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0081A - 자동차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0081A
KR20030020081A KR1020010053732A KR20010053732A KR20030020081A KR 20030020081 A KR20030020081 A KR 20030020081A KR 1020010053732 A KR1020010053732 A KR 1020010053732A KR 20010053732 A KR20010053732 A KR 20010053732A KR 20030020081 A KR20030020081 A KR 200300200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
tray
parking lot
guide rail
p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구현
임영수
류재만
Original Assignee
노구현
임영수
류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구현, 임영수, 류재만 filed Critical 노구현
Priority to KR1020010053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0081A/ko
Publication of KR200300200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0081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4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 E04H6/245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dollie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wheeled platforms without transverse movement of the wheeled parking platform after leaving the transf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주차장치를 저렴한 설치비용으로 최소 주차공간에 최대 수량의 자동차를 자동·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건물내에 지정된 주차공간에 이중으로 활용하여 2배이상의 자동차를 주차가능하도록 한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하 주차공간을 상하로 등분하여 상부실과 하부실로 구획되도록 하는 프레임과, 전방 양쪽으로 대칭되는 2개의 받침대가 돌설되고 일정간격으로 고정브라켓에 직립·설치된 승강 스크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된 자동차 승강기와, 저면 중앙에는 전동모우터가 설치되고 양측방에는 상기 전동모우터와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바퀴가 결합되며 상면 양측방에는 거치홈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안착요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지지편에 의해 지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이 구비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에 확보된 주차공간에 2배 이상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자동방식에 의해 자동차의 주차가 이루어짐에 따라, 간편·용이한 주차는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최소의 공간에 최대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주차장치{PARKING DEVICE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최소비용으로 최소 주차공간에 최대 수량의 자동차를 자동·주차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특히, 건물내에 지정된 주차공간에 이중으로 활용하여 2배이상의 자동차를 주차가능하도록 한 자동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급속도로 사회생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자동차의 증가율도 급속하게 높아져 가고 있어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주차공간 확보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현재, 주차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주장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많이 알려져 사용되고 있으며, 자동차 주차장으로 사용되고 있는 지상주차장 즉, 별도의 주차장치 없이 바로 지면에 자동차를 주차하거나 건물내에 소량 주차하는 주차장에 있어서는 자동차를 주차하기 위한 공간보다 입출차량의 진행방향 전환을 위해 낭비되는 공간이 너무 많이 요구되며 주차 입출시간이 길고 어려워 효율적인 주차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기계식 주차장치를 이용한 자동차 주차장치로는 전동장치와 유압장치를 이용한 리프트식 주차장치가 가장 널리 알려져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프트식 주차장치는 자동차가 얹혀지는 이송판넬과 상기 이송판넬을 이송시키기 위한 와이어 인출입 전동장치 및 유압장치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전동장치 및 유압장치는 각종 전자스위치 및 센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프트식 주차장치는 좁은 공간에 다량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비교적 간편·용이하게 다량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자동차 주차를 위한 주차장치 설치시설이 복잡하고 고가이며 비교적 많은 공간이 요구되므로 주차공간이 좁은 실내공간에서는 설치가 난해하고 주차장치 설치장소에 제한을 받게 되므로 보급율이 저조하며 또한, 단전시 수동에 의한 조작이 불가능하고 잦은 고장으로 인해 많은 불편함과 취급 및 관리가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주차장치 설치운영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주차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건물내에 자동차를 주차함에 있어,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에 확보된 주차공간에 2배 이상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자동방식에 의해 자동차의 주차가 이루어짐에 따라, 주차가 간편·용이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최소의 공간에 최대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자동차 주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주차장치에 있어서, 지하 주차공간을 상하로 등분하여 상부실과 하부실로 구획되도록 하는 프레임과, 전방 양쪽으로 대칭되는 2개의 받침대가 돌설되고 일정간격으로 고정브라켓에 직립·설치된 승강 스크류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된 자동차 승강기와, 저면 중앙에는 전동모우터가 설치되고 양측방에는 상기 전동모우터와 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바퀴가 결합되며 상면 양측방에는 거치홈가 형성된 트레이와,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안착요홈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지지편에 의해 지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가이드레일이 구비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자동차 승강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스크류에는 구동모우터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기어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종동기어가 승강 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설치된 특징을 갖는다.
