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3145A -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3145A
KR20030013145A KR1020010047483A KR20010047483A KR20030013145A KR 20030013145 A KR20030013145 A KR 20030013145A KR 1020010047483 A KR1020010047483 A KR 1020010047483A KR 20010047483 A KR20010047483 A KR 20010047483A KR 20030013145 A KR20030013145 A KR 20030013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ropylene
ethylene
resin composition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5328B1 (ko
Inventor
박봉현
황태원
최재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4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5328B1/ko
Publication of KR20030013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31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5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53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08K7/02Fibres or whiskers
    • C08K7/04Fibres or whiskers inorganic
    • C08K7/14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단독 또는 그 혼합물에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를 포함하는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극성기 수지를 도입한 변성수지 및 무기충진제 등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수지는 내충격성, 강성 및 내열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페인트 도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의 처리없이 직접도장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어, 자동차의 휠카바 등의 자동차 외장재 용도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with excellent paintability property}
본 발명은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단독 또는 그 혼합물에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를 포함하는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극성기 수지를 도입한 변성수지 및 무기충진제 등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프로필렌계 수지는 성형성, 내충격성, 내약품성 등이 뛰어나고 저 비중 및 저가의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의 범퍼 등의 외장재와 각종 필러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의 내장재 용도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외장재의 경우 특히 휠카바와 같이 자동차의 바퀴가 돌아갈 때 생기는 고열과 장시간의 고회전에도 견디어야 하는 우수한 내열성이 필요하고 휨 등을 방지하는 높은 강성과 내충격성이 요구되어지는 부품은 폴리올레핀 소재를 사용하기 어려웠으며 상기 물성을 갖고 있는 PA6, PA66와 같은 폴리아미드계로 이루어진 소재가 폭넓게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수지는 그 물성은 우수하나 매우 고가이고 내약품성 및 리사이클성이 폴리올레핀계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계수지에 비해 열세인 단점이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휠카바와 같이 고온 내열성과 강성, 내충격성이 요구되는 자동차 외장재로 개발된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없다.
또한, 이러한 자동차 외장재의 경우 이러한 물성과 동시에 미적효과 및 표면의 물성 향상을 위하여 도장이 필수적이기 때문에 플라스틱과 도료와의 양호한 부착성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이 프라이머의 처리없이 직접 페인트도료로 도장이 가능하면서 상기 물성을 만족하는 폴리프로필렌게 수지조성물로 개발된 소재도 현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물성과 도장성이 우수한 인스투멘트 판넬용 PP 수지 조성물을 제안한 바 있다(참조: 특허출원제 2000-26332호, 2000.5.15). 그러나, 이 수지 조성물은 가공성형성과 도장성이 우수하여 자동차 내장재로 사용은 가능하지만, 여전히 내열성과 내충격성, 강성 등이 자동차외장재, 특히 휠카바와 같은 제품으로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제반 물성 및 페인트도료와의 도장성이 우수하고 재활용이 가능한 수지 조성물의 개발은 자동차산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요구되고 있는 긴급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별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혹은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단독 또는 그 혼합물에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를 포함하는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극성기 수지를 도입한 변성수지 및 무기충진제 등을 첨가하여 열가소성 수지를 제조함으로써, 결과된 수지가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대폭 강화됨은 물론 프라이머의 처리 없이 직접도료를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도장성이 개선되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프로필렌 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10 내지 30 중량%;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7 중량%; 및, 무기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은 자동차 외장용으로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각각 0 내지 30 중량% : 100 내지 70 중량%로 단독 혹은 혼합되어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및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가 60 내지 100 중량% : 40 내지 0 중량%로 단독 혹은 혼합되어 있는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10 내지 30 중량%; 변성 폴리프로필렌 함유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10 중량%, 폴리올레핀 폴리올 함유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5 중량% 또는 이들을 동시에 함유한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7 중량%; 및, 무기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각 성분 및 그 특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에 있어서, 프로필렌 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 전체 함량 중 30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5 내지 65 중량% 만큼 사용한다. 