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5095A - 음식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5095A
KR20030025095A KR1020010058033A KR20010058033A KR20030025095A KR 20030025095 A KR20030025095 A KR 20030025095A KR 1020010058033 A KR1020010058033 A KR 1020010058033A KR 20010058033 A KR20010058033 A KR 20010058033A KR 20030025095 A KR20030025095 A KR 200300250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pipe
condensate
disk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20055B1 (ko
Inventor
이석수
유영수
김현응
이창률
Original Assignee
(주)청호종합기술단
유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종합기술단, 유영수 filed Critical (주)청호종합기술단
Priority to KR10-2001-0058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005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50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50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0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00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45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on the non-perforated outside surface of which the material is being dried by convection or radi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을 스팀에 의해 건조시키는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디스크 내부의 응축수와 디스크 내부로 이동되는 스팀이 동일한 파이프를 통해 이동됨에 따라 디스크의 열전달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스크(400)(400a)의 내부를 사분하는 분할판(410)을 형성하고 분할판(410)들이 이루는 각 공간부(411)에는 관통공(412)을 형성하며 각 디스크(400)(400a)에 형성되는 관통공(412)은 응축수 파이프(413)(413a)로 서로 연결하되 마지막 디스크(410a)의 응축수파이프(413a)는 연결관(300)의 내부와 연결하고, 연결관(300)의 수직 상방으로는 스팀 파이프(310)를 설치하되 그 상부가 상기 디스크(400)(400a)의 각 공간부(411)로 연결되도록 하며 스팀 파이프(310)의 끝단은 상기 관통공(412)위치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연결관(300)으로 유입된 스팀은 스팀 파이프(310)를 통해 디스크(400)(400a)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며, 응축수는 관통공(412)을 통해 응축수 파이프(413)(413a)를 거쳐 연결관(300)으로 이동됨에 따라 스팀의 효과적인 유입과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로서 디스크(400)(400a)에 의한 열전달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식물 건조장치{Drier for food}
본 발명은 음식물을 사료화하기 위해 건조시키는 음식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드럼 내부의 축에 구비된 중공부와 연결관을 통해 디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스팀과 디스크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서로 다른 경로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스팀의 유입과 응축수의 배출을 원활히 하여 디스크에 의한 음식물로의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을 사료화 하기 위한 건조장치에는 직접 가열 건조방식 (Rotary Kiln Type)과 간접 건조방식(진공 건조 Batch Type)과 다른 간접 건조방식 (Steam Jacket Type) 등의 건조방식이 있으며, 여기서는 간접 건조방식(Steam Jacket Type)의 건조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 은 증기에 의한 간접 가열방법으로 음식물 쓰레기 등을 건조시켜주는 건조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드럼(10)의 양측으로는 중공부(21)가 형성된 축(2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양 축(20)은 연결관(30)에 의해 연결되면서 중공부(21)가 연결관(30)의 내부와 관통되고, 상기 연결관(30)의 외측둘레로는 사방 끝단에 블레이드(41)가 설치된 다수의 디스크(40)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디스크(40)의 하부에는 연결관(30)의 내부와 연결되는 파이프(31)가 사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팀이 축(20)의 중공부(21)를 통해 유입되면 연결관(30)을 지나가게되면서 연결관(30)에 설치된 각각의 파이프(31)를 거쳐 각 디스크(40)의 내부로 유입되므로 디스크(40)에 의해 혼합되는 혼합물이 건조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스팀이 디스크(4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온도나 압력차에 의해 스팀의 일부가 액화되어 응축수로 변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디스크 (40)내부에 응축수가 발생될 경우 파이프(31)를 통해 연결관(30)으로 배출됨에 따라 하나의 파이프(31)를 통해 스팀과 응축수가 동시에 이동되므로 스팀의 유입이나 응축수의 배출이 모두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디스크(40)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디스크(40)의 내부에 발생된 응축수가 파이프(31)를 통해 연결관(30)으로 완전히 배출되지 못하고 일부의 응축수가 그대로 디스크(40)의 내부 고여있게 되며 디스크(40) 내부로의 스팀 유입량 또한 부족하여 디스크(40)에 의한 음식물로의 열전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식물 건조장치의 디스크의 내부로 스팀이 유입되는 통로와 