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4559A - 컵홀더 장치 - Google Patents

컵홀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4559A
KR20030024559A KR1020020034563A KR20020034563A KR20030024559A KR 20030024559 A KR20030024559 A KR 20030024559A KR 1020020034563 A KR1020020034563 A KR 1020020034563A KR 20020034563 A KR20020034563 A KR 20020034563A KR 20030024559 A KR20030024559 A KR 20030024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holder
drawer body
sub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4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5753B1 (ko
Inventor
이즈메도모하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30024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5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5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5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 B60N3/1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for receptables of different size or shape with adjustable clam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storable or foldable in a non-us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과제) 컵홀더 장치에 있어서, 지름이 다른 종류의 음료용기를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유지시키기 쉽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Y)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30a)을 구비한 주홀더체(30)와,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체(31)와, 암체(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홀더체(32)와,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30)를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4)과, 암체(31)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5)과, 기립되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컵홀더 장치{Cup holder devic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 등에 설치되며, 이 실내 등에서 음료의 용도로 제공되는 각종 음료용기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컵홀더 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리테이너와, 이 리테이너에 인출가능하게 수납되는 트레이와, 이 리테이너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경동(傾動)되는 홀더부재와, 홀더부재의 전단측에 홀더면을 향하도록 트레이의 인출에 따라서 기립되는 서포트부재를 구비한 차량용 컵홀더가 개시되어 있다(일본특허 제2794389호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컵홀더에 있어서는, 서포트부재의 기립위치가 일정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의 측부에 각각 서포트부재의 홀더면을 눌러 댈수 없었고, 이 결과,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를 각각 덜컹거림없이 유지하기가 어려웠다.
여기서, 이러한 종래의 컵홀더에 있어서의 서포트부재를, 상시, 그 서포트면을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탄지하도록 하면,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의 측부에 각각 서포트부재의 홀더면을 눌러 대도록 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이 해버리면, 서포트부재를 상기 탄지에 저항하여 기립방향으로 세우도록 하면서 홀더부재의 홀더구멍에 음료용기를 삽입해야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컵홀더 장치에 있어서, 지름이 다른 여러가지 음료용기를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유지하기 쉽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컵홀더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컵홀더의 측면도{서랍체(1)의 인출상태}
도 6은 컵홀더의 측면도(도 5의 좌측에서 본 상태)
도 7은 컵홀더의 평면도
도 8은 도 7에 있어서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7에 있어서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있어서의 C-C선 단면도
도 11은 도 7에 있어서의 D-D선 단면도
도 12는 도 7에 있어서의 E-E선 단면도
도 13은 컵홀더 장치의 요부 단면도{서랍체(1)의 수납상태}
도 14는 컵홀더 장치의 평면 구성도{서랍체(1)의 수납상태}
도 15는 도 14에 있어서의 F-F선 단면도
도 16은 주홀더체(30)와 암체(31)의 분리사시도
도 17은 주홀더체(30)의 사시도(도 16에 있어서의 주홀더체(30)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8은 주홀더체(30)의 평면도
도 19는 암체(31)와 부홀더체(32)의 분리사시도
도 20은 암체(31)와 부홀더체(32)의 분리측면도
도 21은 도 20에 있어서의 G-G선 단면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서랍체10 - 상면
14 - 인출 전단측15 - 인출 후단측
2 - 수납체20 - 상부
3 - 홀더수단30 - 주홀더체
30a - 유지공간31 - 암체
31a - 면(面)32 - 부홀더체
4 - 제 1 탄지수단5 - 제 2 탄지수단
6 - 제 3 탄지수단Y - 음료용기
Ya - 측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컵홀더 장치를 이하의 (1) 내지 (10)의 구성을 구비한 것으로 했다.
(1) 서랍체와,
(2) 이 서랍체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체와,
(3) 서랍체의 수납체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서랍체의 상면측과 수납체의 상부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홀더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4) 홀더수단은,
서랍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을 구비한 주(主)홀더체와,
(5)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伏倒)하여 수납체에 수납되도록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주홀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arm)체와,
(6)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하고 있는 암체와 서랍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이 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副)홀더체와,
(7)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를, 이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단부가 상승되도록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과
(8)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과,
(9)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는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10)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으로 음료용기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의 측부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가 눌려져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 서랍체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1 탄지수단에 의해서 주홀더체를, 이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단부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2) 또, 이와 같이 서랍체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2 탄지수단에 의해서 암체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킬 수 있다.
