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222A -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222A
KR20030018222A KR1020010051826A KR20010051826A KR20030018222A KR 20030018222 A KR20030018222 A KR 20030018222A KR 1020010051826 A KR1020010051826 A KR 1020010051826A KR 20010051826 A KR20010051826 A KR 20010051826A KR 20030018222 A KR20030018222 A KR 200300182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region
forming
layer
memory c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1004B1 (ko
Inventor
임민규
Original Assignee
동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1004B1/ko
Priority to TW090127364A priority patent/TW529133B/zh
Priority to US10/039,364 priority patent/US6734508B2/en
Priority to JP2002026221A priority patent/JP2003078038A/ja
Publication of KR20030018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10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1004B1/ko
Priority to US10/803,422 priority patent/US6989307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20/00Read-only memory [ROM] devices
    • H10B20/27ROM only
    • H10B20/30ROM only having the source region and the drain region on the same level, e.g. lateral transistors
    • H10B20/38Doping programmed, e.g. mask R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field-effect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20/00Read-only memory [RO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20/00Read-only memory [ROM] devices
    • H10B20/60Peripheral circuit regions
    • H10B20/65Peripheral circuit regions of memory structures of the ROM only typ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롬(mask ROM)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직(logic) 공정과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메모리 셀(memory cell)의 집적도가 높은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해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의 마스크롬 구조는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트렌치와, 제 1 및 제 2트렌치를 매립시키는 각각의 소자격리막 및 격리패턴과, 상기 구조의 기판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되며, 격리패턴에 의해 애워싸여진 각각의 매몰층과, 매몰층과 수직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게이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mask ROM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마스크롬(mask ROM)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직 공정과의 호환성이 우수하고 메모리 셀의 집적도가 높은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스크롬은 비휘발성 소자의 일종으로, 필요한 정보를 소자의 제조 공정 즉, 소자의 격리 공정, 메탈(metal)공정 또는 메모리셀의 채널영역(channel region)에 대한 이온주입 공정 등에서 마스크 공정을 이용하여 데이터(data)를 판별하고 필요한 정보를 기록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의 메모리셀의 레이아웃도이다.
로직 공정을 이용하여 마스크롬을 제작하는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형태가 도 1에 도시된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이다.
이러한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memory array cell region)(Ⅰ)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segment select region)(Ⅱ)이 정의된 기판(100)과, 기판(100)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Ⅰ)의 외곽부위에 형성된 트렌치(trench)(미도시)와, 트렌치를 매립시키는 소자격리막(미도시)과, 상기 구조의 기판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매몰층(110)과, 매몰층(110)과 수직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게이트(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 제작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리공정은 메모리셀 간의 격리를 위해 별도의 LOCOS 또는 STI 공정이 진행되지 않고,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Ⅰ) 외곽부위에 진행되어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Ⅰ) 전체를 감싸는 구조를 가지며, 메모리 셀의 소오스/드레인(source/drain) 정션은 게이트 공정 이전에 형성되는 매몰층(110)으로, 상기 정션 간의 격리는 필요치 않다.
상기 매몰층(110) 정션에 대한 콘택(122)은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Ⅰ) 내에는 존재하지 않고 세그먼트 셀렉트 영역(Ⅱ)에만 존재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114)의 폭은 메모리셀의 채널폭이 된다.
따라서,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모리셀 내에 격리막과 콘택이 없으므로 메모리셀 크기가 4F2(F는 포토리쏘그라피 (photolithography)의 최소선폭을 뜻함)정도가 되므로 고집적화가 가능하며, 공정이 단순하여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이러한 장점을 가진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을 제작할 시에, 0.35㎛ 이전의 디자인룰(design rule)의 로직 공정을 적용한 경우, 1)격리 공정은 로코스(LOCOS)에 의해 진행되며, 2) 게이트 형성용 물질로는 N타입의 불순물이 도핑된 다결정실리콘과 티타늄-살리사이드(Ti-Salicide) 또는 텅스텐-폴리사이드 (tungsten-polycide)가 이용되며, 3)소오스/드레인 정션(junction)으로는 게이트형성용 물질과 동일한 티타늄 살리사이드가 이용된다.
