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2154B1 -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2154B1
KR100562154B1 KR1020050109464A KR20050109464A KR100562154B1 KR 100562154 B1 KR100562154 B1 KR 100562154B1 KR 1020050109464 A KR1020050109464 A KR 1020050109464A KR 20050109464 A KR20050109464 A KR 20050109464A KR 100562154 B1 KR100562154 B1 KR 100562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garbage
body portion
shaft
dry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9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창의
Original Assignee
정창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창의 filed Critical 정창의
Priority to KR1020050109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2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2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2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 F26B9/06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 F26B9/0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at rest or with only local agitation; Domestic airing cupboards in stationary drums or chambers including agitating devices, e.g. pneumatic recirculat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고온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개선하여 쓰레기에 대한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수직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측면에 각각 투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쓰레기(600)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 중단을 감싸며, 상하 측면에 급기구(210) 및 배기구(220)가 형성되어 고온가스가 유통되는 가열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배설되어 모터(330)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쓰레기(600)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상기 몸체부(100) 내벽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키는 나선형 날개(400, 4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 내부 모서리에 원추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쓰레기(600)를 중앙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안내판(500)으로 구성되어, 적은 동력으로도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몸체부, 가열부, 회전축, 플랜지, 키, 모터, 날개, 칼날, 낙하안내판, 쓰레기

