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1361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1361A
KR20030031361A KR1020010063455A KR20010063455A KR20030031361A KR 20030031361 A KR20030031361 A KR 20030031361A KR 1020010063455 A KR1020010063455 A KR 1020010063455A KR 20010063455 A KR20010063455 A KR 20010063455A KR 20030031361 A KR20030031361 A KR 200300313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hassis base
display panel
conductive medium
pd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3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058B1 (ko
Inventor
김기정
정기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3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058B1/ko
Priority to US10/210,568 priority patent/US6700315B2/en
Publication of KR20030031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7/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solid cathode
    • H01J17/02Details
    • H01J17/16Vessels; Container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열전도 매체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양호한 상태로 배치하여 우수한 열전도 특성으로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융기부들과, 이 융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 상기 융기부들에 다수개의 홀이 관통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알려진 바와 같이, 영상 표시를 위해 방전 가스를 이용하므로 이로 인해 영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Display Panel 이하, PDP라 칭한다.)에서 열을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한 기본적 조건을 가지면서 휘도 향상을 위해 방전 정도를 높이게 되면, 상기 PDP에서 발생되는 열은 더욱 높아지게 되는 바, 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키는 것이 장치의 원활한 작용을 위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PDP를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된 샤시 베이스에 부착함은 물론, 방열 시트(또는 열전도 시트)를 상기 PDP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PDP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 시트 및 샤시 베이스를 통해 전도되어 장치 밖으로 방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샤시 베이스는 통상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구비되면서 다이 캐스팅 또는 프레스를 통해 통해 제조되고, 상기 방열 시트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수지 등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 구조에서 방열의 효율성이 높기 위해서는, 상기 방열 시트의 장착 상태가 중요하다. 즉, 상기 방열 시트가 상기 PDP와 샤시 베이스의 양측으로 완전 밀착되어야만, 그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샤시 베이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 캐스팅을 통해 제조됨에 따라 제조상의 조건으로 인해 상기 방열 시트와 접촉되는 면을 완전하게 평탄하게 이루지 못하고 미량이나마 곡률져 형성하거나 부분적으로 융기된 부분을 형성하면서 제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샤시 베이스의 비평탄면에 방열 시트가 접촉되면, 그 접촉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안에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와 같이 샤시 베이스와 방열 시트의 접촉 부위 사이에 공기층을 가진 채로 제조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층 부위를 통해서는 열 전도를 이룰 수 없게 되어 전체적인 열 전도율과 이에 따른 방열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상기 샤시 베이스와 방열 시트 사이의 접촉 부위뿐만 아니라, 상기 PDP와 방열 시트 사이의 접촉 부위에서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방열 시트를 PDP 또는 샤시 베이스에 부착시킬 때에 상기 방열 시트에 부가되는 가압력을 크게 하여 이의 부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증대된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PDP에 충격이 가해져 이의 격벽이 손상됨에 따라 PDP의 불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특개평 10-254372 에서는, PDP와 열전도 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 시트의 PDP 접촉면에 요부와 철부를 설치하고, 이 요철부가 설치된 열전도 시트 면을 PDP에 압착하여 접촉시킬 때에 상기 철부를 가압하여 이 철부가 요부 부위로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부가 없어지면서 이 요부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빠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역시, 상기 방열 시트가 접촉되는 상대면(PDP면 또는 샤시 베이스 면)이 완전 평면을 이룰 경우에는 효과가 있겠지만, 현실적으로상기한 면의 상태가 완전 평면을 이루기가 어려우므로 그 효과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방열 시트에 대한 부착 가압력을 크게 하여만 이의 부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여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의 손상으로 인한 PDP 불량 초래 등의 부담이 있어 이 또한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 시트의 부착면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평탄하게 제조되지 않더라도 방열 시트의 부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 시트에 대한 부착 가압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방열 시트의 부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열전도 매체를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매체의 접촉 면적 증대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부의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에 밀착되는 열전도 매체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 매체는 전면에 소정크기의 홀이 다수 관통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전도 매체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융기부들과, 이 융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매체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 상기 융기부들에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전도매체가 상기 융기부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에 그 부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접촉 면적 증대부를 포함할 수 있는 데, 이 경우에도 접촉면적 증대부를 따라 다수의 원형홀이 배열형성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서 밀착될 때, 열전도 매체의 전체 면적이 원형홀의 형성개수 만큼 줄어들게 되어 작은 가압력으로도 열전도 매체를 가압하여 밀착시킬 수 있게 되고, 이때 원형홀은 가압력에 의해 메워지면서 상기 열전도 매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방열 효율의 증진에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열전도 매체를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2매의 글라스 기판(20a,20b)으로 외관을 이루면서 방전 가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영상을 구현시키는 PDP(20)와, 이 PDP(20)의 일면 즉, 영상이 구현되는 반대측 면으로 배치되어 이 PDP(20)와 결합되는 샤시 베이스(22)와,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PDP(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샤시 베이스(22) 측으로 전달토록 하는 열전도 매체(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DP(20)측으로는 프런트 케이스가, 상기 샤시 베이스(22) 측으로는 백 케이스가 각기 배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한 구성에서 PDP(20)는 통상적으로 장축과 단축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샤시 베이스(22)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가령,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샤시 베이스(22)의 일측면 즉, 상기 PDP(20)와의 부착면 반대측으로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으로 인해 상기 PDP(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샤시 베이스(22)와 더불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밖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이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PDP(20) 또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와의 부착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실리콘계 수지와 같은 연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PDP(20) 또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에 대응하는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을 가지며,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수의 융기부들(24a)을 형성하고, 이 융기부들 사이에는 상기 열전도매체(24)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이 배치되며, 상기 융기부들(24a)에는 열전도 매체(24)를 관통하며 열전도 매체(24)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메꿔지는 소정크기의 홀(30)이 일정간격으로 배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홀(30)이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형홀(30)은 상기 융기부들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열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융기부들 뿐아니라 공간부를 포함하여 열전도 매체(24) 전면에 고르게 배열형성한다.
