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050A -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 Google Patents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050A
KR20030026050A KR1020010059033A KR20010059033A KR20030026050A KR 20030026050 A KR20030026050 A KR 20030026050A KR 1020010059033 A KR1020010059033 A KR 1020010059033A KR 20010059033 A KR20010059033 A KR 20010059033A KR 20030026050 A KR20030026050 A KR 20030026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cap
plate
tube
ca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1310B1 (ko
Inventor
김영훈
남정일
조형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1310B1/ko
Priority to US10/216,273 priority patent/US9040193B2/en
Priority to JP2002273629A priority patent/JP4184740B2/ja
Priority to CNB021498970A priority patent/CN1257563C/zh
Publication of KR2003002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1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1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5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57Inorganic material
    • H01M50/159M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9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91Inorganic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저융점 글래스 메탈 튜브;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핀;을 구비하고, 고온 가열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 및, 상기 핀 사이의 접촉면이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Cap assembly and re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therewith}
본 발명은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구조가 개선된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 대표적으로는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전지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이차 전지는 극판 조립체를 수용하고 있는 케이스의 외관에 따라서 원통형과 각형 전지로 구분할 수 있다. 각형 전지는 직육면체의 케이스내에 극판 조립체가 수용된 것이다.
도 1 에는 통상적인 각형 2 차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15)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공간을 한정하고 있으며, 케이스(15)의 내부에 극판 조립체(16)가 수용되어 있다. 극판 조립체(16)는전극 활물질이 도포된 양극판과 음극판을 세퍼레이터로 상호 격리시키고, 상기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젤리 롤(jelly roll)의 형태로 감아서 형성한 것이다. 극판 조립체(16)의 일측에는 전극 탭(17)이 형성된다.
캡 조립체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5)의 상단을 밀폐하는 캡 플레이트(11)와, 상기 캡 플레이트(11)에 형성된 구멍(11a)에 삽입되는 가스켓(12)과, 상기 가스켓(12)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극판 조립체(16)의 탭(1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핀(13)과, 상기 탭(17)과 캡 플레이트(11)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절연체(14)를 구비한다. 터미널 플레이트(19, 도2)에 상기 탭(17)의 단부(17a)가 용접되고, 상기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9)와 상기 핀(13)의 단부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핀(13)은 그 단부의 일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후에 설명될 스피닝(spinning) 작업을 위한 것이다. 도면 번호 11b 로 표시된 것은 전해액 주입구로서, 캡 플레이트(11)가 조립된 이후에 전해액을 그것을 통해 주입하고 도시되지 아니한 플러그로 밀폐하게 된다. 도면 번호 18 로 표시된 것은 안전변으로서, 전지 내부의 내압 상승시에 개방됨으로써 전지의 폭발을 방지하게 된다.
도 2 에 도시된 것은 도 1 에 도시된 캡 조립체를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핀(13)은 중공형 가스켓(12)내에 삽입되며, 상기 중공형 가스켓(12)은 캡 플레이트(11)의 구멍내에 삽입된다. 가스켓(12)은 캡 플레이트(11)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서 전지 케이스 내부의 개스 및 전해액등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핀(13)의 단부는 절연체(14)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과 동시에, 터미널 플레이트(19)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되고, 상기 핀(13)의 단부가 변형됨으로써 고정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탭(17)의 단부(17a)는 상기 터미널 플레이트(19)에 용접되며, 따라서 탭(17), 터미널 플레이트(19) 및, 핀(13) 사이에 전기적인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절연체(14)는 터미널 플레이트(19)가 캡 플레이트(11)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핀(13)의 단부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피닝 작업을 통해 변형되어, 절연체(14)와 터미널 플레이트(19)를 캡 플레이트(11)측을 향해 가압 밀착시켜서 고정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밀폐 구조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스켓(12)이 구비되는데, 가스켓(12)은 핀(13) 단부의 변형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완전한 밀폐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의 관리가 난해하다. 또한, 밀폐 구조를 위한 가스켓(12) 및, 터미널 플레이트(19)의 절연을 위한 절연체(14)의 사용으로 인해 부품의 갯수가 증가하게 되고, 제조 공정이 복잡하다. 더욱이, 케이스(15)의 내압이 상승하게 되면 그로 인해 핀(13)이 외부로 돌출되는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선된 캡 조립체를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인 각형 2 차 전지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a 및, 도 4b 는 도 3 에 도시된 캡 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것은 합성 수지 튜브를 이용한 캡 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 에 도시된 것은 도 8a 내지 8c 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시킨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1. 캡 플레이트 12. 가스켓
