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42183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2183B1
KR100542183B1 KR1020010047072A KR20010047072A KR100542183B1 KR 100542183 B1 KR100542183 B1 KR 100542183B1 KR 1020010047072 A KR1020010047072 A KR 1020010047072A KR 20010047072 A KR20010047072 A KR 20010047072A KR 100542183 B1 KR100542183 B1 KR 100542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display
conductive medium
display panel
chassis base
thermally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12694A (ko
Inventor
김기정
김귀성
정기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183B1/ko
Priority to US10/210,568 priority patent/US6700315B2/en
Publication of KR20030012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30Manufacture of base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열전도 매체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양호한 상태로 배치하여 우수한 열전도 특성으로 제품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샤시 베이스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의 밀착면에 밀착되는 열전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융기부들과, 이 융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과, 상기 융기부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에 그 부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접촉 면적 증대부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PDP, 샤시, 열전도, 겔(gel)상, 방전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열전도 매체를 확대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고,
도 3a 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 매체의 접촉 면적 증대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구성부의 결합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a 와 도 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의 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말하자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기 위한 수단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알려진 바와 같이, 영상 표시를 위해 방전 가스를 이용하므로 이로 인해 영상이 구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칭한다.)에서 열을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한 기본적 조건을 가지면서 휘도 향상을 위해 방전 정도를 높이게 되면, 상기 PDP에서 발생되는 열은 더욱 높아지게 되는 바, 이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한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키는 것이 장치의 원활한 작용을 위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종전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PDP를 열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구비된 샤시 베이스에 부착함은 물론, 방열 시트(또는 열전도 시트)를 상기 PDP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개재하여, 상기 PDP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방열 시트 및 샤시 베이스를 통해 전도되어 장치 밖으로 방열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샤시 베이스는 통상 알루미늄 등의 금속을 구비되면서 다이 캐스팅 또는 프레스를 통해 통해 제조되고, 상기 방열 시트는 아크릴계, 실리콘계 수지 등으로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방열 구조에서 방열의 효율성이 높기 위해서는, 상기 방열 시트의 장착 상태가 중요하다. 즉, 상기 방열 시트가 상 기 PDP와 샤시 베이스의 양측으로 완전 밀착되어야만, 그 열전도 효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샤시 베이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 캐스팅을 통해 제조됨에 따라 제조상의 조건으로 인해 상기 방열 시트와 접촉되는 면을 완전하게 평탄하게 이루지 못하고 미량이나마 곡률져 형성하거나 부분적으로 융기된 부분을 형성하면서 제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러한 샤시 베이스의 비평탄면에 방열 시트가 접촉되면, 그 접촉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면서 그 안에 공기가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와 같이 샤시 베이스와 방열 시트의 접촉 부위 사이에 공기층을 가진 채로 제조되면,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층 부위를 통해서는 열 전도를 이룰 수 없게 되어 전체적인 열 전도율과 이에 따른 방열 효율을 떨어뜨리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비단 상기 샤시 베이스와 방열 시트 사이의 접촉 부위뿐만 아니라, 상기 PDP와 방열 시트 사이의 접촉 부위에서도 발생된다.
이와 같은 결점을 감안하여 방열 시트를 PDP 또는 샤시 베이스에 부착시킬 때에 상기 방열 시트에 부가되는 가압력을 크게 하여 이의 부착율을 향상시킬 수 있겠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증대된 가압력으로 인해 상기 PDP에 충격이 가해져 이의 격벽이 손상됨에 따라 PDP의 불량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와 관련하여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특개평 10-254372 에서는, PDP와 열전도 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열전도 시트의 PDP 접촉면에 요부와 철부를 설치하고, 이 요철부가 설치된 열전도 시트 면을 PDP에 압착하여 접촉시킬 때에 상기 철부를 가압하여 이 철부가 요부 부위로 확장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요부가 없어지면서 이 요부에 있는 공기가 외부로 빠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 역시, 상기 방열 시트가 접촉되는 상대면(PDP면 또는 샤시 베이스 면)이 완전 평면을 이룰 경우에는 효과가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상기한 면의 상태가 완전 평면을 이루기가 어려우므로 그 효과는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경우에도 방열 시트에 대한 부착 가압력을 크게 하여만 이의 부착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여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격벽의 손상으로 인한 PDP 불량 초래 등의 부담이 있어 이 또한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열 시트의 부착면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평탄하게 제조되지 않더라도 방열 시트의 부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열 시트에 대한 부착 가압력을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방열 시트의 부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샤시 베이스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의 밀착면에 밀착되는 열전도 매체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도 매체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융기부들과, 이 융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과, 상기 융기부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에 그 부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접촉 면적 증대부를 포함하여 형성한다.
