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6029A -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 Google Patents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6029A
KR20030026029A KR1020010059005A KR20010059005A KR20030026029A KR 20030026029 A KR20030026029 A KR 20030026029A KR 1020010059005 A KR1020010059005 A KR 1020010059005A KR 20010059005 A KR20010059005 A KR 20010059005A KR 20030026029 A KR20030026029 A KR 20030026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knife
steel plate
eccentric
guid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9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2876B1 (ko
Inventor
황영주
곽병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5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2876B1/ko
Publication of KR20030026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6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8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5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절단기에 채용되는 상부나이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나이프헤드(103)의 후면과 면접되는 쐐기부재(19)를 갖는 가이더(11)를 전후이동가능하게 갖추고, 상기 가이더(11)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실린더(12)를 갖추며,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전면과 면접되는 전면슬라이더(16)를 후방으로 탄력지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17)를 갖는 본체부(10)와, 상기 회전편심축(111)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축(108)의 편심부(31)와의 접촉,비접촉시마다 승하강되는 작동바(32)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32)의 하단과 후단이 연결된 연결축(33)의 선단을 상기 가이더(11)의 일단과 링크연결하여 상기 작동바(32)의 하강시마다 상기 상부나이프(101)를 후진시키는 작동부(30)를 포함하여, 위치고정된 하부나이프에 대하여 하향 작동되는 상부나이프에 의한 강판절단작업후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를 강판절단면과 접하지 않도록 후진이동시켜 절단칩의 발생, 강판절단면 및 상부나이프의 손상을 방지할수 있는 한편, 상,하부나이프사이의 갭을 간편하게 조절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AN APPARATUS FOR VARYING A UPPER KNIFE POSITION OF STRIP CUTTER}
본 발명은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위치고정된 하부나이프에 대하여 하향 작동되는 상부나이프에 의한 강판절단작업후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를 강판절단면과 접하지 않도록 후진이동시켜 절단칩의 발생, 강판절단면 및 상부나이프의 손상을 방지할수 있는 한편, 상,하부나이프사이의 갭을 간편하게 조절할수 있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제조된 강판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하부나이프(101)(102)를 갖는 강판절단기(100)에 의해서 수요가가 요구하는 길이로 절단되는바, 이러한 하부나이프(102)는 하부고정블록(104)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나이프((101)는 회전편심축(111)의 콘넥팅로드(115)에 연결되어 미도시된 구동원의 회전력에 의해서 승하강되는 상부나이프헤더(103)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이송롤러(129)를 거쳐 상기 상,하부나이프(101)(102)사이를 통과하는 강판소재를 상기 상,하부나이프(101)(102)의 교차에 의하여 절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강판의 두께, 온도 및 인장강도에 따라 나이프간격인 갭을 조정할수 있도록 상기 상부나이프(101)가 취부되는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전후면에 전,후면슬라이더(107a)(107b)를 매개로 하여 쐐기타입의 갭조정용웨지(wedge)(105a)(105b)가 배치되고, 고정헤드(106a)(106b)에 면접되는 상기 웨지(105a)(105b)는 갭조정용 모터(120)의 편심축(122)으로부터 연장된 로드(123)와 연결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120)의 회전량에 따라 승하강되는 로드(123)에 연결된 웨지(105a)(105b)의 승하강량에 맞추어 상기 상,하부나이프(101)(102)사이의 갭을 수평방향에서 조정할수 있는 것이다.
