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0928A -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0928A
KR20030030928A KR1020020061538A KR20020061538A KR20030030928A KR 20030030928 A KR20030030928 A KR 20030030928A KR 1020020061538 A KR1020020061538 A KR 1020020061538A KR 20020061538 A KR20020061538 A KR 20020061538A KR 20030030928 A KR20030030928 A KR 20030030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core
molded article
casting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바야시마사유키
다케다히데키
수기타에쯔지
Original Assignee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엔.티.티. 어드밴스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엔.티.티. 어드밴스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30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09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5/00Special cast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produc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7Split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06Permanent moulds for shaped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CFOUNDRY MOULDING
    • B22C9/00Moulds or cores; Moulding processes
    • B22C9/10Cores; Manufacture or installation of cores
    • B22C9/101Permanent co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4Ferrul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6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abricated by using mould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슬릿(5)을 가진 중공 주물 성형품(1)의 제조에서는, 금형(20)으로부터 중공 주조물(1)의 배출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는 중에 이행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릿 형성부(또는 외주부)에 형성된 오목부(13)(또는 돌출부)가 설치된 코어(10)가 사용되며, 중공 주조물으로부터의 코어의 인출은 상술된 오목부(또는 돌출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는 중에 이행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그 내주부 및/또는 슬릿부에 형성된 돌출부(또는 오목부)와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이 획득된다. 일 단부에 광폭으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를 가진 코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코어가 테이퍼 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도록 협폭의 타 단부로의 방향으로 중공 주조물로부터 인출된다.

Description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HOLLOW CAST ARTICLE WITH SLI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THEREOF}
본 발명은 슬릿(slit)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정하게는, 본 발명은 주조에 의한, 특히 비정질 합금(금속 글래스)의 금속 금형 주조에 의한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특히 광 커넥터 페룰(ferrule)용 슬리브와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conversion sleeve)와 같은 광 커넥터 부품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주조기술(casting technique)에 관한 것이다.
높은 치수 정밀도가 요망되며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hollow cast article)의 일반적인 예로서, 광 커넥터 페룰용 슬리브와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와 같은 광 커넥터 부품을 거론할 수 있다.
광 커넥터 페룰용 슬리브는 각각 광섬유가 이미 그 안에 삽입 연결되어져 있는 페룰을 서로에 대하여 페룰의 단부를 접합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광섬유의 연결은 페룰을 그 대향측 단부를 통해 분할 슬리브 내로 삽입하고, 서로에 대하여 페룰의 단부를 접하게 하여서, 그에 의해 광섬유의 유도 단부가 축선 정렬 상태로 접하여 연결시키어서 획득 된다.(예, 일본 JP-6-27348호, JP-10-311923호를 참고) 다른 한편,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는 다른 직경의 페룰을 서로에 대하여 페룰의 단부를 접하게 하여 연결하는데 사용된다.(JP-9-90169호를 참고)
광 커넥터 페룰용 슬리브와 상기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와 같이,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을 제조하는 경우에, 중공부를 형성하는 코어의 구배(draft) 각도가 0~5°범위에 있으면, 코어를 배출(ejection)하는 단계 중에 주조물(cast product)로부터 인출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코어를 주조물로부터 무리하게 인출하는 경우에는, 일부 주조재가 코어의 표면에 접착되어 생성 주물이 거친 내측면을 가지는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주조재가 비정질 합금(금속 글래스)인 경우, 금형의 캐버티의 외형상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는 우수한 전사성(轉寫性)을 나타낸다. 그러한 결과는, 소망의 형상, 치수 정밀도, 표면품질을 만족하는 비정질 합금 주조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은 코어가 열수축에 의해 주조물 내로 수축-맞춤(shrink-fit) 상태에 있으며, 금형의 캐버티의 표면과 주조재와의 사이에 간격이 거의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실은 주조물로부터 코어를 인출할 때에, 코어가 중공 주조물의 내측면을 문질르고, 그리고 주조재의 일부가 경성(硬性)이지만 변형이 용이한 성질(다축 응력 하에서는 현저한 소성변형)을 가진 비정질 합금의 성질로 인하여 박막상태로 코어의 전체면에 부착하는 문제가 있다. 그 결과, 긁힌 표시가 중공 주조물의 내측면에 남게 된다.