왜냐하면, 7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낮아지고, 30 중량% 미만이 되면 성형성, 강성, 내열성이 저하되어 최종 성형품의 품질이 불량하여 휠카바와 같은 자동차의 외장재로 이용하기가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이때, 프로필렌 중합체는 프로필렌 모노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에틸렌이 함유된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로 구성된 결정성 폴리머이며,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성분 단독 혹은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성분을 일부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들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의 혼합비는 각각 0 내지 30 : 100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0 내지 20 : 100 내지 80 중량%로 혼합된 것이 충격강도와 유동성 발란스 면에서 바람직하다. 즉,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경우는 내충격성이 부족하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내충격성이 우수하나 성형성, 강성, 내열성 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13C-NMR로 측정한 펜타드 분율(%mmmm)에 있어서, mmmm분율의 값이 96%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96.5% 이상,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97% 이상이다. 만일, mmmm분율이 96% 미만이면 강성, 내열성 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135℃ 데카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7 내지 2.5dl/g이다. 바람직하기로는 0.85 내지 2.2dl/g,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2.0dl/g이다.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는 크실렌 추출물의 135℃ 데카린 중에서의 극한점도[η]가 3.0 내지 5.0 dl/g이며, 바람직하게는 [η]가 3.5 내지 5.0 dl/g이다. 또한, 에틸렌의 함량은 3 내지 2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가 좋다. 이때,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극한점도[η]가 0.7dl/g 미만이거나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의 극한점도[η]가 3.0dl/g미만이면 충격강도가 저하되며, 또한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의 극한점도[η]가 2.5dl/g 초과하거나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의 극한점도[η]가 5.0dl/g초과하면 성형성이 저하되어 최종성형품의 품질이 저하되고 작업성이 나빠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를 포함하는데, 전체 함량중 10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25 중량% 만큼을 사용한다. 왜냐하면, 30 중량%를 초과하면 강성 및 성형성이 떨어지고, 10 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이때,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 단독이나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를 혼합 사용하며, 그 혼합비는 60 내지 100 : 40 내지 0 중량%,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80 내지 100 : 20 내지 0 중량%의 것이 충격강도와 강성 발란스 면에서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가 60 중량%이하인 경우는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여기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는 무니(Mooney)점도 ML 1+4(100℃)가 50 내지 80dl/g, 바람직하기로는 55 내지 70 dl/g이다. 왜냐하면, 무니점도가 80dl/g을 초과하면 분산불량을 일으켜 외관불량뿐만 아니라, 기계적 물성도 저하하고, 50dl/g 미만이면 내충격성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 중의 프로필렌 함유량은 2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기로는 40 내지 80중량%가 좋으며, 이는 프로필렌 함유량이 20중량% 미만이면 충격강도가 저하하고, 80중량%를 넘으면 강성이 저하하기 때문이다. 또한,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올레핀의 탄소수가 4 이상인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고무로서 주로 에틸렌 부텐-1 공중합체(EBM) 혹은 에틸렌 옥텐-1 공중합체(EOM)가 사용된다. 이때, 사용되는 에틸렌 부텐-1 공중합체(EBM)의 경우에는 C4(부텐) 함유량은 12 내지 25 중량%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20 중량%이며, 용융지수는 0.5 내지 10g/10min,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g/10min이다. 또한, 에틸렌 옥텐-1 공중합체(EOM)의 경우에는 C8(옥텐) 함유량이 15 내지 4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25 내지 35 중량%이며, 무니(Mooney)점도 ML 1+4(121℃)는 1 내지 50 dl/g, 바람직하기로는 1.5 내지 35 dl/g 이며, 밀도는 0.86 내지 0.91g/㎤, 바람직하기로는 0.87 내지 0.90g/㎤이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극성기 함유 수지를 포함하는데, 전체 함량중 변성 폴리프로필렌 함유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5 중량%를 포함시키며,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올 함유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기로는 1 내지 3 중량%를 포함시키고, 또는 이들을 동시에 함유한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7 중량%를 포함시킨다. 이때, 7 중량%를 넘어가는 경우는 충격성 및 강성에 물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를 0.5중량% 이상 그라프트시킨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5 중량% 이상이다. 왜냐하면, 변성 폴리프로필렌의 그라프트율이 0.5중량% 미만이면 페인트 도료와의 도장성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때,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는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및 디메틸올파라옥틸페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의미한다. 또한, 폴리올레핀폴리올은 포화탄화수소 골격(탄소원자수 150 내지 200개)의 양끝에 극성기인 수산기(-OH)가 결합되어 있으며, 점도가 10 내지 16 포이즈(100℃)이고, 하이드록실값(Hydroxyl value)이 20 내지 80(KOH mg/g)인 저분자량 중합체이다. 여기서, 하이드록실값(Hydroxyl value)이 20(KOH mg/g) 미만이면 페인트 도료와의 도장성 저하가 발생하고 80(KOH mg/g)을 초과하면 강성 및 충격강도의 물성저하가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조성물은 무기충진제를 포함하는데, 전체 함량중 10 내지 40 중량% 범위내에서 함유되는데, 그 함량이 10 중량% 미만이면 강성 및 내열성이 저하하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충격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이때, 무기충진제는 아스펙트 비율(Aspect Ratio)이 200 내지 700인 유리섬유 단독 또는 평균입도가 0.5 내지 7㎛ 범위의 탈크, 황산바륨 또는 탄산 칼슘 올라스토나이트 중에서 선택된 1 종이상을 각각 90 내지 100 중량% : 0 내지 10 중량% 혼합 사용한다.