(3) 또, 서랍체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기립되는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부홀더체를 회동시킬 수 있다.
(4) 암체는,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주홀더체에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며, 암체에 있어서의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과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유지공간의 내측부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시 일정 간격이 형성된다. 그리고, 부홀더체는, 이와 같이 기립된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상기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됨과 아울러,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에 음료용기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의 측부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서 눌려져 닿도록 주홀더체의 유지공간내로 돌출된다.
(5)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공간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를,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의 바닥에 맞닿는 서랍체의 상면과, 상기 받아들임에 따라서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에 의해서 상기 제 3 탄지수단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상기 음료용기의 측부에 눌려져 닿는 부홀더체와,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유지공간의 내측부에 의해서, 기립상태로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6)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에 의하면, 부홀더체가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상시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공간의 상방으로부터 이 유지공간내로 상기 부홀더체를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하면서 부드럽게 음료용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를 각각 절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컵홀더 장치의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부홀더체의 선단부와, 서랍체의 인출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의 내측부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지공간으로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를,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과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의 전후에서 끼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기재된 컵홀더 장치의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기립된 암체와 부홀더체가 이루는 각도가,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를 수납체에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수납체의 인출 개방부에 맞닿아서 암체가 복도되었을 때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부홀더체의 선단부가 서랍체의 상면에 맞닿게 하는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를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복도되는 암체와 서랍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부홀더체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부드럽게 회동시킬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도 1 내지 도 2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의 사용방법을 이해하기 쉽도록, 서랍체(1)를 인출시킨 상태의 컵홀더 장치(도 1) 및 이와 같이 서랍체(1)를 인출시켜서 음료용기(Y)를 유지시킨 상태의 컵홀더 장치(도 2 내지 도 4)를 각각 사시상태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9는 서랍체(1)를 인출시킨 상태의 컵홀더 장치를 각각 나타내고 있으며, 도 10 내지 도 12는 이 상태의 컵홀더 장치의 요부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3은, 도 12와 같은 위치에 있어서의 컵홀더 장치의 요부를, 서랍체(1)를 수납체(2)에 압입조작하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4 및 도 15는, 서랍체(1)를 수납체(2)에 수납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컵홀더 장치의 구성의 개요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16은, 주홀더체(30)와 암체(31)를 분리하여 나타내고 있으며, 도 17 및 도 18은 주홀더체(30)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도 19 내지 도 21은 각각, 암체(31)와 부홀더체(32)를 분리해서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 등에 구비되며, 이 실내 등에서 음료용으로 제공되는 각종 음료용기(Y)를 기립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것이다.
이러한 음료용기(Y)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컵이나, 도 3에 나타내는 쥬스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PET병 등을 예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컵홀더 장치는,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Y)를 각각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도 2 내지 도 4 참조).
또한 이러한 컵홀더 장치는, 자동차의 실내에 구비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 인스트루먼트 패널이나 센터 콘솔 등의 내측에 후술하는 수납체(2)를 내장시킴과 아울러, 음료용기(Y)를 유지시킬 필요가 발생했을 경우에는 이 수납체(2) 내로부터 후술하는 서랍체(1)를 인스트로먼트 패널 등의 외측으로 인출시키고, 이와 같이 서랍체(1)상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기(Y)를 기립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이용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는,
(1) 서랍체(1)와,
(2) 이 서랍체(1)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체(2)와,
(3) 서랍체(1)의 수납체(2)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서랍체(1)의 상면(10)측과 수납체(2)의 상부(20)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홀더수단(3)을 가지고 있다.
[수납체(2)]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납체(2)는 편평한 케이싱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납체(2)는 폭광(幅廣)의 상부(20)와 폭광의 하부(21)를 가짐과 아울러, 전단측이 서랍체(1)의 인출 개방부(22)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체(2)는,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부(20)가 상방을 향한 횡방향의 상태로 인스트루먼트 패널등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수납체(2)는 서랍체(1)의 인출방향을 따르는 1쌍의 측부(23,23)를 가지고 있다.
