의 장치와 유사하지만, 기억수단에 저장되는 스트리퍼모션은 샘플링에 의하여 얻어진다.
상기 제2실시예에서, 프레스가공에 앞서 스트리퍼모션이 마련되고, 테스트작업(샘플링)에 의하여 저장된다. 현재 스트로크에서의 스트리퍼모션과 샘플링에서 얻어진 스트리퍼모션간의 비교는 연산수단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비교적 더 어려운 샘플링 작업은 숙련공이 하도록 하고, 뒤이은 실제 생산은 일반 작업자에게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제1실시예의 장치에 의하여 제공된 특징에 덧붙여, 사용이 더 용이한 잔재부상검출장치를 제공한다.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1 또는 제2실시예에 따른 잔재부상검출용 장치의 어느 것이든, 검출수단이 스트리퍼플레이트에 부착된 근접체, 상기 근접체를 향하고 있는 하형에 부착된 와전류센서 및 상기 와전류센서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와전류센서와 근접체간의 틈새(즉, 거리측정값)로 변환시키고, 상기 틈새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스트리퍼모션(예를 들어, 스트리퍼모션을 나타내는 신호)으로서 연산수단에 출력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차이점을 가진 잔재부상검출용 장치가 제공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와전류센서가 검출수단으로 사용된다. 검출되는 것은 와전류센서와 스트리퍼플레이트상에 부착된 근접체간의 틈새(즉, 거리측정값)이다. 이 틈새는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관련되는 것이므로, 개념적으로는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동일하다. 따라서, 이 틈새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에 스트리퍼모션으로서 연산과 같은 적절한 처리를 하면, 스트리퍼플레이트의 위치를 직접 검출하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와전류센서로부터 더 정확한 검출이 기대될 수 있고, 구조는 여타의 검출기(예를 들어, 리니어 스케일)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간단해질 수 있다. 와전류센서를 사용하여 전체 스트로크(360°의 전체 크랭크각도)가 검출될 수 없다고 하더라도, 충분한 검출범위가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제3실시예에 따르면, 제조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고, 매우 정확한 잔재부상검출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지 제3실시예 중의 하나에 따른 잔재부상검출용 장치로서, 스트리퍼모션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가 제공된다.
제4실시예에서는,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고, 또한, 스트리퍼모션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가짐으로써, 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제4실시예는 제1 내지 제3실시예 중의 하나에 의하여 제공된 결과에 덧붙여 작업자가 프레스가공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준비 및 저장하는 단계,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과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을 비교하여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연산된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초과하면, 이상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를 제어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을 제공한다.
잔재부상검출에 제5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면, 제1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르면, 샘플링에 의하여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저장하는 단계,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샘플링시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여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연산된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초과하면, 이상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를 제어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을 제공한다.
잔재부상검출에 제6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제공하면, 제2실시예에서 얻을 수 있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및 기타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동일한 요소를 동일한 참조부호로 표시하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아래의 설명으로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에서, 금형은 일반적으로 (1)로 표시되고, 복수의 다이를 포함한다. 금형(1)은 상형(2) 및 하형(3)을 포함한다. 상형(2)에는 그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4)으로 결합되는 스트리퍼플레이트(5)가 제공된다. 하형(3)은 다이(6)를 갖추고 있는 한편, 상형(2)은 다이(6)와 대응하는 펀치(7)를 갖추고 있어, 2개가 서로 축선방향으로 정렬된다. 상형(2)은 또한, 상형(2)에 펀치(7)를 부착시키기 위하여 펀치홀더(8)를 갖는다. 구멍부(9)는펀치(7)에 대응하는 스트리퍼플레이트(5)상에 제공된다. 상형(2)은 통상적으로 기계의 활주면(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되고, 하형(3)은 볼스터(도시되지 않음)에 부착된다.
정상적인 프레스가공에서는, 판재(10)가 스트리퍼플레이트(5)와 하형(3)사이에 공급되는 한편, 상형(2)은 (도시되지 않은 기계의 활주면과 함께)상승하고, 상사점으로부터 하강한다. 상형(2)이 하강함에 따라, 스트리퍼플레이트(5)는 판재(10)와 접촉하여 그 위에 힘을 가한다(즉, 상기 스트리퍼플레이트(5)는 판재(10)를 아래쪽으로 가압한다). 상형(2)이 스프링(4)의 감쇠(damping)작용을 거슬러 더욱 하강되면, 펀치(7) 및 다이(6)의 공동작용에 의하여, 판재(10)에 구멍이 뚫린다.