또한,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2개의 트레이가 설치되어 자동차를 2열로 주차가능하도록 된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프레임 4:상부실
6:하부실 10:자동차 승강기
12:받침대 14:고정브라켓
16:승강 스크류 20:트레이
22:회전축 24:바퀴
26:거치홈 28:경사면
29:고정구 30:가이드레일
32:안착요홈 34:지지편
M1:전동모우터 M2:구동모우터
G1:전동기어 G2:종동기어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지하 주차공간은 프레임(2)에 의해 상하로 등분되어 상부실(4)과 하부실(6)로 구획되고, 자동차 승강기(10)는 전방 양쪽으로 대칭되는 2개의 받침대(12)가 돌설되고 일정간격을 이루며 고정브라켓(14)에 직립·설치된 승강 스크류(1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되고, 트레이(20)는 저면 중앙에는 전동모우터(M1)가 설치되며 양측방에는 상기 전동모우터(M1)와 회전축(22)으로 연결되어 회동되는 바퀴(24)가 결합되고 상면 양측방에는 거치홈(26)가 형성되며, 가이드레일(30)은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안착요홈(32)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지지편(34)에 의해 지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이때, 상기 자동차 승강기(1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스크류(16)에는 구동모우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기어(G1)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종동기어(G2)가 정·역회전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요부 분해 사시도로서, 배면에 설치된 승강 스크류(16)의 회전에 의해 자동차 승강기(10)가 승하강되도록 설치되되, 자동차 승강기(10)에는 전방으로 2개의 받침대(12)가 돌설되어 전동모우터(M1)에 의해 회동되는 바퀴(24)에 의해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트레이(20)가 거치되어 자동차 승강기(10)의 승하강시 함께 승하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의 양측단부에는 자동차의 원할한 진입을 위해 경사면(28)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로서, 지하 주차공간이 프레임(2)에 의해 상하로 등분되어 하여 상부실(4)과 하부실(6)로 구획되며, 주차장의 지상과 지하 주차공간의 상·하부실(4, 6) 바닥면에 각각 안착요홈(32)이 형성된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30)에는 트레이(20)가 얹혀져 바퀴(24)에 의해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되, 지하 바닥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의 일측단에는 전방으로 받침대(12)가 돌설되고 승강 스크류(16)에 의해 승하강되는 자동차 승강기(1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 스크류(16)는 구동모우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기어(G1)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종동기어(G2)에 의해 정·역회전되도록 설치된 것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바닥면에 가이드레일(30)이 지지편(34)에 의해 고정 설치되고 상면에 형성된 안착요홈(32)에는 로울러(26)에 의해 트레이(20)가 얹혀져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의 양측방에는 소정 곡률로 만곡진 거치홈(26)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ㄷ'자 모양으로 절곡된 고정구(29)가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로서,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도록 설치된 트레이(20)에 자동차가 얹혀진 상태에서, 전동모우터(M1)에 의해 바퀴(24)가 회동됨에 따라,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어 자동차가 얹혀진 상태의 트레이(20)가 자동차 승강기(10)에 안착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는 것은 전동모우터(M1)와 연결된 회전축(22)이 회전되어 이에 결합된 바퀴(24)가 회전·이동되므로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고, 또한, 트레이(20)가 자동차 승강기(10)에 안착되는 것은 자동차 승강기(10)의 받침대(12)가 트레이(20)의 저면에 결합된 고정구(29)에 끼워짐에 따라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안착되는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측면개략도로서, 도 4(a)에서와 같이, 자동차가 