상기 원형홀(30)은 열전도 매체(24)의 두께나 열전도 매체(24)의 부착 가압력, 방열시트 면적에 대한 원형홀(30)의 개수 등에 따라 원형홀(30)의 형성지름을 달리하여 조건에 맞게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구멍의 지름이 약 0.1~2mm 정도를 이루도록 한다.
따라서 원형홀(30)의 형성개수에 따른 면적만큼 전체 열전도 매체(24)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열전도 매체(24)를 밀착시키는 데 필요한 가압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원형홀(30)은 열전도 매체(24) 제조시 열전도 매체(24)에 원형홀(30)의 형성지름을 갖는 핀이 배열설치된 금형을 프레스로 가압하거나, 핀이 형성된 로울러를 열전도 매체(24)에 회전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PDP(20)을 향한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면으로 상기 융기부들(24a)을 배치하고 있는데, 이 때 이 융기부들(24a)은 열전도 매체(24)의 일 방향(Y)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며, 이 융기부들(24a) 사이에는 도 2를 통해 더욱 알 수 있듯이, 상기 융기부들(24a)의 곡률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공간부들(24b)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들(24a)은 실질적으로 상기 PDP(20)의 부착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들(24b)은 상기 열전도 매체(24)가 상기 PDP(20)의 부착면에 부착될 때, 이 부착면과 상기 열전도 매체(24) 사이에 차게 되는 공기를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열전도 매체 가압시 상기 원형홀(30)은 외압에 의해 내측으로 찌그러지면서 메꿔지게 되는 데, 이때 원형홀(30) 내부의 공기는 원형홀(30) 내부 공간이 줄어듬에 따라 압력이 발생하여 열전도 매체(24)에 밀착되는 PDP의 부착면 사이 틈새를 통해 급속하게 빠져나가게 되고, 이어지는 공간부를 통해 외부로 빠지게 된다.
한편, 상기 융기부들(24a)의 표면으로는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도 매체(24)가 상기 PDP(20)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부착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접촉 면적 증대부가 형성될 수 있는 데, 접촉면적 증대부는 융기부들의 표면에 일정깊이의 홈(28)을 형성하여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무늬들(24c)로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도 접촉 면적 증대부 표면을 따라 다수개의 원형홀(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원형홀(30)은 상기 접촉면적 증대부 사이의 홈(28) 표면을 따라서만 형성시킴으로써, 접촉면적 증대부 사이를 구분하는 홈(28)이 원형홀(30)에서 빠져나오는 공기의 배출로 역할을 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본 실시예에서 이 접촉 면적 증대부는 상기 융기부들(24)의 표면에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무늬들(24c)로 이루어지는데, 이 무늬들(24c)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살무늬 상이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이아몬드 상을 비롯하여, 여러 형태로 형성됨이 가능하다.
도 5는 상기 무늬들(24c)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때 상기 무늬들(24c)은 한 가지 모양으로 선택되어 상기 융기부들(24a) 모두에 적용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고 몇가지 무늬로 선택되어 상기 융기부들(24a)에 조합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접촉면적 증대부는 다양한 형태를 이룰 수 있는 데, 공통적인 사항으로써 특정 무늬를 만드는 접촉면적 증대부 사이의 홈(28)이 원형홀(30)과 공간부를 연결하는 배출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오목 형태를 이루어, 원형홀(30) 내부의 공기를 공간부로 배출시키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6a와 도 6b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음의 단계를 거쳐 상기 열전도 매체(24)를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먼저,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의 부착면(22a)으로 부착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그 부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퀴즈와 같은 치구에 의해 상기 부착면(22a)에 부착될 수 있으므로, 그 부착면과 상기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22a)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부착될 수 있다.
