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317A -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317A
KR20030020317A KR1020027017938A KR20027017938A KR20030020317A KR 20030020317 A KR20030020317 A KR 20030020317A KR 1020027017938 A KR1020027017938 A KR 1020027017938A KR 20027017938 A KR20027017938 A KR 20027017938A KR 20030020317 A KR20030020317 A KR 20030020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eiving terminal
communication
notification
inco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7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쿠니오 요시카와
대치 푸나토
모토하루 미야케
타쿠 오니시
신지 코바야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030020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31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32Metric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85Tariff-related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21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 H04L51/224Monitoring or handling of messages providing notification on incoming messages, e.g. pushed notifications of received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58Message adaptation for wireless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04W28/14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using intermediate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은,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수신 단말마다의 정보를 축적하고, 그 축적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도록 했다.

Description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RECEPTION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최근, 예를 들면, PDC-P(Personal Digital Cellular-Packet) 등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기(예 : 휴대 전화기 등)에서는, 음성 통신 이외, 인터넷을 개재한 전자 메일의 송수신이나, 여러 가지의 컨텐츠(conteent)의 수신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이동기가 전자 메일의 수신을 하는 경우, 우선, 메일 서버 내의 메일 박스에 자신의 이동기 앞으로의 전자 메일이 배달되어 있으면 이 메일 서버로부터 이 이동기 앞으로 착신이 통지된다. 이 이동기는 이 착신 통지를 받으면 이 메일 서버에 액세스하여 자신의 앞으로의 메일을 취출한다. 이 때, 이 메일 서버로부터 이 이동기 앞으로 착신을 통지시키는데는, 우선, 이 메일 서버로부터의 착신 통지가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에 보내어지고, 상기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예를 들면, 교환국 노드가 착신 통지처의 이 이동기와의 사이에 패킷 링크를 확립하고, 그 확립한 패킷 링크를 이용하여 이 이동기에 착신 통지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이동기에 대한 착신 통지는, 이 이동 통신 시스템 내의 교환국 노드와 착신처 이동기와의 사이에 확립된 패킷 링크가 이용되어 행해지고 있었다. 그렇지만, 이 이동기와 이 교환국 노드간에 이미 패킷 링크가 확립되어 있을 때(예를 들면, 이 이동기 사용자가 홈 페이지를 열람 중), 그 이동기에 대한 착신이 있을 경우는 착신 통지를 행하기 위한 새로운 패킷 링크가 필요하게 된다. 이러한 현황 하에서는, 예를 들면, 어떤 무선존에 존재하는 이동기의 수가 증가해 갈 경우, 착신 통지를 위해서 쳐지는 패킷 링크의 수도 증가해 버리게 된다. 그 결과, 정보 송수신을 할 때에 이용되어야 할 패킷 링크의 자원이 착신 통지를 위해서 할당되어 버리게 되어 네트워크 자원이 유효하게 활용되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생겨 버린다.
또, 현재의 인터넷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하나로 전자 메일이 있다. 이 전자 메일에는 크게 나누어 두개의 정보 전달의 형태가 있다. 하나는 상대방에게 즉석에서 송신 메세지를 보낼 필요가 있는 전자 메일로, 여기에서는, 이를 즉시성 메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또 하나는 광고 전달 등 즉석에서 상대방에게 보낼 필요가 없는 전자 메일로, 여기에서는, 이를 비즉시성 메일이라고 부르기로 한다. 이와 같이 전자 메일의 세계에도 즉시성을 가지는 메일과 비즉시성을 가지는 메일이 존재하고 있다. 즉, 우편의 세계와 같이 우편의속달에 상당하는 즉시성 메일이나 통상의 우편에 상당하는 비즉시성 메일이 현실에는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우편의 속달은 일반의 우편물보다 빨리 보내어 도착시키기 위해 보통 우편보다 비싼 요금(속달료)이 지불되고, 보통 우편에서는 요금이 속달보다 저렴한 만큼 통상의 날짜로 도착되는 등 요금상의 차별화가 도모해지고 있다. 그렇지만, 전자 메일의 세계에서는 우편의 세계와 같이 즉시성(예 : 속달에 상당), 비즉시성(예 : 일반의 우편에 상당)이라고 하는 개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같은 요금을 부담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요금에 대한 불공평감이 일어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세하게는, 이동 통신 시스템 혹은 유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중 착신 통지를 적용하여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그러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따라 수신 단말에의 착신 통지 제어를 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착신 통지 제어 방법의 개요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와 관련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따라 이루어지는 착신 통지의 통신 순서의 순차 순서(sequence)(그의 1)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로부터 송신되는 트리거의 생성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메일 박스로부터 송신되는 통신 확인 신호의 생성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따라 이루어지는 착신 통지의 통신 순서의 순차 순서(그의 2)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메일 박스에 축적되는 메일의 관리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메일의 즉시성·비즉시성에 기초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이동기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기초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송신 메일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때의 이동기의 화면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와 관련되는 프로토콜 변환 장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3은 프로토콜 변환 장비에 의한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는 프로토콜 변환 장비에서 관리되는 호 정보 관리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 1의 과제는, 이동기 등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를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낭비를 억제하면서 사용자가 부담하는 통신 요금의 공평화가 가능하게 되는 이동기 등에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의 과제는, 그러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따라 착신 통지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제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되듯이,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수신 단말마다의 정보를 축적하고, 그 축적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을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수신 단말(예 : 이동기)로부터의 접속 요구, 예를 들면, Web 액세스에 수반하는 접속 요구가 트리거(trigger)가 되어 이 이동기에 대한 착신 통지가 송신된다. 예를 들면, 정보 서버를 메일 서버로 한 경우, 어떤 이동기 앞(이하, 이동기 A라 함)으로의 메일이 메일 서버 내의 메일 박스에 축적되면, 이동기 A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계기로 이 메일 박스에 스풀(spool)되어 있는 메일이 조사된다. 이 때, 이 이동기 A 앞으로의 메일이 축적되어 있으면, 이 이동기 A에 대한 착신 통지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이동기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계기로 하는 착신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을 유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수신 단말(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의 접속 요구(이 경우, 유선 통신 시스템 내에 설치되는 교환국 장치 등의 네트워크 장치에의 접속 요구)가 계기로 되어 이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중에 확립되어 있는 링크를 이용하여 착신 통지를 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되듯이,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해서 하는 착신 통지는, 그 수신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에 미리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이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서는, 착신 통지에 이용되는 착신 통지의 정보가 상기 접속 요구를 계기로 확립된 소정의 통신 회선(예를 들면, 패킷 링크)에 실려서 이동기 A에 통지(착신 통지) 된다. 