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516A -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516A
KR20030021516A KR1020010054805A KR20010054805A KR20030021516A KR 20030021516 A KR20030021516 A KR 20030021516A KR 1020010054805 A KR1020010054805 A KR 1020010054805A KR 20010054805 A KR20010054805 A KR 20010054805A KR 20030021516 A KR20030021516 A KR 200300215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roller
fixing roller
transfer medium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8295B1 (ko
Inventor
강동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8295B1/ko
Publication of KR20030021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88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removing liquid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1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liquid developer
    • G03G15/11Removing excess liquid developer, e.g. by he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Wet Develop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개시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제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된 중간전사매체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후, 상기 전사매체와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사매체의 클리닝 수단과 상기 정착롤러의 클리닝 수단이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사매체 및 상기 정착롤러 상을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웹; 상기 웹을 상기 전사매체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전사매체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러; 상기 전사매체를 클리닝한 웹을 상기 정착롤러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정착롤러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러; 상기 웹을 상기 제1가압롤러로 공급하는 웹공급롤; 및 상기 잔류화상들을 제거한 뒤의 상기 웹을 회수하는 웹회수롤;을 구비한다. 이에 따르면, 종래의 두 개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함으로써 장비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Cleaning device of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본 발명은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사매체 또는 감광체와 정착롤러 상의 잔류 화상을 연동하여 제거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는 레이저 프린터나 복사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소정의 색상을 가지는 고체상의 토너와 용매역할을 하는 액상의 캐리어가 혼합된 현상액을 감광벨트와 같은 감광매체에 형성된 정전잠상 영역에 부착시켜 원하는 화상을 얻은 후에 인쇄용지에 전사 및 정착시키는 프린팅 기기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전사 및 정착과정에서 전사매체 또는 감광매체와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여야 다음 인쇄과정에서 깨끗한 화상을 용지에 전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중간전사벨트와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습식 컬러 인쇄기의 개략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습식 컬러 인쇄기는 중간전사벨트(10), 감광체(20), 대전기(30), 광주사장치(40), 현상기(50), 전사롤러(60), 정착장치(70), 정착롤러 클리닝장치(80) 및 전사벨트 클리닝장치(90)를 구비한다.
중간전사벨트(10)는 복수의 롤러(12, 14)에 의해서 무한궤도를 회전한다.
대전기(30)는 감광체(20)를 소정 레벨의 전위로 대전시킨다.
4개의 광주사장치(4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 정보를 감광체(20)에 주사하고, 4개의 현상기(50)는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K) 색상의 현상액을 감광체(20)에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각 감광체(20)는 전사벨트(10)내의 대응하는 백업롤러(22)와 맞닿아서 그 표면에 형성된 화상을 그 사이를 통과하는 중간전사벨트(10)에 1차 전사한다.
전사롤러(60)는 토너의 극성과 반대극성으로 직류전압이 인가된 상태에서 롤러(14)와의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전사벨트(10)에 형성된 화상(C)을 2차 전사시킨다.
정착장치(70)는 그 내부에 히터(72)를 포함하는 정착롤러(74)와, 정착롤러(74)와 용지 이송경로상에서 대향되게 설치되는 가압롤러(76)를 구비한다.
정착롤러 클리닝장치(80)는 웹(web: 81)을 공급하는 공급롤(82)과, 상기 공급된 웹(81)을 정착롤러(74)에 가압하는 가압롤러(84)를 통해서 웹(81)을 회수하는 회수롤(86)과, 상기 공급롤(82)의 웹에 액상 캐리어 또는 용액을 공급하는 저장조(88)를 구비한다.
전사벨트 클리닝장치(90)는 제2차 전사과정을 지난 전사벨트(10) 상의 잔류화상을 제거하기 위해서 웹(web: 91)을 공급하는 공급롤(92)과, 상기 공급된 웹(91)을 롤러(12)에 가압하는 가압롤러(94)를 통해서 웹을 회수하는 회수롤(96)과, 상기 회수롤(96)로부터의 캐리어를 담는 회수조(98)를 구비한다.
