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5745A -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5745A
KR20030015745A KR1020010049641A KR20010049641A KR20030015745A KR 20030015745 A KR20030015745 A KR 20030015745A KR 1020010049641 A KR1020010049641 A KR 1020010049641A KR 20010049641 A KR20010049641 A KR 20010049641A KR 20030015745 A KR20030015745 A KR 200300157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ember
annealing furnace
brush
gear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9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1728B1 (ko
Inventor
황정섭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49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17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5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5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1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1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4Furnaces for treating strips or wire
    • C21D9/56Continuous furnaces for strip or wire
    • C21D9/56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2Brus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로 내부로 진입하여 로의 측면과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산화물질을 기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소둔로 내부에 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 베이스부재 하단에 설치되고 소둔로 바닥면에 밀착되는 수평브러쉬와, 베이스부재 양 측면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소둔로 측벽에 밀착되어 측벽에 붙은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직브러쉬를 포함하는 제거부, 상기 브러쉬가 속이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브러쉬 표면을 따라 산화물질 흡입홀이 형성되며, 브러쉬의 각 선단에는 체결블럭이 연통설치되고, 체결블럭은 흡입관을 매개로 산화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팬에 연결된 구조의 포집부를 포함하는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Device for cleaning scale in continuous annealing furnace}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냉연공정 중 연속소둔라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둔작업중 냉연강판에 발생되어 소둔로 측면과 하부에 부착되는 산화물질을 제거처리할 수 있도록 된 연속소둔로의 산화물질 청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냉연 제품의 생산시 연속소둔라인의 로에서 일정 온도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스트립을 통과시키는 소둔 작업을 하여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게 된다.
소둔작업에 사용되는 소둔로는 배치형과 연속식으로 구분되는 데 현재는 대량생산을 위한 연속식 소둔로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연속식 소둔로는 하나의 노에 가열대, 균열대, 서냉대가 있어 이 사이를 스트립이 차례대로 통과하면서 소둔이 완료된다.
연속소둔은 냉간압연시 형성된 가공조직을 재결정시켜 내부응력을 제거하고, 또한 압연시 형성된 탄화물을 고용시켜 내식성을 확보하고, 탈 스케일성을 향상시킴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고온 상태의 로 내부로 스트립이 통과하는 과정에서 스트립 표면에산화물질이 생성되고, 또한 스트립 표면에 잔존해 있는 제강성 및 열연성 스케일 등이 스트립으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스트립에서 박리된 산화물질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200) 내부 바닥과 측벽에 부착되고, 로(200) 내에서 순환되는 고온의 공기와 더불어 로 내를 이동하면서 진행중인 스트립과 각 허스롤(100) 등에 부착되어 스트립의 품질결함을 유발시키게 되며, 상기 산화물질은 덴트결함을 발생시킴으로써 제품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로 내의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먼저 로 내의 온도를 상온가지 다운시키고 작업자가 로내부에 부착된 산화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제거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로 내 온도를 하강하여야 하므로 원가의 상승요인이 되며, 더욱이 수작업에 의존함에 따라 원활한 제거가 이루어지지 않고 안전사고의 발생위험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로 내부로 진입하여 로의 측면과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산화물질을 기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산화물질 청소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질 청소장치가 연속소둔로 내에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질 청소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질 청소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5는 연속소둔로 내부에 산화물질이 달라붙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레일 11,53 : 랙
12,12,44,55 : 피니언기어 13 : 베이스부재
14 : 수평브러쉬 20,45,54 : 구동모터
24 : 피동기어 25 : 연결기어
26 : 베벨기어 30 : 흡입홀
31 : 체결블럭 32 : 흡입관
33 : 흡입팬 34 : 전자석
40,41 : 클램핑기어 42 : 가이드부재
43 : 가이드블럭 52 : 랙바