또한, 상기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을 0.25㎛ 이하의 디자인룰의 로직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하는 경우, 1)격리 공정은 트렌치(STI)에 의해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전체를 감싸는 형태로 진행되며, 2) 게이트 형성용 물질로는 티타늄-살리사이드(Ti-salicide) 또는 코발트-살리사이드(Co-salicide)가 이용되며, 3) 소오스/드레인 정션으로는 게이트 형성용 물질과 동일한 티타늄-살리사이드(Ti-salicide) 또는 코발트-살리사이드(Co-salicide)가 이용된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0.35㎛ 이전의 디자인룰(design rule)의 로직 공정과 호환성을 갖는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은 상용화되어 있으나, 0.25㎛ 이하의 로직 공정과 호환성을 가진 플랫셀 공정은 개발되지 않음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 공정 흐름도이다.
통상적으로 진행되는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롬 제조 방법은 크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의 외곽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격리공정과, 웰 형성공정과, 매몰층 형성 공정과,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및 주변영역에 게이트절연막 및 게이트 형성 공정과,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에 셀격리용 이온주입 공정과, 주변영역의 게이트에 소오스/드레인 형성 공정과, 코딩 공정과, 세그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에 콘택 형성 공정 및 비트라인 형성 공정으로 구분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AB선, BC선 및 CD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도면부호 a는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액티브영역(active region)을 뜻하며, 도면부호 b는 액티브영역의 외곽 부위인 주변영역을 뜻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롬 제조방법을 좀더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에 따른 마스크롬 제조방법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Ⅰ)과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Ⅱ)이 정의된 기판(100)을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100)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Ⅰ)의 액티브영역(a) 외곽 부위를 식각하여 트렌치(103)를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트렌치(103)가 형성된 기판 전면에 산화실리콘막 등의 절연막을 증착한 후에, 상기 절연막을 에치백(etch back) 또는 화학기계적 연마(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에 의해 식각하여 상기 트렌치(103)를 매립시키는 소자격리막(104)을 형성한다.
이 후, 상기 소자격리막(104)이 형성된 기판에 불순물 주입 공정을 통해 웰(well)(10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웰(102) 공정을 진행시킨 후에 소자격리막(104) 공정을 진행시켜도 무관하다.
이어서, 웰(102)이 형성된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Ⅰ)과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Ⅱ)에 포토리쏘그라피(photolithography) 공정 및 불순물 주입 공정을 차례로 진행시키어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매몰층(110)(111)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결과의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층(112)을 개재시키어 상기 매몰층(110)(111)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게이트(114)를 형성한다.
이 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Ⅰ)의 액티브영역(a)에 셀 격리용 이온주입을 실시한 후에 그 주변영역(b)에 소오스/드레인(130)을 형성하고, 코딩 공정을 실시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전면에 보호막(120)을 증착한 후,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Ⅱ)의 매몰층(111)에 이후에 형성될 비트라인(미도시)과의 연결통로 역할을 하는 콘택(122)을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콘택(122)을 통해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Ⅱ)의 매몰층(1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라인을 형성하여 마스크롬 제조를 완료한다.
0.25㎛ 이하의 디자인룰의 로직 공정을 이용하여 마스크롬을 제작하는 경우, 소자격리막 형성은,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트렌치 공정 및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진행된다.
통상적으로 메모리셀의 한 세크먼트는 통상 32개의 워드라인과 1024개의 비트라인을 가진다. 따라서, 세크먼트의 크기가 작아질 경우에는 동일한 집적도의 메모리셀을 구성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게이트가 최소 디자인룰로 디자인되었음을 고려하면, 32개 워드라인이 차지하는 높이는 약 64F이며, 여기에 세크먼트 셀렉트단의 높이를 약 12F로 가정하면, 한개 세크먼트의 높이는 76F가 된다. 그리고 1024개의 비트라인에 해당하는 길이는 약2048F가 된다. 즉, 한개의 세크먼트의 크기는 2048F ×76F가 된다. 0.25㎛ 이하의 디자인룰을 고려하면 512 ×19㎛ 이다.
그리고 메모리셀은 여러 개의 세크먼트들의 집합체이다. 예로, 4M비트 메모리셀 어레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세크먼트가 128개 필요하다. 따라서 4M비트 메모리셀의 크기는 약 512 ×2432㎛ 가 되며, 이것이 메모리셀 블럭을 구성하는 액티브영역의 크기가 된다.