금형(1)이 상술된 바와 같은 펀칭공정을 수행할 때, 잔재(11)가 발생된다. 잔재(11)는 종종 (상형(2)의)펀치(7)에 부착된 채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은 종종 하형(3)의 상부표면과 판재(10)의 하부표면 사이에 또는 판재(10)의 상부표면과 스트리퍼플레이트(5)의 하부표면 사이에 놓이게 된다. 잔재(11)가 하형(3)의 상부표면 또는 판재(10)의 상부표면에 놓여진 채로, 프레스가공이 그 다음 스트로크로 계속되면, 생산품의 정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과부하를 일으킬 수 있어, 금형(1) 및 기계(도시되지 않음)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따라서, 잔재를 검출하고, 잔재가 검출될 때, 즉각적으로 기계를 정지시킬 수 있도록 잔재부상검출장치(20)가 제공된다. 잔재부상검출장치(20)는 스트리퍼플레이트(5)의 에지에 부착된 근접체(21), 하형(3)의 에지상에 부착된 근접체(21)를향하고 있는 와전류센서(22) 및 와전류센서(2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계측수단(23)을 포함한다. 계측수단(23)은 와전류센서(22)로부터의 전기신호를 스트리퍼플레이트(5)의 변위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으로 변환시킨다. 달리 말하면, 계측수단(23)은 (상술된 관계로 정의되는)스트리퍼모션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계측수단(23)은 다양한 연산을 수행하는 연산수단(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한편, 검출된 스트리퍼모션을 저장하는 기억수단(25)은 연산수단(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연산수단(24)의 연산들과 상호작동하여 메모리데이터를 교환한다. 연산수단(24)의 연산결과는 출력수단(26)을 통하여 상기 프레스로 출력된다. 표시수단(27)은 연산수단(24)의 명령을 토대로 스트리퍼모션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하게는, 계측수단(23)이 와전류센서(22)를 위한 증폭기 및 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연산수단(24)이 CPU 및 개인용 컴퓨터의 소프트웨어프로그램, 프로그래머블 로직회로(PLC) 등을 포함하고, 기억수단은 RAM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출력수단은 I/O장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표시수단은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계측수단(23)에 의하여 출력된 스트리퍼모션이 기술된다. 와전류센서(22)는 프레스(도시되지 않음)의 크랭크각도의 각각의 증분에 대하여 근접체(21)로부터의 거리 즉, 도 1에 도시된 틈새(t)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틈새(t)는 크랭크각도의 매 0.1°증가마다 측정된다. 측정된 크랭크각도 각각의 증분의 틈새(t)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스트리퍼모션이라 부른다. 도 2(a), 도 2(b), 도 2(c)는 여러가지 예시적인 스트리퍼모션의 그래프를 도시한다.
틈새(t)는 크랭크각도의 일정한 간격을 검출할 필요는 없고, 크랭크각도의 불규칙적인 간격(예를 들어, 점진적으로 변하는 간격)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와전류센서(22) 및 근접체(21)는 유사한 스트리퍼모션을 생성하도록 크랭크각도의 소정의 증분에 대하여 스트리퍼플레이트(5)의 절대위치를 측정하기 위하여, 리니어 스케일 또는 이와 유사한 것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검출장치(20)는 아래와 같이 작동한다. 상형(2)이 상하로 왕복함에 따라, 스트리퍼플레이트(5)도 왕복한다. 와전류센서(22)는 틈새(t)를 측정하고, 스트리퍼모션은 (도 2a의)계측수단(23)에 의하여 발생된다. 그런 다음에, 상기 스트리퍼모션이 연산수단(24)에 통하여 기억수단(25)에 저장된다. 또 다른 스트리퍼모션은 (도 2b의)그 다음의 스트로크에서 발생된다.
그런 다음에, 기억수단(25)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이 연산수단(24)에 의하여 호출된다. 예를 들어, 스트리퍼모션을 나타내는 신호가 연산수단(24)으로 전송/전달된다. 연산수단(24)은 상기 스트리퍼모션을 (도 2b의)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한다. 만약, 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다른 범위, 즉 변화량(S)이, 조작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거나 또는 아래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결정될 수 있는 사전설정된 특정 범위를 벗어나면, 이상이(즉, 잔재부상)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이상신호가 출력수단(26)으로부터 전송된다. 이상신호가 발생하여 전송되면, 곧 상기 기계는 정지된 다음에, 잔재의 제거와 같은 조취를 취할 수 있다.
이 특정 범위는 다양한 프레스가공조건(프레스 속도, 가공중인 재료의 두께, 다이의 구조 등)을 고려하여 잔재부상을 검출하기에 충분한 범위(상한 및 하한)로서 임의로 한정될 수 있다(도 2b). 잔재부상이 발생하면, 스트리퍼플레이트(5)는 정상위치보다 높게 위치되므로, 상기 상부의 한계는 특정 범위의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상기 기계(도시되지 않음) 및 금형(1)이 어떤 공차범위를 갖는다면, 소정의 공차범위를 지정하고 상기 특정 범위를 기준으로,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을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여 검출되는 변화량(S)을 모니터링하여, 소정의 공차 범위내에서 프레스가공을 수행할 수 있다.
