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19666A -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19666A
KR20040019666A KR1020020051281A KR20020051281A KR20040019666A KR 20040019666 A KR20040019666 A KR 20040019666A KR 1020020051281 A KR1020020051281 A KR 1020020051281A KR 20020051281 A KR20020051281 A KR 20020051281A KR 20040019666 A KR20040019666 A KR 20040019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tank
food waste
tank body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1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영기
Original Assignee
도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영기 filed Critical 도영기
Priority to KR1020020051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19666A/ko
Publication of KR20040019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9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에서 고온, 건조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감속모터(M)에 의해 구동되어 탱크본체(50) 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작동하는 처리탱크(5)와, 상기 처리탱크 내부를 흡입하여 진공화 및 내부 배출가스의 배출을 행하는 진공펌프(P)와, 상기 배출가스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리기(7) 및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기(8)로 구성하여, 보일러(2)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스팀이 상기 처리탱크의 내,외부 스팀라인(45)(55)으로 공급되어 열교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발효처리하되,
상기 보일러(2)에는 내,외부 스팀라인(45)(55)으로 스팀을 분배공급하도록 분배기(3)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의 각 배출관과 냉각기의 배출관은 열교환을 마친 스팀과 그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응축수조(10)에 연결하여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의 각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열교환을 마친 스팀과 그 응축수가 보일러로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이루어는 진공 고온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탱크본체(50) 원주면에 단면이 역 "U"자 형의 횡파이프(57)와 종파이프(56)를 교차되며 연통되게 다수 설치한 제1라인부(55a)와, 상기 탱크본체(50) 양측면에 링형태로 연통된 제2라인부(55b)로 구성된 외부 스팀라인(55)과;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6)의 나선 위치로 청소봉(66)과 함께 히터봉(67)을 설치하여 나선형의 나선판(64)으로 연결한 교반작동부(60)(60')를 좌우 대향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6)과 히터봉(66)의 내부를 연통 형성한 내부 스팀라인(45)을 갖는 처리탱크(5)를 수평으로 설치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고온, 건조처리를 거친 스팀 및 그 응축수를 회수하여 순환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배출수의 외부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스팀 및 응축수를 재활용함에 의한 열효율 개선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며, 상기 처리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교반효율 및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므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건조, 발효처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A FERMENTATION AND DRYING DEVICE FOR EDIBLE WASTE MATERIAL}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상태에서 고온, 건조처리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처리탱크의 구조 개선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은 물론 스팀 공급에 의한 열교환을 효과적으로 이루어 건조, 발효 효율을 극대화하고, 또한 상기 열교환한 스팀과 그 응축수를 수거하여 재순환 공급하는 것에 의해 응축수의 외부배출에 의한 환경오염 방지 및 열 손실을 최소화하여 경제성을 극대화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는 염분의 농도가 심하여 퇴비로서의 활용이 곤란하고, 이를 매립하거나 소각하는 방법에 의해 주로 처리하였는데, 매립하는 경우에는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키는 문제가 발생되고, 소각하는 경우에는 다이옥신 등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되어 대기를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한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 건조 처리함에 의해 발효시켜 사료화하는 방법 등이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개시된 바 있는데, 특허출원 제2000-38420호에서는 진공상태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의 증기로 건조 발효처리하여 사료화하도록 하였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처리하는 처리탱크와, 상기 탱크에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는 보일러와, 처리탱크내의 가스를 흡입하여 탱크내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는 송풍기 및 진공펌프와, 상기 송풍기와 진공펌프에서 흡입되는 가스중에 분진을 포집하는 포집탱크와, 상기 가스를 냉각시키는 냉각탱크와, 상기 가스에 함유된 유해가스를 촉매에 의해 탈취하는 탈취기와, 상기 처리탱크에서 건조 발효시킨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는 분쇄기와, 상기 분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저장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저장탱크로 부터 공급받아 포장하는 포장기로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처리장치는 상기 처리탱크 내부를 송풍기와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하여 그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이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교반시키면서 보일러에서 공급되는 고온의 스팀에 의한 열교환으로 건조, 발효과정을 거치고,
이 건조, 발효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다시 분쇄기에서 분쇄한 상태로 저장탱크에 저장하여 가축의 사료로 재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처리탱크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 처리과정중에 발생되는 분진을 포함한 가스는 포집탱크에서 분진을 포집하고, 냉각탱크에서 냉각처리한 상태로 탈취기에 의해 유해가스를 제거하여 안전하게 배기하게 되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스팀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상기 스팀의 열 교환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기 때문에 상기 응축수에의한 환경오염 및 1차 열 교환만을 행한 스팀을 바로 외부로 배출해 버리므로서 열효율 저하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둘째, 상기한 처리장치는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스팀을 스팀관에 의해 처리탱크에 직접 연결하기 때문에, 스팀관이 복잡하게 배선되는 문제와, 처리탱크에 공급되는 스팀관을 연결하는데 그 연결수효가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보일러에 많은 수의 스팀관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할 수 없음에 따른 문제를 갖게 된다.