이 다음으로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둘레에 해당되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의 부착면 부위로 양면 테이프(26)와 같은 결합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샤시 베이스(22)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융기부들(24a)이 상기 PDP(20)의 부착면(20a)에 접촉되도록 상기 PDP(20)에 위치하면, 외부로부터 상기 샤시 베이스(24)에 소정의 가압력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력은 원형홀(30)의 형성에 의해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데, 종래 원형홀(30)이 형성되지 않았을 경우의 열전도 매체(24) 면적에 비해 워형홀이 형성된 본 발명의 열전도 매체(24)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동일한 밀착량을 얻기 위해 열전도 매체(24)의 전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을 그만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한 가압력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PDP(20)의 부착면(20a)에 압착되는데, 이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부착면 즉, 상기 융기부들(24a)이 형성된 면에 가해지는 가압력은 융기부들 전면에 퍼지면서 표면에 형성된 원형홀(30)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원형홀(30)이 안쪽으로 오그라들면서 원형홀(30)을 형성하는 공간이 열전도 매체(24)에 의해 메꿔지게 되고, 이렇게 원형홀(30) 내부공간이 사라짐에 따라 공간 내부의 공기는 PDP 부착면과 융기부들에 형성된 접촉면적 증대부 사이의 홈(28)을 통해 공간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융기부들(24a)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간부들(24b) 측으로 이동되어 최초 형상으로부터 변형되며(도 6c 참조), 상기 공간부들(24b)은 상기 융기부들(24a)에 의해 공간적으로 없어지게 되고, 더불어 상기 공간부들(24b) 안에 있던 공기들은 외부 밖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PDP(20) 측으로도 그 부착면과 상기 PDP(20)의 부착면(20a)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고 양호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다시 말해, 상기한 가압력을 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열전도 매체(24)를 양호하게 부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 사이에서 이들과의 부착 부위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고 배치되는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양호한 부착 상태에 따라, 열전도율을 향상시켜 PDP(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PDP 측의 부착 부위에만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샤시 베이스 측으로만 혹은 PDP, 샤시 베이스 측 모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 또는 샤시 베이스의 제조상을 결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열전도 매체의 부착 상태를 양호할수 있어, 열전도 매체에 의한 열전도율의 향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열전도 매체 밀착을 위해 PDP에 가하는 가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PDP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열전도 매체의 밀착상태를 양호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냉각팬과 같은 별도의 방열수단이 필요치 않으므로, 이에 본 발명은 냉각팬의 소음으로 인한 고객의 제품 사용에 불만족도 부수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에 밀착되는 열전도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융기부들과;
    이 융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
    을 포함하고, 상기 융기부들에 다수개의 홀이 관통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융기부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에 그 부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접촉면적 증대부를 더욱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면적 증대부는 홈형태로 되어 공간부와 연결되며, 상기 홀이 상기 접촉 면적 증대부를 따라 배열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구멍의 지름이 약 0.1~2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샤시 베이스,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에 밀착되는 열전도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 매체에는 다수개의 홀이 관통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1-0063455A 2001-08-03 2001-10-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20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55A KR100420058B1 (ko) 2001-10-15 2001-10-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0/210,568 US6700315B2 (en) 2001-08-03 2002-07-31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efficient heat condu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3455A KR100420058B1 (ko) 2001-10-15 2001-10-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361A true KR20030031361A (ko) 2003-04-21
KR100420058B1 KR100420058B1 (ko) 2004-02-25

Family

ID=29564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3455A KR100420058B1 (ko) 2001-08-03 2001-10-15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05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923B1 (ko) * 2003-09-06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KR100683732B1 (ko) * 2004-12-10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83710B1 (ko) * 2004-11-22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4754B1 (ko) * 2004-11-15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459838B2 (en) 2003-11-26 2008-12-02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TCP applied thereto,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CP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8923B1 (ko) * 2003-09-06 2005-11-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장치
US7459838B2 (en) 2003-11-26 2008-12-02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device, TCP applied thereto,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TCP
KR100684754B1 (ko) * 2004-11-15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10B1 (ko) * 2004-11-22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83732B1 (ko) * 2004-12-10 2007-02-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058B1 (ko) 2004-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031B1 (ko) 방열효율이 향상된 방열수단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US6849992B2 (en)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efficient heat conductivity
US6700315B2 (en)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efficient heat conductivity
KR100374283B1 (ko) 플라즈마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US7362042B2 (en)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a thermal conduction medium
KR1006837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2005003920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200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41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54109A1 (en) Heat-dissipating plate for an electro-optical device
JPWO2016027353A1 (ja) 光源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10254372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88514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表示装置
KR1005421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369072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 조립체
JP2001236022A (ja) 映像表示装置
JP2007129183A (ja) 冷却部材
KR1005422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용섀시 베이스의 보강부재
US20060255453A1 (en) Tightly engaged heat dissip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272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2196684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3713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997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74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7893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