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4592A -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4592A
KR20030014592A KR1020020046083A KR20020046083A KR20030014592A KR 20030014592 A KR20030014592 A KR 20030014592A KR 1020020046083 A KR1020020046083 A KR 1020020046083A KR 20020046083 A KR20020046083 A KR 20020046083A KR 20030014592 A KR20030014592 A KR 20030014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column
column
side bracket
bracke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60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72533B1 (ko
Inventor
콘도우신이치
요코타요시노리
아마노타케시
시다토시야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미츠비시 지도샤 엔지니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4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4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2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25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9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 B62D1/195Yieldable supports for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 스티어링 칼럼(1)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1)을 하측으로부터 차체측 브래킷(12)에 고정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칼럼(1)의 하부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칼럼측 브래킷(18)중의 차량 후방측 단부에 잇따라서 레일상의 가이드부(20)를 칼럼측 브래킷(18)과 거의 동일 높이로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하고, 칼럼측 브래킷이 차체측 브래킷(12)을 지나간 이후는, 가이드부(20)로 스티어링 칼럼(1)을 가이드하여, 차체측 브래킷(12)으로부터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1)이 그대로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축방향을 향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STRUCTURE OF THE ABSORBING SHOCK OF STEERING COLUMN}
본 발명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2차 충돌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자동차에서는, 승무원이 스티어링 휠에 충돌(2차 충돌)될 때나, 스티어링 휠에 내장된 에어백이 전개될 때 등,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해지면 차체에 장착되어 있던 얇은 두께의 파이프 스티어링 칼럼(을 포함한 스티어링 칼럼 내를 삽통하는 스티어링 샤프트)을 차량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충격 하중을 완화시키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런데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에는, 1개의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측에 고정하는 구조가 있다. 이것은 다른 구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경량하여 작업이 간편함 등의 이점이 있다.
이것은 차체측에 설치된 브래킷으로 스티어링 칼럼을 하측으로부터 지탱하고, 이 브래킷의 하측으로부터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에 마련된 볼트 장착부(나사로조여지는 깊이를 확보하는 것)에 1개의 볼트부재를 조여넣어 브래킷에 스티어링 칼럼을 고정시키는 구조이다. 이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 구조에도, 상기와 같이 충격 하중을 완화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그래서 종래에는 일본 실공평5-31015호 공보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의 특징, 즉 1개의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으로부터 매달아 올린다는 특징이 손상되지 않도록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로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a)의 볼트 장착부(b)에 나사로 조여넣은 볼트부재(d)의 두부를, 차체측에 고정되어 있는 브래킷(c)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구조가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구조에는, 브래킷(c)에 볼트부재(d)가 관통되는 관통구멍(e)으로부터 차량 전방을 향하여 V자 모양의 슬릿(f)(어느것이나 도 7에만 도시)을 형성한 구조가 이용되고 있고, 도 6중의 화살표(P)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 끝에 배치되어 있는 스티어링 휠(g)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부재(d)가 관통구멍(e)으로부터 빠져나오는 동시에 해당 스티어링 칼럼(a)이 브래킷(c)으로부터 이동되면서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충격 에너지가 흡수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충격 에너지의 흡수가 효과적으로 행하여지기 위해서는, 스티어링 칼럼(a)의 움직임이 손상되지 않고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스티어링 칼럼(a)의 주변에는 스티어링 칼럼(a)과 인접한 지점에 각종의 기기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동 기기의 간섭을 받지 않고 스티어링 칼럼(a)이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스티어링 칼럼(a)은 브래킷(c)으로부터 이동된 후에도 이동 전과 같은 자세인 채로 축방향을 따라 변위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스티어링 칼럼(a)은 볼트부재(d)의 나사 깊이를 확보하는 두께 치수를 갖는 볼트 장착부(b)를 끼우고 브래킷(c)의 상면에 지지되기 때문에, 도 7중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 장착부(b)가 브래킷(c)을 지나갈 때까지, 스티어링 칼럼(a)의 이동이 진행되면, 해당 스티어링 칼럼(a)의 자중이나 아래쪽을 향하는 힘 등을 받아, 스티어링 칼럼(a)이 볼트 장착부(b)와 스티어링 칼럼(a)의 하부와의 단차(α)분만큼 떨어지는 일이 있다.