상기 경우에서는, 이용되는 코어의 표면이 평활하여도 중공 주조 성형품의 내측면은 거칠게(표면 조도(粗度)의 증가) 된다. 이러한 사실은 평활한 내측면을 요망하는 상술된 광 커넥터 부품과 같은 중공 주조 성형품에서는 치명적인 결함이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적 목적은,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주조에 사용되는 코어부재에 구배각도가 없는 경우에도 주조 후에 금형으로부터 주조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어서, 배출 단계 중에 코어의 표면에 주조재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코어 표면의 평활성에 대응하는 평활한 내측면과 슬릿을 가진 고품질의 중공 주조 성형품을 우수한 생산성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정적인 목적은, 슬릿을 가진 중공 비정질 합금 성형품에서도, 중공 성형품이 간단한 공정으로 요망 형상, 고정밀도 및 표면 품질로 성형가공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여, 내구성, 강도, 내충격성 등이 우수한 슬릿을 가진 중공 비정질 합금 성형품, 특히, 광 커넥터 페룰용 슬리브와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1면은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 제1실시예는 적어도 일 슬릿 부분과 내주부에 적어도 일 오목부와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2실시예는 슬릿이 일 단부에 광폭으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광 커넥터 페룰용 슬리브와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면에 의거,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의 기본적 실시예는 금형으로부터의 중공 주조물의 배출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면서 이행된다는 사실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양호한 제1실시예에의거, 슬릿 형성부와 그 외주부의 적어도 일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와 오목부의 적어도 일 부분이 형성된 코어를 이용하고, 중공 주조물로부터 코어를 인출하는 동작이 상술된 돌출부 또는/및 오목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는 중에 이행된다. 양호한 제2실시예에 의거, 일 단부에 광폭으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가진 테이퍼 형상 릿지(ridge)의 슬릿 형성부가 형성된 코어를 이용하며, 중공 주조물로부터의 코어의 인출이 상기 테이퍼 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면서 이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면은, 목적하는 제품 외형을 형성하는 적어도 일 캐버티가 설치된 분할 금형과, 상기 금형의 캐버티 내에 그 길이방향으로 미끄럼 자유롭게 배치된 코어를 포함하며, 적어도 일 슬릿 형성부와 외주부에 형성된 적어도 일 돌출부와 오목부 또는 테이퍼 형상 릿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도1에 나타낸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 변환용 슬리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도2의 III-III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제조장치의 일 실시예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단면도.
도5는 도4에 나타낸 장치의 코어부재의 배치상태를 개략적으로 설명하고자 나타낸 평면도.
도6은 도4에 도시한 장치의 상부 금형 및 가압 금형과 코어부재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7은 도4에 나타낸 장치의 주조 후, 상부 금형을 분리한 후의 가압 금형과 코어부재의 배치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8은 주조 후,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로부터 코어부재를 인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서의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10은 도9에 나타낸 슬리브의 개략 단면도.
도11은 도10의 XI-XI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
도12a 및 도12b는 주조 후, 슬리브와 코어부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슬릿의 부분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도13a 및 도13b는 주조 후, 슬리브로부터 코어를 인출하는 중에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슬릿의 부분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도14a 및 도14b는 주조 후, 슬리브로부터 코어를 인출하는 중에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슬릿의 부분 종단면도와 횡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에 있어서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사용되는 코어와 함께하는,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사시도.
도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0은 주조 후, 본 발명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와 코어부재와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21은 도20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주조 후, 슬리브로부터 코어를 인출하는 과정에 코어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23은 코어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으로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c,1e,1f,1h: 다른 직경 페룰용 변환 슬리브
1a,1b,1d,1g,1i: 슬리브
5,5a~5i: 슬릿 6,14: 돌출부
7,13: 오목부 10,10a: 코어부재
11,11a~11e: 코어 12,12a,15: 슬릿 형성부
20: 강제냉각주형 21:상부 금형
22: 제품 성형용 공동 23: 가압 금형
24: 탕도 25: 그루브
27: 주탕구 30: 용해용 용기
34: 용탕 이동구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는, 사용되는 코어부재를 주조 후에 용이하게 인출할 목적으로, 금형으로부터 중공 주조물의 배출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면서 이행되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양호하게, 슬릿 형성부 및/또는 외주부에 형성된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가 형성된 코어가 사용되며, 그리고 중공 주조물로부터의 코어의 인출이 상기 돌출부 및/또는 오목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는 중에 이행된다. 특정적으로는, 상기 코어를 사용하여, 상기 돌출부 또는 오목부에 대응하는 돌출부 또는 오목부가 대응 주조물에 형성된다. 코어가 중공 주조물로부터 인출되면, 오목부 또는 돌출부가 코어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단차를 타고 올라가서 중공 주조물의 탄력성에 의해 해당 슬릿이 개방 또는 확장되어서, 코어의 표면과 중공 주조물 내면과의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가 중공 주조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되고, 코어 표면에 주조재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그러한 결과, 코어 표면의 평활성에 대응한 평활한 내표면을 가지는 고품질의 중공 주조 성형품을 저렴한 비용과 높은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코어의 내구성도 향상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것은 릿지의 폭이 일 단부에 광폭(large width)으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small width)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방식으로 형성된 테이퍼 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를 가진 코어의 사용에 유용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는, 코어가 중공 주조물로부터 인출 시에 상술된 테이퍼-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거, 소망 형태, 높은 치수 정밀도와 표면질과 우수한 내구성, 기계적 강도, 내충격성 및 그와 같은 것들이 만족스러운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 또는 광 커넥터 페룰용 슬리브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원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본원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 한다.