60 : 감지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산화물질 청소장치는, 소둔로의 내부 바닥면에 연속설치되는 레일과,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소둔로의 바닥면과 내측벽에 붙은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와, 제거부에 의해 탈락된 산화물질을 포집처리하기 위한 포집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거부 이동시 소둔로 내부에 설치된 허스롤의 회전축에 제거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거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산화물질 청소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질 청소장치가 연속소둔로 내에 장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질 청소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물질 청소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둔로(200) 입측에서 출측까지 내부 바닥면 양쪽에 연장설치되고 표면에 랙(11)이 형성된 레일(10)과, 레일(10)에 가로놓여지고 하단에는 레일(10)의 랙(11)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10)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13), 베이스부재(13)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기어(1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피니언기어(1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베이스부재(13)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소둔로(200)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에 부착된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평브러쉬(14), 베이스부재(13) 양 측면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소둔로(200) 측벽에 밀착되어 측벽에 붙은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직브러쉬(20,21,22,23), 상기 구동수단의 동력을 수직브러쉬(20,21,22,23)로 전달하여 수직브러쉬을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전달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베이스부재(13)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20)와, 구동모터(20)의 회전축과 피니언기어 회전축(15)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21)와 피동풀리(22), 베이스부재(13)에 형성된 홀을 통해 각 풀리(21,22)를 연결하는 밸트(23)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모터(20)가 작동하게 되면 구동풀리(21)와 밸트(23)를 통해 피니언기어(12)의 회전축에 동력이 전달되어 피니언기어(12)를 회전시키게 되고 피니언기어 회전에 따라 랙(11)이 형성된 레일(10)을 따라 베이스부재(13)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수직브러쉬(20,21,22,23)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동기어(24), 베이스부재(13)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기어(24)에 치합되는 연결기어(25), 베이스부재(13)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기어(25)의 회전축과 피니언기어의 회전축 끝단에 설치되어 치합되는 한쌍의 베벨기어(26)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재(13) 상부 양측면에는 각각 일정간격을 두고 두 개의 수직브러쉬(20,21,22,23)가 설치되는 데, 한쌍의 베벨기어(26)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으로 두 개의 수직브러쉬(20,21,22,23)를 동시에 회전시키기 위하여 각 수직브러쉬(21)의 피동기어(24)는 개별적으로 연결기어(25)에 치합되며 각 연결기어(25)는 베이스부재(13)에 설치되는 중간기어(27)를 통해 상호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중간기어(27)는 두 개를 구비함으로써, 각 연결기어(25)의 회전이 상호 반대방향을 이루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수직브러쉬(20,21,22,23)간의 회전방향이 상호 다르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브러쉬(14,20,21,22,23)에 의해 탈락된 산화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포집부를 더욱 포함하는 데, 상기 포집부는 속이 빈 파이프 형태의 브러쉬(14,20,21,22,23)와, 브러쉬 표면을 따라 형성되는 산화물질 흡입홀(30), 브러쉬의 각 선단에 연통설치되는 체결블럭(31), 체결블럭(31)에 연결되는 흡입관(32), 흡입관(32) 끝단에 설치되어 흡입홀(30)을 통해 산화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팬(33)을 포함한다.
각 브러쉬(14,20,21,22,2)는 원통형의 축에 8방향으로 흡입홀(30)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흡입홀(30)이 형성되지 않는 부위에 산화물질 탈락용 솔이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브러쉬 내부에는 산화물질에 포함되어 있는 자성체를 부착 포집하기 위한 전자석(34)이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브러쉬(20,21,22,23)는 베이스부재(13)하부에 위치하는 체결블럭(31)을 기준으로 4단으로 적층된 수직브러쉬(20,21,22,23)가 구비되며 각 단의 수직브러쉬(20,21,22,23)는 체결블럭(31)과 체결블럭(31)에 설치되는 베어링(35)을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호 연통된다.
따라서 체결블럭(31)은 1단과 2단, 2단과 3단, 3단과 4단 수직브러쉬를 연결하기 위하여 총 3개가 소요되며, 이중 제일 하단의 체결블럭(31)만이 측면이 개방되어 흡입관(32)으로 연결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소둔로(200) 내부로 베이스부재(13) 진입시 소둔로(200) 입측에 하단에 형성된 진입로에 수직브러쉬(20,21,22,23)가 접촉되지 않도록 수직소둔로(200)를 수평으로 회동시켜 높이를 낮추기 위한 회동수단과, 소둔로(200) 내부에서 베이스부재(13) 이동시 소둔로(200) 내부에 설치된 허스롤(100)의 회전축에 제거부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브러쉬(20,21,22,23)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한다.