13. 핀 14. 절연체
15. 케이스 16. 극판 조립체
17. 탭 31. 캡 플레이트
32. 글래스 메탈 튜브 33. 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금속재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저융점 글래스 메탈 튜브;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핀;을 구비하고, 고온 가열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 및, 상기 핀 사이의 접촉면이 원자적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핀의 단부에 돌출한 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형부는 탭의 연결을 위한 면적의 확보를 위해 변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온 가열시에, 조립된 상태의 캡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그와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외측에 세라믹 시이트가 끼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고온 가열시에, 조립된 상태의 캡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그와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외측에 세라믹 고리가 끼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 상기 극판 조립체를 그 안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 상기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저융점 글래스 메탈 튜브;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핀;을 구비하고, 고온 가열에 의해상기 캡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 및, 상기 핀 사이의 접촉면이 원자적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핀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된 변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극판 또는 음극판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된 탭과 상기 핀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는 상기 탭에 대한 연결 면적의 확보를 위해 변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합성 수지재의 튜브; 상기 합성 수지재의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재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단부를 스피닝(spinning)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기적인 절연 및, 개스 시일과 함께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핀의 단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핀의 단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워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절연성 워셔는 상기 핀의 단부를 변형시킬때 상기 튜브와 함께 고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 상기 극판 조립체를 그 안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 상기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합성 수지재의 튜브; 상기 합성 수지재의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재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단부를스피닝(spinning)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기적인 절연 및, 개스 시일과 함께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에 대한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 조립체는 도시의 편의를 위하여 역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에 대해서 역전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1 에 도시된 극판 조립체(16)를 수용한 케이스(15)가 도 3 에서는 캡 플레이트(31)의 상부에 결합되고, 금속 또는 비금속의 핀(33)의 상단에 탭(17)이 접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도 3 에 있어서 캡 플레이트(31)에 형성된 구멍(31a)에는 중공형 글래스 메탈 튜브(32)가 삽입된다. 또한 중공형 글래스 메탈 튜브(32)의 내측에는 핀(33)이 삽입된다. 캡 플레이트(31)와 핀(33)은 도전성이 있는 금속재 또는 비금속재로 형성되는 반면에, 글래스 메탈 튜브(32)는 글래스 메탈로써 형성된다. 글래스 메탈 재료는 융해점이 400 ℃ 이하의 분말 또는 과립화된 상태의 글래스와 메탈을 혼합하여 겔화시킨것으로서, 고온 소성시에 도전성이 없는 고형 상태가 된다. 글래스 메탈 재료는 다른 메탈 재료에 대하여 원자적인 결합을 통해서 시일을 이룰 수 있다. 또한 글래스 메탈 재료는 분말 상태로서 압출 성형됨으로써 튜브의 형태로 형상화될 수 있으며, 이후에 고온 소성을 통해서 메탈 재료와 시일을 이룰 수 있다.고온 소성시에 가해지는 온도는 400℃ 내지 1000℃ 로 이루어진다.
글래스 메탈 튜브(32)의 일측에는 플렌지(32)가 형성되어 있다. 글래스 메탈 튜브(32)는 고온으로 가열되었을때 캡 플레이트(31) 및, 핀(33)의 금속 재료와 원자적인 결합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글래스 메탈 튜브(32)를 캡 플레이트(31)의 구멍(31a)에 삽입하고, 핀(33)을 글래스 메탈 튜브(32)에 삽입한 상태에서 고온으로 가열하게 되면, 글래스 메탈 튜브(32)와 금속 또는 비금속 재질의 핀(33) 및, 캡 플레이트(31) 사이에 원자적인 결합이 이루어짐으로써 밀폐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핀(33)은 동체(33b)의 일측에 헤드(33c)가 형성되고, 동체(33b)의 다른 일측에는 변형부(33a)가 형성되어 있다. 헤드(33c)는 완성된 각형 2 차 전지에서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외부 회로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변형부(33a)는 내측에 원추형 구멍등이 형성되어 있고, 외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전극 조립체의 탭(17, 도1)과 용접등을 통해 연결되는 부분이다. 다른 예에서는 원추형 구멍이 변형부(33a)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에는 도 3 에 도시된 캡 조립체의 제작 과정을 개략적인 단면도로 도시하였다.