이밖에도, 본 발명은 첨가제로 통상적인 산화방지제, 중화제, 대전방지제 등을 적정 함량범위내에서 포함한다. 여기서 산화방지제로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포스파이트계 산화방지제, 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시너지스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중화제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 산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또는 다른 첨가제들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조건으로 최종적으로 제조된 제품의 MI는 3 내지 40으로서 MI가 3미만인 경우 생산성의 저하 및 최종제품에 플로우 마크(flow mark)가 발생할 수 있고, MI가 40이상인 경우에는 강성, 충격강도 등에서 원하는 물성을 얻기가 어렵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은 상기 프로필렌 중합체,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극성기 함유 수지, 무기충진제 성분을 통상의 기계적 혼련법에 의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반바리 믹서, 싱글스크류 압출기, 트윈스크류 압출기, 다륜스크류 압출기 등의 일반적인 용융 혼련련기를 이용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혼련 온도는 170 내지 240℃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한 성형 가공법의 경우 압출성형, 중공성형, 사출성형, 시트성형 등으로 특히 한정되는 것은 없으나 사출성형이 가장 적합하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은 프라이머의 처리작업을 수행하지 않고 직접 도장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기용매로 성형품의 세정작업을 수행한 다음, 직접 변성 아크릴계 도료나 우레탄계 도료를 이용하여 페인트 작업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프라이머의 처리 없이 도포한 성형품은 프라이머를 처리한 성형품과 동등이상의 우수한 접착력 성질을 갖게 된다. 본 발명과 같이 전처리 작업을 거치지 않는 경우, 원가절감을 유도할 수 있고 재활용시 프라이머의 제거작업이 불필요하게 된다.
그 결과, 상기에서 설명한 대로 본 발명의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은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이 우수하고 특히 페인트도료와의 도장성이 우수하여 자동차의 휠카바와 같은 강성과 고온특성이 요구되는 외장 부품의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다음 표 9에 나타낸 조성 및 함량을 이용하여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사용된 각 성분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표 1 및 표 2는 실험에 사용된 프로필렌 중합체 성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표 1 및 표 2의 MI는 ASTM D1238(230℃/2.16kg)의 조건으로 측정하였으며, 프로필렌 중합체의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중의 에틸렌 함유량(Ec)은 FT-IR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 중의 크실렌 추출물 함량을 Rc(wt%)로, 해당 추출 성분의 극한점도를 [η]EP(㎗/g)로 나타내었다.
그리고, 표 3 내지 표 5는 실험에 사용된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와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 성분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표 3, 표 4 및 표 5에서 EPR과 EBM, EOM의 공중합체 함량(Cc)은 FT-IR을 통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표 6은 실험에 사용된 극성기 함유 수지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표 6에서 극성기 함유 수지 중의 극성기 함량 Fc(wt%)는 PP 의 주쇄에 그라프트 결합된 극성기의 비율로 적정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표 7은 실험에 사용된 무기충진제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무기충진제로는 유리섬유와 탈크를 사용하였으며, 입경은 레이저침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상기의 표 1 내지 7에서 나타낸 각 성분을 표 8의 처방대로 배합하고, 헨셀믹서를 사용하여 3분간 드라이브렌드한 후, 190℃로 설정된 2축압출기(직경 45mm Φ)를 사용하여 혼련하고 수지조성물에 대한 펠렛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각 수지조성물의 펠렛을 200℃로 설정된 사출성형기를 사용하여 물성 측정용 시험편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에서 제작된 수지 시험편을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재료는 그 물성 및 가공성등을 조사하기 위해 다음에 언급한 절차에 따라 점도, 흐름성,인장강도, 충격강도, 굴곡강도, 열변형온도, 도료와의 부착성 등의 물성시험을 진행하였다. 이때, 사용된 시험방법들은 다음과 같다.