도1 내지 도3은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된,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변환 슬리브(1)는, 광 파이버가 그 안에 삽입 고착된 대구경 페룰(도시 않음)이 끼워져 형성된 대구경 관통구멍(2a)을 가진 대구경부(2)와, 그 안에 삽입 고착된 광섬유를 유사하게 가지는 소구경 페룰(도시않음)이 끼워져 형성된 소구경 관통구멍(3a)을 가진 소구경부(3)를 포함하고, 상기 대구경부(2)와 상기 소구경부(3)는, 완만하게 경사진 홀(4)의 매체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각도(경사)의 완만한 경사로 소구경부에 연결되어 변형되는 접속상태에서, 금속, 양호하게는 비정질 합금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변환 슬리브(1)에는 대구경부(2)의 일 단부로부터 소구경부(3)의 타 단부로 그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통해 형성된 슬릿(5)이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돌출부(6)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어에 형성된 오목부와 부합하여 교체식으로 대향 슬릿면에(또는 서로 대면하여) 형성된다. 슬릿에 형성된 상기 돌출부(6)가 슬릿의 개방(또는 확장)과 폐쇄(또는 수축) 시에도 서로 닿지 않으므로, 제품의 성능(광 커넥터 부품이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인 경우에, 페룰의 유지력과 광특성)에 어떠한 해로운 영향도 발휘하지 않는다. 그런데, 돌출부(6)(또는 코어의 오목부)의 두께(L1)는 슬리브(1)의 두께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슬리브(1)의 두께가 0.3mm이면, 예를 들어 돌출부(6)(또는 코어의 오목부)의 두께(L1)는 약 0.2mm인 것이 양호하다. 돌출부(6)(또는 코어의 오목부)의 두께(L1)는 슬리브(1)의 두께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돌출부(6)의 높이(L2)(또는 코어의 오목부의 깊이)는 슬릿(5)의 폭으로부터 제약을 받으며, 본 실시예에서 대향된 슬릿면에 복수의 돌출부(6)가 형성되는 경우에, 슬릿 폭의 1/2보다 크지 않게 되는 것이 양호하다. 코어의 배출 시까지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예를 들면 개방(확장)과 폐쇄(수축) 사이클을 반복하지 않고 코어를 배출하기 위해서, 양호하게는 돌출부 사이에 간격과 돌출부(6)의 길이가 동일한 값이 되지 않아야 한다.
다음, 상술된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를 제조하는 방법의 예를 도4 내지 도8을 참고로 설명한다.
도4는 금형 주조법에 의해 상기 다른 직경을 가지는 페룰용 변환 슬리브를 제조하는 장치와 방법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강제냉각주형(20)은 다-분할 가능한 상부 금형(21)과, 가압 금형(23)과, 하부 금형(26)으로 이루어진 분할 금형이다. 상부 금형(21)은 그 안에 형성되고 슬리브의 외측부 치수를 한정하도록 채택되는 복수의 성형 캐버티를 가진다. 상기 캐버티(22)의 내측부에서, 슬리브의 내측 치수를 한정하는 코어부재(10)의 코어(11)는 개별적으로 배치된다. 상기 캐버티(22)는 용탕이 캐버티(22) 내로 개별 탕도(24)의 유도 단부를 통해 흐르도록 탕도(24)의 매체를 통하여 상호 소통한다. 다른 한편, 상술된 탕도(24)와 소통하는 주탕구(관통-홀)(27)는 하부 금형(26)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주탕구(27) 밑에는 용해용 용기(30)의 원통형상 원료 수용부 또는 포트(32)의 상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부(28)가 형성된다.
또한, 강제냉각주형(20)이, 동, 동합금, 초경합금 및, 다른 금속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기는 하지만, 캐버티 내에 부어지는 용탕의 냉각속도를 신속하게 할 목적으로 열용량이 크고 열전도율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구리, 또는 구리 합금재로 양호하게 제조된다. 상부 금형(21)에는 냉각수 또는 냉매가스 등의 냉매체를 유통시키는 유로를 그 안에 배치할 수 있다.
각각의 코어부재(10)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품의 내면형상에 부합하는 외형상을 가진 코어(11)가 슬릿 형상을 한정하는 평판형상 슬릿 형성부(12)의 선단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지고, 상술된 폭과 깊이를 가진 오목부(13)는 소정 간격으로 코어에 근접한 슬릿 형성부(12)의 위치에 형성된다. 개별 코어부재(10)의 배열은 코어(11)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탕구(27)에 대해 대칭적으로 배치되도록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가 4개 코어부재(10)를 구비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코어부재의 수는 임의적인 수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가압 금형(23)는 일 코어부재와 관련하여 가압 금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6에서 명료하게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코어(11)의 형상에 대응하는 외형상의 그루브(25)를 가지며, 이러한 그루브(25)는 코어(11) 바로 위에 위치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코어는 이러한 그루브(25)에서 활주하면서 상방향으로 인출된다. 다르게는, 일부 주조재를 금형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배출하여, 코어(11)가 그로부터 상방향으로 인출되게 상대적인 활주를 시킬 수 있다.
용해용 용기(30)는, 본체(31)의 상부에 원통형상의 원료 수용부(32)를 가지고, 상기 하부 금형(26)의 주탕구(27) 바로 밑에 수직 왕복운동이 자유롭게 배치된다. 원료 수용부(32)의 원료 수용구(33)에는, 원료 수용구(33)와 거의 동일한 직경을 가진 용탕 이동부재 또는 피스톤(34)이 미끄럼 자유롭게 배치된다. 용탕 이동부재(34)는 도면에 도시 않은 유압 실린더(또는 공압 실린더)의 플런저(35)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된다. 용해용 용기(30)의 원료 수용부(32)의 주위에는 가열원으로서 유도 코일(36)이 설치된다. 가열원으로서는 고주파 유도가열에 더하여 저항가열 등의 임의적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원료 수용부(32)와 용탕 이동부재(34)의 재질로는 세라믹 또는 내열피막 코팅 금속재료 등의 내열성 재료가 양호하다.
