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978A -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 - Google Patents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978A
KR20030020978A KR10-2003-7001916A KR20037001916A KR20030020978A KR 20030020978 A KR20030020978 A KR 20030020978A KR 20037001916 A KR20037001916 A KR 20037001916A KR 20030020978 A KR20030020978 A KR 2003002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llet
support
section
cooling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0327B1 (ko
Inventor
아돌프 구스타프 짜유버
디르크 레첼
빌프라이트 미레브스키
토마스 페스트
하인쯔 디트리히 슈나이더
로타르 피셔
헤르베르트 브로츠키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데마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01/009092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11923A1/de
Publication of KR2003002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0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0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2Vertical casting and curving the cast stock to the horizon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9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I-beams, U-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4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cooling
    • B22D11/1246Nozzles; Spray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사수(29)에 의해 냉각되고 인발되는 강 주조 빌렛(1),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2)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2차 냉각의 범위에서 빌렛 표면의 냉각 조건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미세 조직 중의 균열, 특히 표면 균열을 회피시키고, 빔-블랭크 포맷의 냉각 및 지지를 크레이터가 존재하는 구역에서만 냉각 및 지지가 이뤄지도록 응고 구역에 맞춰 적합화시켜 플랜지 상부 에지 상에서 또는 다른 횡단면 구역에서 원하지 않는 응고 구조를 피함으로써 빌렛 쉘의 과냉을 회피시킨다. 그를 위해, 상류 지지 세그먼트(5, 6, 7)에서는 그 폭이 지지 롤의 길이 이상인 분사수 제트(8)에 의해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함으로써 주조 빌렛(1)을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종 방향 측면 및 횡 방향 측면(13; 14)에서 냉각시키고, 빌렛 경로 길이 및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코어 구역(15)에서의 냉각 상태와 유사하게 주조 빌렛(1)을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횡 방향 측면(14)에서 더 적게 지지하면서 코어 구역(15)에만 맞춰 정향된 분사수 제트에 의해 냉각시킨다.

Description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METHOD AND STRAND GUIDE FOR SUPPORTING, GUIDING AND COOLING CASTING STRANDS MADE OF STEEL, ESPECIALLY PRELIMINARY SECTIONS FOR GIRDERS}
JP 42 00 844로부터 주조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용 빌렛 가이드에서 개개의 지지 롤을 일부는 접촉 롤(touch roll)로서, 다른 일부는 프로파일 바닥에 배치된 짧은 길이의 긴 롤로서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경우, 주조 횡단면의 폭 방향 측면에는 상응하는 길이의 지지 롤이 배치된다. 그러나, 그러한 배치는 해당 주조 빌렛의 지점에 존재하는 빌렛 쉘(shell)의 두께 및 필요한 냉각을 감안하지 않은 것이다.
빌렛 가이드의 기능이 페로스타틱 압력(ferro-static pressure)에 대한 주조 빌렛의 보호뿐만 아니라, 2차 냉각에 의한 응고 열의 제거 및 연속 주조 주형에서 생성된 프로파일 기하 형상의 유지까지 포함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여전히 표면 균열이 발생되고 있다.
빌렛 가이드는 프로파일의 견실성이 높으면서도 결함이 없는 주조 빌렛의 표면 품질과 균열 및 편석이 없는 내부 품질을 지향해야 한다.