[서랍체(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서랍체(1)는, 수납체(2)의 내부에 상기 인출개방부(22)로부터 납입(納入)되는 폭과 길이를 구비한 트레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서랍체(1)는, 이 서랍체(1)의 인출방향을 따르는 1쌍의 측판부(11,11)와, 이 1쌍의 측판부(11,11)간에 걸치는 바닥판부(12)와, 수납체(2)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납체(2)의 상기 인출 개방부(22)를 막는 크기의 전판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서랍체(1)의 1쌍의 측판부(11,11)의 외면간의 치수는, 수납체(2)의 양측부(23,23)의 내면간의 치수보다 약간 작고,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의 하면에서부터 측판부(11)의 상단까지의 치수는, 수납체(2)의 상부(20) 내면과 하부(21)내면간의 간격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 전판부(13)는,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로부터 내측으로 삽입되지 않는 크기로 되어 있으며, 이 전판부(13)의 이면(裏面)이 인출 개방부(22)의 개구 가장자리에 맞닿는 압입위치가 서랍체(1)의 완전 수납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홀더수단(2)이 절첩형상으로 서랍체(1)의 상면(10)(즉, 바닥판부(12)의 상면)과 수납체(2)의 상부(20)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도 15)
[수납체(2)와 서랍체(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체(2)의 상부(20)에,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의 상부에 형성된 탄성돌조(16)가, 이 서랍체(10)를 소정위치까지 인출한 상태에서 탄발하여 삽입되는 걸어맞춤 창(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걸어맞춤 창(24)에 탄성돌조(16)가 걸어맞춰진 위치가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의 양측부에는 각각, 만곡 외측에 있는 면을 수납체(2)의 측부 내면에 탄성적으로 접촉시키는 탄성 만곡편(17)이 형성되어 있다. 수납체(2)의 측부에는,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위치에서 상기 탄성 만곡편(17)의 일부가 탄발하여 삽입되는 창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홀더 수단(3)]
(1) 서랍체(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Y)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30a)을 구비한 주홀더체(30)와,
(2)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하여 수납체(2)에 수납되도록,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체(31)와,
(3)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는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암체(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홀더체(32)와,
(4)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30)를, 상기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주홀더체(30)의 단부가 상승하도록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4)과,
(5)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31)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5)과,
(6)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된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32)을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6)을 구비하고 있다.
주홀더체(30)의 회동축선, 암체(31)의 회동축선 및 부홀더체(32)의 회동축선은, 모두 서랍체(1)의 인출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주홀더체(30)]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홀더체(30)는 내측을 음료용기(Y)의 유지공간(30a)으로 하는 틀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주홀더체(30)는,
(1) 서랍체(1)의 양 측판부(11,11)의 내면사이에 수납되는 폭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된 기부(30b)와,
(2) 서랍체(10)의 양 측판부(11,11)의 내면사이에 수납되는 폭을 구비하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는 양 단부를 각각 상기 기부(30b)에 일체로 연접시킨 U자형상부(30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주홀더체(30)는 상기 기부(30b)에 있어서 서랍체(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기부(30b)에 있어서의 상기 U자형상부(20c)와의 연접위치와 상기 기부(30b)의 최후단과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기부(30b)에 형성된 축구멍(30d)과, 서랍체(1)의 측판부(11)에 형성된 축구멍(도시생략)에 샤프트(30e)를 관통시킴으로써, 서랍체(1)에 주홀더체(30)가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홀더체(30)의 회동은, 주홀더체(30)를 횡방향으로 배치한 복도위치에서부터, 상기 기부(30b)의 최후단이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의 내면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주홀더체(30)는 상기 서람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1 탄지수단(4)에 의해서 비스듬하게 일어서도록 회동되게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상기 기부(30b)에 있어서의 회동조립위치와 최후단과의 사이에 있는 하부에, 주홀더체(30)가 완전히 일어선 위치에 있어서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에 형성된 구멍(18)을 통과해서 수납체(2)의 하부에 형성된 돌출부(26)의 하측에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으로부터 삽입되어서 걸리는 돌부(30f)가 형성되어 있다(도 9).