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744A -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744A
KR20030031744A KR1020010063618A KR20010063618A KR20030031744A KR 20030031744 A KR20030031744 A KR 20030031744A KR 1020010063618 A KR1020010063618 A KR 1020010063618A KR 20010063618 A KR20010063618 A KR 20010063618A KR 20030031744 A KR20030031744 A KR 200300317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ink
waste
mot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17614B1 (ko
Inventor
유재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샘
Priority to KR10-2001-0063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614B1/ko
Publication of KR20030031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6Arrangement of disintegrating apparatus in waste pipes or outlets; Disintegrat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ation in waste pipes or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03C1/264Separate sieves or similar object-catching inser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E03C1/282Odour seals combined with additional object-catch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04Garbage grin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0Baths, closets, sinks, and spittoons
    • Y10S4/19Liquid-solid 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싱크보울의 찌거기걸름통에 수집되는 음식물찌꺼기를 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커터로 분쇄한 다음에 이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밴드타입 히터로 건조함과 동시에 건조시 발생할 수 있는 음식물 냄새를 특수활성탄 필터를 통해 제거함으로써 음식물찌꺼기의 부피를 감소시키고 음식물찌꺼기의 냄새제거와 세균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보울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장되어 형성된 배수케이스, 상기 배수케이스에 설치되는 찌꺼기걸름통, 상기 배수케이스와 연결된 배수호스,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측에 설치된 모터와 커터, 배수구덮개로 이루어진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걸름통의 바닥면에 중공, 바람개비형 홈과 미세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부면에 고정대가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고정대 상부에 밴드타입 히터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배수구덮개의 저면부에 특수활성탄이 삽입됨과 아울러 전면에 공기구멍이 형성된 찌꺼기방지판이 배수구덮개와 소정 이격된 상태로 테두리부가 배수구덮개의 저면테두리부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임.

Description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Device for grinding and drying food dregs for sink}
본 발명은 싱크보울의 찌거기걸름통에 수집되는 음식물찌꺼기를 찌꺼기걸름통의 하측에 설치된 모터에 의해 작동되는 커터의 회전력으로 분쇄할 수 있고 이 분쇄된 음식물찌꺼기를 밴드타입 히터로 건조함과 동시에 특수활성탄 필터를 배수구덮개에 삽입함으로써 음식물찌꺼기의 부피를 감소시키는 동시에 음식물찌꺼기의 냄새제거와 세균발생을 억제하는 등 환경적·경제적 요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에는 식기를 세척하거나 음식물을 씻을 수 있도록 수조와 같은 싱크보울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싱크보울에는 식기와 음식물을 세척한 다음 버려지는 오수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배수장치가 형성되어 있는 바, 도 4를 참조로 종래 싱크대 배수장치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싱크대의 물이 수용될 수 있는 싱크보울(sink bowl)(10)이 있고, 싱크보울(10)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배수구와 이 배수구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고 그 내부에 찌꺼기걸름통(30)이 장착되어지는 배수케이스(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케이스(20)와 연결되어 오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호스(40)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찌거기걸름통(30)은 다수개의 배수용 개공(32)을 가지고 있으면서 상기 배수케이스(20)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이에, 사용자가 세척작업을 하게 되면, 세척후의 오수는 싱크보울(10)의 배수구쪽으로 배출이 되면서 배수케이스(20) 내부에 장착된 찌꺼기걸름통(30)을 거치게 되고, 여기서 순수한 오수는 배수용 개공(32)을 통해 배수호스(40)로 배출이 되지만, 오수속에 포함된 찌꺼기는 배수용 개공(32)을 관통할 수 없게 되어 찌꺼기걸름통(30)에 누적되어진다.