종래 강판절단기(100)를 강판절단작업에 있어서, 회전편심축(111)의 회전에 따라 상기 상부나이프(101)가 위치고정된 하부나이프(102)에 대하여 항상 수직한 직하부로 하강되면서 강판을 절단할 때 절단면의 손상을 유발하거나 절단칩을 발생하게 되는데, 그 주요원인으로는 상부나이프(101)가 하강되면서 강판에 절단작업을 진행할 때 상기 상부나이프(101)가 상부나이프헤드(103)와 마찰되는 후면 갭조정용 웨지(105b)에 강압밀착되어 상기 상부나이프(101)는 후면쪽으로 쏠림현상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강판의 절단이 완료되어 상기 상부나이프(101)가 상향복귀될 때 원상태로 상부나이프(101)가 복귀되면서 절단된 강판선단의 절단면을 긁어 올리면서 미세한 절단칩이 발생되며, 강판절단면이 심하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2에서 미설명부호 121은 갭조정용 감속기이고, 109는 회전편심축(111)에 연결되는 메인편심축이며, 125는 컨넥팅로드(115)와 상부나이프(101)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강판절단작업을 위해 하향된 상부나이프가 상향복귀될 때 강판선단의 절단면과 접하지 않도록 상부나이프를 후진이동시켜 절단칩의 발생을 방지하고, 강판절단면 및 상부나이프의 손상을 방지할수 있는 한편, 상,하부나이프사이의 갭을 간편하게 조절할수 있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강판절단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강판절단기에서 강판이 절단되는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바를 도시한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상부나이프헤드와 콘넥팅로드의 조립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가이더12 .... 실린더
14 .... 밀착판19 .... 쐐기부재
21 .... 회전축부22a,22b ... 편심축부
23 .... 갭조정용 모터부재 31 .... 편심부
32 .... 작동바32a ... 접촉롤러
33 .... 연결축101,102 .... 상,하부나이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써, 본 발명은,
상부나이프헤드의 상부나이프와 하부고정블록의 하부나이프를 교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나이프헤드와 컨넥팅로드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편심축을 회전시켜 강판을 절단하는 강판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나이프헤드의 후면과 면접되는 쐐기부재를 갖는 가이더를 전후이동가능하게 갖추고, 상기 가이더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실린더를 갖추며, 상기 상부나이프헤드의 전면과 면접되는 전면슬라이더를 후방으로 탄력지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를 갖는 본체부와,
상기 회전편심축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축의 편심부와의 접촉,비접촉시마다 승하강되는 작동바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의 하단과 후단이 연결된 연결축의 선단을 상기 가이더의 일단과 링크연결하여 상기 작동바의 하강시마다 상기 상부나이프를 후진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한 전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작동바를 도시한 상세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에 채용되는 상부나이프헤드와 콘넥팅로드의 조립도이다.
본 발명의 장치(1)는 도 3 내지 6에 도시한 바와같이, 강판을 상,하부나이프(101)(102)로서 절단하는 강판절단기에 갖추어져 강판절단시마다 절단작업후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를 후진시켜 절단된 강판선단부의 절단면의 손상 및 절단칩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장치(1)는 본체부(10)와, 작동부(30)로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는 상부나이프(101)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한 상부나이프헤드(103)를 전,후면에서 상하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체부(10)는 상부나이프헤드(103)의 후면과 면접되는 갭조정용 쐐기부재(19)를 볼트부재(19a)로서 착탈가능하게 조립한 가이더(11)를 갖추며, 상기 가이더(11)의 후면에는 이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실린더(12)를 갖추어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더(11)의 상단은 절단기본체(100a)의 슬라이더(11a)에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가이더(11)의 후면과 상기 실린더(12)의 로드(12a)선단에 장착되는 밀착판(14)사이에는 후면슬라이더(15)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전면에는 전면슬라이더(16)를 매개로 하여압축스프링(17)을 복수개 배치하고, 상기 압축스프링(17)은 상기 절단기본체(100a)의 고정헤드(106a)에 설치되는 스프링케이싱(17a)내에 수용되며, 상기 압축스프링(17)과 전면슬라이더(16)사이에도 밀착판(18)을 갖추어 구성한다.
또한, 강판절단시마다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101)를 후방으로 위치이동시키는 작동부(30)는 강판절단작업시 회전편심축(111)을 회전시키도록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서 일방향 회전되는 메인회전축(108)의 외주면에 편심부(31)를 갖추고, 상기 편심부(31)의 접촉 및 비접촉시마다 승하강되는 작동바(32)를 갖추어 구성한다.