트레이(20)에 얹혀진 상태로 자동차 승강기(10)에 안착되면, 구동모우터(M2)에 의해 전동기어(G1)와 종동기어(G2)가 회전되어 승강 스크류(16)를 회전시킴에 따라, 승강 스크류(16)에 의해 자동차 승강기(10)가 승강되어 지하주차장에서 지상으로 자동차가 이송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승강 스크류(16)는 종동기어(G2)에 의해 회전속도가 감속되고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바닥면 중앙으로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고 이에 트레이(20)가 전·후진 이동되도록 설치되며, 전·후진 이동되는 트레이(20)에 의해 자동차가 가이드레일(30) 양측방에 순차적으로 주차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바닥면 중앙으로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고 이에 전·후진 이동되도록 트레이(20)가 설치되되, 2개의 트레이(20, 20')가 설치되며, 자동차가 2열로 주차되어진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때, 가이드레일(30)상에 2개의 트레이(20, 20')가 전·후진 이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를 2열로 주차가능한 것으로, 앞열 즉, A열에 자동차를 주차하거나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킬 경우에는 하나의 트레이(20)만 이용되고, 뒷열 즉, B열에 자동차를 주차하거나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2개의 트레이(20, 20')가 이용되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5는 보강로울러이고, 46은 스프라켓이며, C는 콘트롤박스, BT는 충전밧데리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 및 지하 주차장의 프레임(2)에 의해 구획되어진 상·하부실(4, 6) 바닥면의 중앙에 각각 가이드레일(30)과 전동모우터(M1)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바퀴(24)가 결합된 트레이(20)를 상기 가이드레일(30)에 안착시켜 전·후진 이동되도록 설치하며, 지하 주차장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의 일측단부에는 승강 스크류(16)에 의해 승하강 되며 전방으로 받침대(12)가 돌설된 자동차 승강기(10)를 설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자동차를 주차 특히, 지하주차장의 상부실(4) 또는 하부실(6)에 주차하려면, 먼저, 주차하고자 하는 자동차를 자동차 승강기(10)내로 집입시켜 자동차를 트레이(20)에 안착시킨다.
이때, 트레이(20)에 안착된 자동차는 상면에 형성된 거치홈(26)에 앞바퀴가 삽입된 상태를 취하게 되므로 전·후 및 좌·우 유동없이 안정적으로 안착되며, 또한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바닥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들어올려진 상태로 바닥면과 일정한 높이로 단턱지게 되나, 이는 트레이(20) 양측단부에 형성된 경사판(23)에 의해 바닥면과 트레이(20)간에 발생되는 단턱이 제거되므로 자연스럽게 자동차를 트레이(20)에 안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하여, 자동차 승강기(10)의 트레이(20)상에 자동차가 안착되면, 컨트롤패널(C)을 조작하여 구동모우터(M2)를 구동시키게 되면, 전동기어(G1)와 종동기어(G2)에 의해 승강 스크류(16)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승강 스크류(16)와 연결된 자동차 승강기(10)가 하강되어 자동차가 지하 주차장이 상부실(4) 또는 하부실(6)로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동차 승강기(10)에 의해 자동차가 지하주차장으로 이송되면, 컨트롤패널의 작동스위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조작하여 트레이(10)에 결합된 전동모우터(M1)를 구동시키게 되면, 회전축(22)에 의해 바퀴(24)가 회동되면서 자동차가 안착된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진이동된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에는 다수개의 바퀴(26)가 결합되어져 있으므로 자동차 중량으로 인한 하중이 어느 한 부위에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므로 하중으로 인한 트레이(20)의 변형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자동차 승강기(10)의 받침대(12)는 트레이(20)의 고정구(29)로부터 분리되므로 자동차가 안착된 트레이(20)만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진이동되고 자동차 승강기(10)는 별도의 사용자의 조작(지상으로부터 다른 자동차를 주차(입고)하기 위해 상승되거나 또는 지하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컨트롤패널의 작동스위치를 조작하는 행위)이 있을 때 까지 현상태를 취하게 된다.
