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973A -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 - Google Patents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973A
KR20030020973A KR10-2003-7001722A KR20037001722A KR20030020973A KR 20030020973 A KR20030020973 A KR 20030020973A KR 20037001722 A KR20037001722 A KR 20037001722A KR 20030020973 A KR20030020973 A KR 20030020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engagement
clip
hook
removal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니히코 후지와라
유키오 하야시
야스히로 다마키
요시카즈 노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후지쿠라
Publication of KR20030020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973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astening connecting plugs and sockets, e.g. screw- or nut-lock, snap-in, bayonet type
    • G02B6/3893Push-pull type, e.g. snap-in, push-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7Connectors fixed to housings, casing, frames or circuit board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3Arrangements comprising a plurality of opto-electronic elements and associated optical interconnec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Accessories for testing or observation of conn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98Tools, e.g. handheld; Tuning wrenches; Jigs used with connectors, e.g. for extracting, removing or inserting in a panel, for engaging or coupling conne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mponents within the connector, for applying clips to hold two connectors together or for crim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Mounting Components In General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백플레인에 대해 백플레인 커넥터를 원하는 이동량으로 부착하는 기술로서, 한쌍의 탄성 갈고리가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진 클립을 이용하여 백플레인의 구멍을 통해 백플레인 커넥터에 계합시키는 구조에 있어서, 클립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즉 본 발명은 백플레인(23)의 부착구멍(31)을 통해 BH 하우징(26)의 대향하는 양측부의 계지부(34)에 계합된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를 압압하고 그 결과 이들 탄성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는 계합 해제편(52a),(52b)을 구비한 클립제거공구(50) 및 클립제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Clip removing tool and clip removing method}
본 발명은 백플레인에 광커넥터를 부착하는 클립을 제거하기 위한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러그인 형식의 광커넥터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소위 백플레인 커넥터가 제공되어 왔다.
도 36에 백플레인 커넥터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36 중 부호 1은 플러그인 유닛, 2는 프린트보드, 3은 백플레인, 4a, 4b는 MPO 커넥터 플러그(이하 'MPO 플러그'), 5는 프린트보드 하우징(이하 'PH 하우징'), 6은 백플레인 하우징(이하 'BH 하우징')이다.
이 백플레인 커넥터에서는 PH 하우징(5)을 고정시킨 프린트보드(2)를 플러그인 유닛(1)에 끼움으로써 플러그인 유닛(1)의 측부에 배치한 백플레인(3)에 부착된 BH 하우징(6)에 PH 하우징(5)이 결합된다. 결합된 PH 하우징(5) 및 BH 하우징(6)은 광커넥터 어댑터(7)를 구성하여 양측에서 끼워진 MPO 플러그(4a),(4b)끼리 접속시킨다. PH 하우징(5) 쪽에서 광커넥터 어댑터(7)에 끼우는 MPO 플러그(4a)는 미리 PH 하우징(5)에 끼워놓고 프린트보드(2)를 플러그인 유닛(1)에 끼움과 동시에 광커넥터 어댑터(7)에 끼워진다. 플러그인 유닛(1)에는 여러장의 프린트보드(2)를 병렬로 고밀도로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백플레인 커넥터에서는 광커넥터 어댑터(7)를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다.
MPO 플러그(4a),(4b)는 일본공업규격 JIS C 5981에 제정되는 광커넥터 페룰(4c)를 플라스틱제 하우징으로 지지한 구성의 광커넥터이다.
도 37은 BH 하우징(6)의 백플레인(3)에 대한 부착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BH 하우징(6)은 백플레인(3)을 통해 반대쪽에 배치된 배면 하우징(9)과의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우도록 하여 백플레인(3)에 실장된다. 즉 백플레인(3)의 프린트보드(2) 쪽(도 37 중 왼쪽)에 배치된 BH 하우징(6)에 돌출 설치된 핀(10)을 백플레인(3)에 개구한 부착구멍(11)에 삽입하여 백플레인(3)의 반대쪽에 돌출시키고, 이 핀(10)의 돌출 선단에 배면 하우징(9)을 나사(12)로 고정시킴으로써 BH 하우징(6)과 배면 하우징(9) 사이에 백플레인(3)을 끼웠다. BH 하우징(6)의 하우징 본체(8)나 배면 하우징(9)에는 백플레인(3)의 부착구멍(11)을 통해 광커넥터 플러그(4b)(MPO 플러그)가 삽입되는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데 이 구멍은 도 37에서는 생략되어 있다.
BH 하우징(6)은 백플레인(3)에 대해 약간의 이동을 허용하여 실장된다. 예컨대 도 37에서는 직사각형 부착구멍(11)의 네 귀퉁이를 확장한 형상의 확장부(13)에 의해 BH 하우징(6)과 배면 하우징(9) 사이를 연결하는 나사(12)가 약간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 나사(12)의 가동범위에 의해 BH 하우징(6)의 약간의 이동이 허용되고 있다. BH 하우징(6)의 이동은 BH 하우징(6)과 PH 하우징(5) 사이의 칫수공차를 흡수하여 결합작업의 원활화에 기여한다.
그런데 상기 백플레인 커넥터의 경우, 나사(12)가 작기 때문에(직경 1.2mm 정도) 손공구에 의해 배면 하우징(9)을 고정시키려면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상기 나사(12)에 대응하는 핀(10), 나사구멍(16)(도 37 참조), 부착구멍(11)의 형성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백플레인 하우징(6)의 이동범위는 하우징 본체(8) 및 배면 하우징(9)의 백플레인(3)에 대한 슬라이딩 저항이나 백플레인(3)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클리어런스의 크기 등에 의존하며, 이 클리어런스 크기의 미묘한 차이에 의해 백플레인 하우징(6)의 이동범위나 자유도가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클리어런스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백플레인(3)의 두께칫수의 공차에 의해 하우징 본체(8)와 배면 하우징(9) 사이에 불필요한 틈이 생기면 백플레인 하우징(6)의 이동범위가 필요 이상으로 커져 프린트보드 하우징(5)을 결합하기 어려워진다. 반대로 백플레인(3)의 두께칫수가 소정 칫수보다 큰 경우에는 백플레인 하우징(6)의 이동이 어려워지거나 나사(12)에 의한 고정이 어려워지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구성의 백플레인 커넥터에서는 백플레인 하우징(6)에 원하는 이동범위를 확보하려면 시간이 걸린다. 한편 이 문제를 고려하여 백플레인(3) 전체를 고정밀도로 형성하면 비용이 대폭 상승된다.
그런데 본 발명자는 이 문제에 대해 탄성 갈고리가 돌출 설치된 클립을 백플레인을 통해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해 대향 배치하고 백플레인에 개구된 부착구멍을 관통시킨 상기 탄성 갈고리를 백플레인에 계합시킴으로써 클립과의 사이에 백플레인을 끼우도록 하여 백플레인 하우징이 백플레인에 실장되는 구조의 백플레인 커넥터를 개발했다. 이 백플레인 커넥터에서는 백플레인에 개구된 부착구멍 내에서의 탄성 갈고리의 가동범위에 의해 백플레인 하우징의 이동범위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나사를 이용한 구조에 비해 백플레인 하우징의 이동범위를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또 탄성 갈고리의 형성 정밀도를 확보하면 백플레인 하우징이나 클립의 탄성 갈고리 이외의 부분의 형성 정밀도를 완화할 수 있어 비용절감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백플레인 커넥터에서는 백플레인 하우징의 교환, 이동범위의 변경 등을 위한 클립을 교환할 때 백플레인 하우징과 클립의 탄성 갈고리와의 계합을 간단하게 해제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할 필요가 생겼다. 즉 백플레인 커넥터에서는 실장밀도의 향상을 위해 소형화가 요구되기 때문에 백플레인 하우징에 있어서 탄성 갈고리가 계지되는 계지부나 탄성 갈고리도 소형화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이들 계지부나 탄성 갈고리를 소형화하면 계합해제가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반대로 계합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탄성 갈고리를 크게 하면 실장밀도의 고밀도화가 어려워진다. 또 예컨대 플러그인 유닛의 백플레인에 실장된 백플레인 하우징은 플러그인 유닛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한 클립의 탄성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작업이 된다는 문제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립제거공구가 적용되는 백플레인 커넥터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백플레인 커넥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BH 하우징을 백플레인에 부착하기 위한 클립의 탄성 갈고리가 삽입되는 부착구멍 근방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부착구멍 내에서의 탄성 갈고리의 가동범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BH 하우징과 클립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BH 하우징 및 클립에 적용되는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BH 하우징에 대한 누름방향 앞쪽(도 6A 왼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6c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d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도 7a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7b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c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앞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7d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뒤쪽에서본 측면도이고,
도 8a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갈고리 블록의 프레임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b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갈고리 블록의 프레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c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갈고리 블록의 프레임을 도시한, 제거공구 본체에 대해 부착되는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8d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구성하는 갈고리 블록의 프레임을 도시한, 앞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9a는 도 8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계합 해제편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b는 도 8의 프레임에 부착되는 계합 해제편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a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에 설치되는 보류용 계합부의 구성을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10b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에 설치되는 보류용 계합부를 도시한, 선단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0c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에 설치되는 보류용 계합부를 도시한, 삽입캡의 창이 형성되어 있는 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0d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에 설치되는 보류용 계합부를 도시한, 도 10c와 반대쪽 측면도이고,
도 11a는 BH 하우징에 대해 클립제거공구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1b는 BH 하우징에 대해 클립제거공구를 누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2a는 조작핸들로서 조작간(桿)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b는 조작핸들로서 조작간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3a는 클립제거공구를 BH 하우징에 대해 압압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3b는 클립제거공구를 BH 하우징에 대해 압압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의 계합해제편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의 계합해제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촉부를 클립의 계합 갈고리에 압압하여 계합 갈고리를 넘어뜨린 상태를 도시하고,
도 16은 도 5의 클립제거공구의 계합해제편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접촉부를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에 대해 접촉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도 17은 BH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의 플러그 구멍에 삽입한 보류용 계합부의 출몰 계합편이 플러그 구멍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a는 BH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의 플러그 구멍에 삽입한 보류용 계합부의 출몰 계합편이 플러그 구멍에서 백플레인 쪽으로 빠져나와 내부 하우징과 계합한 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18b는 BH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의 플러그 구멍에 삽입한 보류용 계합부의출몰 계합편이 플러그 구멍에서 백플레인 쪽으로 빠져나와 내부 하우징과 계합한 상태를 도시한, 선단 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19a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하여 클립을 제거한 BH 하우징을 클립제거공구와 함께 플러그인 유니트에서 꺼낸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9b는 도 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하여 클립을 제거한 BH 하우징을 클립제거공구와 함께 플러그인 유니트에서 꺼낸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20은 도 18에 도시한 상태가 된 후 보류용 계합부의 삽입캡을 보류용 계합부의 기단 쪽에 밀어넣어 출몰 계합편과 내부 하우징의 계합을 해제한 상태를 도시한 클립제거공구의 수평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BH 하우징의 구체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BH 하우징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3a는 도 21의 BH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하우징 본체 내에서의 수납상태를 도시한 수평단면도이고,
도 23b는 도 21의 BH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커넥터 지지 갈고리와 광커넥터 플러그와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3c는 도 21의 BH 하우징의 내부 하우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6의 클립제거공구의 보류용 계합부와 커넥터 지지 갈고리와의 계합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4는 다연결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BH 하우징 및 클립에 적용되는 클립제거공구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6a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26b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것으로서, 한쪽의 보류용 계합부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BH 하우징에 대한 누름방향 앞쪽(도 26a 중 왼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6c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6d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한 하면도이고,
도 27a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의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27b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의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7c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의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앞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7d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의 제거공구 본체를 도시한 뒤쪽에서 본 측면도이고,
도 28a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BH 하우징에 대해 누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8b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BH 하우징에 대해 누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29a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BH 하우징에 대해 압압한 상태를 도시한평면도이고,
도 29b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BH 하우징에 대해 압압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0a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하여 클립을 제거한 BH 하우징을 클립제거공구와 함께 플러그인 유닛에서 취출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0b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하여 클립을 제거한 BH 하우징을 클립제거공구와 함께 플러그인 유닛에서 취출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1a는 도 30의 클립제거공구의 보류용 계합부의 삽입캡을 보류용 계합부의 기단부 측에 밀어넣어 출몰 계합편과 내부 하우징의 계합을 해소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1b는 도 30의 클립제거공구의 보류용 계합부의 삽입캡을 보류용 계합부의 기단부 측에 밀어넣어 출몰 계합편과 내부 하우징의 계합을 해소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측 단면도이고,
도 32a는 도 30의 클립제거공구에서 BH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2b는 도 30의 클립제거공구에서 BH 하우징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이고,
도 33은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한 클립제거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BH 하우징에 대해 클립제거공구를 누르기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4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한 클립제거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BH 하우징에 클립제거공구를 누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5는 도 25의 클립제거공구를 이용한 클립제거방법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클립제거공구에 의해 클립과의 계합을 해제한 BH 하우징을 클립제거공구와 일체로 플러그인 유닛에서 인출 조작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6은 종래의 백플레인 커넥터의 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7은 도 36의 백플레인 커넥터에 있어서, BH 하우징과 배면 하우징의 고정을 위한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한 클립의 계합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의 제공을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발명은, 광커넥터를 백플레인에 부착하는 클립과, 광커넥터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제거공구로서, 광커넥터에 대해 진퇴조작되는 제거공구 본체와, 이 제거공구 본체에서 돌출 상태로 설치된 계합해제편을 구비하며 계합해제편이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된 계합 갈고리에 눌림으로써 계합 갈고리를 변형시키고 계합갈고리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광커넥터에 대한 계합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계합 해제편은 예컨대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된 계합 갈고리에 눌림으로써 계합 갈고리를 탄성변형시키고 계합 갈고리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킨다.
