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879A -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879A
KR20030013879A KR1020010048109A KR20010048109A KR20030013879A KR 20030013879 A KR20030013879 A KR 20030013879A KR 1020010048109 A KR1020010048109 A KR 1020010048109A KR 20010048109 A KR20010048109 A KR 20010048109A KR 20030013879 A KR20030013879 A KR 200300138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diacrylate
double bond
photore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훈
오상준
Original Assignee
최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훈 filed Critical 최동훈
Priority to KR102001004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3879A/ko
Publication of KR20030013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87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7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 C07C69/738Esters of keto-carboxylic acids or aldehydo-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 식으로 표시되는 광가교 분자단을 주쇄에 포함하는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높은 접착력 및 낮은 열팽창 계수를 가지며 우수한 열안정성 및 박막화 가공성을 겸비한다.
〈화학식 1〉
상기 식에서 R은 H또는 CH3를 나타내며, X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내부에 존재하는 이중결합 부분에서 환상 부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분자단이고 n은 0에서 10이다.

Description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 그 제조방법{Photo-reactive di(meth)acrylate derivative and its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반응성을 나타내는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접착력, 낮은 열팽창 계수, 우수한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박막화가공성을 갖는 새로운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접착제 또는 봉지제 재료로서 과거에 사용되어 왔던 가교제 투입에 의해 경화를 유도하는 방법은 많은 연구 및 응용성이 잘 알려져 있다. 또한 광조사에 의한 저분자 화합물의 고분자화는 광중합 반응기구에 의해 많은 연구와 제품개발이 이루어져있다.
광중합은 주로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서 라디칼 또는 양이온이 생성되어 단량체의 이중 결합이나 환을 개열시켜 고분자 매질로 변환시키는 방법이 주를 이루어왔다.
특히 광조사에 의해 라디칼을 발생시켜 중합하는 방법은 단량체의 높은 반응성과 낮은 가격, 최종 물질의 기계적, 광학적 성질의 우수성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능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최근 사용범위는 매우 다양해져 구조재료의 접착, 봉지뿐만 아니라 극한의 치수 안정성을 요구하는 장비에서도 그 응용성을 볼 수 있다. 그 예로서 액정 모니터의 제조공정에서 응용될 수 있는데 패널 접착 봉지재료는 전부 열 경화성 물질에 열을 가한 후 압력을 주어 봉지를 하는 공정이 주를 이루었다. 그러나 이러한 열경화성 재료는액정물질과 그 배향이 열에 매우 민감한 특성상 열을 가하는 도중 봉지 물질 내부의 열팽창계수나 열수축률의 변화에 의해 액정의 배향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과 액정 화면의 완제품에서 액정이 자리잡는 내부 공간의 면적이 불균일해질 가능성이 높고 그에 따라 실제 완제품에서 뚜렷한 색상이나 명도를 구현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층과 컬러필터 층간의 정렬이 열을 가하고 압력을 주었을 때 어긋나는 현상은 제조 공정 상의 제품 불량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들 수 있다.
종래 미세 치수안정성을 가지도록 설계되고 합성된 공지의 열경화형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수지는 고분자 또는 올리고머 형태를 띠고 있는데, 고온에서의 열중합 및 또는 측쇄에 반응기를 도입하여 가교제의 역할에 의해 망상 구조가 형성되어 경화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물질 반복 단위당 2개 또는 3개의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사슬 말단에 위치하고 있어 중합도가 높을 경우 낮은 반응기의 밀도로 말미암아 경화의 효율도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자량의 조절도 용이하지 않은 결정적인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패널 봉지제로 사용되던 열경화성 물질 사용시 제조 공정 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즉 고도의 치수안정성을 발현하는 새로운 물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측쇄형 광배향막 재료 또는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에서 이용되었던 환상 부가 광반응 메카니즘에 의해 광가교 현상을 유도하고 동시에 라디칼 개시에 의한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중합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물질을 합성하게 되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한 화학구조 내에는 두 개의 반응성 이중결합이 존재하여 위에서 기술한 광가교와 광중합현상이 사슬 말단의 아크릴레이트나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이중결합과 반복 단위 내에 존재하는 