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7422A -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7422A
KR20030027422A KR1020010060657A KR20010060657A KR20030027422A KR 20030027422 A KR20030027422 A KR 20030027422A KR 1020010060657 A KR1020010060657 A KR 1020010060657A KR 20010060657 A KR20010060657 A KR 20010060657A KR 20030027422 A KR20030027422 A KR 20030027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etyl
pharmaceutical composition
cefurox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0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방
강길선
조진철
조선행
안태군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10060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7422A/ko
Publication of KR20030027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742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6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 A61K47/694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conjugate being characterised by physical or galenical forms, e.g. emulsion, particle, inclusion complex, stent or kit inclusion complexes, e.g. clathrates, cavitates or fullere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 A61K31/542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sulfur as the ring hetero atoms, e.g. sulthiame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545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cefaclor, or cephalexine
    • A61K31/546Compounds containing 5-thia-1-azabicyclo [4.2.0] octane ring systems, i.e. compounds containing a ring system of the formula:, e.g. cephalosporins, cefaclor, or cephalex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cephaloth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푸록심 아세틸(cefuroxime axetil)을 pH 의존성 고분자인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화하여 이를 건조시럽제형으로 제제화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세푸록심 아세틸 특유의 쓴맛을 은폐하여 복용시 불쾌한 맛을 제거하고, 약제 조성물내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증가시키고, 제제화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aste-making cefuroxime axetil and preparation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푸록심 아세틸(cefuroxime axetil)을 pH 의존성 고분자인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화하여 이를 건조시럽제형으로 제제화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세푸록심 아세틸 특유의 쓴맛을 은폐하여 복용시 불쾌한맛을 제거하고, 약제 조성물내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증가시키고, 제제화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약제의 형태는 의약제를 다양한 크기의 정제 형태로 제형화 한 후 단 맛을 내는 과당 등을 피복한 정제형태의 의약제와 상기 정제형태의 의약제를 복용하기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분말형이나 과립형의 형태로 제형된 것이 주류를 이룬다.
상기 정제의 제형은 유아, 어린이, 노인 등에게는 삼키기에 불편하고 약물의 쓴맛으로 인하여 복용의 불쾌감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쓴맛을 은폐시키는 건조시럽제로 제형화되고 있으며, 이런 건조 시럽제는 주로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를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건조 시럽제의 경우도 약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쓴맛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약물이 가지고 있는 특유의 쓴맛을 은폐하기 위하여 화학적, 기술적인 조작을 하거나, 약제 조성물을 변화시킴으로서 약물의 쓴맛을 개선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지고 있다. 상기 약제 조성물을 변화시키는 방법으로 리포프로테인(lipoprotein)을 사용하여 약물과의 복합체를 형성하여 쓴맛을 은폐시킨 방법과 약제 조성물에 방향제나 감미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개발된 바가 있으나 약물의 쓴맛을 충분하게 은폐하지 못하고, 기술적인 공정도 복잡한 실정이다.
불쾌한 맛을 갖는 약물의 은폐기술에 관한 공지된 기술로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과립제를 수용성의 피막에 의해 코팅하는 방법[일본 특개평 4-282312호], 융점 40 ∼ 100 ℃의 왁스류를 용융하고 그 속에 불쾌한 풍미를 나타내는 약물을 분산 후 고화시키고 가루약을 얻은 방법[일본 특개평 7-267850호] 등이 알려져 있다. 일본 특개평 4-346937호에는 쓴맛 저감의 방법으로서 쓴맛이 있는 물질에 한천, 젤라틴 또는 겔화제와 조미제를 첨가하고, 조미 젤리(jelly)형상으로 하는 쓴맛 저감 방법이 개시되어있으나, 조미제에 의하고 쓴맛을 은폐한 것일 뿐이다.
불쾌한 맛을 갖는 약물의 은폐를 목적으로 상기와 같은 많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지만, 제조 공정이 복잡하거나 효과가 불충분하여 아직도 만족할 만한 것이 없다.
한편, 세파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푸록심 아세틸은 일반적으로 용제, 현탁제 또는 물을 첨가하는 건조시럽제형의 과립형태로 투여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세푸록심 아세틸은 특유의 쓴맛을 가지고 있어 약제 복용시 불편하고 복용순응도가 떨어지고 있다.