(1) 고유점도(Intrinsic Viscosity)
프로필렌단독 중합체 및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는 135℃에서 데칼린에 완전히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우베홀드 비스코미터(Ubbeholde viscometer)를 이용하여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였다.
(2) 멜트인덱스(MFI)
ASTM D1238에 따라 멜트인덱스는 230℃, 2.16kg의 하중에서 측정하였다.
(3) 인장강도
ASTM D-638에 따라 측정하였다.
(4) 굴곡탄성율
ASTM D790에 따라 측정하였다.
(5) Izod 충격강도
ASTM D256에 따라 상온(23℃) 및 저온(-10℃) 에서 측정하였다.
(6) 열변형온도
ASTM D648에 따라 측정하였다
(7) 도료 부착성 시험
사출성형된 시편에 변성아크릴계 도료(삼성화학 ㈜ 제품)나 우레탄계 도료 (삼성화학 ㈜ 제품)을 도포하고 80℃에서 30분간 건조 시킨후 48시간 이상을 상온에서 방치한 후 도장면에 커터로 가로 세로 2mm 간격으로 각각 11개의 줄을 그어 10 x 10개의 칸을 만든 다음 셀로판 점착 테이프를 압착한 후 재빨리 떼어냈을 때 시편 중에 도막의 떨어진 정도를 조사하였다. 부착성에 대한 기준은 표 8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시험결과는 다음 표 9에 요약하여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의 수지조성물이면 어느 것이나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프라이머의 처리가 필요없는 페인트부착성을 보유하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그렇지만, 비교예 1의 경우와 같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하지 않거나 점도가 낮은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충격성이 매우 떨어져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하며 비교예 2 내지 3의 경우는 유리섬유를 10% 이하로 사용하는 경우나 유리섬유 대신 탈크만을 사용하는 경우 열변형온도 및 강성이 나빠 결과적으로 휠카바 등의 자동차 외장재에 적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비교예 4의 경우는 극성기의 도입이 없거나 매우 작은 경우 페인트 부착성이 매우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내충격성, 강성 및 내열성 등의 물리적 특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페인트 도료와의 접착성이 우수하여 프라이머의 처리없이 직접도장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어, 자동차의 휠카바 등의 자동차 외장재 용도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프로필렌 단독중합체와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가 각각 0 내지 30 중량% : 100 내지 70 중량%로 단독 혹은 혼합되어 있는 프로필렌 중합체 30 내지 70 중량%;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 및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가 60 내지 100 중량% : 40 내지 0 중량%로 단독 혹은 혼합되어 있는 에틸렌 알파올레핀 공중합체 고무 10 내지 30 중량%;
    변성 폴리프로필렌 함유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10 중량%, 폴리올레핀 폴리올 함유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5 중량% 또는 이들을 동시에 함유한 극성기 함유 수지 1 내지 7 중량%; 및,
    무기충진제 10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13C-NMR로 측정한 펜타드 분율(mmmm분율)이 96% 이상, 135℃ 데카린 중에서 측정한 극한점도[η]가 0.7 내지 2.5dl/g이며,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는 크실렌 추출물의 135℃ 극한점도[η]가 3.0 내지 5.0 dl/g으로 에틸렌의 함량이 3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고무(EPR)는100℃의 무니점도가 50 내지 80이며 프로필렌 함유량이 20 내지 80 중량%이고, 에틸렌 α-올레핀 공중합체는 α-올레핀 함량이 12 내지 45 중량% 이며 MI가 0.5 내지 10g/10min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프로필렌은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에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를 0.5중량% 이상 그라프트시킨 것으로,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그 유도체는 말레인산,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무수말레인산, 디메틸올파라옥틸페놀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의미하며, 폴리올레핀폴리올은 포화탄화수소 골격(탄소원자수 150 내지 200개)의 양끝에 극성기인 수산기(-OH)가 결합되어 있으며 점도가 10 내지 16 포이즈(100℃)이고, 하이드록실값(Hydroxyl value)이 20 내지 80(KOH mg/g)인 저분자량 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충진제는 아스펙트 비율(Aspect Ratio)이 200 내지 700인 유리섬유와 평균입도가 0.5 내지 7㎛ 범위의 탈크, 황산바륨, 탄산 칼슘 올라스토나이트가 각각 90 내지 100 중량% : 0 내지 10 중량%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2001-0047483A 2001-08-07 2001-08-07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100435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483A KR100435328B1 (ko) 2001-08-07 2001-08-07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7483A KR100435328B1 (ko) 2001-08-07 2001-08-07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3145A true KR20030013145A (ko) 2003-02-14
KR100435328B1 KR100435328B1 (ko) 2004-06-10

Family