또한, 용탕의 산화피막형성을 방지할 목적으로, 장치 전체를 진공 또는 Ar가스와 같은 불활성 가스 분위기에 배치하거나 또는 적어도 하부 금형(26)과 용해용 용기(30)의 원료 수용부(32)의 상부와의 사이에 불활성 가스의 스트림을 확립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제조는, 용해용 용기(30)가 강제냉각주형(2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원료 수용부(32) 내의 용탕 이동부재(34) 위의 빈공간 내에 원료(A)를 충진하여 이행된다. 원료(A)로서는 봉형상, 펠렛형상, 및 분말형상 등의 임의 형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 유도 코일(36)을 여자시키어 원료(A)를 급속하게 가열한다. 원료(A)의 용해물을 용탕온도를 검출하여 확인한 후에, 유도 코일(36)의 자기를 없애고 용해용 용기(30)를 그 상단부가 하부 금형(26)의 오목부(28)에 삽입될 때까지 상승시킨다. 다음, 유압 실린더를 작동하여 용탕 이동부재(34)를 급속도로 상승시키고, 용탕을 강제냉각주형(20)의 주탕구(27)로부터 배출 한다. 배출된 용탕은 탕도(24)를 경유하여 각 제품성형용 캐버티(22) 내에 주입되어, 가압되어서 그 안에서 급속도로 응고 된다.
주조 후, 용해용 용기(30)를 하강시키고, 상부 금형(21)과 하부 금형(26)을 분리한다.(도6에 도시된 상태) 다음, 다분할 가능한 상부 금형(21)을 분리하여도7에 나타낸 상태로 되어, 주조된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1)에 상부 금형(21)에 의해 가해지는 구속력(외력)이 해제된다. 이러한 단계에서는, 주조된 슬리브(1)의 상단부면은 가압 금형(23)의 하부면에 대하여 맞닿고, 그리고 슬리브(1)의 상방향 이동은 규제된다. 따라서, 코어부재(10)를 상방향으로 인출할 때에, 코어(11)는 가압 금형(23)의 그루브(25) 내에서 활주하면서 상방향으로 도8에 나타낸 상태로 될 때까지 인출된다. 이러한 단계 중에, 코어부재(10)의 코어에 근접하여 있는 슬릿 형성부(12)의 부분에는 상술된 폭과 깊이의 오목부(13)가 형성되어, 주조된 슬리브(1)가 상술된 오목부와 대응하는 슬릿면에 형성된 돌출부(6)(도2와 도3을 참고)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6)가 코어의 오목부(13)의 단차 부분을 기어 올라가 있으며, 그리고 슬릿(5)은 중공 주조물의 탄력성에 의해 개방된다. 그러한 결과, 틈이 코어(11) 표면과 슬리브(1)의 내표면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11)가 용이하게 주조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코어표면에 주조재가 부착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방지된다. 그 후, 주조물로서 슬리브(1)로부터 탕도부분을 절단 분리하고, 남아있는 슬리브의 절단면을 연마하여서, 금형의 캐버티 면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는 평활한 표면을 가지는 변환 슬리브(1)를 획득한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1a)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러한 슬리브(1a)에는 일 단부로부터 그 타 단부로 길이방향으로 그 전체 길이를 통해 형성된 슬릿(5a)이 설치된다. 또한, 그 대향하는 슬릿면에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코어에 형성된 돌출부와 대응하여 교체적으로(또는 상대적으로)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7)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의 슬릿에 오목부(7)가 형성되고, 상술된 실시예에서는 돌출부(6)가 형성되더라도, 오목부(7)만을, 또는 돌출부(6)만을, 또는 이들 부분을 혼합하는 부분을 구비하는 임의적인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부분이 슬릿의 개방(또는 확장)과 폐쇄(또는 수축) 상태에서도 서로 닿지않으므로, 이들은 제품의 성능(광 커넥터 부품이 슬리브나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일때에, 페룰의 유지력과 광특성)에 어떠한 해로운 영향도 발휘하지 않는다. 물론, 오목부(7)(또는 코어의 돌출부)의 두께는 슬리브(1a)의 두께보다 크지 않아야 한다.