도 4a 를 참조하면, 글래스 메탈 튜브(32)의 외표면은 캡 플레이트(31)의 구멍 내표면과 접촉하고 있고, 글래스 메탈 튜브(32)의 내측 구멍에는 핀(33)이 삽입되어, 핀(33)의 외표면과 글래스 메탈 튜브(32)의 내표면이 접촉하고 있다. 도면 번호 41 로 표시된 것은 핀(33)의 변형부(33a)에 형성된 원추형 공간이다. 상기 원추형 공간은 변형부(33a)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다른 예에서는 상기 변형부(33a)에 원추형 공간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단순하게 평평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b 를 참조하면, 글래스 메탈 튜브(32)와 금속재의 캡 플레이트(31) 및, 핀(33)은 고온 가열에 의해 원자적 결합을 이룬 상태이다. 이때, 글래스 메탈 튜브(32)의 절연성에 기인하여 캡 플레이트(31)와 핀(33)은 상호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핀(33)의 단부 일측에 형성된 변형부(33a)는 외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탭(17)과의 연결에 있어서 보다 넓은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글래스의 재료에 대하여 보다 양호한 결합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니켈 성분은 다른 금속에 비해서 글래스 재료에 대하여 결합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캡 플레이트(31)와 핀(33)을 니켈로 형성하거나, 최소한 글래스 메탈 튜브(32)와 접촉하는 부분에 도금층을 형성하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글래스에 납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작상에 난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캡 플레이트(31)와 글래스 메탈 튜브(32)와 핀(33)을 고온 가열하기 전에 상호 조립된 상태에서 지그를 이용하여 그 조립체를 상호 지지하게 되는데, 지그의 카본 성분때문에 글래스 메탈 튜브(32)와 지그(미도시)가 서로 결합되어 분리가 곤란할뿐만 아니라, 분리된다 할지라도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세라믹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이것은 세라믹 시이트를 이용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 플레이트(51)의 구멍에는 글래스 메탈 튜브(52)가 삽입된다. 글래스 메탈 튜브(52)는 도 3 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플렌지가 없이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세라믹 시이트(55)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라믹 시이트(55)의 구멍에 핀(53)이 삽입된다. 세라믹 시이트(55)는 헤드(53c)에 근접하게 되며, 캡 조립체의 가열시에 지그(미도시)에 접촉함으로써 글래스 메탈 튜브(52)가 지그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변형부(53a)는 도 3 내지 도 4b 을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마찬가지로 외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탭의 연결 면적을 확보하게 된다.
도 6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이것은 세라믹 고리를 이용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캡 플레이트(61)의 구멍에는 글래스 메탈 튜브(62)가 삽입된다. 글래스 메탈 튜브(62)는 도 5 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게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세라믹 고리(65)는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세라믹 고리(65)의 구멍에 핀(63)이 삽입된다. 세라믹 고리(65)는 헤드(63c)에 근접하게 되며, 캡 조립체의 가열시에 지그(미도시)에 접촉함으로써 글래스 메탈 튜브(62)가 지그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 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단면도로서, 이것은 글래스 메탈 튜브를 단차지게 형성된 예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글래스 메탈 튜브(72)는 계단형으로서 단차지게 형성되며,그에 대응하여 캡 플레이트(71)의 구멍 내표면과 핀(73)의 외표면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단차 형상은 보다 많은 면적에 걸쳐서 글래스 메탈 튜브(72)가 캡 플레이트(71) 및, 핀(73)과 접촉하게 한다. 또한 전지 케이스 내부의 기체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유로를 굴곡지게 형성함으로써 밀폐 효과를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 세라믹 시이트(75)를 삽입함으로써 지그(미도시)가 글래스 메탈 튜브(72)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변형부(73a)가 핀(73)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다.
도 3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된 예에서는 글래스 재료를 가진 튜브를 캡 플레이트와 핀 사이에 개재시킴으로써 원자적 결합에 의해 밀폐 및, 절연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는 달리, 불소 수지와 같은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튜브를 형성하고, 상기 튜브를 이용하여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8a 내지 도 8c 에 도시된 것은 합성 수지 튜브를 이용한 캡 조립체를 제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8a 를 참조하면, 핀(81)은 금속 또는 비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튜브(82)는 불소 수지 합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튜브(82)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핀(81)은 도 8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32)를 압축하면서 캡 플레이트(83)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된다. 핀(81)의 삽입시의 가압에 의해서 핀(81)과 캡 플레이트(83) 사이에 시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후에 도 8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81)의 단부(81a)를 스피닝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핀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극판 조립체의 탭은 상기 핀(81)의 단부에 직접적으로용접된다.