한편,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진공상태에서 건조, 발효시키는 처리탱크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중간에 스팀공간을 갖는 내부탱크와 외부탱크의 이중구조로 모우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을 내부 길이방향으로 구비하되, 상기 탱크는 상하방향으로 기립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에는 외주연의 방사선 형태로 히팅관을 설치하여 간격봉으로 간격을 유지하는 내,외부 나선 파이프를 고정 설치하고, 또한 중간, 하부측에 각각 가이드봉을 설치하여 그 내부에 압축스프링에 의해 탄지되게 내장되는 청소판의 선단이 상기 내부탱크의 내벽면에 접하도록 설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팀공간과, 내부탱크내 및 회전축의 내부와 그 외주연의 히팅관의 내부에는 보일러에서 연결된 스팀관이 연결됨과 함께 그 응축수나 가스를 배출하는 배출관을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처리탱크는 내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한 상태로 상기 회전축의 회전으로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시키서 상기 스팀공간과 내부탱크내 및 회전축과 그 외주연의 히팅관으로 고온의 스팀을 공급하여 이의 열교환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발효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처리탱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첫째, 처리탱크가 기립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교반하는 과정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전체적으로 고르게 상하 이동하면서 교반되지 못하기 때문에(주로 처리탱크의 하부에 집중) 신속한 건고, 발효처리가 곤란함은 물론, 처리탱크의 하부에 위치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가 상부로 증발하면서 상부의 음식물쓰레기에 흡수되면서 건조 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둘째, 상기 처리탱크는 내부탱크와 외부탱크 사이로 단순히 이격된 스팀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스팀공간으로 공급된 스팀이 내부탱크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공급되지 못함은 물론 스팀공간내에서 짧은 시간 체류한 상태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해 버리기 때문에 건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다시말하면,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스팀에 의해 고온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해 버림에 의한 환경오염과, 상기 고온, 건조처리를 거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여 버림에 따른 열효율의 저하 및 처리탱크 구조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의 효율적인 교반작동과 건조발효작동의 곤란 등의 문제를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창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온, 건조처리를 거친 스팀 및 그 응축수를 회수하여 순환 공급하는 것에 의해 배출수의 외부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스팀 및 응축수의 재활용에 의한 열효율 개선으로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처리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교반효율 및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므로 신속하고 효과적인 건조, 발효처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감속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탱크본체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작동하는 처리탱크와, 상기 처리탱크 내부를 흡입하여 진공화 및 내부 배출가스의 배출을 행하는 진공펌프와, 상기 배출가스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리기 및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기로 구성하여,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스팀이 상기 처리탱크의 내,외부 스팀라인으로 공급되어 열교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발효처리하되,
상기 보일러에는 내,외부 스팀라인으로 스팀을 분배공급하도록 분배기를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의 각 배출관과 냉각기의 배출관은 열교환을 마친 스팀과 그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응축수조에 연결하여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의 각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열교환을 마친 스팀과 그 응축수가 보일러로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이루어는 진공 고온건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탱크본체 원주면에 단면이 역 "U"자 형의 횡파이프와 종파이프를 교차되며 연통되게 다수 설치한 제1라인부와, 상기 탱크본체 양측면에 링형태로 연통된 제2라인부로 구성된 외부 스팀라인과; 감속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의 나선 위치로 청소봉과 함께 히터봉을 설치하여 나선형의 나선판으로 연결한 교반작동부를 좌우 대향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과 히터봉의 내부를 연통 형성한 내부 스팀라인을 갖는 처리탱크를 수평으로 설치한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처리탱크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투입구를 보여주는 요부 발췌도,
도 4는 본 발명의 처리탱크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5는 도 4의 외부 스팀라인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축을 보여주는 정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냉각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보일러 3: 분배기 5: 처리탱크
6: 회전축 7: 분리기 8: 냉각기
10: 응축수조 13: 원수조
45: 내부스팀라인 50: 탱크본체
55: 외부스팀라인 56,57: 종,횡 파이프
66: 청소봉 67: 히터봉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는 도 1, 도 2, 및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략적으로 구성된다.