도12a 내지 도14b는 상기 슬리브(1a)의 주조 후, 슬리브로부터 인출되는 과정에 코어의 상태를 부분적이고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2a,도13a, 및 도14a는 슬릿의 단면변화의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12b,도13b, 및 도14b는 슬리브(1a)와 코어(11a)와의 사이에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12a와 도1b는 주조 후에 상부 금형이 분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 후, 코어부재(10a)가 상술한 바와 같이 들어 올려지면, 코어부재(10a)의 코어에 근접한 슬릿 형성부(12a)의 위치에 형성된 돌출부(14)가 돌출부에 대응하는 주조 중에 형성되는 슬리브(1a)의 오목부(7)의 단차부에 위로 올려져서 슬릿(5a)이 중공 주조물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개방되어서, 틈이 도13a와 도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1a)의 내표면과 코어(11a)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코어(11a)는 도14a와 도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조물로부터 인출되어서, 코어의 표면에 주조재가 부착되는 일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단차부에 돌출부가 원만하게 위로 올라타도록, 돌출부(14)(또는 오목부(7))의 단부의 경사각도(θ)는 예각, 보다 양호하게는 약45°인것이 양호하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슬리브(1b)에, 상술된 실시예의 슬리브(1a)의 경우와 같이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그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통해 형성된 슬릿(5b)이 제공되며, 그리고 부가로 그 내주면에 대칭적으로 3개의 단면진 대략 반원형상의 릿지(신장 입상부)(8)가 길이방향으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상기 구조의 슬리브(1b)에 있어서는, 그 안에 삽입되는 페룰이 릿지의 점(point)에 잡혀진 점-접촉 상태를 유지하여서, 페룰의 축선에 대한 상호간의 정렬(그리고, 결과적으로 광섬유가 접속)로 접합 페룰을 보다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1b)에서는, 복수의 오목부(7)(또는 돌출부)가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릿면에 돌출부 또는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에 더하여, 복수의 오목부(7)(또는 돌출부)가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그 인접부에 3개의 릿지(신장 입상부)(8)를 따라 내부 원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슬리브(1b)는 릿지(신장 입상부)(8)의 점에 잡혀진 점-접촉 상태로 그 안에 페룰이 삽입되어 유지될 수 있으므로, 오목부(7)(또는 돌출부)가 릿지(신장 입상부)(8)를 제외한 내부 원주면에 형성되더라도, 이들은 제품의 성능(광 커넥터로서의 페룰의 유지력과 광특성)에 어떠한 해로운 영향력도 끼치지 않는다. 또한, 도15에서, 복수의 오목부(7)(또는 돌출부)는 상기 구조를 대신하여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그 인접부에 슬릿(5b)을 따라서 내부 원주부면에 형성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른 한 편으로, 도17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양 실시예는 인접한 2개 코어 상태에서 주조작업이 이행되는 경우이다.
먼저, 도16에 도시된 변환용 슬리브(1c)의 경우,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2개의 세장(細長) 돌출 피스(elongated projected piece)를 구비하는 슬릿 형성부(15)가 형성되고, 슬릿 형성부(15)의 양측면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도시 예의 경우는 2개)의 오목부(13)가 형성된 대구경 코어(11b)와; 유사하게 양측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2개의 세장 돌출 피스를 구비하는 슬릿 형성부(15)가 형성되고, 슬릿 형성부(15)의 양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도시예의 경우 2개)의 오목부(13)가 형성된 소구경의 코어(11c)를 사용하여; 대구경의 코어(11b)의 슬릿 형성부(15)와 소구경의 코어(11c)의 슬릿 형성부(15)가 직각을 이루는 방식으로, 소구경 코어(11c)에 대하여 대구경 코어(11b)가 인접하는 상태로 이들을 배열하여, 주조가 행해진다.
주조 후, 양 코어(11b,11c)를 주조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인출하여, 다른 직경의 페룰용 변환 슬리브(1c)를 획득하며, 슬리브에는 대략 중간 위치에서 단차부(16)의 일측에 형성된 대구경부(2)와 타측에 형성된 소구경부(3)를 형성하며, 90°회전된 위치관계로 독립적으로 축선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도록 대구경부(2)는 그 곳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1쌍의 슬릿(5c)을 가지고 소구경부(3)는 그 곳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1쌍의 슬릿(5c)을 가지며, 각 슬릿의 대향하는 단부면에는 상기코어(11b,11c)의 오목부(13)에 대응한 형상의 돌출부(6)를 형성한다.
대구경부(2)에 형성된 슬릿(5c)과 소구경부(3)에 형성된 슬릿(5c)이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각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벽 두께와 슬릿 폭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그 안에 끼워진 다른 직경의 페룰을 균등하게 압착하여 탄력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한편, 도17에 도시된 슬리브(1d)는 돌출 접합된 코어가 동일한 외측부 직경을 가지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된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주조할 수 있다. 주조 후, 양 코어를 주조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인출하여, 일측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1쌍의 슬릿(5d)과 타측부에 대칭적으로 형성된 1쌍의 슬릿(5d)이, 90°회전된 위치관계로 독립적으로 축선방향으로 각각 연장하며, 각 슬릿의 대향된 단부면에는 코어의 오목부에 대응된 형태의 돌출부(6)가 각각 형성된 슬리브(1d)를 획득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변환 슬리브는 대구경부(2)와 소구경부(3)가 팬형상 접속부(17)에 의해 접속되는 구조를 가지며, 대구경부(2)와 소구경부(3)는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그 축선방향(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5e)을 개별적으로 가지며, 그리고 각각의 슬릿에는 개별 슬릿(5)의 대향 단부면에 형성된 돌출부(6)(사용되는 코어의 오목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짐)가 제공된다. 따라서, 대구경(2)으로 형성된 슬릿(5e)이 소구경부(3)로 형성된 슬릿(5e)으로부터 완전하게 독립적이기 때문에,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의 접속을 안정적이고 높은 축선 정밀도로 동축심 접속을 이루게 한다.
