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6131A - 기능성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6131A
KR20030016131A KR1020010050130A KR20010050130A KR20030016131A KR 20030016131 A KR20030016131 A KR 20030016131A KR 1020010050130 A KR1020010050130 A KR 1020010050130A KR 20010050130 A KR20010050130 A KR 20010050130A KR 20030016131 A KR20030016131 A KR 20030016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al
toothpaste
composition
agent
diatomaceous ear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희숙
Original Assignee
오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희숙 filed Critical 오희숙
Priority to KR102001005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6131A/ko
Publication of KR20030016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613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공지의 치약성분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에 있어서: 게르마늄(Ge), 홀뮴(Ho), 셀레늄(Se), 세륨(C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으로 이루어진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이 전체 중량의 10중량% 이내의 범주내에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의성 있는 충치예방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일반 치약의 기능 이외에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의 첨가에 따른 유용한 작용으로 치주질환 및 기타 구강질환예방과 함께 치아를 건강하게 하는 기능성 치약으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치약 조성물{functional toothpaste component}
본 발명은 충치예방 및 치주질환 그리고 살균, 혈행순환 등등의 순기능을 제공하는 규조토 기능성 혼합물을 3.33중량%를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약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만족스런 치약 조성물은 치아에 대한 화장 효과, 즉 치아를 밝은색으로 유지시키는 효과를 가져야만 한다. 또한, 치약 조성물은 치태를 만족스럽게 세척 및 제거해야만 하며, 이에 의해 치아 부식의 예방을 돕고 잇몸 건강을 촉진해야 한다. 연마제는 단단히 고착된 지방막의 제거를 돕는다.
이 막은 통상적으로 치아를 세정한후 몇분내에 에나멜질에 고착되는 얇은 비세포성 당단백질-뮤코단백질 도포막으로 이루어진다. 대부분의 경우에, 막내에 수용된 각종 식품 색소의 존재는 치아의 변색의 원인이 된다. 이상적으로, 연마제는 경구 조직, 즉 상아질 및 에나멜질에 대해 최소의 손상 (연마) 을 가하면서 지방막의 만족스런 제거 (세정) 을 제공해야만 한다.
지방막 세정의 측면이외에도, 치석방지제(들)의 혼입은 추가의 장점을 제공한다. 치아의 치석 형성은 충치, 잇몸 및 치주 질환, 및 치아 손실의 주요 원인이된다. 치석은 세균, 상피세포, 백혈구, 대식구 및 기타 경구 삼출물의 혼합 마트릭스이다. 치석과 관련된 세균은 효소 및 내 독소를 분비할 수 있고, 이는 잇몸에 염증을 유발할수 있으며 염증성 치은염이 원인이 된다.
잇몸이 이 과정에 의해 크게 자극됨에 따라, 잇몸은 출혈되기 쉽고 그의 강도 및 회복력을 상실하며 치아로부터 분리된다. 이 분리는 결국 치주의 구멍을 생기게 하고, 이는 다시 치태의 축적, 분비 및 상당한 세균/독소를 일으킨다. 결국 이 과정은 구강의 경질 및 연질 조직의 파괴를 일으킨다.
일부 경우에 구강을 세정하고 치석 및 입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약제의 사용이 인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특허 제 3,696,191 호 (1972 년 10 월 3 일, Weeks); 미합중국 특허 제 3,991,177 호 (1976 년 11 월 9일, Vid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058,595 호 (1977 년 11 월 15 일, Colodney); 미합중국 특허 제 4,115,546 호(Vid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138,476 호 (1979 년 2 월 6 일, Simonson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140,758 호 (1979년 2 월 20 일, Vid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154,815 호 (1979 년 5 월 15 일, Pader 등); 미합중국 특허 제4,737,359 호(1988 년 4 월 12 일, Eigen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986,981 호 (1991 년 1 월 22 일, Glace 등);미합중국 특허 제 4,992,420 호 (1991 년 2 월 12 일, Nesser 등); 미합중국 특허 제 5,000,939 호 (1991 년 3 월 19일, Dring 등); 일본국 특개평 02/105,898 호 (1990 년 4 월 18 일 공개,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일본국 특개평 03/128,313 호 (1991 년 5 월 31 일 공개, 닛뽕 고따이 겡뀨) 및 일본국 특개평03/223,209 호 (1991 년 10 월 2 일 공개, 리온 가부시끼가이샤); 미합중국 특허 제 4,652,444 호 (1987 년 3 월 24 일, Maurer); 미합중국 특허 제 4,725,428호 (1988 년 2 월 16 일, Miyahara 등); 미합중국 특허 제 4,355,022 호 (1982 년 10월 19 일, Rabussay) 및 PCT 출원 WO 86/02831 호 (1986 년 5 월 22 일, Zetachron, Inc.)를 포함한다.
