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706A -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706A
KR20030016706A KR1020010050403A KR20010050403A KR20030016706A KR 20030016706 A KR20030016706 A KR 20030016706A KR 1020010050403 A KR1020010050403 A KR 1020010050403A KR 20010050403 A KR20010050403 A KR 20010050403A KR 20030016706 A KR20030016706 A KR 20030016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n
extract
paulownia
catalpa ovata
active oxy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릭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릭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릭솔
Priority to KR1020010050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706A/ko
Publication of KR20030016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70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산소 제거활성에 대한 신규의 감소 억제제를 오동나무로부터 추출하는 방법과 이 감소 억제제를 식물성 산화방지제에 함유시켜서 된 활성산소 제거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 조성물이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이들의 원료 혹은 중간품의 형태인 조성물로 이용되도록 하는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오동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와, 오동나무를 잘게 분쇄시키고 으깨어서 염수나 알콜에 침출시켜 압축기로 추출 또는 가열추출하고, 이 추출액을 1,2차 여과과정을 거쳐 식물성 식용물질 또는 식물성 산화방지제를 함유한 조성물에 적절히 함유시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조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Manufacturing process of superoxide dismutase and the SOD}
본 발명은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활성산소가 관여한다고 생각되는 질병이 수많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질병의 예로서는 허혈장해, 재환류 장해, 염증성 질환, 암, 당뇨병, 백내장, 동맥경화, 약물중독, 농약중독, 약물의 과다 투여에 대한 간장해, 농약의 다량 섭취에 의한 간장해, 미숙아 망막증, 광선과민증, 또는 방사선 장해 등이 있다.
이러한 질병의 치료에는 활성산소 제거작용을 갖는 효소, 예를 들면 슈퍼 옥사이드 디스무타제(SOD SUPEROXIDE DISMUTASE)를 투여하는 것이 유효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SOD는 생체내 반감기가 극히 짧기 때문에 대량으로 투여할 필요가 있다. 또한 효소는 단백질이기 때문에 항원성을 가지며 장기투여가 필요한 경우에는 항원항체 반응에 의한 아나피낙시 쇼크 등의 부작용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게다가 경구투여로는 효과를 얻을 수 없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채, 버섯, 김 등의 식물성 식용물질은 비타민류, 미네랄류 및 식용섬유 등의 기능성 성분의 공급원으로서 생체에 있어서 중요하며 생체의 성장에 필수적인 식품재료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근래 이들 식용 식물은 그 활성산소 제거활성이 건강의 유지, 촉진과, 노화와 노인병의 방지 및 발암현상의 억제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층 더 관심의 촛점이 되고 있다. 생체의 노화와 암, 동맥경화증, 간경변, 심근경색증, 뇌일혈, 백내장, 파킨슨병, 류머티스 및 알쯔하이머치매 등의 불치병과 관련된 질환의 원인에 대한 매카니즘은 여러가지 면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치병의 매카니즘은 짝짖지 아니한 전자를 가진 비교적 반응성이 큰 산소인 슈퍼옥사이드 및 히드록시 라디칼을 가진 그 유도체 및 과산화 수소 등의 활성산소는 산화하며, 맴브레인 지질, 단백질, 및 DNA 등의 세포내 표적 분자를 산화시켜 산소관련 결핍상태를 유발하고 생체의 노화 및 그 관련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슈퍼옥사이드 디스무타아제 및 카탈라아제 등의 활성산소 제거능력이 있는 효소와 L-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등의 산화 방지제는 생세포중에 존재하며 세포내 활성산소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극히 낮은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다. 