이 떨어짐이 발생하면, 이동한 후의 스티어링 칼럼(a)은 도 7 중의 2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기울어져서 의도하는 이동방향(축방향을 직선 형상모양으로 진행하는 방향)이 변한채로 이동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이동이 발생하면, 스티어링 칼럼(a)은, 이동의 과정에서 주변의 기기에 간섭하여 움직임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각 주변 기기의 설계상의 자유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스티어링 칼럼이 브래킷으로부터 이동방향이 변하지 않고 이동되도록 한 스티어링 칼럼의 장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에 돌출설치된 칼럼측 브래킷과, 차체측에 마련되고 칼럼측 브래킷을 하측으로부터 지탱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매다는 차체측 브래킷과, 스티어링 칼럼에 차량 전방을 향하는 충격력이 작용한 때 칼럼측 브래킷이 차체측 브래킷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칼럼측 브래킷을 차체측 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의 칼럼측 브래킷의 차량 후방측에 돌출설치되고, 차량 후방으로 늘어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충격력의 작용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이 차체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 가이드부가 차체측 브래킷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로써, 브래킷으로부터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은 이동방향의 변경이 억제되기 때문에 주변 기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변위하게 되어, 이동이 가져오는 충격 흡수 성능이 충분히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의 가이드부는,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에 칼럼측 브래킷의 중심 위치에 맞추어서 칼럼측 브래킷과 거의 동일 높이의 돌출조부재를, 칼럼측 브래킷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가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고, 가이드부에는 칼럼측 브래킷과 거의 동일 높이의 돌출조모양 부재를 이용하여, 이것을 볼트의 중심 위치에 맞추어서 칼럼측 브래킷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을 두껍게 하는 등의 부담을 강요받지 않고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의 칼럼측 브래킷은, 단면 원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양측 테두리부가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이 아래로부터 지탱되고, 스티어링 칼럼과 차체측 브래킷의 장착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조는, 칼럼측 브래킷과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순조롭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가 적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돌출조부재가 U자형 단면을 갖고, 또한 그 양측 테두리부가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조부재와 차체측 브래킷이 선접촉으로 접하기 때문에 마찰이 적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하측을 지지하는 장착부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에 따른 하측을 지지하는 장착부의 단면도.
도 4는 동 하측을 지지하는 장착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2차 충격을 받았던 때의 동 하측을 지지하는 장착부의 거동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1개의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을 차체측에 장착하는 장착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2차 충격을 받았던 때의 동 장착구조의 거동을 도시한 일부 단면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티어링 칼럼 5 : 상측 브래킷
6 : 원웨이 캡슐 1O : 볼트
12 : 차체측 브래킷 18 : 칼럼측 브래킷
20 : 가이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자동차에 탑재된 스티어링 칼럼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면중 부호 1은 두께가 얇은 파이프 부재로 형성된 스티어링 칼럼이다.
이 스티어링 칼럼(1)은 비스듬한 자세, 구체적으로는 차량 후방의 단부가 상측을 향하고, 차량 전방의 단부가 하측을 향한 자세로 운전석(도시생략)의 전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칼럼(1) 내에는, 스티어링 샤프트(2)가 회전이 자유롭게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스티어링 칼럼(1)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스티어링샤프트(2)의 단부에 스티어링 휠(3)이 장착되고, 스티어링 칼럼(1) 하단으로부터 돌출된 스티어링 샤프트(2)의 단부에, 스티어링 기어(도시생략)에 도달하는 유니버설 조인트(4)(부분적으로 도시)가 접속되어 있다.
이 스티어링 칼럼(1)의 상측 단부는 상측 브래킷(5) 및 원웨이 캡슬(6)을 이용한 장착부(7)(장착구조)를 이용하여 차체(도시생략)에 있는 보디측의 설치부, 예를 들면 차폭 방향에 병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보디측 브래킷(8)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1)의 하측 단부는, 1개의 볼트(10) 및 차체측 브래킷(12)을 이용한 장착부(13)를 이용하여 차체(도시하지 않는다)에 있는 보디측의 설치부, 예를 들면 차폭 방향에 병행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보디측 브래킷(14)에 고정되어 있다. 장착부(7)는, 스티어링 휠(3)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상측 브래킷(5)이 붙은 채로 스티어링 칼럼(1)이 보디측 브래킷(8)으로부터 이동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또한 장착부(13)는, 마찬가지로 스티어링 휠(3)로부터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볼트(10)가 붙은 채로 스티어링 칼럼(1)이, 차체측 브래킷(12)으로부터 이동되는 구조를 하고 있다. 이들 장착부(7, 13)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의 전체는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축방향을 따라 변위되면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중 하측의 장착부(13)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다.
