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8147A -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8147A
KR20030018147A KR1020010051719A KR20010051719A KR20030018147A KR 20030018147 A KR20030018147 A KR 20030018147A KR 1020010051719 A KR1020010051719 A KR 1020010051719A KR 20010051719 A KR20010051719 A KR 20010051719A KR 20030018147 A KR20030018147 A KR 20030018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input
cold cathode
cathod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1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형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1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8147A/ko
Publication of KR2003001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814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 H02H7/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 H02H7/1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 H02H7/122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converters; for rectifiers for static converters or rectifiers for inverters, i.e. dc/ac converters responsive to abnormalities in the input circuit, e.g. transients in the DC inpu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6Details with automatic re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undervoltage or no-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순간적으로 떨어지면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리셋회로에서 냉음극관 컨트롤러의 VDDA단으로 0V의 전압을 인가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리셋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정전으로 인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SHUT DOWN PROTECTION CIRCUIT OF INVERTER}
본 발명은 인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12V의 입력 전압이 순간적으로 정전되어 10V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12V로 복귀되는 경우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Shut Down)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FT LCD 백라이트용 인버터는 직류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환 후 트랜스포머를 이용하여 고전압을 발생시켜 냉음극관을 구동하는 DC/AC 컨버터를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인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12V의 입력 전압을 전달 및 차단하는 온/오프 제어회로(11)와, 온/오프 제어회로(11)를 통해 출력되는 12V의 입력 전압을 구동 전압인 5V의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정전압회로(12)와, 정전압회로(12)로부터 출력되는 5V의 정전압을 VDDA단을 통해 입력받아 구동되어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FB단을 통해 입력되는 디밍 전압 및 냉음극관을 통해 피드백되는 전압에 따라 냉음극관의 휘도를 조절하는 냉음극관 컨트롤러(13)와, 냉음극관 컨트롤러(13)의 PDR단과 NDR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형태의 입력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14)와, 스위칭회로(14)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포머(15)와, 트랜스포머(15)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으로 점등되는 냉음극관(16)과, 냉음극관(16)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전압으로 변경시킨 후 냉음극관 컨트롤러(13)의 FB단으로 출력하는 피드백회로(17)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디밍 전압을 발생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13)의 FB단으로 출력하는 디밍회로(1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버터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인버터에 12V의 입력 전압이공급된 상태에서 온/오프 제어회로(11)에 온/오프 제어신호(하이)가 입력되면 온/오프 제어회로(11)는 12V의 입력 전압을 정전압회로(12)로 공급하고, 정전압회로(12)는 입력된 12V의 입력 전압을 정전압으로 변경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13)로 인가한다.
냉음극관 컨트롤러(13)는 VDDA단으로 5V의 정전압이 인가되면 구동 신호를 생성한 후, 이를 스위칭회로(14)로 출력하면 스위칭회로(14)는 구동 신호에 따라 입력 전원을 교류 형태의 전압으로 변경시켜 출력한다. 스위칭회로(14)로부터 교류 전압이 출력되면 트랜스포머(15)는 이를 고전압으로 승압한 후 냉음극관(16)으로 출력하여 냉음극관(16)을 점등시킨다.