팬 모양 접속부(17)는 대구경부(2)와 소구경부(3)를 충분한 강도로 접속 지지할 수 있는 크기의 것이 안정적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팬 모양의 각도는 원주 전체각(360도)의 약1/3 이상이고, 약1/2 이하인 것이 양호한 것이다. 구멍(18)이 이러한 접속부(17)의 나머지 각도부분에 형성되어서, 대구경부에 슬릿(5e)의 개방각도가 소구경부의 것과 어느 정도 다르더라도, 일 개방도는 타 개방도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이러한 구멍(18)은 페룰이 슬리브에 삽입될 시에 공기 배출 및 접속상태 확인용 창으로도 기능을 한다.
도19는 도16에 도시된 변환 슬리브의 변형예로서,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즉, 도19에 도시된 변환 슬리브(1f)에서는, 대구경부(2)와 소구경부(3)가 각각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축선방향으로 대칭 독립적으로 형성된 4개 슬릿(5f)을 구비하고, 각각의 슬릿에는 개별적 슬릿의 대향 단부면에 형성된 2개 오목부(7)(사용된 코어의 돌출부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짐)가 설치된다.
도20과 도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주조 후에 슬리브로부터 인출 과정에 코어의 상태를 부분적으로 개략 도시한 도면이다.
코어(11d)가 주조 후에 들어 올려지면, 오목부(13)와 돌출부(14)가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만하게 굴곡진 외형상으로 코어(11d)의 슬릿 형성부에 형성되어서, 코어는 코어의 굴곡진 외형상에 대응하여 주조 중에 형성되는 오목부(7)와 돌출부(6)를 포함하는 슬리브(1g)의 굴곡부의 돌출부(6) 위로 타고 올라가며 그리고 슬릿(5g)은 중공 주조물의 탄력성으로 인하여 개방된다. 이러한 결과로, 틈이 슬리브(1g)의 내표면과 코어(11d)의 표면과의 사이에 형성됨으로, 코어(11d)가 상당히 용이하게 주조물로부터 인출될 수 있으며, 코어의 표면에 주조재의 부착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도2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다른 직경을 가진 페룰용 변환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변환 슬리브(1h)는, 얕은 그루브와 깊은 그루브를 가진 V-그루브(19a)로 이루어진 기부(19)와, 각각이 길이방향으로 분할된 반-원통형상으로 상기 V-그루브(19a)를 커버하도록 기부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구경부(2)와 소구경부(3)를 포함한다. 또한, 대구경부(2)와 소구경부(3)는 각각 일 단부로부터 타 단부로 축선방향(길이방향)으로 상부에 형성된 슬릿(5h)을 가지며, 각각의 슬릿(5h)에는 개별적 슬릿의 대향 단부면에 형성된 오목부(7)(사용된 코어의 돌출부의 모양에 대응하는 모양을 가짐)가 설치된다. 따라서, 대구경부(2)에 형성된 슬릿(5h)은 소구경부(3)에 형성된 슬릿(5h)과는 완전하게 독립적 이다.
도2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슬리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슬리브(1i)인 경우에는, 주조가 광폭의 일 단부로부터 협폭의 타 단부로 폭이 감소하는 테이퍼진 릿지 모양을 가진 슬릿 형성부(15)가 제공된 코어(11e)를 사용하여 이행된다. 그 결과로서, 유사하게 테이퍼진 슬리브(5i)가 주조된 슬리브(1i)에 형성된다. 슬릿 형성부(15)의 일 단부에 폭(a)과 타 단부에 폭(b)과 슬리브(1i)에 형성된 슬릿(5i)의 것이 a>b의 관계를 가짐으로, 만일 코어(11e)가 협폭(b)을 향하는 방향으로 중공 주조물로부터 인출된다면, 슬리브(1i)는 상술된테이퍼진 릿지의 모양을 가진 슬릿 형성부(15)에 의해 개방되어서, 주조 슬리브로부터 코어의 인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된 구조를 가진 슬리브와 변환 슬리브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특징을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의 변경 실시예로 이행할 수 있는 것이고, 부가로 상술된 실시예를 조합하여서 이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슬리브의 모양, 크기 등은 상술된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는 페룰에 따라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이하게, 슬리브의 벽 두께를 변경하여, 슬릿의 폭과 길이를 변경하여, 또는 슬릿의 수를 변경하여 임의적 수준으로 유지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주조재로서는, 임의적인 특정한 물질로 제한할 필요가 없는 종래 주조에 사용되는 임의적인 재료가 사용 가능하지만, 양호하게는 적어도 체적율 50%이상의 비정질상을 함유한 실질적인 비정질 합금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정적으로는, 하기 일반식(1)~(6)의 어느 1개로 나타낸 조성으로 이루어진 비정질 합금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식(1): M1 aM2 bLncM3 dM4 eM5 f
여기서, M1은 2개 요소(Zr과 Hf)의 어느 하나 또는 양쪽을 나타내며; M2는 Ni, Cu, Fe, Co, Mn, Nb, Ti, V, Cr, Zn, Al, 및 G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Ln은 Y, La, Ce, Nd, Sm, Gd, Tb, Dy, Ho, Yb 및 Mm(misch metal:희토류 원소의 집합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3은 Be, B, C, N,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4는 Ta, W, 및 M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5는 Au, Pt, Pd 및 A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a,b,c,d,e 및 f는 각각 원자%로서, 25≤a≤85, 15≤b≤75, 0≤c≤30, 0≤d≤30, 0≤e≤15, 및 0≤f≤15를 만족하는 것이다.