도 9 에 도시된 것은 도 8a 내지 8c 에 도시된 실시예를 변형시킨 것이다. 이것은 핀(91)의 단부(91a)와 캡 플레이트(93)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절연체 워셔(94)를 더 구비하는 경우이다. 워셔(94)는 핀(91)의 단부(91a)를 스피닝에 의해 변형시킬때, 불소 수지 합성 재료로 제작된 튜브(92)와 함께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는 캡 조립체의 밀폐 구조가 안정적일뿐만 아니라,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캡 조립체의 부품을 감소시킴으로써 생산 원가의 절감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금속재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저융점 글래스 메탈 튜브;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핀;을 구비하고,
    고온 가열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 및, 상기 핀 사이의 접촉면이 원자적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단부에 돌출한 변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변형부는 탭의 연결을 위한 면적의 확보를 위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열시에, 조립된 상태의 캡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그와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외측에 세라믹 시이트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열시에, 조립된 상태의 캡 조립체를 지지하는 지그와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의 외측에 세라믹 고리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5.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
    상기 극판 조립체를 그 안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
    상기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저융점 글래스 메탈 튜브;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핀;을 구비하고,
    고온 가열에 의해 상기 캡 플레이트, 상기 글래스 메탈 튜브 및, 상기 핀 사이의 접촉면이 원자적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일 단부로부터 돌출된 변형부가 형성되고, 상기 양극판 또는 음극판의 일측으로부터 인출된 탭과 상기 핀이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변형부는 상기 탭에 대한 연결 면적의 확보를 위해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
  7.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합성 수지재의 튜브;
    상기 합성 수지재의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재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단부를 스피닝(spinning)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기적인 절연 및, 개스 시일과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핀의 단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의 접촉을 방지하도록 상기 핀의 단부와 상기 캡 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절연성 워셔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절연성 워셔는 상기 핀의 단부를 변형시킬때 상기 튜브와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의 캡 조립체.
  9.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를 감아서 형성된 극판 조립체;
    상기 극판 조립체를 그 안에 수용하는 각형 케이스;
    상기 각형 케이스를 밀폐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 재료의 캡 플레이트;
    상기 캡 플레이트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합성 수지재의 튜브;
    상기 합성 수지재의 튜브에 형성된 중공에 삽입되는 금속재의 핀;을 구비하고,
    상기 핀의 단부를 스피닝(spinning)에 의해 변형시킴으로써 상기 튜브가 상기 캡 플레이트에 대하여 전기적인 절연 및, 개스 시일과 함께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형 2 차 전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온 가열은 400 ℃ 내지 1000 ℃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조립체.
KR1020010059033A 2001-09-24 2001-09-24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KR100751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033A KR100751310B1 (ko) 2001-09-24 2001-09-24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US10/216,273 US9040193B2 (en) 2001-09-24 2002-08-12 Cap assembly and rectangular type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cap assembly
JP2002273629A JP4184740B2 (ja) 2001-09-24 2002-09-19 キャップ組立体及びそれを具備した角形2次電池
CNB021498970A CN1257563C (zh) 2001-09-24 2002-09-24 顶盖组件及具有该顶盖组件的长方形蓄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033A KR100751310B1 (ko) 2001-09-24 2001-09-24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050A true KR20030026050A (ko) 2003-03-31
KR100751310B1 KR100751310B1 (ko) 2007-08-22

Family

ID=19714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033A KR100751310B1 (ko) 2001-09-24 2001-09-24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40193B2 (ko)
JP (1) JP4184740B2 (ko)
KR (1) KR100751310B1 (ko)
CN (1) CN1257563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183B1 (ko) * 2002-10-15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누액 방지 기능이 향상된 이차 전지
KR101268490B1 (ko) * 2011-05-02 2013-06-04 주식회사 엘엔피 밀봉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52B1 (ko) * 2004-09-08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온 이차 전지
CN1655389A (zh) * 2005-03-04 2005-08-17 北京中信国安盟固利新材料技术研究院有限公司 大容量金属外壳锂离子二次电池