본 발명은 주조 빌렛이 연속 주조 주형을 떠난 후에 주조 빌렛을 기점 세그먼트(zero segment)에서 2차 냉각에 의해 냉각시키고, 후속 지지 세그먼트에서 분사수에 의해 추가로 냉각시켜 인발하는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BBL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 중에서,
도 1은 주조 빌렛 경로에 할당되는 예비 프로파일 주조 빌렛의 빌렛 쉘 두께와 함께 주조 빌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A는 연속 주조 주형에서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A는 연속 주조 주형의 출구에서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기점 세그먼트에서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지지 롤의 배치 및 2차 냉각의 형식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며,
도 2C는 후속 지지 세그먼트에서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지지 롤의 배치 및 2차 냉각의 형식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2D는 이후의 지지 세그먼트에서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지지 롤의 배치 및 2차 냉각의 형식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며,
도 2E는 다음 지지 세그먼트에서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지지 롤의 배치 및 2차 냉각의 형식과 함께 나타낸 도면이고,
도 2F는 2차 냉각이 없는 완전 응고 전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G는 완전 응고가 거의 이뤄질 무렵의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H는 완전 응고 후에 롤러 테이블 상에 놓여져 있는 주조 빌렛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지지 세그먼트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접촉 롤을 구비한 지지 세그먼트의 단면 사시도이며,
도 4B는 접촉 롤이 없는 지지 롤 세그먼트의 단면 사시도이고,
도 5는 개방된 구성의 기점 지지 세그먼트의 횡단 측면 사시도이며,
도 6은 개방된 구성의 기점 지지 세그먼트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주조 빌렛1a주조 빌렛 횡단면
2예비 프로파일(빌렛 프로파일)3연속 주조 주형
4기점 지지 세그먼트5지지 세그먼트
6지지 세그먼트7지지 세그먼트
8분사수 제트9인발기
10폭(분사수 제트)11길이
12지지 롤 쌍13종 방향 측면(주조 빌렛)
14횡 방향 측면(주조 빌렛)15코어 구역
16중심 구역17지지 롤
18지지 롤19주조 빌렛 프로파일 구역
20접촉 롤21빌렛 쉘
22수평 지지 롤23상부 프레임
24하부 프레임25측부 프레임
26착탈식 롤27분사 판
28화살표 방향29분사수
30외측 리브31보강재
32내측 리브33노즐체
본 발명의 목적은 2차 냉각 구역에서 빌렛 표면의 냉각 조건을 적합화시킴으로써 미세 조직(microstructure) 중의 균열, 특히 표면 냉각 균열을 회피시키고, 특히 2차 냉각 구역에서 빌렛 쉘의 과냉(undercooling)을 회피시키는 것이다.
그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 방법에서 본 발명에 따라 빔-블랭크 포맷의 냉각 및 지지를 크레이터(crater)가 존재하는 구역에서만 냉각 및 지지가 이뤄지도록 응고 구역에 맞춰 적합화시켜 플랜지 상부 에지 상에서 또는 다른 횡단면 구역에서 원하지 않는 응고 구조를 회피시키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그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구성은 상류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그 폭이 지지 롤의 길이 이상인 분사수 제트에 의해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함으로써 주조 빌렛을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 및 횡 방향 측면에서 냉각시키고, 빌렛 경로 길이 및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어 구역에서의 냉각 상태와 유사하게 주조 빌렛을 주조 빌렛 횡단면의 횡 방향 측면에서 더 적게 지지하면서 액상 코어 구역에만 맞춰 정향된 그 폭이 크레이터의 폭 이하에 불과한 분사수 제트에 의해 냉각시키도록 조치한다. 그럼으로써, 빌렛 쉘의 과냉이 회피되고, 균열, 특히 표면 균열이 현저히 감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에 따르면, 기점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주조 빌렛을 그프로파일 단부,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의 중심 구역, 및 횡 방향 측면에서 지지한 채로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함으로써 주조 빌렛 프로파일 구역을 제외한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 및 횡 방향 측면을 냉각시키고, 빌렛 경로 길이에 걸쳐 진행되는 빌렛 쉘 형성 시에는 단지 주조 빌렛 횡단면의 중심 구역 및 양 횡 방향 측면에서만 주조 빌렛을 지지하며, 코어 구역의 크레이터 첨두부의 구역에서는 횡 방향 측면을 크레이터 첨두부의 구역에 국한시켜 지지 및 냉각시키고 종 방향 측면에는 크레이터 존(zone)에만 맞춰 정향된 분사수 제트를 투입하도록 조치한다. 