광반응성기에 위치한 이중결합간의 상호라디칼 반응도 동반되어 기존의 광가교형 수지에 비하여 우수한 물리적,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물질은 접착제나 패널봉지제로 응용 시 고도의 치수안정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가 광조사중 광가교 분자단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는 가시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가 광조사후 광가교 분자단에 존재하는 이중결합이 감소하는 것과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비닐기에 위치한 이중결합에서 중합이 일어나는 것을 보여주는 적외선 흡수스펙트럼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비교예 1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자외선 조사후 경화된 시료들의 시차열량분석(DSC)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비교예 1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자외선 조사후 경화된 시료들의 열중량 분석(TGA)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화학식 1에서 R은 H또는 CH3를 나타내며, X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분자단 내부에 존재하는 이중결합 부분에서 환상 부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분자단이고 n은 반복단위로서 0 내지 10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접착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기존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라디칼 개시에 의한 중합방법에 이용되던 화합물과 차별화되는 신규의 물질이다. 즉,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양 말단에 2개 이상의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기가 존재하고, 주쇄내에 자외선에 의해 환상 부가 반응이 일어 날 수 있는 이중결합이 있는 분자단(이하, "환상부가 반응성 불포화 분자단"이라 함)이 존재하는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1)은 라디칼 광개시제(radical photoinitiator)와 같은 광개시제의 존재 하에 광중합에 사용되는 자외선 광원을 조사 받게 되면 주쇄내의 이중결합분자단(X)이 환상부가 반응을 일으켜 가교를 일으키게 되고, 말단의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가 광개시제에 의한 중합과 동시에 매질 내의 반복단위에서 광이량화를 유도하게되어 기존의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가 나타내고 있던 열에 의한 경화매질의 특성보다 뛰어난 치수안정성을 나타내는 경화매질의 특성을 나타낸다.
화학식 1에서 반복단위 n은 0 내지 10 정도가 적당한데, 만일 n이 너무 크면 점성이 지나치게 높게 되어 접착제 또는 패널봉지제로 사용하는데 적합하지 않게 된다.
특별히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환상 부가반응성 불포화 분자단(X)의 예로는 시나모일기, 찰콘기, 쿠마린, 안트라신기 등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현에 의하면 화학식 1의 광가교성 화합물(1)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특별히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지만, 상기 반응식에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생성하기 위하여 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과 반응시키는 출발물질, 즉 환상부가반응성 불포화분자단(X)의 양 말단에 에폭시를 갖는 출발물질의 예로는 화학식 2 및 3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2〉
〈화학식 3〉
화학식 4의 화합물은 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과 화학식 2의 화합물 간의 반응생성물을 나타낸 것이고, 화학식 5의 화합물은 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과 화학식 3의 화합물 간의 반응생성물을 나타낸 것이다.
〈화학식 4〉
〈화학식 5〉
여기서 R은 H 또는 CH3를 나타내며, 화학식 5의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는 화학식 4의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보다 반복단위당 이중 결합 수가 두배 많으므로 같은 광량의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이량화에 의한 분자가교밀도의 증가로 인해 매질에 있어서의 경화효과가 높게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광경화성 화합물은 라디칼 광개시제를 이용하여 광중합 메커니즘을 이용하고 또한 광이량화에 의한 광가교를 동반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자외선에 의한 광경화 반응으로 봉지공정을 진행하여 열경화형 봉지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고분자 매질의 열팽창 계수에 의한 열수축률의 큰 변화를 배제하고 공정을 단순화 시키면서도 향상된 봉지 성능을 지니고 있고, 취급이 간편하여 공정비용을 최소화하며, 액정 모니터 간극과 같은 미세 치수안정성을 요구하는 완제품의 기능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1]
화학식 2의 구조를 갖는 반응물의 제조
파라-히드록시아세토페논 3.8g(0.028mole)을 클로로포름 50㎖에 용해시켜3,4-디히드로-2H-파이란 6.5㎖ (0.071mole)을 결합시켜 줌으로써 메틸기 끝의 수소 보다 반응성이 큰 히드록시기의 수소를 제거하여 준 후, 다시 파라-히드록시벤즈알데히드 3.5g (0.028mole)과 반응시켜 찰콘기와 양 말단에 수산기를 가진 화합물을 제조한다.
이때, 파라-히드록시벤잘데히드도 역시 히드록시기를 가지므로 이 물질도 3,4-디히드로-2H-파이란(6.5㎖, 0.071mole)을 결합시키는 반응(이 과정은 '프로텍션' 반응이라 부르며 흔히 반응성이 높은 관능기의 반응을 억제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되는 과정이다)을 거친다.