그 때문에, 착신 통지를 하기 위해서만 소정의 통신 회선을 확립시키고 있던 종래와 비교하여 쓸데없는 통신 회선을 확립시킬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가능하게 되어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부하의 증가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 상기 효과는, 이동 통신 시스템만이 아니고, 유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선 통신에서 이용되는 수신 단말과 유선 통신 시스템에 배치되고 구비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에 소정의 통신 회선이 쳐지고 있으면 그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한다. 그 때문에, 유선 통신 시스템에 배치되고 구비되어 있는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3에 기재되듯이,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각 수신 단말 앞으로의 정보를 축적했을 때에, 그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고유의 정보로부터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가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이 판정에서 통신중으로의 결과가 얻어지면 그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을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메일 서버 내의 메일 박스는 각 수신 단말(예 : 이동기) 앞으로의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그 메일에 포함되는 이동기의 행선지와 관련되는 정보(가입자 정보 등)를 기초로 하여, 그 이동기가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이 판정에서 통신중인 것이 판명되면 메일 박스 내의 메일이 체크되고, 그 이동기에 대한 메일이 축적되어있으면 이 이동기로의 착신 통지를 한다. 즉, 메일 서버에 이동기 앞으로의 메일이 축적되었을 때에, 그 축적된 메일의 전달처인 이동기가 통신중인지 아닌지가 판정되고, 통신중이면 그 통신을 할 때에 확립된 소정의 통신 회선(링크)에 착신 통지 정보가 실려져 이 이동기에 통지된다. 그 때문에, 이 이동기로의 착신 통지에는 이미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링크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쓸데없는 링크를 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유효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이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을 유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메일 박스에 메일이 도착했을 때에, 그 메일의 착신처로 되는 수신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없는지의 판정이 이루어지고, 이 수신 단말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을 때 그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가 해당 수신 단말에 대해 행해진다.
정보의 속성에 따라 착신 통지를 제어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청구항 4에 기재되듯이,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정보의 송신 앞으로 부가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축적하는 정보를 구분하고, 그 구분된 정보 중, 소정의 식별 정보로 구분된 정보를 축적 보유하고, 그 축적 보유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수신했을 때에, 상기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이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을 이동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메일 서버의 메일 박스에 도착한 메일이 시간에 대한 우선순위에 따라 구분 되어 축적된다. 이 때, 시간에 대한 우선순위의 선택은 정보의 송신원으로 되는 이동기사용자 등에서 선택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일 박스에 축적된 메일 중, 시간에 대한 우선순위가 낮은 정보에 대해서는, 축적 후 곧바로 전달처로 되는 이동기에 착신 통지를 하는 것이 아니고, 일단 그 정보를 보유하고, 이 이동기와 네트워크 장치간이 통신중이 되는 것을 계기로서 이 이동기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한다. 그 결과, 메일 박스에 축적된 메일 중, 전달처로 되는 이동기에 바로 전하지 않아도 좋은 것 같은 메일에 대해서는 바로 착신 통지를 하지 않기 때문에, 착신 통지에 이용되는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 좋게 이용할 수 있다.
정보의 즉시성, 비즉시성에 따라 정보 취득의 시간에 따른 요금 설정을 할 수 있다고 하는 관점으로부터, 본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되듯이,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식별 정보가 전달해야할 정보의 즉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서는, 즉시성 메일의 경우에는 통상 요금을 징수하고, 비즉시성 메일의 경우에는 통상보다 할인된 요금을 징수하는 등의 요금 설정을 함으로써 요금의 차별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정보의 즉시성, 비즉시성과 관련됨이 없이 일률 요금을 사용자가 부담하고 있던 종래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부담하는 통신 요금의 공평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되듯이,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정보 서버의 사이에 삽입된 노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회선을 확립할 때에 주고받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에서 상기 수신 단말이 통신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정보 서버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축적 정보의 유무를 문의하고, 그 문의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노드 장치가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판단하고, 통신중이면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의 유무를 정보 서버에 문의하므로, 이 수신 단말 앞으로의 축적 정보가 정보 서버에 있으면, 통신 시에 확립되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되듯이,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을 통신중으로 판단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호 정보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고,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을 수신했을 때에, 상기 호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취득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통신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미리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노드 장치가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관리하므로, 통신중에 발생한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통신 시에 확립된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구항 8에 기재되듯이, 상기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과의 사이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패킷 변환 기능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9에 기재되듯이,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수신 단말마다의 정보를 축적하고, 그 축적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통지 트리거 수신 수단과, 그 착신 통지 트리거 수단으로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수단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이점은 첨부 도면과 함께 이루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분명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원리의 개요에 대해서 도 1에 나타내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이동기 A(1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20) 및 게이트웨이부(gateway part)(30)를 개재하여 정보 서버 내의 정보, 예를 들면, 메일 서버(=정보 서버) 내의 메일 박스(40)에 스풀(spool)되어 있는 자신의 이동기 A 앞으로의 메일 취득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후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 이용되는 정보 서버에는 메일 서버를 적용하여 설명을 진행시킨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20)는 이동기 A(10)와의 사이에 소정의 링크를 설정하고, 메일 박스(40)에 도착하는 메일의 착신 통지를 이 이동기 A(10)에 대해 행함과 함께, 이 이동기 A(10)로부터의 메일 취득 요구에 따라 메일 박스(40)에 도착한 메일을 이 이동기 A(10)에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게이트웨이부(30)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20)에서 취급되는 프로토콜을 정보 서버(메일 서버나 WWW(World Wide Web) 서버(50) 등의 각종 정보 서버)에서 취급 가능하게 되는 프로토콜에의 변환을 하는 프로토콜 변환이나 각 정보 서버와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어서, 이 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이동기 A(10)의 사용자가 홈페이지 등을 열람하려고 하여 소정의 키 입력 조작을 하면, 이동기 A(10)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20)/게이트웨이부(30) 사이에서 패킷 링크(①), 이 경우, TCP 접속(connection)이 확립되고 WWW 서버(50)와 WWW 클라이언트(client)로 되는 이동기 A(10)와의 사이에 HTML 문서의 송수신을 한다. 여기에서는, 이 상태를 도 1의 ②에 나타내듯이, 「HTTP 통신중」이라고 표현한다.