상기 구성의 습식 컬러 인쇄기의 인쇄 및 클리닝 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대전기(30)를 통해 감광체(20)가 소정 레벨의 전위로 대전된 후, 대전된 감광체(20)의 소정 영역에 대해 광주사장치(40)가 광을 주사한다. 주사된 광에의해 감광체(30)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50)의 전하를 띤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감광체(20)에 현상된 화상들은 각 감광체(20)와 그에 대응하는 백업롤러(22) 사이를 통과하는 전사벨트(10)의 소정 영역에 1차 전사된다. 1차전사된 컬러 화상은 전사롤러(60)와 그에 대응하는 롤러(14)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2차전사된다. 이 때 전사롤러(60)에는 토너와 반대극성으로 직류전압이 인가되며, 따라서 토너와 전사롤러(60)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토너는 용지(P)에 밀착된다. 토너가 밀착된 용지(P)는 정착롤러(74)와 그에 대향하는 가압롤러(76) 사이를 통과하며 정착롤러(74) 내부의 히터(72)에 의한 열과 롤러들(74, 76) 사이의 압력에 의해서 토너가 용지(P)에 순간적으로 융착된다. 컬러화상이 융착된 용지(P)는 용지이송경로(79)를 따라 배출된다.
이러한 토너의 정착과정중 정착롤러(74)에 잔류하는 토너는 정착롤러(74)로부터의 열로 인해 캐리어가 증발되어서 건조된 상태이며, 따라서 정착롤러 클리닝장치(80)로 잘 제거되지 않으므로 모세관 현상이 일어나는 천(89)을 통해서 저장조(88)의 캐리어를 공급롤(82)의 클리닝 웹(81)에 공급하여 웹(81)을 어느 정도 적신 다음에 가압롤러(84)로 웹(81)을 정착롤러(74)에 밀착시켜서 잔류화상을 제거한다. 클리닝을 마친 웹(81)은 정착롤러(74)의 열로 인해서 건조된 상태로 회수롤(86)로 감겨진다.
한편, 2차 전사과정후의 전사벨트(10)에도 잔류하는 화상이 존재하며, 이 잔류화상에는 약간의 캐리어가 남아 있다. 전사벨트 클리닝장치(90)의 공급롤(92)로부터의 웹(91)이 가압롤러(94)에 의해서 전사벨트(10)의 롤러(12)에 밀착되켜서 잔류화상을 제거한다. 클리닝을 마친 웹(91)은 회수롤(96)로 감겨진다. 이 때 회수롤(96)의 웹(91)으로부의 캐리어가 낙하되어 캐리어 회수조(98)에 모아진다.
따라서, 종래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중간전사벨트와 정착롤러를 각각 클리닝하는 장치로 분리되어 있어서 인쇄기에서 차지하는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전사매체로서 중간전사벨트를 사용하는 실시예를 들었지만, 하나의 감광드럼으로 감광체와 중간전사매체의 역할을 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전사벨트와 정착롤러의 클리닝장치를 일체형으로 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감광체와 정착롤러의 클리닝장치를 일체형으로 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습식 컬러 인쇄기의 개략 설명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식 컬러 인쇄기의 개략 설명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식 컬러 인쇄기의 개략 설명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중간전사벨트 20: 감광체
30,230: 대전기 40,240: 광주사장치
50,250: 현상기 60,260: 전사롤러
70,270: 정착장치 80: 정착롤러 클리닝장치
90: 전사벨트 클리닝장치 100,200: 잔류화상 제거장치
101,201: 웹(web) 102,202: 공급롤
104,204: 제1가압롤러 106,206: 제2가압롤러
108,208: 회수롤 220: 감광드럼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제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된 중간전사매체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후, 상기 전사매체와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전사매체의 클리닝 수단과 상기 정착롤러의 클리닝 수단이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사매체 및 상기 정착롤러 상을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웹; 상기 웹을 상기 전사매체 상의 잔류화상과접촉되도록 상기 전사매체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러; 상기 전사매체를 클리닝한 웹을 상기 정착롤러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정착롤러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러; 상기 웹을 상기 제1가압롤러로 공급하는 웹공급롤; 및 상기 잔류화상들을 제거한 뒤의 상기 웹을 회수하는 웹회수롤;을 구비한다.
