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828A -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828A
KR20030016828A KR1020010050600A KR20010050600A KR20030016828A KR 20030016828 A KR20030016828 A KR 20030016828A KR 1020010050600 A KR1020010050600 A KR 1020010050600A KR 20010050600 A KR20010050600 A KR 20010050600A KR 20030016828 A KR20030016828 A KR 2003001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elastic body
fixing
armrest
arm 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61248B1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0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12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1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12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백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컵홀더가 형성된 접이식 암레스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로크장치와 탄성체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차량충돌시 시트백으로 사용하던 접이식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로크장치의 해제에 따라 접이식 암레스트가 탄성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백(600)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측방향을 향하여 고정홈(110)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안내공(120)이 형성된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홈(110)에 삽입되어 일측에 로크핀(210)이 형성된 로크(200)와; 상기 시트백(600)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안내공(120)에 삽입된 멈춤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0)로부터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며, 상기 로크(200)가 일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에는 탄성체고정돌기(321)가 형성된 로크안내단(320)과, 일측에 고리형태로 형성된 탄성체고정고리(330)로 이루어져 컵홀더(710)가 형성된 암레스트(7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300)와; 중단은 탄성체고정공(410)과 로크캠(420)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300)와 힌지 결합하며, 일측은 상기 로크핀(210)이 삽입되어 로크(200)를 상기 로크안내단(320) 내에서 유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일정구간 로크안내공(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로크손잡이(440)가 형성된 로크제어부(400)와; 일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고리(33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공(410)에 체결된 탄성체(500)와; 일측이 상기 로크안내단(320)의 탄성체고정돌기(321)에 접촉하며 중심이 상기 고정부(100)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나선형탄성체(800)로 구성되어, 접이식 암레스트에 형성된 컵홀더에 음료수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로크장치의 해제에 따라 접이식 암레스트가 탄성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충돌시 접이식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로크장치를 통하여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Folding arm res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백에 구비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컵홀더가 형성된 접이식 암레스트의 구조를 변경하여 로크장치와 탄성체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차량충돌시 시트백으로 사용하던 접이식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동시에, 로크장치의 해제에 따라 접이식 암레스트가 탄성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접이식 암레스트에 형성된 컵홀더에 음료수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로크장치의 해제에 따라 접이식 암레스트가 탄성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충돌시 접이식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로크장치를 통하여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RV(Recreation Vehicle)차량의 2열시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20)의 양측부에 컵홀더(12)가 형성된 접이식 암레스트(10)가 힌지 결합되어 있어 암레스트(10)의 컵홀더(12)에 탑승자가 음료가 들어있는 컵이나 용기를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접이식 암레스트(10)는 2열시트에 2인이 탑승하게 되면 접이식 암레스트(10)를 회동시켜 암레스트로 사용하게 되며, 2열시트에 3인이 탑승하게 되면 상기 접이식 암레스트(10)를 원위치로 회동시켜 시트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는 컵홀더(12)가 일측단부에 형성된 암레스트(10)가 시트백(20)의 힌지포인트(21)에 힌지 결합하고 있으며, 상기 암레스트(10)에는 일정구간 곡선형태의 안내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백(20)의 측면에는 상기 암레스트(10)의 안내공(11)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된 멈춤돌기(22)가 체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는 2열시트에 2인이 탑승하게 되면 힌지포인트(21)를 중심으로 시트백(20)과 힌지 결합된 접이식 암레스트(10)를 회동시켜 상기 시트백(20)의 멈춤돌기(22)가 상기 암레스트(10)의 안내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a로 나타난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암레스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10)의 일측단부에 컵홀더(12)가 형성되어있어 탑승자가 음료가 들어있는 컵이나 용기를 용이하게 수납시킬 수 있고, 2열시트에 3인이 탑승하게 되면 상기 접이식 암레스트(10)를 원위치로 회동시켜 상기 시트백(20)의 멈춤돌기(22)가 상기 암레스트의 안내공(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되어시트백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접이식 암레스트(10)에 구비된 로크장치는 외부에 구비된 로크손잡이(14)와 암레스트(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로크해제로드(13)로 구성되며, 암레스트(10)가 시트백으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로크손잡이(14)를 누르게 되면 로크해제로드(13)를 하측으로 이동시켜 시트백역할을 하고 있는 암레스트(10)의 로크장치를 해제시켜 회동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중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홀더가 형성된 암레스트는 로크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차량 충돌시 시트백으로 사용하던 암레스트가 회동하여 전도됨으로써 탑승자에게 상해를 가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장치가 구비된 암레스트는 내부에 로크장치가 구비되어 있어 암레스트의 일측단부에 컵홀더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에 탑승자의 편의성을 저하시킨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접이식 암레스트에 형성된 컵홀더에 음료수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로크장치의 해제에 따라 접이식 암레스트가 탄성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충돌시 접이식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로크장치를 통하여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측방향을 향하여 고정홈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안내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일측에 로크핀이 형성된 로크와; 상기 시트백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안내공에 삽입된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며, 상기 로크가 일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에는 탄성체고정돌기가 형성된 로크안내단과, 일측에 고리형태로 형성된 탄성체고정고리로 이루어져 컵홀더가 형성된 암레스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와; 중단은 탄성체고정공과 로크캠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와 힌지 결합하며, 일측은 상기 로크핀이 삽입되어 로크를 상기 로크안내단 내에서 유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일정구간 로크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로크손잡이가 형성된 로크제어부와; 일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고리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공에 체결된 탄성체와; 일측이 상기 로크안내단의 탄성체고정돌기에 접촉하며 중심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나선형탄성체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고정부110 : 고정홈