디스크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달리하여 스팀의 효과적인 유입과 응축수의 효과적인 배출을 통해 스팀에 의한 디스크의 열전달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식물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의 내부를 사분할 수 있는 분할판을 형성하고 각 분할판이 각각의 공간에는 디스크의 외부와 통하는 관통공을 형성하며 상기 각 디스크의 관통공은 응축수 파이프로 서로 연결하되 마지막 디스크의 응축수파이프는 연결관의 내부와 연결하고, 연결관의 수직 상방으로는 스팀 파이프를 설치하여 상기 디스크에 구비된 각 공간부와 연결되도록 하되 스팀 파이프 끝단의 위치는 상기 관통공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므로서 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중공부를 거쳐 연결관으로 유입된 스팀은 스팀 파이프를 통해 디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며, 디스크 내부에 형성된 응축수는 상기 스팀 파이프가 아닌 관통공을 통해 응축수 파이프를 거쳐 연결관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팀과 응축수가 서로 다른 곳을 통해 이동되면서 응축수의 원활한 배출과 함께 스팀에 의한 디스크의 열전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음식물 건조장치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3 은 도 2 의 요부 확대 단면도 요부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디스크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
도 5a,5b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디스크가 회전되는 상태를 과정별로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6 과 본 발명의 따른 드럼을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연결관310 : 스팀 파이프
400,400a : 디스크410 : 분할판
411 : 공간부412 : 관통공
413,413a : 응축수 파이프
이하,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그 기술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를 예시한 요부 정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장치의 내부를 더욱 상세히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며에 따른 건조장치의 디스크를 예시한 요부 사시도이며,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에 따라 디스크가 회전되면서 응측수가 배출되는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의 상태를 예시한 요부 평단면도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드럼의 내부 양측으로 중공부가 구비된 축이 설치되고 양 축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중공부와 연결관 내부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연결관의 외측둘레에는 다수의 디스크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하되 파이프에 의해 연결관 내부와 디스크의 내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한 음식물 건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각 디스크(400)(400a)의 내부를 분할판(410)으로 사분하고 분할판(410)에 의해 구성되는 각 공간부(411)에는 중심부위에 근접된 상태로 외부와 관통하는 관통공(412)을 형성하되 각 디스크(400)의 관통공(412)은 응축수 파이프(4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고 마지막 디스크(400a)의 응축수 파이프(413a)끝단은 연결관 (30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며, 연결관(300)에는 상기 디스크(400)(400a)의 각 공간부(41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팀 파이프(310)를 설치하되 그 끝단이 상기 관통공(412)의 위치 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100)은 드럼이며, (110)은 드럼(100)의 하단 내면을 따라 형성된 차단판이고, (120)은 드럼(100)의 하단 내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 격판이며, (121)은 상기 격판(120)에 형성된 이동홈이고, (130)은 응축수 배출공이며, (140)은 스팀 유입공이고, (200)은 드럼(100)에 설치된 축이며, (210)은 상기 축(210)의 중공부이고, (420)은 디스크(400)(400a)의 끝단에 설치된 블레이드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축(200)의 중공부(210)를 통해 연결관(300)으로 이동된 스팀은 스팀 파이프(310)를 통해 디스크(400)(400a)의 내부로 유입되고 디스크(400) (400a)의 내부에서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스팀 파이프(310)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디스크(400)(400a)의 내부에 구비된 관통공(412)을 통해 응측수 파이프(413)(413a)를 거쳐 연결관(300)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팀과 응측수의 이동통로를 별도로 형성하므로서 응축수가 디스크(400)(400a)의 내부에 고이지 않고 원활히 배출되고 스팀은 디스크(400)(400a)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유입되면서 디스크(400) (400a)에 의한 음식물로의 열전달을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 및 도 3 과 도 4 에 예시한 바와 같이 축(200)과 연결된 연결관 (300)의 외측 둘레에는 일정한 각격으로 끝단에 블레이드(420)가 설치된 다수의 디스크 (400)(400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 (400)(400a)의 내부는 4개의 분할판 (410)에 의해 동일한 면적을 가지는 4개의 공간부(411)가 형성된 것이고, 상기 공간부(411)중 최초의 디스크는 일측에만 외부와 관통되는 관통공(412)이 형성되고 나머지 디스크(400)(400a)는 양단에 외부와 관통되는 관통공(412)이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412)의 위치는 연결관(300)의 외측둘레와 