상기 회동수단은 2단에 위치한 수직브러쉬(20,21,22,23)를 절단하여 이분하고 절단면에 각각 설치되어 맞물리는 한쌍의 클램핑기어(40,41), 2단과 3단 수직브러쉬(21,22)를 연결하는 체결블럭(31) 중앙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3)쪽으로 연장되고 안쪽면에 기어가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부재(42), 베이스부재(13)에 고정설치되고 내측면이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가이드부재(42)의 절곡면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블럭(43), 베이스부재(13)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42)의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44)와, 피니언기어(4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구동모터(45)를 작동시키게 되면, 피니언기어(44)에 기어를 매개로 치합된 가이드부재(42)가 가이드블럭(43)을 따라 이동되어 클램핑기어(40) 위쪽부분을 수평방향으로 눕히게 된다. 이로 인해 전체적인 장치의 높이가 소둔로(200) 입측 진입로 이하로 낮춰지게 되는 것이다.
가이드부재(42)와 가이드블럭(43)과의 설치구조는 가이드블럭(43) 내측면에 T형 슬라이딩홈을 형성하고, 가이드부재(42) 외측면에는 상기 T형 스라이딩홈에 끼워지는 T형부재를 형성시켜 상호 체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수단은 최상단을 이루는 4단 수직브러쉬(20,21,22,23)를 3단 브러쉬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달성된다.
즉, 상기 조절수단은 3단 수직브러쉬(22)를 이루는 파이프 내부로 삽입가능한 직경을 갖춰 3단 수직브러쉬(22) 상부로 장입되는 4단 수직브러쉬(23)와, 4단 수직브러쉬(23) 상부에 체결되는 브라켓(5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3단과 4단 수직브러쉬(22,23)를 연결하는 체결블럭(31)의 외측 플랜지(51)에 형성된 삽입홀에 관통되며 표면에는 랙(53)이 형성된 랙바(52)(52), 상기 플랜지(51)에 설치되는 구동모터(54), 구동모터(54)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랙바(52)의 랙(53)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구동모터(54)를 작동하게 되면, 피니언기어(55) 회전에 따라 랙바(52)가 이동하여 랙바(52)로 연결된 4단 수직브러쉬(23)를 하강시키게 되고, 4단 수직브러쉬(23)는 3단 수직브러쉬(22) 내부로 삽입되어 수직브러쉬(20,21,22,23)의 높이가 3단으로 낮아지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도면 부호 (60)은 3단과 4단 수직브러쉬(22,23)를 연결하는 체결블럭(31)의 양 측면으로 형성된 플랜지 상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3) 이동시 소둔로(200) 내부의 허스롤의 넥크부(110)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이다.
상기 감지센서(60)의 신호에 따라 허스롤(100) 통과전에 4단 수직브러쉬(23)를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소둔로(200) 진입 전에는 구동모터(20)의 작동에 의해 베이스부재(13) 양쪽에 설치된 수직브러쉬(21,22,23)가 베이스부재(13) 안쪽으로 회동되어 도 4에서 좌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접혀져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둔로(200) 입측 진입로가 개방되면 베이스부재(13) 중앙에 설치된 구동모터(20)가 작동되어 베이스부재(13)를 소둔로(200) 내부로 진입시키게 된다.
즉, 구동모터(20)가 작동되면 구동모터(20)의 구동풀리(21)에 밸트(23)를 매개로 연결된 피동풀리(22)가 회전하게 되어 피동풀리가 설치된 피니언기어(12)의 회전축(15)을 돌리게 된다.
이에 따라 피니언기어(12)가 회전하여 소둔로(200) 내부의 레일(10)을 따라 베이스부재(13)를 전진시키게 되는 것이다.
베이스부재(13)가 전진되어 소둔로(200) 내부로 완전히 진입되면, 베이스부재(13) 상부에 설치된 구동모터(45)가 작동하여 수평으로 눕혀져 있는 수직브러쉬(21,22,23)를 수직으로 세우게 된다.
구동모터(45)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블럭(43)에 체결되어 있는 가이드부재(42)가 가이드블럭(43)의 만곡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가이드부재(42)가 설치된 수직브러쉬(21,22,23)를 수직상태로 회동시키게 된다.
수직브러쉬(21,22,23)가 완전히 회동되어 수직상태를 이루게 되면, 수직브러쉬(20,21,22,23)에 부착된 솔은 소둔로(200) 측면에 접촉된 상태가 되고, 상호 분할되어 있던 2단 수직브러쉬(21)는 서로 연결되면서 각각의 분할면에 설치된 클램핑기어(40,41)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와같이 클램핑기어(40,41)가 맞물림에 따라 2단 수직브러쉬(21)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전체 수직브러쉬(20,21,22,23)가 회전가능하게 된다.