ID=27718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7483A KR100435328B1 (ko) 2001-08-07 2001-08-07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3532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4437A4 (en) * 2003-07-11 2009-02-18 Ferro Corp OLEFINE WITH LOW REFRACTION
KR101526586B1 (ko) * 2009-06-12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0253167B2 (en) 2015-05-07 2019-04-09 Lotte Chemical Corporation Preparing method of polyolefin resin mono chip and polyolefin resin mono chip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0180B1 (ko) 2009-12-09 2012-06-26 호남석유화학 주식회사 자동차 외장 범퍼용 다층 코팅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0497B (it) * 1992-05-29 1996-04-09 Himont Inc Polimeri cristallini del propilene aventi migliorata processabilita' allo stato e processo per la loro preparazione
KR100204658B1 (ko) * 1997-02-01 1999-06-15 이정국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KR100503136B1 (ko) * 1997-08-05 2005-07-25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그 용도
KR100339279B1 (ko) * 1997-11-24 2002-11-30 대림산업 주식회사 자동차내장재용폴리올레핀계복합수지조성물
KR100263332B1 (ko) * 1997-12-31 2000-08-01 정몽규 자동차내장재용도장성이우수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KR20000026938A (ko) * 1998-10-24 2000-05-15 성재갑 열가소성수지 시트, 무기질 파넬, 프레임 및 발포보강물로 이루어진 조립식 욕실용 벽파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345786B1 (ko) * 1999-08-25 2002-07-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010105088A (ko) * 2000-05-19 2001-11-28 이계안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44437A4 (en) * 2003-07-11 2009-02-18 Ferro Corp OLEFINE WITH LOW REFRACTION
KR101526586B1 (ko) * 2009-06-12 2015-06-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내장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10253167B2 (en) 2015-05-07 2019-04-09 Lotte Chemical Corporation Preparing method of polyolefin resin mono chip and polyolefin resin mono chi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35328B1 (ko) 200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13417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US4946896A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
US20110130487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or creating fabric texture
CN102391583B (zh) 一种抗低温聚丙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387649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조성물
US7790795B2 (en) Scratch and mar resistant polymer compositions, methods for making and articles made from the same
US20100010142A1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resin having low shrinkage and dimensional stability
KR100412452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7956117B2 (en) Directly paintable polypropylene-based composite composition
KR100240981B1 (ko) 내스크래치성및충격강도가우수한수지조성물
CN110857357A (zh) 一种汽车内饰件用高强度抗冲击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KR100435328B1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KR20190064875A (ko) 유리섬유 강화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20120116685A (ko) 도장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0683727B1 (en) Thermoplastic olefinic compositions
KR10218756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20020050460A (ko) 자동차 내장재용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US20020077406A1 (en) Composition of polypropylene resin
KR100204658B1 (ko) 자동차 외장재용 복합 탄성수지 조성물
WO2002051932A1 (en) Polyolefin resin composition used for car wheel covering
CN108570203B (zh) 聚丙烯树脂组合物及其成型产品
JP3681473B2 (ja) 塗装性のあるブロー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およびそのブロー成形体
KR100263332B1 (ko) 자동차내장재용도장성이우수한폴리프로필렌수지조성물
JP3681218B2 (ja) ブロー成形用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そのブロー成形体およびそのブロー成形体の成形法
KR20040054899A (ko) 내스크래치성 및 충격강도가 우수한 자동차 내장재용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