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2343A - 절첩식 흔들의자 - Google Patents

절첩식 흔들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2343A
KR20030012343A KR1020010046335A KR20010046335A KR20030012343A KR 20030012343 A KR20030012343 A KR 20030012343A KR 1020010046335 A KR1020010046335 A KR 1020010046335A KR 20010046335 A KR20010046335 A KR 20010046335A KR 20030012343 A KR20030012343 A KR 200300123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hair
rocking chair
detachab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주환
Original Assignee
황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주환 filed Critical 황주환
Priority to KR102001004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12343A/ko
Publication of KR20030012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23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2Rocking chairs
    • A47C3/03Lock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흔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절첩식 의자의 저부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결합위치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흔들부재가 구비되어짐으로서 야외에서의 사용시 한층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것이다.
또한, 절첩식 의자와 흔들부재간의 결합구조를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서 지면상태에 따라 절첩식 의자로서의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의 흔들유동이 가능하도록 곡률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지지횡간(10)이 절첩식 의자(1)의 다리부(5) 하단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각 다리부(5)의 커넥팅부재(6a,6b)는 양측의 지지횡간(10)측에 구비되어진 착탈브라켓(7a,7b)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흔들의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지지횡간(10)에는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로드(9)가 각각 구비되었으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9)를 따라 상기 착탈브라켓(7a,7b)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첩식 흔들의자{A ROCKING CHAIR FOR FOLD TYPE}
본 발명은 절첩식 흔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용 절첩식의자에 흔들의자 기능을 부가시킴으로서 이용편의성을 개선시킴과 함께 사용자로 하여금 더욱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 절첩식 흔들의자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는 의자는 지지프레임과 이 프레임에 부착되는 시트부 및 등받이부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한 의자들은 지지프레임이 지면에 직접 닿는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그 프레임에 바퀴를 설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들도 있다.
그리고 야영시 사용할 수 있는 의자들은 휴대 및 이동이 자유롭도록 절첩식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절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등받이부나 시트부는 천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진 통상의 절첩식 의자들은 야영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기 때문에 절첩의 편의성은 있지만, 야영시 의자에 앉아 휴식을 취할때 안락함이 없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절첩식 의자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2개 또는 3개의 지지 프레임이 1조가 되어 아래측이 한곳에 집중되어 있는 구조를 갖고 있고, 또 이 프레임에 바퀴를 설치하여도 야외에서는 바퀴의 구름작용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므로 한 장소에 의자가 놓여지면 의자를 들어서 다른 장소로 이동시키기 전에는 한 장소에서 고정된 바와 같은 자세로 앉아 있게 된다.
그러므로 야영시 육체적 피로를 경감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으며, 또 안락감도 없어 휴식을 취하기 위하여 사용할때는 그 효과가 적다.
특히, 절첩식 의자는 절첩이 되지 않는 의자와는 달리 지지 프레임에 접혀지고 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야외에서 지면이 고르지 못하면 지면에 놓여있는 의자의 자세가 바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 절첩식 의자는 펼쳐진 상태에서 사람이 앉게 되면 펼쳐지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므로 각 코너부에 위치하는 지지 프레임들이 펼쳐지는 범위를 넘어서게 되어 의자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절첩식 의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절첩식 의자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위치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흔들부를 구비함으로서 야영시 안락감을 더욱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흔들부의 구조를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서 지면상태에 따라 절첩식 의자로서의 기능만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은, 전후방향으로의 흔들유동이 가능하도록 곡률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지지횡간이 절첩식 다리부 하단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각 다리부의 커넥팅부재는 양측의 지지횡간측에 구비되어진 착탈브라켓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의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지지횡간에는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로드가 각각 구비되었으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를 따라 상기 착탈브라켓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흔들의자를 통해 이룰 수 있게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하부 지지횡간 확대 사시도.