그럼으로써, 온도가 장방형 주조 빌렛 횡단면부에서는 물론 프로파일 빌렛에서도 주조 빌렛 횡단면의 횡단면 구역에 의존하여 의도된 대로 유도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크레이터 존의 구역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을 그 횡 방향 측면에서 분사수 냉각이 없이 지지하도록 조치한다. 그 경우, 열 흐름이 큰 온도의 비약이 없이 고온 존으로부터 이미 냉각된 존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거의 완전 응고된 상태의 주조 빌렛이 분사수 제트가 없이, 그리고 상부 및 측부에서 지지됨이 없이 지지 롤 상에 놓여져 안내되도록 한다는 차원에서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하는 것을 완료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개개의 지지 세그먼트에서 주조 빌렛에 의도된 대로 온도가 유도될 수 있되, 기점 지지 세그먼트로부터 최종 지지 세그먼트까지 빌렛 프로파일에 맞춰 적합화된 2차 냉각이 사용될 수 있고, 기점 지지 세그먼트에 후속된 지지 세그먼트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과잉의 분사수가 다수의 방향으로 주조 빌렛 횡단면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내 및 냉각 수단에 의해 달성된다. 그럼으로써, 빌렛 가이드 롤이 최적으로 배치된 지지 세그먼트 구성에 의해 공정에 적합한 2차 냉각이 행해져서 열악한 연성 거동(ductility behavior)을 수반하는 빌렛 코너부(플랜지 코너부)의 과냉 경향이 회피되고, 그에 따라 미세 조직 및 표면에서의 균열 발생이 회피되게 된다. 또한, 주조 빌렛 횡단면에서의 균일한 온도 분포도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형태의 온도 유도식 냉각 및 지지에 의해, 다음과 같은 장점이 얻어진다:
- 응고 열의 반출만을 위한 최소화된 분사수 양,
- 플랜지 상부 에지 및 기타의 횡단면 구역의 과냉으로 인한 유수의 감소,
- BBL 횡단면에서의 균일한 온도 형성,
- 주형으로부터 교정 구동기 구역까지의 온도 유도,
- 연성이 가장 좋은 구역에서의 표면 온도의 조절.
빌렛 가이드 세그먼트는 그 구성에 있어 방법 기술상의 요건에 맞춰 적합화되어야 한다. 그 때문에, 그 구성은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이뤄진다:
- 크레이터 존에서만 지지하는 지지 롤,
- 플랜지 상부 측면이 덮여지지 않도록 하는 세그먼트의 구성,
- 최적의 물 유출 특성의 확보,
- 가능한 한 적은 유수가 생기도록 세그먼트 상부 측면에 물 수집 및 안내판을 마련.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지지 및 2차 냉각은 기점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이 중심 대칭적으로 배치된 긴 길이의 지지 롤 쌍에 의해 지지되고 주조 빌렛 프로파일의 코너 구역이 짧은 길이의 접촉 롤 쌍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 빌렛 횡단면의 횡 방향 측면이 그 측면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길이의 지지 롤 쌍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뤄진다. 그러한 형식으로 지지하는 것은 빌렛 쉘의 두께가 30 내지 50 ㎜인 경우에 유리하다. 지지는 실제로 모든 측면 중에서 크레이터 프로파일에서만 행해져서 원하지 않는 과냉이 방지되도록 한다.
또 다른 구성에 따르면, 후속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에는 중심 대칭적으로 배치된 긴 길이의 지지 롤 쌍만이 배치되고 횡 방향 측면에는 그 측면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지지 롤 쌍이 배치되도록 조치한다. 후속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빌렛 쉘의 두께가 이미 40 내지 60 ㎜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너 구역은 더 이상 지지될 필요가 없다.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서로 후속된 지지 세그먼트에서 횡 방향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지지 롤 쌍의 길이를 단축시킴으로써 지지력이 추가로 감소되게 된다. 그것은 그 때에 주조 빌렛의 중심 구역이 이미 완전 응고되어 빌렛 쉘의 외부 구역이 약 50 내지 70 ㎜의 두께로 된다는 것을 그 전제로 하고 있다.
계속해서 응고가 진행될 때에는 후속 지지 롤 세그먼트에서 횡 방향 측면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짧은 길이의 지지 롤 쌍만이 마련되도록 조치한다. 예비 프로파일 주조 빌렛의 경우,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너 구역에서는 경험상으로 빌렛 쉘의 두께가 이미 70 내지 90 ㎜를 취하게 된다.
또한, 코어가 거의 응고된 섹션에서는 주조 빌렛이 하부 측면에서만 지지 롤 상에 놓여지도록 조치한다.