상기 제1가압롤러와 대응되게 상기 전사매체 내에서 상기 전사매체를 상기 제1가압롤러 쪽으로 밀어주는 백업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웹회수롤을 구동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제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된 감광드럼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후, 상기 감광드럼과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감광드럼의 클리닝 수단과 상기 정착롤러의 클리닝 수단이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정착롤러 상을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웹; 상기 웹을 상기 감광드럼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감광드럼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러; 상기 감광드럼을 클리닝한 웹을 상기 정착롤러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정착롤러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러; 상기 웹을 상기 제1가압롤러로 공급하는 웹공급롤; 및 상기 잔류화상들을 제거한 뒤의 상기 웹을 회수하는 웹회수롤;을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층이나 영역들의 두께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습식 컬러 인쇄기의 개략 설명 도면이며,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구조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종래의 정착롤러 클리닝장치 및 전사벨트 클리닝장치가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잔류화상 제거장치(100)가 전사벨트(10)와 정착롤러(74)를 거쳐서 위치하고 있다. 잔류화상 제거장치(100)는 클리닝 웹(101)을 공급하는 공급롤(102)과, 전사벨트(10) 및 정착롤러(74) 상의 잔류화상 제거 작업을 마친 웹(101)을 회수하는 회수롤(108)과, 상기 웹(101)을 전사벨트(10)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104)과, 상기 제1가압롤러(104)에 대응되게 중간전사롤러(10) 내에 배열된 백업롤러(105)와, 상기 웹(101)을 정착롤러(74)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106)을 구비한다.
한편, 종래의 클리닝장치와는 구별되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잔류화상 제거장치(100)는 캐리어를 공급 또는 수급하는 용기들(도 1의 88, 98)이 없으며, 상기 공급롤(102)과 회수롤(108)이 하나의 구동모터(미도시)로 가동되는 점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상기 구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대전기(30)를 통해 감광체(20)가 소정 레벨의 전위로 대전된 후, 대전된 감광체(20)의 소정 영역에 대해 광주사장치(40)가 광을 주사한다. 주사된 광에 의해 감광체(30)에는 정전잠상이 형성되고, 이 정전잠상은 현상기(50)의 전하를 띤 토너에 의해 현상된다. 감광체(20)에 현상된 화상들은 각 감광체(20)와 그에 대응하는 백업롤러(22) 사이를 통과하는 전사벨트(10)의 소정 영역에 1차 전사된다. 1차전사된 컬러 화상은 전사롤러(60)와 그에 대응하는 롤러(14)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2차전사된다. 이 때 전사롤러(60)에는 토너와 반대극성으로 직류전압이 인가되며, 따라서 토너와 전사롤러(60)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토너는 용지(P)에 밀착된다. 토너가 밀착된 용지(P)는 정착롤러(74)와 그에 대향하는 가압롤러(76) 사이를 통과하며 정착롤러(74) 내부의 히터(72)에 의한 열과 롤러들(74, 76) 사이의 압력에 의해서 토너가 용지(P)에 순간적으로 융착된다. 컬러화상이 융착된 용지(P)는 용지이송경로(79)를 따라 배출된다.
한편, 잔류화상 제거장치(100)의 공급롤(102)로부터 공급된 웹(101)은 제1가압롤러(104)에 의해서 전사롤러(10) 내 백업롤러(105)에 밀착되어 2차전사과정에서 용지(P)로 전사되지 않고 전사벨트(10)에 남은 잔류화상을 제거한다. 이 때 전사벨트(10)에 남아있는 캐리어도 클리닝 웹(101)에 함께 닦여 나가면서 웹(101)을 적신다.