즉, 감속모터(M)에 의해 구동되어 탱크본체(50)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 작동하는 교반부(4)가 설치되는 처리탱크(5)와,
상기 탱크본체(50)내부를 흡입하여 탱크내부를 진공화 함은 물론 내부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진공펌프(P)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배출가스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리기(7) 및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기(8)로 구성하되, 원수조(13)와 연결된 보일러(2)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스팀이 상기 처리탱크(5)의 교반부(4) 내부의 내부스팀라인(45)과, 탱크본체(50) 외측의 외부스팀라인(55)으로 공급되어 열교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발효처리하고, 열교환 과정을 거친 스팀과 그 응축수는 각 배출관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2)에는 분배기(3)를 연결설치하여 내,외부 스팀라인(45)(55)으로 다수의 분배관(3a)(3b)(3c)을 통해 스팀을 분배 공급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45)(55)의 각 배출관(5a)(5b)(6a)과 냉각기(8)의 배출관(8a)은 열교환 과정을 거친 스팀과 그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응축수조(10)에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조(10)는 원수조(13)와 보일러(2)에 연결되는 수집수조(15)에 연결 구성하여서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45)(55)의 각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열교환 과정을 거친 스팀과 그 응축수가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처리탱크(5)는 도 2 및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탱크본체(50) 원주면에 단면이 역 "U"자 형의 횡파이프(56)를 링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다수 부착 설치하고, 그 상,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역 "U"자 형의 종파이프(57)를 상기 횡파이프(56)와 교차되며 연통되게 다수 설치한 제1라인부(55a)와, 상기 탱크본체(50) 양측면에 링형태로 연통된 보조탱크(58)를 갖는 제2라인부(55b)로 구성된 외부 스팀라인(55)과,
상기 교반부(4)의 감속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6)의 나선 위치로 청소봉(66)과 함께 히터봉(67)을 설치하여 나선형의 나선판(64)으로 연결한 교반작동부(60)(60')를 좌우 대향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6)과 히터봉(67)의 내부를 연통 형성한 내부 스팀라인(65)을 구성하되, 상기 탱크본체(50)와 교반부(4)를 수평으로 설치한 구조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전축(6)의 일측에는 회전축의 회전시에도 분배관(3c)과 배출관(5b)이 회전방지되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연결구(68)가 연결되고, 또한 상기 회전축(6)내부의 스팀라인에서 응축수를 배출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 등과 같은 배출기구(69)를 상기 배출관(5b)에 연결구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50)의 상,하부에 구비된 투입구(51)와 배출구(52)에는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고정설치된 브라켓(53)의 일측에 도어(54)와, 작동실린더(S)를 힌지결합하되, 상기 작동실린더(S)의 로드 선단이 도어(54)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작동실린더(S)의 로드 신축작동에 의해 도어(54)가 힌지를 지점으로 회동 개폐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리기(7)는 다단계로 구비하고, 내부에는 통상의 필터(미도시)에 의해 분진 및 이물질을 분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냉각기(8)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지그재그로 순환공급되는 냉매로(83)를 상하로 관통하는 연통로(85)을 형성하고, 그 상,하부에 인입, 배출관(81)(82)을 연결하여 상기 인입관(81)으로 인입된 가스가 연통로(85)을 통과하면서 열교환 후 배출관(82)으로 배출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6)과 청소봉(66), 히터봉(67) 및 나선판(64)은 외표면에 음식물찌꺼기가 늘러 붙지 않도록 테프론 코팅층(90)을 형성하고, 상기 탱크본체(50)의 외측에는 