상기에서 융기부들은 상기 열전도 매체의 일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접촉 면적 증대부는 상기 융기부에 입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무늬(예: 다이아몬드 또는 빗살무늬 모양)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융기부들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측을 향한 상기 열전도 매체의 면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공간부들 내에 겔(gel)상태의 열전도 부재가 더욱 배치될 수 있는데, 이 때 이 겔상태의 열전도 부재는 열전도성을 갖는 그리스(grease)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열전도 매체에 설치되어 이 열전도 매체의 경도를 강화시키는 보강재를 더욱 포함할 수 있는데, 이 보강재는 창살형이 격자 상과 같은 임의의 패턴을 가지면서 상기 열전도 매체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미세 섬유나 미세 금속 등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 측으로 배치되는 열전도 매체의 부착면에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에 부착될 때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수단을 형성함으로써, 이 수단에 따라 상기 열전도 매체에 부가되는 부착 가압력을 크게 하지 않고도 상기 열전도 매체의 밀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어 방열 효율의 증진에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2매의 글라스 기판(20a,20b)으로 외관을 이루면서 방전 가스를 이용하여 실질적으로 영상을 구현시키는 PDP(20)와, 이 PDP(20)의 일면 즉, 영상이 구현되는 반대측 면으로 배치되어 이 PDP(20)와 결합되는 샤시 베이스(22)와,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PDP(2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샤시 베이스(22) 측으로 전달토록 하는 열전도 매체(2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PDP(20)측으로는 프런트 케이스가, 상기 샤시 베이스(22) 측으로는 백 케이스가 각기 배치되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하게 되나, 본 발명에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백 케이스는 편의상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한 구성에서 PDP(20)는 통상적으로 장축과 단축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상기 샤시 베이스(22)는 열전도 특성이 우수한 가령, 알루미늄과 같은 재질로 구비되는데, 여기서 상기 샤시 베이스(22)의 일측면 즉, 상기 PDP(20)와의 부착면 반대측으로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에 필요한 회로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인해 상기 PDP(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상기 샤시 베이스(22)와 더불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밖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바, 이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PDP(20) 또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와의 부착 효율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먼저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실리콘계 수지와 같은 연성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PDP(20) 또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에 대응하는 형상(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을 가지며,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다수의 융기부들(24a)을 형성한다.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재질로는 실리콘계 수지 뿐만 아니라, 아크릴계 수지, 우레탄 재질로도 구비됨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PDP(20)을 향한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면으로 상기 융기부들(24a)을 배치하고 있는데, 이 때 이 융기부들(24a)은 열전도 매체(24)의 일 방향(Y)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형성되며, 이 융기부들(24a) 사이에는 도 2를 통해 더욱 알 수 있듯이, 상기 융기부들(24a)의 곡률에 따라 소정의 크기로 형성되는 공간부들(24b)이 배치 된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들(24a)은 실질적으로 상기 PDP(20)의 부착면에 밀착되어 부착되는 부위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들(24b)은 상기 열전도 매체(24)가 상기 PDP(20)의 부착면에 부착될 때, 이 부착면과 상기 열전도 매체(24) 사이에 차게 되는 공기를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융기부들(24a)의 표면으로는 실질적으로 상기 열전도 매체(24)가 상기 PDP(20)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부착성을 증진시키도록 하는 접촉 면적 증대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이 접촉 면적 증대부는 상기 융기부들(24)의 표면에 입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무늬들(24c)로 이루어지는데, 이 무늬들(24c)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빗살무늬 상이나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이아몬드 상을 비롯하여, 여러 형태로 형성됨이 가능하다.
도 3b는 상기 무늬들(24c)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때 상기 무늬들(24c)은 한 가지 모양으로 선택되어 상기 융기부들(24a) 모두에 적용되는 것으로 국한되지 않고 몇가지 무늬로 선택되어 상기 융기부들(24a)에 조합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다음의 단계를 거쳐 상기 열전도 매체(24)를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 사이에 설치하게 된다.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의 부착면(22a)으로 부착되어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그 부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퀴즈와 같은 치구에 의해 상기 부착면(22a)에 부착 될 수 있으므로, 그 부착면과 상기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22a)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부착될 수 있다.