게이트웨이부(30)는 이동기 A(10)와 자신의 게이트웨이부(30) 사이의 통신 상황을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있고, 이 감시에 의해 이동기 A(10)와 게이트웨이부간(30)에서 패킷 링크(①)가 확립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게이트웨이부(30)는, 이 감시에 의해 패킷 링크(①)의 존재를 검출한 경우, 메일 박스(40)에 대해 패킷 링크(①)가 확립되어 있는 이동기, 이 경우 이동기 A(10) 앞으로의 메일이 스풀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색시키기 위한 트리거(trigger)로 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송신한다. 메일 박스(40)는 그 트리거에 의해 이동기 A(10) 앞으로의 메일이 도착하여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하고, 도착하여 있으면 이 이동기 A(10) 앞으로의 메일 착신 통지를 게이트웨이부(30)에 송신한다(③a). 게이트웨이부(30)는 메일 박스(40)로부터 이 이동기 A(10) 앞으로의 착신 통지를 수취하면,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20) 측에 그 착신 통지를 전송한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20)은 이미 이동기 A(10)와의 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패킷 링크를 이용하여 U-Plane(사용자 플레인) 착신 통지 메세지를 이동기에 대해 통지한다(③b). 이동기 A(10)에서는 이 착신 통지를 수신한 후 통상의 메일 취득 처리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이동 통신 네트워크(20)/게이트웨이부(30) 사이와이동기 A(10) 사이에 이미 확립되어 있는 패킷 링크(①)가 있으면, 그 패킷 링크(①)를 이용하여 이 이동기 A(10)에 대한 착신 통지가 이루어진다. 즉, 이 예에서는, HTTP 통신중(②)에 이동기 A(10)에 착신이 통지된다. 그 때문에, 이동기에 착신 통지를 하기 위한 것만의 목적으로 패킷 링크가 쳐지고 있던 종래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쓸데없는 패킷 링크를 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절약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발명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구체적인 시스템 구성예에 대해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2에 있어서, 이 시스템은 크게 나누어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20)과 게이트웨이부(30)로 구성된다.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20)은, 일반적으로, 이동기(100)와, 기지국(200)과, 네트워크 장치(300)(예 : 교환국 장치)로 구성된다. 이동기(휴대전화기)(100)가 기지국(200)과 무선 통신을 하고, 네트워크 장치(300)를 개재하여 게이트웨이부(30)에 구비되는 정보 서버로부터 데이터(패킷 데이터)의 전달을 받도록 되어 있다. 게이트웨이부(30)는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 정보 서버 ①(600)(메일 서버), 정보 서버 ②(700)(WWW 서버)로 구성된다.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는,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네트워크 장치(300)와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의 사이에 설치되고, 프로토콜 변환, 이 예에서는, 전술한 것처럼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취급되는 프로토콜을 정보 서버(메일 서버(600)이나 WWW 서버(700) 등의 각종 정보 서버)에서 취급 가능하게 되는 프로토콜로 변환한다.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이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와 정보 서버(600, 700)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 전자 메일이나 HTML 문서를 제공하는 정보 서버로서, 메일 서버(600), WWW 서버(700)가 게이트웨이부에는 구비된다.
다음에, 상기 시스템 구성에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따라 이루어지는 착신 통지의 통신 순서의 설명을 도 3에 나타내는 순차 순서를 참조한다.
도 3에 있어서, 이동기(100)가 Web에의 접속 요구를 하면, 요구(request)로서 표시하고 싶은 HTML 문서의 URL가 송신되고, 그 HTML 문서를 WWW 서버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신호, 이 경우, 「브라우저 취득」신호가 기지국(200), 네트워크 장치(300),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를 개재하여 노드 인터페이스(node interface) 장치(500)까지 보내진다(a).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이 「브라우저 취득」신호를 수신하면, 그 수신에 대한 응답을 나타내는 신호를 이동기(100)를 향해 송신함(b)과 함께, Web에의 접속 요구가 있은 이 이동기(100)의 메일이 메일 서버(600) 내의 메일 박스(610)에 스풀되어 있는지 어똔지를 검색시키기 위한 지시(트리거)가 메일 박스에게 주어진다(c).
메일 박스(610)에서는, 상기 트리거(c) 수신에 기초하여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이 스풀되어 있는지 어떤지 검색하고(d), 이 검색(d)에서 이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이 있는 경우에는, 이 이동기(100)에 메일 착신을 알리기 위한 착신 통지가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를 개재하여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에 보내진다(e). 그리고, 그 착신 통지에 포함되는 착신 정보가 U-Plane 착신 통지에 실려져이동기(100)에 보내진다(f). 이동기(100)는 이 U-Plane 착신 통지를 수신하면, 그 착신 통지에 대한 응답을 게이트웨이부(30) 측의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까지 되돌려준다(g). 상기 착신 통지(f)에 의해 자신의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이 있는 것을 안 이동기(100)는, 통상의 메일 취득 처리(h)∼(i)를 행하여 메일 수신을 한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이동기(100)로부터 Web 등에의 액세스에 수반하는 접속 요구가 있는 경우는, 반드시 메일 박스에 스풀되어 있는 메일이 조사되고, 이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이 축적되어 있으면, 그 축적되어 있는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가 이 이동기(100)에 송신된다. 즉,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트리거로 되어 그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한다. 이 때,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따라 확립된 패킷 링크에 착신 통지의 정보를 함께 실음으로써, 새롭게 착신 통지를 하기 위한 것만의 패킷 링크를 치지 않아도 이 이동기에 착신 통지를 보낼 수 있다. 그 결과, 착신 통지용의 패킷 링크를 쓸데없게 치지 않아도 되므로 네트워크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트리거는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로부터 메일 박스(610)에 주어진다. 이 트리거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에서 생성되어 송신된다.