보온재층(95)을 구비하여 열효율을 더 높일수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66a는 사각형 단면을 갖는 청소봉(66)이 탱크본체(50)의 내벽면에 탄발 밀착되어 늘러 붙은 음식물 쓰레기를 긁어내도록 가이드파이프(66b)에 내설된 탄발스프링을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은 처리탱크(5)의 투입구(51)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51)는 작동실린더(S)의 로드를 신축하는 것에 의해 도어(54)가 힌지를 지점으로 회동하여 자동 개방되고, 음식물 쓰레기의 투입이 완료되면 다시 작동실린더(S)의 로드를 원위치 시키는 것에 의해 도어(54)를 자동으로 닫아 처리탱크(5)를 밀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진공펌프(P)에 의한 흡입작동으로 처리탱크(5)의 탱크본체(50)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 감속모터(M)에 의한 구동으로 상기 회전축(6)을 정,역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6)의 교반작동부(60)(60')가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작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처리탱크(5)의 탱크본체(50)와 교반부(4)는 종래와 같이 기립 설치된 구조가 아니라 수평으로 설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회전축(6)의 교반작동부(60)(60')가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6)의 정역회전에 의해 투입구(51)로 투입된 음식물쓰레기를 좌우로 각각 왕복이송시키기 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전체를 고르게 교반작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전체적으로 고르게 교반작동하면서 보일러(2)의 가동으로 발생되는 스팀에 의한 열교환으로 상기 처리탱크(5)내의 음식물 쓰레기를 건고, 발효처리하게 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수집수조(15)에서 공급되는 물의 공급으로 보일러(2)에서 발생하는 고온 스팀이 단일의 라인에 의해 처리탱크(5)인근에 설치되는 분배기(3)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분배기(3)를 처리탱크(5)의 인근에 설치하여 분배관으로 연결 설치하므로 상기 보일러(2)에서 부터의 배관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분배기(3)로 공급된 고온 스팀이 다수의 분배관(3a)(3b)(3c)을 통해 처리탱크(5)의 외부 스팀라인(55)과, 내부 스팀라인(45)으로 고르게 공급된다.
먼저, 상기 분배관(3a)으로 공급된 스팀은 탱크본체(5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에 설치된 "U"형 단면의 종파이프(57)를 통해 이에 연통된 탱크본체(50)외주연을 링 형태로 감싸고 있는 다수의 횡파이프(56)로 공급되면서 탱크본체(50)의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분포되게 된다. 특히 상기 스팀이 종,횡파이프(56)(57)를 따라 공급되면서 그 체류시간을 오래 유지하기 때문에 탱크본체(50)의 외주연을 가열하는 효율을 극대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배관(3b)으로 공급된 스팀은 탱크본체(50)의 좌우측면의 보조탱크(58)내에 공급되면서 탱크본체(50)의 양측면을 가열하게 되므로, 상기 회전축(6)의 교반작동부(60)(60')에 의해 좌우측으로 이송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측방에서 가열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배관(3c)으로 공급된 스팀은 회전축(6)과 다수의 히터봉(67)을 통해 탱크본체(50)내부로 공급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가열하게 된다.
더우기 상기 처리탱크(5)는 도 9에서와 같이, 외주연에 형성된 보온재층(95)에 의해 보온하도록 하므로서, 상기한 스팀에 의한 열교환 효율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탱크본체(50)내에서 좌우 수평으로 왕복하면서 고르게 교반작동하는 음식물 쓰레기는 탱크본체(50)의 외부 및 내부에서 전체적으로 가열되는 스팀에 의한 열교환으로 건조, 발효하되, 열효율의 극대화로 전체적으로 신속하면서도 고르게 건조 발효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탱크본체(50)내에서 음식물 쓰레기를 고온에 의해 건조, 발효처리하는 과정에서 상기 음식물 쓰레기는 회전축(6)과 청소봉(66) 히터봉(67) 및 나선판(64) 외표면의 테프론 코팅층(90)에 의해 늘어붙지 않게 되므로 효과적인 교반작동에 의해 건조, 발효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처리탱크(2)의 스팀라인(45)과 내부 스팀라인(55)으로 공급되어 열교환에 의한 건조과정을 마친 스팀과 그 응축수는 각 배출관(5a)(5b)(6a)을 통해 응축수조(10)로 수거된다.