따라서, 세푸록심 아세틸을 분말형 또는 과립형으로 제형화 할 때 세푸록심 아세틸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쓴맛을 완화, 은폐 또는 제거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종류의 향미제나 단맛을 지닌 물질을 사용하거나, 또는 에틸셀룰로오즈, 디메칠아미노에칠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등의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바인더에 부형제 및 응집 방지제 등을 혼합한 혼합물을 분무건조, 냉동건조, 유동층 건조방법 등을 이용하여 피복하는 방법이 사용되어왔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분말 또는 과립형 약제를 실제로 복용하면 구강의 타액과 약제가 접촉하여 대략 5초 내외의 짧은 시간에 녹기 시작하므로 되도록 신속히 복용해야 하는데, 실제 복용시 혀에 약제가 붙어 빨리 용해되기 시작하여 세푸록심 아세틸의 쓴맛을 은폐하기 위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피복하는 방법은 피복젤로 사용되는 상기의 물질을 유기용제에 용해한 후 탈크, 슈크로스, 콜로이드성 실리카 또는 뉴트라스위트 등의 기타 첨가제를 가하여 현탁액을 만들어서 분무건조 등을 통하여 약제를 제조하므로, 목적성분인 세푸록심 아세틸 외에 다른 부형제가 첨가되어 제조비용이 증가함은 물론 유기용제를 사용함에 따라 최종제품에서도 인체에 해로운 유기용제가 소량 잔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조된 의약제제에 목적성분인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이 60 ∼ 70% 정도로 비교적 낮은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푸록심 아세틸을 알긴산 나트륨으로 효과적으로 포접시켜 건조시럽형으로 제제화시켜 약제 복용시 세푸록심 아세틸의 쓴맛을 은폐시켜 약물 순응도를 높게하고자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세푸록심 아세틸의 쓴맛을 은폐하여 복용시 불쾌한 맛을 제거하고, 약제 조성물내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을 기존에 비해 현저히 증가시키고, 제제화시 유기용제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과 비교예(셉틴TM) 제제의 완충용액에서 시간에 따른 세푸록심 아세틸의 용출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과 비교예(셉틴TM) 제제를 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푸록심 아세틸이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되어 함유된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세푸록심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 나트륨 2 ∼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1 ∼ 2 중량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붕해제 15 ∼ 25 중량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당류 5 ∼ 15 중량부를 물에 넣어 혼합하는 과정 및 상기 혼합액을 1 ∼ 3 중량부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분사시키는 과정이 포함된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불쾌한 맛을 가지는 세파로스포린계 항생제인 세푸록심 아세틸의 쓴맛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 있는 약제 조성물과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세푸록심 아세틸을 쓴맛의 은폐물질인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시켜 약물의 쓴맛을 효과적으로 은폐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 중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제조된 약제 조성물 내에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을 높혀 환자에게 복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복용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은 세푸록심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 나트륨 2 ∼ 10 중량부, 염화칼슘 1 ∼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 2 중량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붕해제 15 ∼ 25 중량부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당류 5 ∼ 15 중량부가 함유한다.
이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약제 조성물을 그 구성성분에 따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세푸록심 아세틸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로 생체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아세톡시에틸 에스터를 붙여 프로드럭화시킨 약물로서 100% 무정형이며 호흡기계 감염증이나 조직감염증 질병에 주로 쓰이는 3 세대 항생제로서 고유의 쓴맛을 지니고 있는 약물이다. 또한, 세푸록심 아세틸은 암피실린 및 아목시실린 저항균주에 항균 효과가 우수하고 그람양성균 및 그람음성균에 광범위한 항균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근래에 와서 국내외에서 특히 문제가 되고 있는 해모필러스 인프루엔자, 브란하멜라 카타하리스 종이 분비하는 베타-락타메이즈(beta-lactamase)에 대해서도 안정하다. 그리고, 상기 세푸록심 아세틸은 물에는 잘 녹지 않으나 대부분의 유기 용매에는 잘 녹는 성질을 가지며, 강한 쓴맛을 가진다.