도 3은 상기 지지횡간의 착탈브라켓부 확대도.
도 4는 상기 착탈브라켓부에 의자가 결합되어진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절첩식 의자2 : 등받이부
3 : 시트부5 : 다리부
6a,6b : 커넥팅 부재7a,7b : 착탈 브라켓
8 : 절첩링크9 : 슬라이드 로드
10 : 지지횡간11 : 발받침부
12 : 착탈돌기13 : 위치조절홀
14 : 고정부재15 : 연통공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 흔들의자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지지횡간부 사시도이며, 도 3은 상기 지지횡간에서의 착탈브라켓부 확대도이고, 도 4는 결합부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절첩식의자는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조이거나 이와 유사한 구조의 절첩식 의자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절첩식 의자(1)는 등받이부(2)와 시트부(3) 그리고 손걸이부(4)로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그 하부에는 지지를 위한 10개의 절첩식 다리부(5)가 2개가 1조이거나 3개가 1조로 되어 아래측 부분이 커넥팅 부재(6a,6b)에 의해 각각 1곳에 집중되고 있다.
상기한 절첩식 다리부(5)들의 상측 부분은 각각의 작용을 위하여 벌려지면서 의자의 형태를 갖게됨은 일반적인 절첩의자와 동일하다.
한편, 절첩식 의자(1)의 저부에 결합되어지게되는 본 발명의 흔들부재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소정 곡률을 이루는 한쌍의 지지횡간(10)이 구비되어지게 되는데, 상기 지지횡간(10)은 절첩이 가능하도록 절첩링크(8)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진 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함께 지지횡간(10)의 선단측에는 절곡되어진 형태의 발받침부(11)가 연장 형성되었으며, 지지횡간(10)과 나란하게 슬라이드 로드(9)가 구비됨으로서 절첩식 의자(1)가 슬라이딩 유동에 의해 절첩되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특히, 상기 슬라이드 로드(9)는 무게중심을 낮추기 위해 직선형태가 아닌 소정의 곡선형태를 이루게 되는데, 지지횡간(10)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지지횡간(10)보다 낮은 곡률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부재(6a,6b)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도 3의 착탈브라켓(7a,7b)은 상기 슬라이드 로드(9)를 따라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게 되는데, 슬라이드 로드(9)의 후단측에는 위치조절홀(13)이 일정 간격을 유지하며 형성되었으며, 이와 대응되어질 수 있도록 후단측 착탈브라켓(7b)에도 연통공(15)이 형성됨으로서 피스 등 고정부재(14)가 공통으로 체결되어짐에 의해 후단측 착탈브라켓(7b)은 그 위치가 고정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착탈브라켓(7a,7b)에는 탄력에 의해 수축이 가능하며 선단측에 걸림턱이 형성되어진 착탈돌기(12)를 돌출형성시킴으로서 커넥팅 부재(6a,6b)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구성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 절첩식 흔들의자의 동작상태는 다음과 같다.
즉, 커넥팅 부재(6a,6b)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착탈브라켓(7a,7b)의 착탈돌기(12)에 체결함으로서 절첩식 의자(1)를 지지횡간(10)의 슬라이드 로드(9)에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결합이 이루어진 후에는 슬라이드 로드(9)에 형성되어져 있는 위치조절홀(13)과 연통공(15)의 위치를 조절하여 고정부재(14)를 끼워넣음으로서 후단측 착탈브라켓(7b)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절첩식 의자(1)에 착석한 후 발받침부(11)에 다리를 올려놓고 전,후방향으로 유동력을 가함으로 흔들유동에 따른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된다.
특히, 본 발명 흔들의자의 경우는 상부에 결합되어지는 절첩식 의자(1)가 슬라이드 로드(9)를 따라 전,후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위치조절홀(13)을 이용하여 절첩식 의자(1)의 결합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갖게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후단측 착탈브라켓(7b)의 위치가 고정되어진 상태에서도 전단측 착탈브라켓(7a)은 슬라이딩 유동이 가능한 상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상기 절첩식 의자(1)는 저부에 지지횡간(10)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도 절첩동작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착탈돌기(12)에 의한 착탈브라켓(7a,7b)과 커넥팅부재(6a,6b)간의 체결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절첩식 의자(1)을 별도로 분리보관할 수 있게되며, 쌍을 이루고 있는 지지횡간(10)은 상호간에 절첩이 가능하도록 절첩링크(8)에 의해 연결되어진 구성을 이룸으로서 절첩식 의자(1)와의 분리에 따른 분실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절첩식 흔들의자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적용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기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은 본 발명의 절첩식 흔들의자는, 일반적인 절첩식 의자의 저부에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결합위치의 조절이 슬라이딩 이동을 통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흔들부재가 구비되어짐으로서 야외에서의 사용시 한층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된다.
또한, 절첩식 의자와 흔들부재간의 결합구조를 착탈식으로 구비함으로서 지면상태에 따라 절첩식 의자로서의 기능만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되는 이점을 나타내게 된다.