도 4에 있어서,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에서는, 이동기(100)가 Web 등에 액세스하기 위해서 송신하는 「접속 통지」를 수신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항상 행해진다(S1).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상기 「접속 통지」를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를 개재하여 수신하면(S1에서 YES), 그 「접속 통지」에 포함되는 정보로부터 이 이동기(100)에 관한 가입자 번호 등을 조사하고 이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을 검색시키기 위한 지시로 되는 트리거 신호를 생성하여 메일 박스(610)에 송신한다(S2). 메일 박스(610)는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로부터의 트리거 신호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 검색을 개시한다. 한편, 상기 판정(S1)에서 상기 「접속 통지」를 수신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S1에서 NO),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이 「접속 통지」의 수신 대기 상태로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트리거 신호가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에서 생성되어 메일 박스(610)에 송신된다. 그리고, 그 트리거로 통지되는 이동기(100)에 관한 정보를 기초로 이 이동기(100) 앞으로의 메일이 메일 박스에 스풀되어 있는지 어떤지가 확인되고, 스풀되어 있으면 착신 통지가 이 이동기를 향해 송신된다. 즉, 상기 트리거가 보내어짐으로써 착신 통지의 처리가 개시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도 5에 있어서, 이동기 A(10)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20)/게이트웨이부(30) 사이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패킷 링크(①)가 이미 확립되고, HTTP 통신중(②)인 것으로 한다. 메일 박스(40)에 이동기 A(10) 앞으로의 메일이 도착하면, 이 메일 박스(40)에서는, 그 메일에 포함되는 정보(예 : 메일 전달처의 이동기의 주소 등)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20)/게이트웨이부(30)와 해당 이동기 A(10) 사이가 HTTP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통신 확인 신호(③)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부(30)에 보낸다. 이 통신 확인 신호(③)의 생성 처리는,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순서에 따라 행해진다.
도 6에 있어서, 메일 박스(40)는 메일을 수신하면(S11), 그 수신한 메일을 기초로 착신처로 되는 이동기 A(10)의 주소 등의 이동기 정보를 검출하고(S12), 그 이동기 A(10)가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통신 확인 신호를 생성하고, 게이트웨이부(30)에 송출한다. (S13).
이 이후의 처리의 설명은 도 7에 나타내는 순차 순서를 참조한다.
도 7에 있어서, 이 예에서는, 이동기 A(10)와 이동 통신 네트워크(20)/게이트웨이부(30) 사이에서, 이미 브라우저 취득 처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을 진행한다((a)∼(b)의 처리를 참조).
게이트웨이부(30)는 메일 박스(40)로부터의 통신 확인 신호를 받으면(c), 착신처로 되는 이동기 A(10)가 현재, 통신중(예 : HTTP 통신)인지 아닌지의 상태 확인을 하고(d), 상기 이동기 A(10)가 「통신중」이라는 상태 검출이 이루어지면, 「통신중」을 나타내는 응답을 메일 박스(40)에 되돌려준다(e). 메일 박스(40)는 이 「통신중」 응답을 얻으면, 이번 수신한 메일의 착신 통지를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에 한다(f).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는 수신한 착신 통지를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에 보내고(f), 이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에 그 착신 통지에 포함되는 착신 정보를 U-Plane 착신 통지에 실어 이동기 A(10)에 보낸다(g)(도 5의④a∼④b를 참조).
이와 같이, 이 변형예에서는, 메일 박스(40)는 이동기 A(10) 앞으로의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이 이동기 A(10)가 통신중(이 경우, HTTP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한 통신 확인 신호를 게이트웨이부(30)에 송신하여 확인하고 있다. 그 때문에, 메일 박스(40)에서는 수신한 메일의 착신처로 되는 이동기가 통신중일 때에만 그 메일에 대한 착신 통신을 한다. 그 결과,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도 1의 발명의 개요에서 설명한 효과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즉, 쓸데없는 패킷 링크를 치지 않아도 되므로 네트워크 자원의 효율적 이용이 도모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이동기가 HTTP 통신중에 착신 통지를 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을 했지만,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메일 박스(610)(기호는, 도 2를 적용)에 축적되는 메일을 소정의 기준에 따라 구분하고, 그 구분된 메일에 따라 착신 통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것 같은 기준에 따라 수신 메일의 구분을 한다. 또, 도 8의 설명시에 이용하는 시스템 구성예는 도 2로 한다.
도 8에 있어서, 메일 박스(610)는 도착한 메일 중 즉시성을 요구하는 것과 즉시성을 요구하고 있지 않은 것(사용자가 통신중에 도착하면 좋은 것)을 판단하고 구별하여 관리를 한다. 예를 들면, 이 수신 메일의 즉시성·비즉시성의 판단은, 도 8에 나타내듯이, 예를 들면 메일에 즉시·비즉시를 나타내는 헤더를 마련하고, 그 헤더의 플래그를 체크함으로써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8의①).
이와 같이 하여 수신 메일의 즉시성·비즉시성을 구별·관리함으로써, 즉시성 메일과 비즉시성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를 나누어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즉시성 메일과 비즉시성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를 나누어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처리는 도 9에 나타내는 순서로 행해진다.
