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8837A -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8837A
KR20030028837A KR10-2003-7003186A KR20037003186A KR20030028837A KR 20030028837 A KR20030028837 A KR 20030028837A KR 20037003186 A KR20037003186 A KR 20037003186A KR 20030028837 A KR20030028837 A KR 200300288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drum
shoe
drive sheave
brak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12806B1 (ko
Inventor
오카다코오지
마쓰카와고오에이
히로나카야스오
유무라타카시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8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8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2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28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5/00Braking or det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pplication to lifting or hoisting gear, e.g. for controlling the lowering of loads
    • B66D5/02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 B66D5/06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 B66D5/08Crane, lift hoist, or winch brakes operating on drums, barrels, or ropes with radial effect embodying blocks or 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43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 B66B11/043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actuated by rotating motor; Details, e.g. ventilation with a gearless driving, e.g. integrated sheave, drum or winch in the stator or rotor of the cage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06Noise or vibration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0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 F16D2121/22Electric or magnetic using electromagnets for releasing a normally applied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브레이크 슈와, 드럼과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간격보존부재가 브레이크 암과 브레이크 슈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간격보존부재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브레이크 슈의 요동을 규제하고 제동시에는 탄성변형 함으로써 브레이크 슈의 요동을 허용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ELEVATOR HOIST AND BRAKE DEVICE OF THE ELEVATOR HOIST}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반단면도, 도 10은 도 9의 X - X선에 대한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 - XI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케이스(1)은 평판상의 베이스(2)와 이의 베이스(2)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3)를 가지고 있다. 베이스(2)에는 T자형의 돌기부(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a)와 커버(3) 사이에는 축(5)가 고정되어 있다. 축(5)의 외주부에는 하브(6)가 고정되어 있다. 축(5) 및 하브(6)은 회전하지않는 부재이다.
하브(6)의 외주부에는 축(5)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8)가 베어링(7)을 통해서 탑재되어 있다. 회전체(8)은 구동시브(8a)와 이의 구동시브(8a)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동시브(8a) 보다도 대경의 원통상의 드럼(8b)을 가지고 있다.구동시브(8a)의 외주부에는 카 및 균형추를 매다는 주삭(9)이 감겨져 있다. 커버(3)은 구동시브(8a)를 덮는 시브 커버부(3a)와 드럼(8b)를 덮는 드럼 커버부 (3b)를 가지고 있다.
드럼(8b)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모터용 자석(10)이 고정되어 있다. 드럼 커버부(3b)의 내주면에는 모터용 자석(10)에 대향하는 다수의 스테이터 코일(11)이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12)는 모터용 자석(10) 및 스테이터 코일(11)을 가지고 있다. 회전체(8)은 구동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돌기부(2a)에는 핀(13)을 중심에 유동 가능한 한쌍의 브레이크 암(14)이 탑재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암(14)에는 브레이크 슈(15)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15)는 브레이크 암 (14)의 요동에 의해 드럼(8b)의 내주면에 접리된다.
브레이크 암(14)과 돌기부(2a)와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슈(15)를 드럼(8b)에 밀어 붙이도록 브레이크 암(14)을 작동하는 한쌍의 브레이크 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암(14)에는 아마추어(17)가 고정되어 있다. 돌기부(2a)의 측면에는 아마추어(17)에 대향하는 한쌍의 전자석(18)이 고정되어 있다.
다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마추어(17)가 전자석(18)에 의해 흡인되면 브레이크 스프링(16)에 반해서 브레이크 암(14)이 요동되어 브레이크 슈(15)가 드럼(8b)로 부터 개리된다. 이와같이 브레이크 해방 상태에서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체(8)가 축(5)를 중심으로해서 회전되고 주삭(9)에 매달린 카 및 균향추가 승강된다.
또, 전자석(18)에 의한 아마추어(17)의 흡인을 해제함으로써 브레이크 슈(15)가 브레이크 스프링(16)의 스프링력으로 드럼(8b)에 밀어 붙혀진다. 이로써 회전체(8)의 회전은 제동된다.