이러하여, 오수속의 찌꺼기는 찌꺼기걸름통(30)에 의해 걸러지게 되고 일정시간 누적된 찌꺼기는 사용자가 찌꺼기걸름통(30)을 배수케이스(20)로부터 탈착함으로써 버려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싱크대 배수장치는 찌꺼기걸름통(30)에 걸러지는 찌꺼기가 대부분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바, 나중에 찌꺼기걸름통(30)을 탈착하여 버린다 하더라도 찌꺼기에 함유된 수분에 의해 곰팡이와 같은 세균이 발생할 수 있어 악취와 함께 파리와 같은 곤충이 모여들어 매우 불결한 환경이 조성될 우려가 있고, 수분이 포함된 찌꺼기의 자체 부피가 커서 쓰레기량의 증가를 가져와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수 있으며, 찌꺼기의 일부가 찌꺼기걸름통(30)에 걸러지지 않고 배수용 개공(32)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배출된 찌꺼기가 배수구를 막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 다른 종래의 싱크대 배수장치는 특허공개번호 99-48169호에 공지된 바와같이(도 5) 기본구조는 상술한 배수장치와 같으나,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측에 모터(50)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축(50)이 찌꺼기걸름통(30)을 관통하면서 여기에 커터(55)를 추가로 형성하여 마치 믹서기의 형상과 같이 이루어진 구조의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로서, 음식물찌거기가 찌거기걸름통(30)에 차게 되면 상기 모터(50)를 구동하여 그에 따라 커터(55)가 회전함으로써 찌꺼기를 완전분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 장치 역시도 분쇄시 발생하는 악취를 해소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는 못하고, 상기 모터(50)를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편리함 보다는 오히려 불쾌감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측에 모터를 구비함과 아울러 상기 모터축이 배수케이스에 장착된 찌꺼기걸름통을 관통하면서 여기에 음식물찌꺼기를 분쇄하는 커터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케이스의 하부면에 찌꺼기걸름통을 지지할 수 있는 고정대를 형성하면서 그 위에 판형의 밴드타입 히터를 설치하여 찌꺼기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게 되며, 배수구덮개의 저면에는 특수활성탄을 삽입함과 아울러 미세구멍이 전면에 형성된 찌꺼기방지판을 구비함으로써 찌꺼기의 부피감소와 악취제거 및 모터에 의한 진동·소음 등을 억제할 수 있는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의 분쇄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도 1a, 1b는 본발명의 찌꺼기걸름통을 도시한 부분절개사시도와 바닥면을 도시한 평면도,
도 1c는 도 1b의 A-A'선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구덮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싱크대용 배수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장치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싱크보울 20 : 배수케이스
30 : 찌거기걸름통 32 : 배수용 개공
34 : 홈 36 : 미세구멍
38 : 중공 40 : 배수호스
50 : 모터 55 : 커터
60 : 고정대 70 : 밴드타입 히터
80 : 배수구덮개 82 : 특수활성탄
84 : 찌꺼기 방지판 86 : 미세구멍
이하,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을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싱크보울(10)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장되어 형성된 배수케이스(20), 상기 배수케이스(20)에 설치되는 찌꺼기걸름통(30), 상기 배수케이스(20)와 연결된 배수호스(40),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측부에 설치된 모터(50)와 상기 모터(50)의 축과 연결되는 커터(55), 상기 배수구를 막는 배수구덮개(80)로 이루어진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걸름통(30)의 바닥면 중앙에 상기 모터(50)축이 관통하는 중공(38)과 상기 중공(38)을 중심으로 바람개비형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다수개의 미세구멍(36)이 배열된 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부면에는 고정대(60)가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고정대(60) 상부에는 밴드타입 히터(7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덮개(80)의 저면부에 특수활성탄(82)이 삽입됨과 아울러 전면에 공기구멍(86)이 형성된 찌꺼기방지판(84)이 배수구덮개(80)와 소정 이격된 상태로 테두리부가 배수구덮개(80)의 저면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도 1a, 1b를 참조로 본 발명의 찌꺼기걸름통을 설명한다.
상기 찌꺼기걸름통(30)은 종래와 같이 측면에 형성되는 배수구개공(32)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대신 바닥면의 중앙에는 중공(38)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38)을 중심으로 하여 바람개비형상으로 형성된 홈(34)에는 다수개의미세구멍(3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미세구멍(36)은 오수의 배출을 위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홈(34)이 바람개비 형상으로 된 이유는 후술하는 커터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하여 오수의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홈(34)은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자형이 아닌 아래로 굴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홈(34)이 형성되어지면 음식물찌꺼기가 미세구멍(36)에 밀착되어 미세구멍(36)을 막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오수의 배출이 원활히 이루어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수구덮개를 도시한 저면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배수구덮개(80)의 저면부에 특수활성탄(82)을 삽입하여 찌거기걸름통(30)에 있는 음식물찌꺼기에서 발생하는 냄새를 제거할 수 있고, 찌꺼기의 분쇄시 찌꺼기가 배수구덮개(80)의 특수활성탄(82)이 삽입된 곳으로 튀어 달라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수활성탄(82)이 삽입된 배수구덮개(80)의 저면과 소정 이격된 거리를 두고 찌꺼기방지판(84)의 테두리가 상기 배수구덮개(80)의 저면 테두리에 부착되어 형성된 것이다.