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의 양 측부에는 각각, 주홀더체(30)의 내측을 향해서 움푹 들어간 오목소(30g)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오목소(30g) 내에는 이 오목소(30g)의 내측으로부터 서랍체(1)의 측판부의 내면을 향해서 돌출하는 원기둥형상부(30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부(30b)에 형성된 축구멍(30d)이 상기 원기둥 형상부(30h)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원기둥형상부(30h)가 스프링 권회부(卷回部)의 내측에 납입되도록 하여 상기 원기둥형상부(30h)에 구비된 나사 코일 스프링(40)에 의해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30)가 비스듬하게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40)이상기 제 1 탄지수단(4)으로서 기능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40)은, 스프링 하단을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측에, 스프링 상단을 기부(30b)의 오목소(30g)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가장자리부에 각각 눌러 댄 상태로 스프링 권회부를 탄성변형시켜서 상기 원기둥형상부(30h)에 구비되어 있으며(도 12 및 도 13),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시킨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권회부를 확대시키도록 탄발하여 주홀더체(30)를 비스듬하게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도 12).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서랍체(1)의 전판부(13)를 이용하여 서랍체(1)를 압입조작하면, 비스듬하게 일어서 있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의 상면으로서 후술하는 암체(31)의 회동조립위치와 주홀더체(30b)의 회동조립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부분이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를 에워 싸는 상연부(上椽部)(22a)에 맞닿고, 주홀더체(30)는 이 압입조작에 따라서 다시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40)의 탄지에 저항하면서 복도된다.
[암체(31)]
암체(31)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1) 좌우 1쌍의 암부(31b,31b)와,
(2) 이 암체(31)가 소정의 위치까지 기립한 상태에서, 이 암체(31)의 상측이 되는 측에 있어서, 상기 좌우 1쌍의 암부(31b,31b) 사이에 걸치도록 형성된 횡판부(31c)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암체(31)는 상기 암부(31b)의 하단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에 있어서의 이 기부(30b)와 U자형상부(30c)의 연접개소 근방에 형성된 좌우의 오목부(30i)에 각각 상기 1쌍의 암부(31b,31b)의 하단을 삽입함과 아울러, 이 암부(31b)의 하단에 형성된 축구멍(31e)과 이 오목부(30i)의 측벽에 형성된 축구멍(30j)에 샤프트(31f)를 관통시킴으로써, 주홀더체(30)에 암체(31)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체(31)의 회동은, 암체(31)의 하면이 주홀더체(30)의 상면을 따르도록 한 복도위치에서부터, 상기 암체(31)의 암부(31b)에 있어서의 상기 샤프트(31f)에 의한 회동조립위치와 암부(31b)의 하단과의 사이의 개소가 상기 오목부(30i)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오목부(30i) 내면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으며(도 11 참조),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주홀더체(30)의 상면에 하면을 따르도록 복도되어 있는 암체(31)는 이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주홀더체(30)의 상면에 대해서 거의 8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회동기립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홀더체(30)의 기부(30b)에 형성된 좌우 오목부(30i, 30i) 중 일측의 오목부(30i){도 16에 있어서의 하측에 위치되는 오목부(30i)}를 기준으로 한 내측방에 상측에 있어서 외측으로 개방된 스프링의 수용공간(30k)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러한 수용공간(30k)을 통과하는 상기 샤프트(31f)를 스프링 권회부의 내측에 납입되도록 하여 구비된 나사 코일 스프링(50)에 의해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31)가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50)이 상기 제 2 탄지수단(5)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50)은, 스프링 일단을 주홀더체(30)의 수용공간(30k)의 바닥부에 맞닿게 함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을 암체(31)의 암부(31b)의 일측의 하단에 상착(上着)시킨 상태로, 스프링 권회부를 탄성변형시키도록 구비되어 있으며(도 10),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위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권회부를 확대시키도록 탄발하여 암체(31)가 일어서도록 하고 있다.
서랍체(1)를 완전히 인출한 상태에서 서랍체(1)의 전판부(13)를 이용하여 서랍체(1)를 압입조작하면, 일어서 있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을 향한 면에 있어서, 이 암체(31)의 회동조립위치보다 상측에 위치되는 부분이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를 둘러싸는 상연부(22a)에 충돌되어, 암체(31)는 이 압입조작에 따라서 다시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50)의 탄지에 저항하면서 복도된다.