이 다음으로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둘레에 해당되는 상기 샤시 베이스(22)의 부착면 부위로 양면 테이프(26)와 같은 결합수단이 제공되고, 상기 샤시 베이스(22)가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융기부들(24a)이 상기 PDP(20)의 부착면(20a)에 접촉되도록 상기 PDP(20)에 위치하면, 외부로부터 상기 샤시 베이스(24)에 소정의 가압력이 제공된다.
그러면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한 가압력에 의해 눌리면서 상기 PDP(20)의 부착면(20a)에 압착되는데, 이 때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부착면 즉, 상기 융기부들(24a)이 형성된 면은 상기 가압력에 의해 압착될 때에 상기한 무늬들(24c)에 의해 그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상기 PDP(20)의 부착면(20a)에 보다 쉽게 부착될 수 있다. 물론, 이 때 상기 융기부들(24a)은 압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공간부들(24b) 측으로 이동되어 최초 형상으로부터 변형되는 바(도 4c 참조), 이에 상기 공간부들(24b)은 상기 융기부들(24a)에 의해 공간적으로 없어지게 되고, 더불어 상기 공간부들(24b) 그 안에 있던 공기들은 외부 밖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열전도 매체(24)는 상기 PDP(20) 측으로도 그 부착면과 상기 PDP(20)의 부착면(20a)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고 양호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는데, 이는 다시 말해, 상기한 가압력을 종래(열전도 매체에 상기한 무늬와 같은 접촉 면적 증대수단이 제공되지 않은 경우)보다 작게 하면서도 상기 열전도 매체(24a)를 양호하게 부착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PDP(20)와 샤시 베이스(22) 사이에서 이들과의 부착 부위에 공기층을 형성하지 않고 배치되는 상기 열전도 매체(24)의 양호한 부착 상태에 따라, 열전도율을 향상시켜 PDP(2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효율적으로 방열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30)와 샤시 베이스(32) 사이에 열전도 매체(34)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바, 이 때 상기 PDP(30), 샤시 베이스(32) 및 열전도 매체(34)는 위에서 설명한 예와 그 기본적인 구성을 같이 하므로 그 자세한 설명은 위의 설명으로 대치하기로 한다.
다만, 이 실시예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열전도 매체(34)의 경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재(36)를 더욱 포함한다. 이 보강재(36)는, 상기 열전도 매체(34)를 상기 PDP(30) 및 상기 샤시 베이스(32)를 부착시키는 작업시, 상기 열전도 매체(34)의 양 부착면에 붙어있던 비닐 또는 필름과 같은 이형제(separator)를 상기 열전도 매체(34)로부터 분리시킬 때에, 그 분리 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 연성의 재질로 구비된 상기 열전도 매체(34)의 형태를 유지토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종래에 열전도 매체는 그 사이에 상기 이형제를 두고 다수로 적층되어 작업 현장에 제공되는 바, 열전도 매체 부착 작업시 열전도 매체에 붙어 있던 이형제를 분리시켜야 하는데, 열전도 매체의 부착성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를 연성의 재질로 할 경우, 상기 열전도 매체의 경도가 낮아 상기 이형제의 분리 작업이 용이하지 않았으며, 또한 이형제를 분리하더라도 열전도 매체의 형상을 원형으로 유지하기가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 때 열전도 매체는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서 제대로 부착되기 어렵게 된다.