통상, 음식물찌꺼기는 그 고유의 냄새뿐만 아니라 오수와 함께 있음으로 해서 발생되는 세균에 의한 2차적 냄새가 발생하여 배수구 주변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상기 특수활성탄(82)과 같은 방취제를 배수구덮개(80)의 저부에 삽입하게 되면 이러한 악취를 흡수함으로써 주방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찌꺼기방지판(84)의 전면에는 공기구멍(86)이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공기구멍(86)은 악취가 특수활성탄(82)에 직접적으로 흡수되는 통로가 되어 악취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도 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는 싱크보울(10)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장되어서 배수케이스(20)가 형성되어 있고, 이 배수케이스(20)에 상술한 찌꺼기걸름통(3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가 되며, 상기 배수케이스(20)와 연결되는 배수호스(40)가 설치되어 오수를 배출하는 경로로서 이용이 되고, 이 배수구의 입구에 상술한 배수구덮개(80)가 덮여서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부에는 체결수단(88)에 의해 결합된 외부 커버(87)와 이 외부커버(87)에 둘러싸여 있는 모터(5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터(50)의 축은 상기 찌꺼기걸름통(30)의 바닥면에 형성된 중공(38)을 관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중공(38)을 관통한 모터(50)의 축에는 커터(55)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커터(55)는 찌꺼기걸름통(3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그 형태는 프로펠러형이나 스크류형 등의 여러형태가 사용되어질 수 있으며, 상기 모터(50)는 전원과 스위치 연결되어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어지거나 배수구 근방에 센서를 장착하여 이를 모터(50)와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오수의 유입과 동시에 센서가 감지하여 모터(50)가 작동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부면에는 고정대(60)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고정대(60)의 상부면에는 열발생을 위한 밴드타입 히터(70)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밴드타입 히터(70)는 상기 찌꺼기걸름통의 하부면과 밀착되어지게 된다.
상기 밴드타입 히터(70)는 알려진 바와 같이, 판(plate)형으로 되어 있고 전원부분 위치를 아주 다양하게 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내부는 운모로, 외부는 철이나 스텐레스, 또는 동으로 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고정대(60)는 상기 밴드타입 히터(70)가 설치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찌꺼기걸름통(30)을 지지해주는 부가적인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모터(50)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과 소음에 대한 대처가 고려되어야 하는데, 왜냐하면 상기 모터(50)가 작동하면서 발생하는 자체소음과, 자칫 상기 모터(50)가 배수케이스(20)면과 접촉하였을 때, 모터(50) 자체의 진동에 의해 스테인레스로 된 배수케이스(20)도 같이 진동을 하게 되면 그 진동치가 몇배로 증가되면서 그에 따른 싱크보울 자체에 진동이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에, 상기 모터(50)의 배수케이스(20)에 대한 접촉예상부위에 진동흡수재를 구비하여 줌으로써 진동의 확장을 예방할 수 있기에 진동흡수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밴드타입 히터(70) 자체도 진동흡수성이 있는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의 예방을 더욱 방지할 수 있고, 진동과 함께 발생하는 소음은 상기 배수구덮개(80)를 덮은 상태에서 모터(50)가 작동하기 때문에, 소음을 상기 배수구덮개(80)가 자연스럽게 차단하게 되고 진동에 의한 2차적 소음의 발생도 예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물이 싱크보울(10)에 수용되어 세척작업이 진행된 후, 사용한 오수를 배수구로 버리게 되고, 이때 일정시간 누적되어 찌거기걸름통(30)에 저장된 찌꺼기에 대해 모터(50)가 작동하여 그에 따라 커터(55)가 회전함으로 찌꺼기를 분쇄하게 되며, 이 분쇄과정에서 찌거기에 함유된 수분이 분쇄와 원심력 등의 영향으로 찌꺼기에서 이탈되어 찌꺼기걸름통(30) 바닥면의 미세구멍(36)을 통하여 배수호스(40)로 빠져나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쇄과정이 완료가 되면 찌꺼기에 여전히 잔존하는 수분에 대하여 건조과정을 거치게 되는 바, 상기 밴드타입 히터(70)가 작동하면서 고온의 열이 찌꺼기걸름통(30)으로 전도되고, 이에 따라 찌꺼기에 함유된 수분이 이 고열에 의해 증발되면서 찌꺼기가 건조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건조과정에 의해 증발하는 기체와 함께 냄새가 사방으로 퍼지게 되므로, 배수구덮개(80)에 있는 특수활성탄(82)이 이 냄새를 흡수하여 줌으로써 상기와 같은 분쇄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의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와 같은 음식물찌꺼기에 대한 분쇄건조과정을 진행하여 주게 되면, 수분이 이탈되어 음식물 찌거기의 부피를 줄이게 되어 음식물쓰레기량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게 되고 배수호스(40)쪽으로 찌꺼기가 빠져나갈 우려가 없으며, 상기 찌꺼기를 건조하여 청결한 상태로 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분쇄건조과정 중에 발생하는 찌꺼기 냄새제거와 진동과 소음에 대한 우려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를 일반가정 뿐만 아니라 식당이나 대형음식점 등에 적용하게 되면 년간 수억톤에 이르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적감소와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경제적·환경적 측면에서 매우 큰 잇점이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에 의하면 모터와 커터가 배수케이스와 찌거기걸름통에 연계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찌꺼기걸름통의 바닥면에 커터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바람개비형상의 홈을 굴곡지게 형성하고 여기에 미세구멍을 추가로 형성하여 음식물찌꺼기의 분쇄 후에 