[부홀더체(32)]
부홀더체(32)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체(31)의 좌우 암부(31b,31b)의 상단(上端)간에 수납되는 폭을 구비한 대략 방형의 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홀더체(32)는, 그 일변부(32a)에 있어서 암체(31)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암체(31)의 좌우 암부(31b,31b)의 상단과 횡판부(31c)의 상연(上椽)과의 사이에 부홀더체(32)의 일변부(32a)의 납입공간(31g)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납입공간(31g)에 부홀더체(32)의 일변부(32a)를 삽입시킴과 아울러, 상기 납입공간(31g)에 접하는 암부(31b)의 상단에 형성된 축구멍(31h)과, 이와 같이 삽입되는 일변부(32a)와 이 일변부(32a)와 서로 이웃하는 좌우변부가 서로 접하는 코너부에 각각 형성된 축받이 돌부(32b)에 형성된 축구멍(32c)에 샤프트(32d)를 관통시킴으로써, 암체(31)에 부홀더체(32)를 회동가능하게 조립하고 있다. 상기 축받이 돌부(32b)는, 부홀더체(32)의 양면 중, 기립위치에 있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과 마주 향하는 면(이하, 이 측에 있는 부홀더체(32)의 면을 부홀더체(32)의 배면(32e)이라 칭하고, 또한, 이 배면(32e)의 반대의 부홀더체(32)의 면을 부홀더체(32)의 전면(32f)이라 칭한다.)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홀더체(32)의 배면(32e)에 있어서, 좌우의 상기 축받이 돌부(32b,32b)의 측방에 각각, 상기 일변부(2a)를 따르는 회동규제 리브(32g)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홀더체(32)의 회동은, 부홀더체(32)의배면(32e)을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하는 면(31a)을 따르게 한 말(末)회동위치에서부터, 상기 부홀더체(32)의 회동규제 리브(32g)가 암체(31)의 횡판부(31c)에 있어서의 상연부에 형성된 돌출부(31d)에 맞닿는 위치까지의 사이에서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즉, 서랍체(1)의 바닥판부(12)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배면(32e)을 암체(31)의 상기 면(31a)에 근접시킨 부홀더체(32)는, 상기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기립위치에 있는 암체(31)의 상기 면(31a)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거의 6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부홀더체(32)의 일변부(32a)에 형성된 좌우의 회동규제 리브(32g,32g)의 사이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32d)를 스프링 권회부(63)의 내측에 납입되도록 하여 구비된 나사 코일 스프링(60)에 의해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부홀더체(32)가 상기와 같이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60)이 상기 제 3 탄지수단(6)으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나사 코일 스프링(60)은, 스프링 일단(61)을 암체(31)의 횡판부(31c)에 형성시킨 홈(31i)의 홈바닥에 눌러 댐과 아울러, 스프링 타단(62)을 부홀더체(32)의 배면(32e)측에 형성시킨 홈(32h)의 홈바닥에 눌러 댄 상태로, 스프링 권회부(63)를 탄성변형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되어 있으며(도 19 참조), 암체(31)가 기립방향으로 회동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권회부(63)를 확대시키도록 탄발하여 부홀더체(32)를 상기와 같이 회동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수납체(2)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으로 음료용기(Y)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Y)의 측부(Ya)에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3)가 눌려져 닿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체(2)로부터의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기립되는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와 같이 회동되는 부홀더체(32)의 전면(32f)을 수평에 가까운 방향으로 배치시키도록, 부홀더체(32)의 선단(32i)측{즉, 상기 일변부(32a)에 대향하는 타변부측}을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측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으로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Y)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우선, 부홀더체(32)의 전면(32f)에 음료용기(Y)의 바닥부 혹은 바닥부측의 측부(Ya)가 맞닿음과 아울러, 이 맞닿음에 의해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여 부홀더체(32)가 그 배면(32e)을 암체(3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부홀더체(32)의 회동에 의해서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에 음료용기(Y)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능)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는, 이상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1) 서랍체(1)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1 탄지수단(4)에 의해서 주홀더체(30)를, 이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단부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2) 또, 이와 같이 서랍체(1)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암체(31)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킬수 있다.
(3) 또, 서랍체(1)를 인출조작함에 따라서 기립된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킬 수 있다.