또한, 상기 탱크본체(5)내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고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 이물질을 포함한 고온 다습한 가스는 진공펌프(P)의 흡입에 의해 다단계의 분리기(7)를 통과하면서 가스내의 분진, 이물질을 필터(미도시)에 의해 걸러 통과하고, 냉각기(8)를 통과하면서 냉매와의 열교환으로 그 응축수는 다시 배출관(8a)을 통해 응축수조(10)로 수거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분진이나 이물질 및 수분을 분리한 가스는 다시 보일러(2)에 공급되어 보일러 버너로 분사되므로 연소작동을 돕도록 사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내,외부 스팀라인(45)(55)과 냉각기(8)에서 수거된 응축수조(10)의 응축수는 다시 수집수조(15)로 집결되어 원수조(13)에서 공급되는 물과 함께 보일러(2)에 순환공급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보일러(2)에서 발생되는 스팀이 열 교환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이를 다시 재 순환 공급되도록 사용하기 때문에 응축수의 외부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1차 열교환된 스팀 및 응축수를 재활용하므로 열효율을 극대화함에 따른 경제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하여 상기 처리탱크(5)내의 음식물 쓰레기가 건조, 발효처리가 완료되면 하부의 배출구(52)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별도의 파쇄기나 포장기 등에 의해 파쇄, 포장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발효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스팀을 보일러에서 처리탱크로 직접 공급하지 않고 분배기에 의해 처리탱크 인근에서 공급하게 되므로 배관구조를 간단하게 구비할수 있게 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 다수의 분배관을 연결하면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팀은 열교환을 마친 후에 그 응축수와 함께 회수하여 보일러로 재 순환공급하여 재활용하므로서, 응축수의 외부 배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함은 물론 열효율 개선으로 처리원가를 절감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음식물 쓰레기를 건조 발효처리하는 처리탱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율 및 건조효율을 극대화하므로서, 신속하고 고른 건조, 발효처리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감속모터(M)에 의해 구동되어 탱크본체(50)내부의 음식물쓰레기를 교반작동하는 교반부(4)가 설치되는 처리탱크(5)와,
    상기 탱크본체(50)내부를 흡입하여 탱크내부를 진공화 함은 물론 내부의 배출가스를 배출하는 진공펌프(P)와, 상기 진공펌프에 의해 흡입되는 배출가스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분리기(7) 및 수분을 제거하는 냉각기(8)로 구성하되, 원수조(13)와 연결된 보일러(2)에서 발생되는 고온의 스팀이 상기 처리탱크(5)의 교반부(4) 내부의 내부스팀라인(45)과, 탱크본체(50) 외측의 외부스팀라인(55)으로 공급되어 열교환에 의해 음식물쓰레기를 건조, 발효처리하고, 열교환 과정을 거친 스팀과 그 응축수는 각 배출관으로 배출하도록 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보일러(2)에는 분배기(3)를 연결설치하여 내,외부 스팀라인(45)(55)으로 다수의 분배관(3a)(3b)(3c)을 통해 스팀을 분배 공급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45)(55)의 각 배출관(5a)(5b)(6a)과 냉각기(8)의 배출관(8a)은 열교환 과정을 거친 스팀과 그 응축수를 수집하도록 응축수조(10)에 연결하고, 상기 응축수조(10)는 원수조(13)와 보일러(2)에 연결되는 수집수조(15)에 연결 구성하여서 상기 내,외부 스팀라인(45)(55)의 각 배출관으로 배출되는 열교환 과정을 거친 스팀과 그 응축수가 다시 순환. 공급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5)는 탱크본체(50) 원주면에 단면이 역 "U"자 형의 횡파이프(56)를 링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다수 부착 설치하고, 그 상,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단면이 역 "U"자 형의 종파이프(57)를 상기 횡파이프(56)와 교차되며 연통되게 다수 설치한 제1라인부(55a)와, 상기 탱크본체(50) 양측면에 링형태로 연통된 보조탱크(58)를 갖는 제2라인부(55b)로 구성된 외부 스팀라인(55)과,
    상기 교반부(4)의 감속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6)의 나선 위치로 청소봉(66)과 함께 히터봉(67)을 설치하여 나선형의 나선판(64)으로 연결한 교반작동부(60)(60')를 좌우 대향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6)과 히터봉(67)의 내부를 연통 형성한 내부 스팀라인(65)을 구성하되, 상기 탱크본체(50)와 교반부(4)를 수평으로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50)의 상,하부에 구비되는 투입구(51)와 배출구(52)에는 본체에 고정설치된 브라켓(53)의 일측에 도어(54)와, 작동실린더(S)를 힌지결합하되, 상기 작동실린더(S)의 로드 선단이 도어(54)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작동실린더(S)의 로드 신축작동에 의해 도어(54)가 