이 음식물찌꺼기로 인한 미세구멍의 막힘방지와 오수의 원활한 배출을 도모할 수 있고, 배수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된 고정대와 이 고정대의 상부면에 밴드타입 히터를 설치하여 분쇄된 음식물 찌꺼기를 건조하여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배수구덮개의 저면에 특수활성탄을 삽입하여 건조시 발생하는 악취의 발산을 흡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싱크보울(10) 바닥면에 형성된 배수구에 연장되어 형성된 배수케이스(20), 상기 배수케이스(20)에 설치되는 찌꺼기걸름통(30), 상기 배수케이스(20)와 연결된 배수호스(40),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측부에 설치된 모터(50)와 상기 모터(50)의 축과 연결되는 커터(55), 상기 배수구를 막는 배수구덮개(80)로 이루어진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찌꺼기걸름통(30)의 바닥면 중앙에 상기 모터(50)축이 관통하는 중공(38)과 상기 중공(38)을 중심으로 바람개비형상으로 되어 있으면서 다수개의 미세구멍(36)이 배열된 홈(3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케이스(20)의 하부면에는 고정대(60)가 적어도 2개 이상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상기 고정대(60) 상부에는 밴드타입 히터(70)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덮개(80)의 저면부에 특수활성탄(82)이 삽입됨과 아울러 전면에 공기구멍(86)이 형성된 찌꺼기방지판(84)이 배수구덮개(80)와 소정 이격된 상태로 테두리부가 배수구덮개(80)의 저면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찌거기의 분쇄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34)이 아래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오수의 배출을 원활히 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KR10-2001-0063618A 2001-10-16 2001-10-16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KR100417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18A KR100417614B1 (ko) 2001-10-16 2001-10-16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618A KR100417614B1 (ko) 2001-10-16 2001-10-16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744A true KR20030031744A (ko) 2003-04-23
KR100417614B1 KR100417614B1 (ko) 2004-02-05

Family

ID=29564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618A KR100417614B1 (ko) 2001-10-16 2001-10-16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3B1 (ko) * 2008-03-17 2010-08-17 조남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저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556U (ko) * 1997-07-26 1999-02-25 최중신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9990018789U (ko) * 1997-11-14 1999-06-05 박영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251484B1 (ko) * 1997-12-08 2000-04-15 윤종용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쇄 배출장치
KR100317651B1 (ko) * 1999-05-20 2001-12-22 김동환 싱크대용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2001259462A (ja) * 2000-03-21 2001-09-25 Sanshin Kogyo:Kk 生ごみ加熱粉砕装置
KR100370478B1 (ko) * 2000-10-31 2003-02-06 (주)청강벤처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603B1 (ko) * 2008-03-17 2010-08-17 조남우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저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17614B1 (ko) 200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0903B1 (ko) 개수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기
JPH05103744A (ja) 皿洗い機用ごみくず破砕装置
KR20050018727A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04249B1 (ko) 주방쓰레기 처리 장치
KR2014013839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를 위한 분쇄장치
KR101191339B1 (ko) 디스포저
KR101792113B1 (ko)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KR100417614B1 (ko)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의 분쇄건조장치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56431Y1 (ko) 씽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5206625B2 (ja) 流し台
KR19980043079A (ko) 씽크대 오물(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KR820000063Y1 (ko) 싱크대 부착용 오물 분쇄기
KR100615456B1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40004299U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분쇄 감량기
CN215563065U (zh) 一种垃圾处理器
KR200267431Y1 (ko) 음식물쓰레기 탈수기
KR20040041110A (ko)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S5925483Y2 (ja) 厨芥処理機
KR100624006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JPS5921875Y2 (ja) 厨芥処理機
JPH097590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5008895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분쇄기의 상부케이싱
KR19990037485U (ko) 싱크대용 음식물 찌꺼기 처리장치
KR200388136Y1 (ko) 음식물쓰레기 파쇄 및 탈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