파라-히드록시아세토페논과 파라-히드록시벤잘데히드의 반응은 이 들을 에탄올(100㎖) 용매에 넣어 가성소다(1.04g, 0.026mole)를 소량의 물(10㎖)에 녹인 후 적가하여 상온에서 수행한다. 반응생성물은 에탄올 용매(100㎖)에 용해시켜 3,4-디히드로-2H-파이란을 떼어내고, 얻어지는 생성물는 진공 건조 오븐 내에서 잘 건조시켜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한 후 찰콘 분자구조에 말단에 2개의 히드록시기를 가진 화합물을 얻었다. 이 화합물 2.4g(0.01몰)과 에피클로로히드린 74.1g(0.8몰)을 에탄올 100㎖에 넣어 완전히 용해한 후 40% 가성소다 수용액(0.4g, 0.01몰)을 적가하고 110℃에서 반응시켜서 말단에 두개의 에폭시기와 주쇄에 찰콘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에폭시 화합물(화학식 2)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4의 구조를 갖는 광반응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2의 화합물 7.7g(0.01몰)을 메타아크릴산 4.8g(0.06몰)에 넣어 완전히 용해한 후 3차 아민을 적가하고 60℃에서 반응시켜서 말단에 두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주쇄에 찰콘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화학식 4)을 제조하였다.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제조시에는 위의 반응에서 메타아크릴산 대신 아크릴산으로 대체하여 동일하게 합성한다.
제조된 화합물(화학식4)의 구조는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과 적외선(IR) 분광 분석법에의해 확인하였다.
NMR 스펙트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조사 전의 NMR 스펙트럼의 분석결과는 양 말단에 위치한 메타아크릴레이트내의 비닐기에 위치한 이중결합의 두 개의 수소 피크가 5.55ppm과 6.20ppm에서 나타났으며,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 옆에 위치한 메틸기의 세 개의 수소는 1.80ppm에서 나타났다.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반복단위당 1개씩 위치하는 히드록시기 옆에 위치한 2개와 1개, 또 2개의 수소에 의한 피크는 각각 3.70ppm, 3.85ppm, 그리고 4.45pm에서 나타났다. 또한 중합체 내부의 벤젠환에 위치한 수소들의 피크들이 각각 7.02ppm, 7.63ppm, 8.02ppm 영역에서 나타났고, 찰콘기의 이중결합에 위치한 수소가 각기 7.35ppm과 7.75ppm에서 나타났다.
광조사 후의 NMR 스펙트럼의 분석결과는 매질의 유기 용제에 대한 불용성으로 용액상에 의한 NMR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다.
적외선(IR) 분광 분석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조사전의 IR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이중결합의 특성피크가 1630cm-1부근에서 나타났으며, 찰콘기의 이중결합(C=C)의 특성피크가 1600cm-1부근에서 나타나며, 히드록시기의 특성피크와 수소결합에 의한 피크가 각각 3500cm-1와 3380cm-1부근에서 나타났다. 또한 찰콘기 근처의 케톤의 카르보닐기(C=0)의 특성피크가 찰콘기의 이중결합의 공명현상으로 1660cm-1부근에서 나타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기 근처의 에스테르 카르보닐기는 1720cm-1부근에서 나타난다.
광조사 후의 IR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광조사 전에 발견되었던 1630cm-1근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의 특성피크가 광조사 후 사라졌으므로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의 깨어져서 중합이 이루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1600cm-1근처의 이중결합 피크가 줄어드는 현상과, 1660cm-1의 불포화결합에 인근한 카르보닐기의 피크가 광조사 후 찰콘기 내부의 이중결합이 깨어진 후 새로이 형성되는 포화결합에 인근한 카르보닐기로 바뀌며 피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발견 할수 있다. 또 3380cm-1에서 발견되는 수소결합의 감소와 에스테르기의 카보닐기의 피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찰콘기의 이중결합이 깨어져서 생성되는 광이량화 현상과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이중결합이 깨어져서 중합현상에 의한 입체장애 효과로 구조적으로 수소결합을 제한함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특성기의 분석에 의해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2]
화학식 3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의 제조
파라-히드록시아세토페논 3.8g (0.028mole)을 클로로포름100㎖에 녹여서 3,4-디히드로-2H-파이란 6.5㎖ (0.071mole)을 반응시켜 줌으로써 메틸기 끝의 수소 보다 반응성이 큰 히드록시기의 수소를 제거하여 준 후 테레프탈디카르복시알데히드 1.87g (0.014mole)과 반응시켰다. 여기서 테레프탈디카르복시알데히드는 양쪽에 모두 알데히드기를 관능기로 가지므로 '프로텍션' 반응을 해 줄 필요가 없고 파라-히드록시아세토페논만 프로텍션 시킨 후 바로 두 물질을 반응시킬 수 있다.