상기 세푸록심 아세틸의 쓴맛을 은폐시키기 위해 세푸록심 아세틸의 포접제로 사용하는 알긴산 나트륨은 주로 D-만누론산(D-mannuronic acid)과 L-글루론산(L-guluronic acid)의 잔류로 구성된 폴리유론산(polyuronic acid)의 혼합물인 알긴산 나트륨 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경구와 국소형 제제에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알긴산 나트륨은 D-만누론산과 L-글루론산이 약 2:1의 비율로 결합된 선성의 공중합체로 구성된 다당류로 해초의 일종인 자이언트 켈프(Giant Kelp)에 40% 이상 함유되어 있는 물질이다. 알긴산 나트륨은 자이언트 켈프를 알카리 처리하여 용해한 후 염과 칼슘으로 침전시켜 불순물을 제거한 후 표백, 산처리, 그리고, 중화 공정을 거쳐 얻는다. 알긴산 나트륨은 분자 사슬에 카르복실 그룹이 존재하여 일반적인 다당류와는 다른 물성을 나타내는데 분자구조의 특이성으로 다가의 금속이온을 킬레이트하여 응고(젤)를 일으키는 성질을 갖고 있다. 알긴산 나트륨이 염화칼슘 수용액 안에서 칼슘이온과 결합하여 젤이 형성된다. 특히, 알긴산 나트륨은 금속 이온의 존재 하에서는 물에 대한 불용성 젤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세푸록심 아세틸을 포접하여 경구투여용 시럽 제형으로 제제화하여 경구투여하면 입안의 침의 침투를 통해 제제의 표면에 불용성 젤을 형성함으로써 약물의 쓴맛을 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입속의 습한 환경에서 쓴 세푸록심 아세틸을 방출하지 않는 반면 위액과 접촉 했을때 붕해됨으로써 위장관으로 신속하게 분삭 및 용해 될 수 있다. 또한, 알긴산 나트륨은 pH 2 에서는 불용성으로 존재하고 pH 7.4에서는 가교결합이 깨지면서 빠르게 분해된다.
상기 알긴산 나트륨은 세푸록심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2 ∼ 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하는 불용성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1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사용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세푸록심 아세틸을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하는데 있어 가교결합제로 사용되는 염화칼슘은 세푸록심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1 ∼ 3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기대하는 결합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는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활택제로 사용하는 스테아린산은 세푸록심 아세틸에 1 중량부에 대하여 1 ∼ 2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하는 유동성과 불용성 효과를 얻을수가 없고, 2 중량부를 초과하면 유동성이 나빠지고 분리가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쓴맛 은폐제로 상기 알긴산 나트륨과 스테아린산을 함께 사용하는데 특징이 있고, 세푸록심 아세틸을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시킴과 동시에 스테아린산을 첨가함으로써 유동성과 불용성을 가져 쓴맛 은폐 효과가 현저하게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 약물의 분산 역할을 하는 붕해제는 세푸록심 아세틸에 1 중량부에 대하여 15 ∼ 2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본 발명에서 기대하는 결합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25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는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붕해제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당, 전분, 만니톨, 미결정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 메칠셀룰로오스 또는 폴리프라스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흡수제 역할을 하는 당류는 세푸록심 아세틸에 1 중량부에 대하여 5 ∼ 15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하는 흡수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15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세푸록심 아세틸 표면에 균일한 도포층을 형성하기가 어렵다. 상기 당류로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락토스, 미결정세룰로오스, 유당, 경질 산화 마그네슘, 경질탄산마그네슘, 경질무수규산, 전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조성성분 이외에 복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감미제, 방향제, 향료, 착색제, 안정제, 증점제, 증량제, 보존제, pH 조정제, 부형제 및 교미제 등의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쓴맛 차폐 역할을 하며 세푸록심 아세틸에 1 중량부에 대하여 1 ∼ 3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하는 쓴맛은폐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 3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감미제로는 백설탕, 포도당, D-소르비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제는 쓴맛 은폐 역할을 하며 세푸록심 아세틸에 1 중량부에 대하여 1 ∼ 3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하는 쓴맛 은폐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량 사용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방향제로는 오렌지유, 과즙엑스, 계피유, 스페아민트액, 박하수, 바닐라, 페파민트유, 장미유, 레몬유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조성성분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세푸록실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 나트륨 2 ∼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1 ∼ 2 중량부, 붕해제 15 ∼ 25 중량부, 당류 5 ∼ 15 중량부를 물에 넣어 균질기로 완전히 혼합시킨다. 상기 세푸록심 아세틸은 볼밀(Ball mill)을 사용하여 2 ∼ 8 μm의 크기로 미리 분쇄하여 알긴산 나트륨에 고루 분산되도록 하여 염화칼슘에 분사시 약물이 분산노즐에 막힘이 없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나서, 상기 혼합액을 1 ∼ 3 중량부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분사시켜 얻은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을 물로 세척한 후, 동결건조시킨다.