KR100646520B1 (ko) * 2005-03-09 2006-11-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및 그 조립방법
CN101208999B (zh) * 2005-06-30 2012-11-14 Led道路照明有限公司 用于控制照明器的方法和系统
JP5053036B2 (ja) * 2007-10-25 2012-10-17 睦月電機株式会社 密閉型電池
US20130323573A1 (en) * 2011-02-18 2013-12-05 Shin-Kobe Electric Machinery Co., Ltd. Secondary Battery
CN102842688B (zh) * 2011-06-23 2015-09-3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的密封组件及其制作方法、以及一种锂离子电池
CN103137916B (zh) * 2011-11-25 2015-08-2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电池的密封组件及其制作方法、以及一种锂离子电池
US9502710B2 (en) 2012-09-06 2016-11-22 Johnson Controls Technology Llc Cell terminal seal system and method
CN105070949A (zh) * 2015-08-14 2015-11-18 江苏绿伟锂能有限公司 一种圆柱型锂离子电池
EP3157077B1 (de) 2015-10-12 2020-12-09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JP6876426B2 (ja) * 2016-12-21 2021-05-26 Fdk株式会社 アルカリ二次電池
CN111799404B (zh) * 2017-08-30 2021-05-0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的顶盖组件、二次电池以及电池模组
CN212750989U (zh) * 2020-06-12 2021-03-19 珠海市讯达科技有限公司 一种纽扣电池
KR102530454B1 (ko) * 2022-10-25 2023-05-09 주식회사 신흥글로벌 캡 조립 및 캡 조립 상태 검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03273A (ja) * 1982-12-06 1984-06-14 Hitachi Maxell Ltd 電池用封口蓋
JPS6041753A (ja) 1983-08-17 1985-03-05 Hitachi Maxell Ltd 密閉形電池
US5004656A (en) * 1988-08-29 1991-04-02 Hitachi Maxell, Ltd. Flat type sealed battery with hermetic sealing structure
US5279907A (en) * 1992-05-11 1994-01-18 Emerson Electric Co. Safety vent for a contain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H0636209A (ja) 1992-07-14 1994-02-10 Toshiba Corp 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3619903B2 (ja) 1994-02-10 2005-02-16 株式会社エイ・ティーバッテリー 封止電極端子構造
JP2897104B2 (ja) * 1994-06-03 1999-05-31 古河電池株式会社 密閉型アルカリ蓄電池の製造方法
JP3316338B2 (ja) * 1995-05-30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角型電池
US5871513A (en) * 1997-04-30 1999-02-16 Medtronic Inc. Centerless ground feedthrough pin for an electrical power source in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6174620B1 (en) * 1997-07-14 2001-01-16 Kabushiki Kaisha Toshiba Prismatic sealed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9990031352A (ko) * 1997-10-10 1999-05-06 손욱 전지의 안전장치
JP3783082B2 (ja) * 1999-02-04 2006-06-07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密閉型の電池
KR100522681B1 (ko) * 1999-10-25 2005-10-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밀폐전지
JP3571262B2 (ja) 1999-12-22 2004-09-29 Necトーキン栃木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4201301B2 (ja) 2000-01-24 2008-12-24 Necトーキン株式会社 密閉型電池
JP2002151022A (ja) * 2000-11-14 2002-05-24 Wako Denshi Kk 二次電池の蓋
US6622046B2 (en) * 2001-05-07 2003-09-16 Medtronic, Inc. Subcutaneous sensing feedthrough/electrode assembly
KR100420761B1 (ko) * 2001-07-10 2004-03-02 (주)상아프론테크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0183B1 (ko) * 2002-10-15 2004-09-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누액 방지 기능이 향상된 이차 전지
KR101268490B1 (ko) * 2011-05-02 2013-06-04 주식회사 엘엔피 밀봉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30059678A1 (en) 2003-03-27
US9040193B2 (en) 2015-05-26
JP2003151514A (ja) 2003-05-23
CN1414645A (zh) 2003-04-30
CN1257563C (zh) 2006-05-24
JP4184740B2 (ja) 2008-11-19
KR100751310B1 (ko) 2007-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1310B1 (ko) 캡 조립체 및, 그것을 구비한 각형 2 차 전지
KR101087046B1 (ko) Ptc 소자가 장착된 탑 캡을 포함하는 전지팩
US20100015508A1 (en) Cylindrical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4184894B2 (ja) キャップ組立体、これを具備した2次電池及び、キャップ組立体の製造方法
EP1886364B1 (en)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0511992A6 (ja) 円筒形二次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US11121394B1 (en) Rechargeable button cell
US20010012582A1 (en) Prismatic sealed batter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769780B2 (ja) 二次電池
JP4201301B2 (ja) 密閉型電池
JP2003151527A (ja) 非水電解液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1185100A (ja) 密閉型電池
WO2021088886A1 (zh) 纽扣电池
CN111009624B (zh) 纽扣电池以及电子设备
JP4128694B2 (ja)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93529A (ja) 円筒密閉型蓄電池及びその製造法
KR20010017098A (ko) 각형 밀폐전지
KR100764827B1 (ko)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CN212967848U (zh) 纽扣电池
KR20050019359A (ko) 리튬 이온 2차 전지
CN220420822U (zh) 电池
JPH11213983A (ja) 円筒型電池
CN213304244U (zh) 电池壳体组件及电池
JP5021111B2 (ja) 密閉型電池
CN117497868A (zh) 一种端子整合式可充电电池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