2차 냉각의 분사 구성을 주조 크레이터-코어 구역과 유사하게 설계하는 개선책이 제공된다. 그럼으로써, 지나치게 높은 분사수 추진이 회피되게 된다.
그 경우, 과잉의 분사수가 방출될 수 있도록 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럼으로써, 주조 빌렛의 중심, 예컨대 예비 프로파일의 프로파일 브리지에서 빌렛 지지에 따른 최소의 수량만이 생기게 된다.
또 다른 구성은 긴 길이의 지지 롤에 똑같은 폭의 분사수 제트가 배속되도록 조치한다. 특히, 그러한 조치는 주조 빌렛이 30 내지 60 ㎜ 정도로 상대적으로 얇은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끝으로, 접촉 롤이 기점 지지 세그먼트에 후속된 지지 세그먼트에만 마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빔의 압연 재료가 되는 예비 프로파일(2)용 주조 빌렛(1)이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다(도 1 및 도 1A). 주조 빌렛(1)은 연속 주조 주형(3)을 떠난 후에 기점 지지 세그먼트(4)에서 2차 냉각에 의해 냉각되고, 추가의 후속 지지 세그먼트(5, 6, 7)에서 분사수 제트(8)에 의해 냉각되어 인발기(9)의 종동 롤을 통해 인발된다.
2 m의 간격마다 주조 쉘의 두께가 ㎜ 단위의 두께 표시로 주어져 있다. 길이 "L"은 연속 주조 주형(3)부터 인발기(9)에 이르기까지의 총 설비 길이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반경 "R1", "R2", 및 "R3"은 빌렛 진로의 곡률을 결정한다.
(상부) 기점 지지 세그먼트(4)에서는 그 폭이 지지 롤 쌍(12)의 길이(11) 이상인 분사수 제트(8)가 주조 빌렛(1)에 추진되어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한다. 그러한 분사수 제트(8)는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종 방향 측면(13) 및 횡 방향 측면(14)에 투입된다(도 2A 내지 도 2H). 빌렛 경로 길이 및 아직 점성의 용융물을 주조 빌렛 횡단면(1a) 내에 함유하고 있는 코어 구역(15)에서의 냉각 상태와 유사하게, 종 방향 측면(14)은 더 적게 지지되고(도 2D 내지 도 2F), 분사수 제트(8)는 단지 코어 구역(15)에만 맞춰 정향된다(도 2D).
최적의 그러한 방법(도 2A 내지 도 2H)에 따르면, 주조 빌렛(1)을 종 방향 측면(13)의 중심 구역(16)에 배치된 지지 롤(17) 및 횡 방향 측면(14)에 배치된 지지 롤(18)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연속 주조 주형(3)에서 생성된 형상 견실성이 높은 주조 빌렛(1)이 기점 지지 세그먼트(4)(도 2B)에 유입되게 된다. 그 경우, 주조 빌렛 프로파일 구역(19)은 냉각되지 않고, 접촉 롤(20)에 의해 지지된다. 분사수 제트(8)는 아직 액상 또는 점성의 구역으로 존재하는 빌렛과 그 빌렛 폭 또는 빌렛 두께에 대해 흐름 방향으로 개방된 각을 각각 형성한다. 그럼으로써, 주조빌렛(1)의 내부에서 아직 액상 또는 점성의 용융물이 존재하는 곳에서만 높은 정도로 열이 제거되는 반면에, 이미 응고된 구역, 즉 실질적으로 나머지 빌렛 쉘(21)은 그대로 남아 있게 된다. 그에 의해, 빌렛 코너부의 보다 더 온건한 냉각이 이뤄지고, 그 때문에 표면 균열이 덜 발생되거나 발생되지 않게 된다. 도 2C에 따르면, 분사수 제트(8)는 여전히 계속해서 부채꼴로 유지된다. 도 2D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중심 구역(16)이 여전히 지지 롤(17)에 의해 지지되지만, 더 이상 냉각되지는 않음을 바로 알 수 있다. 분사수 제트(8)는 코어 구역(15)에만 맞춰 정향된다. 지지 롤(18)은 상당히 짧아진 채로 유지된다. 그와 같이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하는 것은 종 방향 측면(13)에서의 분사수 제트(8)가 코어 구역(15)에만 맞춰 정향된다는 점에서 빌렛 진행 경로(도 2E)에서도 지속된다. 궁극적으로, 코어 구역(15)은 매우 작아져서 주조 빌렛(1)이 더 이상 전체적으로 냉각될 필요가 없게 되고, 횡 방향 측면(14)에서 지지 롤(18)만에 의해 안내되게 된다. 도 2G에서는 코어 구역(15)이 훨씬 더 작아져 있고, 주조 빌렛(1)이 수평 지지 롤(22) 상에서만 안내된다. 도 2H에 따르면, 주조 빌렛(1)은 완전 응고되어 있다. 빌렛 쉘(21)의 두께는 예컨대(각각의 주조 횡단면 치수에 의존하여) 도 3B에서는 38.2 ㎜로, 도 2C에서는 54.0 ㎜로, 도 2D에서는 66.1 ㎜로, 도 2E에서는 76.4 ㎜로, 도 2F에서는 85.4 ㎜로, 도 2G에서는 93.5 ㎜로, 그리고 도 2H에서는 101.0 ㎜로 각각 주어진다.