상기 염화칼슘 수용액은 상기한 혼합액을 고형화하기 위한 분산매로서 1 ∼ 3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일 그 함유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기대하는 분산매로써 효과를 얻을 수가 없고, 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면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약물 조성물은 건조시럽제로 제형화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시럽제는 물에 쉽게 붕해 현탁되고, 약물효과를 신속히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은 알긴산 나트륨으로 세푸록심 아세틸을 효과적으로 포접함으로써 약물의 쓴맛을 은폐시킬수 있고, 제조공정 중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제조된 약제 조성물 내에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이 종래에 비해 높아 환자에게 복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복용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는바,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우선, 알긴산 나트륨 4 g을 150 ml의 물에 첨가하여 분사할 수 있을 정도로 용해시킨 후, 여기에 스테아린산 0.5 g과 세푸록심 아세틸 0.5 g, 붕해제(전분) 7.5 g, 당류(락토스) 2.5 g을 첨가한 후 혼합기를 사용하여 혼합시켰다. 그리고나서, 2%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스프레이법으로 상기 혼합물을 분사하여 고형화시키고, 순수한 물로 세척한 뒤 동결 건조하여 과립의 세푸록심 아세틸 제제를 얻었다.
상기 제제는 세푸록심 아세틸 함량이 73%이고, 냄새가 없고 미약한 단맛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의 혼합물에서 스테아린산 1.0 g, 붕해제(전분) 10 g, 당류(유당) 2.5 g을 첨가하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과립의 세푸록심 아세틸 제제를 얻었다.
상기 제제는 세푸록심 아세틸 함량이 86.5%이고, 냄새가 없고 미약한 단맛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의 혼합물에서 스테아린산 0.7 g, 붕해제(하이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12.5 g, 당류(미결정셀룰로오스) 5 g, 감미제(백당) 0.5 g을 첨가하고, 다른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과립의 세푸록심 아세틸 제제를 얻었다.
상기 제제는 세푸록심 아세틸 함량이 68%이고, 냄새가 없고 미약한 단맛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기존 세푸록심 아세틸 경구투여제인 셉틴TM(ceptin)을 비교예로 사용하였다.
상기 제제는 세푸록심 아세틸 함량이 65 ±5%이고, 냄새가 없고 쓴맛을 나타내었다.