또 이 클립제거공구 계합 해제편이 제거공구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또 제거공구 본체로부터의 돌출방향 선단에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계합 갈고리의 상기 광커넥터에 설치된 계지부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와, 광커넥터에 대한 제거공구 본체의 전진에 따라 상기 탄성 갈고리를 압압하는 접촉부를 구비해도 좋다.
또 제거공구 본체에 광커넥터에 대한 진퇴조작용 조작핸들을 별도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을 설치해도 좋다.
제거공구 본체에 광커넥터에 계합하는 보류용 계합부를 설치해도 좋다.
본 발명에 관한 제2 발명은, 광커넥터를 백플레인에 부착하는 클립과, 광커넥터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 제거방법으로서, 보류용 공구를 백플레인 측으로 누름으로써 클립과 광커넥터의 계합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광커넥터와 탄성 갈고리의 계합 해제는, 예컨대 보류용 공구에 의해 상기 광커넥터를 보류한 상태에서 광커넥터에 대한 클립의 탄성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한 후 보류용 공구와 함게 광커넥터를 백플레인 근방으로부터 취출함으로써 실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된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계합 갈고리의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탄성 갈고리 선단부를 압압하고 광커넥터에 대해 계합 갈고리가 계합되지 않는 위치로 탄성 갈고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실시된다.
상기 제1 및 제2 발명에 있어서, 백플레인에 부착되는 '광커넥터'에는 예컨대 백플레인 커넥터의 백플레인 하우징 등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2 발명에 이용되는 보류용 공구로는 상기 보류용 계합부를 구비한 클립제거공구나 클립제거공구와는 별도로 계합, 결합, 파지 등에 의해 광커넥터를 보류하는 전용 보류용 공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단 광커넥터에 대한 클립의 탄성 갈고리의 계합 해제와 광커넥터의 보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 점, 광커넥터의 취출 동작을 단순화할 수 있는 점(조작성), 저비용화의 점 등을 감안하여 클립제거공구를 겸한 보류용 공구를 채용하는 편이 이점이 많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클립제거공구가 적용되는 백플레인 커넥터(이하 'BP 커넥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BP 커넥터의 일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중 부호 20은 BP 커넥터, 21은 플러그인 유닛, 22는 프린트보드, 23은 백플레인, 24a, 24b는 광커넥터 플러그, 25는 프린트보드 하우징(이하 'PH 하우징'), 26은 백플레인(23)에 부착되는 광커넥터이며, 여기에서는 백플레인 하우징(이하 'BH 하우징')이다. 이하 '백플레인 하우징', 'BH 하우징'을 '광커넥터'라 하기도 한다.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BP 커넥터(20)에서는 PH 하우징(25)을 고정시킨 프린트보드(22)를 플러그인 유닛(21)에 끼워넣고 플러그인 유닛(21)의 백플레인(23)에 부착된 BH 하우징(26)에 상기 PH 하우징(25)을 결합시킴으로써 이들 PH 하우징(25)및 BH 하우징(26)에 미리 끼워넣어 계합 지지해 둔 광커넥터 플러그(24a),(24b) 끼리 접속된다. 결합된 PH 하우징(25) 및 BH 하우징(26)은 양쪽에서 끼워진 광커넥터 플러그(24a),(24b) 끼리 접속시키는 광커넥터 어댑터(27)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채용되는 광커넥터 플러그(24a),(24b)로는, 예컨대 일본공업규격JIS C 5982, 국제전기표준회의IEC 1754-7 발행에 제정되는, 소위 MPO형 광커넥터(MPO : Multifiber Push On)인 광커넥터 플러그(이하 'MPO 플러그')이며, JIS C 5981에 제정되는 MT형 광커넥터(Mechanically Transferable)인 광커넥터 페룰(24c)을 플라스틱제 하우징에 지지한 구성의 광커넥터이다. 광커넥터 페룰(24c)은 선단이 PC(Physical Contact) 연마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JIS C 5981에 제정되는 광커넥터 페룰(24c),(24c) 끼리의 맞붙임 접속은 구체적으로는 한쪽 광커넥터 페룰(24c)에 미리 결합하여 그 접합단면에 돌출 형성시킨 가이드 핀(24p)을 다른 쪽 광커넥터 페룰(24c)에 뚫려 있는 가이드핀 구멍(24o)에 삽입·결합시킴으로써 정밀하게 위치를 정하여 실시된다. BH 하우징(26)의 약간의 이동에 의해 PH 하우징(25)의 결합이 정확히 이루어지며 그 결과 가이드핀(24p)을 가이드핀 구멍에 원활하게 삽입결합할 수 있어 광커넥터 페룰(24c) 끼리의 접속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커넥터 플러그(24a),(24b)로는 상기 MPO 플러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BH 하우징(26)은 백플레인(23)을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설치된 클립(29)과 계합됨으로써 이 클립(29)과의 사이에 백플레인(23)을 끼워 백플레인(23)에 부착되어 있다. BH 하우징(26)은 백플레인(23)의 프린트보드(22) 쪽(도 2 중 오른쪽)에 배치되고 클립(29)은 백플레인(23)을 사이에 두고 BH 하우징(26)과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도 2, 도 3에 있어서, 클립(29)은 사각틀 모양의 본체부(29a)의 대향하는 양쪽(도 2, 도 3 중 상하 양단)에서 돌출 설치된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를 구비하고 백플레인(23)에 개구된 부착 구멍(31)에 관통시킨 상기 탄성 갈고리(29b)를 BH 하우징(26)에 계합함으로써 BH 하우징(26)과의 사이에 백플레인(23)을 끼우도록 되어 있다. BH 하우징(26)의 외형과 클립(29)의 본체부(29)a)의 외형은 모두 부착구멍(31)보다 칫수가 커서 부착 구멍(31) 내에는 들어갈 수 없게 되어 있다. 또 클립(29)의 본체부(29a)의 틀 모양의 안쪽 공간은 광커넥터 플러그(24b)를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이며 부착 구멍(31)과 연통된다. 부착 구멍(31) 주위의 백플레인(23)이나 본체부(29a)는 BH 하우징(26)이 이동해도 BH 하우징(26)에 삽입 접속되어 있는 광커넥터 플러그(24b)와 간섭하지 않고 BH 하우징(26)에 대한 광커넥터 플러그(24b)의 삽입접속사태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부착 구멍(31) 내에는 예컨대 도 3에서 좌우방향의 가동칫수 c, 상하방향의 가동칫수 d를 확보하여 클립(29)의 양 탄성 갈고리(29b)를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BH 하우징(26)의 이동을 허용하고 있다. 이로써 PH 하우징(25)을 BH 하우징(26)에 결합할 때의 칫수공차를 BH 하우징(26)의 이동에 의해 흡수하여 결합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 클립(29)의 본체부(29a)는 상하방향 중앙부에 정점(29e)를 가지며 굴곡 또는 만곡(도 1, 도 2, 도 4에서는 굴곡)되어 있으며 정점(29e)이 백플레인(23)에접촉됨으로써 이 정점(29e)을 중심으로 하는 수직면 내에서의 BH 하우징(26)의 회전이동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해당 본체부(29a) 자신이 판스프링과 같이 기능함으로써 BH 하우징(26)의 이동범위가 확보된다. 본체부(29a)는 정점(29e)이 백플레인(23)을 압압함에 따른 반력에 의해 항상 탄성 갈고리(29b)에 스프링힘을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써 탄성 갈고리(29b)의 선단부(29c)에 돌출 설치된 계합 갈고리(29d)의, BH 하우징(26)의 계지부(34)에 대한 압접상태를 유지하여 계합해제를 방지함과 동시에 BH 하우징(26)의 부주의한 이동(진동)을 방지하여 진동에 의한 특성열화 등의 악영향을 방지한다.