Claims (5)

  1. 전후방향으로의 흔들유동이 가능하도록 곡률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지지횡간(10)이 절첩식 의자(1)의 다리부(5) 하단에 결합되어지되, 상기 각 다리부(5)의 커넥팅부재(6a,6b)는 양측의 지지횡간(10)측에 구비되어진 착탈브라켓(7a,7b)과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절첩식 흔들의자에 있어서:
    상기 양측의 지지횡간(10)에는 동일한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로드(9)가 각각 구비되었으며;
    상기 슬라이드 로드(9)를 따라 상기 착탈브라켓(7a,7b)이 유동가능하게 결합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흔들의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로드(9)에는 상기 착탈브라켓(7b)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조절홀(13)이 소정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었으며;
    이 부위에 위치되어지는 착탈브라켓(7b)에는 상기 위치조절홀(13)과 연통되어지는 연통공(15)이 형성되어짐으로서 고정부재(14)의 체결에 의해 상호간에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흔들의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착탈브라켓(7a,7b)은 절첩링크(8)에 의해 연결되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흔들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탈브라켓(7a,7b)에는 착탈돌기(12)가 돌출형성되었으며, 상기 착탈돌기(12)의 삽입이 가능한 삽입공이 커넥팅 부재(6a,6b)에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흔들의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양측 지지횡간(10)의 선단측에는 절곡되어진 형태의 발받침부(11)가 연장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흔들의자.
KR1020010046335A 2001-07-31 2001-07-31 절첩식 흔들의자 KR200300123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35A KR20030012343A (ko) 2001-07-31 2001-07-31 절첩식 흔들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6335A KR20030012343A (ko) 2001-07-31 2001-07-31 절첩식 흔들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2343A true KR20030012343A (ko) 2003-02-12

Family

ID=2771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6335A KR20030012343A (ko) 2001-07-31 2001-07-31 절첩식 흔들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123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97B1 (ko) * 2005-04-27 2008-01-21 이종욱 흔들 벤치
KR101015021B1 (ko) * 2010-07-09 2011-02-16 이장근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KR200465704Y1 (ko) * 2012-08-17 2013-03-11 김성태 접이식 의자
KR101375785B1 (ko) * 2011-06-08 2014-04-01 이장근 흔들의자 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200475524Y1 (ko) * 2013-02-21 2014-12-08 테-룽 첸 절첩 가능한 로킹 체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414U (ko) * 1973-12-10 1975-07-21
JPH0370001A (ja) * 1989-08-08 1991-03-26 Kubota Corp 作業装置の制御機構
JPH0373064A (ja) * 1989-08-14 1991-03-28 Fujitsu Ltd 自動取引装置
KR950032056U (ko) * 1994-05-28 1995-12-14 절첩식 간이 의자
JP2000135144A (ja) * 1998-10-29 2000-05-16 Sanghwan Han 携帯用折畳式椅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5414U (ko) * 1973-12-10 1975-07-21
JPH0370001A (ja) * 1989-08-08 1991-03-26 Kubota Corp 作業装置の制御機構
JPH0373064A (ja) * 1989-08-14 1991-03-28 Fujitsu Ltd 自動取引装置
KR950032056U (ko) * 1994-05-28 1995-12-14 절첩식 간이 의자
JP2000135144A (ja) * 1998-10-29 2000-05-16 Sanghwan Han 携帯用折畳式椅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197B1 (ko) * 2005-04-27 2008-01-21 이종욱 흔들 벤치
KR101015021B1 (ko) * 2010-07-09 2011-02-16 이장근 스윙 유닛의 탈부착이 가능한 흔들 의자 및 흔들 의자 구현 스윙유닛
KR101375785B1 (ko) * 2011-06-08 2014-04-01 이장근 흔들의자 기능을 갖는 사무용 의자
KR200465704Y1 (ko) * 2012-08-17 2013-03-11 김성태 접이식 의자
KR200475524Y1 (ko) * 2013-02-21 2014-12-08 테-룽 첸 절첩 가능한 로킹 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3013B1 (ko) 휴대용 의자
JP3984544B2 (ja) 折畳み式椅子
US20030234561A1 (en) Foldable chair with detachable seat arrangement
US4555136A (en) Furniture construction
KR200172215Y1 (ko) 절첩식 흔들의자
KR20030012343A (ko) 절첩식 흔들의자
KR20210050341A (ko) 등받이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접이식 릴렉스 체어
EP1425994A1 (en) Folding bed
US20140346818A1 (en) Folding chair
KR200207265Y1 (ko) 척추 교정용 의자
CN207604688U (zh) 一种折叠椅
KR101631621B1 (ko) 휴대용 접이식 간이 의자
KR102270091B1 (ko) 접이식 휠체어
KR20200071546A (ko) 고정 팩이 부착된 지면에 고정 가능한 캠핑의자
CN219680140U (zh) 折叠椅架及折叠椅
CN209995738U (zh) 一种可调节的简易躺床
KR200321834Y1 (ko) 안락의자용 등받이 연결구조
CN212185830U (zh) 一种折叠看台椅
CN219249628U (zh) 折叠便携椅
KR200252214Y1 (ko) 절첩식 간이 침대
KR102056887B1 (ko) 접이식 휴대용 의자
CN217937654U (zh) 一种折叠椅结构
KR100696446B1 (ko) 레저용 의자
CN217365180U (zh) 一种洗头椅的枕托结构
KR100442760B1 (ko) 절첩식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