120 : 안내공200 : 로크
210 : 로크핀300 : 회전부
310 : 멈춤돌기320 : 로크안내단
321 : 탄성체고정돌기330 : 탄성체고정고리
400 : 로크제어부410 : 탄성체고정홀
420 : 로크캠430 : 로크안내공
440 : 로크손잡이500 : 탄성체
600 : 시트백700 : 암레스트
710 : 컵홀더800 : 나선형탄성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의 작동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는 시트백(600)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측방향을 향하여 고정홈(110)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안내공(120)이 형성된 고정부(100)와; 상기 고정홈(110)에 삽입되어 일측에 로크핀(210)이 형성된 로크(200)와; 상기 시트백(600)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안내공(120)에 삽입된 멈춤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0)로부터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며, 상기 로크(200)가 일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에는 탄성체고정돌기(321)가 형성된 로크안내단(320)과, 일측에 고리형태로 형성된 탄성체고정고리(330)로 이루어져 컵홀더(710)가 형성된 암레스트(7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300)와; 중단은 탄성체고정공(410)과 로크캠(420)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300)와 힌지 결합하며, 일측은 상기 로크핀(210)이 삽입되어 로크(200)를 상기 로크안내단(320) 내에서 유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일정구간 로크안내공(430)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로크손잡이(440)가 형성된 로크제어부(400)와; 일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고리(33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공(410)에 체결된 탄성체(500)와; 일측이 상기 로크안내단(320)의 탄성체고정돌기(321)에 접촉하며 중심이 상기 고정부(100)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나선형탄성체(800)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는 고정부(100)가 시트백(600)의 측면에 체결되어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고정홈(110)과 일정구간 안내공(120)이 형성되어 있고, 일측에 로크핀(210)이 형성된 로크(200)는 하측단부가 상기 고정홈(110)에 삽입되어 있다.
암레스트(700)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300)는 상기 시트백(600)과 힌지결합하고 상기 안내공(120)에 삽입된 멈춤돌기(310)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100)로부터 일정각도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며, 로크안내단(320)이 상기 로크(200)의 양측에 형성되어 상기 로크(200)를 일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도록 하며, 탄성체고정고리(330)는 상기 회전부(300)의 일측에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로크제어부(400)의 중단은 탄성체고정공(410)과 로크캠(420)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300)와 힌지 결합하며, 상기 로크캠(420)은 로크제어부(400)의 회동에 따라 로크(200)와 접촉하여 상기 로크(200)를 상기 고정홈(110)에 접촉시키게 되고, 일측은 나선형으로 일정구간 로크안내공(430)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로크핀(210)이 삽입되어 상기 로크제어부(400)의 회동에 따라 로크(200)를 로크안내단(320) 내에서 승강 시키게 되며, 타측은 탑승자가 상기 로크제어부(400)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도록 로크손잡이(440)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체(500)의 일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고리(330)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공(410)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300)에 힌지 결합된 로크제어부(400)를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나선형탄성체(800)는 고정부(100)에 체결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부(300)의 로크안내단(320)에 형성된 탄성체고정돌기(32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상기 회전부(300)를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의 작동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백으로 사용중인 본 발명의 접이식 암레스트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300)에 힌지 결합된 로크제어부(400)가 로크제어부(400)의 탄성체고정홀(410)과 회전부(300)의 탄성체고정고리(330)에 체결된 탄성체(500)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로크제어부(400)의 로크캠(420)도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로크(200)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로크(200)를 하강시키는 동시에, 로크(200)에 형성된 로크핀(210)이 로크제어부(400)의 로크안내공(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제어부(40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기 로크(200)를 하강시켜 고정홈(110)에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300)의 회전을 방지하게 된다.
시트백으로 사용중인 접이식 암레스트(700)를 암레스트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로크손잡이(4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로크(200)의 상측면과 접촉하여 상기 로크(200)를 하강시키고 있던 상기 로크제어부(400)의 로크캠(4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되어 로크(200)와 이격되어 상기 로크(200)에 가하던 하강력이 제거되는 동시에, 로크(200)에 형성된 로크핀(210)이 로크제어부(400)의 로크안내공(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크제어부(4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로크(200)를 상승시켜 고정홈(110)으로부터 이탈시켜 상기 회전부(30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부(300)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었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00)에 체결되어 일측이 상기 회전부(300) 로크안내단(320)의 탄성체고정돌기(321)에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나선형탄성체(800)가 상기 회전부(30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나선형탄성체(800)의 직경이 확대되면서 접이식 암레스트(700)를 암레스트로 사용할 수 있는 위치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부(300)에 형성된 멈춤돌기(310)가 상기 고정부(100)에 일정구간 형성된 안내공(120) 내에서 회동한 후 정지하게 된다.