클립으로서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데 어느 구성이건 BH 하우징(26)의 이동을 허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부착 구멍(31)은 플러그인 유닛(21)의 백플레인(23)에 여러개 연속 설치(도 3에서는 좌우로 연속 설치) 되어 있으며 플러그인 유닛(21)에서는 이들 각 부착 구멍(31)에 BH 하우징(26)이 조립됨으로서 여러개의 BH 하우징(26)이 병렬로 실장된다. 또 플러그인 유닛(21)에는 각 BH 하우징(26)에 대응하여 프린트보드(22)를 끼워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이 BP 커넥터(20)에서는 PH 하우징(25)과 BH 하우징(26)으로 이루어진 광커넥터 어댑터(27)를 고밀도로 실장할 수 있다.
이 플러그인 유니트(21)에서는 프린트보드(22)를 플러그인 유닛(21)의 상하 바닥판(30a),(30b)(도 2 참조)에 여러개 병렬형성된 가이드홈(32)(도 1, 도 3 참조. 도 2에서는 도시생략)에 선택 삽입함으로써 PH 하우징(25)을 결합하는 BH 하우징(26)을 선택할 수 있다. 가이드홈(32)에 의한 프린트보드(22)의 위치결정 정밀도에 의해 PH 하우징(25)이 BH 하우징(26)에 대해 위치를 결정하여 삽입, 결합된다.
클립(29)은 구체적으로는 금속판 등의 탄성판재를 성형하여 본체부(29a)와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를 형성한 것이다.
도 4에, 클립(29)과 BH 하우징(26)의 계합구조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 갈고리(29b)는 BH 하우징(26)의 대향하는 상하 양측부(도 4 상하의 측부)에 관통된 갈고리 삽입구멍(33)에 백플레인(23) 측에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갈고리(29b)는 갈고리 삽입구멍(33)을 관통하여 PH 하우징(25) 측으로 돌출된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측부에 돌출되어 있는 계합 갈고리(29d)가 상기 BH 하우징(26)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계지부(34)에 계합됨으로써 BH 하우징(26)에 대해 빼낼 수 없도록 계합된다. 계합 갈고리(29d)는 판스프링 형태의 탄성 갈고리(29b)의 선단부(29c) 일부를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의 바깥쪽, 즉 대향하는 상대쪽 탄성 갈고리(29b)에 대해 반대쪽으로 열리도록 하여 비스듬히 세워진 부분으로서,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에서 본체부(29a)를 향해 비스듬히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탄성 갈고리(29b)는 백플레인(23) 쪽에서 갈고리 삽입구멍(33)에 밀어넣음으로써 상기 계합 갈고리(29d)를 탄성변형시키면서 갈고리 삽입구멍(33)에 삽입된다. 각 탄성 갈고리(29b)의 계합 갈고리(29d)는 갈고리 삽입구멍(33)을 PH 하우징(25) 쪽으로 관통함과 동시에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 돌출상태로 복귀하여 상기 갈고리 삽입구멍(33)에 인접하여 BH 하우징(26)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벽 모양의 계지부(34)에 계합된다. 이로써 계합 갈고리(29d)가 탄성 갈고리(29b)와 거의 평행으로 밀어넣어져 계지부(34)와의 계합이 해제되지 않는 한 클립(29)과 BH 하우징(26)의 계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클립제거공구(50)(이하 '제거공구(50)'이라 약칭한다)를 설명한다. 도 5는 제거공구(50)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도 6d는 제거공구(5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도 7d는 제거공구(50)를 구성하는 제거공구 본체(51)를 도시한 도면, 도 8a∼도 8d는 제거공구(50)를 구성하는 갈고리 블록(51A), (51B)의 프레임(58)을 도시한 부품도, 도 9a, 도 9b는 상기 프레임(58)에 부착되는 계합 해제편(52a),(52b)를 도시한 부품도, 도 10a∼도 10d는 제거공구(50)에 설치되는 보류용 계합부(6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a, 도 11b는 BH 하우징(26)에 대한 제거공구(50)의 압압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a, 도 12b는 조작핸들로서 조작간(90)을 적용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a, 도 13b는 제거공구(50)를 BH 하우징(26)에 대해 압압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도 6d, 도 11a, 도 11b에 있어서, 클립제거공구(50)는 BH 하우징(26)에 대해 진퇴조작되는 제거공구 본체(51)와, 이 제거공구 본체(51)의 대향하는 양쪽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 한쌍의 갈고리 블록(51A),(51B)으로 구성되어 있다. 갈고리 블록(51A),(51B)은 구체적으로는 나사(91)에 의해 제거공구 본체(51)에 대해 착탈된다. 이 갈고리 블록(51A),(51B)은 서로의 구성이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제거공구 본체(51)에 대한 부착 위치가 반대로 되어 있다.
각 갈고리 블록(51A),(51B)은 경질수지나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프레임(58)(도 8a∼도 8d 참조)에 계합 해제편(52a),(52b)을 축(53)을 사용하여 회전 가능하게지지하여 부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각 계합 해제편(52a),(52b)은 축(53)에 장착된 기단부에 대한 선단측이 제거공구(50)의 BH 하우징(26)에 대한 누름방향 앞쪽(도 6a, 도 6c, 도 6d, 도 11에서의 좌측. 이하 이 방향을 '앞', 반대쪽을 '뒤'로 한다)으로 뻗도록 부착되어 있다. 갈고리 블록(51A),(51B)은 프레임(58)에서 축(53)보다 앞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스토퍼벽(57)을 구비하고 있다. 계합 해제편(52a),(52b)은 갈고리 블록(51A),(51B)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56)에 의해 선단측이 제거공구 본체(5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갈고리 블록 쪽에서 상기 스토퍼벽(57)에 눌려 있다. 단 계합 해제편(52a),(52b)는 상기 스프링(56)의 신축범위에서 스토퍼벽(57)에서 제거공구 본체(51)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갈고리 블록 쪽으로 변위 가능하며 이로써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 사이의 이간거리가 가변적이다. 각 계합 해제편(52a),(52b)이 스토퍼벽(57)에 접촉되었을 때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간 이간거리가 최대가 된다.
이 제거공구(50)는 BH 하우징(26)에 대해 압압됨으로써 양 계합 해제편(52a),(52b)가 각각 클립(29)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에 눌려 BH 하우징(26)의 계지부(34)에 대한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을 해제한다.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갈고리 블록(51A),(51B)으로부터의 돌출방향 선단에는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에 접촉되는 접촉부(54)와, 상기 탄성 갈고리(29b)의 상기 계합 갈고리(29d)를 압압하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설치되어 있다.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이 각각 스토퍼벽(57)에 접촉되어 있을 때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편 압압부(55) 사이의 거리가 클립(29)의 한쌍의 계합편(29d) 사이의 거리와 거의 일치하며 또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접촉부(54) 사이의 거리가 클립(29)의 한쌍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29a) 사이의 거리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제거공구(50)를 BH 하우징(26)을 향해 밀어넣음으로써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편 압압부(55)를 클립(29)의 한쌍의 계합편(29d)에 누를 수 있으며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접촉부(54)를 클립(29)의 한쌍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29a)에 누를 수 있다.
제거공구 본체(51)에서 양 계합 해제편(52a),(52b) 사이에 돌출상태로 설치된 보류용 계합부(60)는 BH 하우징(26)에 내장된 내부 하우징(28)에 관통되어 있는 플러그 구멍(28a)(도 21 참조)에 삽입할 수 있도록 가늘고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 보류용 계합부(60)는 측부에 출몰 가능한 출몰 계합편(64)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러그 구멍(28a)에 삽입하여 상기 출몰 계합편(64)을 내부 하우징(28)에 계합시킴으로써 클립(29) 제거후의 BH 하우징(26)을 제거공구(50)에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5, 도 6a∼도 6d, 도 10a∼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보류용 계합부(60)는 중심축(61)에 여러개의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보류용 계합부(6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중심축(61)의 선단부(제거공구(50)의 앞쪽을 향한 쪽)를 수납하여 설치된 캡형(바닥이 있는 통형)의 삽입캡(62)은 중심축(61)의 축방향을 따라 중심축(61)의 기단부 방향, 즉 제거공구 본체(51) 쪽을 향해 밀어 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삽입캡(62)은 해당 삽입캡(62)의 내부공간(62a)의 캡 선단측(도 10a, 도 10c, 도 10d의 왼쪽)에 위치한 저면과 중심축(61) 선단 사이에 확보한 클리어런스 내에 수납한 스프링(65)의 신축범위 내에서 중심축(61)에 대해 그 기단부 쪽에 밀어넣을 수 있으며(밀어넣은 상태는 도 20 참조) 또 밀어넣은 후 상기 스프링(6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도 10a∼도 10d의 상태로 복귀한다.
중심축(61)의 측부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61a) 내에 설치된 출몰 계합편(64)은 해당 오목부(61a) 내에 설치된 축(63)에 의해 상기 중심축(61)의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의 회전축선을 이용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축(6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해당 출몰 계합편(64)의 상기 축(63)에 장착되어 있는 기단부에서 돌출되어 있는 계합선단(64a)이 상기 중심축(61)의 측부에 출몰된다. 상기 오목부(61a) 내에 설치된 스프링(61d)은 상기 오목부(61a)에서 중심축(61)의 측부로 밀어내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오목부(61a)는 삽입캡(62) 내에 수납되어 있다. 삽입캡(62)의 측벽부에는 상기 출몰 계합편(64)의 계합선단(64a)을 삽입할 수 있는 크기의 창(62b)이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출몰 계합편(64)의 계합선단(64a)은 상기 오목부(61a)의 개구부와 연통된 상기 창(62b)을 사이에 두고 삽입캡(62)의 측부에 돌출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출몰 계합편(64)은 중심축(61) 선단측으로 삽입캡(62)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도 한다. 즉 상기 출몰 계합편(64)에 돌출 설치되어 있는 스토퍼부(64b)가 오목부(61a) 내면에 접촉하여 계합선단(64a)이 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측으로 이동해 버리는 출몰 계합편(64)의 회전(도 10a 반시계방향 회전)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캡(62)의 창(62b)의 후단측(도 18a 오른쪽)의 내면이 출몰 계합편(64)(상세하게는 계합선단(64a))에 접촉된 부분이 보류용 계합부(60) 선단 방향으로의 삽입캡(62)의 이동한계가 된다.
도 10a 등에서는 출몰 계합편(64)의 기단부에서 축(63)에 의한 출몰 계합편(64)의 회전중심에 대해 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측으로 연장되도록 돌출시킨 스토퍼부(64b)를 예시했는데 출몰 계합편에 형성하는 스토퍼부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목부(61a) 내면과의 접촉에 의해 계합선단이 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측으로 이동하는 출몰 계합편의 회전을 규제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65)을 누르면서 삽입캡(62)을 중심축(61)에 대해 제거공구(50) 뒤쪽으로 밀어넣으면 계합선단(64a)이 상기 창(62b)의 제거공구(50) 앞쪽 단부에 위치하는 내면에 의해 제거공구(50) 뒤쪽을 향해 압압되면서 상기 축(63)을 중심으로 하는 출몰 계합편(64)의 회전에 의해 스프링(61d)을 탄성변형시키면서(이 경우 스프링(61d)은 계합선단(64a)과 오목부(61a) 내벽면과의 사이에서 눌린다) 오목부(61a) 내로 밀어넣어진다.