또한, 3단 수직브러쉬(22) 내부에 삽입되어 있던 4단 수직브러쉬(23) 또한 구동모터(54)의 작동에 의해 상승되어 나오게 된다.
구동모터(54)가 작동되면 구동모터(54)에 피니언기어를 매개로 설치된 랙바(52)가 승강되고 랙바(52)가 설치된 4단 수직브러쉬(23)는 3단수직브러쉬(22) 내부에서 위로 상승하여 나오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장치가 소둔로(200) 내부로 진입되면, 베이스부재(13) 양측에 설치된 수직브러쉬(20,21,22,23)는 수직으로 세워져 소둔로(200) 내측벽에 밀착된 상태가 되고, 베이스부재(13) 전방 하단에 가로로 설치된 수평브러쉬(14)는 소둔로(200) 바닥면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상태에서 베이스부재(13)가 레일(10)을 따라 진행하게 되면, 소둔로(200) 내측벽과 바닥면에 부착된 산화물질이 수직, 수평브러쉬(14)에 의해 탈락되어 제거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베이스부재(13)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모터(20)의 동력은 레일(10)의 랙에 치합된 피니언기어(12) 뿐아니라 피니언기어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맞물려 있는 한쌍의 베벨기어(26)를 통해 연결기어(25)로 전달되고 연결기어(25)에 치합되어있는 수직브러쉬(21)의 피동기어(24)에 최종 전달되어 각 수직브러쉬(20,21,22,23)를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베이스부재(13)가 이동함과 동시에 각 수직브러쉬(20,21,22,23)가 회전작동하여 효과적인 산화물질 탈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수직브러쉬(20,21,22,23)의 회전과정을 살펴보면, 한쌍의 베벨기어(26)를 통해 동력이 일측 연결기어(25)로 전달되어 연결기어(25)가 회전함에 따라 연결기어(25)에 치합되어 있는 두개의 중간기어(27)를 매개로 다른쪽 연결기어(25)도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때, 두 연결기어(25)의 회전방향은 상호 반대방향이 된다.
그리고 두 개의 연결기어(25)는 2단 수직브러쉬(21)에 설치된 피동기어(24)에 치합되어 있어서 연결기어(25) 회전에 따라 피동기어(24)가 설치된 수직브러쉬(21)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2단 수직브러쉬(21)는 분할되어 있던 부분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연결되는 데, 피동기어(24)가 설치된 부분의 회전력은 분할면에 설치되어 맞물려 있는 한쌍의 클램핑기어(40,41)를 매개로 위쪽에 전달되어 분할면 위쪽의 2단 수직브러쉬(21), 3,4단 수직브러쉬(22,23)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부재(13)에 설치된 흡입팬(33)이 작동함에 따라 탈락된 산화물질을 포집처리할 준비를 마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소둔로(200) 내에 진입된 베이스부재(13)가 레일(1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소둔로(200) 내측벽과 바닥면에 밀착된 브러쉬에 의해 소둔로(200)내측벽과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는 산화물질이 탈락되고, 탈락된 산화물질은 흡입팬(33)의 작동에 의해 각 브러쉬 표면에 형성된 흡입홀(30)을 통해 흡입되어 포집처리된다.
즉, 흡입팬(33)이 작동되면 흡입팬(33)에 연결된 흡입관(32)과 체결블럭(31)을 통해 브러쉬(14,20,21,22,23)의 표면에 형성된 흡입홀(30)로 소둔로(200) 내기가 빨아들여지게 되므로, 회전되는 브러쉬에 의해 탈락된 산화물질 및 스케일은 브러쉬 표면에 형성된 흡입홀(30)을 통해 브러쉬 내부로 빨려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브러쉬 내부로 유입된 산화물질 및 스케일은 브러쉬 내부 중심에 설치된 전자석(34)에 부착된다.
그리고, 전자석(34)에 붙지 않는 비철금속은 브러쉬에 연결된 체결블럭(31)을 지나 계속 빨려들어가 체결블럭(31)에 연결된 흡입관(32)을 통해 포집된다.