반응생성물을 에탄을 용매 200㎖에 녹여서 3,4-디히드로-2H-파이란을 떼어낸후 얻은 화합물 3.7g(0.01몰)과 에피클로로히드린 74.02g(0.8몰)을 에탄올 100㎖에 넣어 완전히 용해한 후 40% 가성소다 수용액(0.4g, 0.01몰)을 적가하고 110℃에서 반응시켜서 말단에 두개의 에폭시기와 주쇄에 찰콘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에폭시 화합물(화학식 3)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5의 구조를 갖는 광반응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의 제조
화학식 3의 화합물 10.4g(0.01몰)과 메타아크릴산 4.8g(0.06몰)에 넣어 완전히 용해한 후 3차 아민을 적가하고 60℃에서 반응시켜서 말단에 두개의 메타아크릴레이트기와 주쇄에 찰콘기를 포함하는 광반응성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화학식 5)을 제조하였다.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제조시에는 위의 반응에서 메타아크릴산 대신 아크릴산으로 대체하여 동일하게 합성한다.
제조된 화합물의 구조는 핵자기공명(NMR) 스펙트럼과 적외선(IR) 분광 분석법에의해 확인하였다.
NMR 스펙트럼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조사 전의 NMR 스펙트럼의 분석결과는 양 말단에 위치한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의 수소 피크가 5.55ppm과 6.20ppm에서 나타났으며,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 옆에 위치한 메틸기의 수소는 1.85ppm에서 나타났다. 에폭시기가 개환되어 반복단위당 1개씩 위치하는 히드록시기 옆에 위치한 2개와 1개, 또 2개의 수소에 의한 피크가 각각 3.8ppm, 4.0ppm, 그리고 4.2ppm에서 나타났다. 또한 중합체 내부의 벤젠환에 위치한 수소들의 피크가 각각 7.0ppm, 7.3ppm, 7.6ppm, 그리고 8.2ppm에서 나타났고, 찰콘기의 이중결합에 위치한 수소가 각기 7.25ppm과 7.65ppm에서 나타났다.
광조사 후의 NMR 스펙트럼의 분석결과는 매질의 유기용제에 대한 불용성으로 용액상에 의한 NMR 스펙트럼을 얻을 수 없었다.
적외선(IR) 분광 분석법에 의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광조사전의 IR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의 특성피크가 1630cm-1부근에서 나타났으며, 찰콘기의 이중결합(C=C)의 특성피크가 1600cm-1부근에서 나타나며, 히드록시기의 특성피크와 수소결합에 의한 피크가 각각 3500cm-1와 3380cm-1부근에서 나타났다. 또한 찰콘기 근처의 케톤의 카르보닐기(C=0)의 특성피크가 찰콘기의 이중결합의 공명현상으로 1660cm-1부근에서 나타나고 메타아크릴레이트기 근처의 에스테르 카르보닐기는 1720cm-1부근에서 나타난다.
광조사 후의 IR 스펙트럼 분석결과는 광조사 전에 발견되었던 1630cm-1근처의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의 특성피크가 광조사 후 사라졌으므로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의 깨어져서 중합이 이루어졌음을 확인 할 수 있으며 1600cm-1근처의 이중결합 피크가 줄어드는 현상과, 1660cm-1의 불포화결합에 인근한 카르보닐기의 피크가 광조사 후 찰콘기 내부의 이중결합이 깨어진 후 새로이 형성되는 포화결합에 인근한 카르보닐기로 바뀌며 피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을 발견 할수 있다. 또 3380cm-1에서 발견되는 수소결합의 감소와 에스테르기의 카보닐기의 피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찰콘기의 이중결합이 깨어져서 생성되는 광이량화 현상과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이중결합이 깨어져서 중합현상에 의한 입체장애 효과로 구조적으로 수소결합을 제한함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특성기의 분석에 의해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2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각각에 230-300nm에서 라디칼을 광조사에 의해 생성시키는 2,2'-다이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2,2'-Dimethoxy-2-phenylacetophenone)계열의 라디칼 개시제를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 중량의 1-5%를 첨가하여 광중합시켰다. 자외선 광원은 고압의 수은램프를 사용하였다. 광중합 후 가시자외선 흡수 분광 분석법 및 적외선 분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제시된다.