Description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food garbage}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날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날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회전축을 도시하는 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몸체부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200 : 가열부
210 : 급기구 220 : 배기구
300 : 회전축 310 : 상부축
311, 321 : 플랜지 312 : 연장축
313 : 키홈 320 : 하부축
322 : 홈 323 : 키
330 : 모터 400, 400' : 날개
410 : 칼날 500 : 낙하안내판
600 : 쓰레기
본 발명은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심력을 이용하여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고온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개선하여 쓰레기에 대한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써, 적은 동력으로도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폐기물, 식품 쓰레기, 음식물 쓰레기 등의 각종 쓰레기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부피가 크며 중량이 무거워 처리가 매우 곤란하며, 특히 이러한 쓰레기의 수분은 환경오염 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쓰레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한 쓰레기 건조장치 가운데 국내 등록특허 제0114479호에 개시된 '건조 장치'인 종래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는, 날개 내부에 고온의 스팀을 유통시킴으로써, 쓰레기에 대한 건조 효율을 증대시키며, 특히 배플판을 마련하여 날개를 통하여 올라온 피건조물질을 강제적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국내 등록특허 제0114479호에 개시된 종래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는 날개 내부를 통하여 고온의 스팀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날개와 회전축의 내부를 중공체로 성형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우며, 회전축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축에 직접 연결될 수 없으므로 별도의 체인이나 벨트와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뿐 아니라, 상기와 같이 고온의 스팀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회전축 및 날개의 크기가 불필요하게 커진 반면, 그 내부는 중공으로 성형되기 때문에, 회전축 및 날개의 손상이 쉽게 발생하며, 이러한 손상 발생시 회전축 및 날개가 스팀을 유통시키기 위하여 모두 일체로 이루어져 있어 유지보수가 매우 어렵고, 또한 비대한 회전축 및 날개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큰 동력의 모터 또한 요구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하여 면적이 좁은 3개의 날개가 한 조를 이루어 회전축 상하로 2조 이상 축설되어 적은 동력으로도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축 및 날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수직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측면에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 쓰레기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중단을 감싸며, 상하 측면에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고온가스가 유통되는 가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배설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의 쓰레기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상기 몸체부 내벽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키는 나선형 날개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내부 모서리에 원추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쓰레기를 중앙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안내판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일부절결 정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정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날개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날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회전축을 도시하는 도이다.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측면에 각각 투입구(110) 및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쓰레기(600)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 중단을 감싸며, 상하 측면에 급기구(210) 및 배기구(220)가 형성되어 고온가스가 유통되는 가열부(200)와; 상기 몸체부(100)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배설되어 모터(330)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00)과; 상기 회전축(300)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쓰레기(600)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상기 몸체부(100) 내벽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키는 나선형 날개(400, 400')와; 상기 몸체부(100)의 상측 내부 모서리에 원추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쓰레기(600)를 중앙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안내판(5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몸체부(100), 가열부(200), 회전축(300), 날개(400, 400'), 그리고 낙하안내판(500)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600)를 투입한 후, 회전축(300)을 통하여 날개(400, 400')를 회전시켜 투입된 쓰레기(600)에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가열부(200)에 의하여 고온으로 가열된 상기 몸체부(100)의 내벽을 타고 쓰레기(600)가 반복적으로 상승 순환하여 건조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는 쓰레기(6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조 처리 이전의 수분을 포함한 쓰레기(600)를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투입할 수 있도록 도면상 좌측 저부에는 투입구(110)가 형성되어 있고, 건조 처리 이후의 쓰레기(600)를 상기 몸체부(100)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도면상 우측 중단에는 배출구(12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 중단을 감싸는 가열부(200)는 대략 압력이 2.5~3.0Kg/cm2이고 온도가 130℃인 고온 스팀의 흐름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벽면을 가열하기 위한 구성요소로, 이러한 고온 스팀의 출입을 위하여 상기 가열부(200)의 상부에는 급기구(21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기구(2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가열부(200)의 내부는 상하를 다층으로 나누는 다수의 칸막이가 형성되어 상기 가열부(200) 내부로 급기된 고온의 스팀이 상기 가열부(200) 내부에서 골고루 유동한 뒤, 배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100)를 수직하게 관통하는 회전축(300)은 상기 몸체부(100) 상면에 고정된 모터(330)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며, 상기 몸체부(100)를 관통하는 부위는 미도시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여기에서, 도 6의 (a)는 회전축(300)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와 (c)는 각각 상부축(310)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며, 도 6의 (d)와 (e)는 각각 하부축(320)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상부축(310) 및 하부축(320)으로 이분 형성되며, 상기 상부축(310)과 하부축(320)은 각각 플랜지(311, 321)가 형성되어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하여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00)의 손상 이전 상기 체결수단이 먼저 파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축(300)의 중단, 더욱 상세하게는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내측의 상부에 위치하는 부위에서 상부축(310)과 하부축(320)으로 나뉘어지며, 상기 상부축(310)의 하단과 상기 하부축(320)의 상단에는 상호 대응하도록 플랜지(311, 321)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311, 321) 서로를 도 6의 (c)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으로 배열된 볼트와 같은 다수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상하 체결시킨다.