이때, 브레이크 암(14)에 대해 브레이크 슈(15)가 요동 가능하므로 브레이크 슈(15)의 제동면(브레이크 라이닝)이 드럼(8b)의 내주면에 균등하게 밀어져 안정된 제동력이 얻어진다.
이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양기에서는 브레이크 슈(15)가 드럼(8b)에 충돌할 때의 충격이 크므로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대해 브레이크 해방시의 브레이크 슈(15)와 드럼(8b)과의 사이의 극간이 작을수록 제동시의 소음은 작아진다. 그러나 브레이크 암(14)에 대해 브레이크 슈 (15)가 요동 가능하므로 극간을 작게하면 드럼(8b)의 회전진동이나 브레이크 슈 (15)의 진동에 의해 브레이크 해방시에도 브레이크 슈(15)가 드럼(8b)와 접촉할 염려가 있다
또, 여러가지 레이아웃의 엘리베이터에 대해 공통의 엘리베이터 권양기가 적용되므로 구동시브(8a)로 부터의 주삭(9)의 인출각도는 엘리베이터의 레이아웃에 의해 다르다. 이 때문에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시브 커버부(3a)의 주삭 인출구 (3c)는 주삭(9)의 경보다도 크게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브레이크 장치에서 발생한 소음이 주삭 인출구(3c)로 부터 외부로 누설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주삭에 감긴 구동시브를 갖는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엘리베이터 권양기에 설치되고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럼식의 브레이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 - Ⅵ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요부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반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Ⅹ - Ⅹ선에 따른 단면도,
도 11은 도 9의 XI - XI선에 따른 단면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요부 단면도, 도 2는 도 1의 Ⅱ - Ⅱ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케이스(1)는 평판상의 베이스(2)와, 이 베이스(2)에 부착되어 있는 커버(3)을 가지고 있다. 베이스(2)에는 T자형의 돌기부(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2a)와 커버(3) 사이에는 축(5)이 고정되어 있다. 축(5)의 외주부에는 하브(6)가 고정되어 있다. 축(5) 및 하브(6)는 회전하지 않는 부재이다. 즉,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고정부는 케이스(1), 축(5) 및 하브(6)를 소유하고 있다.
하브(6)의 외주부에는 축(5)를 중심으로해서 회전 가능한 회전체(8)가 베어링(7)을 통해 탑재되어 있다. 회전체(8)는 구동시브(8a)와 이 구동시브(8a)와 일체로 형성되고 구동시브(8a)보다도 대경의 원통상의 드럼(8b)를 가지고 있다.
구동시브(8a)의 외주부에는 카 및 균형추를 매다는 주삭(9)이 걸려있다. 커버(3)는 구동시브(8a)를 덮는 시브 커버부(3a)와 드럼(8b)를 덮는 드럼 커버부(3b)를 소유하고 있다.
드럼(8b)의 외주부에는 다수의 모터용 자석(10)이 고정되어 있다. 드럼 커버부(3b)의 내주면에는 모터용 자석(10)에 대향하는 다수의 스테이터 코일(11)이 고정되어 있다. 구동모터(12)는 모터용 자석(10) 및 스테이터 코일(11)을 가지고 있다.
회전체(8)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돌기부(2a)에는 핀 (13)을 중심으로 요동 가능한 한쌍의 브레이크 암(14)이 탑재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암(14)에는 브레이크 슈(15)가 요동축(15a)을 중심으로해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브레이크 슈(15)는 브레이크 암(14)의 요동에 의해 드럼(8b)의 내주면에 접리된다.
브레이크 암(14)과 돌기부(2a)와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슈(15)를 드럼(8b)에 밀어 붙이도록 브레이크 암(14)을 작동하는 한쌍의 브레이크 스프링(16)이 설치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암(14)에는 아마추어(17)이 고정되어 있다. 돌기부(2a)의 측면에는 아마추어(17)에 대향하는 한쌍의 전자석(8)이 고정되어 있다.