이 장착부(13)의 각 부분의 단면이 도 2 및 도 3에 도시되고, 동 장착부(13)의 상세한 구조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장착부(13)에 관해 상술하면, 차체측 브래킷(12)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에 한 쌍의 장착시트(15a)가형성되고, 해당 장착시트(15a) 사이에 개략 반원형상의 지탱부(15b)가 형성된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장착시트(15a)는 보디측 브래킷(14)과 조합되는 부분이고, 지탱부(15b)는 스티어링 칼럼(1)을 하측으로부터 지탱하는 부분이다. 이 중의 장착시트(15a)가 보디측 브래킷(14)에 각각 볼트 고정되고, 스티어링 칼럼(1)을 지탱부(15b)에 의해 하측으로부터 지탱하고 있다. 이 지탱부(15b)의 중앙에는, 동 지점으로부터 차량 전방 단을 향하여 V자모양으로 개구되는 슬릿(16)이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해당 슬릿(16)의 폐쇄측의 단부를 관통하도록 볼트 관통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1)의 하부에는, 칼럼측 브래킷(18)(볼트부재(10)가 조여넣어지는 것)이 마련되어 있다. 칼럼측 브래킷(18)은,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호 형상을 한 띠모양의 플레이트 부재로 형성된다. 그리고 이 플레이트 부재의 폭방향 양단부가, 스티어링 칼럼(1)의 중심을 끼운 각 하면 부분에 장착되고, 스티어링 칼럼(1) 아래의 원호부분을 스티어링 칼럼(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있다. 이 플레이트 부재중, 볼트 관통구멍(17)과 대향하는 부위에는, 나사구멍(19)이 형성되어 있고, 1개의 볼트(10)에 의한 스티어링 칼럼(1)의 고정이 행하여지는 구조를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볼트(10)는, 도 2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체측 브래킷(12)의 하측으로부터 볼트 관통구멍(17)을 통하여 칼럼측 브래킷(18)의 나사구멍(19)에 조여넣어져 있고, 칼럼측 브래킷(18)으로부터 돌출된 헤드부(10a)로, 스티어링 칼럼(1)을 차체측 브래킷(12)이 지탱부(15b)에 체결되어 있다. 이 체결에 의해 스티어링 휠(3)로부터 스티어링 칼럼(1)으로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볼트(10)가 볼트 관통구멍(17)으로부터 이동되어 슬릿(16)에 도달하도록 하고 있다. 즉, 소정치 이상의 충격력이 가하여지면 볼트(10)가 볼트 관통구멍(17)으로부터 이동되어 스티어링 칼럼(1)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칼럼(1)의 하부에는, 칼럼측 브래킷(18)의 차량 후방 단에 인접하여 돌출조부재로서의 가이드부(20)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0)는, 스티어링 칼럼(1)과는 별체인 부재, 예를 들면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개략 단면이 U자형을 한 레일형상 부재(20a)를, 원호측이 아래를 향한 자세로 장착(예를 들면 용접)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레일형상 부재(20a)는, 도 2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0)(볼트 관통구멍(17))의 중심 위치에 맞추어서 칼럼측 브래킷(18)의 차량 후방측의 단에 이으며(여기에서는 밀접시키고 있다) 차량 후방을 따라 장착되어 있다. 스티어링 칼럼(1)으로부터 돌출된 레일형상 부재(20a)의 최하부(U자형의 정수리부분)는, 칼럼측 브래킷(18)과 같은 높이,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트(10)의 중심 위치에 있어서의 칼럼측 브래킷(18)의 부위와 면이 일치되는 높이 치수(칼럼측 브래킷(18)과 거의 동일 높이)로 정해져 있다.
또한 레일형상 부재(20a)의 길이는, 이동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1)이 차량 전방으로 변위되는 변위량보다 길게 정해져 있고, 스티어링 칼럼(1)의 이동에 의해 칼럼측 브래킷(18)이 차체측 브래킷(12)으로부터 벗어나는데 따라서 그 칼럼측 브래킷(18)의 대신으로 레일형상 부재(20a)가 차체측 브래킷(12)의 상면과 슬라이드접촉하여,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1)을 가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레일형상 부재(20a)가 가져오는 가이드 기능을 설명하면, 지금, 도 1 및 도 5(a)중의 화살표(P)로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충돌에 의해 소정치를 넘는 충격력이 스티어링 휠(3)에 가해졌다고 한다. 그러면 상측의 장착부(7)에서는, 스티어링 칼럼(1)에 전해지는 충격력에 의해 원웨이 캡슬(6)과 상측 브래킷(5) 사이를 결합하고 있던 수지제의 핀(도시생략)이 전단된다. 하측의 장착부(13)에서는, 스티어링 칼럼(1)에 전하여지는 충격에 의해 차체측 브래킷(12)을 관통하고 있던 볼트(10)가 볼트 관통구멍(17)으로부터 이동되어 슬릿(16)을 향한다. 그러면 스티어링 칼럼(1)은, 상측 브래킷(5)이나 볼트(10)가 붙어있는 채로 보디측 브래킷(8), 차체측 브래킷(12)으로부터 이동되고, 차량 전방 방향으로 축심 방향에 따라 변위된다.