상기 캐리어로 적셔진 웹(101)은 다음 이동경로에서 제2가압롤러(106)에 의해서 정착롤러(74)에 맞닿아져 정착롤러(74) 잔류화상을 클리닝한다. 이 때 웹(101)은 적셔진 상태에서 가열된 정착롤러(74)를 클리닝하기 때문에 정착롤러(74)의 잔류화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또한 히터(72)로 가열된 정착롤러(74)의 열로 인해서 가열되므로 클리닝 작업을 마친 웹(101)이 회수롤(108)에 감겨도 아래로 흐르는 캐리어가 없기 때문에 캐리어 회수조(도 1의 98 참조)가 불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습식 컬러 인쇄기의 개략 설명 도면이다. 종래의 발명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는 구성요소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감광드럼(220)을 전사매체로 사용하는 습식 컬러 인쇄기에는 감광드럼(220)의 원주 상에 접촉하는 4개의 현상기(250)가 배열되어 있다. 감광드럼(220)의 회전경로상의 전단에는 대전기(230) 및 광주사장치(240)가 배열되어 있다. 현상기(250)의 후단에는 전사롤러(260), 정착장치(270) 및 잔류화상 제거장치(200)가 배열되어 있다.
잔류화상 제거장치(200)는 감광드럼(220)과 정착롤러(274)를 거쳐서 위치하고 있다. 잔류화상 제거장치(200)는 클리닝 웹(201)을 공급하는 공급롤(202)과, 감광드럼(220) 및 정착롤러(274) 상의 잔류화상 제거작업을 마친 웹(201)을 회수하는 회수롤(208)과, 상기 웹(201)을 감광드럼(220)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204)과, 상기 웹(201)을 정착롤러(274)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208)을 구비한다.
상기 구조의 습식 컬러 인쇄기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대전기(230)는 감광드럼(220)을 소정 레벨의 전위로 대전시킨다. 광주사장치(240)는 감광드럼(220)에 광주사하여 정전잠상을 형성한다. 컬러별 현상기들(250)은 감광드럼(220)의 소정 영역에 각 컬러의 화상을 현상한다.
다음 경로 상의 전사롤러(260)는 감광롤드럼(220)을 백업롤러로 하여 그 사이를 통과하는 용지(P)에 컬러 화상을 전사한다. 이 때 전사롤러(260)에는 직류전압이 인가되어서 토너의 극성과 반대되는 극성이 대전되어 토너를 용지에 밀착시킨다.
토너가 밀착된 용지(P)는 정착롤러(274)와 그에 대향하는 가압롤러(276) 사이를 통과하며 정착롤러(274) 내부의 히터(272)에 의한 열과 롤러들(274, 276) 사이의 압력에 의해서 토너가 용지(P)에 순간적으로 융착된다. 컬러화상이 융착된 용지(P)는 용지이송경로(279)를 따라 배출된다.
한편, 잔류화상 제거장치(200)의 공급롤(202)로부터 공급된 웹(201)은 제1가압롤러(204)에 의해서 감광드럼(220)에 밀착되어 전사과정에서 용지(P)로 전사되지 않고 감광드럼(220)에 남은 잔류화상을 제거한다. 이 때 감광드럼(220)에 남아있는 캐리어도 클리닝 웹(201)에 함께 닦여 나가면서 웹(201)을 적신다.