회전부(300)가 자동으로 회동된 후, 탑승자가 상기 로크손잡이(440)를 놓게되면 상기 로크제어부(400)가 탄성체(500)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탑승자는 암레스트(700)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암레스트(700)에 형성된 컵홀더(710)에 각종 음료수를 수납 할 수 있다.
암레스트로 사용하던 접이식 암레스트(700)를 시트백으로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회전부(300)가 내부에 구비된 암레스트(700)를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로크제어부(400)가 탄성체(500)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동시에, 상기 나선형탄성체(800)는 원래의 직경으로 복원되며, 상기 로크(200)가 고정홈(110)에 삽입되면서 회전부(300)가 고정부(10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하여, 종래의 접이식 암레스트에서 전방충돌시 발생하는 전도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탑승자의 안전성을 증대시키며, 탑승자는 컵홀더(710)를 사용할 수 도 있는 동시에, 로크손잡이(440)를 이용하여 접이식 암레스트의 로크(200)를 간단하게 해제시키는 것만으로 접이식 암레스트가 자동으로 암레스트의 위치로 회동하게 되어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접이식 암레스트에 형성된 컵홀더에 음료수를 용이하게 수납할 수 있으며, 로크장치의 해제에 따라 접이식 암레스트가 탄성체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차량충돌시 접이식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로크장치를 통하여 방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상해를 줄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1. 시트백의 측면에 체결되어 상측방향을 향하여 고정홈과 원주방향으로 일정구간 안내공이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어 일측에 로크핀이 형성된 로크와;
    상기 시트백과 힌지 결합하고 상기 안내공에 삽입된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로부터 일정각도 회동 가능하며, 상기 로크가 일방향으로만 유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일측에는 탄성체고정돌기가 형성된 로크안내단과, 일측에 고리형태로 형성된 탄성체고정고리로 이루어져 컵홀더가 형성된 암레스트의 내부에 위치하는 회전부와;
    중단은 탄성체고정공과 로크캠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와 힌지 결합하며, 일측은 상기 로크핀이 삽입되어 로크를 상기 로크안내단 내에서 유동시키도록 나선형으로 일정구간 로크안내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은 로크손잡이가 형성된 로크제어부와;
    일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고리에 체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체고정공에 체결된 탄성체와;
    일측이 상기 로크안내단의 탄성체고정돌기에 접촉하며 중심이 상기 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회전부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는 나선형탄성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10-2001-0050600A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100461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600A KR100461248B1 (ko)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600A KR100461248B1 (ko)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828A true KR20030016828A (ko) 2003-03-03
KR100461248B1 KR100461248B1 (ko) 2004-12-10

Family

ID=27720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600A KR100461248B1 (ko) 2001-08-22 2001-08-22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124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15B1 (ko) * 2001-10-18 2004-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CN106882096A (zh) * 2017-03-09 2017-06-23 浙江华悦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机动车座椅扶手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5338A (ja) * 1983-12-21 1985-07-18 Ikeda Bussan Co Ltd シ−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555816B2 (ja) * 1996-11-11 2004-08-18 株式会社タチエス アームレスト
KR100217640B1 (ko) * 1997-07-02 1999-09-01 정몽규 자동차의 팔걸이 각도조절장치
KR100401663B1 (ko) * 2001-03-23 2003-10-1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515B1 (ko) * 2001-10-18 2004-11-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CN106882096A (zh) * 2017-03-09 2017-06-23 浙江华悦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机动车座椅扶手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61248B1 (ko) 200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178B1 (ko) 자동차용어린이안전좌석
KR102518250B1 (ko) 자율주행차의 좌석 회전장치
US5511853A (en) Recreational vehicle center console seat with folding armrest and beverage container holder
KR100401663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100461248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WO1994011247A1 (en) Seat for physically handicapped persons
JP3126083B2 (ja) 自動車用アームレスト
KR0128699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KR100552716B1 (ko) 후방 암레스트 잠금장치
KR100401662B1 (ko) 차량의 접이식 암레스트
KR200267038Y1 (ko) 접이식 팔걸이와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장치
JPH0154214B2 (ko)
CN114889505B (zh) 车辆后排座椅及车辆
KR102532295B1 (ko) 가변형 암레스트
JPH05300821A (ja) 自動車のアームレスト構造
KR200143059Y1 (ko) 시트의 아암 레스트
JPH05278510A (ja) テーブル付きシート
KR0124111Y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 백 구조
KR200153335Y1 (ko) 접철이 가능한 리어시트 헤드레스트
JP3043987U (ja) 自動車用偏前倒座席
KR0173591B1 (ko) 자동차 오디오 리모트 컨트롤이 설치되는 리어 시트의 암 레스트
JP2001197960A (ja) 車両用アームレスト
KR20050112271A (ko) 컵홀더 사용에 따른 차량의 시트 더블폴딩 제한장치
KR200229256Y1 (ko) 자동차용 착석형상 가변형 시트장치
KR20030070724A (ko) 접이식 팔걸이와 이를 구비한 차량용 시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