브레이크 암(14)과 브레이크 슈(15) 사이에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브레이크 슈(15)의 제동면(브레이크 라이닝)과 드럼(8b)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간격을 보존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간격보존부재(21)가 설치되어 있다.
간격보존부재(21)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브레이크 슈(15)의 요동을 규제하고 제동시에는 탄성변형함으로써 브레이크 슈(15)의 요동을 허용한다.
또, 간격보존부재(21)는 금속제의 판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간격보존부재(21)는 L자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고, 볼트(22),(23)에 의해 브레이크 암 (14) 및 브레이크 슈(15)에 체결되어 있다.
브레이크 해방시의 브레이크 슈(15)와 드럼(8c) 사이의 간격은 브레이크 슈 (15)의 제동면 전체에서 균등하게 되도록 간격보존부재(21)에 의해 보존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브레이크 장치는 드럼(8b), 핀(13), 브레이크 암(14), 브레이크 슈(15), 브레이크 스프링(16), 아마추어(17), 전자석(18), 간격보존부재 (21) 및 볼트(22),(23)을 가지고 있다. 또, 권양기 본체는 구동모터(12), 구동시브 (8a) 및 브레이크 장치를 가지고 있다.
다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아마추어(17)가 전자석(18)에 의해 흡인되면 브레이크 스프링(16)에 반해서 브레이크 암(14)이 요동되고, 브레이크 슈(15)가 드럼(8b)에서 개리된다.
이와같은 브레이크 해방상태에서는 구동모터(12)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체(8)가 축(5)을 중심으로해서 회전되고 주삭(9)에 매달린 카 및 균형추가 승강된다.
또, 전자석(18)에 의한 아마추어(17)의 흡인을 해제함으로써 브레이크 슈 (15)가 브레이크 스프링(16)의 스프링력으로 드럼(8b)에 밀어 붙이게 된다. 이로써 회전체(8)의 회전은 제동된다.
이와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간격보존부재(21)에 의해브레이크 슈(15)의 요동이 규제되어 있다. 즉 간격보존부재(21)를 탄성변형 시키는만큼의 힘을 브레이크 슈(15)에 가하지 않으면 브레이크 슈(15)는 요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15)와 드럼(8b)과의 사이의 간격을 작게해도 그 간격이 간격보존부재(21)에 의해 보존되고 드럼(8b)의 회전, 진동이나 브레이크 슈(15)의 요동에 의해 브레이크 슈(15)가 드럼(8b)과 접촉하는 일이 없다.
또, 제동시에는 간격보존부재(21)의 스프링력 보다도 브레이크 스프링(16)의 스프링 힘쪽이 충분히 크므로 간격보존부재(21)는 탄성변형 함으로써 드럼(8b)에 당접했을 때의 브레이크 슈(15)의 요동을 허용한다.
즉, 브레이크 슈(15)는 간격보존부재(21)의 스프링력에 반해서 요동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슈(15)의 제동면이 드럼(8b)의 내주면에 균등하게 밀어 붙이고 안정된 제동력이 얻어진다.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해방시의 브레이크 슈(15)와 드럼(8b)와의 사이의 간격을 작게할 수가 있고, 제동시의 소음을 저감 시킬 수가 있다.
또, 간격보존부재(21)로 L자형의 판스프링을 사용 하였으므로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브레이크 슈(15)와 드럼(8c)와의 사이의 간격을 브레이크 슈(15)의 제동면 전체에 걸쳐 균등하게 하였으므로 제동시의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저감 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2.
다음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돌기부(2a)에는 한쌍의 부착부재(24)가 고정되어 있다.