이 때, 도 5(b)중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티어링 칼럼(1)의 칼럼측 브래킷(18)은 차체측 브래킷(12)을 지나서 차량 전방을 향한다. 여기서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칼럼측 브래킷(18)으로부터는 차량 후방을 향하여 레일형상의 가이드부(20)가 계속되어 있기 때문에, 칼럼측 브래킷(18)이 차체측 브래킷(12)을 지나간 이후는, 칼럼측 브래킷(18)의 대신으로 가이드부(20)가 차체측 브래킷(12)의 상면과 슬라이드접촉하고 스티어링 칼럼(1)을 가이드하여,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1)을 그대로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축방향을 계속 향하게 한다. 이로써, 차체측 브래킷(12)으로부터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1)은, 이동 전과 같은 자세인 채로 스티어링 칼럼(1)의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충격 하중을 완화한다. 즉, 가이드부(20) 에 의해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1)은, 이동방향의 변경 없이 소망하는 이동방향 전의 스티어링 칼럼의 축방향에 따라 변위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동된 스티어링 칼럼(1)은, 해당 스티어링 칼럼(1)의 주위에 인접해 있는 각종의 기기(주변 기기)에 간섭하지 않고 마무리 되며, 충격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게다가, 가이드부(20)는 스티어링 칼럼(1)과는 별체인 레일형상 부재(20a)라는 소부품을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1)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부담을 강요받지 않고 해결되고 구조적으로도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경하여 실시하더라도 상관 없다. 예를 들면 상술한 한 실시 형태에서는 단품의 레일형상 부재를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칼럼측 브래킷과 일체인 레일형상 부재라도 좋다. 또한 한 실시 형태에서는, 1개의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하측을 지지하는 장착구조를 들었지만, 동 1개의 볼트부재를 이용하여 스티어링 칼럼의 상측을 지지하는 구조나 스티어링 칼럼의 하측과 상측을 지지하는 구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더라도 상관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에 돌출설치된 칼럼측 브래킷과, 차체측에 마련되고, 칼럼측 브래킷을 하측으로부터 지탱하고 스티어링칼럼을 매다는 차체측 브래킷과, 스티어링 칼럼에 차량 전방을 향하는 충격력이 작용한 때 칼럼측 브래킷이차체측 브래킷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칼럼측 브래킷을 차체측 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의 칼럼측 브래킷의 차량 후방측에 돌출설치되고, 차량 후방으로 늘어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충격력의 작용에 의해 스티어링 칼럼이 차체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될 때에, 가이드부가 차체측 브래킷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2차 충돌에 의해 브래킷으로부터 이동된 스티어링 칼럼은, 가이드부의 가이드에 의해 그대로의 자세를 유지하면서 축방향을 향하도록 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방향이 변하지 않고 끝남으로써 스티어링 칼럼은 주변 기기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변위될 수 있고, 이동이 가져오는 충격 흡수 성능을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돌출조부재라는 소부품으로 가이드부를 구성하였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로서, 스티어링 칼럼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등의 부담을 강요받지 않고,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제 3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칼럼측 브래킷은, 단면 원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양측 테두리부가 스티어링 칼럼에 고착되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을 아래로부터 지탱하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과 차체측 브래킷의 장착을 안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4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칼럼측 브래킷과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티어링 칼럼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부품 개수가 적어도 되는 것이다.