삽입캡(62)의 중심축(61)에 대한 제거공구(50) 뒤쪽으로 밀어넣는 힘을 해제하면 도 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캡(62)은 상기 스프링(65)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중심축(61)을 따라 제거공구(50) 앞쪽을 향해 되밀리고 출몰 계합편(64)의 계합선단(64a)이 상기 창(26b)으로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된 곳에서 스프링(61d)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출몰 계합편(64)의 계합선단(64a)이 상기 창(62b)에 파고들어 창(62b)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즉 이 보류용 계합부(60)에서는 중심축(61)의 축방향을 따라 삽입캡(62)을이동시킴으로써 삽입캡(62) 측부의 창(62b)에서 출몰 계합부(60)가 출몰하도록 되어 있다.
중심축(61)의 상기 선단에 대향하는 기단측에는 해당 중심축(61)의 바깥쪽에 해당 중심축(6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누름부재(66)와, 상기 중심축(61)에 설치된 수압(受壓)부와 상기 누름부재(66) 사이에 개장(介裝)되어 상기 중심축(61)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스프링(67)이 설치되어 있다.
이 보류용 계합부(60)는 상기 중심축(61)의 기단측에 설치된 삽입고정부(68)를 제거공구 본체(51)에 삽입고정시킴으로써 제거공구 본체(51)로부터 돌출설치된다.
상기 삽입고정부(68)는 구체적으로는 중심축(61)의 기단 바깥쪽에 삽입고정된 고정링(이하 삽입고정부를 '고정링'으로 칭한다)이며, 이 고정링(68)을 제거공구 본체(51)의 누름방향 앞면측에 개구된 뒤쪽으로 연재(延在)된 고정구멍(51a)에 끼우도록 하여 수납하고 나사(92)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제거공정 본체(51)에 고정시킴으로써 빼낼 수 없도록 부착된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는 보류용 계합부(60)는 고정구멍(51a)에서 제거공구 본체(51)를 관통하여 뒷면에 개구된 구멍(51c)(도 7a, 도 7c, 도 7d 참조)에 제거공구 본체(51) 뒷면쪽에서 삽입한 나사(92)를 중심축(61) 후단의 나사구멍(61e)에 장착함으로써 제거공구 본체(51)에서 빼낼 수 없도록 고정된다. 나사(92)를 빼내면 보류용 계합부(60)를 제거공구 본체(51)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 고정링(68)의 측부에 형성된 키홈(68a)(도 10a∼도 10c 참조)과, 고정구멍(51a) 내면에 돌출 설치된 키(51b)와의 계합에 의해 보류용계합부(60)의, 중심축(61)을 중심으로 하는 축회전 방향의 부착 방향이 결정된다.
보류용 계합부(60)의 제거공구 본체(51)에 대한 고정방향을 정하는 키와 키홈은, 키를 고정링(68) 쪽, 키홈을 제거공구 본체(51)의 고정구멍(51a) 쪽에 형성해도 좋다.
상기 고정링(68)은 스프링(67)용의 상기 수압부로서도 기능한다. 즉 상기 스프링(67)은 수압부로서의 고정링(68)과 해당 고정링(68)보다도 앞쪽에 배치된 누름부재(66)와의 사이에 개장되어 있으며 누름부재(66)의 중심축(61)을 따라 뒤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압축되면 상기 고정링(68)에 반력을 취하여 누름부재(66)를 앞쪽으로 탄성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누름부재(66)는 구체적으로는 중심축(61)의 바깥쪽에 삽입된 링이다. 이 누름부재(66)는 중심축(61)의 축방향 중앙부에서 해당 중심축(61)의 대향하는 양쪽으로 연장시킨 형상의 고정 블록부(61b)와의 접촉위치보다 앞쪽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또 이 누름부재(66)는 상기 스프링(67)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고정블록부(61b)에 눌려 있다.
중심축(61)의 축방향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블록부(61b)에는 상기 중심축(61)의 양쪽에 해당 중심축(61)을 따라 연재된 한쌍의 슬라이드 바(69a),(69b)가 고정되어 있다. 각 슬라이드 바(69a),(69b)는 상기 고정블록부(61b)에서 앞쪽으로 뻗어있으며 상기 중심축(61)의 선단과 해당 중심축(61)의 양측에 가로로 배열된 슬라이드 바(69a),(69b)의 선단이 상기 삽입캡(62)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삽입캡(62)은 2개의 슬라이드 바(69a),(69b)에 대해 그 길이방향(연재방향)을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흔들림이 적은 안정된 지지상태와 원활한 이동이 실현되어 있다.
상기 고정블록부(61b)는 슬라이드 바(69a),(69b)의 고정부 및 누름부재(66)의 앞쪽으로의 이동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데 슬라이드 바(69a),(69b)의 고정부로서의 기능, 누름부재(66)의 앞쪽으로의 이동 한계를 설정하는 스토퍼로서의 기능을 별도의 부재에 의해 실현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고정블록부(61b)는 여기에서는 중심축(61)에서 돌출된 연장부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중심축(61) 바깥쪽에 고정되는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도 11a, 도 11b는 프린트보드(22)를 조작핸들로서 이용하여 제거공구 본체(51)에 부착한 예, 도 13a, 도 13b는 로드형의 조작간(90)을 조작핸들로서 제거공구 본체(51)에 부착한 예이다.
도 11a,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트보드(22)는 제거공구 본체(51)의 후부에 돌출되어 있는 부착물(59) 측부에 나사로 고정된다.
도 13a,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간(90)은 제거공구 본체(51)의 후면에 나사로 고정된 블록 형태의 부착물(59a)의 후면측(도 13a, 도 13b 오른쪽)에 개구되어 있는 나사결합구멍에 삽입, 장착됨으로써 부착물(59a)을 사이에 두고 제거공구 본체(51)에 고정된다.
이들 조작핸들(22),(90)을 이용함으로서 클립제거공구(50)에 의한, 플러그인유닛(21) 안쪽의 백플레인(23)에 실장된 BH 하우징(26)에 대한 누름, 플러그인 유닛(21)으로부터의 꺼냄 등의 조작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프린트보드(22)를 조작핸들로서 부착한 경우에는 플러그인 유닛(21)에 프린트보드(22)를 밀어넣어 삽입하는 것만으로 플러그인 유닛(21)에 대한 프린트보드(22)의 위치결정 정밀도에 의해 BH 하우징(26)에 대해 제거공구(50)를 정확히 위치결정한 상태에서 누름 조작할 수 있으며 BH 하우징(26)에 대한 클립(29)의 제거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도 21∼도 23a, 도 23b는 BH 하우징(26)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21∼도 23a, 도 23b에 있어서, BH 하우징(26)은 MPO 플러그인 광커넥터 플러그(24b)를 1개만 수납 지지하는 구성이며, 도 1에 도시한 PH 하우징(25)과 함께 MPO 플러그인 광커넥터 플러그(24a),(24b)를 1:1로 접속하는 BP 커넥터를 구성한다. BH 하우징(26)에 PH 하우징(25)을 결합하여 광커넥터 아댑터(27)를 구성하면 BH 하우징(26)에 끼워넣어 계합 지지된 광커넥터 플러그(26b)에 대해 PH 하우징(25)에 끼워넣어 계합 지지된 광커넥터 플러그(25a)가 접속된다.
상기 BP하우징(26)은 각통형의 하우징 본체(35)와 이 하우징 본체(35)를 관통하는 내부공간(36)에 백플레인(23)에 대한 접촉면(37) 측에서 삽입, 수납되는 내부 하우징(28)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내부 하우징(28)은 플러그 구멍(28a)이 관통된 슬리브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내부 하우징(28)은 예컨대 전체가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 등이 채용된다.
상기 BH 하우징(26)은 하우징 본체(35)에 내부 하우징(28)을 수납함으로서조립된다(도 22, 도 23a가 조립한 상태). 접촉면(37) 쪽에서 BH 하우징(26)의 내부 공간(36)에 삽입된 내부 하우징(28)은 대향하는 상하 양측부(도 21 중 상하, 도 22 중 상하)에 돌출 설치된 접촉편(28b)을 하우징 본체(35)에 있어서 상기 접촉면(37)과 대향하는 PH 하우징(25) 쪽에 설치된 스토퍼벽(38)에 부딪침과 동시에 대향하는 좌우양측(도 21 중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도 22 중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 도 23a 중 상하)에 돌출 설치된 보류용 계합 갈고리(28c)를 하우징 본체(35)의 내부공간(36)의 대향하는 좌우 양측에 형성된 계합돌출부(39)에 계합시킨다. 스토퍼벽(38)은 내부 하우징(28)이 PH 하우징(25) 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계합돌출부(39)는 보류용 계합편(28c)과의 계합에 의해 내부 하우징(28)의 백플레인(23) 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내부 하우징(28)이 BH 하우징(26)의 하우징 본체(35) 내의 소정 위치에 수납 보류된다.
갈고리 삽입구멍(33)은 하우징 본체(35)의 상하 양측부에 돌출 설치된 계지부(34)의 돌출 기단부를 관통하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접촉면(37) 측에서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를 밀어넣음으로써 탄성변형된 계합 갈고리(29d)가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구멍(29f)(도 21 참조)에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통과시킬 수 있다. 갈고리 삽입공(33)을 통과한 계합 갈고리(29d)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 원래 돌출상태로 복귀하고 각각 탄성 갈고리(28b)에서 BH 하우징(26)의 바깥쪽으로 돌출되도록 열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지부(34)에 계합한다. 계지부(34)에 계합된 계합 갈고리(29d)는 PH 하우징(25) 측을 향해 노출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BH 하우징(26)에 대해 클립제거공구(50)를 누름 조작하면클립제거공구(50)의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BH 하우징(26) 바깥쪽에서 계합 갈고리(29d)를 압압하고 계합 갈고리(29d)의 탄성 갈고리(29b)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계지부(34)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이로써 클립(29)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28)의 플러그 구멍(28a)의 대향하는 양쪽에는 백플레인(23) 쪽에서 삽입된 광커넥터 플러그(24b)의 양측부의 미도시된 계합 오목부와 계탈 가능하게 계합함으로써 광커넥터 플러그(24b)를 지지하는 탄성 갈고리인, 한쌍의 커넥터 지지 갈고리(4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도 21, 도 22, 도 23a, 도 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커넥터 플러그(24b)인 MPO 플러그를 지지하는 BH 하우징(26)의 내부 하우징(28)은 MPO 플러그의 외형에 대응한 긴 플러그 구멍(28a)을 구비하고 있으며 플러그 구멍(28a)의 좌우방향인 단축 x방향(도 22 참조)의 한쪽 단부를 확장한 형상의 키홈(28g)에 의해 소정 방향으로만 플러그 구멍(28a)으로 광커넥터 플러그(24b)을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 지지 갈고리(40)는 플러그 구멍(28a)의 장축 y방향 양측, 즉 상하방향 양측에 대향 배치되어 있으며 내부 하우징(28)의 하우징 본체(35)에 대한 보류용 계합 갈고리(28c)와는 형성 위치가 어긋나 있다.