이에 따라, 모터(330)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300)에 소정 이상의 부하가 작용할 경우(예를 들어, 몸체부(100) 내부에 고착된 쓰레기(600)가 존재할 경우, 또는 뼈와 같이 높은 강도의 쓰레기(600)가 포함된 경우), 기존에는 회전축(300)의 손상이 직접적으로 발생하였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축(310)과 하부축(320)의 플랜지(311, 321)를 상호 체결시키는 체결수단만이 전단 하중에 의하여 파단되도록 함으로써, 비교적 고가인 회전축(300)의 손상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부가적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축(310)의 플랜지(311) 하단에는 키홈(313)이 성형된 연장축(312)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축(320)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키홈(313)에 대응하는 키(323)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축(312)을 소정 깊이로 수용하는 홈(322)이 절입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상부축(310)에는 키홈(313)이 절입 형성된 연장축(312)을 부가하 고, 상기 하부축(320)에는 키(323)가 돌출 형성된 홈(322)을 부가함으로써, 상기 상부축(310)과 하부축(320)의 상호 체결시 키홈(313)에 키(323)가 삽입됨에 따라 플랜지(311, 321)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손쉽게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유지보수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연장축(312)이 상기 홈(322)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00)의 굽힘 강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00)에 고정되는 나선형의 날개(400, 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00)과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쓰레기(600)에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400, 40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폭이 반경의 6~7%에 해당하며 각각 120도의 위상각을 갖고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300)의 동일 높이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출원인은 날개(400, 400')의 직경 변화에 따라 쓰레기(600)에 효과적으로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킬 수 있는 날개(400, 400')의 적절한 폭과 개수를 산출하기 위하여, 반복적인 시험을 해 본 결과, 예를 들어, 1110mm의 반경을 갖는 날개(400, 400')에 있어서는 그 반경의 6~7%에 해당하는 75mm의 폭이 가장 바람직했으며, 그 개수는 120도의 위상차를 갖도록 3개 배치했을 경우 가장 바람직했다.
즉, 상기 날개(400, 400')의 폭을 반경의 6~7%로 설정하고 3개의 날개(400, 400')를 한 조로 하여 상기 회전축(300)의 동일 높이 상에 설치함에 따라, 가장 적 은 동력으로도 쓰레기(600)에 효과적으로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킬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국내 등록특허 제0114479호의 경우 오직 하나로 이루어진 날개의 폭이 불필요하게 넓어 회전축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큰 동력의 모터를 설치해야만 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쓰레기(600)에 많은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키면서도 최적의 폭을 갖는 경량의 날개(400, 400')를 적용함에 따라 적은 동력의 모터(330)로도 회전축(300)과 날개(400, 400')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400, 400')는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300) 상하에 2조 이상 축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회전축(300)의 높이에 따라 쓰레기(600)에 원심력 및 상승력을 효과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날개(400, 400')를 다수 조 상하로 높이에 따라 적절하게 적층 배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날개(400)의 선단에는 칼날(410)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이 적절하며, 이러한 칼날(410)은 쓰레기(600)에 혼입된 뼈 등 비교적 강도가 높은 쓰레기(600)가 날개(400)에 직접 접촉하여, 날개(400)에 손상을 입히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날개(400, 400')는 4조가 상기 회전축(300)에 축설되되, 최하단의 한 조는 날개(400)면의 경사각은 19도이며 그 길이는 회전축(300)의 중심으로부터 120도로 형성되고, 나머지 세 조의 날개(400')는 각각 40도 의 위상각을 갖아 상기 회전축(300) 상하에 축설되는 동시에 날개(400')면의 경사각은 19도이며 그 길이는 회전축(300)의 중심으로부터 60도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회전축(300)에 의하여 날개(400, 400')가 회전함에 따라, 도 2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단면 형상으로 쓰레기(600)가 분포하게 되는데, 상기 몸체부(100)의 하부는 비교적 쓰레기(600)가 많이 존재하며,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는 비교적 쓰레기(600)가 조금 존재한다.
이를 반영하여,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하부에 위치하는 한 조의 날개(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회전축(300)으로부터 120도에 이르도록 비교적 길게 형성하고, 도 2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상부에 위치하는 세 조의 날개(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회전축(300)으로부터 60도에 이르도록 비교적 짧게 형성한다.
이때, 도 4는 상기 몸체부(100) 최하부에 위치한 한 조의 날개(400)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하나의 날개(400)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b)와 (c)는 각각 세 개의 날개(400)가 한 조를 이룬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5는 상기 몸체부(100) 상부에 위치한 세 조의 날개(400') 가운데 어느 하나를 도시한 것으로, (a)는 하나의 날개(400')만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b)와 (c)는 각각 세 개의 날개(400')가 한 조를 이룬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및 정면도이다.
여기에서, 상기 몸체부(100) 상부에 위치하는 세 조의 날개(400')는 도 2와 같이 서로 40도의 위상각을 갖도록 회전축(300) 상하에 적층 설치하여, 쓰레기(600)에 원심력 및 상승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날개(400, 400')는 모두 경사각 19도로 성형되었을 때,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시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 하부에서는 비교적 큰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키며, 상부에서는 비교적 작은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키게 되어, 상기 몸체부(100) 내의 상하 위치에 따라 쓰레기(600)에 최적의 원심력 및 상승력을 작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원심력 및 상승력을 받아 몸체부(100)의 벽면을 타고 올라오는 쓰레기(600)를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안내판(5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상부에 원추 형상으로 마련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한다.
특히, 상기 낙하안내판(500)은 그 중앙 내측 모서리가 하방으로 굴곡 성형된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며, 이에 따라, 점도가 높은 쓰레기(600)가 상기 몸체부(100) 벽면을 타고 상승할 경우, 쓰레기(600)를 다시 상기 몸체부(100) 중앙으로 낙하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에 대한 작동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투입구(110)를 통하여 수분을 다량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600)를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 투입시킨 후, 모터(330)를 구동시켜 회전축(300)을 통 하여 날개(400, 40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쓰레기(600)는 회전하면서 원심력을 받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 내부에는 대략 U자 형상의 단면으로 분포되며, 상기 쓰레기(600)는 이러한 단면 형상으로 유지하여 지속적으로 순환한다.
즉, 쓰레기(600)는 경사각을 갖은 날개(400, 40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의 벽면을 타고 상승하게 되며, 상승한 쓰레기(600)는 낙하안내판(500)을 통하여 다시 상기 몸체부(100) 중앙으로 떨어지는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된다.
이때, 고온 스팀이 급기구(210)로 들어가 배기구(220)로 배출되는 가열부(200)가 상기 몸체부(100)의 벽면을 고온으로 가열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몸체부(100) 내부의 쓰레기(600)가 고온 건조되는 것이다.
이후, 쓰레기(600)로부터 수분이 완전히 분리된 후, 상기 몸체부(100)의 배출구(120)를 개방하여 쓰레기(600)를 배출시킴으로써, 건조 공정이 완료된다.
이에 따라,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600)를 효율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는 회전축(300)을 이분하고, 날개(400)에 칼날(410)을 부가하여 건조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예방하는 동시에, 유지보수를 손쉽게 수행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존에 비하여 경량화를 실현시킬 수 있어 적은 동력의 모터(330)로도 원활하게 작동 가능하며, 특히 설치 높이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의 날개(400, 400')를 설치하여 쓰레기(600)의 분포 형태에 대응하는 최적의 건조 효율을 얻을 수 있다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도면이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를 개선하여 기존에 비하여 면적이 좁은 3개의 날개가 한 조를 이루어 회전축 상하로 2조 이상 축설되어 적은 동력으로도 수분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혼합 및 건조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회전축 및 날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대한 작업자의 편의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8)