또한 제 5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는, 돌출조부재가 U자형 단면을 갖고, 또한 그 양측 테두리부가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돌출조부재가 선접촉으로 마찰이 적어도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에 돌출설치된 칼럼측 브래킷과,
    차체측에 마련되고 상기 칼럼측 브래킷을 하측으로부터 지탱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을 매다는 차체측 브래킷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차량 전방으로 향하는 충격력이 작용한 때 상기 칼럼측 브래킷이 상기 차체측 브래킷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칼럼측 브래킷을 상기 차체측 브래킷에 고정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있어서의 상기 칼럼측 브래킷의 차량 후방측에 돌출설치되고 차량 후방으로 늘어난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충격력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스티어링 칼럼이 차체에 대하여 차량 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차체측 브래킷에 안내되면서 이동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하부에 상기 칼럼측 브래킷의 중심 위치에 맞추어서 상기 칼럼측 브래킷과 거의 동일 높이의 돌출조 부재를 상기 칼럼측 브래킷의 차량 후방측의 단부로부터 차량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측 브래킷은, 단면 원호 형상의 플레이트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또한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측 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조부재가 U자형 단면을 갖고 또한 그 양측 테두리부가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2002-0046083A 2001-08-09 2002-08-05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4725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42398 2001-08-09
JP2001242398A JP4604425B2 (ja) 2001-08-09 2001-08-09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取付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4592A true KR20030014592A (ko) 2003-02-19
KR100472533B1 KR100472533B1 (ko) 2005-03-08

Family

ID=1907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6083A KR100472533B1 (ko) 2001-08-09 2002-08-05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604425B2 (ko)
KR (1) KR100472533B1 (ko)
CN (1) CN1242896C (ko)
MY (1) MY135307A (ko)
TW (1) TW54621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979B1 (ko) * 2006-03-02 2011-04-12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토크 센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4492B1 (ko) 2004-10-21 2010-09-30 주식회사 만도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흡수구조
KR100980716B1 (ko) * 2008-10-17 2010-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크래쉬 패드의 마운팅 구조
FR3079197B1 (fr) 2018-03-26 2020-05-01 Robert Bosch Automotive Steering Vendome Plaque d'engrenement d'un dispositif d'absorption d'energie de colonne de direc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44182B2 (ja) * 1980-09-25 1985-10-0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ステアリング支持装置
JPS5981667U (ja) * 1982-11-26 1984-06-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支持装置
JPS6277081U (ko) * 1985-11-05 1987-05-16
JPS63170376U (ko) * 1987-04-28 1988-11-07
JPS6430779U (ko) * 1987-08-20 1989-02-27
JPH03108585U (ko) * 1990-02-26 1991-11-07
JP2000085591A (ja) * 1998-09-16 2000-03-28 Koyo Seiko Co Ltd 舵取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取付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8979B1 (ko) * 2006-03-02 2011-04-12 닛본 세이고 가부시끼가이샤 토크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46213B (en) 2003-08-11
MY135307A (en) 2008-03-31
CN1242896C (zh) 2006-02-22
CN1401529A (zh) 2003-03-12
KR100472533B1 (ko) 2005-03-08
JP2003054424A (ja) 2003-02-26
JP4604425B2 (ja) 201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37338A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스티어링 장치
JP4848954B2 (ja) 車両用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80068333A (ko) 와이어 블록 어셈블리를 구비한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조향컬럼
KR100472533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472535B1 (ko)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 흡수구조
KR100470357B1 (ko) 운전석 하단 크러쉬 패드구조
KR102612218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충격 흡수 구조
KR100394795B1 (ko) 차량의 측면 충격 흡수용 완충 장치
KR100610064B1 (ko) 스티어링컬럼의 충격흡수장치
KR100804182B1 (ko) 자동차의 충격 흡수식 조향 컬럼
KR013905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측면 충격 흡수 구조
KR100783439B1 (ko) 차량용 범퍼빔의 상방 슬라이딩 장치
KR100836390B1 (ko) 좌굴 가이드를 구비한 스티어링 컬럼 구조
KR200140872Y1 (ko) 자동차용 도어 프레임 구조
KR19980078057A (ko) 차량용 조향 샤프트 충격 흡수장치
KR100985501B1 (ko) 조향장치의 마운팅 브라켓 충격 흡수구조
KR101002671B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조향장치의 틸트 스프링
KR0135440Y1 (ko) 차량용 스티어링 지지구조
KR0149336B1 (ko) 자동차용 충격 흡수장치
KR19980021828U (ko) 충격흡수식 브라켓스티어링 칼럼
KR100798851B1 (ko) 조향장치의 스티어링 칼럼의 충격흡수구조
KR19980021261U (ko) 자동차용 측면 충격 흡수구조
JPH07205660A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ハウジングの固定構造
KR101593404B1 (ko) 에어백 조립장치
KR19980036992U (ko) 스티어링 칼럼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