또한, 연마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340,583 호 (1982 년 7 월 20 일, Wason), 미합중국 특허 제 3,574,823 호 (1971 년 4월 13 일, Roberts 등), EP 특허 제 535,943 A1호 (1993 년 4 월 7 일, McKeown 등) 및 PCT 특허 WO 92/02454 호 (1992년 2 월 20 일, McKeown 등)에 기재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지방막의 세정 및 치석방지 활성을 위한 조성물에 대해 많은 개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더욱 개선된 제품에 대한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치예방 및 치주질환 그리고 살균, 혈행순환 등등의 순기능을 제공하는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을 3.33중량%를 통상의 치약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약 조성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치약 조성물의 특징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공지의 치약성분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에 있어서: 게르마늄(Ge), 홀뮴(Ho), 셀레늄(Se), 세륨(C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으로 이루어진 규조토 기능성 혼합물이 전체 중량의 10중량% 이내의 범주내에서 첨가되어 있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치약 조성물의 다른 특징은,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공지의 치약성분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에 있어서: 게르마늄(Ge), 홀뮴(Ho), 셀레늄(Se), 세륨(C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으로 이루어진 규조토 기능성 혼합물이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의 3.33중량% 첨가되어 있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우선적으로 아래의 표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성 치약 조성물의 대략적인 조성비를 나타내고 있다.
[표 1]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치약의 조성물은 대략적으로 '안전하고 효과적인 양'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는 구강의 조직 및 구조에 해를 주지 않은채로 착색 및/또는 치석/치은염을 감소시키기 위해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치약의 조성물은 대략적으로 '경구적으로 허용 가능한 캐리어'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또한 안전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구강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적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적절한 부형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pH 는 약 6.5 내지 약 9.5이고, 바람직한 pH 범위는 약 6.5 내지 약 9.0 이고 가장 바람직한 pH 범위는 7.0 내지 약 9.0 이다.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에 있으므로 이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이란 게르마늄(Ge), 홀뮴(Ho), 셀레늄(Se), 세륨(C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으로 이루어진 혼합물로써 각 조성물 중 몇가지 대표적인 조성물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우선, 게르마늄(Ge)의 경우 체내에 산소를 원할히 공급하며 독성오염물질의 분해 및 산화작용을 통해 인체내에 항암작용을 하는 인터페론의 생성에 도움을 줌. 또한, 함세포 파괴와 식임세포증가에 따른 강력한 살충작용 및 콜레스테롤 분해작용이 있다고 함(미국식품의약보건기구 발표).
또한, 칼슘(Ca)은 주로 인산과 결합하여 뼈ㆍ이[齒] 등에 함유되어 있으며, 그밖에 생리작용에도 관여한다고 알려짐(대한 광업진흥공사 연구소 발표).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각 조성물들을 혼합 탱크에서 혼합하여 치약을 생성하게 되는데, 혼합탱크의 자켓 온도를 약 150˚F (65℃) 내지 약 160˚F(71℃)로 고정시킨다. 혼합 탱크에 습윤제 및 물을첨가하고 교반을 시작한다. 온도가 약 120˚F(50℃)에 이르렀을 때, 플루오라이드, 감미제, 완충제, 킬레이트제, 착색제 및 산화티탄을 첨가한다. 연마제에 증점제를 첨가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고 교반하에서 혼합탱크에 첨가한다. 계면활성제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을 계속한다. 탱크를 120˚F(50℃)로 식히고 향료를 첨가한다. 약 5 분간 혼합을 계속한다. 얻어진 조성물은 약 7의 pH를 갖는다.
고체 치약의 제조에 있어서, 바람직한 경도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부의 증점 물질을 첨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바람직한 증점제는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카라기난,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스및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소듐카르복시메틸 히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셀룰로스 에테르의 수용성 염이다. 카라야 고무, 크산탄 고무, 아라비아 고무, 및 트라가칸트 고무와 같은 천연 고무도 사용될 수 있다. 증점제는 총 조성물의 0.5 내지 5.0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치약조성물은 유의성 있는 충치예방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일반 치약의 기능 이외에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의 첨가에 따른 유용한 작용으로 치주질환 및 기타 구강질환예방과 함께 치아를 건강하게 하는 기능성 치약으로의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공지의 치약성분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에 있어서:
    게르마늄(Ge), 홀뮴(Ho), 셀레늄(Se), 세륨(C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으로 이루어진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이 전체 중량의 10중량% 이내의 범주내에서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약조성물.