  1. 삭제
  2. 수직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측면에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 쓰레기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중단을 감싸며, 상하 측면에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고온가스가 유통되는 가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배설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의 쓰레기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상기 몸체부 내벽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키는 나선형 날개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내부 모서리에 원추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쓰레기를 중앙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안내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날개는 그 폭이 반경의 6~7%에 해당하며 각각 120도의 위상각을 갖고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의 동일 높이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3개가 한 조를 이루어 상기 회전축 상하에 2조 이상 축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의 선단에는 칼날이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5. 수직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 측면에 각각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어 쓰레기의 투입 및 배출이 가능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중단을 감싸며, 상하 측면에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고온가스가 유통되는 가열부와; 상기 몸체부 내부 중앙에 수직하게 배설되어 모터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고정되어 상기 몸체부 내부의 쓰레기에 원심력을 작용시켜 상기 몸체부 내벽에 밀착시키는 동시에 상승시키는 나선형 날개와; 상기 몸체부의 상측 내부 모서리에 원추형으로 마련되어 상기 몸체부 내벽을 타고 올라오는 쓰레기를 중앙으로 낙하시키는 낙하안내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축은 상하로 상부축 및 하부축으로 이분 형성되며, 상기 상부축과 하부축은 각각 플랜지가 형성되어 체결수단에 의하여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회전축의 손상 이전 상기 체결수단이 먼저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축의 플랜지 하단에는 키홈이 성형된 연장축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하부축의 상단 내부에는 상기 키홈에 대응하는 키가 형성되어 상기 연장축을 소정 깊이로 수용하는 홈이 절입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7. 삭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는 4조가 상기 회전축에 축설되되, 최하단의 한 조는 날개면의 경사각은 19도이며 그 길이는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120도로 형성되고, 나머지 세 조의 날개는 각각 40도의 위상각을 갖아 상기 회전축 상하에 축설되는 동시에 날개면의 경사각은 19도이며 그 길이는 회전축의 중심으로부터 60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KR1020050109464A 2005-11-16 2005-11-16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KR100562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64A KR100562154B1 (ko) 2005-11-16 2005-11-16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9464A KR100562154B1 (ko) 2005-11-16 2005-11-16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2154B1 true KR100562154B1 (ko) 2006-03-17