따라서,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진 이동되는 트레이(20)에 의해 자동차를주차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된 지점까지 이송시키게 되면, 자동차 주차를 위한 주차장치의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주차장치의 각종 전동 및 구동모우터(M1, M2)의 구동되는 동작은 각종 센서 및 작동스위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감지되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고 또는, 충전밧데리(BT)를 이용한 유·무선 및 반자동 또는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주차장치의 자동과 반자동 및 수동조작에 따른 전기·전자장치와 전기적인 연결관계는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 및 도면표기는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위에서와 같이하여, 지하주차장으로의 자동차 주차가 완료된 상태에서, 또 다른 자동차를 지하주차장에 주차하려면, 상기 구동모우터(M2)를 역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면, 전동기어(G1)와 종동기어(G2)가 위에서와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승강 스크류(16)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이와 결합된 자동차 승강기(10)가 지하주차장에서 지상으로 상승되면, 자동차를 자동차 승강기(10)내로 진입시켜 트레이(20)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컨트롤패널 조작에 의해 승강 스크류(16)가 다시 역회전되어 자동차 승강기(10)가 하강되고 트레이(20)의 전동모우터(M1)가 구동되어 바퀴(24)가 회동되면서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어 자동차의 주차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자동차를 지상에 확보된 공간의 주차장에 주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지상 바닥면에 설치된 가이드레일(30)과 트레이(20)를 이용하여 주차하면 되는 것으로서, 먼저, 트레이(20)에 자동차를 얹혀 안착시킨 후, 상기 트레이(20)에 결합된 전동모우터(M1)를 구동시켜 바퀴(24)를 회동시키게 되면, 트레이(20)가 가이드레일(30)을 따라 전(후)진 이동되면서 자동차를 주차가능한 공간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위에서와 같이, 전동모우터(M1)에 의한 바퀴(24)의 회동으로 인해 가이드레일(30)을 따라 트레이(20)가 전후진 이동됨에 있어, 단전으로 인해 전원공급이 중단될 경우에는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트레이(20) 전·후단부에 결합된 보강로울러(25)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트레이(20)를 전·후진 이동시키게 되면, 간편·용이하게 단전시에도 자동차의 주차가 가능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 중앙으로 가이드레일(30)이 설치되고 이에 전동모우터(M1)에 의한 바퀴(24)의 회동으로 인해 트레이(20)가 전·후진 이동되되, 2개의 트레이(20, 20')가 전·후진 이동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자동차를 2열로 주차가능한 것으로서, 먼저, 자동차를 A열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킬 경우에는 전동모우터(M1)를 구동시켜 트레이(20)를 출차하고자 하는 자동차 전방(후방)에 위치시킨 후, 트레이(20)에 자동차를 안착·이동시킨 다음, 자동차 승강기(10)를 이용하여 출차시키면 되는 것이고, B열에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A열에 주차된 자동차를 트레이(20')에 안착시켜 후방[자동차 승강기(10)가 설치된 반대쪽)으로 위치 이동시킨 다음, 트레이(20)를 구동시켜 B열에 주차된 자동차를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승강기(10)를 이용하여 출차시키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하여, A열과 B열의 2열로 주차된 자동차를 출차시킬 수 있으며, 또한, 자동차를 주차함에 있어서도 2개의 트레이(20, 20')를 이용함에 따라, 간편·용이하게 주차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주차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좁은 공간에서도 주차장치의 설치가 용이하고 기존에 확보된 주차공간에 2배 이상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어 효율적이며 자동방식에 의해 자동차의 주차가 이루어짐에 따라, 간편·용이한 주차는 물론, 저렴한 비용으로 최소의 공간에 최대의 자동차를 주차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주차장치에 있어서,
    지하 주차공간을 상하로 등분하여 상부실(4)과 하부실(6)로 구획되도록 하는 프레임(2)과,
    전방 양쪽으로 대칭되는 2개의 받침대(12)가 돌설되고 일정간격으로 고정브라켓(14)에 직립·설치된 승강 스크류(16)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설치된 자동차 승강기(10)와;
    저면에 전동모우터(M1)와 회전축(22)을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는 바퀴(24)가 결합되고 상면 양측방에는 거치홈(26)가 형성된 트레이(20)와;
    상기 지상 주차공간의 바닥면과 지하 주차공간의 상부실(4) 및 하부실(6) 바닥면 중앙에 설치되고 상면에 일정한 깊이를 갖는 안착요홈(32)이 형성되며 다수개의 지지편(34)에 의해 지면에 일정한 길이로 설치된 가이드레일(3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 승강기(10)를 승·하강시키는 승강 스크류(16)에는 구동모우터(M2)에 의해 회전되는 전동기어(G1)와 치합되는 다수개의 종동기어(G2)가 승강 스크류를 정·역회전시키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30)에는 2개의 트레이(20, 20')가 설치되어 자동차를 2열로 주차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주차장치.