  2. 연마제, 습윤제, 기포제, 감미제와 같은 공지의 치약성분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에 있어서:
    게르마늄(Ge), 홀뮴(Ho), 셀레늄(Se), 세륨(Ce),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나트륨(Na) 및 규소(Si) 등으로 이루어진 규조토-기능성 혼합물이 바람직하게는 전체 중량의 3.33중량% 첨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치약 조성물.
KR1020010050130A 2001-08-20 2001-08-20 기능성 치약 조성물 KR20030016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130A KR20030016131A (ko) 2001-08-20 2001-08-20 기능성 치약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0130A KR20030016131A (ko) 2001-08-20 2001-08-20 기능성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6131A true KR20030016131A (ko) 2003-02-26

Family

ID=27719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0130A KR20030016131A (ko) 2001-08-20 2001-08-20 기능성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61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85B1 (ko) * 2004-02-20 2006-08-21 정의호 산화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77A (ko) * 1986-06-09 1988-03-23 원본미기재 구강 조성물
US4894220A (en) * 1987-01-30 1990-01-16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antiplaque oral composition
KR19990083962A (ko) * 1999-09-02 1999-12-06 이종택 약리작용 원적외선 방사 미네랄 석분 구강청결 치약
KR20000060070A (ko) * 1999-03-11 2000-10-16 김준한 연옥분이 함유된 치약과 그 제조방법
KR20010048853A (ko) * 1999-11-30 2001-06-15 김일오 송화소금을 첨가한 치약조성물
KR20030014941A (ko) * 2001-08-13 2003-02-20 추대일 기능성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0077A (ko) * 1986-06-09 1988-03-23 원본미기재 구강 조성물
US4894220A (en) * 1987-01-30 1990-01-16 Colgate-Palmolive Company Antibacterial antiplaque oral composition
KR20000060070A (ko) * 1999-03-11 2000-10-16 김준한 연옥분이 함유된 치약과 그 제조방법
KR19990083962A (ko) * 1999-09-02 1999-12-06 이종택 약리작용 원적외선 방사 미네랄 석분 구강청결 치약
KR20010048853A (ko) * 1999-11-30 2001-06-15 김일오 송화소금을 첨가한 치약조성물
KR20030014941A (ko) * 2001-08-13 2003-02-20 추대일 기능성 치약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685B1 (ko) * 2004-02-20 2006-08-21 정의호 산화게르마늄 분말을 포함하는 치약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otino et al. Nonvital tooth bleach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clinical procedures
EP1438953A1 (en) Method of whitening teeth, tooth whitening composition and tooth whitening set
JPH01501472A (ja) 抗歯垢剤の作用を延長させるための組成物
JP2007169181A (ja) 歯牙貼付用製品及び口腔ケア方法
JP4826790B2 (ja) 加水分解シルク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
JP5867546B2 (ja) 歯磨剤組成物、口腔用抗炎症剤及び口臭改善剤
US2010017284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of bleaching teeth
JP2002047157A (ja) 口腔用組成物
JP2002047161A (ja) 口腔用組成物
JP3710135B2 (ja) 歯石溶解剤
JPH04501863A (ja) オーラルリンス及びプラーク除去方法
EP4000594A1 (en) Oral compositions for post-dental implants
JP2007169201A (ja) 口腔用組成物
JP7477291B2 (ja) 口腔用組成物
JPH11130648A (ja) 口腔用組成物
KR20030016131A (ko) 기능성 치약 조성물
KR20040041471A (ko) 기능성 치약 조성물
JPH08245353A (ja) 口腔用組成物
KR20030014941A (ko) 기능성 치약 조성물
JPH0651618B2 (ja) 歯牙口腔液体洗滌剤
JP2005139201A (ja) 歯石及びウ蝕部溶解剤
JPH06239723A (ja) 口腔用組成物
JP2003231642A (ja) 歯周療法剤、歯内療法剤、歯科材料及び義歯洗浄剤
JP3793625B2 (ja) 粉状歯磨剤組成物
JPH10245328A (ja) 粉状歯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