도 1의 흡수스펙트럼에서 볼 수 있듯이 X 분자단 내의 이중 결합에서의파이-파이 전이 흡수 밴드의 강도가 자외선 조사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으로부터 이중 결합의 농도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자외선 파장에서 환상부가반응성 불포화분자단(X) 화학 구조내의 탄소-탄소간의 2중 결합이 개열되어 환상부탄(cyclobutane)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는 이론적으로 2+2 환상 부가반응(2+2 cycloaddition)이라는 이름의 반응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도 2의 적외선 스펙트럼을 보면 1660cm-1근처의 피크가 광조사 후 흡수밴드가 넓어지며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로 2중 결합이 단일 결합으로 되는 것을 의미하며 1630cm-1근처의 피크가 메타아크릴레이트의 이중결합을 나타내는 피크로 이것이 줄어드는 것은 광조사로 인해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중결합에서 라디칼에 의한 중합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동시에 1600cm-1의 큰 피크는 카르보닐기 옆의 탄소-탄소 간 이중결합 및 페닐환내의 이중결합의 신축진동에 의해 나타나는 흡수밴드로 광을 조사하면 이 피크가 줄어듦으로써 찰콘기 화합물의 카르보닐기 옆의 이중결합의 밀도가 감소한다는 것을 재확인 할 수 있다. 또한, 3380cm-1에서 발견되는 수소결합의 감소와 1720cm-1에스테르기의 카보닐기의 피크가 왼쪽으로 이동하는 현상은 찰콘기의 이중결합이 깨어져서 생성되는 광이량화 현상과 메타아크릴레이트의 비닐기에 위치한 이중결합이 깨어져서 중합현상에 의한 입체장애 효과로 구조적으로 수소결합을 제한함을 의미한다.
[비교예 1]
본 발명은 주쇄의 반복단위에서 광가교를 일으킬 수 있는 관능기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기존의 비스페놀-에이(bisphenol A)형의 잘 알려진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동일한 라디칼 광개시제를 부가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조사 후 매질간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화학식 6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화학식 6〉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과 비교예 1의 메타아크릴레이트화합물을 자외선 조사후 시차열량 분석법(DSC) 및 열 중량 분석법(TGA)을 통해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3 및 도 4의 그래프에 각각 제시된다.
열중량 분석법의 결과에 따라 900℃ 이상의 온도에서도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35∼38% 정도의 잔류 중량이 확인되므로 그 물질의 열에 대한 경화강도 등은 충분히 확인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도 3 참조). 그리고 자외선 조사 후 매질의 유리 전이 온도를 DSC로 측정 해본 결과 비교예 1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인 경우 120℃에서 나타나는데 반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 1의 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경화 후 매질의 경우 250℃까지 뚜렷한 유리 전이 온도가관찰되지 않아 매질의 자유 부피의 변화가 고온에서도 매우 작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광반응성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은 평판 또는 유연한 LCD 패널봉지제등으로 응용시 광조사에 의해 용이하게 경화하여 높은 접착력, 낮은 열팽창 계수, 우수한 열안정성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박막화 가공성을 제공하는 고 부가가치의 신물질인 것이다.

Claims (5)

  1.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화학식 1〉
    식중, R은 H또는 CH3를 나타내며, X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반복단위 내부에 존재하는 이중결합 부분에서 환상 부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분자단이고 n은 반복단위로서 0 내지 10의 정수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단 X가 시나모일기, 찰콘기, 쿠마린, 안트라신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자단 X가 하기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4. 하기 화학식의 구조를 갖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에 있어서,
    〈화학식 1〉
    (식중, R은 H또는 CH3를 나타내며, X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반복단위 내부에 존재하는 이중결합 부분에서 환상 부가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분자단이고 n은 반복단위로서 0 내지 10의 정수)
    분자단 X를 포함하는 양사슬 말단에 에폭시기가 치환된 화합물 n몰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아크릴산 2n몰보다 크게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의 제조방법.