도 3에는 지지 세그먼트(5, 6, 7) 중의 하나가 도시되어 있다. 그에 따르면, 핵심적인 부품 군은 각각 상부 프레임(23), 하부 프레임(24), 측부프레임(25), 착탈식 롤(26), 및 분사 판(27)이다.
도 4A 및 도 4B는 화살표 방향(28)으로 연장된 분사수(29)의 각각의 방출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한 방출 흐름은 특히 지지 세그먼트(5, 6, 7)의 "개방된" 구성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데, 주조 빌렛 횡단면(1a)은 개방된 프레임을 기점으로 하여 외측 리브(30), 보강재(31), 내측 리브(32), 및 사방 측면에 있는 각각의 노즐체(33)에 의해 둘러싸인다.
그 경우, 도 4A의 도면은 대략 도 2B 및 도 2C의 빌렛 경로 길이에 해당되고, 도 4B의 도면은 도 2D의 빌렛 경로 길이에 해당된다.
도 5는 작업 위치에 도시된 지지 세그먼트(5, 6, 7)의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인데, 그 도면에서 지지 프레임(5, 6, 7)의 개방된 구성을 매우 용이하게 알아볼 수 있다. 노즐체(33)로부터 분사수 제트(8)를 통해 주조 빌렛 횡단면(1a) 쪽으로 향하는 분사수(29)는 주위에 둘러싸인 보강재(31) 사이로 용이하게 유출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도 3에 관해 설명된 구성의 지지 롤 스탠드(5, 6, 7)가 작업 위치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Claims (15)

  1. 주조 빌렛이 연속 주조 주형을 떠난 후에 주조 빌렛을 기점 세그먼트에서 2차 냉각에 의해 냉각시키고, 후속 지지 세그먼트에서 분사수에 의해 추가로 냉각시켜 인발하는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에 있어서,
    빔-블랭크 포맷의 냉각 및 지지를 크레이터가 존재하는 구역에서만 냉각 및 지지가 이뤄지도록 응고 구역에 맞춰 적합화시켜 플랜지 상부 에지 상에서 또는 다른 횡단면 구역에서 원하지 않는 응고 구조를 회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류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그 폭이 지지 롤의 길이 이상인 분사수 제트에 의해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함으로써 주조 빌렛을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 및 횡 방향 측면에서 냉각시키고, 빌렛 경로 길이 및 주조 빌렛 횡단면의 코어 구역에서의 냉각 상태와 유사하게 주조 빌렛을 주조 빌렛 횡단면의 횡 방향 측면에서 더 적게 지지하면서 액상 코어 구역에만 맞춰 정향된 그 폭이 크레이터의 폭 이하에 불과한 분사수 제트에 의해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기점 지지 세그먼트에서는 주조 빌렛을 그프로파일 단부,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의 중심 구역, 및 횡 방향 측면에서 지지한 채로 의도된 대로 온도를 유도함으로써 주조 빌렛 프로파일 구역을 제외한 주조 빌렛 횡단면의 종 방향 측면 및 횡 방향 측면을 냉각시키고, 빌렛 경로 길이에 걸쳐 진행되는 빌렛 쉘 형성 시에는 단지 주조 빌렛 횡단면의 중심 구역 및 양 횡 방향 측면에서만 주조 빌렛을 지지하며, 코어 구역의 크레이터 첨두부의 구역에서는 횡 방향 측면을 크레이터 첨두부의 구역에 국한시켜 지지 및 냉각시키고 종 방향 측면에는 크레이터 존에만 맞춰 정향된 분사수 제트를 투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크레이터 존의 구역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을 그 횡 방향 측면에서 분사수 냉각이 없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거의 완전 응고된 상태의 주조 빌렛을 분사수 제트가 없이, 그리고 상부 및 측부에서 지지됨이 없이 지지 롤 상에 놓고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지지, 안내, 및 냉각 방법.