근접되는 공간부(411) 하측에 형성하여 디스크(400)(400a) 내부에 응축수가 발생된 후 공간부 (411) 하부에 응축수가 모이게 될 경우 신속히 관통공(412)을 통해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각 디스크(400)의 관통공(412)은 응축수 파이프(413)(413a)로서서로 연결되는 것이며, 마지막 디스크(400a)의 관통공(412)과 연결된 응축수 파이프(413a)의 끝단은 연결관(30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므로서 각 디스크(400) (400a)의 공간부에 모여지는 응축수는 각 공간부(411)에 구비된 각각의 관통공 (412)을 통해 각각의 응축수 파이프(413)(413a)를 거쳐 결국 연결관(300)으로 모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각 디스크(400)(400a)가 위치하는 연결관(300)의 사방으로는 수직 상방으로 스팀 파이프(310)가 형성되면서 각 스팀 파이프(310)의 끝단이 각각의 디스크 (400)(400a)에 구비된 4개의 공간부(411)에 각각 위치됨에 따라 축(200)에 구비된 중공부(210)를 통해 유입된 스팀은 연결관(300)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팀 파이프(310)를 통해 각 디스크(400)(400a)의 공간부(411)로 유입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스팀 파이프(310) 끝단의 위치가 상기 디스크(400)(400a)의 공간부(411) 하측에 구비되어 있던 관통공(412)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면 공간부 (411) 하부에 고이는 응축수 중 일부가 스팀 파이프(310)로 이동되어 종래의 문제점을 반복하게 되므로 스팀 파이프(310)의 끝단은 관통공(412) 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응측수가 공간부(411)의 하측에 고이더라도 스팀 파이프(31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즉 도 5a 와 도 5b 에 예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400)(400a)의 공간부(411)에 일정량의 응축수가 고인 상태에서 디스크(400)(400a)가 회전을 하게 될 때 응축수는 일정한 높이가 있는 스팀 파이프(310)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관통공(412)을 통해 응축수 파이프(413)(413a)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응측수는 디스크(400)(400a)의 내부 뿐만 아니라 드럼(100)의 내부에서도 발생되는데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예시한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을 예시한 요부 평단면이다.
이에 예시한 바와 같이 드럼(100) 내면 둘레에 구비되는 차단판(110)의 양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격벽(120)을 형성하되, 각 격벽(120)의 하단 중앙부위와 양측 상단부위에 서로 일치되는 상태로 이동홈(121)을 관통시켜 형성하고 차단판(110)의 하단 중앙부위 양측에는 응축수 배출공(130)을 형성하며 스팀 유입공(140)은 드럼(100)의 내면 상부 양측에 형성함에 따라 스팀의 이동을 더욱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드럼(100)의 격벽(120) 사이에 형성되는 응축수가 드럼(100)의 하단 중앙 부위에 고이게 될 경우 곧 바로 격벽(120)의 하단 중앙부위에 형성된 이동홈(121)을 따라 응축수 배출공(130)으로 모두 이동되어 신속히 배출되므로 스팀에 의한 드럼(100)의 열전달 효과 또한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스크로 이동되는 스팀은 스팀 파이프를 통해 이동되면서 디스크 내부의 응축수는 스팀 파이프로는 이동되지 못하고 관통공을 통해 응축수 파이프로 신속하며 효과적으로 이동되어 연결관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스팀에 의한 디스크의 열전달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며, 드럼에 형성되는 응축수 또한 효과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 스팀에 의한 드럼의 열전달 효과 또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드럼(100)의 하단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배열된 격벽(120)에 의해 스팀이 순환되고, 드럼(100)의 중심부 양측으로는 중공부(210)가 구비된 축(200)이 설치되며 양 축(200)은 연결관(300)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관(300)의 외측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디스크(400)가 배열되며, 상기 연결관(300)의 내부와 디스크(400)의 내부는 스팀과 응축수가 이동되는 파이프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한 음식물 건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연결관(300)을 중심으로 디스크(400)(400a) 내부를 사분하는 분할판(410)을 형성하고 상기 분할판(410)에 의해 형성되는 각 공간부(411)에는 연결관(300)의 외측둘레에 근접된 상태로 외부와 관통되는 관통공(412)을 형성하되 각 디스크(400)의 관통공(412)을 응축수 파이프(413)(413a)로 서로 연결하고 마지막 디스크(400a)의 관통공(412)과 연결된 응축수 파이프(413a) 끝단은 연결관(300)의 내부와 연결되도록 하며, 연결관(300)의 외측둘레에는 상기 각 디스크(400)(400a)의 각 공간부 (411)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스팀 파이프(310)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스팀 파이프(310)의 끝단이 상기 관통공(412)의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응축수의 배출과 스팀의 공급이 별도 라인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건조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드럼(100) 하부의 내측 둘레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격벽(120)을 형성하되 각 격벽(120)의 하단 중앙부위와 상부 양측부위를 관통시켜 서로 일치되는 이동홈(121)을 형성하고 차단판(110)의 하단 중앙부위 양측으로 응축수 배출공(130)을 형성하고 드럼(100)의 상부 양측에는 스팀 유입공(140)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건조장치.