도 9에 있어서, 메일 박스(610)는 메일을 수신하면, 우선, 그 수신 메일의 즉시·비즉시를 나타내는 헤더의 플래그(head flag)를 체크하고, 그 수신 메일의 즉시성·비즉시성의 구별 판정을 한다(S21). 이 구별 판정(S21)에서 이 수신 메일이 즉시성으로 판정되었을 때(S21에서 즉시성)는, 종래와 같이 이 수신 메일의 전달처로 되는 이동기(100)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송신(S22)하여 메일의 취득을 재촉한다. 메일 박스(610)는 상기 착신 통지를 상기 이동기(100)에 송신한 후 메일의 수신 대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한편, 상기 구별 판정(S21)에서 이 수신 메일이 비즉시성 메일로 판정되었을 때(S21에서 비즉시성)는, 이 수신 메일의 전달처로 되는 이동기(100)가 통신중인지 어떤지의 통신 상태 확인을 한다(S23). 이 통신 상태 확인 순서는 도 5에 있어서 기술한 순서가 이용된다. 즉, 메일 박스(610)는 상기 이동기(100)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통신 확인 신호(도 5의③참조)를 게이트웨이부(30)에 송출하고, 이 게이트웨이부(30)로부터의 응답(통신중인지 아닌지지를 나타내는 응답)을 얻음으로써 해당 이동기(100)의 통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메일 박스(610)는 상기와 같은 순서에서 해당 이동기(100)의 통신 상태를 확인(S23)하고, 해당 이동기(100)가 통신중으로 확인된 경우(S23에서 YES)는 이 이동기(100)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한다(S22). 그러나, 상기 통신 상태 확인(S23)에서 해당 이동기(100)가 통신중이 아닌(S23에서 NO) 것으로 확인된 경우는 해당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를 행하지 않고, 수신한 비즉시성 메일을 축적한다(S24). 메일 박스(610)는 이 비즉시성 메일을 축적한 후 메일의 수신 대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메일 박스(610)는 비즉시성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그 비즉시성 메일의 전달처로 되는 이동기(100)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이 이동기(100)가 통신중일 때에 만 이 비즉시성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를 이 이동기(100)에 한다. 그 때문에, 즉시성을 요구하지 않는 메일은 반드시 사용자의 통신중에 송신되게 되어 무선 구간의 자원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메일 박스(610)가 비즉시성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이동기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는 구성을 하고 있지만, 그 대신에 메일 박스(610)가 비즉시성 메일을 수신했을 때에, 이 비즉시성 메일을 일부러 축적해 두고, 이 비즉시성 메일의 전달처로 되는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가 있을 경우에 이 이동기(100)에 착신 통지를 하도록 해도 좋다. 이 처리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순서로 행해진다.
도 10에 있어서, 메일 박스(610)는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예 : Web 등에의 접속 요구)를 받으면(S31), 그 접속 요구를 한 이동기(100)의 이동기 정보(예 : 이동기의 가입자 번호 등)를 검출하고(S32), 그 이동기(100)의 앞으로의 비즉시성 메일이 축적되어 있는지 어떤지의 판정을 한다(S33). 이 판정(S33)에서 이 이동기(100)의 앞으로의 비즉시성 메일이 축적되어 있는(S33에서 YES) 것으로 판정 결과를 얻은 경우는 축적되어 있는 비즉시성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를 이 이동기(100)에 대해서 송신(S34)한다. 한편, 상기 판정(S33)에서 이 이동기(100)의앞으로의 비즉시성 메일이 축적되어 있지 않은(S33에서 NO) 것으로 판정 결과를 얻을 경우는 착신 통지의 대상이 되는 비즉시성 메일이 메일 박스(610)에 축적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 대기 상태로 되돌아온다.
이와 같이, 메일 박스(610)는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계기로 그 이동기(100) 앞으로 스풀되어 있는 비즉시성 메일이 있는지 어떤지를 조사하고, 이 이동기(100) 앞으로의 비즉시성 메일이 저장되어고 있으면, 그러한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를 이 이동기(100)에 대해서 송신한다. 예를 들면, 이동기(100)의 전원 OFF 중에 축적되어 있는 비즉시성 메일에 대한 착신 통지를 이 이동기(100)가 접속 요구했을 때에 일괄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무선 자원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비즉시성의 메일에 디스카운트 플래그(discount flag) 등을 부여(도 8의②) 함으로써, 비즉시성 메일의 송신에 대해서는 통상의 메일보다 저렴한 통신료로 보내는 등의 요금면에서의 다양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러한 디스카운트 메일은 주로 즉시성을 요구하지 않는 광고 전달 등에 이용되는 것이 예상되지만, 곧바로 봐 주지 않아도 좋은 메일을 보내는 개인 사용자도 생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개인 사용자에 대한 요망도 해결한다. 예를 들면, 이동기(100)측에서 송신되는 메일에 즉시성·비즉시성을 나타내는 헤더를 부가하면 좋다. 이 헤더의 부가 순서는,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내듯이, 이동기의 표시 화면에 「메일을 송신합니다. 즉시성을 요구합니까?」로 이루어지는 메세지를 표시시키고, 이동기의 사용자가 「YES인지 NO인지」를 선택하면 좋다. 즉, 이 헤더의 부가는 이 판정에 기초하여 즉시성·비즉시성 어느 쪽을 나타내는 헤더가 부가된다.