그러나, 종래의 마스크롬 제조방법에서는,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의 넓은 액티브영역에서는 상대적으로 연마 속도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200㎛ ×200㎛ 의 크기보다 큰 메모리셀에서는 연마 균일도(uniformity)가 저하되었다.
또한, 매몰층은 고집적화를 위해 포토리쏘그라피가 허용되는 최소 크기로 패터닝되기 때문에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과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끝단의 경계부에서패터닝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소자분리막 형성 시 진행되는 연마 공정에서의 연마균일도를 향상시키면서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과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의 끝단의 경계부에서 매몰층을 용이하게 패터닝할 수 있는 메모리셀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 메모리셀의 레이아웃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 공정 흐름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AB선, BC선 및 CD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 메모리셀의 레이아웃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레이아웃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에서의 매몰층 형성용 마스크패턴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에서의 매몰층 평면도.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의 EF선, FG선 및 GH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반도체기판 202. 웰
203, 205. 트렌치 204. 소자격리막
206. 격리패턴 210, 211. 매몰층
212. 게이트 절연층 214. 게이트
220. 보호층 222. 콘택
c. 액티브영역 d.주변영역
Ⅲ. 메모리셀 어레이영역 Ⅳ.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마스크롬은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트렌치와, 제 1 및 제 2트렌치를 매립시키는 각각의 소자격리막 및 격리패턴과, 상기 구조의 기판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되며, 격리패턴에 의해 애워싸여진 각각의 매몰층과, 매몰층과 수직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게이트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마스크롬 제조방법은, 메모리셀 어레이영역과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이 정의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각각의 소자격리막 및 격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되며, 격리패턴에 의해 애워싸여진 각각의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매몰층과 수직 교차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플랫셀 타입의 마스크롬의 메모리셀의 레이아웃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레이아웃도이다.
본 발명의 마스크롬은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기판(200)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형성된 각각의 제 1 및 제 2트렌치(203)(205)와, 제 1 및 제 2트렌치(203)(205)를 매립시키는 각각의 소자격리막(204) 및 격리패턴(206)과, 상기 구조의 기판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되며, 격리패턴(206)에 의해 애워싸여진 각각의 매몰층(210)과, 매몰층(210)이 형성된 기판 상에 매몰층(210)과 수직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게이트절연층 (212) 및 게이트(2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4의 EF선, FG선 및 GH선을 따라 절단한 공정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도면부호 c는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액티브영역을 뜻하며, 도면부호 d는 액티브영역의 외곽부위인 주변영역을 뜻한다.
상기 구성된 본 발명의 마스크롬 제조방법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Ⅲ)과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이 정의된 기판(200)을 제공한다.
이어서, 상기 기판(200)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Ⅲ)의 액티브영역(c)의 외곽부위와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를 식각하여 각각의 제 1 및 제 2트렌치(203)(205)를 형성한다. 이때, 제 1 및 제 2트렌치(203)(205)는 기판(200) 표면으로부터 3000∼4000Å 깊이로 식각된다.
그 다음, 상기 제 1 및 제 2트렌치(203)(205)가 형성된 기판 전면에 산화실리콘 등의 절연막을 증착한 다음, 상기 절연막을 에치백 또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식각하여 제 1 및 제 2트렌치(203)(205)를 매립시키는 소자격리막(204) 및 격리패턴(206)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소자격리막(204)은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Ⅲ)의 액티브영역(c)의 외곽부위에 형성되어 액티브영역(c)과 주변영역(d) 사이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 격리패턴(206)은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에 형성되어 이후에 형성될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과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Ⅲ) 일단의 매몰층을 각각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후, 상기 소자격리막(204) 및 격리패턴(206)이 형성된 기판에 불순물 주입을 실시하여 웰(well)(20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소자격리막 공정과 상기 웰 공정은 순서를 바꾸어 진행해도 무관하다.
그 다음,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웰(202)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포토리쏘그라피 공정 및 불순물 주입 공정을 차례로 진행시키어 일방향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매몰층(210)(211)을 형성한다.
상기 매몰층(210)(211)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웰(202)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패드산화막 및 질화막을 차례로 증착한다. 그 다음, 상기 질화막 상에 감광막을 도포하고 노광 및 현상하여 매몰층 형성영역을 덮는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이 후, 상기 감광막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질화막 및 상기 패드산화막을 제거하여 기판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한다.