일반식(2): Al100-g-h-iLngM6 hM3 i
여기서, Ln은 Y, La, Ce, Nd, Sm, Gd, Tb, Dy, Ho, Yb 및 M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6는 Ti, V, Cr, Mn, Fe, Co, Ni, Cu, Zr, Nb, Mo, Hf, Ta, 및 W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3은 Be, B, C, N, 및 O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g,h,및 i는 각각 원자%로서, 30≤g≤90, 0≤h≤55, 및 0≤i≤10를 만족하는 것이다.
일반식(3): Mg100-pM7 p
여기서, M7은 Cu, Ni, Sn,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p는 원자%로서, 5≤p≤60 범위에 있는 것이다.
일반식(4): Mg100-q-rM7 qM8 r
여기서, M7은 Cu, Ni, Sn,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8은 Al, Si, 및 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q 및 r은 각각 원자%로서, 1≤q≤35, 및 1≤r≤25를 만족하는 것이다.
일반식(5): Mg100-q-sM7 qM9 s
여기서, M7은 Cu, Ni, Sn,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9는 Y, La, Ce, Nd, Sm 및 M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q 및 s는 각각 원자%로서, 1≤q≤35, 및 3≤s≤25를 만족하는 것이다.
일반식(6): Mg100-q-r-sM7 qM8 rM9 s
여기서, M7은 Cu, Ni, Sn, 및 Z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8은 Al, Si, 및 C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M9는 Y, La, Ce, Nd, Sm 및 M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원소를 나타내며; 그리고 q, r, 및 s는 각각 원자%로서, 1≤q≤35, 1≤r≤25, 및 3≤s≤25를 만족하는 것이다.
상술된 합금에 대해서는 본원에 참고로 기재된 JP-2001-1130(A)에 상세하게기재된 내용의 것을 참고한다.
상술된 비정질 합금에 더하여, 예를 들어 JP-10-186176호, JP-10-311923호, JP-11-104281호, 및 JP-11-189855호에 개시된 종래 공지의 각종 비정질 함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금속재료로서는, 상술된 비정질 합금 외에, Al기 합금, Mg기 합금, Zn기 합금, Fe기 합금, Cu기 합금, 티타늄 함금 등의 다이 캐스팅용 합금을 양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이 캐스팅용 합금은 통상의 주조법에 사용되며, 비정질 합금과 광 커넥터 부품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세라믹과 대비하여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는 것이다. 다이 캐스팅용의 상기 합금을 사용하여, 광 커넥터 부품은 다이 캐스팅 머신에 의해 합금을 금형 내에 압입 성형하여서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또한, 합성수지와 같은 종래의 광 커넥터용 부품의 제조에 이용되는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특정 실시예를 본원에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기본적 정신과 특징을 이탈 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다른 특정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에 기술된 실시예는 설명을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고, 본원을 한정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변경 및 개조를 포함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에 있어서, 적어도 1개의 돌출부와 오목부가 성형품의 내주변부와 슬릿부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2.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에 있어서, 상기 슬릿은 슬릿의 폭이 성형품의 일 단부에 광폭부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부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광 커넥터 페룰을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그 길이방향으로 전체 길이를 통하여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서로 분리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다른 직경을 가진 대향된 광 커넥터 페룰을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변환 슬리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슬리브는 대구경부와 그와 일체로 형성된 소구경부를 포함하고, 그 길이방향으로 대구경부와 소구경부의 전체 길이를 통하여 형성된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 슬리브는 대구경부와 그와 일체로 형성된 소구경부를 포함하고, 각각의 대구경부와 소구경부는 서로 분리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적어도 일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금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비정질 합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11.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금형으로부터의 중공 주물의 배출이 중공 주물을 개방하면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그 외주부와 슬릿 형성부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오목부와 돌출부의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 코어가 사용되고, 그리고 중공 주조물로부터 코어의 인출이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는 중에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대경부와 그와 일체로 형성된 소경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그 길이방향으로 대경부와 소경부의 전체 길이를 통해 형성되는 슬릿 형성부를 가지며, 그리고 중공 주조물로부터 코어의 인출은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도록 대경부로의 방향으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각각이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 형성부를 가지는 1쌍의 대구경 코어와 소구경 코어를 포함하고, 그리고 중공 주조물로부터 코어의 인출은 상기 돌출부와 오목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도록 대향 방향으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일 단부에 광폭으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가진 테이퍼 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가 설치된 코어가 사용되고,그리고 중공 주조물로부터 코어의 인출은 테이퍼 형상 릿지의 슬릿 형성부에 의해 중공 주조물을 개방하도록 협폭의 타 단부로의 방향으로 이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방법.
  16.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의 외형상을 형성하는 적어도 일 캐버티가 설치된 분할 금형과 그 길이방향으로 금형의 캐버티에 미끄럼식으로 배치된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에는 그 외주부와 슬릿 형성부의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 테이퍼 형상 릿지 또는 돌출부와 오목부의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대경부와 그와 일체로 형성된 소경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그 길이방향으로 대경부와 소경부의 전체 길이를 통해 형성되는 슬릿 형성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각각이 그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 형성부를 가지는 1쌍의 대구경 코어와 소구경 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슬릿 형성부는 일 단부에 광폭으로부터 타 단부에 협폭으로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폭을 가진 테이퍼 형상 릿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릿을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의 제조장치.