KR1020010053732A 2001-09-01 2001-09-01 자동차 주차장치 KR200300200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732A KR20030020081A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3732A KR20030020081A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 주차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772U Division KR200264272Y1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 주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0081A true KR20030020081A (ko) 2003-03-08

Family

ID=27722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732A KR20030020081A (ko) 2001-09-01 2001-09-01 자동차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008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34B1 (ko) * 2001-09-01 2003-12-31 노구현 자동차 주차장치
CN101892756A (zh) * 2010-07-27 2010-11-24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平面移动类机械式立体停车库
CN104533121A (zh) * 2014-12-05 2015-04-22 许远新 用于停车场可折叠伸长臂自由泊车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713U (ko) * 1988-02-06 1989-09-08 이태교 주차장치의 승강대
US5018926A (en) * 1989-05-08 1991-05-28 Sternad William A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KR19980037492A (ko) * 1996-11-19 1998-08-05 민덕주 단주식 2단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7713U (ko) * 1988-02-06 1989-09-08 이태교 주차장치의 승강대
US5018926A (en) * 1989-05-08 1991-05-28 Sternad William A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apparatus
KR19980037492A (ko) * 1996-11-19 1998-08-05 민덕주 단주식 2단 주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34B1 (ko) * 2001-09-01 2003-12-31 노구현 자동차 주차장치
CN101892756A (zh) * 2010-07-27 2010-11-24 深圳怡丰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平面移动类机械式立体停车库
CN104533121A (zh) * 2014-12-05 2015-04-22 许远新 用于停车场可折叠伸长臂自由泊车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386028B (zh) 适用于多类型停车位的易扩展双层自动停车装置及其控制方法
KR20030020081A (ko) 자동차 주차장치
KR200264272Y1 (ko) 자동차 주차장치
KR100411934B1 (ko) 자동차 주차장치
RU2514311C1 (ru) Парк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CN1140690C (zh) 一种智能型高层立体车库
KR200264271Y1 (ko) 자동차 주차장치
JPH08105233A (ja) 立体駐車場
CN211286869U (zh) 一种升降横移立体车装停车位结构
CN212050064U (zh) 直流螺杆别墅电梯
EP1497516B1 (en) Storage installation
CN205743162U (zh) 立体停车位、其所组成的停车场
KR900005580B1 (ko) 자동차의 입체식 자동 주차장치
JP3488778B2 (ja) 地下多段式立体駐車装置
CN218815556U (zh) 易出库的停车设备
KR900006910Y1 (ko) 입체식 주차장의 주차차량 자동운반 장치
CN215595140U (zh) 一种用于立体车库的停车装置
CN210768047U (zh) 机械车库的升降限位机构
JPH0450365Y2 (ko)
CN212924034U (zh) 一种安装空间需求小的电梯
KR200243526Y1 (ko) 빌딩내장용 빗살형 주차설비의 입,출고장치
CN213539866U (zh) 一种具有补平功能的立体车库
KR920003060Y1 (ko) 주차설비용 파렛트 입출고장치
JP2549897B2 (ja) エレベーター式立体駐車装置
KR0128220B1 (ko) 파레트 교환방식 입체주차설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