다음에 이 제거공구(50)를 이용한 클립제거방법을 도 11 내지 도 20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제거공구(50)는 클립제거방법에 있어서 광커넥터(BH 하우징(26))를 보류하는 보류용 공구로서도 기능한다.
도 11은 BH 하우징(26)에 대한 제거공구(50)의 누르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어서 제거공구(50)를 플러그인 유닛(21)의 안쪽(백플레인(23) 쪽)에 삽입하고 BH 하우징(26)에 대해 누르도록 한다. 이로써 우선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보다 앞쪽에 돌출되어 있는 보류용 계합부(60)가 BH 하우징(26)의 내부 하우징(28)의 플러그 구멍(28a)에 삽입된 후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 선단의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클립(29)의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의 계합 갈고리(29d)에 압압된다.
보류용 계합부(60) 선단의 삽입캡(62)은 플러그 구멍(28a)과 거의 일치하는 단면형상을 하고 있으며 보류용 계합부(60)는 플러그 구멍(28a)에 대해 삽입캡(62)을 삽입할 수 있는 방향, 즉 삽입캡(62) 측부로 돌출 설치되어 있는 키(62c)가 플러그 구멍(28a)의 키홈(29g)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거공구 본체(5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보류용 계합부(60)가 탄성 갈고리(29b)에 대한 계합 해제갈고리(52a), (52b)의 접촉에 선행하여 플러그 구멍(28a)에 삽입됨으로써 제거공구(50)가 BH 하우징(26)에 대해 위치결정된다. 그 결과 BH 하우징(26)에 대해 제거공구(50)를 바른 방향으로 누를 수 있으며 탄성 갈고리(29b)에 대한 계합 해제갈고리(52a),(52b)의 접촉, 압압도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2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작업에 의해 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이 내부 하우징(28)의 대향하는 양측 커넥터 지지갈고리(40) 사이를 넓히도록 내부 하우징(28)에 삽입되고 내부 하우징(28)의 백플레인(23) 쪽 즉 부착구멍(31)에서 돌출된다. 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은 테이퍼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커넥터 지지갈고리(40)의 넓힘, 플러그 구멍(28a)으로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삽입캡(62)의 창(62b)에서 돌출된 출몰 계합편(64)은 앞쪽에서 뒤쪽으로 감에 따라 삽입캡(62)으로부터의 돌출량이 증대되는 산 모양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구멍(28a)으로의 삽입캡(62)의 삽입에 따라 플러그 구멍(28a)의 개구단부 주위의 내부 하우징(28)과의 접촉에 의해 오목부(61a) 내에 차례로 원활하게 밀어넣어지면서 플러그 구멍(28a) 내로 들어간다. 그리고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류용 계합부(60)는 삽입캡(62)의 창(62b)에서 돌출된 출몰 계합편(64)이 플러그 구멍(28a) 내벽과의 접촉에 의해 오목부(61a) 내에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플러그 구멍(28a)에 삽입된다. 이 출몰 계합편(64)은 오목부(61a)에 내장된 스프링(61d)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플러그 구멍(28a) 내벽면에 압압된 채로 플러그 구멍(28)으로 보류용 계합부(60)를 밀어넣음에 따라 플러그 구멍(28) 내벽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하고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구멍(28a)의 백플레인(23) 측단부에서 나온 곳에서 삽입캡(62)의 창(62b)에서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28)과 계합 가능해진다.
출몰 계합편(64)이 플러그 구멍(28a)에서 백플레인(23) 측으로 빠져나와 삽입캡(62)의 창(62b)에서 돌출되어 내부 하우징(28)과 계합 가능한 상태가 되기 전에 플러그 구멍(28a)으로의 보류용 계합부(60)의 삽입에 의해 보류용 계합부(60)의 누름부재(66)가 내부 하우징(28)에 눌려 중심축(61)에 대해 상대적으로 후퇴하고 스프링(67)의 압축이 시작된다. 또 출몰 계합편(64)이 내부 하우징(28)과 계합 가능하게 되는 것은 이 제거공구(50)에 의해 클립(29)과 BH 하우징(26)과의 계합이 해제되기 전, 구체적으로는 BH 하우징(26) 측의 계지부(34)에 대한 클립(29) 측의 계합편(29d)의 계합이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에 의해 해제되기 전이다.
상기 누름부재(66)는 플러그 구멍(28a)에 밀어넣어지지 않으며 플러그 구멍(28a)으로의 보류용 계합부(60)의 삽입에 의해 내부 하우징(28)에 접촉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4∼도 16에 한쪽의 계합 해제편(52a) 근방을 도시한다. 도 15에서는 한쪽의 계합 해제편(52a)을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에서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는 동일한 형상이며 클립제거공구(50)에서의 부착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 그리고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은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에 대해 동일하게 기능하여 계지부(34)에 대한 계합 해제를 거의 동시에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 14는 클립(29)의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에 대한 계합 해제편(52a),(52b)의 압압 전 상태를 도시한다. BH 하우징(26)을 향해 제거공구(50)를 누르면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클립(29)의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의 계합 갈고리(29d)에 접촉되고 BH 하우징(26)에 대해 제거공구(50)를 밀어넣음에 따라 각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탄성 갈고리(29b)의 바깥면(계합 갈고리(29d)가 세워져 있는 쪽 면)에 거의 닿아 백플레인(23)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계합 갈고리(29d)를 탄성 갈고리(29b)로부터의 돌출을 해소하도록 압압한다. 즉 탄성 갈고리(29b)의 일부를 세워 구부림 가공한 계합 갈고리(29d)를 세운 후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구멍(29f)에 계합 갈고리(29d)가 계합 갈고리 압압부(55)에 의해 넘어지면서 밀어넣어진다. 여기에서 계합 해제편(52a),(52b)과 갈고리블록(51A),(51B)의 프레임(58)에 형성되어 있는 스토퍼벽(57)과의 접촉에 의해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간 거리가 멀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갈고리(29d)가 계합 갈고리 압압부(55)에 의해 확실하게 밀어넣어진다. 이로써 BH 하우징(26)의 하우징 본체(35)의 계지부(34)에 대한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이 해제된다.
각 계합 해제편(52a),(52b)은 갈고리 블록(51A),(51B)의 프레임(58)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61d)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스토퍼벽(57)에 압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한쌍의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간 거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에서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의 계합 갈고리(29d)에 계합 해제편(52a),(52b)(상세하게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55))을 누를 수 있으며 계합 갈고리(29d)에 대한 계합 해제편(52a),(52b)의 압압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BH 하우징(26)에 대해 제거공구(50)를 밀어넣음으로써 접촉부(54)가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에 접촉하여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를 압압하며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35)의 갈고리 삽입구멍(33)에 탄성 갈고리(29b)가 밀어넣어진다. 이로써 계지부(34)에 대한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이 불가능해진다.
계합 해제편(52a),(52b)은 계합 해제편(52a),(52b)의 연재방향을 따라 가늘고 길게 형성된 구멍(52c)를 축(53)에 삽입함으로써 제거공구 본체(51)에 지지되어 있으며 접촉부(54)가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압압을 개시하면 우선 긴 구멍(52c)의 길이방향을 제거공구(50)의 전후방향을 따르게 하여 설치되어 있는 계합 해제편(52a),(52b)가 상기 긴 구멍(52c)의 범위에서 제거공구(50)의 뒤쪽으로 밀어넣어진다. 각 계합 해제편(52a),(52b)에서는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에 대한 접촉부(54)의 접촉위치가 축(53)(계합 해제편의 회전중심)보다 상대쪽 계합 해제편(52a),(52b) 쪽으로 어긋난 위치로 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에 대한 접촉부(54)의 접촉, 압압에 의해 계합 해제편(52a),(52b)이 스프링(56)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축(53)을 중심으로 하여 해당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이 BH 하우징(26)에 접근하는 방향, 즉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간 거리가 축소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계합 갈고리(29d)를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구멍(29f)에 확실히 밀어넣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접촉부(54)에 의해 탄성 갈고리(29b)가 백플레인(23) 쪽으로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하우징 본체(35)의 갈고리 삽입구멍(33)으로 탄성 갈고리(29b)가 원활하게 밀어넣어진다.
하우징 본체(35)의 갈고리 삽입구멍(33)에 계합 갈고리(29d)가 밀어넣어지면 갈고리 삽입구멍(33)을 통해 탄성 갈고리(29b)를 BH 하우징(26)에서 간단히 빼낼 수 있게 되어 BH 하우징(26)과 클립(29)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다.
본체부(29e) 자체가 백플레인(23)에 대해 판스프링과 같이 기능하는 클립(29)에서는 BH 하우징(26)의 계지부(34)에 대한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이 해제됨과 동시에 본체부(29e)의 스프링힘에 의해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가 갈고리 삽입구멍(33)으로 신속하고 확실하게 밀어넣어지기 때문에 계지부(34)에 대해 계합 해제한 계합 갈고리(29d)의 복귀에 의한 재계합 등의 부작용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있다.
이 클립제거공구(50)에 따르면 BH 하우징(26)의 계지부(34)에 대한 클립(29)의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을 해제해도 보류용 계합부(60)(상세하게는 출몰 계합편(64))와 BH 하우징(26)에 내장된 내부 하우징(28)과의 계합에 의해 BH 하우징(26)은 백플레인(23)에서 낙하하지 않고 클립제거공구(50) 쪽에 머문다. 따라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립(29)의 제거작업 후에 클립제거공구(50)를 플러그인 유닛(21)에서 꺼내면 클립제거공구(50)와 함께 BH 하우징(26)도 플러그인 유닛(21) 바깥으로 꺼낼 수 있다. 이 때 클립제거공구(50)는 BH 하우징(26)인 광커넥터를 보류하는 보류용 공구로서의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는 BH 하우징(26)의 계지부(34)에 대한 클립(29)의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을 해제한 후 플러그인 유닛(21)으로부터 제거공구(50)를 꺼내기 시작하면 스프링(67)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누름부재(66)와 출몰 계합편(64)과의 사이에 내부 하우징(28)이 지지된 상태에서 BH 하우징(26)이 제거공구(50)와 함께 플러그인 유닛(21)에서 꺼내진다. 여기에서 누름부재(66)와 출몰 계합편(64)과의 사이에 내부 하우징(28)이 지지됨으로써 BH 하우징(26)의 불필요한 흔들림이 방지되기 때문에 꺼내어 이동하는 중에 플러그인 유닛(21) 내의 부품이나 광파이버 등에 BH 하우징(26)이 걸리는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클립(29)의 제거작업의 진행에 따라 제거공구(50)의 각 계합 해제편(52a),(52b)의 접촉부(54)와 클립(29)의 탄성 갈고리(29b)와의 접촉상태가 해제되면 각 계합 해제편(52a),(52b)은 스프링(56)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BH하우징(26)에 대한 압압 전 상태로 되돌아간다.