각 부착부재(24)에는 고무등의 점 탄성체로 된 완충부재(25)가 고정되어 있다. 각 브레이크 암(14)에는 제동시에 완충부재(25)에 당접하는 당접부재(26)가 고정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뎀퍼(27)는 부착부재(24), 완충부재(25) 및 당접부재(26)를 가지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러한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제동시에 브레이크 슈(15)의 드럼(8b)에의 충돌의 충격이 완충부재(25)에 의해 흡수되어 완화된다. 이로인해 제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3.
다음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를 표시하는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돌기부(2a)와 브레이크 암(14)사이에는 뎀퍼로서의 한쌍의 유체완충기(28)가 설치되어 있다.
유체완충기(28)는 제동시에 브레이크 슈(15)의 드럼(8b)에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한다. 또, 유체완충기(28)로서는 예를들면 유압완충기가 사용되어 있다. 다른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제동시에 브레이크 슈(15)의 드럼(8b)에의 충돌의 충격이 유체완충기(28)에 의해 완화된다. 이로써 제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더 저감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4.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 - Ⅵ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고정부로서의 베이스(2)에는 브레이크 암(14)의 핀(요동중심)(13)와는 반대측의 단부의 측면이 대향하는 한쌍의 보존부재(29)가 고정되어 있다. 각 보존부재(29)에는 브레이크 암(14)의 측면에 접촉하는 마찰부재(30)가 보존되어 있다. 뎀퍼로서의 마찰완충기(40)는 보존부재(29) 및 마찰부재(30)를 가지고 있다. 다른구성은 실시의 형태 1과 같다.
이와같은 브레이크 장치에서는 제동시에 브레이크 암(14)의 요동동작에 마찰부재(30)가 마찰저항을 부여한다. 이로써 브레이크 슈(15)의 드럼(8b)에의 충돌이 완화되고 제동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가 있다.
또, 마찰부재(30)로서는 예를들면 마찰계수의 안정성이 우수한 수지등의 재료가 사용된다. 예를들면 마찰부재(30)로서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마찰부재(30)는 어느부분에 접촉시켜도 되나 핀(13)에서 떨어져 있을 수록 브레이크 암(14)에 대한 접촉스트로크를 길게 확보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5.
다음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시브 커버부(3a)에는 주삭(9)이 인출되는 한쌍의 주삭 인출구 (3c)와 이들의 주삭 인출구(3c)의 개구면적을 조정 가능한 한쌍의 폐쇄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폐쇄부재(31)는 예를들면 케이스 1과 같은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폐쇄부재(31)는 슬라이드 변위됨으로서 주삭 인출구(3c)의 개구면적을 조정한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 권양기에서는 주삭(9)의 인출각도에 의해 주삭(9)와, 간섭하지않고 주삭 인출구(3c)의 개구면적을 좁게할 수가 있는 경우에 폐쇄부재 (31)의 위치를 조정해서 주삭 인출구(3c)의 개구면적을 될 수 있는한 작게 한다. 이로써,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권양기 본체에서 발생한 소음이 주삭 인출구 (3c)에서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가 있다.
실시의 형태 6.
다음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요부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시브 커버부(3a)에는 주삭(9)이 인출되는 한쌍의 주삭 인출구 (3c)가 설치되어 있다. 각 주삭 인출구(3c)에는 주삭(9)을 둘러싼 방음닥트(32)가 접속되어 있다.