이때, 도면부호 210은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Ⅲ)내에 형성된 매몰층을 뜻하며, 도면부호 211은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내의 격리패턴(206) 사이에 형성된 매몰층을 뜻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에서의 매몰층 형성용 마스크패턴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에서의 매몰층 평면도이다.
상기 매몰층(210)(211) 패터닝 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진 마스크 패턴을 이용한다. 그러나, 실제 이온주입되는 영역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 6의 마스크 패턴 영역에서 격리패턴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된다.
이후, 상기 결과의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층(212)을 개재시키어 상기매몰층(210)(211)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게이트(214)를 형성한다.
이어서,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Ⅲ)의 액티브영역(c)에 셀 격리용 이온주입(미도시)을 실시한 후에 그 주변영역(d)에 소오스/드레인(230)을 형성하고, 코딩 공정을 실시한다.
그 다음,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 전면에 보호막(220)을 증착한 후, 상기 보호막(220)을 식각하여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의 매몰층(211)을 노출시키는 콘택(111)을 형성한다. 상기 콘택(111)은 이후의 비트라인과의 연결통로 역할을 한다.
이어서, 상기 콘택(211)을 통해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Ⅳ)의 매몰층(21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트라인(미도시)을 형성하여 마스크롬 제조를 완료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크롬 제조방법은, 플랫셀 메모리 에레이의 최소단위인 각 세크먼트마다 격리패턴이 추가됨에 따라,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 내의 트랜지스터와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일단에 형성된 메모리셀 트랜지스터가 매몰층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균일한 소자의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0.25㎛ 이하의 디자인룰을 갖는 로직 공정 조건을 사용하여 플랫셀 공정을 진행시킬 수 있다.
그리고 액티브영역의 크기가 각 세크먼트 내의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으로 작아짐에 따라,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한 연마 불균일도가 향상된다.
기타, 본 발명은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Claims (9)

  1. 메모리셀 어레이 영역 및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상기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트렌치와,
    상기 제 1 및 제 2트렌치를 매립시키는 각각의 소자격리막 및 격리패턴과,
    상기 구조의 기판 전면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격리패턴에 의해 애워싸여진 각각의 매몰층과,
    상기 매몰층과 수직 교차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된 각각의 게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트렌치는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 3000∼4000Å의 깊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가 형성된 기판 전면을 덮는 보호막과,
    상기 보호막에 형성되어, 상기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을 일부 노출시키는 콘택과,
    상기 콘택을 덮는 비트라인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구조.
  4. 메모리셀 어레이영역과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이 정의된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상기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각각의 소자격리막 및 격리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상에 소정간격을 두고 제 1방향으로 배열되며, 상기 격리패턴에 의해 애워싸여진 각각의 매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매몰층과 수직 교차되는 제 2방향으로 배열되는 각각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제조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격리막 및 격리패턴 형성은,
    상기 기판의 메모리셀 어레이영역의 외곽부위 및 상기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 형성영역의 외곽부위에 각각의 제 1 및 제 2트렌치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및 제 2트렌치가 형성된 기판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을 식각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셀 제조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에치백 또는 화학기계적 연마 공정에 의해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셀 제조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매몰층 형성은,
    상기 소자격리막과 상기 격리패턴이 형성된 기판 전면에 패드산화막 및 질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질화막 상에 매몰층 형성영역을 덮는 마스크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을 이용하여 상기 질화막 및 상기 패드산화막을 제거하여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 및 상기 격리패턴을 블로킹 마스크로 하여 상기 노출된 기판에 불순물을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마스크 패턴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리셀 제조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트렌치는 상기 기판 표면으로부터 3000 ∼4000Å 깊이로 식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제조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를 형성한 후에,
    상기 게이트가 형성된 기판 전면에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을 식각하여 상기 세크먼트 셀렉트 영역의 매몰층을 일부 노출시키는 콘택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콘택을 덮는 비트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제조방법.