또 이 제거공구(50)에서는 BH 하우징(26)을 향해 누르는 한계까지 즉 계합 해제편(52a),(52b)의 선단(구체적으로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BH 하우징(26)의 하우징 본체(35)의 계지부(34)에 접촉할 때까지 밀어넣고 나서 플러그인 유닛(21)으로부터 꺼내면 되고 이 동작에 의해 BH 하우징(26)의 계지부(34)에 대한 클립(29)의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 해제, 클립(29)에 대해 이탈된 BH 하우징(26)을 플러그인 유닛(21)으로부터 꺼내는 일련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플러그인 유닛(21)의 바깥쪽까지 BH 하우징(26)을 꺼냈으면 도 20 중 화살표 P와 같이 보류용 계합부(60) 선단의 삽입캡(62)을 제거공구(50) 뒤쪽 즉 보류용 계합부(60)를 따라 중심축(61)에 상대적으로 제거공구 본체(51) 쪽으로 밀어넣음으로써 출몰 계합편(64)과 내부 하우징(28)의 계합을 해제하고 제거공구(50)에서 BH 하우징(26)을 이탈시킨다. 이 경우 삽입캡(62)을 보류용 계합부(60)를 따라 중심축(61)에 상대적으로 제거공구 본체(51) 쪽으로 밀어넣으면 삽입캡(62)의 창(62b)의 전단(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측)의 내면을 형성하는 삽입캡(62) 측벽에 의해 출몰 계합편(64)이 뒤쪽(보류용 계합부(60)의 기단측. 제거공구 본체(51) 측)으로 넘어뜨려져 중심축(61)의 오목부(61a) 내에 밀어넣어지고 삽입캡(62) 측부에서의 돌출이 해소된다.
출몰 계합편(64)과 내부 하우징(28)의 계합이 해소되면 스프링(67)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내부 하우징(28)이 누름 부재(66)에 압압되어 보류용 계합부(60)의 선단측으로 밀려나고 제거공구(50)에서 BH 하우징(26)을 쉽게 취출할 수 있게 된다.
이 제거공구(50)에서는 누름 부재(66)로서 내부 하우징(28)에만 접촉되는 링 모양으로 형성된 것을 채용했는데 누름 부재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BH 하우징(26)의 하우징 본체(35)에 접촉되는 구성, 하우징 본체(35)와 내부 하우징(28)의 양쪽에 접촉되는 구성 등도 채용 가능하다. 이들 누름 부재는 출몰 계합편(64)과의 사이에 내부 하우징(28)만을 끼우는 구성이라면 하우징 본체에 대한 내부 하우징의 이동에 상관 없이 출몰 계합편(64)과의 사이의 삽입유지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으며 또 하우징 본체의 구체적 구조에 상관없이 삽입유지 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제거공구(50)는 제거공구 본체를 교환하고 그 양측에 갈고리 블록(51A),(51B)을 부착함으로써 계합 해제편(52a),(52b) 간의 이간거리를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각종 칫수의 BH 하우징에 대응하여 클립을 제거할 수 있다.
도 24는 여러 쌍(여기에서는 4쌍)의 광커넥터 플러그(24a),(24b)(도 24에서는 MPO 플러그)끼리의 접속에 대응하는 다연결(4연결) 백플레인 커넥터(20A)(이하 'BP 커넥터(20A)')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단 플러그인 유닛(21)은 도시생략). 이 BP 커넥터(20A)의 백플레인 하우징(71)(이하 'BH 하우징(71)')은 여러개(4개)의 플러그 구멍(72)이 일렬로 형성된 내부 하우징(73)을 각통형의 하우징 본체(74)에 수납한 구조이다. 프린트보드(22)에는 마찬가지로 여러개(4개)의 플러그 구멍(75a)이 형성된 프린트보드 하우징(75)(이하 'PH 하우징(75)')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프린트보드(22)의 백플레인(23)을 향한 이동에 의해 PH 하우징(75)을 BH 하우징(71)과 결합시킴으로써 PH 하우징(75)의 플러그 구멍(75a)에 끼워넣어져 계합 지지된 복수의 광커넥터 플러그(24a)가 BH 하우징(71)의 플러그 구멍(72)에 끼워져 계합 지지된 복수의 광커넥터 플러그(24b)에 대해 일괄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BH 하우징(71)의 하우징 본체(74) 내에서의 내부 하우징(73)의 수납상태의 유지는 상기 도 21∼도 23a, 도 23b 등에 예시한 BH 하우징(26)과 동일한 기구이며 내부 하우징(73) 쪽의 보류용 계합 갈고리와 하우징 본체(74)의 계합, 내부 하우징(73) 측의 접촉편(73a)과 하우징 본체(74) 쪽의 스토퍼부(74a)의 접촉 등에 의해 하우징 본체(74) 내의 소정 위치에 내부 하우징(73)을 안정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내부 하우징(73)은 가늘고 길게 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구멍(72)은 해당 내부 하우징(73)의 길이방향을 따라 여러개 배열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74)도 내부 하우징(73)과 대응하는 단면이 가늘고 긴 직사각형 각통 모양을 이루며 이 하우징 본체(74)의 길이방향 양단에는 도 4, 도 21, 도 22 등에 도시한 BH 하우징(26)과 마찬가지로 갈고리 삽입구멍(33)과 계지부(34)가 설치되어 있다.
이 BH 하우징(71)을 백플레인(23)에 부착하는 클립(79)은 도 21∼도 22 등에 도시한 BH 하우징(26)에 적용되는 클립(29)에 비해 본체부(79a)가 BH 하우징(71)과 대응하여 가늘고 긴 테두리 모양으로 되어 있는 것 외에는 해당 본체부(79a)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서 돌출 설치되어 있는 한쌍의 탄성 갈고리(29b), 이 탄성 갈고리(29b) 선단에 형성된 계합 갈고리(29d) 등의 구성은 BH 하우징(26)에 적용되는 클립(29)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이 클립(79)의 BH 하우징(71)에 대한 계합방법, 백플레인(23)에 대한 실장구조는 도 21∼도 22 등에 도시한 BH 하우징(26)과 동일하다. 즉 부착구멍(31a)(도 28a, 도 28b 참조)을 통해 BH 하우징(71)(상세하게는 하우징 본체(74))의 대향하는 양측부의 갈고리 삽입구멍(33)에 삽입관통시킨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계합 갈고리(29d)를 계지부(34)에 계합시킴으로써 BH 하우징(71)과 클립(79) 사이에 백플레인(23)을 끼우고 부착구멍(31a) 내에서의 탄성 갈고리(29d)의 가동범위, 클립(79)의 본체부(79a)의 탄성변형범위에 의해 BH 하우징(71)이 원하는 이동범위를 유지하면서 백플레인(23)에 실장된다. 본체부(79a)의 만곡 또는 굴곡에 의한 꼭대기부(79e)(도 24에서는 굴곡에 의한 꼭대기부(79e))를 백플레인(23)에 접촉시키고 본체부(79a) 자체의 스프링힘을 작용시켜 BH 하우징(71) 쪽의 계지부(34)에 대한 탄성 갈고리 선단부(29c)의 계합 갈고리(29d)의 계지상태를 유지하는 것도 도 21∼도 22 등에 도시한 BH 하우징(26)과 동일하다.
단 백플레인(23)에 개구되는 부착구멍(31a)은 BH 하우징(71)(상세하게는 내부 하우징(73))의 각 플러그 구멍(72)에 대한 광커넥터 플러그(24b)의 삽입 및 BH 하우징(71)의 이동에 따른 광커넥터 플러그(24b)와의 간섭방지를 실현할 수 있는 크기이며 도 21 등에 도시한 부착구멍(31)보다도 크다.
도 25∼도 35에 상기 BP 커넥터(20A)의 BH 하우징(71)으로부터의 클립(79)의 제거에 적용되는 클립제거공구(80)(이하 '제거공구(80)')를 도시한다.
도 25∼도 28a, 도 28b 등에 있어서 제거공구(80)는 블록형태의 제거공구 본체(81)의 양측부에 갈고리 블록(51A),(51B)을 부착하고 상기 제거공구 본체(81)의 칫수에 의해 각 갈고리 블록(51A),(51B)의 계합 해제편(52a),(52b) 사이의 이간거리를, BH 하우징(71) 양측의 계지부(34)에 대한 계합편(29d)의 계합위치에 대응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갈고리 블록(51A),(51B)의 제거공구 본체(81)에 대한 부착은 나사(91)에 의해 이탈 가능하게 된다.
또 제거공구 본체(81)에는 2개의 보류용 계합부(60)가 부착되며 도 27a∼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공구 본체(81)에는 보류용 계합부(6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멍(81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구멍(81a)은 상기 제거공구(50)의 제거공구 본체(51)에 형성되어 있는 고정구멍(51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보류용 계합부(60)의 고정도 고정구멍(51a)과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나아가 해당 고정구멍(81a) 내에 형성되어 있는 키(81b)와 보류용 계합부(60) 쪽의 키홈(68a)와의 계합에 의해 보류용 계합부(60)가 소정 방향으로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것도 제거공구(50)의 제거공구 본체(51)의 고정구멍(51a)과 동일하다.