이와같은 엘리베이터 권양기에서는 주삭 인출구(3c)에 방음닥트(32)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하는 권양기 본체에서 발생한 소음이 주삭 인출구(3c)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된 것으로 소음을 저감할 수가 있는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는 주삭이 감기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에 설치되고,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으로 구동시브와 함께 회전되는 원통상의 드럼,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고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브레이크 암, 브레이크 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브레이크 암의 요동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 접리되는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붙이는 방향의 브레이크 암을 작동하는 브레이크 스프링 및 브레이크 스프링에 반해서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서 개리 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브레이크 암과 브레이크 슈와의 사이에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브레이크 슈와 드럼과의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간격보존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간격보존부재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브레이크 슈의 요동을 규제하고, 제동시에는 탄성변형 함으로써 브레이크 슈의 요동을 허용한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는 구동모터와 주삭이 감기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에 설치되고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것으로 구동시브와 함께 회전되는 원통상의 드럼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고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브레이크 암, 브레이크 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브레이크 암의 요동에 의해 드럼의 내주면에 접리되는 브레이크 슈,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 밀어 붙이는 방향으로 브레이크 암을 작동하는 브레이크 스프링 및 브레이크 스프링에 반해서 브레이크 슈를 드럼에서개리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고정부와 브레이크 암 사이에는 제동시에 브레이크 슈의 드럼에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뎀퍼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권양기는 구동모터와 주삭이 감기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와,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 권양기 본체 및 주삭을 인출하는 주삭 인출구를 소유하고 권양기 본체를 덮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케이스에는 주삭 인출구의 개구면적을 조정 가능한 폐쇄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권양기는 구동모터와 주삭이 감기고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와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 권양기 본체 및 주삭을 인출하는 주삭 인출구를 소유하고 권양기 본체를 덮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주삭 인출구에는 주삭을 둘러싼 방음덕트가 접속되어 있다.

Claims (3)

  1. 구동모터와 주삭이 감겨지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로, 상기 구동시브와 함께 회전되는 원통상의 드럼, 상기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고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브레이크 암, 상기 브레이크 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암의 요동에 의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접리되는 브레이크 슈,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드럼에 밀어 붙이는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암을 작동하는 브레이크 스프링 및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에 반해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드럼에서 개리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브레이크 암과, 상기 브레이크 슈 사이에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드럼과의 사이의 간격을 보존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간격보존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간격보존부재는 브레이크 해방시에 상기 브레이크 슈의 요동을 규제하고, 제동시에는 탄성변형 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슈의 요동을 허용하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
  2. 구동모터와 주삭이 감겨지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를 갖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로, 상기 구동시브와 함께 회전되는 원통상의 드럼, 상기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고정부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는 브레이크 암, 상기 브레이크 암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브레이크 암의 요동에 의해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접리되는 브레이크 슈,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드럼에 밀어 붙이는 방향으로 상기 브레이크 암을 작동하는 브레이크 스프링 및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에 반해서 상기 브레이크 슈를 상기 드럼에서 개리시키는 전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와 상기 브레이크 암과의 사이에는 제동시에 상기 브레이크 슈와, 상기 드럼과의 충돌의 충격을 완화하는 뎀퍼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장치.
  3. 구동모터와 주삭이 감겨지고,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시브와, 상기 구동시브의 회전을 제동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갖는 권양기 본체 및 상기 주삭을 인출하는 주삭 인출구를 소유하고, 상기 권양기 본체를 덮는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주삭 인출구의 개구면적을 조정 가능한 덮는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권양기.