KR1020020061538A 2001-10-09 2002-10-09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0300309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311049 2001-10-09
JP2001311049A JP2003117647A (ja) 2001-10-09 2001-10-09 スリット付き中空鋳造成型品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0928A true KR20030030928A (ko) 2003-04-18

Family

ID=19129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1538A KR20030030928A (ko) 2001-10-09 2002-10-09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6417B2 (ko)
JP (1) JP2003117647A (ko)
KR (1) KR20030030928A (ko)
CN (1) CN1411930A (ko)
TW (1) TW5586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55235B2 (en) * 2004-03-04 2006-06-06 Chin Ju Liu Sleeve for connector of optical 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4693772B2 (ja) * 2004-05-28 2011-06-01 日本碍子株式会社 金属ガラスの成形方法
JP2005345549A (ja) * 2004-05-31 2005-12-15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モジュール
GB2425364B (en) * 2005-04-19 2009-12-16 Agil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re connector
JP4688145B2 (ja) * 2005-06-09 2011-05-25 日本碍子株式会社 ダイキャスト装置及びダイキャスト方法
JP4688146B2 (ja) * 2005-06-09 2011-05-25 日本碍子株式会社 ダイキャスト装置
EP1964622B1 (en) * 2005-12-13 2013-01-23 NGK Insulators, Ltd. Method of forming an image pattern on surface of a metallic glass member
JP4463770B2 (ja) * 2006-01-25 2010-05-19 Ykk株式会社 物理量検出器の製造方法
JP2008100264A (ja) * 2006-10-20 2008-05-01 Tohoku Univ 急冷凝固金属製の中空体の製造方法および急冷凝固金属製の中空体の製造装置
JP5708175B2 (ja) * 2011-04-13 2015-04-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鋳造金型セット
US9256033B2 (en) * 2013-01-23 2016-02-0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ylindrical optical ferrule alignment apparatus
US10191226B2 (en) 2013-01-23 2019-01-29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ylindrical optical ferrule alignment apparatus
CN108761661B (zh) * 2018-06-22 2024-05-10 江苏安昌光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法兰以及取光模块
CN109807287A (zh) * 2019-02-20 2019-05-28 怀化辰州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吹砒管砂型铸造用型芯及制芯工艺
CN110788283A (zh) * 2019-11-26 2020-02-14 佛山市南海力格模具五金有限公司 一种铸造模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31515E (en) * 1980-09-18 1984-02-07 Hewlett-Packard Company Fiber optic connector
JPS57187420U (ko) * 1981-05-22 1982-11-27
US5390270A (en) * 1989-11-28 1995-02-14 Kel Corporation Optical fiber ferrule assemblies
US5239603A (en) * 1991-06-12 1993-08-24 Kyocera Corporation Integrally-molded ceramic alignment sleeve for optical fiber connec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140183B2 (ja) 1992-07-08 2001-03-05 京セラ株式会社 光通信用スリ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US5446817A (en) * 1994-09-23 1995-08-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Formed alignment sleeve for fiber optic termini
US5621834A (en) * 1994-12-22 1997-04-15 Lucent Technologies Inc. Closed alignment sleeve for optical connectors
JPH0990169A (ja) 1995-09-21 1997-04-04 Miwa Denki Kogyo Kk 変換アダプタ
JP3160891B2 (ja) * 1997-04-29 2001-04-25 豊和工業株式会社 シ−ルバンドの取付構造
JP3400296B2 (ja) 1997-05-12 2003-04-28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光コネクタフェルール用スリ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68136A1 (en) 2003-04-10
US6896417B2 (en) 2005-05-24
TW558661B (en) 2003-10-21
JP2003117647A (ja) 2003-04-23
CN1411930A (zh)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493B1 (ko) 금형으로가압주조성형된비정질합금성형품의제조방법및장치
KR20030030928A (ko) 슬릿을 가진 중공 주조 성형품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0307672B1 (ko) 광커넥터페룰용슬리브및이의제조방법
JP3784578B2 (ja) 金型で加圧鋳造成形された非晶質合金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0540725B1 (ko) 미세 구멍을 갖는 주조품의 제조 방법 및 장치
EP1813926B1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a physical quantity detector
US6758602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ferrule to be used therein
US6695487B2 (en) Conversion adapter for ferrules having different diameter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EP0955147B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plastic lens
JP3792471B2 (ja) 線材への連続射出成形用金型及び装置
JP2000343205A (ja) アモルファス合金成形品の製造方法
JP3396632B2 (ja) 非晶質合金成形品の製造方法
US6627008B1 (en) Grooved substrates for multifiber optical connectors and for alignment of multiple optical fibers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3410331B2 (ja) 低融点金属中子の製造装置
EP1273424A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plastic lens
JP2001033652A (ja) 希土類系非晶質合金製光コネクタ用部材
JP2001239550A (ja) 細孔を有する射出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2001249250A (ja) 光ファイバ一体型フェルールの製造方法及び装置
JPH11344639A (ja) 光コネクタ用フェル―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237850A (ja) 浸漬ノズ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