상기 편심부(31)는 상기 메인회전축(108)에 조립되고, 편심부위(31a)를 갖는 편심디스크부재이고, 상기 작동바(32)는 상기 편심디스크(31)의 외주면과 항상 접촉하는 접촉롤러(32a)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롤러브라켓(32b)을 상단에 장착한 바부재(32c)와, 상기 바부재(32c)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파이프부재(32e)와, 상기 하향된 바부재(32c)를 상향복귀시키는 복귀용 스프링부재(32d)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작동바(32)하단은 상기 가이더(11)의 후면일단과 선단이 핀부재(33a)로서 링크연결된 연결축(33)의 후단과 연결되며, 상기 연결축(33)의 후단은 상기 작동바(32)의 승하강시마다 상기 가이더(11)를 전,후진이동시킬수 있도록 중심핀부재(34a)를 매개로 상기 작동바(32)의 하단과 연결되고, 고정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편심핀부재(34b)가 상기 중심핀부재(34a)를 갖는 축브라켓(34) 좌우양측면에 일체로 조립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바(32)의 승하강시 상기 중심핀부재(34a)는 상기 편심핀부재(34b)를 중심으로 하여 선회됨으로서 상기 연결축(33)을 전방으로 밀거나 후방으로 당기어 상기 가이더(11)를 위치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이더(11)의 상단에는 상,하부나이프(101)(102)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강판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형 회전축부(21)를 회전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회전축(31)의 좌우양단에는 편심축부(22a)(22b)를 각각 일체로 갖추며, 상기 일측 편심축부(22a)는 지지대(2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편심축부(22a)(22b)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갭조정용 모터부재(23)를 갖추어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편심축부(22a)는 커플링부재(24)를 매개로 하여 상기 모터부재(23)의 감속부(23a)와 연결되고, 상기 감속부(23a)는 상기 편심축부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부재(25)를 장착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상단에는 강판절단후 후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컨넥팅로드(115)의 하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구면체(28)를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고정판(28a)으로서 상단에 조립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위치고정된 하부나이프(102)에 대하여 상부나이프(101)를 직하부로 하강작동시켜 교차되는 상,하부나이프(101)(102)사이에 배치된 강판을 절단하는 작업을 위해서, 먼저 미도시된 구동원에 의해 메인회전축(108)을 일방향 회전시켜 이에 연결된 메인편심축(109)이 회전되면, 메인편심축(109)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편심축(111)이 편심량만큼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편심축(111)의 180°회전시 이에 상단이 연결되고, 구면체(28)를 매개로 상부나이프헤드(103)와 하단이 연결된 컨넥팅로드(115)는 직하부로 최대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하부고정블록(104)에 장착된 하부나이프(102)에 대하여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상부나이프(101)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좌측에서 우측으로 가면서 교차점을 이동시키면서 강판을 절단하게 된다.
연속하여, 상기 회전편심축(111)의 연속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에 의해서 상기 컨넥팅로드(115)가 상승작동되어 상기 상부나이프(101)를 상향복귀시킬 때, 상기 메인회전축(108)의 편심부(31)인 편심디스크의 외주면에 접하여 아이들회전되던 접촉롤러(32a)가 상기 편심디스크(31)의 편심부위(31a)에 접하게 되면서 상기 접촉롤러(32a)를 상단에 장착한 작동바(32)를 직하부로 하강작동시킨다.