이와 같이, 이동기(100)에서 즉시성을 요구하는지 어떤지를 문의하는 메세지를 메일 송신 전에 소정의 화면에 표시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은 개인 사용자에 대한 편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즉시성을 요구하는 정보 전달료와 비즉시성을 요구하는 정보 전달량을 차별화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요금 서비스의 제공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는, 주로 메일 박스(610)가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이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를 하는 형태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 장치(300)와 메일 박스(610) 등의 정보 서버의 사이에 삽입되는 노드 장치(예 :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가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를 하는 것 같은 형태이어도 좋다. 이하, 상기 노드 장치로서 프로토콜 변환 장비를 일례로 들어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2는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 도에 있어서, 이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는 이동기(100) 단체로 인터넷 액세스를 가능으로 하는 프로토콜 변환을 포함한 패킷 변환 기능이 구비되고,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기능 블록에 의해 구성된다. 즉, 이동 통신 네트워크 시스템(여기에서는, MNS(Mobile Network System)라 함)에서 취급되는 패킷(=MNS 패킷)을 해석하는 MNS 패킷 해석부(410), 해당 패킷을 정보 서버(여기에서는, IS(Information Server)라 함)에서 처리 가능한 패킷으로 변환하는 MNS → IS 패킷 변환부(420), 이 MNS →IS 패킷 변환부(420)에서 변환된 패킷(=IS패킷)을 송신하는 송신부(430)로 의해 구성된다.
도 13은 상기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에 의한 이동기(100)에 대한 착신 통지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동기(100)로부터의 접속 요구(a)가 네트워크 장치(300)를 향해 보내지면, 이 이동기(100)와 이 네트워크 장치(300)의 사이에 통신 회선을 확립하기 위한 통신 회선 설정 순차 순서가 개시된다.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는 이 통신 회선 설정 순차 순서의 개시에 의해 얻어지는 「접속 통지 응답(c)」를, 네트워크 장치(300)에 송신한 시점에서 해당 호가 통신중으로 되었다고 판단하고, 메일 박스(610)에 이 이동기(100)에 대한 축적 정보의 유무를 문의한다(e). 그리고, 메일 박스(610)로부터 이 이동기(100)에 대한 축적 정보 있음의 메세지를 수취한 경우에, 통신 회선 확립 후의 브라우저 취득 순차 순서(f)에 있어서의 사용자 정보 전송용의 U-PLANE에, 이 이동기(610)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함께 실어 통지한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유효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에서는 이동기(100)로부터의 해당 호가 통신중으로 되었다고 판단된 시점에서, 그 호의 통신 상황을 도 14에 나타내는 호 정보 관리 테이블에 등록한다. 이 호 정보 관리 테이블에서는, 통신중의 상태에 있는 이동기의 가입자 번호(MSN)와 접속(connection) ID(CID)가 등록되고, 한편 이 이동기의 통신 개시 시각 등이 등록된다. 프로토콜 변환 장비(400)는 메일 박스(610)로부터, 어떤 이동기 앞으로의 착신 통지를 수취했을 때, 상기 호 정보 관리 테이블을참조하고, 해당의 이동기가 통신 상태에 있으면, 이 이동기에 대한 착신 통지를 이미 확립되어 있는 C-PLANE에 함께 실어 통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호 정보 관리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이동기의 통신 상황을 항상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통신중인 이동기에 대해 새로운 착신호가 발생하여도 이미 확립되어 있는 자원을 이용하여 착신 통지를 할 수 있도록 된다.
이상의 실시예의 설명에서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예를 들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이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유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이동기에 퍼스널 컴퓨터 등의 수신 단말이 상당하고, 네트워크 장치에는 유선 통신망으로 이용되는 소정의 교환국 장치 등이 이에 상당한다. 본 발명을 유선 통신 시스템에 적용한 경우, 수신 단말의 전원이 OFF, 혹은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메일 서버에 이 수신 단말의 앞으로의 메일이 있어도 수취할 수 없지만, 이 수신 단말의 전원이 ON로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때는 메일이나 광고 등의 착신 통지가 보내지게 된다. 따라서,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는, 이 수신 단말이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되어 있을 때만 행해지므로, 비즉시성의 정보 전달을 행하기 위한 착신 통지용의 링크를 치지 않아도 좋다. 그 결과, 유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에서도 네트워크 장치의 네트워크 자원의 유효 이용이 가능하다. 또, 유선 통신 시스템의 경우이어도, 메일 서버에 축적되는 메일을 즉시성·비즉시성으로 구분함으로써 비즉시성의 광고 전달 등의 정보 제공 서비스에 대한 정보 전달료를 저렴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 대해서는 전달되는 정보에 상응하는 요금으로 서비스의 제공을 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부담하는 통신 요금의 공평화가 본 발명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 예에 있어서, 메일 박스(40)의 수신 기능이 착신 통지 트리거 수신 수단에, 착신 통지 기능이 착신 통지 수단에 대응한다. 또, 이 메일 박스(40)의 이동기 앞으로의 메일 판정 기능이 판정 수단에, 메일 축적 기능이 구분 축적 수단과 정보 축적 보유 수단에 대응한다. 노드 인터페이스 장치(500)의 기능이 착신 통지 함께 실음 수단에 대응하고, 이동 통신 네트워크(20)와 게이트웨이부(30)의 착신 정보 통지 기능이 착신 수단에 대응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기로부터의 Web 등에의 액세스에 수반하는 접속 요구가 있는 경우에, 메일 박스에 축적되어 있는 이 이동기 앞으로의 메일이 조사되고, 메일이 있으면 이 이동기에 대해 그 메일의 취득을 재촉하는 착신 통지가 메일 박스로부터 이동 통신 네트워크/게이트웨이부를 개재하여 보내진다. 이 때, 이 착신의 통지에 이미 접속되어 있는 패킷 링크를 이용하여 통지함으로써 네트워크 자원의 유효한 활용을 할 수 있다. 또, 메일 박스에 축적되는 메일을 즉시성, 비즉시성으로 분류하여 축적하고, 이들 속성에 따른 착신 통지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장점이 있는 요금 체계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노드 장치가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판단하고, 통신중이면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의 유무를 정보 서버에 문의하므로, 이 수신 단말 앞으로의 축적 정보가 정보 서버에 있으면, 통신 시에 확립되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네트워크 자원의 유효한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6)

  1.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수신 단말마다의 정보를 축적하고, 그 축적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해서 하는 착신 통지는, 그 수신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에 미리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행하도록 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각 수신 단말 앞으로의 정보를 축적했을 때에, 그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고유의 정보로부터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가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고,
    이 판정에서 통신중으로의 결과가 얻어지면 그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정보의 전달 앞으로 부가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축적하는 정보를 구분하고,
    그 구분된 정보 중, 소정의 식별 정보로 구분된 정보를 축적 보유하고,
    그 축적 보유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수신했을 때에, 상기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는 전달해야할 정보의 즉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6.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정보 서버의 사이에 삽입된 노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회선을 확립할 때에 주고받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판단하고,
    그 판단에서 상기 수신 단말이 통신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정보 서버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축적 정보의 유무를 문의하고,