(4) 암체(31)는,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주홀더체(30)에 조립되어 있으며, 또한, 서랍체(1)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며,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과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유지공간(30a)의 내측부(30m)와의 사이에 상기 제 2 탄지수단(5)에 의해서 상시 일정 간격을 형성한다. 그리고, 부홀더체(32)는, 이와 같이 기립된 암체(31)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을 향한 면(31a)으로부터 상기 제 3 탄지수다(6)에 의해서 상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지됨과 아울러,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으로 음료용기(Y)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Y)의 측부(Ya)에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32)가 눌려져 닿도록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내로 돌출된다.
(5) 이것에 의해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공간(30a)에 대해서 상방으로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를,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의 바닥에 맞닿는 서랍체(1)의 상면(10)과, 이 받아들임에 따라서 이와 같이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에 의해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로 상기 음료용기(Y)의 측부(Ya)에 눌려져 닿는 부홀더체(32)와, 주홀더체(30)에 있어서의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유지공간(30a)의 내측부(30m)에 의해서 기립상태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6)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컵홀더 장치에 의하면, 부홀더체(32)가 제 3 탄지수단(6)에 의해서 상기 서랍체(1)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상시 상향으로 탄지되고 있기 때문에, 유지공간(30a)의 상방으로부터, 이 유지공간(30a) 내로 상기 부홀더체(32)를 상기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시키면서 부드럽게 음료용기(Y)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Y)를 각가 절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도 2 내지 도 4).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수납체(2)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부홀더체(32)의 선단(32i)부와,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에 있는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의 내측부(30m)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공간(30a)으로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지는 음료용기(Y)를, 서랍체(1)의 인출 전단측(14)과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에서 전후에서 끼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음료용기(Y)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기립된 암체(31)와 부홀더체(32)가 이루는 각도(α)가,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1)를 수납체(2)에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수납체(2)의 인출 개방부(22)에 맞닿아서 암체(31)가 복도되었을 시에,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32)를 회동시키도록 부홀더체(32)의 선단(32i)부가 서랍체(1)의 상면(10)에 맞닿게 하는 각도로 되어 있다(도 5, 도 9).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서랍체(1)의 압입조작에 따라서 기립상태에 있는 암체(31)가 쓰러져 들어갔을 때에, 이와 같이 쓰러져 들어간 암체(31)와 부홀더체(32)가 이루는 각도(α)가, 서랍체(1)의 인출 후단측(15)에 있어서 예각이 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결과,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1)를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복도되는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과의 사이에 부홀더체(32)가 수납되도록, 상기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부드럽게 회동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서랍체(1)의 압입조작에 따라서 서랍체(1)의 상면(10)에 맞닿는 부홀더체(32)의 선단(32i)부에, 암체(31)와 마주 향하는 측을 만곡내측으로 하도록 만곡된 만곡면부(32j)가 형성되어 있으며, 서랍체(1)의 상면(10)에 이 만곡면부(32j)에 의해서 부홀더체(32)가 맞닿아서 상기 제 3 탄지수단(6)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드럽게 부홀더체(32)가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수납체(2)에 대한 서랍체(1)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상기 부홀더체(32)는, 상기 주홀더체(30)의 유지공간(30a) 내에 삽입된 상태로, 제 3 탄지수단(6)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복도된 암체(31)와 서랍체(1)의 상면(10)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도 15).