한편, 상기한 작업을 수행하면서 베이스부재(13)가 계속 진행하는 중에 허스롤(100) 설치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3단과 4단 수직브러쉬(22,23)를 연결하는 체결블럭(31)에 설치된 감지센서(60)가 허스롤(100)의 넥크부(110)를 감지하게 되고, 감지센서(60)의 감지신호에 따라 베이스부재(13)에 설치된 구동모터가 정지되어 베이스부재(13)의 이동을 멈추고, 동시에 상기 체결블럭(31)에 설치된 구동모터(54)가 작동하여 피니언기어(55)를 회전시키게 된다.
피니언기어(55) 회전에 따라 피니언기어에 랙으로 치합된 랙바(52)가 하강하게 되어 랙바(52)가 설치된 4단 수직브러쉬(23)가 하강하여 도 4에서 우측에 도시된 것과 같이 3단 수직브러쉬(22) 내부로 삽입된다.
4단 수직브러쉬(23)가 3단 수직브러쉬(22) 내부로 진입하여 완전히 하강하게 되면 수직브러쉬의 전체 높이는 허스롤(100)의 넥크부(110) 이하로 낮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베이스부재(13)는 구동모터(20)의 작동에 따라 다시 전진하면서 산화물질 제거작업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브러쉬(20,21,22,23)가 허스롤(100)의 넥크부(110)를 통과하여 수직브러쉬 후측에 설치된 감지센서(60)에 넥크부(110)가 감지되면, 4단 수직브러쉬(23)는 상승하여 원상태로 복귀되고, 베이스부재(13)는 이동을 계속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소둔로(200)를 이동하는 중에 계속적으로 반복되며, 소둔로(200) 전체에 걸쳐 산화물질 제거와 포집이 완료되면, 베이스부재(13)에 설치된 구동모터(20)를 후진작동하여 베이스부재(13)를 소둔로(200)로부터 인출하고, 포집된 산화물질을 배출처리함으로써 작업을 마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에 의하면, 소둔로 내부의 산화물질을 기계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되어, 제거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산화물질 제거에 따라 표면이 미려하고 우수한 냉연제품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고온의 퍼니스 내에 작업자가 들어가지 않아도 되므로 대형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소둔로 입측에서 출측까지 내부 바닥면 양쪽에 연장설치되고 표면에 랙이 형성된 레일에 가로놓여지고, 하단에는 레일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베이스부재와;
    베이스부재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소둔로 바닥면에 밀착되어 바닥에 부착된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평브러쉬와, 베이스부재 양 측면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소둔로 측벽에 밀착되어 측벽에 붙은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직브러쉬를 포함하여, 베이스부재에 설치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되며 소둔로의 바닥면과 내측벽에 붙은 산화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거부;
    상기 브러쉬가 속이 빈 파이프 형태를 이루고, 브러쉬 표면을 따라 산화물질 흡입홀이 형성되며, 브러쉬의 각 선단에는 체결블럭이 연통설치되고, 체결블럭은 흡입관을 매개로 산화물질을 빨아들이기 위한 흡입팬에 연결된 구조로 되어, 제거부에 의해 탈락된 산화물질을 포집처리하기 위한 포집부;
    를 포함하는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피니언기어 회전축5에 각각 설치되는 구동풀리와 피동풀리, 베이스부재에 형성된 홀을 통해 각 풀리를 연결하는 밸트, 수직브러쉬의 하단 외주면에 설치되는 피동기어, 베이스부재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동기어에 치합되는 연결기어, 베이스부재 하부로 연장되는 연결기어의 회전축과 피니언기어의 회전축 끝단에 설치되어 치합되는 한쌍의 베벨기어를 포함하여, 베이스부재와 수직브러쉬에 동력을 인가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수직브러쉬 하부를 절단하여 이분하고 절단면에 각각 설치되어 맞물리는 한쌍의 클램핑기어와, 체결블럭 중앙에 설치되어 베이스부재쪽으로 연장되고 안쪽면에 기어가 형성된 원호형 가이드부재, 베이스부재에 고정설치되고 내측면이 원호형으로 만곡되어 가이드부재의 절곡면이 슬라이딩가능하게 연결설치되는 가이드블럭, 베이스부재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의 기어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 피니언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소둔로 내부로 베이스부재 진입시 소둔로 입측에 하단에 형성된 진입로에 수직브러쉬가 접촉되지 않도록 수직소둔로를 수평으로 회동시켜 높이를 낮추기 위한 회동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수직브러쉬 상부 일측을 이분하여 상부수직브러쉬가 하부수직브러쉬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하고, 상부수직브러쉬 상부에 체결되는 브라켓 상에 랙이 형성된 랙바를 수직으로 설치하며, 하부수직브러쉬의 