KR10-2001-0051826A 2001-08-27 2001-08-27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4010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826A KR100401004B1 (ko) 2001-08-27 2001-08-27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TW090127364A TW529133B (en) 2001-08-27 2001-11-02 Mask RO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0/039,364 US6734508B2 (en) 2001-08-27 2001-11-07 Mask RO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2026221A JP2003078038A (ja) 2001-08-27 2002-02-04 マスクrom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03,422 US6989307B2 (en) 2001-08-27 2004-03-18 Mask ROM,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826A KR100401004B1 (ko) 2001-08-27 2001-08-27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222A true KR20030018222A (ko) 2003-03-06
KR100401004B1 KR100401004B1 (ko) 2003-10-10

Family

ID=19713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826A KR100401004B1 (ko) 2001-08-27 2001-08-27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734508B2 (ko)
JP (1) JP2003078038A (ko)
KR (1) KR100401004B1 (ko)
TW (1) TW52913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065B1 (ko) * 2004-12-30 2007-03-2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마스크 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코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0567A (ja) * 1981-10-22 1983-04-27 Nippon Denso Co Ltd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S6292362A (ja) * 1985-10-17 1987-04-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5480822A (en) * 1994-11-28 1996-01-02 United Micro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th multiple, orthogonally disposed conductors
US5815433A (en) * 1994-12-27 1998-09-29 Nkk Corporation Mask ROM device with gate insulation film based in pad oxide film and/or nitride film
JP3193845B2 (ja) * 1995-05-24 2001-07-30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589414A (en) * 1995-06-23 1996-12-3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Method of making mask ROM with two layer gate electrode
JP3355083B2 (ja) * 1996-03-13 2002-12-09 シャー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DE19640235C2 (de) * 1996-09-30 2001-10-25 Infineon Technologies Ag Halbleiter-Festwertspeicher mit in Grabenseitenwänden vertikal verlaufenden Transistor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S6057195A (en) * 1998-05-22 2000-05-02 Texas Instruments - Acer Incorporated Method of fabricating high density flat cell mask ROM
US6034403A (en) * 1998-06-25 2000-03-07 Ace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c. High density flat cell mask ROM
JP3166723B2 (ja) * 1998-09-02 2001-05-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1210729A (ja) * 2000-01-24 2001-08-03 Nec Corp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6569735B2 (en) * 2001-03-20 2003-05-27 Macronix International Co., Ltd. Manufacturing method for isolation on non-volatile memo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065B1 (ko) * 2004-12-30 2007-03-23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마스크 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코딩 방법
US7645672B2 (en) 2004-12-30 2010-01-12 Dongbu Electronics, Inc. Mask ROM,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73857A1 (en) 2004-09-09
US6734508B2 (en) 2004-05-11
TW529133B (en) 2003-04-21
KR100401004B1 (ko) 2003-10-10
US6989307B2 (en) 2006-01-24
JP2003078038A (ja) 2003-03-14
US20030038310A1 (en) 2003-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9518B2 (en) Dual trench isolation using single critical lithographic patterning
JP3640486B2 (ja) メモリ・セルおよびメモリ・セル構造を製造する方法
US5506160A (en) Method of fabricating a self-aligned trench isolation scheme for select transistors in an alternate metal virtual ground (AMG) EPROM array
US5350706A (en) CMOS memory cell array
US5385856A (en) Manufacture of the fieldless split-gate EPROM/Flash EPROM
US2003010015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memo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emiconductor memory
US7332811B2 (en) Integrated circuit interconnect
KR100251229B1 (ko) 노아형 마스크 롬의 개선된 구조 및 그 제조방법
US7879665B2 (en) Structure and method of fabricating a transistor having a trench gate
KR100438403B1 (ko) 플랫 셀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US6221722B1 (en) Method of fabricating mask ROM
KR100401004B1 (ko) 마스크롬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30054778A (ko) 마스크롬 제조방법
US6261902B1 (en) Method of forming a transistor structure
JP2003158206A (ja) フラットセルメモリ素子のシリサイド膜製造方法
KR100401005B1 (ko) 마스크롬 제조방법
JP2668490B2 (ja) マスクrom製造方法
US654182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used for non-overlapping implant
KR0135690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제조방법
US6221698B1 (en) Process for making high density mask ROM
JP3361973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KR100323383B1 (ko)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356825B1 (ko) 마스크롬셀제조방법.
JPH08321593A (ja) リード・オンリ・メモリ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H0813921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