Family

ID=37179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9464A KR100562154B1 (ko) 2005-11-16 2005-11-16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215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761B1 (ko) * 2009-09-01 2010-05-18 정창의 회전형 건조장치
CN101718486B (zh) * 2009-05-22 2011-07-27 北京化工大学 分段式转子颗粒离心干燥机
KR101395604B1 (ko) 2013-11-08 2014-05-19 (주) 오카도라코리아 회전식 건조장치
CN107199109A (zh) * 2017-05-31 2017-09-26 安徽铸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有机肥料粉碎机料斗
CN108126820A (zh) * 2017-12-30 2018-06-08 何冠阅 一种城市固体垃圾处理设备
CN110074433A (zh) * 2019-04-28 2019-08-02 贵州汇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食品烘干装置
CN110935527A (zh) * 2019-11-16 2020-03-31 徐州富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物资回收用粉碎装置
JP7311216B1 (ja) * 2023-03-22 2023-07-19 正夫 金井 乾燥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18486B (zh) * 2009-05-22 2011-07-27 北京化工大学 分段式转子颗粒离心干燥机
KR100958761B1 (ko) * 2009-09-01 2010-05-18 정창의 회전형 건조장치
KR101395604B1 (ko) 2013-11-08 2014-05-19 (주) 오카도라코리아 회전식 건조장치
CN107199109A (zh) * 2017-05-31 2017-09-26 安徽铸星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有机肥料粉碎机料斗
CN108126820A (zh) * 2017-12-30 2018-06-08 何冠阅 一种城市固体垃圾处理设备
CN110074433A (zh) * 2019-04-28 2019-08-02 贵州汇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的食品烘干装置
CN110935527A (zh) * 2019-11-16 2020-03-31 徐州富硕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废旧物资回收用粉碎装置
JP7311216B1 (ja) * 2023-03-22 2023-07-19 正夫 金井 乾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01711B2 (en) Radial rotary dryer
EP2722625B1 (en) Crushing and drying device
KR100562154B1 (ko) 회전형 쓰레기 건조장치
EP2226599A2 (en) Continuous drying apparatus
JP6590465B2 (ja) バイオマス燃料の前処理乾燥機及び燃焼プラント
CN111288749A (zh) 一种农产品加工干燥机
KR19980033527A (ko) 음식폐기물의 저온 자연발효건조방법과 그 장치
CN105819649A (zh) 底部干燥式污泥干化装置和方法
CN112408742A (zh) 一种污泥烘干机
KR100511196B1 (ko) 슬러지 건조장치
KR0120836B1 (ko) 유동상 스크류 복합형 건조기
KR100988828B1 (ko) 슬러지혼합시스템
KR100873697B1 (ko) 내부 반송채널을 구비한 회전형 건조장치
KR100324572B1 (ko) 하수 오니 건조장치
CN207501634U (zh) 一种螺旋制粒干燥机
KR20030038288A (ko) 슬럿지 건조장치
WO2010010585A1 (en) Drying plant
KR100678690B1 (ko) 쓰레기 건조 처리장치
JPH09201523A (ja) 撹拌混合機
KR20090083665A (ko) 슬러지 처리 장치
KR102518958B1 (ko) 음식물 감량화 설비의 에너지 절감형 코어 열공급장치
KR20090066006A (ko) 수직 회전 액상 폐수 건조장치
KR101534492B1 (ko) 건조장치
CN105819650B (zh) 底部干燥式污泥干化装置和方法
KR102264122B1 (ko)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타워 형상의 기능성 슬러지 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511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30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PJ0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Patent event date: 20091224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Patent event code: PJ02042R01D

Patent event date: 2006031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code: PJ02041E01I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91224

Decision date: 20110823

Appeal identifier: 200910000309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1224

Effective date: 201108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5D

Patent event date: 201108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Invalidation (Patent, Utility Model, Industrial Design)

Appeal kind category: Invalidation

Request date: 20091224

Decision date: 20110823

Appeal identifier: 2009100003090

PG1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1111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2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3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3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8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20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4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5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08

Start annual number: 20

End annual number: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