제거공구 본체에 있어서, 제거공구 본체에 대한 보류용 계합부(60)의 방향이 해당 제거공구(80)의 적용대상인 BH 하우징(71)의 내부 하우징(73)의 플러그 구멍(72) 방향에 대응하고 있는 것을 선택사용하는 것도, 상기 제거공구 본체(51)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는 제거공구(50)의 적용대상인 BH 하우징(26)에서는 내부 하우징(28)의 플러그 구멍(28a)의 단면장축 y방향(도 22 참조)이 BH 하우징(26)의 세로방향(하우징 본체(35)의 한쌍의 갈고리 삽입구멍(33) 사이를 연결하는 방향. 도 22 상하)과 거의 일치되며 이 장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단축 x방향이 상기 세로방향으로 직교하는 가로방향과 거의 일치되어 있다. 한편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공구(80)의 적용대상인 BH 하우징(71)에서는 내부 하우징(73)의 각 플러그 구멍(72)은 BH 하우징(26)의 플러그 구멍(28a)과 단면형상이 동일하지만 키홈(72a)의 위치에서 알 수 있듯이 단축방향의 폭이 하우징 본체(74)의 길이방향인 세로방향(도 24 상하)의 폭과 거의 일치함과 동시에 장축방향의 폭이 상기 세로방향에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폭과 거의 일치하여, 그 결과 제거공구(50)의 적용대상인 BH 하우징(26)에 비해 플러그 구멍의 방향이 거의 90˚방향이 다르다. 따라서 제거공구 본체(81)에 대한 보류용 계합부(60)의 고정방향도 이에 대응하여 제거공구(50)의 제거공구 본체(51)에 대한 고정방향에 대해 90˚다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제거공구(80)를 이용한 클립(79) 제거작업도 도 11∼도 19 등에 도시한 제거공구(50)에 의한 클립(29) 제거작업과 완전히 동일하여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제거공구 본체(81)는 BH 하우징(71)에 대한 압압방향 후단측에 설치된 부착물(59)을 이용하여 프린트보드(22)를 부착하거나 제거공구 본체(81)에 조작간(90)을 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프린트보드(22)나 조작간(90)을 조작핸들로서 이용함으로써 플러그인 유닛(21)에 대한 삽입, 인출, BH 하우징(71)에 대한 진퇴 등의 조작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조작간(90)의 부착상태는 도시를 생략했으나 제거공구 본체(81)에는 해당 제거공구 본체(81)의 후단면측에 개구되는 나사결합구멍(59b)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나사결합구멍(59b)에 조작간(90)을 나사로 결합하여 부착하면 된다. 이때 제거공구 본체(81)의 나사결합구멍(59b) 주위에 위치하는 부분이 부착물로서 기능한다.
제거공구 본체(81)에는 여러개(여기서는 2개)의 보류용 계합부(60)를 돌출설치하고 이들 보류용 계합부(60)를 BH 하우징(71)에 내장된 내부 하우징(73)에 삽입, 계합하여 클립(79) 제거시에 BH 하우징(71)을 안정지지할 수 있도록 해둔다. 이때 클립제거공구(80)는 BH 하우징(71)인 광커넥터를 보류하는 보류용 공구로서의 기능도 한다. 도 28B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BH 하우징(71)에 내장된 내부 하우징(73)도 도 23a∼도 23c 등에 예시한 BH 하우징(26)의 내부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커넥터 지지갈고리(40)를 플러그 구멍(72)마다 구비하는 구성이며 보류용 계합부(60)는 계합오목부(60a)에 상기 커넥터 지지갈고리(40)가 계합됨으로써 BH 하우징(7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보류용 계합부(60)는 BH 하우징(71)의 안정지지를 감안하여 BH 하우징(71)의 복수개의 플러그 구멍(72) 전부 또는 선택한 일부에 삽입하여(도 29 등에서는 배열된 양단의 2개의 플러그 구멍(72)에 삽입), BH 하우징(71)의 하중을 치우침 없이 거의 균등하게 안정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BH 하우징(71)의 내부 하우징(73)의 플러그 구멍(72)의 위치에 대응하여 보류용 계합부(60)를 돌출상태로 부착할 수 있는 제거공구 본체를 적절히 선택 사용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제거공구(80)를 이용한 클립(79)의 제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3(단 도 33에서는 클립(79)의 도시 생략)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인 유닛(21)에 제거공구(80)를 삽입하고 백플레인(23)에 부착되어 있는 BH 하우징(71)을 향해 제거공구(80)를 접근시킴으로써 도 29a, 도 29b,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BH 하우징(71)의 내부 하우징(73)의 플러그 구멍(72)에 보류용 계합부(60)를 삽입시키고 출몰 계합편(64)을 플러그 구멍(72)에서 백플레인(23) 쪽으로 빠져나온 곳까지 이동시켜 삽입캡(62)의 측부에서 돌출시킨다. 플러그인 유닛(21)으로 제거공구(80)를 계속 밀어넣음으로써 제거공구(80) 양측의 갈고리 블록(51A),(51B)의 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 갈고리 압압부(55)에 의해 클립(79) 양쪽의 탄성 갈고리(29b)의 계합갈고리(29d)을 넘어뜨리도록 압압하고 탄성 갈고리(29b)의 구멍(29f)에 밀어넣어 BH 하우징(71)의 계지부(34)와의 계합을 해제한다. 제거공구(80) 양쪽의 갈고리 블록(51A),(51B)은 제거공구(80)를 밀어넣음에 따라 상기 제거공구(50)의 한쌍의 갈고리 블록(51A),(51B)에 의한, BH 하우징(26) 쪽의 계지부(29d)에 대한 클립(29)의 계합 갈고리(29d)의 계합 해제, BH 하우징(71)의 갈고리 삽입구멍(33)으로의 탄성 갈고리(29b)의 밀어넣음(도 14에서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 동작)과 동일한 동작을 실시한다. 그리고 제거공구(80)이 압입 한계(계합 해제편(52a),(52b)의 계합 갈고리 압압부(55)가 BH 하우징(71) 쪽의 계지부(34)에 접촉한 위치)에 도달하면 BH 하우징(71)의 갈고리 삽입구멍(33)에 탄성 갈고리(29b)가 밀어넣어지고 BH 하우징(71)의 하우징 본체(74)에 대한 클립(79)의 계합이 확실하게 해제된다.
BH 하우징(71)의 하우징 본체(74)에 대한 클립(79)의 계합이 해제되면 도 30,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인 유닛(21)에서 제거공구(80)를 꺼낸다. 이로써 보류용 계합부(55)의 출몰 계합편(64)이 BH 하우징(71)의 내부 하우징(73)에 계합되어 BH 하우징(71)이 제거공구(80)와 일체로 플러그인 유닛(21)에서 꺼내진다.
BH 하우징(71)은 여러개의 보류용 계합부(60)의 출몰 계합편(64)과 누름 부재(66) 사이에서 스프링(67)의 탄성가압력에 의해 내부 하우징(73)이 끼워진 상태로 꺼내진다.
보류용 계합부(6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BH 하우징(71)을 꺼내는 구성에서는 스프링(67)의 신축범위에 의해 BH 하우징(71)에 약간의 요동이 허용되고 있기 때문에 꺼내는 도중에 플러그인 유닛(21) 내의 광부품을 접촉에 의해 파손하거나 광파이버를 걸어 절단하는 부작용을 최대한 막을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플러그인 유닛(21)에서 BH 하우징(71)을 꺼낸 후 도 31a, 도 3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류용 계합부(60)의 삽입캡(62)을 보류용 계합부(60)의 기단측(제거공구 본체(81) 측)에 밀어넣는 조작을 함으로써, 출몰 계합편(64)의 내부 하우징(73)에 대한 계합에 해제된다. 그 결과 도 32a, 도 3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거공구(80)에서 BH 하우징(71)이 분리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설계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컨대 계합 해제편이나 보류용 계합부 등의 구체적 형상은 적절하게 설계변경할 수 있다.
예컨대 계합 해제편으로는 팩플레인 하우징의 계지부에 대한 클립의 계합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하는 구성이면 되고, 접촉부와 계합 갈고리 압압부를 선단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백플레인 하우징의 계지부에 계합하는 클립의 계합 갈고리로는 각종 형상을 채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계합 해제편으로서도 백플레인 하우징의 계지부에 대한 클립의 계합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할 수 있는 형상이 채용된다. 예컨대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향하는 양측에서 감싸도록 하여 계합하는 한쌍의 탄성 갈고리를 구비하는 클립에 대해서는, 양 탄성 갈고리를 바깥쪽으로 넓히는 구성인 한쌍의 계합 해제 갈고리를 구비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계합 해제편의 구체적 구성으로는,
① 클립제거공구를 백플레인 하우징을 향해 밀어넣음으로써 우선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킨 후 탄성 갈고리의 압압을 개시하여 상기 계합 갈고리의 압입 상태(돌출량이 감소된 상태)를 유지한 채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해 계합 갈고리가 계합되지 않는 위치로 클립을 밀어내는 구성(상기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 외에,
② 클립제거공구를 백플레인 하우징을 향해 밀어넣음으로써 계합 갈고리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압압과, 탄성 갈고리의 압압·밀어냄이 거의 동시에 개시되는 구성,
③ 클립제거공구를 백플레인 하우징을 향해 밀어넣음으로써 우선 탄성 갈고리의 압압·밀어냄을 선행하여 개시한 후 계합 갈고리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는 밀어넣음을 개시하는 구성,
도 채용할 수 있다.
단 보류용 계합부를 구비하는 클립제거공구에서는, 계합 해제편이 상기 ①∼③ 어느 구성이라도 클립의 계합 갈고리의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한 계합이 해제되기 전에 보류용 계합부가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해 계합하거나 또는 계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보류용 계합부로는 상기 실시형태에 예시한 바와 같이 내부 하우징의 백플레인 측의 끝면에 계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 하우징의 내부 등에 계합되는 것, 백플레인 하우징의 하우징 본체(내부 하우징을 수납하는 외장부)에 계합되는 것 등, 각종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컨대 내부 하우징과 이것을 수납하는 하우징 본체 사이에 프린트보드 하우징에서 돌출 설치된 결합갈고리가 삽입 결합되는 결합홈이 설치되어 있는 구성의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해서는, 프린트보드 하우징과 마찬가지로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해 결합되는 구성이나 상기 결합홈에 삽입, 계합되는 구멍을 갖는 구성 등도 채용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보류용 계합부(60)에서의 누름 부재(66)나 스프링(67)은 클립 제거 후에 백플레인 하우징을 안정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클립과의 계합이 해제된 백플레인 하우징을 제거공구와 함께 플러그인 유닛에서 꺼내는 것을 실현하기 위한 구성으로는, 누름부재(66)나 스프링(67)을 생략한 구성이어도 충분하다.