    그 문의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을 통신중으로 판단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호 정보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고,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을 수신했을 때에, 상기 호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취득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통신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미리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8. 제 6항 또는 7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에, 상기 수신 단말과의 사이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패킷 변환 기능이 구비된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9.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수신 단말마다의 정보를 축적하고, 그 축적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송신되는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착신 통지 트리거 수신 수단과,
    그 착신 통지 트리거 수단으로 상기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수단을 가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해서 하는 착신 통지는, 그 수신 단말과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에 미리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행하는 착신 통지 함께 실음 수단을 가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1. 제 9항 또는 10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각 수신 단말 앞으로의 정보를 축적했을 때에, 그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단말 고유의 정보로부터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의 사이가 통신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서 얻어지는 판정에서 통신중으로의 결과가 얻어지면 그 수신 단말에 대해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수단을 가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2. 제 9항 내지 11항 중 어는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서버는, 정보의 전달 앞으로 부가되는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축적하는 정보를 구분하는 구분 축적 수단과,
    그 구분 축적 수단에서 구분된 정보 중, 소정의 식별 정보로 구분된 정보를 축적 보유하는 정보 축적 보유 수단과,
    그 정보 축적 보유 수단에서 축적 보유된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로부터 소정의 접속 요구를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수신했을 때에, 상기 수신 단말에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수단을 가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식별 정보는 전달해야할 정보의 즉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4. 각 수신 단말 앞으로 도착하는 정보를 축적하는 정보 서버가 그 정보의 전달처로 되는 수신 단말에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하여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와 상기 정보 서버의 사이에 삽입된 노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과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통신 회선을 확립할 때에 주고받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판단하는 통신 상황 판단 수단과,
    상기 통신 상황 판단 수단에 의해, 상기 수신 단말이 통신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상기 정보 서버에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축적 정보의 유무를 문의하는 축적 정보 문의 수단과,
    그 문의한 결과에 따라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수단을 가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는, 상기 수신 단말을 통신중으로 판단했을 때에,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호 정보 관리 테이블에 등록하는 호 정보 관리 수단과,
    상기 정보 서버로부터, 상기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을 수신했을 때에, 상기 호 정보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이 수신 단말의 통신 상황을 취득하고,
    상기 수신 단말이 통신중으로 판단된 경우에, 미리 확립되어 있는 소정의 통신 회선을 이용하여 이 수신 단말에 대한 착신 통지를 하는 착신 통지 수단을 가지는 착신 통지 시스템.
  16. 제 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상기 노드 장치에, 상기 수신 단말과의 사이의 상기 네트워크 장치를 개재한 통신을 가능하도록 하는 패킷 변환 기능이 구비된 착신 통지 시스템.
KR1020027017938A 2001-05-01 2002-05-01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2003002031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134519 2001-05-01
JPJP-P-2001-00134519 2001-05-01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968A Division KR100617352B1 (ko) 2001-05-01 2002-05-01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317A true KR20030020317A (ko) 2003-03-08

Family

ID=1898218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7938A KR20030020317A (ko) 2001-05-01 2002-05-01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0067004968A KR100617352B1 (ko) 2001-05-01 2002-05-01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968A KR100617352B1 (ko) 2001-05-01 2002-05-01 착신 통지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474890B2 (ko)
EP (1) EP1301059B1 (ko)
JP (1) JP3899035B2 (ko)
KR (2) KR20030020317A (ko)
CN (1) CN1276365C (ko)
WO (1) WO20020917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6437B2 (en) 2002-02-14 2009-05-19 Avaya Inc. Presence tracking and name space interconnection techniques
US7480915B2 (en) * 2002-10-03 2009-01-20 Nokia Corporation WV-IMS relay and interoperability methods
US7023980B2 (en) 2002-12-04 2006-04-04 Avaya Technology Corp. Outbound dialing decision criteria based
US7474741B2 (en) * 2003-01-20 2009-01-06 Avaya Inc. Messaging advise in presence-aware networks
JP3971359B2 (ja) * 2003-09-12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端末収容装置並びに無線通信端末
US9398152B2 (en) 2004-02-25 2016-07-19 Avaya Inc. Using business rules for determining presence
US8150003B1 (en) 2007-01-23 2012-04-03 Avaya Inc. Caller initiated undivert from voicemail
EP2081361B1 (en) * 2008-01-21 2014-03-26 Alcatel Lucent Converged information systems
JP2010074372A (ja) * 2008-09-17 2010-04-02 Fujitsu Ltd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および報知情報の送受信方法
US8301581B2 (en) 2009-09-24 2012-10-30 Avaya Inc. Group compositing algorithms for presence
JP5877351B2 (ja) * 2010-12-15 2016-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9054892B2 (en) * 2012-02-21 2015-06-09 Ecolink Intelligent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gistering remote network devices with a control device
JP7390255B2 (ja) * 2020-05-22 2023-1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無線運用管理システム、及び無線運用支援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472A (en) * 1984-11-19 1987-02-17 At&T Bell Laboratories Flow control between a data terminal and a host computer system
JPH01215275A (ja) 1988-02-23 1989-08-29 Tokyo Dennetsu Keiso Kk 振盪培養機
JP2657661B2 (ja) 1988-04-28 1997-09-24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車体下部構造
US5434907A (en) * 1992-03-13 1995-07-18 Allnet Communication Services Inc. Voice mail notification system
JP2756392B2 (ja) * 1992-08-27 1998-05-25 富士通株式会社 電子メールと電話の連携機能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