KR10-2003-7003186A 2001-07-05 2001-07-05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 KR1005128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1/005849 WO2003004400A1 (fr) 2001-07-05 2001-07-05 Mecanisme de levage d'ascenseur et dispositif de freinage pour ce mecanisme de levage d'ascens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8837A true KR20030028837A (ko) 2003-04-10
KR100512806B1 KR100512806B1 (ko) 2005-09-06

Family

ID=1173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186A KR100512806B1 (ko) 2001-07-05 2001-07-05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03203A1 (ko)
JP (1) JPWO2003004400A1 (ko)
KR (1) KR100512806B1 (ko)
CN (2) CN1247431C (ko)
WO (1) WO20030044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81B1 (ko) * 2003-06-27 2006-07-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권상기의 브레이크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43547C (zh) * 2004-12-24 2007-10-17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内张式电磁制动器
CN101137573A (zh) * 2005-03-08 2008-03-05 因温特奥股份公司 用于电梯驱动器的导靴制动器
CN100416127C (zh) * 2006-02-13 2008-09-03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内张式电磁制动器
ES2543412T3 (es) * 2006-03-16 2015-08-19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Accionamiento de ascensor con un motor eléctrico
US8231634B2 (en) 2006-03-17 2012-07-31 Zimmer, Inc. Methods of predetermining the contour of a resected bone surface and assessing the fit of a prosthesis on the bone
CN100415626C (zh) * 2006-08-18 2008-09-03 陈惠良 滚筒式曳引机
WO2009034642A1 (ja) * 2007-09-14 2009-03-1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エレベータの巻上機
JP4662379B2 (ja) * 2008-05-15 2011-03-3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ブレーキの試験方法
JP4825843B2 (ja) * 2008-06-18 2011-1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装置
JP5449223B2 (ja) * 2011-02-04 2014-03-19 三菱電機株式会社 電磁ブレーキ装置
CN107098286B (zh) * 2016-02-22 2021-05-1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制动器和电梯制动器的减震垫更换方法
JP6666596B2 (ja) * 2017-03-03 2020-03-1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動装置及びエレベータ
JP6684739B2 (ja) * 2017-03-03 2020-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巻上機およびエレベーター装置
CN107131229A (zh) * 2017-04-28 2017-09-05 防城港市海洋局 具有减振功能的制动器
WO2022167075A1 (en) * 2021-02-04 2022-08-11 Kone Corporation Brake, elevator hoisting machine and elevator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40186U (ko) * 1978-03-23 1979-09-28
JP3152034B2 (ja) * 1993-10-28 2001-04-03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ョンシーブ式エレベータ装置
JP3614221B2 (ja) * 1995-10-31 2005-01-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巻上機用ブレーキ装置
JPH09315721A (ja) * 1996-05-27 1997-12-09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0065100A (ja) * 1998-08-24 2000-03-03 Akebono Brake Ind Co Ltd ドラムブレーキ装置
JP2001199659A (ja) * 2000-01-12 2001-07-24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及びその綱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6281B1 (ko) * 2003-06-27 2006-07-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권상기의 브레이크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60306C (zh) 2009-02-11
WO2003004400A1 (fr) 2003-01-16
CN1706738A (zh) 2005-12-14
EP1403203A1 (en) 2004-03-31
KR100512806B1 (ko) 2005-09-06
CN1247431C (zh) 2006-03-29
CN1449357A (zh) 2003-10-15
JPWO2003004400A1 (ja) 2004-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28837A (ko) 엘리베이터 권양기 및 그의 브레이크 장치
TWI729276B (zh) 制振裝置、緩衝系統、筒管支架系統、及旋轉體系統
JPH10288238A (ja) 宇宙航行機の配備機構用ダンパ
JP4280320B2 (ja) 磁気軸受機構で支持されたロータの振動減衰装置
JP2003512275A (ja) 回転作動過速安全装置
JP2018111551A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KR101709994B1 (ko) Mr 유체의 유동 모드와 전단 모드를 이용한 이중 스테이지 mr 마운트
JP7092805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S6334113B2 (ko)
KR920006216A (ko) 전자디스크 브레이크
EP1553040B1 (en) Driver of elevator
CN100369798C (zh) 电梯用薄形卷扬机
JP6997225B2 (ja) 電磁ブレーキ装置、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3974393B2 (ja) 回転駆動機構
JP2013040033A (ja) エレベータ用巻上機
JP2018111552A (ja) 巻上機及びエレベーター
US10899582B2 (en) Electric motor and an elevator system
JPWO2006021996A1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90609B1 (en) Hoist for elevator
JP4160456B2 (ja) エレベーター用巻上機
JP2010285241A (ja)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JP6412293B1 (ja) 蛇行防止プーリ用ワンウェイクラッチ、それを備えた蛇行防止プーリ、及びそれを備えた平ベルト伝動システム
KR100705144B1 (ko) 엘리베이터용 박형 권상기
JP4390534B2 (ja) オイル入り鋼球ダンパー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鉄道車両のブレーキ装置
JP2023129081A (ja) 車両用ホイール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