한편 냉음극관(16)을 통과한 전류는 피드백회로(17)에서 전압으로 변경된 후 냉음극관 컨트롤러(13)로 입력되는데, 냉음극관 컨트롤러(13)는 이를 통해 냉음극관(16) 상태를 확인한다. 또한 사용자의 조정 또는 외부의 제어에 따라 디밍회로(18)로부터 디밍 전압이 출력되면 냉음극관 컨트롤러(13)는 스위칭회로(14)를 제어하여 냉음극관(16)의 휘도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인버터는 12V의 입력 전압이 순간적으로 정전되어 10V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12V로 복귀하면 피드백회로에서 이에 대응되는 신호를 출력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를 셧 다운시키는데, 이때 정전압회로에서는 계속해서 5V의 전압이 출력되기 때문에 냉음극관 컨트롤러의 VDDA단에는 5V의 전압이 유지되고 있어, 냉음극관 컨트롤러는 셧 다운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관계로 인하여 정상동작 전원이 공급되어도 인버터가 동작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순간적으로 떨어지면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냉음극관 컨트롤러의 VDDA단으로 0V의 전압을 인가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리셋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정전으로 인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버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가 인버터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온/오프 제어회로12 : 정전압회로
13 : 냉음극관 컨트롤러14 : 스위칭회로
15 : 트랜스포머16 : 냉음극관
17 : 피드백회로18 : 디밍회로
100 : 셧 다운 방지회로110 : 리셋회로
R1, R2 : 분압 저항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레벨의 입력 전압을 전달 및 차단하는 온/오프 제어회로와, 상기 온/오프 제어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일정 레벨의 입력 전압을 일정 레벨 이하의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정전압회로와, 상기 정전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되어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밍 전압 및 피드백되는 전압에 따라 휘도를 조절하는 냉음극관 컨트롤러와,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형태의 입력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스위칭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으로 점등되는 냉음극관과, 상기 냉음극관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전압으로 변경시킨 후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피드백회로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디밍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디밍회로를 포함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상기 일정 레벨의 입력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수단과,
상기 분압 수단으로부터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그라운드 레벨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 출력하여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상기 분압 수단은,
입력 전원단으로부터 상기 스위칭회로로 연결되는 선로상에 병렬 연결되는 분압 저항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의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인버터와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가 인버터에 적용된 모습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100)는, 분압 저항(R1, R2)과, 리셋회로(110)로 구성된다.
분압 저항(R1, R2)은 입력 전원단으로부터 스위칭회로(14)로 연결되는 선로상에 병렬 연결되어 12V의 입력 전압을 분압한다.
리셋회로(110)는 분압 저항(R1, R2)의 노드에 입력단에 연결되고, 정전압회로(12)와 냉음극관 컨트롤러(13)의 연결 선로 상에 출력단이 병렬 연결되어, 분압 저항(R1, R2)으로부터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하(예를 들면 4.2V)이면0V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13)의 VDDA단으로 출력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13)를 리셋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인버터의 구동중 순간적인 정전으로 인하여 입력 전압이 12V에서 10V 이하로 떨어졌다가 다시 복귀되는 경우 냉음극관 컨트롤러(13)는 셧 다운된다.
이때, 즉 순간적인 정전발생시 분압 저항(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의 크기는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진다. 즉, 12V의 입력 전압을 일정하게 분압하다가 10V 이하로 입력 전압이 떨어지면 10V를 분압함으로 인해 분압 전압이 12V일 때를 분압할 때보다 더 떨어진다.
그러면 리셋회로(110)는 분압 저항(R1, R2)으로부터 분압되는 전압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하인 것을 감지하여 0V의 전압을 생성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13)의 VDDA단으로 출력한다.
리셋회로(110)로부터 0V의 전압이 출력되면 이를 통해 냉음극관 컨트롤러(13)가 구동되지 못하고 오프된다.
한편 입력 전압이 복귀되면 분압 저항(R1, R2)에서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상이기 때문에 리셋회로(110)는 전압을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냉음극관 컨트롤러(13)에는 정전압회로(12)의 5V가 인가되어 냉음극관 컨트롤러(13)가 온된다.