시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의 제제와 시판중인 셉틴TM의 완충용액에서 시간에 따라 용출된 세푸록심 아세틸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대한약전의 용출시험법 제 2법에 따라 시행하였으며 각 제제마다 세푸록심의 역가가 150 mg에 해당하는 양을 weighing하여 pH 7.0의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 buffer solution) 900 ml (0.166 mg/ml), 100 rpm/min, 37±0.5 ℃에서 시험하였다. 용출실험 시작 후에 시간에 따라 일정량 취하여 0.45 ㎛의 filter로 여과하여 HPLC로 분석하였고 분석조건은 다음과 같았다. 사용된 칼럼은 μBondapak C18(10 ㎛, 3.9×300 mm, USA), 이동상은 0.2 몰의 일가 암모니윰 포스페이트:메탄올(62:38, v/v %)의 부피 비로 하였으며, 유속은 1 ml/min, UV 검출파장은 278 nm, 주입량은 20 ㎕로 하였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의 제제는 비교예에 비해 신속히 약물이 방출되어 약효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제제와 시판중인 셉틴TM의 현미경 사진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제는 비교예에 비해 더 작고 균일한 모폴로지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상기 실시예 1 ∼ 3의 제제와 비교예의 제제 각 0.5g을 피험자(A, B, C)에게 입에 머금고, 쓴맛의 정도를 3단계로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 3의 제제는 세푸록심 아세틸의 쓴맛을 은폐시켜 피검자에게 복용을 편이하게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은 알긴산 나트륨으로 세푸록심 아세틸을 효과적으로 포접함으로써 약물의 쓰맛을 은폐시킬 수 있고, 제조공정 중 유기용매를 사용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하며, 제조된 약제 조성물 내에 세푸록심 아세틸의 함량이 종래에 비해 높아 환자에게 복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복용순응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4)

  1. 세푸록심 아세틸이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되어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푸록심 아세틸을 알긴산 나트륨으로 포접하는데 있어서, 가교결합제로 염화칼슘을 사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조성물은 세푸록심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 나트륨 2 ∼ 10 중량부, 염화칼슘 1 ∼ 3 중량부, 스테아린산 1 ∼ 2 중량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붕해제 15 ∼ 25 중량부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당류 5 ∼ 15 중량부가 함유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
  4. 세푸록실 아세틸 1 중량부에 대하여 알긴산 나트륨 2 ∼ 10 중량부, 스테아린산 1 ∼ 2 중량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붕해제 15 ∼ 25 중량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당류 5 ∼ 15 중량부를 물에 넣어 혼합하는 과정, 및
    상기 혼합액을 1 ∼ 3 중량부의 염화칼슘 수용액에 분사시키는 과정이 포함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럽용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10060657A 2001-09-28 2001-09-28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KR200300274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657A KR20030027422A (ko) 2001-09-28 2001-09-28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0657A KR20030027422A (ko) 2001-09-28 2001-09-28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7422A true KR20030027422A (ko) 2003-04-07

Family

ID=2956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0657A KR20030027422A (ko) 2001-09-28 2001-09-28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74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493A (zh) * 2013-03-08 2013-06-12 深圳立健药业有限公司 一种头孢呋辛酯颗粒药物组合物的制备工艺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42493A (zh) * 2013-03-08 2013-06-12 深圳立健药业有限公司 一种头孢呋辛酯颗粒药物组合物的制备工艺
CN103142493B (zh) * 2013-03-08 2015-04-01 深圳立健药业有限公司 一种头孢呋辛酯颗粒药物组合物的制备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7557B2 (en) Taste mask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P1194153B1 (en) Taste masked pharmaceutical liquid formulations
KR100979328B1 (ko) 코팅된 미립자 세푸록심 악세틸 조성물
CN101083977B (zh) 掩味药物组合物
KR20000069899A (ko) 속방성 및 미각 차폐성 약제학적 용량 형태
BRPI0407116B1 (pt) Partícula revestida baseada em princípio ativo, composição farmacêutica ou cosmética, e, método para produção de partícula revestida baseada em princípio ativo
JPS63258809A (ja) 医薬活性成分の放出性にすぐれ、かつ苦味を隠蔽した細粒剤
EP3735238A1 (en) A stable oral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ferric citrate
WO2005039538A1 (ja) 不快味を改善した被覆製剤の製造方法
KR20030027422A (ko) 쓴맛의 은폐효과가 우수한 세푸록심 아세틸 약제 조성물과그 제조방법
JP4384278B2 (ja) イブプロフェン含有粒剤
JP2004035518A (ja) 苦味をマスキングしたカルバペネム系抗生剤含有経口顆粒製剤
JP5977672B2 (ja) イブプロフェンリシナートの経口投与用の懸濁液
JP2006219462A (ja) 経口製剤用粒子
JP5132090B2 (ja) 塩酸エピナスチンドライシロップ剤
WO2001085134A1 (en) Pharmaceutical solid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mouth dissolving tablets
CZ20014133A3 (cs) Farmaceutický přípravek a způsob jeho přípravy
JP2005060310A (ja) 不快な味をマスキングする経口投与用製剤
JP2004010611A (ja) マスキング組成物
KR100523082B1 (ko) 쓴 맛이 은폐된 세푸록심악세틸 제제의 제약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033285A (ja) マクロライド化合物の苦味抑制剤
EP1051969A1 (en) Coated antibiotic granu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