  6. 연속 주조 주형에 연접된 기점 지지 세그먼트, 분사수 제트에 의한 2차 냉각부, 연속된 추가의 지지 세그먼트, 및 인발기를 구비하는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예비 프로파일의 빌렛 가이드에 있어서,
    개개의 지지 세그먼트(4, 5, 6, 7)에서 주조 빌렛(1)에 의도된 대로 온도가 유도될 수 있되, 지지 세그먼트(4)로부터 지지 세그먼트(7)까지 빌렛 프로파일(2)에 맞춰 적합화된 2차 냉각이 사용될 수 있고, 기점 지지 세그먼트(4)에 후속된 지지 세그먼트(5, 6, 7)는 개방되게 형성되어 과잉의 분사수(29)가 다수의 방향(28)으로 주조 빌렛 횡단면(1a)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 주조 빌렛의 빌렛 가이드.
  7. 제 6 항에 있어서, 기점 지지 세그먼트(4)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종 방향 측면(13)이 중심 대칭적으로 배치된 긴 길이의 지지 롤 쌍(17)에 의해 지지되고, 주조 빌렛 프로파일의 코너 구역(19)이 짧은 길이의 접촉 롤 쌍(20)에 의해 지지되며,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횡 방향 측면(14)이 그 측면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길이의 지지 롤 쌍에(18)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후속 지지 세그먼트(5, 6, 7)에서는 주조 빌렛 횡단면(1a)의 종 방향 측면(13)에 중심 대칭적으로 배치된 긴 길이의 지지 롤 쌍(17)만이 배치되고, 횡 방향 측면(14)에 그 측면 길이와 대략 일치하는 지지 롤 쌍(18)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속 지지 세그먼트(5, 6,7)에서는 횡 방향 측면(14)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각각의 지지 롤 쌍(18)의 길이가 단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10. 제 6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속 지지 롤 세그먼트(5, 6, 7)에서는 횡 방향 측면(14)에 대칭적으로 배치된 짧은 길이의 지지 롤 쌍(18)만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11. 제 6 항 내지 제 1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코어가 거의 응고된 섹션에서는 주조 빌렛(1)이 하부 측면에서만 지지 롤(22) 상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12. 제 6 항 내지 제 1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차 냉각의 분사 구성은 주조 크레이터-코어 구역(15)과 유사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13. 제 6 항 내지 제 1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과잉의 분사수(29)가 방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14. 제 6 항 내지 제 1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긴 길이의 지지 롤(17; 18)에 똑같은 폭의 분사수 제트(8)가 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15. 제 6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촉 롤(20)은 기점 지지 세그먼트(4)에 후속된 지지 세그먼트(5)에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렛 가이드.