체결블럭에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설치되어 상기 랙바의 랙에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설치하여, 베이스부재 이동시 소둔로 내부의 허스롤 넥크부에 수직브러쉬가 걸리지 않도록 수직브러쉬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절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KR1020010049641A 2001-08-17 2001-08-17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KR100761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41A KR100761728B1 (ko) 2001-08-17 2001-08-17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9641A KR100761728B1 (ko) 2001-08-17 2001-08-17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5745A true KR20030015745A (ko) 2003-02-25
KR100761728B1 KR100761728B1 (ko) 2007-09-28

Family

ID=2771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9641A KR100761728B1 (ko) 2001-08-17 2001-08-17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1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10B1 (ko) * 2001-12-10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 가열대의 크리닝 장치
CN116622971A (zh) * 2023-05-26 2023-08-22 金华克钻特钢工具有限公司 一种高速钢刀具的热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429B1 (ko) * 2016-12-20 2018-06-21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소둔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5212A (en) * 1980-10-30 1982-05-11 Nisshin Steel Co Ltd Dry type temper rolling apparatus
KR19980064915U (ko) * 1997-04-30 1998-11-25 김종진 디플렉터롤의 칩 및 이물질 자동제거장치
KR19990003492U (ko) * 1997-06-30 1999-01-25 김종진 스트립 표면 이물질 제거장치
KR20000013476U (ko) * 1998-12-26 2000-07-15 이구택 소둔로내 이물질 제거장치
KR100431447B1 (ko) * 1999-12-29 2004-05-14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 출구 스포트롤의 부착 이물 제거장치
JP2001198789A (ja) * 2000-01-21 2001-07-24 Sumitomo Heavy Ind Ltd ロール表面の清掃研磨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210B1 (ko) * 2001-12-10 2007-10-25 주식회사 포스코 광휘소둔로 가열대의 크리닝 장치
CN116622971A (zh) * 2023-05-26 2023-08-22 金华克钻特钢工具有限公司 一种高速钢刀具的热处理设备
CN116622971B (zh) * 2023-05-26 2023-11-14 金华克钻特钢工具有限公司 一种高速钢刀具的热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1728B1 (ko) 2007-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058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steel sheet
CN112254511B (zh) 一种铝棒加热炉
KR100761728B1 (ko) 연속소둔로의 내부 산화물질 청소장치
CN115890115A (zh) 一种钢拱架生产装置
CN214571521U (zh) 一种玻璃瓶生产用玻璃退火装置
CN209481736U (zh) 一种管件热处理装置
CN210401283U (zh) 横移温度冲击试验箱
CN112475778B (zh) 一种轴承装配加热装置
CN114654177A (zh) 一种钢结构制作用型钢的加工处理方法
CN217127493U (zh) 一种用于管道的热处理设备
CN214400650U (zh) 一种铜丝加工用退火装置
KR20020027993A (ko) 광휘소둔로의 스티어링롤 청소장치
KR200220533Y1 (ko) 강판용접부 표면의 러스트 자동제거장치
CN215598103U (zh) 一种悬臂辊道侧出钢装置
KR100797814B1 (ko) 압연기의 화재 예방 기능을 가지는 흄제거장치
CN219103716U (zh) 一种炉体冷却喷淋装置
CN211803069U (zh) 一种高精度的轨道型钢的二次冷却二次矫直装置
CN216039729U (zh) 一种金属波纹管生产用冷却设备
KR200222565Y1 (ko) 압연슬래브 에지부 온도편차 방지장치
CN216308440U (zh) 具有自吹扫功能的镀锌行车
CN117840260B (zh) 一种镀锌钢板生产用拉矫装置
KR100972189B1 (ko) 광휘소둔로의 디프렉트롤 백분 제거장치
KR100506411B1 (ko) 연속소둔로의 롤 인출 및 표면 청소장치
KR100775251B1 (ko) 냉각압조 합금강선재 연화열처리 냉각이송장치
CN212175007U (zh) 一种非晶带材退火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