JP3370394B2 (ja) * 1993-09-28 2003-01-27 富士通株式会社 電話と連携した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H08307448A (ja) 1995-04-28 1996-11-22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電子メールにおける受信通知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適用した電子メール通信システム
US6829484B1 (en) * 1996-04-24 2004-12-07 Fujitsu Limited Mobile communicating system, and a mobile terminal, an information center and a storage medium used therein
JP3786708B2 (ja) * 1996-06-18 2006-06-14 クランベリー、プロパティーズ、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ー、カンパニー 音声、ファクシミリ、電子メール統合メッセージ・システム
TW401548B (en) * 1996-12-20 2000-08-11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E-mail,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E-mail, sending program supplying medium, receiving program supplying medium
US6212550B1 (en) * 1997-01-21 2001-04-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in a client-server for automatically converting messages from a first format to a second format compatible with a message retrieving device
US6393296B1 (en) * 1997-04-03 2002-05-21 Lucent Technologies, Inc. E-mail access from cellular/PCS phones using user agents
JP2984620B2 (ja) 1997-05-14 1999-11-29 日本電気フィールドサービス株式会社 着信通知機能付き電子メールシステム
JP3782867B2 (ja) * 1997-06-25 2006-06-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受信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テレフォニイインテグレーションシステム
US5987317A (en) 1997-07-01 1999-11-16 Nokia Mobile Phones Limited Automatic public/autonomous system message waiting indicator (MWI) recognition
US6636733B1 (en) * 1997-09-19 2003-10-21 Thompson Trust Wireless messaging method
JPH1198176A (ja) 1997-09-24 1999-04-09 Sharp Corp 電子メール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電子メール送受信方法ならびにこの方法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3915852B2 (ja) 1997-10-21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情報通信端末および情報通信方法
JP3874043B2 (ja) 1997-10-30 2007-01-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通信方法、情報通信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携帯情報通信端末
JP3204195B2 (ja) 1998-01-23 2001-09-04 村田機械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US6094681A (en) * 1998-03-31 2000-07-25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event notification
SE521163C2 (sv) * 1998-05-08 2003-10-07 Ericsson Telefon Ab L M System och metod för kommunikation mellan klienter och hanterade system via två kommunikationsnät
JPH11331240A (ja) 1998-05-14 1999-11-30 Toshiba Corp 情報伝送システムとその端末装置
JP3142820B2 (ja) 1998-08-27 2001-03-07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プッシュ型情報配信方法およびその中継装置
KR100315670B1 (ko) * 1998-12-07 2001-11-29 윤종용 부호분할다중접속 통신시스템의 단속 송신장치 및 방법
US7103357B2 (en) * 1999-11-05 2006-09-05 Lightsurf Technologies, Inc. Media spooler system and methodology providing efficient transmission of media content from wireless devices
US7054636B1 (en) * 2000-03-01 2006-05-30 Gte Wireless Servic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ng data from wireline terminals to mobile terminals
JP3456189B2 (ja) * 2000-03-31 2003-10-14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
EP1146441A1 (en) * 2000-04-11 2001-10-17 BRITISH TELECOMMUNICATIONS public limited company Changing hypermedia content of a web site
US7353023B1 (en) * 2001-04-02 2008-04-01 At&T Delaware Intellectual Proper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messages to wireless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19125A1 (en) 2009-01-15
JPWO2002091787A1 (ja) 2004-08-26
EP1301059A1 (en) 2003-04-09
CN1276365C (zh) 2006-09-20
US7933963B2 (en) 2011-04-26
WO2002091787A1 (fr) 2002-11-14
EP1301059A4 (en) 2008-11-19
US20030148756A1 (en) 2003-08-07
EP1301059B1 (en) 2012-05-30
CN1462562A (zh) 2003-12-17
US7474890B2 (en) 2009-01-06
KR20060026487A (ko) 2006-03-23
KR100617352B1 (ko) 2006-09-01
JP3899035B2 (ja) 2007-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3963B2 (en) Reception notific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JP3865946B2 (ja) 文字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文字メッセージ通信装置、文字メッセージ通信サーバ、文字メッセージ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文字メッセージ通信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文字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文字メッセージ通信管理方法
JP4440779B2 (ja) Smsおよびテキストメッセージを送信するシステム並びに方法
KR100627500B1 (ko) 모바일폰의 단문 메시지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123919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다수의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를통합하여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무선 통신단말기
EP1566042B1 (en) Method and system for session management wherein a client session identifier is used
CA2399144C (en) An email system, a server, and an email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US20020093674A1 (en) Method and system for instant fax transmission
US20030236769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JP2002015237A (ja) 課金制御システムおよび端末装置
JP2003158552A (ja) メッセージ配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のプログラム
KR20060096568A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팩시밀리 문서 송수신 이력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257563B1 (ko) Pcs에서의 sms 부가 서비스 처리방법
JP2015076641A (ja) 呼制御サーバ、呼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3298741A (ja) 接続受付処理システム、接続受付処理方法、及び、接続受付処理装置
JP4550025B2 (ja) 文字メッセージ通信システム、文字メッセージ通信装置、文字メッセージ通信用サーバ、文字メッセージ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文字メッセージ通信管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文字メッセージ送受信方法及び文字メッセージ通信管理方法
KR100865334B1 (ko) 클라이언트 세션 식별자를 이용한 세션 관리 방법 및시스템
JP2003283567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サーバ装置、クライアント装置、中継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10074611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푸시 시스템 및 방법,발신자 정보를 이용하여 데이터 푸시가 가능한전화통신장치
JP2006352903A5 (ko)
CN1937814A (zh) 具有用户信息处理功能的移动通信终端、服务器及使用方法
JP2018007285A (ja) 呼制御サーバ、呼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5057585A (ja) メール照会システムおよびメール照会サーバ
JP2007013614A (ja) 通信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GB2378356A (en) Method of data transf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10

Effective date: 2007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