  5. 화학식 1과 같이 사슬 구조 내에 두 개의 반응성 이중결합을 포함하여 사슬말단의 이중결합과 반복 단위 내의 이중결합간의 상호 라디칼 반응이 유도될 수 있는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
KR1020010048109A 2001-08-09 2001-08-09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KR200300138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09A KR20030013879A (ko) 2001-08-09 2001-08-09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8109A KR20030013879A (ko) 2001-08-09 2001-08-09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879A true KR20030013879A (ko) 2003-02-15

Family

ID=27718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8109A KR20030013879A (ko) 2001-08-09 2001-08-09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38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630B1 (ko) * 2005-05-30 2008-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배향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610A (en) * 1973-02-14 1976-11-0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sensitive epoxy-acrylate resin compositions
JPH01238553A (ja) * 1988-03-16 1989-09-22 Central Glass Co Ltd 含フッ素ビスフェノール基を骨格とするジアクリレートまたはジメタクリレートおよびこれらを成分とする高分子材料
KR19980052888A (ko) * 1996-12-24 1998-09-25 한영재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US6043323A (en) * 1992-01-27 2000-03-2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Diacrylates and dimethacrylates
KR20010061025A (ko) * 1999-12-28 2001-07-07 조정원 광기능성 에폭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610A (en) * 1973-02-14 1976-11-02 Hitachi Chemical Company, Ltd. Photosensitive epoxy-acrylate resin compositions
JPH01238553A (ja) * 1988-03-16 1989-09-22 Central Glass Co Ltd 含フッ素ビスフェノール基を骨格とするジアクリレートまたはジメタクリレートおよびこれらを成分とする高分子材料
US6043323A (en) * 1992-01-27 2000-03-28 Ciba Specialty Chemicals Corp. Diacrylates and dimethacrylates
KR19980052888A (ko) * 1996-12-24 1998-09-25 한영재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자동차 보수용 도료 조성물
KR20010061025A (ko) * 1999-12-28 2001-07-07 조정원 광기능성 에폭시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630B1 (ko) * 2005-05-30 2008-08-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액정배향막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 표시 소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084A (en) Photocurable silicone oxetanes
KR101135771B1 (ko) 칼릭스아렌계 화합물, 그의 제조 방법, 그의 중간체 및그의 조성물
KR101567837B1 (ko)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신규한 광개시제 및 이를 포함하는 반응성 액정 조성물 및 감광성 조성물
WO2004077511A2 (en) (meth)acrylic and (meth)acrylamide monomers, polymerizable compositions, and polymers obtained
Rajaraman et al. Novel hybrid monomers bearing cycloaliphatic epoxy and 1-propenyl ether groups
JP2902269B2 (ja) オキセタン化合物
CN107129451B (zh) 新型带氰基二苯乙烯基硫鎓盐制备方法及其应用
CN110950768B (zh) 一种可光漂白的可见光引发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632060B1 (ko) 광반응기를 갖는 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 광반응성 아크릴레이트계 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배향막
Choi et al. Photochemical reactions of a dimethacrylate compound containing a chalcone moiety in the main chain
KR101831358B1 (ko) 광활성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중합 개시제 및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030013879A (ko) 광반응성 디아크릴레이트 및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유도체와그 제조방법
CN105579423B (zh) 具有光反应性基团的环烯烃化合物及光反应性聚合物
KR100337594B1 (ko) 광기능성 에폭시 화합물 함유 액정 디스플레이패널 봉지제
KR101506606B1 (ko) 광 반응성 노보넨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3799B1 (ko) 신규한 비닐벤젠 포함 화합물, 이를 이용한 감광성 포토레지스트 조성물
KR20150052392A (ko) 신규한 옥심에스테르 비페닐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광개시제 및 감광성 수지 조성물
JP2003147019A (ja) 新規なジ(メタ)アクリル酸エステルおよびその(共)重合体
Karagoz et al. Novel photocurable polyethers with methacrylate pendant groups
JP2008050366A (ja) カリックスアレーン系化合物の中間体
CN105906613B (zh) 丙烯酸酯二醇环缩苯乙烯基吡啶鎓盐、其合成及应用
EP4067453A1 (en) Photobase generator, compound, photoreactive composition, and reaction product
KR100830561B1 (ko) 다기능성 액정화합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로부터얻어진 미세패턴
KR20120014543A (ko) 광반응기를 갖는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및 광반응성 중합체
EP4011864A1 (en) Photobase generator, compound, photoreactive composition, and reaction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