KR1020037001916A 2000-08-10 2001-08-07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 KR100780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9033.1 2000-08-10
DE10039033 2000-08-10
DE10133093.6 2001-07-11
DE10133093A DE10133093A1 (de) 2000-08-10 2001-07-11 Verfahren und Strangführung zum Stützen, Führen und Kühlen von Gießsträngen aus Stahl, insbesondere von Vorprofilen für Träger
PCT/EP2001/009092 WO2002011923A1 (de) 2000-08-10 2001-08-07 Verfahren und strangführung zum stützen, führen und kühlen von giesssträngen aus stahl, insbesondere von vorprofilen für trä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78A true KR20030020978A (ko) 2003-03-10
KR100780327B1 KR100780327B1 (ko) 2007-11-28

Family

ID=7651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916A KR100780327B1 (ko) 2000-08-10 2001-08-07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59642B2 (ko)
KR (1) KR100780327B1 (ko)
DE (2) DE101330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23B1 (ko) * 2005-05-20 2007-02-07 석경재 디스크 치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400003B1 (it) * 2010-05-18 2013-05-09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colata continua e relativo procedimento
CN102161090B (zh) * 2010-12-23 2012-11-07 中国科学院金属研究所 一种提高厚大断面铸坯自补缩能力的方法
ES2545748T3 (es) * 2011-06-23 2015-09-15 ArcelorMittal Investigación y Desarrollo, S.L.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colada continua de un desbaste de perfilado
IT201700067508A1 (it) * 2017-06-16 2018-12-16 Danieli Off Mecc Metodo di colata continua e relativo apparato
US11590566B2 (en) 2018-09-25 2023-02-28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Roller stand having retaining devices for fastening intermediate-area spray bar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7392A (en) * 1971-11-18 1974-09-24 I Rossi Apparatus for continuously casting steel slabs
JPS5639158A (en) 1979-09-04 1981-04-14 Kawasaki Steel Corp Continuous casting device for beam blank
DE2939322C2 (de) * 1979-09-28 1986-09-11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Vorrichtung zur Änderung des Abstandes von Spritzbalken einer Stranggießanlage
JPH04200844A (ja) * 1990-06-25 1992-07-21 Nkk Corp 鋼のビームブランク連続鋳造の冷却方法
JPH09174210A (ja) * 1995-12-27 1997-07-08 Kawasaki Steel Corp 高Mo鋼の連続鋳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23B1 (ko) * 2005-05-20 2007-02-07 석경재 디스크 치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020632A1 (en) 2004-02-05
US7159642B2 (en) 2007-01-09
DE50105255D1 (de) 2005-03-10
KR100780327B1 (ko) 2007-11-28
DE10133093A1 (de)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7171B1 (ko) 강 주조 빌렛, 특히 주괴 또는 예비 프로파일 형태의 강주조 빌렛을 연속 주조하고 연이어 성형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780327B1 (ko) 강 주조 빌렛, 특히 빔용 예비 프로파일의 지지, 안내, 및냉각 방법과 그를 위한 빌렛 가이드
US3766968A (en) Continuous casting plant for slabs
KR20120060560A (ko) 주편의 연속 주조방법 및 장치
US4036281A (en) Method for continuously casting a slab
JP3293794B2 (ja) 連続鋳造機の冷却装置
JP2004505775A (ja) 鋼から成る鋳込みストランド、特に桁用粗形材の、支持、案内、および冷却のための方法およびストランド案内機構
WO2010034084A1 (en) Twin roll caster
JPH07178526A (ja) 連続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H0616920B2 (ja) ビ−ムブランク連続鋳造方法
EP1390170A1 (en) Method and device for cooling and guiding a beam blank in a curved secondary cooling zone of a beam blank caster
US6354363B1 (en) Ingot mould with multiple angles for loaded continuous casting of metallurgical product
JP3377340B2 (ja) 連続鋳造方法
KR102288411B1 (ko) 압하 장치
CN114364471B (zh) 用于连续浇铸金属产品的结晶器以及相应的浇铸方法
JP2867894B2 (ja) 連続鋳造方法
KR101795469B1 (ko) 연속 주조 장치 및 연속 주조 방법
JP4458796B2 (ja) 連続鋳造装置
JP2000343189A (ja) 連続鋳造機サポートロールの冷却方法
KR20220087172A (ko) 주조 설비 및 주조 방법
JP2023017235A (ja) 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用浸漬ノズル、双ロール式連続鋳造装置、および、薄肉鋳片の製造方法
JP2845706B2 (ja) 連続鋳造設備のモールド装置
JPS6138761A (ja) 丸ビレツトの連続鋳造方法
JP2002066694A (ja) ビームブランクの連続鋳造方法
GB2059314A (en) Using a water curtain to cool a continuous cas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