이러한 작동바(32)의 하강은 미도시된 고정단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편심핀부재(34b)에 대하여 연결축(33)의 후단에 조립되고, 상기 작동바(32)의 하단에 조립된 축브라켓(34)의 중심핀부재(34a)를 선회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연결축(33)은 강판진행방향인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으로 수평이동되어 그 선단에 핀부재(33a)로서 링크연결된 가이더(11)를 후방으로 위치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더(11)의 전방측으로 가압하던 실린더(12)는 오프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가이더(11)의 후방으로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면서 상부나이프헤드(103)도 압축스프링(1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이더(11)의 후진이동량만큼 이동된다. 이에 따라, 절단작업후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헤드(103)의상부나이프(101)와 절단된 강판선단부의 절단면과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상부나이프(101)의 손상 및 절단후 마찰소음을 방지할수 있는 한편, 절단면이 손상되는 것을 예방하여 제품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회전축(108)의 회전이 계속 이루어져 상기 편심부(31)가 접촉롤러(32a)로부터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상기 작동바(32)는 복귀용 스프링(32d)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승복귀되면서 하단에 조립된 연결축(33)을 전진복귀시키게 됨과 동시에 오프되었던 실린더(12)가 다시 전진작동되어 전방으로 가압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헤드(103)는 전진복귀되는 가이더(103)에 의해서 상향복귀완료시점에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12)의 온/오프작동은 상기 편심부와 동일한 위치에서 메인회전축(108)과 더불어 회전되는 터치바를 감지하는 센서부재의 검지신호에 의해서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제어할수 있다.
한편, 상기 상,하부나이프(101)(102)의 사이의 갭을 조정하는 작업은, 강판절단작업을 중단한 상태에서 모터부재(23)를 작동시켜 일측 편심축부(22a)를 일방향 회전시키면, 지지대(2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편심축부(22a)(22b)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축부(21)가 편심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회전축부(21)가 상단에 조립된 가이더(21)를 전방 또는 후방측으로 미세하게 위치시킬수 있고, 이러한 가이더(21)의 위치이동에 의해서 상,하부나이프(101)(102)사이의 간격을 조정할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절단작업후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를 절단된 강판선단부의 절단면과의 접촉이 없도록 후진시킴으로써, 상향복귀되는 상부나이프가 절단면을 긁어 올리지 못하도록 하여 상부나이프의 손상 및 절단칩의 발생을 방지하며, 접촉에 의한 마찰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한편, 절단면이 깨끗하고 미려한 강판을 제조할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상부나이프(101)와 하부고정블록(104)의 하부나이프(102)를 교차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와 컨넥팅로드(115)를 매개로 연결된 회전편심축(111)을 회전시켜 강판을 절단하는 강판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의 후면과 면접되는 쐐기부재(19)를 갖는 가이더(11)를 전후이동가능하게 갖추고, 상기 가이더(11)를 전방으로 지지하는 실린더(12)를 갖추며,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전면과 면접되는 전면슬라이더(16)를 후방으로 탄력지하는 복수개의 압축스프링(17)를 갖는 본체부(10)와,
    상기 회전편심축(111)을 회전시키는 메인회전축(108)의 편심부(31)와의 접촉,비접촉시마다 승하강되는 작동바(32)를 갖추고, 상기 작동바(32)의 하단과 후단이 연결된 연결축(33)의 선단을 상기 가이더(11)의 일단과 링크연결하여 상기 작동바(32)의 하강시마다 상기 상부나이프(101)를 후진시키는 작동부(3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부(31)는 상기 메인회전축(108)에 조립되고, 편심부위(31a)를 갖는 편심디스크부재이고, 상기 작동바(32)는 상기 편심디스크(31)의 외주면과 항상 접촉하는 접촉롤러(32a)를 회전가능하게 장착한 롤러브라켓(32b)을 상단에 장착한 바부재(32c)와, 상기 바부재(32c)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중공형 파이프부재(32e)와, 상기 하향된 바부재(32c)를 상향복귀시키는 복귀용 스프링부재 (32d)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더(11)의 상단에는 상,하부나이프(101)(102)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강판폭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통형 회전축부(21)를 회전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회전축(31)의 좌우양단에는 