그러나 자외선, 방사선 및 자성파를 비교적 다량으로 조사하거나 과격한 운동을 하거나 정신적인 스트레스를 많이 받거나 노화하게 되면 생체의 활성산소 제거활성에 의해 제거될 수 없을 정도의 양으로 활성산소가 생성되어 결국에는 과잉량의 활성산소에 의해 산화된 각종 화합물이 축적되어 상기한 산소관련 결핍증을 유발하게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교적 활성산소 제거활성이 큰 식용식물을 사용하여 결핍되기 쉬운 활성산소 제거활성을 생체에 보충함으로써 생체의건강유지와 촉진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식용식물을 사용했다 하더라도 식물의 즙 추출, 가열 및 건조 등의 가공처리와 계속적인 저장조건에 따라 본래의 활성산소 제거활성을 저하시킬 수도 있고 심지어는 그 활성을 완전히 소멸시킬 수도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생체에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함이 없이 활성산소 제거활성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기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원래 SOD는 생체내에 존재하는 효소로서 수퍼옥사이드를 C2와 H2O2로 변환시켜 활성산소의 유해작용을 방어하는 역할을 하나, 분자량이 크고 경구투여시 흡수되지 못하며 주사투여시에도 생체내에서 활성을 유지하기 힘들다. 반면에 천연물 중에 존재하는 SOD유사활성을 지니는 저분자 물질들은 흡수가 좋고 생체내 기능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활성산소 제거활성에 대한 신규의 감소 억제제를 오동나무로부터 추출하는 방법과 이 감소 억제제를 식물성 산화방지제에 함유시켜서 된 활성산소 제거활성을 억제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 조성물이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 또는 이들의 원료 혹은 중간품의 형태인 조성물로 이용되도록 하는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은 오동나무를 잘게 분쇄시키고 으깨어서 염수나 알콜에 침출시켜 압축기로 추출하거나 가열추출하고, 이 추출액을 1,2차 여과과정을 거쳐 식물성 식용물질 또는 식물성 산화방지제를 함유한 조성물에 적절히 함유시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조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한다.
본 발명의 주요 성분인 벽오동은 벽오동과에 딸린 넓은잎 큰키나무로 그 열매는 갈색의 팥알만한 씨앗이 돛단배처럼 생긴 열매의 가장자리에 달려 있고 그 씨앗은 오동자라하여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력을 좋게 하는 약으로 쓴다.
이 씨를 볶아서 가루내어 먹으면 맛이 고소하고 또 커피 대신 물에 타서 마실 수 있다. 벽오동나무 씨앗은 지방유와 단백질이 들어 있고 카페인도 조금 들어 있어 커피 대신 음료로 이용해 봄직하다. 녹색의 껍질을 벗기면 끈적끈적한 수액이 나온다. 이 수액은 접착력이 강하여 풀을 만들면 좋다. 벽오동나무 껍질을 찬물에 담가두면 진이 끈적끈적하게 나와 엉기는데 이 진을 먹으면 신장이 허약하여 생긴 요통에 특효가 있다. 또 남성들의 양기 부족에도 깜짝 놀랄 만큼 효과가 있다. 벽오동나무 껍질을 한여름이나 가을철에 벗겨 찬물에 담가두었다가 나오는 진을 그릇에 받아두어 한 번에 50g씩 하루 2∼3번 마시면 관절염, 디스크병, 요통에 효과가 탁월하다. 벽오동나무 껍질은 남성의 신장 기능과 폐 기능을 강화하는 데 효과가 크다. 특히 신장 기능이 허약하여 생긴 노인들의 요통에 잘 듣는다. 또 간에 쌓인 독을 풀고 간 기능을 좋게 하는 데도 효과가 있다. 동의학사전에는 벽오동에 대해 이렇게 적혀 있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풍습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독을 푼다. 약리실험에서 알코올 추출액이 근육의 긴장도를 높이고 심장의 수축작용을 세게 한다는 것이 밝혀졌다. 정신 및 육체적 피로, 병후쇠약에 쓰며 풍습으로 인한 아픔, 마비, 부스럼, 치질, 창상, 출혈, 고혈압 등에도 쓴다. 하루 15∼30g을 달여 먹는다. 외용으로 쓸 때에는 신선한 것을 짓찧어 붙이거나 가루내어 기초제에 개어 바른다. 벽오동나무 씨는 소화장애, 위통, 몸이 붓는 데, 어린이 구내염, 머리칼이 희어지는데 등에 쓴다. 벽오동 뿌리는 뼈마디가 아프거나 부정자궁출혈, 달거리가 고르지 않을 때, 타박상 등에 쓴다.
이러한 오동나무는 특히 그 열매(씨앗)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열매를 포함하는 오동나무를 약 1~2㎝로 절단시키고 으깬 후 염수에 침출시키고 장시간 숙성시킨다. 다음으로 숙성시킨 침출수를 압축기로 추출시켜 1,2차 여과과정을 통해 순수 농축액을 얻는다.