상기 캐리어로 적셔진 웹(201)은 다음 이동경로에서 제2가압롤러(206)에 의해서 정착롤러(274)에 맞닿아져 정착롤러(274) 상의 잔류화상을 클리닝한다. 이 때 웹(201)은 적셔진 상태에서 히터(272)에 의해 가열된 정착롤러(274)를 클리닝하기 때문에 정착롤러(274)의 잔류화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또한 가열된 정착롤러(274)의 열로 인해서 가열되므로 클리닝 작업을 마친 웹(201)이 회수롤(208)에 감겨도 아래로 흐르는 캐리어가 없기 때문에 캐리어 회수조(도 1의 98 참조)가 필요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종래의 두 개의 잔류화상 제거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결합함으로써 장비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또한 장치가 차지하는 부피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제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된 중간전사매체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후, 상기 전사매체와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사매체의 클리닝 수단과 상기 정착롤러의 클리닝 수단이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상기 전사매체 및 상기 정착롤러 상을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웹;
    상기 웹을 상기 전사매체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전사매체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러;
    상기 전사매체를 클리닝한 웹을 상기 정착롤러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정착롤러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러;
    상기 웹을 상기 제1가압롤러로 공급하는 웹공급롤; 및
    상기 잔류화상들을 제거한 뒤의 상기 웹을 회수하는 웹회수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롤러와 대응되게 상기 전사매체 내에서 상기 전사매체를 상기 제1가압롤러 쪽으로 밀어주는 백업롤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웹회수롤을 구동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5. 분말상의 토너와 액상의 용제가 혼합된 현상액으로 현상된 감광드럼 상의 화상을 용지에 전사 및 정착후, 상기 감광드럼과 정착롤러에 잔류하는 화상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의 클리닝 수단과 상기 정착롤러의 클리닝 수단이 일체형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잔류화상 제거장치는,
    상기 감광드럼 및 상기 정착롤러 상을 연속적으로 접촉하는 웹;
    상기 웹을 상기 감광드럼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감광드럼에 밀착시키는 제1가압롤러;
    상기 감광드럼을 클리닝한 웹을 상기 정착롤러 상의 잔류화상과 접촉되도록 상기 정착롤러에 밀착시키는 제2가압롤러;
    상기 웹을 상기 제1가압롤러로 공급하는 웹공급롤; 및
    상기 잔류화상들을 제거한 뒤의 상기 웹을 회수하는 웹회수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웹회수롤을 구동하는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KR10-2001-0054805A 2001-09-06 2001-09-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KR1004082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805A KR100408295B1 (ko) 2001-09-06 2001-09-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805A KR100408295B1 (ko) 2001-09-06 2001-09-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516A true KR20030021516A (ko) 2003-03-15
KR100408295B1 KR100408295B1 (ko) 2003-12-01

Family

ID=2772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805A KR100408295B1 (ko) 2001-09-06 2001-09-06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82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2780A (ko) * 2012-04-04 2013-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KR20130112767A (ko) * 2012-04-03 2013-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KR20150126735A (ko) * 2010-10-04 2015-11-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6735A (ko) * 2010-10-04 2015-11-12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US9588465B2 (en) 2010-10-04 2017-03-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ower supply common to primary transfer and secondary transfer
KR20130112767A (ko) * 2012-04-03 2013-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US9158238B2 (en) 2012-04-03 2015-10-1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tretch member and contact member to maintain potential with current flowing from current supply member to intermediate transfer belt
US9417568B2 (en) 2012-04-03 2016-08-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stretch member and contact member to maintain potential with a current flowing to intermediate transfer belt
KR20130112780A (ko) * 2012-04-04 2013-10-14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화상 형성 장치
US9141038B2 (en) 2012-04-04 2015-09-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US9335726B2 (en) 2012-04-04 2016-05-1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transfer unit fr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8295B1 (ko) 200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7890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inting a mono-color image using a single-pass color printer
JP3872030B2 (ja) 定着方法、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408295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잔류화상 제거장치
KR19990069625A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프린터의 전사 롤러 클리닝장치
US5905929A (en)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4793923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462617B1 (ko) 폐현상제 용기를 구비한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JP2001166614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29809B1 (ko) 중간 전사매체의 비화상영역의 오염제거장치를 구비한전자 사진방식 인쇄기 및 그 방법
JP3692243B2 (ja) 湿式画像形成装置
KR100358093B1 (ko) 습식 화상형성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및 크리닝방법
KR200259771Y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액체캐리어제거장치
KR100304611B1 (ko) 화상형성장치의감광매체클리닝장치
KR100503064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KR100477689B1 (ko) 습식 전자사진 화상형성장치 및 2차전사방법
KR100346716B1 (ko) 습식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롤러 크리닝장치
KR100224906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방법 및 그 장치
KR100219687B1 (ko) 전자사진방식 인쇄기의 전사방법 및 이를 적용한 전사장치
KR100275687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 매체 크리닝 방법
JP5403420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335427B1 (ko) 습식전자사진방식프린터의전사롤러크리닝장치
KR200160903Y1 (ko) 전자사진방식 프린터
JPH08202129A (ja) 電子写真方法
JPH1078731A (ja)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2000098765A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