기억수단(25)에 저장될 스트리퍼모션은 (공정의)제1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일 수 있고, 후속되는 모든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은 제1스트로크의 상기 스트리퍼모션과 비교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스트로크가 일어나는 때마다 저장될 스트로크모션을 업데이트하고,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바로 전의 스트로크(즉, 직전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할 수도 있다.
프레스(도시되지 않음) 및 금형(1)이 양호한 조건(예컨대 온도면에서)에 있을 때, 샘플링된 스트리퍼모션을 기억수단(26)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변화량(S)은 샘플링을 기초로 하는 스트리퍼모션과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비교하여, 연산수단(24)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러한 개요에 따르면, 비교적 더 어려운 샘플링 작업은 숙련공이 하도록 하고, 뒤이은 실제 생산은 일반 작업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표시수단(27)은 다양한 종류의 스트리퍼모션을 표시할 수 있다. 이것은 기억수단(25)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 및 현재의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방식(나란히 또는 중첩하여)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크랭크각도의 소정의 폭이내에서(스트로크의 범위내에서) 스트리퍼플레이트(5)의 위치가 검출되고,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이 결정된다. 상기 저장된 (정상)스트리퍼모션과 현재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비교하여, 잔재부상 조건 등이 발생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데 사용될 변화량을 검출한다. 따라서, 하사점과 함께 여타의 점들에서도 잔재부상검출이 이루어질 수 있어, 종래에 가능했던 것보다 더 확실한 잔재부상검출이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제5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잔재부상검출에 적용하여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제2실시예에 따르면, 현재의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과 샘플링하여 얻어진 스트리퍼모션을 비교하여 변화량이 검출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더 어려운 샘플링 작업은 숙련공이 하도록 하고, 뒤이은 실제 생산은 일반 작업자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된 특징에 덧붙여, 사용하기에 더 용이한 잔재부상검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잔재부상검출에 적용하여 유사한 결과가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조의 잔재부상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고정밀도를 얻으면서도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상에 스트리퍼모션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제1 내지 제3실시예 중의 하나에 의하여 제공된 효과에 덧붙여 작업자가 프레스가공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도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당업자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5)

  1. 가공되는 재료를 아래로 가압하기 위하여 프레스의 다이에 제공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변위는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하여 검출되고, 상기 검출수단은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motion)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스트리퍼모션을 저장하는 기억수단;
    현재의 스트로크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기억수단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여,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연산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벗어날 때, 이상 경고신호를 프레스로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스트리퍼모션은 샘플링하여 얻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스트리퍼플레이트에 부착된 근접체;
    상기 근접체를 향하는 하형에 부착된 와전류센서; 및
    상기 와전류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를 상기 와전류센서와 상기 근접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틈새값으로 변환시키고, 상기 틈새값과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스트리퍼모션을 정의하는 신호를 상기 연산수단으로 출력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리퍼모션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표시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틈새값은 크랭크각도의 매 0.1°증가마다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는 상기 스트리퍼모션은 제1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은 현재의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바로 이전의 스트로크의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스트리퍼모션을 현재 스트로크의 상기 스트리퍼모션과 병렬(side by side) 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기억수단에 저장된 상기 스트리퍼모션을 현재 스트로크의 상기 스트리퍼모션과 중첩방식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10. 재료를 아래로 가압하기 위하여 프레스의 다이에 배치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으로서, 상기 검출수단은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한 변위를 검출하고, 각각의 스트로크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의 프로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수단;
    상기 검출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스트리퍼모션의 프로파일을 저장하는 기억수단;
    현재의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의 프로파일을 기억수단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의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현재 스트리퍼모션의 프로파일과 기억수단에 저장된 스트리퍼모션의 프로파일간의 차이를 검출하는 연산수단; 및
    상기 연산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차이가 문턱값을 초과할 때, 이상 경고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수단은,
    스트리퍼플레이트에 부착된 근접체;
    상기 근접체를 향하는 하형에 부착된 와전류센서; 및
    상기 와전류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를 상기 와전류센서와 상기 근접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틈새 측정치로 변환하고, 상기 틈새 측정치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상기 스트리퍼모션의 신호를 상기 연산수단으로 출력하는 계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장치.