이러한 염수추출은 추출원액의 살균 및 변질예방의 효과가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열매를 포함하는 오동나무를 약 1~2㎝로 절단시키고 으깬 후 알콜에 침출시키고 장시간 숙성시킨다. 다음으로 숙성시킨 침출수를 압축기로 추출시켜 1,2차 여과과정을 통해 순수 농축액을 얻는다.
또 다른 방법은 열매를 포함하는 오동나무를 약 1~2㎝로 절단시키고 으깬 후 고압 압출기 시설을 통해 직접 기름짜는 형식으로 추출된 원액을 얻고 이를 냉동보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공정상 가장 쉬운 방법으로 오동나무 원자재를 물에 넣어 열을 가하는 추출방법이다. 이 방법은 성분이 열로 인한 파괴의 단점이 있어 외부용 미용수 제조에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동나무 추출액에 혼합되는 비교적 저분자량의 식물성 방지제는 식용식물에 함유시킬 수 있고, 혹은 식용식물중의 식용부분의 가공시에 내용물에다 보충적으로 첨가할 수 있다. 식용식물과는 별도로 존재하는 식물성 산화 방지제를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식물성 산화 방지제는 식물에서 추출되는 것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공적으로 합성 및 제조되는 것들도 포함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활성산소 제거활성의 감소를 양호하게 억제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식용식물중의 식용부분을 예컨대 믹서, 주우서, 분쇄기 등으로 파쇄하거나 절단하여 페이스트상 또는 현탁액상으로 한 후 여기에 본 발명의 오동나무 추출액을 첨가하여 용해하거나, 열수와 알콜 등의 용매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필요에 따라 더욱 농축하여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한 다음, 여기에 본 발명의 오동나무 추출액을 첨가, 혼합하여 용해시킨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시럽상, 페이스트상 또는 주우스상의 파쇄물인데 이들은 수분 함유량이 비교적 많고 양호한 저장을 위해서는 비교적 저온의 저장온도를 필요로 한다. 이 조성물을 건조 또는 분말화하거나 가열멸균한 후 건조 또는 분말화하여 분말상 또는 작은 조각들로 된 고상의 조성물을 얻는다. 이렇게 고도로 가공된 고상의 조성물은 활성산소 제거활성의 감소를 억제하기 위한 개선된 활성, 저장 안정성 및 취급 용이성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필수 미네랄, 식용섬유, 비피드균 증식촉진을 위한 당류, 비타민, 생리활성 물질 및 보존제 등의 고상 또는 액상의 적당한 물질 1종을추가하여 혼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 함유한 기타의 조성물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적당한 착색제, 향료, 맛부여제, 안정제, 증량제, 보조제, 및 부형제를 임의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얻은 조성물은 경구, 경관, 경피 및 경점막 등의 적당한 투여 경로를 통해 환자에게 임의로 용이하게 투여할 수 있어 그 품질의 열화가 거의 없이 활성산소 제거활성을 부여할 수 있다.
식물성 식용물질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섭취하면 식물 본래의 비타민류 및 식용섬유류 등의 식물의 기능성 성분을 풍부하게 하여 생체에 활성산소 제거활성을 풍부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의 유지, 촉진과 노화 및 노인병 예방과, 불치병 치료 및 발암현상의 억제에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음식물, 화장품, 의약품으로서, 그리고 그 원료 및 가공중간 원료로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미화제, 팩, 크리임, 샴푸, 헤어린스, 헤어토닉, 욕용염, 효소제 및 치약 등의 화장품에 액상, 페이스트상, 분말상 또는 과립상 등의 형태로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이들 제품의 원료 또는 가공중간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점비제, 점안제, 소화제, 위장효소제, 연고제, 찜질제, 및 이들의 원료와 가공 중간품 등의 경구제 및 경관 영양제 혹은 치료제 형태로 하여 노화관련 각종 질환의 치료, 예방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는 그 조성물을 섭취함으로써 생체에 보충을 용이하게 하며 식물성 식용물질의 비타민류, 미네랄류 및 식용 섬유 등의 기능성 성분을 생체에 풍부히 공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건강의 유지, 촉진, 노화와 노인병 예방, 불치병 치료 촉진 및 발암현상 억제에 크게 기여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확립은 식물성 식용물질의 가공 및 응용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제4의 기능성 성분으로서의 신규의 건강 자원을 탐색할 수 있어 각종 분야, 특히 식품, 화장품, 및 의약품 분야에 큰 기여를 하게 된다.