상기 보강재(36)는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열전도 매체(34)의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미세 섬유나 미세 금속 등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전체적인 패턴은 창살형(도 6a 참조)이나 격자형(도 6b 참조)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열전도 매체(34) 내에 이 열전도 매체(34)의 뼈대를 형성할 수 있는 보강재(36)를 제공함으로써, 열전도 매체(34)의 재질적 특성으로 인한 작업성 상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 실시예에서는 경우에 따라 열전도 매체가 PDP와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될 때, 그 부착면에 잔존할 수 있는 공기층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역시, 전술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PDP(40)와 샤시 베이스(42) 사이에 열전도 매체(44)를 배치하여 구성되는 바, 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상기 열전도 매체(44)에 형성되는 공간부들(44a)에 액상의 열전도 부재(46)가 더욱 제공된다. 이 겔상태 의 열전도 부재(46)는 상기 열전도 매체(44)가 상기 PDP(40) 측으로 압착되어 부착될 때, 상기 공간부들(44a)에 차있던 공기가 미쳐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남아 상기 열전도 매체(44)의 열전도율을 저하시키게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열전도성 있는 그리스(thermal grease)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간부들(44a) 사이에 상기한 그리스와 같은 열전도 부재(46)가 더욱 제공되면, 상기 열전도 매체(44)가 상기 PDP(40)에 압착되어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부재(46)가 공기층을 밀어내면서 상기 열전도 매체(44)의 융기부들(40b) 사이에 자리하게 되므로, 이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열전도 매체(44)는 물론, 상기 열전도 부재(46)가 발휘하는 열전도 기능에 따라 그 방열 효율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전도 부재(46)는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시, 상기 PDP(40)측 또는 상기 열전도 매체(44)측 어느 쪽에 선택적으로 제공되어 상기 공간부들(44a)에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 상기한 접촉 면적 증대부로 작용하는 무늬들을 상기 열전도 매체의 융기부 상에 형성하는 방법은, 해당 열전도 매체를 제조할 때에 각 무늬에 해당되는 형상을 갖는 틀을 열전도 매체를 구성하는 부재에 대고 찍어서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한 이형제에 원하는 무늬를 각인하여 형성하고, 이 이형제를 상기 열전도 매체가 최종 완성되기 전에 붙여 눌러서 상기 무늬가 열전도 매체에 배어 나오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본 발명이 PDP 측의 부착 부위에만 적 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샤시 베이스 측으로만 혹은 PDP, 샤시 베이스 측 모두에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 또는 샤시 베이스의 제조상을 결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면서 가압력을 크게 하지 않고도 열전도 매체의 부착 상태를 양호할 수 있어, 열전도 매체에 의한 열전도율의 향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냉각팬과 같은 별도의 방열수단이 필요치 않으므로, 이에 본 발명은 냉각팬의 소음으로 인한 고객의 제품 사용에 불만족도 부수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2차 정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샤시 베이스; 및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샤시 베이스의 밀착면에 밀착되는 열전도 매체
    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샤시 베이스의 부착면을 향한 면들 중 적어도 어느 일면에 형성되는 다수의 융기부들과;
    이 융기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 상기 열전도 매체와 부착면 사이에 있는 공기가 외부 밖으로 빠지도록 하는 공간부들; 및
    상기 융기부들의 표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 매체가 상기 부착면에 부착될 때에 그 부착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접촉 면적 증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면적 증대부가
    상기 융기부에 입체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무늬들로 이루어지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들이 상기 열전도 매체의 일 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 타입으로 길게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삭제
  4.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가 다이아몬드 상으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정정)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늬가 빗살무늬 상으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기부들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측을 향한 상기 열전도 매체의 면에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들에 겔상태의 열전도 부재가 배치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겔상태의 열전도 부재가 그리스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1 항에서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가,
    상기 열전도 매체에 설치되어 이 열전도 매체의 경도를 강화시키는 보강재를 더욱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임의의 패턴을 가지고 상기 열전도 매체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미세 섬유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가 임의의 패턴을 가지고 상기 열전도 매체 내부에 내장 설치되는 미세 금속으로 이루어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10047072A 2001-08-03 2001-08-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42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072A KR100542183B1 (ko) 2001-08-03 2001-08-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0/210,568 US6700315B2 (en) 2001-08-03 2002-07-31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efficient heat conductivit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072A KR100542183B1 (ko) 2001-08-03 2001-08-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94A KR20030012694A (ko) 2003-02-12
KR100542183B1 true KR100542183B1 (ko) 2006-01-16

Family

ID=27717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072A KR100542183B1 (ko) 2001-08-03 2001-08-0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21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57120B2 (en) 2004-04-29 2008-11-25 Samsung Sdi Co., Ltd. Plasma display apparatus
JP2006003858A (ja) * 2004-05-20 2006-01-05 Pioneer Electronic Corp 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84754B1 (ko) * 2004-11-15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5910B1 (ko) * 2005-07-22 2007-04-10 제일모직주식회사 열전도성 그리스 복합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694A (ko) 2003-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0031B1 (ko) 방열효율이 향상된 방열수단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US6700315B2 (en)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efficient heat conductivity
US6849992B2 (en) Plasma display device having efficient heat conductivity
CN100555369C (zh) 底基板组件和具有该底基板组件的平板显示装置
KR10091128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및 그 해체 방법
KR100374283B1 (ko) 플라즈마표시장치및그제조방법
JP3499849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US20020153840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JP3512586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5421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3619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200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3499847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361290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73085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JP2005005003A (ja) ライトユニット及び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
JP3499848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75945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7893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309551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015468A5 (ko)
JP4007234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の製造方法
JP2008015468A (ja) 導光板パターンの形成装置及び導光板の製造方法
JP2009080397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の製造方法
JP2008203700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40519

Effective date: 200511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