본 발명에 관한 컵홀더 장치에 의하면, 부홀더체가 제 3 탄지수단에 의해서 상기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상시 상향으로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유지공간의 상방으로부터, 이 유지공간 내로 상기 부홀더체를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압입하면서 부드럽게 음료용기를 삽입시킬 수 있다. 또, 외측 지름이 다른 각종 음료용기를 각각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서랍체와,
    상기 서랍체를 인출가능하게 수납하는 수납체와,
    서랍체의 수납체에 대한 수납상태에 있어서 서랍체의 상면측과 수납체의 상부 내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는 홀더수단을 가지고 있으며,
    홀더수단은,
    서랍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됨과 아울러, 상방으로부터 음료용기를 받아들이는 유지공간을 구비한 홀더체와,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하여 수납체에 수납되도록, 주홀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후단측에 있어서 주홀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암체와,
    서랍체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복도되어 있는 암체와 서랍체의 상면과의 사이에 수납되도록 상기 암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된 부홀더체와,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주홀더체를, 상기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단부가 상승되도록 경동시키는 제 1 탄지수단과,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암체를 소정의 기립위치까지 회동시키는 제 2 탄지수단과,
    서랍체의 인출조작에 따라서 기립되는 암체에 있어서의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을 향한 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는 제 3 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으로 음료용기를 받아들임에 따라서 음료용기의 측부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의해서 부홀더체가 눌려져 닿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서랍체의 수납체로부터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부홀더체의 선단부와, 서랍체의 인출 전단측에 있는 주홀더체의 유지공간의 내측부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서랍체의 인출상태에 있어서 기립된 암체와 부홀더체가 이루는 각도가, 인출상태에 있는 서랍체를 수납체에 압입조작함에 따라서 수납체의 인출 개방부에 맞닿아서 암체가 복도되었을 시에, 제 3 탄지수단의 탄지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부홀더체를 회동시키도록 상기 부홀더체의 선단부가 서랍체의 상면에 맞닿는 각도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컵홀더 장치.
KR10-2002-0034563A 2001-09-18 2002-06-20 컵홀더 장치 KR100495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283544A JP4679008B2 (ja) 2001-09-18 2001-09-18 カップホルダー装置
JPJP-P-2001-00283544 2001-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559A true KR20030024559A (ko) 2003-03-26
KR100495753B1 KR100495753B1 (ko) 2005-06-16

Family

ID=19107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4563A KR100495753B1 (ko) 2001-09-18 2002-06-20 컵홀더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79008B2 (ko)
KR (1) KR1004957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40B1 (ko) * 2010-09-14 2011-05-20 송의현 매트리스 경사도 조절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08477A (ja) 2009-03-10 2010-09-24 Nifco Inc 引き出し装置
KR102299334B1 (ko) * 2017-01-04 2021-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모빌리티 수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39329U (ko) * 1979-09-03 1981-04-13
JPH08216767A (ja) * 1995-02-14 1996-08-27 Piolax Inc カードホルダとカップホルダとの兼用構造
JP3714733B2 (ja) * 1996-08-12 2005-11-09 株式会社ニフコ 車両用カップホルダー
JP3445486B2 (ja) * 1998-02-12 2003-09-08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カップホルダ
JP2000016139A (ja) * 1998-06-30 2000-01-18 Nippon Plast Co Ltd 車両用カップホル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5340B1 (ko) * 2010-09-14 2011-05-20 송의현 매트리스 경사도 조절장치 및 그에 따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89323A (ja) 2003-03-25
JP4679008B2 (ja) 2011-04-27
KR100495753B1 (ko) 2005-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0762B2 (en) Container holder of a vehicle
US7520482B2 (en) Cup holder for vehicles
US20070126327A1 (en) Door basket for refrigerator
US6837471B2 (en) Cup holder device
KR100495753B1 (ko) 컵홀더 장치
US6648194B2 (en) Holder for a drinks container
US6282827B1 (en) Picture frame and stand therefor
JPH10324188A (ja) 容器ホルダ
US5029727A (en) Tooth-pick dispenser
KR100373059B1 (ko) 컵홀더
KR102395177B1 (ko) 차량용 컵홀더
JP3598250B2 (ja) ホルダ
JP2576748Y2 (ja) 缶ホルダ
KR200198324Y1 (ko) 차량용 컵홀더
KR200219122Y1 (ko) 컴퓨터책상
KR0140286Y1 (ko) 자동차의 동전꽂이 겸용 컵홀더
KR0116322Y1 (ko) 콘솔박스에서의 컵홀더구조
JPS589629B2 (ja) 卓上、壁掛兼用形電話機のハンドセツト保持機構
KR200374630Y1 (ko) 전단지 수납대
JP2000289514A (ja) カップホルダー
KR0135277Y1 (ko) 컵 홀더
JP2610789B2 (ja) カップホルダ
JPH11346857A (ja) 折り畳み部材の折り畳み構造
JPH07277059A (ja) カップホルダー兼用小物入れ
KR0162312B1 (ko) 게임기 일체형 브이씨알의 게임팩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