또 이 클립제거공구의 적용범위는 내부 하우징을 구비한 광커넥터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부 하우징을 구비하지 않은 광커넥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예컨대 플러그 구멍이 복수열에 걸쳐 여러개 배열 형성된 백플레인 하우징을 구비한 백플레인 커넥터에 대해서도 그 백플레인 커네터를 백플레인에 부착하는 클립을 제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클립제거공구를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이 경우, 다수의 플러그 구멍에 대응하여 대형화되어 있는 백플레인 하우징에 대해 클립도 대형화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예컨대 여러쌍의 계합 해제편을 구비한 클립제거공구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여러쌍의 계합 해제편이 동시에 클립의 계합 갈고리의 백플레인 하우징(상세하게는 그 계지부)에 대한 계합을 해제함으로써 클립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블록 형태의 제거공구 본체에 대해 계합 해제편을 구비한 갈고리 블록을 부착함으로서 조립되는 구성의 클립제거공구를 도시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계합 해제편이 직접 소정의 하나의 제거공구 본체에 설치된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단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제거공구 본체가 교환 가능한 구성이면 계합 해제편 간의 이간거리 설정이 용이하며 또 백플레인 하우징 등 백플레인에 부착되는 광커넥터에 적합한 보류용 계합부를 구비한 제거공구 본체의 선택사용도 용이해진다는 점에서 유리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백플레인에 부착되는 광커넥터로는, 상기 백플레인 하우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광커넥터 어댑터 자체(일본공업규격 JIS C 5973에 제정되는 SC형 광커넥터의 광커넥터 어댑터, 동 JIS C 5982에 제정되는 MPO형 광커넥터의 광커넥터 어댑터 등과 유사한 형상) 등, 자웅결합구조의 각종 구성의 광커넥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립의 형상은 부착되는 광커넥터의 구체적 형상에 따라 변화되며 그에 따라 제거공구의 형상도 변화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립제거공구에 따르면, 광커넥터에 대해 누름조작하는 것만으로도 광커넥터의 계지부에 대한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계합 갈고리의 계합을 계합 해제편으로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즉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 설치되어 광커넥터에 계합되는 계합 갈고리를 계합 해제편으로 탄성변형시킴으로써 광커넥터와의 계합을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립의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광커넥터측의 계지부에 대한 계합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와, 탄성 갈고리를 압압하는 접촉부를 선단에 구비하는 구성이면 이 제거공구의 밀어넣음 조작만으로도 클립제거작업을 간단히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광커넥터에 대한 진퇴조작용 조작핸들을 별도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이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부착물을 이용하여 제거공구 본체에 부착한 조작핸들을 조작함으로써 플러그인 유닛, 기타 협소한 장소에 설치된 광커넥터에 대해서도 제거공구의 압압작업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 제거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상기 광커넥터에 대해 계합하는 보류용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으면 광커넥터에 대한 보류용 계합부의 계합에 의해 클립이 제거된 광커넥터의 백플레인으로부터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고 낙하에 의한 파손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거공구를 백플레인 근방에서 꺼냄으로써 광커넥터도 제거공구와 일체로 꺼낼 수 있다. 이로써 예컨대 플러그인 유닛 내 등의 협소한장소로부터의 광커넥터의 취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나아가 보류용 공구에 의해 광커넥터를 보류한 상태에서 클립의 광커넥터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는 클립의 계합 해제에 의한 광커넥터의 낙하에 따른 파손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류용 공구를 백플레인 근방에서 꺼냄으로써 광커넥터도 일체로 꺼내 백플레인 근방에서 간단히 취출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예컨대 플러그인 유닛 내 등의 협소한 설치장소로부터의 광커넥터의 취출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에서 이용한 '클립'이란, 광커넥터를 백플레인에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부재의 총칭으로서, 결코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한 'ㄷ'자 형태의 부재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클립에는 상기와 같은 광커넥터의 종류, 광커넥터의 부착용이성 또는 광커넥터의 부착위치 등에 따라 여러가지 형태의 부재가 포함된다.

Claims (12)

  1. 광커넥터를 백플레인에 부착하는 클립과, 상기 광커넥터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제거공구로서,
    상기 광커넥터에 대해 진퇴조작되는 제거공구 본체와, 이 제거공구 본체에서 돌출 상태로 설치된 계합 해제편을 구비하며,
    상기 계합 해제편이 상기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된 계합 갈고리에 눌림으로써 상기 계합 갈고리를 변형시키고, 상기 계합편의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상기 계합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제거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해제편이, 상기 클립의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된 계합 갈고리에 눌림으로써 상기 계합 갈고리를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계합 갈고리의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상기 계합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제거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해제편이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軸)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거공구 본체로부터의 돌출방향 선단에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계합 갈고리의 상기 광커넥터에 설치된 계지부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와,광커넥터에 대한 제거공구 본체의 전진에 따라 상기 탄성 갈고리를 압압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클립제거공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해제편이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축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거공구 본체로부터의 돌출방향 선단에 상기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상기 계합 갈고리의, 상기 광커넥터에 설치된 계지부에 대한 계합을 해제하는 계합 갈고리 압압부와, 광커넥터에 대한 제거공구 본체의 전진에 따라 상기 탄성 갈고리를 압압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클립제거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진퇴조작용 조작핸들을 별도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이 설치되어 있는 클립제거공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진퇴조작용 조작핸들을 별도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이 설치되어 있는 클립제거공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진퇴조작용 조작핸들을 별도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이 설치되어 있는 클립제거공구.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진퇴조작용조작핸들을 별도로 부착하기 위한 부착물이 설치되어 있는 클립제거공구.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공구 본체에, 상기 광커넥터와 계합하는 보류용 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는 클립제거공구.
  10. 광커넥터를 백플레인에 부착하는 클립과, 상기 광커넥터와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 제거방법으로서,
    보류용 공구를 상기 백플레인 측에 누름으로써 상기 클립과 상기 광커넥터의 계합을 해제하는 클립제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류용 공구에 의해 상기 광커넥터를 보류한 상태에서,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상기 클립의 탄성 갈고리의 계합을 해제한 후, 상기 보류용 공구와 함께 상기 광커넥터를 상기 백플레인 근방까지 취출하는 클립제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광커넥터에 대한 상기 탄성 갈고리의 계합 해제가 상기 클립의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의 측부에 돌출된 계합 갈고리를 압압하여 상기 계합 갈고리의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로부터의 돌출량을 감소시키고, 이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탄성 갈고리 선단부를 압압하고, 광커넥터에 대해 상기 계합 갈고리가 계합되지 않은 위치로 탄성 갈고리를 이동시킴으로써 실시되는 클립제거방법.
KR10-2003-7001722A 2000-08-07 2001-08-07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 KR200300209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39216 2000-08-07
JPJP-P-2000-00239216 2000-08-07
JP2001235434A JP3565341B2 (ja) 2000-08-07 2001-08-02 クリップ除去工具およびクリップ除去方法
JPJP-P-2001-00235434 2001-08-02
PCT/JP2001/006769 WO2002012939A1 (fr) 2000-08-07 2001-08-07 Outil et procede pour enlever des agraf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973A true KR20030020973A (ko) 2003-03-10

Family

ID=2659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722A KR20030020973A (ko) 2000-08-07 2001-08-07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19855B2 (ko)
EP (1) EP1316824A4 (ko)
JP (1) JP3565341B2 (ko)
KR (1) KR20030020973A (ko)
CA (1) CA2423520A1 (ko)
WO (1) WO20020129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5933B2 (ja) * 2004-04-02 2007-06-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の分解治具
JP5311570B2 (ja) 2009-05-26 2013-10-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光コネクタ装置及び相手側光コネクタ装置
US8231283B2 (en) 2010-12-06 2012-07-3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Waveguide connector with improved structure for positioning waveguide into ferrule
US9354399B2 (en) 2012-08-07 2016-05-31 Molex, Llc Optical fiber connector assembly
FR3001046B1 (fr) * 2013-01-11 2016-03-25 Nexans Dispositif de demontage d'un raccord dans un module de connexion optique
US10197746B2 (en) 2015-12-18 2019-02-05 US Conec, Ltd Fiber optic ferrule and a guide pin clamp with field changeable guide pins
US9482820B1 (en) 2015-12-29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ing mid-board optical modules
JP6314163B2 (ja) 2016-01-29 2018-04-1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2017151338A (ja) * 2016-02-26 2017-08-31 三和電気工業株式会社 光アダプタ用ホルダ装置
CN114415292B (zh) * 2022-03-29 2022-06-17 季华实验室 一种用于lc光纤接头的自动解锁装置、系统及方法
CN115267979B (zh) * 2022-08-04 2023-09-22 上海信管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光纤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89809A (ja) 1984-10-11 1986-05-08 株式会社間組 硬化体混練物の混練方法
JPH0518723Y2 (ko) * 1984-11-20 1993-05-18
JPS6384103A (ja) 1986-09-29 1988-04-14 Kanazawa Univ 渦電流型交流強磁場発生装置
JP3287433B2 (ja) * 1993-07-02 2002-06-04 本多通信工業株式会社 プラグ着脱工具及びプラグ装着工具
JP2612840B2 (ja) * 1993-07-02 1997-05-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ファイバコネクタのためのスリーブホルダ挿抜工具
JPH07326460A (ja) * 1994-05-31 1995-12-12 Suzuki Motor Corp コネクタの接触子取外し具
US6095695A (en) * 1996-10-28 2000-08-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connector, and using method and tool thereof
JP3447196B2 (ja) * 1997-04-30 2003-09-1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離脱機構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工具
US6425692B1 (en) * 1997-10-23 2002-07-30 Fujikura, Ltd. Connecting structure for optical connector
US5956832A (en) * 1998-02-17 1999-09-28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onnector insertion and removal tool
JP3483788B2 (ja) * 1999-01-08 2004-01-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用工具
US6364534B1 (en) * 2000-02-29 2002-04-02 Lucent Technologies, Inc. Panel mounting assembly for optical fiber connectors
US6682230B1 (en) * 2000-08-09 2004-01-27 Berg Technology, Inc. Optical connector and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with movable conne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5341B2 (ja) 2004-09-15
US20040013388A1 (en) 2004-01-22
EP1316824A1 (en) 2003-06-04
US6819855B2 (en) 2004-11-16
CA2423520A1 (en) 2003-02-05
JP2002122754A (ja) 2002-04-26
EP1316824A4 (en) 2006-03-29
WO2002012939A1 (fr) 200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3346A (en) Optical jack for plug-jack optical connector
CA2030897C (en) Optical connector
JP4639315B2 (ja) 光コネクタ
US5537501A (en) Optical connector
KR20030020973A (ko) 클립제거공구 및 클립제거방법
US20110123156A1 (en) Optical adapter
JP2003177279A (ja) 光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
JP3307846B2 (ja) コネクタ
CA2486210C (en) Optical connector adapter having an engaging portion which is rendered movable by the use of a slit
JP2011048174A (ja) 着脱工具
JP6170571B2 (ja) 光ファイバ相互接続組立体
CN111610601A (zh) 一种光纤连接器
CN113296197B (zh) 锁紧机构、连接器、连接器组件及网络系统
CN110908046A (zh) 一种用于保持插芯的装配体和连接器
US20100232757A1 (en) Lc adapter
JP6244173B2 (ja) 光コネクタ
JP7036772B2 (ja) 光コネクタ
CN111417882B (zh) 光连接器以及光连接器的连接方法
US20210199895A1 (en) Optical connector system
JP4158898B2 (ja) コネクタ及びそのコネクタ着脱工具
JP3929971B2 (ja) クリップ除去方法
JP3447196B2 (ja) 光コネクタ離脱機構および光コネクタ接続工具
JP2005345589A (ja) 光アダプタ取外用冶具
JP3723029B2 (ja) 光コネクタ
JP3542926B2 (ja) 光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