KR10-2001-0058033A 2001-09-19 2001-09-19 음식물 건조장치 KR1004200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33A KR100420055B1 (ko) 2001-09-19 2001-09-19 음식물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8033A KR100420055B1 (ko) 2001-09-19 2001-09-19 음식물 건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659U Division KR200258742Y1 (ko) 2001-09-26 2001-09-26 음식물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5095A true KR20030025095A (ko) 2003-03-28
KR100420055B1 KR100420055B1 (ko) 2004-03-04

Family

ID=27724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033A KR100420055B1 (ko) 2001-09-19 2001-09-19 음식물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005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67A (ko) * 2002-08-28 2004-03-06 도영기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용 처리탱크
KR20040019666A (ko) * 2002-08-28 2004-03-06 도영기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KR100755938B1 (ko) * 2006-02-10 2007-09-06 주식회사미랜 입상 디스크 건조기
KR101124536B1 (ko) * 2009-12-02 2012-03-19 (주)태신 디스크 건조기
KR101147402B1 (ko) * 2010-02-09 2012-05-18 대 규 이 디스크형 건조기용 다축 디스크
EP2912391A4 (en) * 2012-10-14 2016-12-28 Applied Cleantech Inc DRY FIBERED RAW MATERIAL FROM WASTEWATER
CN108585428A (zh) * 2018-05-22 2018-09-28 北京国电龙源环保工程有限公司 具有主动排水结构的圆盘干化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67A (ko) * 2002-08-28 2004-03-06 도영기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용 처리탱크
KR20040019666A (ko) * 2002-08-28 2004-03-06 도영기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KR100755938B1 (ko) * 2006-02-10 2007-09-06 주식회사미랜 입상 디스크 건조기
KR101124536B1 (ko) * 2009-12-02 2012-03-19 (주)태신 디스크 건조기
KR101147402B1 (ko) * 2010-02-09 2012-05-18 대 규 이 디스크형 건조기용 다축 디스크
EP2912391A4 (en) * 2012-10-14 2016-12-28 Applied Cleantech Inc DRY FIBERED RAW MATERIAL FROM WASTEWATER
CN108585428A (zh) * 2018-05-22 2018-09-28 北京国电龙源环保工程有限公司 具有主动排水结构的圆盘干化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20055B1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85987B1 (en) Clothes dryer
KR100420055B1 (ko) 음식물 건조장치
JP2014029250A (ja) ディスク型乾燥装置
BRPI0609155A2 (pt) placa refinadora para formar admissões e descarga de um material de polpa, e, método para refinar um material de polpa
US6467188B1 (en) Centrifugal pellet dryer apparatus
KR100562154B1 (ko)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US3426838A (en) Drying apparatus for drying moist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s
KR200258742Y1 (ko) 음식물 건조장치
GB2165632A (en) Heat exchanger structure
JP2001091156A (ja) 多段乾燥装置
CN112146413A (zh) 一种新型圆环式干燥机
US4660628A (en) Heat exchanger
JP4729728B2 (ja) 蒸気加熱煮炊釜
US3951206A (en) Rotary disc type heat exchanger
CN213778550U (zh) 一种新型圆环式干燥机
KR20090108462A (ko) 디스크 건조기
US2493220A (en) Rotary drum evaporator with concentric evaporating chambers
JP2009222369A (ja) 横型回転式乾燥機
JP7362784B2 (ja) 静止型乾燥機
KR20230041469A (ko) 습기 응축 모듈
KR20160128884A (ko) 건조장치
CN215676268U (zh) 一种圆盘干化机用干燥圆盘
KR200148437Y1 (ko) 곡물건조기
US3004349A (en) Drier with circular stages and oscillating flow air inlet nozzles
US3733714A (en) Casein or the like drying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