편심축부(22a)(22b)를 각각 일체로 갖추며, 상기 일측 편심축부(22a)는 지지대(26)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 편심축부(22a)(22b)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갭조정용 모터부재(23)를 갖추어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나이프헤드(103)의 상단에는 강판절단후 후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컨넥팅로드(115)의 하단에 일체로 장착되는 구면체(28)를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고정판(28a)으로서 상단에 조립함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KR1020010059005A 2001-09-24 2001-09-24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KR100742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005A KR100742876B1 (ko) 2001-09-24 2001-09-24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9005A KR100742876B1 (ko) 2001-09-24 2001-09-24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6029A true KR20030026029A (ko) 2003-03-31
KR100742876B1 KR100742876B1 (ko) 2007-07-25

Family

ID=2772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9005A KR100742876B1 (ko) 2001-09-24 2001-09-24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287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432Y1 (ko) * 2007-11-08 2009-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루퍼 장치의 작동 실린더 구조체
KR100940687B1 (ko) * 2003-04-02 2010-02-08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형 절단기의 박판 인출장치
KR200449319Y1 (ko) * 2009-12-18 2010-06-30 (주)원크린환경건설 액비 저장조 탈취장치
KR20200132224A (ko) 2019-05-16 2020-11-25 조주현 판 소재 누름장치를 포함하는 절단기용 판 소재 누름 블럭의 틈새 자동 조절 가이드
CN114770778A (zh) * 2022-04-26 2022-07-22 泉州兰姆达仪器设备有限公司 芯片解个机划片装置及其调节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129B2 (ja) * 1976-10-04 1985-05-20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鋼板耳取剪断機におけるナイフ組替装置
KR20010058044A (ko) * 1999-12-23 2001-07-05 손영석 김치 자동 판매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0687B1 (ko) * 2003-04-02 2010-02-08 주식회사 포스코 회전형 절단기의 박판 인출장치
KR200446432Y1 (ko) * 2007-11-08 2009-10-28 현대제철 주식회사 루퍼 장치의 작동 실린더 구조체
KR200449319Y1 (ko) * 2009-12-18 2010-06-30 (주)원크린환경건설 액비 저장조 탈취장치
KR20200132224A (ko) 2019-05-16 2020-11-25 조주현 판 소재 누름장치를 포함하는 절단기용 판 소재 누름 블럭의 틈새 자동 조절 가이드
CN114770778A (zh) * 2022-04-26 2022-07-22 泉州兰姆达仪器设备有限公司 芯片解个机划片装置及其调节方法
CN114770778B (zh) * 2022-04-26 2023-12-05 泉州兰姆达仪器设备有限公司 芯片解个机划片装置及其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2876B1 (ko)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876B1 (ko) 강판절단기의 상부나이프위치 가변장치
CN208247834U (zh) 一种发泡板压花机
KR20060005212A (ko)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US5419381A (en) Wood pelletizer apparatus and method
KR20000014011A (ko) 목재의 에지 가공을 위한 샌딩장치
KR101721008B1 (ko) 사이드 트리머용 나이프 미세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
CN107352096B (zh) 双向双伺服控制包装机输纸切纸装置
CN205394763U (zh) 一种原木旋切机构
CN113524319B (zh) 一种圆刀机调节装置
KR20000013113U (ko) 이송철판의 측면 정렬장치
JPH02274491A (ja) ウェブ切断装置
KR19980042442U (ko) 강판 후진 장치의 구조
CN220643622U (zh) 一种布料裁切机
KR200199433Y1 (ko) 열연코일의 크롭절단용 유도장치
CN220388970U (zh) 一种法兰抛光装置
CN114260955B (zh) 一种纸箱裁切装置及其裁切工艺
CN219170986U (zh) 用于离型膜加工的裁切机
KR20020051799A (ko) 스트립 와이퍼 간극조절장치
CN213167466U (zh) 一种带有定位装置的折痕机
CN211663571U (zh) 一种水平丝杆往复式横封装置
CN218612531U (zh) 一种下压和旋转装置
CN220746410U (zh) 一种广告布裁切装置
CN220098066U (zh) 分切机导向输送装置
KR100426120B1 (ko) 쵸파 슈트 자동 쉬프팅 장치
CN201168853Y (zh) 一种焊道压延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