따라서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순간적인 정전에 의해 셧 다운되는 경우 리셋회로를 통해 냉음극관 컨트롤러를 리셋킴으로써 순간적인 정전에 의해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을 차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에 의하면, 입력 전압이 일정 전압 이하로 순간적으로 떨어지면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냉음극관 컨트롤러의 VDDA단으로 0V의 전압을 인가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리셋되도록 함으로써 순간적인 정전으로 인하여 냉음극관 컨트롤러가 셧 다운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Claims (2)

  1.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온/오프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레벨의 입력 전압을 전달 및 차단하는 온/오프 제어회로와, 상기 온/오프 제어회로를 통해 전달되는 일정 레벨의 입력 전압을 일정 레벨 이하의 정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정전압회로와, 상기 정전압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압을 입력받아 구동되어 펄스 형태의 구동 신호를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디밍 전압 및 피드백되는 전압에 따라 휘도를 조절하는 냉음극관 컨트롤러와,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부터 출력되는 펄스 형태의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직류 형태의 입력 전원을 교류 전원으로 변경시켜 출력하는 스위칭회로와, 상기 스위칭회로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원을 승압하여 고전압을 출력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트랜스포머로부터 출력되는 고전압으로 점등되는 냉음극관과, 상기 냉음극관을 통해 흐르는 전류를 센싱하여 전압으로 변경시킨 후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피드백회로와, 외부의 제어에 따라 디밍 전압을 발생하여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 출력하는 디밍회로를 포함하는 인버터에 있어서,
    상기 일정 레벨의 입력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 수단과,
    상기 분압 수단으로부터 분압된 전압의 크기가 일정 레벨 이하이면 그라운드 레벨의 출력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로 출력하여 상기 냉음극관 컨트롤러를 리셋시키는 리셋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압 수단은,
    입력 전원단으로부터 상기 스위칭회로로 연결되는 선로상에 병렬 연결되는 분압 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KR1020010051719A 2001-08-27 2001-08-27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KR200300181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719A KR20030018147A (ko) 2001-08-27 2001-08-27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1719A KR20030018147A (ko) 2001-08-27 2001-08-27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8147A true KR20030018147A (ko) 2003-03-06

Family

ID=27720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1719A KR20030018147A (ko) 2001-08-27 2001-08-27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8147A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80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JPH05144583A (ja) * 1991-11-26 1993-06-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JPH05283185A (ja) * 1992-03-30 1993-10-2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灯点灯装置
JPH0729685A (ja) * 1993-07-08 1995-01-31 Ikeda Electric Co Ltd 放電灯点灯装置
KR19990003730A (ko) * 1997-06-26 1999-01-15 한민호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주.야 자동 점멸장치
JP2000106291A (ja) * 1998-09-30 2000-04-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1180A (ja) * 1991-10-28 1993-05-1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JPH05144583A (ja) * 1991-11-26 1993-06-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放電灯点灯装置
JPH05283185A (ja) * 1992-03-30 1993-10-29 Toshiba Lighting & Technol Corp 放電灯点灯装置
JPH0729685A (ja) * 1993-07-08 1995-01-31 Ikeda Electric Co Ltd 放電灯点灯装置
KR19990003730A (ko) * 1997-06-26 1999-01-15 한민호 고압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의 주.야 자동 점멸장치
JP2000106291A (ja) * 1998-09-30 2000-04-11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放電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54364B2 (en) Backlight inverter for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with self-protection function
KR100616538B1 (ko) 싱글 스테이지 백라이트 인버터 및 그 구동방법
KR101257926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및 이의 구동 방법
US6469454B1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ontroller
JPH1097356A (ja) 節電型ディスプレイ装置
JP4618689B2 (ja) Lcdバックライトインバータ
US7375477B2 (en)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driving system
KR20020017358A (ko) 액정표시기 백 라이트 인버터 구동 장치
KR100662469B1 (ko) 인버터 및 인버터 구동 방법
KR20030018147A (ko) 인버터의 셧 다운 방지회로
JP4396861B2 (ja) 電源回路
US7969101B2 (en) Backlight control circuit having a duty ratio determining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lighting of a lamp using same
KR100970956B1 (ko) 전원 공급 장치 및 이를 갖는 액정 표시 장치
JP4419501B2 (ja) 液晶表示装置
JP3120526U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テレビジョン
KR200211545Y1 (ko) 액정표시기 백 라이트 인버터 구동 장치
KR100483046B1 (ko) 셧다운 안정화 기능을 개선한 백라이트 인버터
KR20070005219A (ko) 액정표시장치
JP2000236670A (ja) 高周波電力変換回路
JP2005267941A (ja) 表示装置用インバータ回路システム
KR0119282B1 (ko) 저전력 파우어 회로
KR101357769B1 (ko) 램프구동회로
JP5019503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50081938A (ko) 엘씨디용 인버터 회로
KR20110003113A (ko) Led 드라이버와 smps 간 피드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