힌지를 지점으로 회동 개폐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본체(50)의 외측에는 보온재층(95)을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6)과 청소봉(66), 히터봉(67) 및 나선판(64)은 외표면에 음식물 찌꺼기가 늘러 붙지 않도록 테프론 코팅층(90)을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KR1020020051281A 2002-08-28 2002-08-28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KR200400196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281A KR20040019666A (ko) 2002-08-28 2002-08-28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1281A KR20040019666A (ko) 2002-08-28 2002-08-28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9666A true KR20040019666A (ko) 2004-03-06

Family

ID=3732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1281A KR20040019666A (ko) 2002-08-28 2002-08-28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1966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83B1 (ko) * 2007-11-28 2010-07-07 문규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8878B1 (ko) * 2011-09-20 2014-12-12 서용섭 폐기물 진공건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201A (ja) * 1992-03-19 1993-10-12 Kakiuchi:Kk 高水分材料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24780U (ko) * 1998-03-12 1998-07-25 최재명 진공 건조 발효장치
KR20000063399A (ko) * 2000-07-05 2000-11-06 박용국 음식물 쓰레기의 진공 건조 및 사료 제조장치
KR20020092536A (ko) * 2001-06-04 2002-12-12 (주)이오스시스템 음식물 쓰레기의 고속진공 발효건조기
KR20030025095A (ko) * 2001-09-19 2003-03-28 (주)청호종합기술단 음식물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1201A (ja) * 1992-03-19 1993-10-12 Kakiuchi:Kk 高水分材料の乾燥方法及びその装置
KR19980024780U (ko) * 1998-03-12 1998-07-25 최재명 진공 건조 발효장치
KR20000063399A (ko) * 2000-07-05 2000-11-06 박용국 음식물 쓰레기의 진공 건조 및 사료 제조장치
KR20020092536A (ko) * 2001-06-04 2002-12-12 (주)이오스시스템 음식물 쓰레기의 고속진공 발효건조기
KR20030025095A (ko) * 2001-09-19 2003-03-28 (주)청호종합기술단 음식물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983B1 (ko) * 2007-11-28 2010-07-07 문규식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8878B1 (ko) * 2011-09-20 2014-12-12 서용섭 폐기물 진공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474B1 (ko) 연속 가열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557338B1 (ko) 음식물 처리기
KR100973154B1 (ko) 진공 흡입식 음식물 발효 건조장치
CN105546549B (zh) 一种垃圾脱氯装置及其脱氯方法
KR20100029961A (ko) 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0019666A (ko)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
KR10116234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9980063228U (ko) 폐열회수 및 공기순환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KR102462104B1 (ko) 폐열회수형 탈취기가 부착된 폐사축처리장치
KR20040019667A (ko) 음식물 쓰레기의 고온, 건조처리장치용 처리탱크
KR200214056Y1 (ko) 음식물쓰레기의고속진공발효건조기
KR100708807B1 (ko) 연속식 저온열분해 탄화처리기
KR100882750B1 (ko) 탈취 기능을 갖는 음식물 쓰레기 건조장치
JP2001056178A (ja) マイクロ波乾燥機
CN206139637U (zh) 污染土壤热处理系统
CN208186984U (zh) 真空干燥装置
KR200393891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KR101868479B1 (ko) 응결 배수구조가 적용된 투입도어를 갖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512256B1 (ko) 대용량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967983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8179494U (zh) 一种内螺旋式烘干机
KR200408020Y1 (ko) 유기질 폐기물의 고온 살균 건조 처리장치
CN217726444U (zh) 一种组合式柑桔果渣皮烘干箱
KR102588331B1 (ko) 음식물 및 식품 찌꺼기 발효 건조 감량처리장치
CN216801066U (zh) 一种餐厨垃圾蒸发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