  12. 프레스를 제어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생성 및 저장하는 단계;
    현재의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상기 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여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량을 연산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초과할 때, 이상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트리퍼모션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검출하는 단계; 및
    각각의 스트로크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와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검출하는 단계는,
    근접체를 스트리퍼플레이트에 부착시키는 단계;
    상기 근접체를 향하는 와전류센서를 하형에 부착시키는 단계;
    계측수단으로 상기 와전류센서에 의하여 생성된 전기신호를 상기 와전류센서와 상기 근접체간의 거리를 나타내는 틈새 측정치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연산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로서, 상기 틈새 측정치와 상기 크랭크각도와의 관계를 나타내고, 스트로크에 대한 스트리퍼모션을 나타내는 신호를 연산수단으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
  15. 프레스를 제어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에 있어서,
    샘플링에 의하여 각각의 크랭크각도에 대한 스트리퍼플레이트의 변위를 나타내는 스트리퍼모션을 저장하는 단계;
    현재의 스트로크의 스트리퍼모션을 샘플링시 저장된 스트리퍼모션과 비교하여 스트리퍼모션의 변화량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연산된 변화량이 특정 범위를 초과할 때, 이상 경고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재부상검출용 방법.
KR1020020050848A 2001-10-16 2002-08-27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KR100604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7770 2001-10-16
JP2001317770A JP2003117618A (ja) 2001-10-16 2001-10-16 かす上がり検出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832A true KR20030031832A (ko) 2003-04-23
KR100604227B1 KR100604227B1 (ko) 2006-07-25

Family

ID=19135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848A KR100604227B1 (ko) 2001-10-16 2002-08-27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30070516A1 (ko)
JP (1) JP2003117618A (ko)
KR (1) KR100604227B1 (ko)
CN (1) CN1411927A (ko)
TW (1) TW58303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0762C (zh) * 2006-03-28 2009-01-14 江苏亚威机床股份有限公司 脱模错误自动检测的数控转塔冲床
US20090126545A1 (en) * 2007-11-15 2009-05-21 Advanced Foundry Specialist, Llc Automated trim press and shuttle system
JP2009178731A (ja) * 2008-01-30 2009-08-13 Nst:Kk 加工カス検出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プレス機
EP2669024B1 (de) * 2012-05-30 2017-07-05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Werkzeugmaschine und Verfahren zum Ausschieben eines Werkstückteils
JP6098979B2 (ja) * 2013-06-14 2017-03-22 株式会社理研計器奈良製作所 カス上がり検出装置及びカス上がり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9849A (en) * 1947-08-18 1952-03-18 Oetiker Hans Punching machine
CH437970A (de) * 1966-04-15 1967-06-15 Schmid Heinrich Sicherungseinrichtung an einer Stanzmaschine
US3765283A (en) * 1971-10-18 1973-10-16 P Murphy Material misfeed detector for power press
US3786976A (en) * 1972-06-21 1974-01-22 P Murphy Sensor system for automatic tooling
JPH0790506B2 (ja) * 1991-08-26 1995-10-0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裁断機における被裁断材の異常検出装置
JPH07124658A (ja) * 1993-11-05 1995-05-16 Hitachi Cable Ltd カス上がり検出方法および検出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11927A (zh) 2003-04-23
US20030070516A1 (en) 2003-04-17
JP2003117618A (ja) 2003-04-23
KR100604227B1 (ko) 2006-07-25
TW583037B (en) 200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7775B2 (ja) プレス製造条件収集システム
JP7261984B2 (ja) 打ち抜き装置
US114917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press based on wedge drive tool spring condition
KR100604227B1 (ko) 잔재부상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JP7229139B2 (ja) 工作機械のツール摩耗診断装置
JP2017087224A (ja) パンチ装置および打ち抜き加工方法
US6466840B1 (en) Detailed die process severity analysis and optimization methodology
JP5909414B2 (ja) 加工機におけるピンチング位置検出装置およびピンチング位置検出方法
US20100126361A1 (en) Press machine
JP2009095877A (ja) 薄板のプレス成形装置及び方法
KR102559348B1 (ko) 금형수명 예측 시스템 및 방법
WO2022075242A1 (ja) 状態判定装置及び状態判定方法
CN110666016A (zh) 冲压床多点应变检测系统
JPH05212455A (ja) プレス金型の寿命検出方法および装置
CN115193980A (zh) 用于预处理冲压过程中检测到的状态变量的装置和方法
JP2009178731A (ja) 加工カス検出装置及びそれを有するプレス機
JPH03155445A (ja) 型閉じ異常検知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6315066A (ja) プレス装置および該プレス装置に用いる圧入法、ならびに圧入プログラム
JP2021171771A (ja) 打ち抜き装置
KR102559051B1 (ko) 프레스 금형 평행도 측정 방법 및 장치와 프레스 장치 모니터링 방법
KR100386661B1 (ko) 전조기계의 운전상태 및 생산제품의 불량여부에 관한모니터링 장치 및 그 방법
JP2001079699A (ja) かす上がり検出装置及び方法
JP2024001744A (ja) 成形品の製造方法
JP7495513B2 (ja) 状態判定装置及び状態判定方法
CN113290125B (zh) 一种冲裁模具行程限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