Claims (3)

  1. 오동나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2. 오동나무를 잘게 분쇄시키고 으깨어서 염수나 알콜에 침출시켜 압축기로 추출 또는 가열추출하고, 이 추출액을 1,2차 여과과정을 거쳐 식물성 식용물질 또는 식물성 산화방지제를 함유한 조성물에 적절히 함유시켜 액상 또는 페이스트상으로 조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활성산소 제거제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조성물에 필수 미네랄, 식용섬유, 비피드균 증식촉진을 위한 당류, 비타민, 생리활성 물질 및 보존제 등의 고상 또는 액상의 적당한 물질 1종을 추가하여 혼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활성산소 제거제 제조방법.
KR1020010050403A 2001-08-21 2001-08-21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6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403A KR20030016706A (ko) 2001-08-21 2001-08-21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403A KR20030016706A (ko) 2001-08-21 2001-08-21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706A true KR20030016706A (ko) 2003-03-03

Family

ID=27720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403A KR20030016706A (ko) 2001-08-21 2001-08-21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7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59B1 (ko) * 2001-11-20 2010-02-22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활성산소 소거능 저감 억제제
WO2014077425A1 (ko) * 2012-11-14 2014-05-22 한국한의학연구원 오동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79A (ko) * 1987-07-15 1989-04-06 원본미기재 수용성 스트론튬 화합물로부터 바륨을 분리시키는 방법
JPH07309770A (ja) * 1994-05-20 1995-11-28 Narisu Keshohin:Kk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JPH07330555A (ja) * 1994-06-01 1995-12-19 Fuji Sangyo Kk 育毛剤
KR20020070566A (ko) * 2001-03-02 2002-09-10 조천호 피부개선제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879A (ko) * 1987-07-15 1989-04-06 원본미기재 수용성 스트론튬 화합물로부터 바륨을 분리시키는 방법
JPH07309770A (ja) * 1994-05-20 1995-11-28 Narisu Keshohin:Kk ムコ多糖類断片化抑制剤、活性酸素消去剤および化粧料
JPH07330555A (ja) * 1994-06-01 1995-12-19 Fuji Sangyo Kk 育毛剤
KR20020070566A (ko) * 2001-03-02 2002-09-10 조천호 피부개선제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3559B1 (ko) * 2001-11-20 2010-02-22 가부시끼가이샤 하야시바라 세이부쓰 가가꾸 겐꾸조 활성산소 소거능 저감 억제제
WO2014077425A1 (ko) * 2012-11-14 2014-05-22 한국한의학연구원 오동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201B1 (ko)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CN105124077A (zh) 一种百香果番茄袋茶
JP6154606B2 (ja) 韓薬材混合エキスを含有する抗酸化用又は美白用の化粧料組成物
KR20090007512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블루베리 침출 및 액상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0884844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사과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53838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22276B1 (ko) 비만 예방 및 부종 개선용 음료 조성물
KR20010016591A (ko) 홍경천 추출물 제조방법과 그 용도
KR20030016706A (ko) 오동성분을 주원료로 하는 활성산소 제거제 및 그 제조방법
JP3216210U (ja) ティーバッグ
CN102308989B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红蚁、葡萄、蜂胶提取物的组合物
KR101327802B1 (ko) 장어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22208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마늘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060066706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감귤(柑橘) 홍차(과일침출 차)
KR20050080501A (ko)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Selvamuthukumaran Amla (Indian Gooseberry): Characteristics, Therapeutic Potential, and Its Value Addition
KR20030008479A (ko) 미용수 제조방법
KR20060069404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비타 사과 홍차(과일 침출차)
KR20090021799A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영지 침출 차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348312B1 (ko) 양파 발효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758267B1 (ko) 천연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조성물
KR100884846B1 (ko) 새콤달콤한 콜라겐 복분자 비타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63855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함 콜라겐 복숭아 비타 녹차(과일 침출차)
KR20060064590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석류 비타 녹차
KR20060079777A (ko) 감동의 차 새콤달콤한 콜라겐 비타 키위 녹차[과일 침출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